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000A - Device for preparing coffee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eparing coff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000A
KR20200016000A KR1020180091149A KR20180091149A KR20200016000A KR 20200016000 A KR20200016000 A KR 20200016000A KR 1020180091149 A KR1020180091149 A KR 1020180091149A KR 20180091149 A KR20180091149 A KR 20180091149A KR 20200016000 A KR20200016000 A KR 20200016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ffee
unit
water suppl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선
Original Assignee
이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선 filed Critical 이기선
Priority to KR102018009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6000A/en
Publication of KR20200016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0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A coffee maker is provided. The coffee maker comprises: a coffee liquid extraction unit supplying water to coffee to extract a coffee liquid; and a wat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on unit to supply the water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on unit. The water supply unit comprises: a water storage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on unit to store water; a first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unit to supply the water to the water storage unit;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water storage unit and the coffee liquid extraction unit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on unit.

Description

커피 제조 장치{DEVICE FOR PREPARING COFFEE}Coffee making device {DEVICE FOR PREPARING COFFEE}

본 발명은 커피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더치커피(dutch coffee)를 만드는 커피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mak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ffee making apparatus for making Dutch coffee.

커피는 커피나무의 열매를 볶아서 간 가루로서,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으며 독특한 향기가 있어 마시는 차로서 널리 애용되고 있다. 커피가 널리 애용됨으로써 커피를 추출하여 마시는 방법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는데, 예를 들면 커피가 담긴 여과지에 뜨거운 물을 부어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커피 추출법과, 포트에 커피를 충전한 다음에 고압상태로 고온의 물을 통과시켜 커피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커피 추출법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Coffee is a powdered roasted fruit of the coffee tree, contains caffeine, and is widely used as a drinking tea because of its unique fragrance. As coffee is widely used, various methods of extracting and drinking coffee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a drip coffee extraction method of pouring coffee water by pouring hot water into a filter paper containing coffee and a high pressure state after filling the pot with coffee Espresso coffee extraction method for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by passing the high temperature water is widely used.

위와 같이 다양한 추출법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에서, 해당 추출법에서 커피의 맛을 가장 좋게 하면서 또한 그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추출온도가 적절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물의 온도와 커피의 분말화 정도에 따라 카페인을 포함한 커피성분의 용해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In the situation where various extraction methods are used as described above, the extraction temperature needs to be appropriately set in order to keep the taste of the coffee best and maintain the taste in the extraction method, which depends on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degree of coffee powdering. This is because th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ffee ingredients, including caffeine.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커피가 수용되어 있는 용기에 소량의 찬물을 장시간 투과시키면서 차가운 상태에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더치커피 추출법이 이용되고 있다. 더치커피란 차가운 물을 사용하여 오랜 시간 추출한 독특하고 향이 좋은 커피를 일컫는 것으로, 과거 네덜란드령 인도네시아 식민지에서 재배된 커피를 유럽으로 운반하던 선원들이 배에서 커피를 먹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라고 한다. 이후 이 더치커피는 흔히 콜드 브루(cold brew), 즉 찬물로 내리는 커피로 알려지게 되었고, 최근에는 고급 커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짐에 따라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고품질의 커피로서 더치커피가 점점 더 주목받고 있다.In this regard, the Dutch coffee extraction method of extracting a coffee liquid in a cold state while permeating a small amount of cold water for a long time has been used. Dutch coffee refers to a unique, fragrant coffee that has been extracted for a long time using cold water. It was designed for sailors who used to transport coffee grown in the Dutch Indonesian colonies to Europe. Since then, it has become known as cold brew, or cold water coffee. Recently, with the growing demand of consumers for fine coffee, it has become increasingly high quality coffee that meets this demand. It is attracting attention.

더치커피는 찬물로 내리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로도 만들 수 있지만, 발명으로서 공개된 장치로는 하기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것과 같은 장치가 있다. 그러나 더치커피 자체가 비교적 최근에 주목받기 시작한 아이템이기 때문에, 더치커피를 만드는 장치도 또한 아직까지는 초보적인 수준이며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데에는 부족함이 있다. Dutch coffee can be made of any device if cold water can be applied, but the device disclosed as the invention includes a device a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However, since Dutch coffee itself is a relatively recent item that has been in the spotlight, the apparatus for making Dutch coffee is still too rudimentary and lacks in satisfying the needs of consumer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155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8155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수한 품질의 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커피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ffee production apparatus capable of producing a coffee of excellent qua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피 제조 장치는, 물을 커피에 공급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커피액 추출부 및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을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 저장부에 상기 물을 공급하는 제1 물공급관, 및 상기 물 저장부와 상기 커피액 추출부를 연결하고, 상기 물을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 공급하는 제2 물공급관을 포함한다.Coffe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for supplying water to the coffee to extract the coffee liquid and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and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to supply the water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Contains wealth.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storage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for storing the water, a first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unit for supplying the water to the water storage unit, and the water storage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물 저장부에 배치되어 상기 물 저장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상기 제1 물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물공급관을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1 밸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제어부는 상기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level sensor disposed in the water storage unit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unit, a first valve disposed i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to open and close the first water supply pipe, and the first valve It may be connected to include a val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The valv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so that the water level is kept constant.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제2 물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물공급관을 개폐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밸브 제어부는 상기 제2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valve disposed in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and the valv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valve. Can be.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may be a solenoid valve.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제1 물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물을 정수하는 정수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filter disposed i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to purify the water.

상기 커피 제조 장치는 상기 물공급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물이 냉수로서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 공급되도록 작동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물공급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냉매를 이동시키는 냉매관 및 상기 냉매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냉매관에서 상기 물공급부로 냉기를 이동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ffee mak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unit and operable to supply the water as the cold water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on unit. The cooling unit may include a coolant tube disposed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unit to move the coolant and a cooling fan disposed adjacent to the coolant tube to move cold air from the coolant tube to the water supply unit.

상기 커피액 추출부는,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물을 배출하는 배출기, 상기 배출기 아래에 배치되고, 내부에 커피가 저장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커피 용기, 및 상기 커피 용기 아래에 배치된 커피액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기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커피 용기 내 상기 커피를 통과하여 커피액으로 유출될 수 있고, 상기 커피액 용기는 상기 커피 용기에서 유출된 상기 커피액을 수용할 수 있다.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an ejector for discharg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disposed below the discharger, the coffee container is stored therein, the upper and lower open coffee container, and the coffee disposed below the coffee container It may include a liquid container.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r may pass through the coffee in the coffee container and flow out into the coffee liquid, and the coffee liquid container may receive the coffee liquid discharged from the coffee container.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제조 장치는 적정 온도의 냉수를 자동으로 일정하게 공급하여 우수한 품질의 더치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 또, 균일하고 일정한 맛의 더치커피를 제조할 수 있고, 냉수의 공급을 다르게 적용하여 다양한 맛의 더치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Coffe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supply a constant temperature of cold water to produce a good quality Dutch coffe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Dutch coffee of a uniform and constant tast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variety of Dutch coffee by applying cold water differ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피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커피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커피 제조 장치의 물공급부 및 냉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커피 제조 장치의 커피액 추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패 제조 장치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커피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ffe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offe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ffee making apparatus of FIG.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cooling unit of the coffee production apparatus of FIG.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ffee liquid extraction unit of the coffee production device of FIG.
8 shows a cap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ffee making apparatus of FIG. 8.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deliver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lthough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elements from one another. Again, where an element is said to be on top of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lements, or the relative sizes between elements, may be somewhat exaggerated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somewhat changed by variation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to be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unless specifically stated,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some mod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피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ffe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basic configuration of a coffe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커피 제조 장치(10)는 몸체부(100), 물공급부(200), 냉각부(300), 및 커피액 추출부(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10 includes a body part 100, a water supply part 200, a cooling part 300, and a coffee liquid extracting part 400.

몸체부(100)는 커피 제조 장치(10)의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고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몸체부(100)는 물공급부(200), 냉각부(300), 및 커피액 추출부(400)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The body portion 100 supports the other components of the coffee making device 10 and allows it to b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body part 100 includes a frame in which the water supply part 200, the cooling part 300, and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part 400 are installed.

물공급부(200)는 커피액 추출부(100)에서 커피액을 만드는데 필요한 물을 공급한다. 더치커피를 제조하는 경우, 물공급부(200)에서 커피액 추출부(100)에 공급되는 물은 냉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supply unit 200 supplies water required to make the coffee liquid in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100. When manufacturing the Dutch coffe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0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100 is preferably cold water.

냉각부(300)는 냉각작용을 통하여 물공급부(200)에서 커피액 추출부(100)로 공급되는 물이 냉수가 되도록 하고 아울러 커피 제조 장치(10)의 전체 온도를 낮게 하여 그 내부를 냉장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냉장고와 같은 기능도 한다.The cooling unit 300 allow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0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100 through the cooling operation so that the water is cold water and lowers the overall temperature of the coffee making apparatus 10 to refrigerated the inside thereof. It also functions as a refrigerator.

커피액 추출부(400)는 물을 제공받아 이를 커피에 공급하여 커피액을 만드는 역할을 수행한다. 커피액 추출부(400)에서 만들어진 커피액은 그대로 음용될 수 있다. 또한 커피액 추출부(400)에서 만들어진 커피액은 물 등을 더 첨가하여 농도를 조정하거나 일정시간 더 숙성시킨 후에 음용될 수도 있다.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receives water and supplies it to coffee to serve to make coffee liquid. The coffee liquid made by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may be drunk as it is. In addition, the coffee liquid made by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may be drunk after adding water or the like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r aging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제조 장치는 더치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기본구성으로서 커피액 추출부(100), 물공급부(200) 및 냉각부(300)를 구비하며, 나아가 상기 커피액 추출부(100), 물공급부(200), 냉각부(300)가 설치되는 일종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본체(10)를 더 포함한다.Coffe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100, a water supply unit 200 and a cooling unit 300 as a basic configuration for manufacturing a Dutch coffee, and furthermore,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100, It further includes a body 10 corresponding to a kind of frame in which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the cooling unit 300 are installed.

이하 상기한 기본구성을 구비하는 구체적인 장치로서, 제1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장치(도2 내지 도6)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장치(도7)에 대해서 살펴본다.Hereinafter, as a specific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basic configuration, a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FIGS. 2 to 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FIG. 7)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장치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커피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커피 제조 장치의 물공급부 및 냉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커피 제조 장치의 커피액 추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shows a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ure 2, Figures 4 and 5 are the water supply and cooling of the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ure 2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ffee liquid extraction unit of the coffee production apparatus of FIG.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몸체부(100)는 대략 직육면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설치되는 장소나 한 번에 추출되는 커피의 양에 따라 몸체부(100)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몸체부(100)는 하부 몸체(101)와 상부 몸체(102)로 구분될 수 있다. 하부 몸체(101)에는 물공급부(200)와 냉각부(300)의 주요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몸체(102)는 커피액 추출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몸체(102)는 유리와 같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커피액 추출부(400)에서 커피가 추출되어 만들어지는 과정을 외부에서 볼 수 있다. 냉각부(300)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차가운 기운(냉기)은 냉기구(101a) 등을 통하여 커피액 추출부(400)에 도달할 수 있어, 상부 몸체(102)는 냉장실과 같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2 to 7, the body portion 10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The size of the body portion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it is installed or the amount of coffee extracted at one time. The body part 100 may be divided into a lower body 101 and an upper body 102. Main components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the cooling unit 300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body 101. The upper body 102 may be a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is disposed. The upper body 102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and the process of extracting coffee from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may be seen from the outside. Cold energy (cold air)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unit 300 may reach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through the cooling mechanism 101a, etc., so that the upper body 102 is maintained in the same state a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Can be.

몸체부(100)의 바닥에는 직육면체의 밑면에 있어서 대략 4개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바퀴(11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부(100)를 설치하거나 또는 설치 위치를 변경할 때 몸체부(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바퀴(110)와 인접한 위치에는 고정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120)는 몸체부(100)의 설치 위치가 결정되어 몸체부(100)를 특정 위치에 고정할 때 사용된다. 고정부(120)는 폴더식으로 구성되어, 몸체부(100)의 고정시에는 설치되는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하고 몸체부(100)의 이동시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120)는 회전에 따라 길이가 신장하도록 구성되어 일방향으로 돌리면 그 길이가 늘어나고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그 길이가 줄어들어, 설치 위치에 맞추어 적정높이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At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100, wheels 110 are installed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four corners of the bottom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refore, when the body portion 100 is installed or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changed, the body portion 100 can be easily moved. In addition, the fixing unit 120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wheel 110. Fixing part 120 is used whe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ody portion 100 is determined to fix the body portion 100 to a specific position. The fixing part 120 may be configured to be a folding type so as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when the body part 100 is fixed, and to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when the body part 100 moves. Alternatively, the fixing part 120 is configured to extend in length as it is rotated so that its length is increased when turned in one direction and its length is reduced when tur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part 120 can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height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position.

하부 몸체(101)에 냉장부(300)와 물공급부(200)가 좌우에 각각 배치된다. 냉장부(300)와 물공급부(200)는 하단부분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도어로 커버되는 공간 내부에 있지만, 장비제어나 수리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도어를 오픈하여 냉장부(300)와 물공급부(200)에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다. The refrigeration unit 300 and the water supply unit 200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body 101, respectively. The refrigeration unit 300 and the water supply unit 200 are inside the space covered by the door so as not to be exposed from the lower portion, but if necessary for equipment control or repair, open the door to the refrigeration unit 300 and the water supply unit ( You can do what you need to do.

물공급부(200)는 제1 물저장부(210), 펌프(220), 밸브 제어부(230), 제1 물공급관(240), 제1 밸브(245), 정수 필터(250), 제2 물저장부(260), 수위 센서(265), 제2 물공급관(270), 및 제2 밸브(275)를 포함한다.The water supply unit 200 includes a first water storage unit 210, a pump 220, a valve control unit 230, a first water supply pipe 240, a first valve 245, a water filter 250, and a second water. The storage unit 260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265, a second water supply pipe 270, and a second valve 275.

제1 물저장부(210)는 냉수를 저장할 수 있다. '냉수'란 통상적인 커피에 사용되는 '따뜻한 물'이 아니라는 의미로, 반드시 얼음처럼 차가운 물만을 의미하는 것은 것이다. 따라서 '냉수'는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이 모두 해당될 수 있고, 예를 들면 0~30℃ 정도가 바람직하고, 1~3℃ 정도가 더 바람직하다.The first water storage unit 210 may store cold water. "Cold water" does not mean "warm water" used in conventional coffee, but only ice cold water. Therefore, "cold water" may correspond to both cold water or room temperature water, for example, about 0 to 30 ℃ is preferred, about 1 to 3 ℃ is more preferred.

제1 물저장부(210)에는 더치커피를 만들기 위한 냉수가 저장되지만, 냉수는 별도의 물공급원에서 공급된 물을 차갑게 하여 얻어진다. 별도의 물공급원은 본 발명의 커피 제조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구비되어 있는 통상의 수도시설이 될 수 있다. 즉, 수도물을 공급받아 제1 물저장부(210)에 저장한 후, 이를 냉수로 만들어 더치커피를 만들 수 있다. 또는 수도시설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물이 저장되어 있는 별도의 저장용기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이를 냉수로 만들어 더치커피를 만들 수 있다. Although cold water for making Dutch coffee is stored in the first water storage unit 210, cold water is obtained by cooling water supplied from a separate water supply source. The separate water supply source may be a conventional water supply facility provided at the place where the coffee m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at is, after receiving the tap water and storing it in the first water storage unit 210, it can be made cold water by making it cold water. Alternatively, if no water facility is provided, water may be supplied from a separate storage container in which water is stored to make cold water to make Dutch coffee.

펌프(220)의 작동에 의해 제1 물저장부(210)의 물이 제1 물공급관(240)을 통하여 제2 물저장부(260)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물공급부(200)는 제1 물저장부를 포함하지 않고 수도관으로부터 직접 제2 물저장부(220)에 물(W)을 공급할 수 있다.By the operation of the pump 220, the water in the first water storage unit 210 moves to 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60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supply water (W) to 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20 directly from the water pipe without including the first water storage unit.

제1 밸브(245)는 제1 물공급관(240)에 배치되어 제1 물공급관(240)을 개폐한다. 제1 밸브(245)의 개폐에 의해 제2 물저장부(260)로의 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밸브(245)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The first valve 245 is disposed i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 to open and close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 The movement of water to 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60 may be controll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valve 245. The first valve 245 may be, for example, a solenoid valve.

정수 필터(250)는 제1 물공급관(240)에 배치되어 제1 물공급관(240)을 통하여 이동하는 물을 정수할 수 있다. 정수 필터(250)는, 예를 들어, 삼중 마이크로 필터, 세라믹 필터, 및/또는 탄소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filter 25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 to purify the water moving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 The water filter 250 may include, for example, a triple micro filter, a ceramic filter, and / or a carbon filter.

제2 물저장부(260)의 물(W)은 제2 물공급관(270)을 통하여 커피액 추출부(400)로 이동한다. The water (W) of 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60 moves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70.

제2 밸브(275)는 제2 물공급관(270)에 배치되어 제2 물공급관(270)을 개폐한다. 제2 밸브(275)의 개폐에 의해 제2 물저장부(260)에서 커피액 추출부(400)로의 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밸브(275)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The second valve 275 is disposed in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70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70. The movement of water from 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60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may be controll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valve 275. The second valve 275 may be, for example, a solenoid valve.

밸브 제어부(230)는 제1 밸브(2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밸브(245)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밸브 제어부(230)는 제2 밸브(27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밸브(275)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커피 제조 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밸브 제어부(230)는 제1 밸브(245) 및 제2 밸브(275)를 제어하여 제1 물공급관(240) 및 제2 물공급관(270)을 닫아 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The valve controller 2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245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245. In addition, the valve controller 2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275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valve 275. When the coffee making device 10 is not used, the valve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first valve 245 and the second valve 275 to close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70. Can block the flow of water.

제2 물저장부(260)는 커피액 추출부(400) 위에 배치되어 제2 물저장부(260)의 물(W)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여 커피액 추출부(400)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60 is disposed on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so that the water (W) of 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60 may move downward by gravity to move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have.

수위 센서(265)에 의해 제2 물저장부(260)의 수위가 측정되고, 제2 물저장부(260)의 수위에 따라 밸브 제어부(230)가 제1 밸브(245)의 개폐를 제어하여 물의 이동량을 조절함으로써 제2 물저장부(260)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피액 추출부(400)에 물이 일정하게(일정한 압력, 속도, 양 등)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품질이 우수하고 균일하며 일정한 맛을 갖는 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제2 물저장부(260)의 높이를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맛의 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60 is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265, and the valv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245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60.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60 may be kept constant by adjusting the movement amount of water. As a result, water may be uniformly provided (constant pressure, speed, amount, etc.)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Thus, coffee of excellent quality, uniformity and constant taste can be produced. In addition, by applying a different height of 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60 can be produced coffee of various flavors.

냉각부(300)는 몸체부(100)를 전체적으로 차갑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냉각부(300)는 냉각수단(310)을 포함하고, 냉각수단(310)은 냉매관(320)으로 구성되는데, 냉매관(320)은 그 내부에 냉매가 지나간다. 따라서, 냉매에 의하여 냉매관(320) 주위의 온도가 낮아진다.The cooling unit 300 serves to keep the body portion 100 as cold as a whole. The cooling unit 300 includes a cooling means 310, the cooling means 310 is composed of a refrigerant pipe 320, the refrigerant pipe 320 passes through the refrigerant therein. Therefore, the temperature around the refrigerant pipe 320 is lowered by the refrigerant.

냉각부(300)는 통상의 냉장고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컴프레서, 응축기 등을 구비하여, 컴프레서가 냉매를 압축하여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고, 압축된 뜨거운 냉매는 응축기로 가서 열이 방출되어 그 온도가 하강하여 액체가 되며, 액체가 된 냉매가 증발기로 가면 증발기에서 증발이 되어 기체가 되는데, 이때 증발열에 의하여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낮아져서 냉장이 되고, 증발된 냉매는 다시 컴프레서로 돌아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냉각부(300)가 작동되는 경우, 냉매관(320)을 증발기로서 이용하여 냉매관(320)에서 증발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냉매가 냉매관(320)에서 액체상태로부터 기체상태로 상태변화하는 경우, 상태변화에 필요한 증발열을 주위로부터 흡수하기 때문에 냉매관(320)의 주위의 온도가 낮아져서 냉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냉매관(320)을 증발이 발생하는 증발기로 이용하는 경우, 냉각부(300)에 별도로 구비되는 응축기에서 냉각매체에 대해 압력을 가함으로써 냉매가 액체상태로 변화되고, 액체상태의 냉매는 냉매관(320)에서 다시 증발되어, 결과적으로 냉매는 증발, 응축을 반복하면서 냉각부(300)에서 순환된다. 이러한 냉매로서는 통상의 냉장고에 사용되는 냉매가 사용될 수 있다.The cooling unit 300 may be configured as a conventional refrigerator. That is, with a compressor, a condenser, etc., the compressor compresses the refrigerant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nd the compressed hot refrigerant goes to the condenser to release heat to decrease the temperature to become liquid, and the liquid refrigerant becomes an evaporator. When the evaporator is evaporated to become a gas, the temperature around the evaporator is lowered by the heat of evaporation, which is refrigerated, and the evaporated refrigerant is returned to the compressor. When the cooling unit 300 is operated in this manner, the coolant pipe 320 may be used as the evaporator to cause evaporation in the coolant pipe 320. When the coolant changes state from the liquid state to the gaseous state in the coolant tube 320, since the evaporative heat required for the change of state is absorbed from the surroundings, the temperature around the coolant tube 320 is lowered and cooling is performed. As such, when the refrigerant pipe 320 is used as an evaporator in which evaporation occurs, the refrigerant is changed into a liquid state by applying pressure to the cooling medium in a condenser provided separately in the cooling unit 300, and the refrigerant in the liquid state is a refrigerant. Evaporated again in the tube 320, and as a result,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in the cooling unit 300 while repeating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As such a refrigerant | coolant, the refrigerant | coolant used for a normal refrigerator can be used.

냉매관(320)의 단부는 구부러진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냉매관(320)은 전체적으로 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관이 이어져서 전체적으로 구불구불한 구조의 관으로 이루어진다. 냉매관(320)이 이러한 구조를 갖는 경우, 냉매관(320)의 표면적이 커져서 주위와 열교환할 수 있는 면적도 커지게 되므로, 냉매관(320)의 냉각작용도 증가할 수 있다. 냉매관(320)은 단수로 구비될 수도 있고, 몸체부(100)의 사이즈가 커서 냉각강도가 더 커져야 하는 경우에는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An end portion of the coolant pipe 320 has a bent shape, but the coolant pipe 320 is formed of a pipe of a winding shape as a whole, which is connected to a pipe having a shape where the end is bent as a whole. When the coolant pipe 320 has such a structure, the surface area of the coolant pipe 320 is increased, so that the area for heat exchange with the surroundings is also increased, so that the cooling action of the coolant pipe 320 may be increased. The coolant pipe 320 may be provided in a singular number, or may be provided in plural when the size of the body part 100 is large and the cooling strength needs to be increased.

냉각수단(310)은 냉매관(320) 이외에 냉각팬(330)을 더 포함한다. 냉각팬(330)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냉각팬(330)은 주위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매관(320)으로 향하게 하고 이 공기가 냉매관(320)에서 차가워진 후 제1 물저장부(210) 및/또는 제1 물공급관(240)으로 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물저장부(210)에 저장된 물과 제1 공급관(240)을 통하여 흐르는 물의 온도를 원하는 만큼 낮게(예를 들면, 1~3℃)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팬(330)은 냉매관(320)에 의한 냉각작용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에 제1 물저장부(210)의 위치 근방과 냉각팬(330)의 위치 근방에 냉기구(101a)가 배치되어 있어 냉각팬(330)으로부터 제1 물저장부(210)나 제1 물공급관(240)으로 향하는 차가운 공기는 냉기구(101a)를 통하여 몸체부(100)의 상부 몸체(102)에 설치된 커피액 추출부(400)로도 이동할 수 있고, 몸체부(100) 내부의 공기는 다시 냉각수단(310)으로 순환될 수 있다. 또한, 냉매관(3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냉매관(320)의 상부에는 커버(140)가 덮여지는데, 이 커버(140)에도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냉매관(320) 등에서 발생한 냉기가 커피액 추출부(400)로 직접 이동할 수 있다.The cooling means 310 further includes a cooling fan 330 in addition to the refrigerant pipe 320. The cooling fan 330 may be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The cooling fan 330 sucks the surrounding air and directs it to the refrigerant pipe 320, and after the air cools down in the refrigerant pipe 320, the first water storage part 210 and / or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 You will be directed to.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storage unit 210 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240 may be kept as low as desired (for example, 1 to 3 ° C.). As such, the cooling fan 330 may further enhance the cooling action by the refrigerant pipe 320. In addition, since the cooling mechanism 101a is disposed near the position of the first water storage unit 210 and the position of the cooling fan 330 in the body portion 100, the first water storage unit ( The cold air directed to 210 or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 may also move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installed in the upper body 102 of the body portion 100 through the cooling mechanism 101a. The air inside the 100 may be circulated to the cooling means 310 again. In addition, the cover 140 is cove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olant pipe 320 so that the coolant pipe 32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openings are also formed in the cover 140, so that the coolant pipe 320 may be generated. Cold air may move directly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냉각부(300)는 구동부(340)와 제어부(350)를 더 포함한다. 구동부(340)는 냉각부(300)의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냉장모터 등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컴프레서나 응축기 등도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구동부(340), 컴프레서, 응축기, 냉각수단(310)은 연결라인(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어부(350)는 온/오프 스위치 등의 각종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온도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보고 사용자가 온도를 낮추거나 높일 수 있는 온도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unit 300 further includes a driving unit 340 and a control unit 350. The driving unit 340 includes a refrigerating motor for generat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unit 30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compressor or a condense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340, the compressor, the condenser, and the cooling unit 310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line (not shown). The controller 350 may include various controllers such as an on / off switch. For example, the controller 350 may include a display for sensing and displaying a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lowering 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user by viewing the display. have.

커피액 추출부(400)는 배출기(410), 선반(420), 커피 용기(430), 및 커피액 용기(440)를 포함한다. 배출기(410)는 커피 용기(420) 위에 커피 용기(12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2 물공급관(27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기(410)는 밸브(예를 들면, 니들 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밸브의 조작에 의하여 물의 공급여부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includes an ejector 410, a shelf 420, a coffee container 430, and a coffee liquid container 440. The ejector 41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ffee container 120 on the coffee container 420, and serves to discharg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70. Discharger 410 may be configured as a valve (for example, a needle valv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upply or supply of water by the operation of the valve.

커피 용기(430)는 배출기(410) 아래에 배출기(41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커피 용기(430)는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되어 있고, 입구가 좁고 몸통이 입구보다 넓은 통상의 물병을 거꾸로 뒤집어 놓은 자세로 배치된다. 즉, 하단의 개방부분이 상단의 개방부분보다 좁게 되어 있다. 커피 용기(430)에는 예를 들면 분말상태의 커피가 저장되는데, 하단의 개방부분이 좁기 때문에 커피가 커피 용기(43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그 내부에 유지될 수 있다. 커피 용기(430)는 선반(420)에 고정된다. 선반(420)에는 커피 용기(430)의 상단 개방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42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피 용기(430)는 상단 개방부분의 테두리가 선반(420)의 홈(420a)에 부착됨으로써, 소정의 높이에서 떨어지지 않고 배출기(41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coffee container 430 is disposed below the ejector 4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jector 410. The coffee container 430 is open at both the top and the bottom, and is disposed in an upside down position of a conventional water bottle having a narrow inlet and a wider body than the inlet. That is, the lower open part is narrower than the upper open part. For example, powdered coffee is stored in the coffee container 430. Since the open portion at the bottom thereof is narrow, the coffee may be maintained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ffee container 430. The coffee container 430 is fixed to the shelf 420. The shelf 420 is provided with a groove 420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opening of the coffee container 430. Therefore, the coffee container 430 is attached to the groove 420a of the shelf 420 of the upper opening portion, thereby maintaining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ejector 410 without falling from a predetermined height.

배출기(410)에서 배출된 물은 커피 용기(430)의 상단의 개방부분(입구)으로 유입되고,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커피를 경유하면서 커피액이 되어 하단의 개방부분(출구)으로 유출된다. 즉, 냉각부(300)의 작용으로 낮은 온도의 냉수가 배출기(410)로부터 배출되고, 이 냉수가 커피 용기(430)에서 커피를 장시간에 걸쳐 통과하면서 매우 천천히 용해되는 커피성분을 추출하여 커피액이 된다. 이러한 과정은 병원에서 수액이 떨어지는 것처럼 차가운 물을 한 방울씩 떨어뜨리면서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 소량씩 추출하도록 진행된다. 예를 들면, 짧게는 3~4시간, 길게는 8~12시간에 걸친 추출작업을 통해 찬물로 커피를 내린 결과, 커피의 쓴맛이 적게 나면서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숙성되어 독특한 맛과 향이 있고, 풍미를 유지하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원액상태로 판매되어 물이나 우유나 시럽 등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다양한 커피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r 410 is introduced into the open portion (inlet) of the upper end of the coffee container 430, and the coffee liquid is discharged to the open portion (outlet) of the bottom through the coffee stored therein. That is, the cold water of low temperature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r 410 by the action of the cooling unit 300, and the coffee liquid is extracted by dissolving the coffee component dissolved very slowly while passing the coffee in the coffee container 430 for a long time. Becomes This process proceeds to extract small amounts over a very long time, dropping cold water drop by drop, like sap in a hospital. For example, when the coffee is poured with cold water for 3-4 hours or 8-12 hours, the coffee is less bitter and soft, and matures over time. The longer the period of keeping the flavor than the other coffees, it is advantageous for distribution and is sold in the form of undiluted liquid, so that various coffees can be easily made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by adding water, milk or syrup.

커피액 용기(440)는 커피 용기(430) 아래에 커피 용기(43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커피액 용기(440)는 그 입구를 통하여 커피 용기(430)로부터 유출되는 커피액이 내부에 수집된다. 수집된 커피액은 그대로 음용될 수 있지만 좀 더 숙성시킨 상태에서 음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음용시 필요에 따라 물이나 다른 첨가물을 추가하여 농도를 조절하거나 다른 맛을 내도록 할 수도 있다.The coffee liquid container 440 is disposed below the coffee container 43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ffee container 430. The coffee liquid container 440 collects the coffee liquid flowing out of the coffee container 430 through its inlet. The collected coffee liquor may be drunk as it is, but may be drunk in a more mature state. In addition, water or other additives may be added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r give a different taste as needed when drinking.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패 제조 장치를 나타내고, 도 9는 도 8의 커피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8 is a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the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 8.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커피액 추출부(400)가 상하 2단으로 배치된다. 제2 물저장부(260) 양측에 각각 제2 물공급관(270)과 제2 밸브(275)가 배치된다. 제2 물저장부(260)의 우측에 연결된 제2 물공급관(270)은 위에 배치되는 커피액 추출부(40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고, 제2 물저장부(260)의 좌측에 연결된 제2 물공급관(270)은 아래에 배치되는 커피액 추출부(40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한다.8 and 9,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is disposed in two stages up and down.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70 and the second valve 275 ar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60, respectively.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70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60 is connected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disposed above to supply water, and is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the second water storage unit 260.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70 is connected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400 disposed below to supply water.

대형백화점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운집하는 장소에서 더치커피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경우에, 수평방향의 공간이 부족하더라도 본 실시예의 장치를 이용하면 수직공간을 활용하여 다수의 커피액 추출부(400)를 설치함으로써 소비자의 높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When there is a high demand for Dutch coffee in a place where a lot of people gather, such as a large department store, even if the sp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sufficient, the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uses a plurality of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s 400 to utilize vertical space. Installation can meet the high demand of consumers.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커피 제조 장치 100 : 몸체부
101 : 하무 몸체 102 : 상부 몸체
101a : 냉기구 110 : 바퀴
120 : 고정부 130 : 커버
200 : 물공급부 210 : 제1 물저장부
220 : 펌프 230 : 밸브 제어부
240 : 제1 물공급관 245 : 제1 밸브
250 : 정수 필터 260 : 제2 물저장부
265 : 수위 센서 270 : 제2 물공급관
275 : 제2 밸브 300 : 냉각부
310 : 냉각 수단 320 : 냉매관
330 : 냉각팬 340 : 구동부
350 : 조절부 400 : 커피액 추출부
410 : 배출기 420 : 선반
420a :홈 430 : 커피 용기
440 : 커피액 용기
10: coffee making apparatus 100: body
101: lower body 102: upper body
101a: cold air balloon 110: wheels
120: fixing part 130: cover
200: water supply unit 210: first water storage unit
220: pump 230: valve control unit
240: first water supply pipe 245: first valve
250: water filter 260: second water storage unit
265: water level sensor 270: second water supply pipe
275: second valve 300: cooling unit
310: cooling means 320: refrigerant tube
330: cooling fan 340: drive unit
350: control unit 400: coffee liquid extraction unit
410: ejector 420: shelf
420a: Home 430: Coffee Container
440: coffee liquid container

Claims (8)

물을 커피에 공급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커피액 추출부; 및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을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 저장부에 상기 물을 공급하는 제1 물공급관, 및
상기 물 저장부와 상기 커피액 추출부를 연결하고, 상기 물을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 공급하는 제2 물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제조 장치.
Coffee liquid extraction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coffee to extract the coffee liquid; And
A wat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storage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and storing the water;
A first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unit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water storage unit, and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water storage unit and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물 저장부에 배치되어 상기 물 저장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상기 제1 물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물공급관을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1 밸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제어부는 상기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level sensor disposed at the water reservoir to measure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reservoir;
A first valve disposed i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to open and close the first water supply pipe, and
A valve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The valve control unit is a coffee pro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so that the water level is kept consta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제2 물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물공급관을 개폐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제어부는 상기 제2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supply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valve disposed in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The valv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coffee pro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valv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are solenoid valv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제1 물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물을 정수하는 정수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supply unit is a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water filter disposed i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to purify the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물이 냉수로서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 공급되도록 작동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커피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ol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unit and operable to supply the water as the cold water to the coffee liquid extraction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물공급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냉매를 이동시키는 냉매관 및
상기 냉매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냉매관에서 상기 물공급부로 냉기를 이동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oling unit,
A refrigerant pipe disposed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unit and configured to move a refrigerant;
And a cooling fan disposed adjacent to the coolant pipe to move cold air from the coolant pipe to the water suppl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액 추출부는,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물을 배출하는 배출기,
상기 배출기 아래에 배치되고, 내부에 커피가 저장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커피 용기, 및
상기 커피 용기 아래에 배치된 커피액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기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커피 용기 내 상기 커피를 통과하여 커피액으로 유출되고,
상기 커피액 용기는 상기 커피 용기에서 유출된 상기 커피액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An ejector for discharg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A coffee container disposed below the ejector, in which coffee is stored therein and the top and bottom are open;
A coffee liquid container disposed below the coffee container,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r passes through the coffee in the coffee container and flows into the coffee liquid,
The coffee liquor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coffee liquid flowing out of the coffee container.
KR1020180091149A 2018-08-06 2018-08-06 Device for preparing coffee KR202000160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149A KR20200016000A (en) 2018-08-06 2018-08-06 Device for preparing coff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149A KR20200016000A (en) 2018-08-06 2018-08-06 Device for preparing coffe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000A true KR20200016000A (en) 2020-02-14

Family

ID=6951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149A KR20200016000A (en) 2018-08-06 2018-08-06 Device for preparing coff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600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558A (en) 2012-01-09 2013-07-17 권승준 Apparatus for extraction of dutch coffe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558A (en) 2012-01-09 2013-07-17 권승준 Apparatus for extraction of dutch coffe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9517B2 (en) Beverage maker
US20230175771A1 (en) Beverage chiller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7464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cuum cooling a beverage
ES2395303T3 (en)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er
JP58262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flavored ice continuously or semi-continuously
US11019957B2 (en) Coldwave appliance
KR101225535B1 (en) An automatic extract apparatus of water drip coffee
EP3110297B1 (en) Beverage system for providing cold beverage
KR101597969B1 (en) Extracting apparatus of dutch coffee
US20190387920A1 (en) Automatic coffee maker and process for preparing a cold brewed beverage
AU2015261133B2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 for hot and cold beverages
US20150191685A1 (en) Temperature-Controlled Liquid Infusing Device
US97594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nt ice making
KR101824705B1 (en) Coffee dispenser on internet platform
KR101595497B1 (en) Dutch coffee extractor
RU2636395C2 (en) Method, device, product and application of quick freezing of ice cubes
KR20200016000A (en) Device for preparing coffee
KR101485823B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dutch coffee
JP3681056B2 (en) Beverage extractor
CN205181110U (en) Beverage cooling device
KR101592326B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Dutch Coffee of Digital Type
US10786095B2 (en) System for glazing an object intended to allow a product to be displayed in a visually attractive way, cooled and/or kept at a desired temperature
JP2003135042A (en) Drinking liquid cooler
KR101648875B1 (en) Cold brew coffee maker
EP3064470A1 (en) Beverage dispenser for preparing cold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