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281A - 이상반응을 검출하는 단말기, 서버 또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상반응을 검출하는 단말기, 서버 또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281A
KR20200015281A KR1020180090905A KR20180090905A KR20200015281A KR 20200015281 A KR20200015281 A KR 20200015281A KR 1020180090905 A KR1020180090905 A KR 1020180090905A KR 20180090905 A KR20180090905 A KR 20180090905A KR 20200015281 A KR20200015281 A KR 20200015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questionnaire
terminal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5833B1 (ko
Inventor
박진현
홍정숙
Original Assignee
(주) 프로큐라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로큐라티오 filed Critical (주) 프로큐라티오
Priority to KR1020180090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8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건강의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사용자 단말기 및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와 사용자와의 문진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를 실시간으로 분류하여 이상반응에 조기대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이상반응을 검출하는 단말기, 서버 또는 방법{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bnormal health conditions}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상태의 이상반응을 사전에 검출하는 단말기, 서버 또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 환경 변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건강관리 비용이 함께 증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IT 기술이 의료 분야에 접목되어 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 분야의 연구 개발이 태동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비 지출의 증가 및 새로운 의료 서비스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일상을 살아가는 많은 환자들에게 이상 반응이 발생한 경우 이상 징후를 미리 포착하지 못하여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급속한 노령화 사회 진입으로 인한 노인 인구의 증가, 맞벌이 세대의 증가, 핵가족화에 따른 가족 간의 물리적 거리 증가, 산후 조리원, 실버 타운 등의 노약자가 집중된 시설 급증, 농어촌 인구 감소로 인한 의료 공백 등에 의해 환자의 이상 반응 발현 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없는 경우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노령화, 핵가족화 등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이상 반응 발생 시 이에 대한 조기 발견 및 신속한 응급 처치가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일반인들도 과도한 업무와 스트레스로 인한 돌연사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병원이 아닌 곳에서도 전문가에 의해 각 개인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또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KR 10-1812406 B1
Automatic detection system for cough sounds as a symptom of abnormal health condition, IEEE Trans Inf Technol Biomed. 2009 Jul;13(4):486-93. doi: 10.1109/TITB.2008.923771. Epub 2008 Apr 2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병원 치료를 받고 퇴원한 환자들, 노령자들, 만성 질환을 지니고 있는 사용자들의 건강에 나타난 이상반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들의 건강에서 검출된 이상반응의 상태를 자동분류하고, 이상반응이 위험 또는 응급상태에 속하는 경우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응급대처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임상연구 대상자들이 임상 실험을 하는 도중 건강에 이상반응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대처하는 응급대처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미세먼지, 대기 환경 오염 등과 같은 환경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건강에 이상이 발생하는 사용자들을 신속히 감지하고 이에 대처하는 건강이상검출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는 사용자의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사용자에게 문진표를 제시하고,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를 수신하는 문진부;및 상기 수집된 데이터 및 상기 문진응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stage)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과거정보를 누적 관리하는 건강분석부;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이 가능한 노드는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센서, 홈어플라이언스(Home-appliance), CCTV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초음파검출부, 전자기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건강분석부는 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 환자진료내역 데이터베이스, 기상데이터베이스, 대기환경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또는 라이프로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마다 나이, 성별, 거주지역, 과거 진단내력, 과거 진료형태, 투약내력, 미세먼지 농도, 위치,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학습하는 빅데이터학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빅데이터학습부의 학습내용을 더 반영하여 상기 이상반응의 병기를 실시간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건강분석부는 상기 실시간으로 분류된 상기 이상 반응의 병기에 따라 사용자, 의료관계자, 응급구조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알람을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상기 웨어러블기기의 위치,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획득한 데이터 또는 상기 단말기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인체모형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의 변화량을 더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문진표는 피부 이상의 형태, 피부 이상의 범위, 피부 이상과 동반되는 동반증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이상의 형태 또는 상기 피부 이상의 범위에 대해 질의시 영상입력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에 2차원 또는 3차원 인체모형도를 표시하며, 상기 인체모형도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관련된 위치를 먼저 선택하도록 선택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2차원 또는 3차원 인체모형도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인체모형도에서 특정 부위를 선택하면 상기 문진부는 선택한 특정 부위와 연관된 문진이 포함된 문진표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방법은 데이터수집부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문진부에서 사용자에게 문진표를 제시하고,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및 건강분석부에서 상기 수집된 데이터 및 상기 문진응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stage)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과거정보를 누적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이 가능한 노드는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센서, 홈어플라이언스(Home-appliance), CCTV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초음파검출부, 전자기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건강에 이상이 있거나, 병원 치료를 받고 퇴원한 환자들, 노령자들, 만성 질환을 지니고 있는 사용자들의 건강에 나타난 이상반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상반응을 진행상태에 따라 Grade로 분류하여 위급하거나 응급상황인 경우 의료진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임상연구 대상자들이 임상 실험을 하는 도중 건강에 이상반응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대처하여 임상연구 대상자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미세먼지, 대기 환경 오염 등과 같은 환경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건강에 이상이 발생하는 사용자들을 신속히 감지하고 이에 대처함으로써 건강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가 동작하는 시스템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피부에 나타난 이상반응을 촬영한 영상과 피부이상형태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인체모형도를 도시하고 병의 진행단계, 위험도, 그리고 병의 진행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문진부에서 질문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제시하는 실시예 및 문진부에서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하여 질문데이터를 학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100)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하고, 도 2 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200)가 동작하는 시스템도(S200)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2 를 참고하여,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100, 200)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230)는 UE(User Equipment),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AT(Access Terminal), 웨어러블디바이스, 로봇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휴대폰, 셀룰러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tablet device), 컴퓨터(computer), 스마트와치, CCTV, 인공지능스피커, 홈어플라이언스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 등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클라우딩 컴퓨팅(Cloud Computing)을 사용하여 피진료자와 의료진에게 단말을 제공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단말기(230)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30)는 또한 앱 형태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서버(100, 200)으로부터 다운받아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100,200)는 위에서 기술한 단말기의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100,200)는 자진료내역데이터베이스(211), 라이프로거데이터베이스(212), 영상처리서버(213), 기계학습서버(214), 국립환경원데이터베이스(215), 기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6) 및 건강보험공간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217) 등을 포함하는 기기(210)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위급상황 발생시 콜센터서버(221) 내지 응급환자관리서버(222) 등을 포함하는 응급상황대처기기(22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100,200)는 데이터수집부(110), 문진부(120), 건강분석부(130) 및 데이터제공부(140)를 포함한다. 문진부(120)는 문진표제공부(121), 문진응답수신부(123), 제 1 기계학습부(125), 영상입력인터페이스활성화부(127) 및 음성입력인터페이스활성화부(129)를 포함한다. 건강분석부(130)는 빅데이터학습부(132), 제 2 기계학습부(134) 및 알림부(136)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데이터수집부(110)는 사용자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현된다.
사용자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는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측정기기를 포함한다. 생체정보측정기기는 맥박, 혈압, 체온 등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또는 기기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각각은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으며, 식별번호가 부여된 웨어러블기기 각각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데이터제공부(140)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인 인체모형도의 대응되는 부위에 표시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신체부위마다 병의 진행단계(410, 420, 430, 440, 450), 위험도(414, 424), 병의 진행속도(412, 422, 432, 442, 452)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병의 진행단계(410, 420, 430, 440, 450), 위험도(414, 424), 그리고 병의 진행속도(412, 422, 432, 442, 452)를 표시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일 예시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는 웨어러블기기 또는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센서, 홈어플라이언스(Home-appliance), CCTV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초음파검출부, 전자기 검출부 등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이 가능한 노드는 생체정보 측정 센서가 부착된 물건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휠체어, 인체이식장치, 공항검색대의 체온측정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문진부(120)는 문진표제공부(121)를 통해 사용자에게 문진표를 제시하고, 문진응답수신부(123)를 통해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문진부(120)는 문진표제공부(121)에 각 신체부위별로 질의데이터를 관리하고,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문진표제공부(523)에서 선택한 질의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520a)에 표시할 수 있다.
문진표제공부(121)는 제 1 기계학습부(125)를 통해 기계학습을 수행한 후 질의데이터를 선별하여 사용자단말기(2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기계학습부(125)는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분류(classification)와 회귀(regression)가 가능한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도 7을 참고한다.
문진표제공부(121)는 도 6 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질의데이터에 대한 응답에 영상데이터가 요구되는 경우(도 6, 621), 영상입력인터페이스활성화부(127)를 통해 사용자가 문진응답을 송신하는 단말기의 영상입력인터페이스(611)를 활성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문진표제공부(121)에서 제공하는 질의데이터에 대한 응답에 음성데이터가 요구되는 경우, 음성입력인터페이스활성화부(129)를 통해 사용자가 문진응답을 송신하는 단말기의 음성입력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문진응답수신부(123)는 문진표제공부(121)에서 제공하는 문진표 내의 질의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문진응답을 수신한다.
건강분석부(130)는 데이터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및 문진부(120)에서 획득한 문진응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stage)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과거정보를 누적 관리할 수 있다. 증상의 심각한 정도 또는 병기는 Grade1, Grade2, Grade3,,,,등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기계학습부(134)를 통해 기계학습을 수행하고, 수행된 학습에 따라 병기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Grade를 초과하는 경우 이상 반응의 병기에 따라 알림부(136)를 통해 사용자, 의료관계자, 응급구조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기계학습부(134)는 데이터 분석 및 예측에 활용되는 DBN(Deep Belief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이 외에도 다양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건강분석부(130)는 빅데이터학습부(132)를 통해 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 환자진료내역 데이터베이스, 기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대기환경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또는 라이프로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마다 나이, 성별, 거주지역, 과거 진단내력, 과거 진료형태, 투약내력, 미세먼지 농도, 위치,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학습한다.
건강분석부(130)는 또한 빅데이터학습부(132)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반영하여 이상반응의 병기를 실시간으로 재분류할 수 있다. 일 예로, 미세먼지 농도와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데이터 정보를 분석한 경우, 사용자가 산책을 하는 시간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 기분류된 사용자의 이상반응의 병기를 실시간으로 재분류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에게 문진을 제시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에 이상반응이 나타난 인체모형도를 표시한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2차원 또는 3차원 인체모형도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인체모형도에서 현재 자신에게 이상반응이 나타난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진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부위와 연관된 문진이 포함된 문진표를 제시한다.
일 예로, 사용자 피부에 이상반응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이상반응이 나타난 부위를 '피부'로 선택하고, 신체 중 피부이상이 발생한 부위를 선택(311, 312, 313, 314)하고, 선택한 부위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부위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사용자가 생각하는 관련 증상(330)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 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피부이상형태(330)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피부이상형태(330) 인터페이스 선택시 리스트되는 홍반(331), 색소변화(332), 출혈(333), 대상포진(334) 등의 피부이상형태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기에 도시된 인체모형도는 사용자가 영상을 업로드하면, 이상반응이 나타난 부위의 비중을 표시할 수 있다(310a).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문진부에서 질문데이터를 생성하는 일 예와 생성한 질문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자신에게 발생한 이상반응을 선택한다. 이상반응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부(10), 전신(12), 머리(5), 배(8), 가슴(6), 팔/다리(3) 등의 리스트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피부(510a) 이상반응을 선택하고, 피부(510a)이상 반응과 관련된 이상반응들 중 '피부에 뭐가 났어요'라는 이상반응(520a)을 선택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의 문진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피부(510)와 관련된 탭을 선택하고, 해당 탭에 누적되어 관리되는 질문데이터 중 기계학습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질문데이터를 선택하여 문진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이 경우 서버의 문진부에서 제공되는 질문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 친화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에서 '피부에 뭐가 났어요'라는 이상반응(520)과 관련된 질문데이터가 '피부 변화가 언제부터 있었나요?'(521), '가족 중에 같은 증상이 있는 분이 있나요?'(522) 내지 '알레르기가 있으신가요?'(523)라는 있는 경우, 제 1 기계학습부에서는 기계학습을 통해 '피부 변화가 언제부터 있었나요?'(521)와 '알레르기가 있으신가요?'(523) 중 관련된 질문데이터만을 선택하여 문진이 이루어지도록 학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기계학습부는 빅데이터학습부(도 1, 132)의 학습내용을 더 참고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부변화는 언제부터 있었나요?'(521a)라는 문진에 '2일전'(521b)이라는 답변을 한 경우, 문진표제공부는 기계학습을 통해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에 기초하여 다음(530) 문진에 필요한 질문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문진표제공부에서 제공한 질문데이터가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된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피부발진(610)과 관련된 이상반응을 선택한 경우, 문진표제공부는 '피부 발진이 일어난 부위가 어느 부위인가요?'(620)라는 질문데이터와 함께, 사용자가 피부 발진이 일어난 부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인체모형도(621)에 선택인터페이스(622a, 622b, 622c, 622d)를 표시할 수 있다. 문진표제공부는 또한 영상데이터(611)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게 '선택한 부위의 영상을 업로드 해주세요'(630)라는 안내메시지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의 영상입력인터페이스부가 활성화되도록 제어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인체모형도(621)에서 선택인터페이스(622a, 622b, 622c, 622d)를 통해 선택한 부위에 대응하는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문진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기계학습 방법으로 분류(classification)와 회귀(regression)가 가능한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문진표의 질문데이터(710)는 필수질문항목을 포함한다. 필수질문항목은 주호소증상, 악화요인, 약화요인, 다른동방증상, 증상의 심각한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증상의 심각한 정도는 Grade1, Grade2, Grade3,,,,등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문진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기계학습부(740)는 의사결정나무 기법 등을 이용하여 루트노드(731)에서는 주호소증상에 대한 문진응답정보 x1이 기설정된 기준 c1을 초과하는지를 묻고, 초과하는 경우 중간마디에서 악화요인에 대한 문진응답정보 x2가 기설정된 기준 c2를 초과하는지(740)를 묻는 방식으로 분류를 수행한다.
문진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제1기계학습부(740)는 필수질문항목(710)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문진응답수신부(741)를 통해 수집하고,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하는 기계학습부(742)에서 기계학습을 수행한 후, 분석부(743)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다. 분석부(743)는 분석한 데이터 결과를 원격서버 및 데이터베이스(710a)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데이터수집부는 사용자의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한다(S810). 이 경우,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WiMAX 방식, 와이파이(Wi-fi)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방식 및 MBAN(Medical Body Area Network) 방식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 LTE 방식, LTE Advanced 방식, EV-DO 방식, Wibro 방식, HSPDA 방식, CDMA2000 방식, GSM 방식 및 WCDMA 방식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을 위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문진부는 사용자에게 질문데이터가 포함된 문진표를 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문진응답정보를 수신한다(S820).
건강분석부는 데이터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 및 문진부에서 문진응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stage)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과거정보를 누적 관리한다(S830). 이 경우 과거 정보는 이상 반응이 발생한 시기, 시간에 따른 이상 반응의 병기변화, 이상반응의 형태, 그 외 이상반응과 관련한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건강분석부는 이상 반응을 실시간으로 분류하여, 이상반응의 병기가 특정 Grade이상인 경우 알림부를 통해 알림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사용자의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사용자에게 문진표를 제시하고,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를 수신하는 문진부;및
    상기 수집된 데이터 및 상기 문진응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stage)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과거정보를 누적 관리하는 건강분석부;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이 가능한 노드는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센서, 홈어플라이언스(Home-appliance), CCTV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초음파검출부, 전자기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분석부는
    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 환자진료내역 데이터베이스, 기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대기환경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또는 라이프로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마다 나이, 성별, 거주지역, 과거 진단내력, 과거 진료형태, 투약내력, 미세먼지 농도, 위치,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학습하는 빅데이터학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빅데이터학습부의 학습내용을 더 반영하여 상기 이상반응의 병기를 실시간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분석부는
    상기 실시간으로 분류된 상기 이상 반응의 병기에 따라 사용자, 의료관계자, 응급구조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알람을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상기 웨어러블기기의 위치,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획득한 데이터 또는 상기 단말기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인체모형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의 변화량을 더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표는 피부 이상의 형태, 피부 이상의 범위, 피부 이상과 동반되는 동반증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이상의 형태 또는 상기 피부 이상의 범위에 대해 질의시 영상입력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에 2차원 또는 3차원 인체모형도를 표시하며, 상기 인체모형도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관련된 위치를 먼저 선택하도록 선택인터페이스를 더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2차원 또는 3차원 인체모형도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인체모형도에서 특정 부위를 선택하면 상기 문진부는 선택한 특정 부위와 연관된 문진이 포함된 문진표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8. 데이터수집부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문진부에서 사용자에게 문진표를 제시하고,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및
    건강분석부에서 상기 수집된 데이터 및 상기 문진응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stage)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과거정보를 누적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이 가능한 노드는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센서, 홈어플라이언스(Home-appliance), CCTV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초음파검출부, 전자기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방법.
KR1020180090905A 2018-08-03 2018-08-03 이상반응을 검출하는 단말기, 서버 또는 방법 KR102165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905A KR102165833B1 (ko) 2018-08-03 2018-08-03 이상반응을 검출하는 단말기, 서버 또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905A KR102165833B1 (ko) 2018-08-03 2018-08-03 이상반응을 검출하는 단말기, 서버 또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281A true KR20200015281A (ko) 2020-02-12
KR102165833B1 KR102165833B1 (ko) 2020-10-14

Family

ID=6956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905A KR102165833B1 (ko) 2018-08-03 2018-08-03 이상반응을 검출하는 단말기, 서버 또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1340A (zh) * 2021-01-15 2021-12-07 北京京东拓先科技有限公司 信息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102662060B1 (ko) * 2023-05-19 2024-04-30 주식회사 엘에이치생활건강 인공지능 기반 능동형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697A (ko) * 2010-11-0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진료장치 및 원격진료방법
KR20120138313A (ko) * 2011-06-14 2012-12-2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상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u-헬스 장치
KR20170096904A (ko) * 2016-02-17 2017-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피부 유형에 따른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812406B1 (ko) 2016-03-16 2017-12-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질환 진단 방법 및 피부질환 진단 시스템
KR20180032150A (ko) * 2016-09-21 2018-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부 상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KR101884609B1 (ko) * 2017-05-08 2018-08-02 (주)헬스허브 모듈화된 강화학습을 통한 질병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697A (ko) * 2010-11-0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진료장치 및 원격진료방법
KR20120138313A (ko) * 2011-06-14 2012-12-2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상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u-헬스 장치
KR20170096904A (ko) * 2016-02-17 2017-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피부 유형에 따른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812406B1 (ko) 2016-03-16 2017-12-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질환 진단 방법 및 피부질환 진단 시스템
KR20180032150A (ko) * 2016-09-21 2018-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부 상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KR101884609B1 (ko) * 2017-05-08 2018-08-02 (주)헬스허브 모듈화된 강화학습을 통한 질병 진단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utomatic detection system for cough sounds as a symptom of abnormal health condition, IEEE Trans Inf Technol Biomed. 2009 Jul;13(4):486-93. doi: 10.1109/TITB.2008.923771. Epub 2008 Apr 2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1340A (zh) * 2021-01-15 2021-12-07 北京京东拓先科技有限公司 信息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102662060B1 (ko) * 2023-05-19 2024-04-30 주식회사 엘에이치생활건강 인공지능 기반 능동형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833B1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90089A1 (en) Adaptive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occurrence of undesirable conditions
US11854676B2 (en) Providing live first aid response guidance using a machine learning based cognitive aid planner
Chiarini et al. mHealth technologies for chronic diseases and elders: a systematic review
US20160314185A1 (en) Identifying events from aggregated device sensed physical data
US20220301666A1 (en) System and methods of monitoring a patient and documenting treatment
JP2021507366A (ja) ユーザの健康状態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l et al. NXTGeUH: LoRaWAN based NEXT generation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for vital signs monitoring & falls detection
Awotunde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n edge-IoMT-based system for combating COVID-19 pandemic
Nguyen et al. Falls management framework for supporting an independent lifestyle for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Thangamani et al. Detecting coronavirus contact using internet of things
KR102165833B1 (ko) 이상반응을 검출하는 단말기, 서버 또는 방법
Reddy et al. Contactless Covid-19 Monitoring System Using IOT
US202201227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less monitoring and early prediction of a person
Chauhan et al. A novel patient monitoring system using photoplethysmography and IOT in the age of COVID-19
Sani et al. Review on hypertension diagnosis using expert system and wearable devices
US202303172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Monitoring, Assessing and Predicting Ambient and Health Conditions
Gusev et al. Resilient IoT eHealth solutions in case of disasters
US202104076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on of unnecessary emergency room visits
WO2022125312A1 (en) Identification and tracking of infection in humans
Kotha et al. ARTEMIS: AI-driven Robotic Triage Labeling and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ystem
El Arbaoui et al. A review on the appli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n monitoring autism and assisting parents and caregivers
Dogra et al. Real-Time Health Monitoring and Management: Leveraging the Power of IoT and Machine Learning
Yfantidou et al. Uncovering Bias in Personal Informatics
WO2018167791A1 (en) System for monitoring disease progression
Savanna et al. A Wearable Device for Respiratory Diseases Monitoring in Crowded Spaces. Case Study of COVID-19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