KR20200017767A - Portable light emitting apparatus for suppor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rtable light emitting apparatus for suppor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767A
KR20200017767A KR1020180093088A KR20180093088A KR20200017767A KR 20200017767 A KR20200017767 A KR 20200017767A KR 1020180093088 A KR1020180093088 A KR 1020180093088A KR 20180093088 A KR20180093088 A KR 20180093088A KR 20200017767 A KR20200017767 A KR 20200017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cheering
portable
portab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1416B1 (en
Inventor
박덕선
Original Assignee
박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덕선 filed Critical 박덕선
Priority to KR102018009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416B1/en
Publication of KR20200017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7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4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detecting audible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Provided is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es: a light emitting block (140) for emitting a plurality of colors; a controller (110)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setting modes in which the light emitting block (140) is preset in connec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perform operation control; and a driving circuit (120) for turning on or off a corresponding light among the light emitting blocks (1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Description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Portable light emitting apparatus for suppor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Portable light emitting apparatus for suppor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주변의 상황 변화에 따라 다양한 발광 컬러의 변환, 발광 주기, 감도 조절 등이 가능한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converting various light emission colors, adjusting a light emission period, and sensitivity according to changes in surrounding condition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의 콘서트에서는 응원문화가 다양화됨에 따라 여러 가지 응원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In recent concerts, various cheering tools are being used as the cheering culture is diversified.

특히,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진행되는 콘서트의 특성상, 빛을 발할 수 있는, 야광봉, 야광팔찌, LED(Light Emitting Diodes) 조명이 구비된 응원봉과 머리띠 등 다양한 응원도구가 콘서트를 즐기는 이용자에 의해 사용된다.In particular, due to the nature of concerts held at night or in the dark, various cheering tools are used by users who enjoy concerts, such as luminescent bars, luminescent bracelets, luminous bracelets, and cheering rods and headbands equipped with LED (Light Emitting Diodes) lights. do.

특히, 야광봉의 경우, 형광물질을 도포하거나 별도로 전지를 구비하여 조명 효과를 얻는 막대 모양의 물건을 사용되고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luminous rod, a rod-shaped object that obtains an illumination effect by applying a fluorescent material or by separately providing a battery is used.

물론, 야광봉은 응원도구뿐만 아니라, 야간 활동, 등산, 각종 이벤트 등에 사용되고 있고, 특히 다양한 색깔을 표시하도록 제작할 수 있어, 콘서트장을 비롯한 다양한 공연장의 어두운 실내에서 관객들의 응원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가수의 이름을 만들거나 특정한 형상을 만드는데에도 사용되고 있다.Of course, luminous sticks are used not only for cheering tools, but also for night activities, mountain climbing, and various events, and can be produced to display various colors, and are used as cheering tools for audiences in dark rooms of concert halls and various performance halls. It is also used to make names and make certain shapes.

따라서, 야광봉은 관객들의 응원도구로서뿐만 아니라 특정 형상을 만들어 공연연출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으며, 관객들이 가진 야광봉을 공연을 연출하는 제작자 측에서 제어하여 다양한 글씨 내지 형상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공연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the nocturnal rod is used as one of the performance production by making a specific shape as well as a cheering tool for the audience, and various productions of the performance are possible by displaying various letters or shapes by controlling the luminous rod that the audience has to produce the performance. I'm trying to.

그런데, 이처럼 야광봉을 통해 공연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기는 하나, 야광봉은 불빛을 내는 기능만을 갖고 있어 관객의 흥미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although the luminous rods enable various productions of performances, the luminous rods have only a function of emitting light, which limits the interest of the audience.

또한, 현재 응원 상황이 시시각각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능동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urrent support situation is changed from time to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actively reflect this.

1.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710307호(등록일: 2017.02.20)1.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10307 (Registration Date: 2017.02.20) 2.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822968호(등록일: 2018.01.23)2.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822968 (Registration Date: Jan. 23, 2018) 3.일본공개특허번호 제2012-207009호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2-207009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주변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발광 컬러의 변환, 발광 주기 조절, 감도 조절 등이 가능한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and provides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converting various light emission colors, adjusting the light emission period, sensitivity, etc.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have.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응원 상황이 시시각각 변화됨에 따라 이를 능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can actively reflect the current cheering situation.

본 발명은 주변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발광 컬러의 변환, 발광 주기 조절, 감도 조절 등이 가능한 휴대용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converting various emission colors, adjusting a light emission period, adjusting a sensitivity, and the like according to surrounding conditions.

상기 휴대용 발광 장치는,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다수의 컬러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발광 블럭;A light emitting block for selectively emitting a plurality of colors;

주위 환경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블럭을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modes in which the light emitting block is preset in association with ambient environment information to perform operation control; And

상기 동작 제어에 따라 상기 발광 블럭 중 해당 발광등을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driving circuit for turning on or off the corresponding light among the light emitting blocks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또한,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는, 상기 발광 블럭 중 하나의 발광등을 온하는 일반 모드, 상기 발광 블럭 중 하나의 발광등을 온 오프하는 온오프 주기를 반복하는 리듬 비트 모드, 및 제 1 특정 로그를 비추는 서치등을 온하는 서치라이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setting modes may include a general mode for turning on one of the light emitting blocks, a rhythm bit mode for repeating on and off periods for turning on and off one of the light emitting blocks, and a first specific lo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rchlight mode for turning on the searchlight for illuminating.

또한, 상기 주위 환경 정보는 센서를 통해 주변의 상황으로부터 획득되는 스피커의 음파 신호 또는 조도 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wave signal or the illumination intensity of the speaker obtained from the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the sensor.

또한, 상기 발광 블럭 중 일부 발광등은 상기 음파 신호의 도달 순서 또는 조도 세기에 따라 온이 되도록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some of the light emitting blocks of the light emitting block is set in advance so as to be turned on according to the arrival order or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of the sound wave signal.

또한, 상기 주위 환경 정보는 상기 스피커를 기준으로 좌우 채널의 음량 조정에 의해 좌우 방향 정보 또는 상기 스피커를 기준으로 깊이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left and right direction information or depth dir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peaker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left and right channels with respect to the speaker.

또한, 상기 음파 신호의 크기 또는 조도 세기에 따라 상기 센서의 감도 레벨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itivity level of the senso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r illuminance intensity of the sound wave signal.

또한, 상기 발광 블럭 중 일부 발광등은 상기 조도 세기의 크기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light emitting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ightnes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lluminance intensity.

또한, 상기 휴대용 발광 장치는, 외부의 통신 단말기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circuit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mmunication.

이때,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을 통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etting modes 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ted through an app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휴대용 발광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 housing body forming an appearance.

또한,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측면에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buttons for selecting the plurality of setting mode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또한,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에 대한 선택은 다수의 버튼의 누름 횟수 또는 누르고 있는 시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lection of the plurality of setting modes is characterized by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or holding down a plurality of buttons.

또한, 상기 휴대용 발광 장치는, 상기 하우징내 설치되는 제 2 특정 로그를 회전시키는 모터 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otor box for rotating a second specific log installed in the housing.

또한, 상기 모터 박스는, 상기 제 2 특정 로그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과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tor box may further include a bearing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pecific log; And a motor connected with the bearing.

이때, 상기 베어링은 볼팅 방식에 의해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ea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motor by a bolting method.

또한, 상기 하우징 바디는 투광을 위한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material for light transmission.

또한, 상기 하우징 바디는 볼링 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wling pin shape.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a) 제어기가 주위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제어기가 상기 주위 환경 정보에 연동하여, 다수의 컬러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발광 블럭을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동작 제어에 따라, 구동 회로가 상기 발광 블럭 중 해당 발광등을 온 또는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he controller receiving ambient environment information; (b) the controller interlocking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modes of the light emitting block for selectively emitting a plurality of colors to perform operation control; And (c)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control, driving circuits to turn on or off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lamps among the light emitting blocks.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위에서 기술된 휴대용 발광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ode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발광 컬러의 변환, 발광 주기 조절, 감도 조절 등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mission colors can be converted, emission period adjustment, sensitivity adjustment,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현재 응원 상황이 시시각각 변화됨에 따라 이를 능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urrent support situation can be actively reflected as the situation chan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발광 장치와 이동 통신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광 장치를 갖는 라이트 스틱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라이트 스틱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비트 모드 상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치 라이트 모드 상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모드를 구현하는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 모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변의 상황 변화에 따른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che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light stick having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of the light stick shown in FIG. 3.
5 is a front view of a light stick showing a rhythm beat mod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light stick showing a search light mod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rotation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light stick showing the rotation mode shown in FIG. 7.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 change of circumstances of the surround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In describing each drawing,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cheer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발광 장치(100)는, 다수의 컬러를 발광하는 발광 블럭(140), 상기 발광 블럭(140)을 특정 설정 모드로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110), 상기 발광 블럭(140)을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 회로(1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00 for che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block 140 that emits a plurality of colors, a controller 110 that performs operation control of the light emitting block 140 in a specific setting mode, and the light emission. Drive circuit 120 for turning the block 140 on or off, and the like.

제어기(110)는 주위 환경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블럭(140)을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기(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IC(Integrated Circuit), 마이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modes in which the light emitting block 140 is preset in associa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perform an operation control. To this end, the controller 110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an integrated circuit (IC), a microcomputer, and the like.

구동 회로(120)는 제어기(110)의 동작 제어에 따라 발광 블럭(140)에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을 개별 및/또는 전체로 온 또는 오프한다. 또한, 배터리(130)로부터 전원을 받아 이를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구동 회로(120)에는 스위칭 회로, 분배 회로, IC 등이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circuit 120 turns on or off the first to nth light emitting lamps 140-1 to 140-n of the light emitting blocks 140 individually and / or entire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In addition, the battery 130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130 and supplies the same to the first to n th light emitting lamps 140-1 to 140-n. To this end, the driving circuit 120 may include a switching circuit, a distribution circuit, an IC, and the like.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은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은 각각 다른 색으로 발광된다. 물론,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은 컬러별로 병렬연결될 수 있다. 부연하면, 레드(red) 컬러에 3개의 발광등이 직렬로 배치되고, 블루(blue) 컬러 3개의 발광등이 직렬로 배치되며, 그린(green) 컬러에 3개의 발광등이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드 컬러, 블루 컬러, 및 그린 컬러가 서로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물론, 여기서 기술한 컬러는 예시에 불과하여 다른 컬러도 가능하다.The first to nth light emitting diodes 140-1 to 140-n may be light emitting diodes (LED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first to nth light emitting lamps 140-1 to 140-n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respectively. Of course, the first to n-th light emitting lamps 140-1 to 140-n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for each color. In other words, three luminous lamps may be arranged in series in red color, three luminous lamps in blue color may be arranged in series, and three luminous lamps may be arranged in series in green color. have. In this case, the red color, the blue color, and the green color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Of course, the colors described herein are merely examples and other colors are possible.

배터리(130)는 휴대용 발광 장치(100)에 구성되는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130)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 건전지, 버튼셀 등이 될 수도 있다. The battery 130 performs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00. The battery 130 is mainly used as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However, it may be a general battery, a button cell, or the like.

또한, 지시등(150)이 구동 회로(12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시등(150)은 발광 블럭(140)과 별도로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파워 온 상태,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indicator ligh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circuit 120. The indicator light 15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a power-on state, a charging state, and the like of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00 separately from the light emitting block 140.

센서(160)는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주위 환경을 센싱하여 주위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센서(160)는 스피커의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음파 센서, 조명의 세기(조도 세기)를 감지하는 광센서, 조도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물론, 주위 환경 정보는 센서(160)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미리 제어기(110)에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The sensor 160 sens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00 to generat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is end, the sensor 160 may be a sound wave sensor for detecting a sound wave signal of the speaker,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illuminance intensity), an illumination sensor, and the like. Of cours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described as being generated by the sensor 160, but may be programmed in the controller 110 in advance.

통신 회로(170)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신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은 IrDA(Infrared Data) 통신, 블루투쓰, LiFi(Light 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ntrol) 등이 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70 performs a function of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mmunication may be Infrared Data (IrDA) communication, Bluetooth, Light Fidelity (LiFi), Wireless Fidelity (WiFi), Near Field Control (NFC), or the like.

조작부(180)는 사용자의 명령을 통해 휴대용 발광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조작부(180)에는 버튼, 마이크 등이 구성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80 performs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00 through a user's command. To this end, the operation unit 180 may be configured with a button, a microphone, and the like.

한편, 서치등(190)이 구동 회로(120)에 연결될 수 있다. 서치등(190)은 휴대용 발광 장치(100)에 설치된 특정 로고의 이미지를 밖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치등(190)은 LED 이미지 라이트가 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arch lamp 19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circuit 120. The searchlight 19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of a specific logo installed in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00 outside. The search light 190 may be an LED image light.

따라서, 앞서 기술한 다수의 설정 모드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수의 설정 모드는,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하나(140-1 내지 140-n)를 온하는 일반 모드,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하나(140-1 내지 140-n)를 온 오프하는 온오프 주기를 반복하는 리듬 비트 모드, 및 제 1 특정 로그를 비추는 서치등(190)을 온하는 서치라이트 모드로 구성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plurality of setting mode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etting modes include a general mode of turning on one of the light emitting blocks 140 (140-1 to 140-n) and a turning on of one of the light emitting blocks 140 (140-1 to 140-n). A rhythm beat mode for repeating the on-off period, and a searchlight mode for turning on the search light 190 for illuminating the first specific lo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발광 장치(100)와 이동 통신 단말기(210) 간의 무선 통신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210)와 휴대용 발광 장치(100)가 무선 통신 라인(230)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21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앱(220)을 통해 휴대용 발광 장치(100)에 대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이미 있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illustrated in FIG. 1. 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and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00 are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line 230. Therefor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is a smart phone,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be set or an existing setting may be changed through the app 220.

물론, 이동 통신 단말기(210)는 휴대폰(mobile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노트 패드, MP3 플레이어 등이 될 수 있다.Of cour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may be a mobile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note pad, or an MP3 player. Can b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광 장치(100)를 갖는 라이트 스틱(300)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라이트 스틱(30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320), 상기 하우징 바디(320)로부터 연통되는 손잡이(310), 상기 하우징 바디(320)와 상기 손잡이(310)에 위치하는 목부(350) 등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목부(350)에는 하우징 바디(320)와 목부(350)를 구분하는 띠가 부착될 수 있다. 물론, 띠는 형광색이 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320)의 맨 상단에는 투명 커버(321)가 결합된다.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light stick 300 having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light stick 300 is positioned in a housing body 320 forming an appearance, a handle 310 communicating with the housing body 320, and the housing body 320 and the handle 310. The neck 350 is formed to include. A neck band may be attached to the neck 350 to separate the housing body 320 and the neck 350. Of course, the strip may be fluorescent. The transparent cover 321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housing body 320.

하우징 바디(320)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이 사용된다. 실리콘, 우레탄, PVC(Polyvinyl chloride)등이 될 수 있다.The housing body 32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Silicone, urethane, PVC (polyvinyl chloride) can be.

손잡이(310)에는 조작부(도 1의 180)에 구성되는 상버튼(330) 및 하버튼(340) 등이 배치된다. 상버튼(330)은 약 2초간 눌려지면 일반 모드와 리듬 비트 모드로 전환된다. 부연하면, 상버튼(330)이 약 2초동안 눌려지면 일반 모드에서 리듬 비트 모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약 2초 동안 상버튼(330)이 눌려지면 리듬 비트 모드에서 서치라이트 모드로 전환된다.The handle 310 is disposed on the upper button 330 and the lower button 340, which is configured on the operation unit (180 of FIG. 1). When the upper button 330 is pressed for about 2 seconds, the upper button 330 is switched to the normal mode and the rhythm beat mode. In other words, when the upper button 330 is pressed for about 2 seconds, the mode is switched from the normal mode to the rhythm beat mode. In this state, when the upper button 330 is pressed again for about two seconds, the rhythm beat mode is switched to the searchlight mode.

한편, 상버튼(330)이 약 5초동안 눌려지면 파워 온/오프(Power ON/OFF)가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부연하면, 상버튼(330)이 처음으로 약 5초동안 눌려지면 파워 온이 되고, 다시 약 5초 동안 눌려지면 파워 오프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button 330 is pressed for about 5 seconds, the power ON / OFF (Power ON / OFF) is selectively executed. In other words, when the upper button 330 is first pressed for about 5 seconds, the power is turned on, and when the upper button 330 is pressed for about 5 seconds, the power is turned off.

하버튼(340)은 일반모드에서 컬러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부연하면, 일반모드에서 하버튼(340)이 눌려질때마다, 컬러가 Red -> Blue -> Green -> Orange … 등과 같이 변화하게 된다. 물론, 리듬 비트 모드에서도 하버튼(340)이 이용될 수 있다. 부연하면, 리듬 비트 모드에서 하버튼(340)이 눌려지면 센서(도 1의 160)의 감도가 고/중/저 레벨로 전환된다. 즉, 눌려지는 연속적인 순서에 따라 전환될 수 있고, 연속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전환될 수도 있다.The lower button 340 is used to switch the color mode from the normal mode. In other words, whenever the lower button 340 is pressed in the normal mode, the color is Red-> Blue-> Green-> Orange. And so on. Of course, the lower button 340 may also be used in the rhythm beat mode. In other words, when the lower button 340 is pressed in the rhythm beat mode,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160 in FIG. 1) is switched to the high / medium / low level. That is, it may be switched in the order of being pressed continuously, or may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being pressed continuously.

또한, 일반 모드나 리듬 비트 모드에서 약 3초이상 하버튼(340)이 눌려지면 서치등(도 1의 190)이 온/오프된다. 부연하면, 일반 모드나 리듬 비트 모드에서 약 3초이상 하버튼(340)이 1회 눌려지면 서치등(190)이 온된다. 또한, 서치등(190)이 온된 상태에서 다시 약 3초이상 하버튼(340)이 1회 눌려지면 서치등(190)이 오프된다.In addition, when the lower button 340 is pressed for about 3 seconds or more in the normal mode or the rhythm beat mode, the search light (190 in FIG. 1) is turned on / off. In other words, the search light 190 is turned on when the lower button 340 is pressed once for about 3 seconds in the normal mode or the rhythm beat mode. In addition, when the lower button 340 is pressed once more than about 3 seconds while the search light 190 is turned on, the search light 190 is turned off.

부연하면, 상버튼 및 하버튼(330,340)은 누름 횟수 및/또는 누르고 있는 시간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upper and lower buttons 330 and 340 can be operated by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and / or the time of pressing.

또한, 라이트 스틱(300)은 사용자가 쉽게 잡고 사용하도록 볼링핀 형상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stick 300 may be a bowling pin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and us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라이트 스틱(300)의 저면도이다. 즉, 도 4는 손잡이(310)의 밑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전잭(410), 밴드홀(420), 센서홀(430), 지시등(150)이 배치된다.4 is a bottom view of the light stick 300 shown in FIG. 3. That is,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andle 310. Referring to FIG. 4, the charging jack 410, the band hole 420, the sensor hole 430, and the indicator light 150 are disposed.

충전잭(410)은 배터리(도 1의 1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충전기(미도시)를 이 충전잭(410)에 연결함으로써 충전이 가능하다. 충전기의 전원은 약 5V가 될 수 있다. 밴드홀(420)은 제품에 따라 나온 띠를 매는 홀의 역할을 한다.The charging jack 41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30 of FIG. 1). Therefore, charging is possible by connecting a charger (not shown) to this charging jack 410. The charger can be about 5V. The band hole 420 serves as a hole for tying a band according to the product.

센서홀(430)은 리듬 비트 모드를 작동시키는 센서(도 1의 160)가 삽입 고정되는 홀이다. 지시등(150)은 파워온시 블루 LED 온이고, 충전시 레드 LED 온이고, 충전완료시 레드 LED 오프이다.The sensor hole 430 is a hole into which a sensor (160 of FIG. 1) for operating the rhythm beat mode is inserted and fixed. Indicator 150 is blue LED on when power on, red LED on when charging, red LED off when charging is complete.

한편, 일반 모드는 단일한 컬러(예를 들면, Red, Yellow, White, Blue, Green 등)로 라이팅한다. 일반 모드에서 하버튼(340)을 짧게 누르면, 컬러 모드가 전환된다. 또한, 앱(220)과의 연동을 통해, 앱(220)에서 256 컬러 변환이 가능하며, 밝기 조정도 가능하다. 또한, 연속적으로 컬러가 변경되는 3가지 라이팅 방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정 시간 동안, Red + Yellow + Blue의 라이팅이 가능하다. 또는, 예를 들면, 일정시간동안, Red -> Yellow -> Blue 순으로 라이팅이 가능하다.Normal mode, on the other hand, writes in a single color (eg, Red, Yellow, White, Blue, Green, etc.). Briefly pressing the lower button 340 in the normal mode, the color mode is switched. In addition, by linking with the app 220, the app 220 can be converted to 256 colors, the brightness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ree lighting schemes in which the color is continuously changed are possible. For example, for a period of time, lighting of Red + Yellow + Blue is possible. Or, for example, for a certain time, you can write in the order of Red-> Yellow-> Blu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비트 모드 상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300)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듬 비트 모드는 주위에서 들리는 음악 소리의 신호를 센서(160)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음악 소리에 따라 빛이 깜빡 거리는 모드이다. 상버튼(도 3의 330)이 약 2초간 눌려지면 일반 모드에서 리듬 비트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5 is a front view of the light stick 300 showing a rhythm beat mod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rhythm beat mode is a mode in which light is flickered according to the music sound by detecting a signal of a music sound heard from the surroundings in real time through the sensor 160. When the upper button 330 of FIG. 3 is pressed for about 2 seconds, the normal button may be switched from the normal mode to the rhythm beat mode.

부연하면, 센서(160)를 통해 주변의 상황으로부터 획득되는 스피커의 음파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음파 신호에서 음파 신호의 크기(강도)가 임계값 이상의 레벨로 산출된다. 이 산출되는 음파 신호의 크기에 대응해서 발광 블럭(140)의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이 온된다. In other words, the sound wave signal of the speaker obtained from the surrounding situ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sensor 160, and the magnitude (intensity) of the sound wave signal is calculated to be at a level high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from the obtained sound wave signal. The first to nth light emitting lamps 140-1 to 140-n of the light emitting block 140 are turned 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calculated sound wave signal.

부연하면, 음파 신호의 도달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등이 온된다. 즉, 공연 참석자들이 스피커를 정면으로 보며 위치하는 경우, 스피커로부터 거리가 다양하다. 따라서, 스피커의 소리도 시간차를 두고 도달하므로 이러한 도달 시간에 따라 해당 위치에 있는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이 온된다. 물론, 전부 온될 수 있지만 일부의 컬러에 해당하는 발광등만이 온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light is sequentially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arrival order of the sound wave signals. That is, when the performance attendees are positioned facing the speaker, the distance from the speaker may vary. Therefore, since the sound of the speaker also arrives with a time difference, the first to nth luminous lamps 140-1 to 140-n of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0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Of course, all of them may be turned on, but only a light emitting lamp corresponding to some colors may be turned on.

또한, 스피커를 기준으로 좌우 채널의 음량 조정에 의해 좌우 방향 정보 및/또는 상기 스피커를 기준으로 깊이 방향 정보에 따라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이 온될 수 있다. Further, the first to nth light emitting lamps 140-1 to 140-of the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be adjusted based on left and right direction information and / or depth dir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peaker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left and right channels with respect to the speaker. n) may be turned on.

또한, 리듬 비트 모드에서 하버튼(도 3의 340)이 짧게 한 번씩 눌려지면 센서(160)의 감도가 고/중/저 레벨로 전환된다. 따라서, 사용환경의 소리 크기에 따라 적당한 감도 레벨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lower button 340 of FIG. 3 is briefly pressed in the rhythm beat mode,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160 is switched to the high / medium / low leve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use an appropriate sensitivity level according to the loudness of the use environment.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210)에 설치되는 앱(220)에서 리듬 비트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며, 센서(160)의 감도를 업/다운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앱 연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pp 220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may be switched to the rhythm beat mode, and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160 may be adjusted up / down. In other words, app integration is possibl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치 라이트 모드 상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300)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좋아하는 특정 로고(610)를 영화 필름처럼 불빛에 비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서치등(도 1의 190)을 통해 특정 로고(610)를 광방출(620)에 의해 공중, 벽면등에 비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러한 로고는 변경될 수 있다. 부연하면, 서치등(190)에 로고 필름을 바꾸어 삽입함으로써 로고를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서치 라이트 모드도 앱과 연동될 수 있다.6 is a front view of the light stick 300 showing the search light mod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a favorite specific logo 610 is performed to shine like a movie film. That is, the specific logo 610 is illuminated by the light emitting 620 to the air, the wall surface, etc. through the search light (190 in FIG. 1). Of course, such a logo can be changed. In other words, the logo may be changed by changing and inserting the logo film into the search lamp 190. Of course, the search light mode can also be linked with the app.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모드를 구현하는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 바디(320)내 특정 로그(740)를 회전시키는 모터 박스(700)가 구성될 수 있다. 모터 박스(700)는, 특정 로그(740)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어링(730), 상기 베어링(730)과 연결되는 모터(7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베어링(730)은 볼팅 방식(720)에 의해 상기 모터(710)와 연결될 수 있다.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rotation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a motor box 70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 specific log 740 in the housing body 320. The motor box 7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earing 730 installed at a lower end of a specific log 740, a motor 710 connected to the bearing 730,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bearing 730 may be connected to the motor 710 by the bolting method (720).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 모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의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내부에 특정 로그(740)가 설치되며, 저속으로 회전된다. 회전 모드는 일반 모드나 리듬 비트 모드에서 상버튼(330)을 짧게 누르면 모터(710)가 온된다. 물론, 누르고 있는 시간, 누름 횟수의 조합을 통해 온 또는 오프할 수도 있다. 이 회전 모드도 앱과 연동될 수 있다.FIG. 8 is a front view of the light stick showing the rotation mode shown in FIG. 7. Referring to FIG. 8, a specific log 740 is installed therein and rotated at a low speed. In the rotation mode, the motor 710 is turned on by briefly pressing the upper button 330 in the normal mode or the rhythm beat mode. Of course, it can also be turned on or off by a combination of the time pressed and the number of presses. This rotation mode can also be linked with the app.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변의 상황 변화에 따른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기(도 1의 110)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일반 모드, 리듬 비트 모드, 및 서치 라이트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910,S920).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 change of circumstances of the surround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ler 110 of FIG. 1 determines whether one of the normal mode, the rhythm beat mode, and the search write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standby mode (steps S910 and S920).

단계 S920에서, 일반 모드가 선택되면, 컬러 변환이 이루어진다(단계 S930,S931).If the normal mode is selected in step S920, color conversion is performed (steps S930 and S931).

이와 달리, 단계 S920에서, 리듬 비트 모드가 선택되면, 센서(도 1의 160)를 통해 주위 환경에 대한 센싱이 수행되어 주위 환경 정보가 생성된다(단계 S940,S941).In contrast, when the rhythm beat mode is selected in step S920, sensing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sensor (160 in FIG. 1) to generat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teps S940 and S941).

제어기(110)는 주위 환경 정보중 스피커의 음파 신호에 대한 크기(또는 강도)를 산출하여 발광 블럭(140)의 발광등(140-1 내지 140-n)에 대한 빛 출력의 깜빡 거림을 조절한다(단계 S943,S945).The controller 110 calculates the magnitude (or intensity) of the sound wave signal of the speaker amo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adjust the flicker of the light output of the light emitting blocks 140-1 to 140-n of the light emitting block 140. (Steps S943, S945).

한편, 단계 S920에서, 서치 라이트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기(110)는 서치등(190)을 통해 로고에 대한 빛 출력을 수행한다(단계 S950,S951).On the other hand, if the search light mode is selected in step S920, the controller 110 performs a light output for the logo through the search light 190 (steps S950, S951).

도 9에서는 센싱 단계(940)가 리듬 비트 모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대기 모드 상태에서 센싱 단계가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음파 신호만을 센싱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주변의 조도 등을 센싱하여 이에 대응하게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 9, the sensing step 940 is described in the rhythm beat mode. However, the sensing step may be performed in the standby mode. In addition, although only the sound wave signal is described, it is also possible to sense the ambient illumination and the like and select a mode accordingly.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program instruction form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 code, data file, data structure,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블루레이 등과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 코드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반도체 기억 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The program (instruction) code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 DVD, Blu-ray, etc., and ROM, RAM (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command) code, such as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 코드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Her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 code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100: 휴대용 발광 장치
110: 제어기
120: 구동회로
130: 배터리
140: 발광 블럭
140-1 내지 140-n: 제 1 내지 제 n LED(Light Emitting Diode)
150: 지시등
160: 센서
170: 통신 회로
180: 조작부
190: 서치등
100: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110: controller
120: drive circuit
130: battery
140: light emitting block
140-1 to 140-n: first to nth LEDs (Light Emitting Diodes)
150: indicator light
160: sensor
170: communication circuit
180: control panel
190: searchlight

Claims (17)

다수의 컬러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발광 블럭(140);
주위 환경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블럭(140)을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110); 및
상기 동작 제어에 따라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해당 발광등을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 회로(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A light emitting block 140 for selectively emitting a plurality of colors;
A controller (110) which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modes of the light emitting block (140) in associa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perform operation control; And
A driving circuit 120 for turning on or off a corresponding light among the light emitting blocks 1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cheering,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는,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하나의 발광등(140-1 내지 140-n)을 온하는 일반 모드,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하나의 발광등(140-1 내지 140-n)을 온 오프하는 온오프 주기를 반복하는 리듬 비트 모드, 및 제 1 특정 로그를 비추는 서치등(190)을 온하는 서치라이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etting modes include a general mode of turning on one of the light emitting blocks 140-1 to 140-n of the light emitting block 140, and one of the light emitting blocks 140. -n) a rhythm beat mode for repeating the on-off cycle for turning on and off, and a searchlight mode for turning on the search light 190 for illuminating the first specific lo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환경 정보는 센서(160)를 통해 주변의 상황으로부터 획득되는 스피커의 음파 신호 또는 조도 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s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chee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wave signal or illuminance intensity of the speaker obtained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the sensor (16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블럭(140) 중 일부 발광등(140-1 내지 140-n)은 상기 음파 신호의 도달 순서 또는 조도 세기에 따라 온이 되도록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ome of the light emitting blocks 140-1 to 140-n of the light emitting block 140 are preset to be turned on according to the arrival order or illuminance intensity of the sound wave sig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신호의 크기 또는 조도 세기에 따라 상기 센서(160)의 감도 레벨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chee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itivity level of the sensor 16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r illuminance intensity of the sound wave sig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환경 정보는 상기 스피커를 기준으로 좌우 채널의 음량 조정에 의해 좌우 방향 정보 또는 상기 스피커를 기준으로 깊이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left and right direction information or depth dir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peaker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left and right channels with respect to the speak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블럭(140) 중 일부 발광등(140-1 내지 140-n)은 상기 조도 세기의 크기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140-1 to 140-n of the light emitting block 140 is a light emitting device for chee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rightnes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의 통신 단말기(210)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통신 회로(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는 상기 통신 단말기(210)에 설치되는 앱(220)을 통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ommunication circuit 170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210, the external; The plurality of setting mod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via the app 220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10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rooting.
제 1 항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cheering comprising a; housing body 320 to form an appearan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320)의 일측면에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330,340)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1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chee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unit 18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buttons (330, 340) for selecting the plurality of setting modes on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3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에 대한 선택은 다수의 버튼(330,340)의 누름 횟수 또는 누르고 있는 시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lection of the plurality of setting modes is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cheering,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or holding down the plurality of buttons (330,34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320)내 설치되는 제 2 특정 로그(740)를 회전시키는 모터 박스(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chee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tor box (700) for rotating the second specific log (740) installed in the housing body (3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박스(700)는, 상기 제 2 특정 로그(740)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어링(730); 및 상기 베어링(730)과 연결되는 모터(710);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730)은 볼팅 방식에 의해 상기 모터(71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motor box 700, the bearing 730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pecific log 740; And a motor (710) connected to the bearing (730), wherein the bearing (730) is connected to the motor (710) by a bolting metho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320)는 투광을 위한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housing body 320 is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chee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material for light transmiss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320)는 볼링 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housing body 320 is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chee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owling pin shape.
(a) 제어기(110)가 주위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제어기(110)가 상기 주위 환경 정보에 연동하여, 다수의 컬러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발광 블럭(140)을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동작 제어에 따라, 구동 회로(120)가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해당 발광등을 온 또는 오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의 제어 방법.
(a) the controller 110 receiving ambient environment information;
(b) the controller 110 performing operation control by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modes of the light emitting block 140 which selectively emits a plurality of colors in associa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 the driving circuit 120 turning on or off the corresponding light among the light emitting blocks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for cheering comprising a.
제 16 항에 따른 휴대용 발광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ode for execu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KR1020180093088A 2018-08-09 2018-08-09 Portable light emitting apparatus for suppor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714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88A KR102271416B1 (en) 2018-08-09 2018-08-09 Portable light emitting apparatus for suppor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88A KR102271416B1 (en) 2018-08-09 2018-08-09 Portable light emitting apparatus for suppor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767A true KR20200017767A (en) 2020-02-19
KR102271416B1 KR102271416B1 (en) 2021-07-01

Family

ID=6967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88A KR102271416B1 (en) 2018-08-09 2018-08-09 Portable light emitting apparatus for suppor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41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7009A (en) 2011-03-29 2012-10-25 Chukei Nomura Method for producing mulberry twig pulverized powder
KR101710307B1 (en) 2016-07-18 2017-02-24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A Performance Directing Control System Using the Luminous Stick
KR20170067484A (en) * 2015-12-08 2017-06-16 주식회사 몰트 Stick type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contol methdo thereof
KR101822968B1 (en) 2017-01-25 2018-01-29 주식회사 트래딧 Direction system for concert including cheer r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7009A (en) 2011-03-29 2012-10-25 Chukei Nomura Method for producing mulberry twig pulverized powder
KR20170067484A (en) * 2015-12-08 2017-06-16 주식회사 몰트 Stick type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contol methdo thereof
KR101710307B1 (en) 2016-07-18 2017-02-24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A Performance Directing Control System Using the Luminous Stick
KR101822968B1 (en) 2017-01-25 2018-01-29 주식회사 트래딧 Direction system for concert including cheer r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416B1 (en)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581B1 (en) Light emitting control system for adjusting luminescence in line with perfomanc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JP6933862B2 (en) Light adjustment system and lights
US20070008711A1 (en) Multifunction lighting and audio system
KR101795717B1 (en) Stick type light emitting apparatus
KR102229017B1 (en) Performance production control system for checking performance information provision with lighting sti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17773A (en) Portable light emitting apparatus interworked with sound source localiz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71416B1 (en) Portable light emitting apparatus for suppor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17769A (en) Portable light emitting apparatus for adjusting luminescence using a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17772A (en) Light emitting control system for implementing diffuse emission and Method thereof
KR20200017771A (en) Light emitting control system for adjusting luminescence in line with other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200072210A (en) Mood Lamp
KR20200017768A (en) Light emitting control system for adjusting luminescence in house and Method thereof
US20170016604A1 (en) Shoe with sound and light device
KR102263493B1 (en) Performance production control system for implementing light e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guide a seat numb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45670B1 (en) Multi-function display device using spiral spring
KR20220033711A (en) Led lighting block, led lighting block circuit, writer block, battery block and led lighting block set of combinations thereof
KR102263490B1 (en) Performance production control system for displaying performance information to portable light emitting stick by being interworked with rallying cry of participa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47873B1 (en) Cheer operating system using digital light stick
JP5667279B1 (en) Illumination device and frame to which this illumination device is attached
KR102263491B1 (en) Performance production control system for communicating a performer and an appointed audie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05109B1 (en) Digital light stick for cheer
KR200461038Y1 (en) Multi-usage light-emitting device
KR102092341B1 (en) Led picket
KR20170128935A (en) Portable LED light-emitting system
US9986783B2 (en) Shoe with sound and ligh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