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645A - 인상 트레이 홀더를 갖는 ct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상 트레이 홀더를 갖는 ct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645A
KR20200017645A KR1020180092778A KR20180092778A KR20200017645A KR 20200017645 A KR20200017645 A KR 20200017645A KR 1020180092778 A KR1020180092778 A KR 1020180092778A KR 20180092778 A KR20180092778 A KR 20180092778A KR 20200017645 A KR20200017645 A KR 2020001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ssion
patient
impression tray
imag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지예
한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1020180092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7645A/ko
Publication of KR2020001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Device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rised tomographs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61B6/51

Abstract

무치악 환자에 대한 틀니 제작 과정에 CT 영상 촬영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완전틀니 제작시 무치악 환자의 치과 내원 횟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CT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틀니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CT 영상 촬영 장치는, CT 영상 촬영시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는 인상 트레이 홀더; 및, 인상재가 도포된 상태로 환자의 구강 내에 투입되는 인상재 수용부의 전방에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 손잡이부를 갖는 인상 트레이;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틀니 제조 방법은, 인상 채득 중에 환자가 상기 인상 트레이를 입에 문 채로 CT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환자의 잇몸 인상이 채득된 인상체의 CT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인상 트레이 홀더를 갖는 CT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CT IMAGING APPARATUS HAVING IMPRESSING TRAY HOLDER AND DENTUR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CT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상 채득과 동시에 CT 영상을 획득하는 CT 영상 촬영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무치악 환자의 틀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CT(Computed Tomography) 영상 촬영 장치는 촬영대상의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엑스선 프로젝션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촬영대상에 대한 단층 영상 및 3차원 엑스선 영상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CT 영상 촬영 장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 피검체를 사이에 두고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대향 회전하는 엑스선 디텍터, 그리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검출결과를 통해 CT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재구성부를 포함한다.
치과 분야에서, CT 영상은 환자의 신체 중 주요 관심 부위인 치열, 턱 관절 또는 머리 부분에 대한 3차원 엑스선 영상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방향에 따른 단층 영상을 정확하고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시술 등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다만, 최근 노년층 인구의 빠른 증가 추세와 함께 치과 분야에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완전틀니(Complete Denture) 분야에서는 아직 CT 영상의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 완전틀니란 치아가 전혀 없는 무치악 환자를 위한 틀니를 말하는데, 종래와 같은 CT 영상 촬영 방식에 따를 경우 구강 내 연조직(soft tissue), 특히 잇몸과 입술 안쪽 부분의 경계를 영상화하거나 잇몸에 대한 3차원 모델을 획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종래의 완전틀니 제작 방법에도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환자의 내원이 최소 5차례 정도 요구된다. 완전틀니를 필요로 하는 환자가 주로 고령층인 점을 고려하면 매우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환자 잇몸에 대한 인상 채득은 환자뿐만 아니라 시술자에게도 어려운 작업이다. 구강 내에서 치아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악과 하악의 턱 관계를 채득하는 작업 또한 난이도가 높고, 치료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환자의 구강 상황에 대해 시각화가 어려워, 위와 같은 작업들이 객관화되지 못하고 시술자의 경험과 숙련도에 따라 좌우되어 환자와 치과의사 모두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치악 환자에 대한 틀니 제작 과정에 CT 영상 촬영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완전틀니 제작시 무치악 환자의 치과 내원 횟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CT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틀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치아가 없는 무치악 환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인상 채득과 동시에 CT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CT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하며, 획득된 CT 영상을 이용하여 무치악 환자의 구강 연조직을 시각화하고, 3차원 모델을 획득하며, 악간 관계 등을 채득함으로써, 객관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킨 완전틀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CT 영상 촬영 장치는, CT 영상 촬영시에 환자의 머리 부분의 위치를 안내하고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CT 영상 촬영시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는 인상 트레이 홀더; 및, 인상재가 도포된 상태로 환자의 구강 내에 투입되는 인상재 수용부의 전방에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 손잡이부를 갖는 인상 트레이; 를 포함하고, 인상 채득 중에 환자가 상기 인상 트레이를 입에 문 채로 CT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CT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턱받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는 상기 턱받침에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컬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컬럼부는 상기 턱받침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CT 영상 촬영 장치는, 환자의 머리 위쪽 부분을 지지하고, 시각적인 표시를 통해 환자 머리 위치의 정렬을 유도하는 정렬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 가이드는 환자의 안면에 대한 계측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CT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은, 인상재가 도포된 인상 트레이를 CT 영상 촬영 장치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된 인상 트레이 홀더에 체결하고, 환자가 상기 인상 트레이를 입에 문 채로 환자의 CT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인상 트레이 상에 환자 잇몸의 인상이 채득된 인상체의 CT 영상을 촬영하여 3차원 모델을 획득하는 인상체 스캔 단계; 상기 환자의 CT 영상에 상기 인상체의 CT 영상 또는 상기 3차원 모델을 정합하여 환자의 잇몸에 대한 3차원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환자의 CT 영상을 분석하여 해부학적 계측 정보를 획득하는, 구강 연조직 분리 및 CT 영상 분석 단계; 및, 상기 환자의 잇몸에 대한 3차원 모델 및 상기 해부학적 계측 정보를 활용하여 완전틀니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상체 스캔 단계는, 상기 인상 트레이가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에 고정된 상태로 CT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무치악 환자에 대한 틀니 제작 과정에 CT 영상 촬영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완전틀니 제작시 무치악 환자의 치과 내원 횟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CT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틀니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가 없는 무치악 환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인상 채득과 동시에 CT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CT 영상 촬영 장치가 제공된다. 획득된 CT 영상을 이용하여 무치악 환자의 구강 연조직을 시각화하고, 3차원 모델을 획득하며, 악간 관계 등을 채득함으로써, 완전틀니의 제조 방법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습을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촬영 장치에서 인상 트레이가 홀더에 체결된 모습을 보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촬영 장치에서 인상 트레이가 홀더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좀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장치에 관한 설명과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설명은 명시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구성요소의 구조에 따른 작용이나 작동 방식 등과 같이 장치의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이상 이를 이용한 방법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습을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인상 트레이 홀더를 갖는 CT 영상 촬영 장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엑스선 디텍터 사이에서 환자(피검자)(H)의 머리 위치를 안내하고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1)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21)은 CT 영상 촬영 장치의 고정된 베이스에 대하여 높이가 조절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21)의 높이는 환자(H)의 키 또는 앉은 키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21)에는 환자의 턱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턱받침(22)이 마련되고, 상기 턱받침(22) 위로는 인상 트레이 홀더(23)가 설치된다.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23)는 상기 턱받침(22)에 연결되는 부분이 종래의 파노라마 영상 촬영 장치의 바이트 블럭(Bite Block)과 유사하게 턱받침(22)으로부터 상향하되 그 말단부가 환자쪽으로 절곡된 바(bar)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고, 그 말단에 인상 트레이(24)가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은 인상재 수용부에 인상재가 도포된 인상 트레이(24)를 환자가 입에 문 채로 CT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시 말해서, 인상 채득과 동시에 CT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다. 그 결과 CT 영상 촬영 시에 상기 인상 트레이(24) 및 상기 인상재에 의해 환자(H)의 잇몸과 입술과 같은 구강내 연조직이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CT 영상에서 환자(H)의 잇몸에 대한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인상재로서 엑스선 불투과성 재료가 적용될 경우 CT 영상에서 잇몸과 인상재의 경계면 정보를 통해 잇몸의 윤곽을 정확히 알 수 있다.
여기서 엑스선 불투과성인 인상재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인상재는 비스무트(Bismuth) 또는 비스무트 산화물이 함유된 합성수지 조성물일 수 있다. 비스무트는 중금속으로서 납과 같이 엑스선을 차단하는 성질이 있으나, 독성이 없어 그 자체 또는 화합물의 상태로 합성수지에 혼합되어 상기 인상재의 엑스선 투과율을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엑스선 투과율을 낮추는 성분이 함유된 인상재라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23)와 상기 인상 트레이(24)는 예컨대, 환자(H)의 입술선 높이(43)와 상기 턱받침(22)에 닿는 턱밑선 높이(44)의 상대적인 관계를 제공한다. 상기 두 높이(43,44)가 미리 알려진 일정한 차이 값을 갖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23)의 컬럼부(231)가 상기 턱받침(22)에 끼워지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두 높이(43,44) 사이의 차이 값을 계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CT 영상 촬영 장치는 환자의 머리 위쪽 부분을 지지하고, 아울러 시각적인 표시를 통해 환자 머리 위치의 정렬을 유도하는 정렬 가이드(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렬 가이드(10)는 레이저 라인 표시장치 등과 함께 CT 영상 촬영 시 환자 머리의 위치 및 각도 정렬을 돕는 한편, 환자의 동공간선 높이(41) 및 비익 높이(43), 그리고 전술한 입술선 높이(43) 및 턱밑선 높이(44) 등, 무치악 환자의 완전틀니 제작에 필요한 신체 정보를 계측하는 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계측 결과는 환자의 안면 고경 등을 나타내는 외부 계측 정보로서 활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CT 영상 촬영 장치는,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치과용 CT 영상 촬영 장치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구강 부분을 향해 엑스선 빔을 조사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 및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서로 대향하여 회전하며 상기 구강 부분을 투과한 엑스선 빔을 수광하는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는 촬영부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촬영 장치에서 인상 트레이가 홀더에 체결된 모습을 보인다.
도면에서 왼쪽이 인상 트레이(24), 오른쪽이 턱받침(22) 및 인상 트레이 홀더(23)를 나타낸다. 상기 인상 트레이(24)는 상악과 하악의 인상을 동시에 채득할 수 있도록 상하 양측에 인상재 수용부(242)가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인상재 수용부(242)는 바닥판과, 악궁 모양의 내측 및 외측을 따라, 가상의 교합면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된 형태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인상 트레이(24)의 전방, 즉 전치부 앞쪽에는 손잡이로서의 기능과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23)에 고정되는 체결부로서의 기능을 겸하는, 체결 손잡이부(241)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 손잡이부(241)는 일부분이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23)에 끼워지고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그 위치 및 방향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체결 수단에는 볼트뿐만 아니라 후크 결합 구조, 슬라이드 결합 구조, 끼워 맞춤 구조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에 있어서, 무치악 환자의 인상 채득 및 CT 영상 촬영을 동시에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인상 트레이(24)의 인상재 수용부(242)에 인상재를 도포하고,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이를 입에 문 채로 CT 영상을 촬영한다. 환자가 상기 인상 트레이(24)를 자연스러운 자세로 물고 CT 영상을 촬영하면, CT 영상을 통해 완전틀니 제작에 필요한 환자의 악간 관계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환자의 구강내 연조직 윤곽을 확인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촬영 장치에서 인상 트레이가 홀더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다.
전술한 CT 영상 촬영 후에 인상 트레이(24)는 인상 트레이 홀더(23)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인상 트레이(24)에는 환자의 잇몸 윤곽이 음각의 인상체로 남아 채득된다. 분리된 상기 인상 트레이(24)와 함께 인상체를 CT 촬영 할 때, 상기 체결 손잡이부(241)는 인상 트레이(24)를 입에 문 환자의 CT 영상과 인상 트레이(24)의 CT 영상 사이에서 상기 인상 트레이(2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특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상 트레이(24)를 상기 CT 영상 촬영 장치의 인상 트레이 홀더(23)에 그대로 고정한 상태로 상기 인상체에 대한 CT 촬영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다. 이하에서는 본 도면과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인상 채득 중에 CT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에 대해서는, 앞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인상체 스캔 단계(S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상체가 상기 인상 트레이(24)에 놓인 상태로 인상체를 CT 촬영하여, 인상체의 3차원 모델을 획득한다. 이때, 인상체의 CT 촬영을 위해서는 환자에 대한 CT 영상 촬영과 유사한 방식, 즉 인상체를 사이에 두고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엑스선 디텍터가 대향 회전하는 방식으로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상 트레이(24)를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23)에 고정한 상태로 인상체에 대한 CT 영상을 획득하면, 앞서 환자에 대한 인상 채득 중에 획득된 CT 영상과의 정합이 매우 용이하다. 환자만 없을 뿐 인상 트레이(24)의 크기와 위치는 동일하기 때문이다. 인상재의 엑스선 감쇠율은 구강 연조직의 엑스선 감쇠율과의 차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공기의 엑스선 감쇠율에 대한 차이가 더 크다. 따라서, 인상체에 대한 3차원 모델 스캐닝을 통해 환자의 잇몸 윤곽에 대한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인상체에 대한 CT 영상 촬영을 통해 더 정확한 잇몸 윤곽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인상체 표면에 엑스선 불투과성 물질을 얇게 도포하거나, 상기 인상체의 엑스선 감쇠율에 대하여 공기보다 차이가 더 큰 매질의 분위기에서 상기 인상체를 스캐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구강 연조직 분리 및 CT 영상 분석(계측) 단계(S3)를 진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앞서 획득된 CT 영상, 즉 환자가 인상 트레이를 입에 문 채로 촬영된 CT 영상에, 인상체의 CT 영상을 정합하여 상기 인상체와 인상 트레이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환자의 잇몸을 포함하는 구강 연조직 모델을 분리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환자의 CT 영상으로부터 해부학적 랜드마크를 추출하여 악간 관계 및 안모 등 완전틀니의 제작에 필요한 신체 계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합 평면, 캄퍼 평면(Camper's Plane), 프랑크포트 수평면(Frankfort Horizontal Plane), 정중선(Median Line), 동공 간선, 좌우 비익 간 거리(6전치부 거리)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완전틀니 제작 단계(S4)를 진행한다. 본 단계에는 왁스림(Wax Rim) 설계 및 제작, 기능 인상 채득, 인공 치아 및 치열 디자인, 베이스 플레이트 및 치아 제작, 등의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왁스림 설계 및 제작, 인공 치아 및 치열 디자인 등의 단계에서는 앞서 CT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환자의 잇몸 등 구강 연조직 모델이 활용될 수 있다. CT 영상 촬영 단계 및 CT 영상 분석 단계를 통해 계측된 정보도 활용될 수 있다.
이들 정보를 활용한 CAD(Computer Aided Design) 작업을 통해 환자의 구강에 잘 맞는 완전틀니를 설계할 수 있고, 설계 결과물을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장비에 제공하여 3D 프린팅이나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 작업에 직/간접적으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환자 장착 단계(S5)에서는 환자가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작된 무치악 틀니를 직접 착용하게 된다. 본 단계에서는 환자의 착용감에 따라 약간의 조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치아가 있을 때처럼 인상 트레이를 자연스럽게 입에 문 채로 CT 영상을 촬영하고, 그 자세에서 잇몸의 윤곽뿐만 아니라 악간 관계를 비롯한 여러 가지 해부학적 정보를 채득하여 완전틀니 제작에 반영하므로, 환자에 잘 맞는 완전틀니를 제공할 수 있다.
10: 정렬 가이드
21: 지지 프레임
22: 턱받침
23: 인상 트레이 홀더 231: 컬럼부
24: 인상 트레이 241: 체결 손잡이부

Claims (6)

  1. 환자를 사이에 두고 대면 배치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회전에 의한 CT 영상 촬영시 환자의 머리 부분의 위치를 안내 및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CT 영상 촬영시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인상 트레이 홀더; 및,
    인상재가 도포된 상태로 환자의 구강 내에 투입되는 인상재 수용부 및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전방에서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에 체결되는 체결 손잡이부를 갖는 인상 트레이; 를 포함하고,
    인상 채득 중에 환자가 상기 인상 트레이를 입에 문 채로 CT 영상을 촬영하는, CT 영상 촬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턱받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는 상기 턱받침에 일부가 삽입되는 컬럼부를 포함하는,
    CT 영상 촬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부는 상기 턱받침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CT 영상 촬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머리 위쪽 부분을 지지하고, 시각적인 표시를 통해 환자 머리 위치의 정렬을 유도하는 정렬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 가이드는 환자의 안면에 대한 계측 정보를 제공하는,
    CT 영상 촬영 장치.
  5. CT 영상 촬영 장치의 지지 프레임에 인상 트레이 홀더와 인상 트레이를 고정하고,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에 인상재를 도포하고, 환자가 상기 인상 트레이를 입에 문 상태로 상기 환자의 두부를 CT 촬영하는 단계;
    상기 인상이 채득된 인상체를 CT 촬영하는 단계;
    상기 환자 두부의 CT 영상에 상기 인상체의 CT 영상을 정합하여 상기 환자의 잇몸에 대한 3차원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환자의 CT 영상으로 상기 환자의 해부학적 계측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잇몸에 대한 3차원 모델 및 상기 해부학적 계측 정보를 활용하여 완전틀니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CT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체를 CT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인상 트레이 홀더와 상기 인상 트레이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CT 영상을 촬영하는,
    CT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
KR1020180092778A 2018-08-09 2018-08-09 인상 트레이 홀더를 갖는 ct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 KR20200017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778A KR20200017645A (ko) 2018-08-09 2018-08-09 인상 트레이 홀더를 갖는 ct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778A KR20200017645A (ko) 2018-08-09 2018-08-09 인상 트레이 홀더를 갖는 ct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645A true KR20200017645A (ko) 2020-02-19

Family

ID=6966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778A KR20200017645A (ko) 2018-08-09 2018-08-09 인상 트레이 홀더를 갖는 ct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76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4382B2 (ja) 歯科用計画および生産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366442B2 (en) Dental apparatus for radiographic and non-radiographic imaging
KR102095273B1 (ko) 인상 트레이 및 상기 인상 트레이와 ct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
KR101631256B1 (ko) 트레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제조방법
Engelman et al. Optimum placement of osseointegrated implants
US11229503B2 (en) Implant surgery guiding method
US8043091B2 (en) Computer machined dental tooth system and method
KR102330616B1 (ko)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방법
WO2016154844A1 (zh) 一种颌位关系记录方法及装置
KR102215068B1 (ko) 임플란트 진단용 영상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Noguchi et al. An orthognathic simulation system integrating teeth, jaw and face data using 3D cephalometry
JP2008142400A (ja) 医用撮影装置
KR101166169B1 (ko) 3차원 영상획득장치의 보조 장치물 및 악안면두경부가 포함된 3차원 영상획득방법
Sohmura et al. High-resolution 3-D shape integration of dentition and face measured by new laser scanner
KR20210055847A (ko) 영상처리와 cnn을 이용한 자동 3차원 세팔로메트리 장치 및 방법
KR102239741B1 (ko)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KR20200017645A (ko) 인상 트레이 홀더를 갖는 ct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
EP3482680B1 (en) Device for detecting images of the mouth of a patient
KR102193807B1 (ko) 하악 운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록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악 운동의 기록 변환 방법
JP2020168057A (ja) 無口蓋義歯の義歯床形成方法および義歯床形成システム
Ahmed et al. Effect of Different Lateral Condylar Guidance Registration Methods and Articulators on Bilateral Balanced Occlusion of Complete Denture
Ahmed Shawky et al. Evaluation Of Retention and Assessment of Biting Force Distribution of a Complete Denture Fabricated Using 3D Printed Custom Trays with Arcus Digma Versus Conventional Method (A Cross Over Study)
KR102068814B1 (ko) 치과용 서포트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
Sigouin A novel method to integrate intra-oral scan models with 3D facial images
Rangel Integration of digital dental casts into CBCT scans and 3D stereophotogrammetric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