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107A - 냉장고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107A
KR20200015107A KR1020180090461A KR20180090461A KR20200015107A KR 20200015107 A KR20200015107 A KR 20200015107A KR 1020180090461 A KR1020180090461 A KR 1020180090461A KR 20180090461 A KR20180090461 A KR 20180090461A KR 20200015107 A KR20200015107 A KR 20200015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ycle
compressor
storage compartme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056B1 (ko
Inventor
안승욱
차경훈
채수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056B1/ko
Priority to EP19844114.9A priority patent/EP3832237A4/en
Priority to CN201980051626.6A priority patent/CN112513550B/zh
Priority to AU2019314054A priority patent/AU2019314054A1/en
Priority to PCT/KR2019/009598 priority patent/WO2020027596A1/ko
Priority to US17/265,311 priority patent/US11732948B2/en
Publication of KR2020001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9Pumping down refrigerant from one part of the cycle to another part of the cycle, e.g. when the cycle is changed from cooling to heating, or before a defrost cycle is sta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5Hunting, i.e. oscillation of controlled refrigeration variables reaching undesirable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1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3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variab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1Evaporator distribut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제 1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어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1 저장실을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제 1 운전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제 2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제 2 냉각 사이클로 전환되어 상기 압축기가 작동하고, 제 2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제 2 운전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정지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 시간은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과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는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제 1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기준 시간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결정된 제 2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으로 보관하는 가전 기기로서, 저장실이 항상 일정한 저온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현재 가정용 냉장고의 경우, 저장실이 설정 온도를 기준으로 상한 범위와 하한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즉, 저장실 온도가 상한 온도로 상승하면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여 저장실을 냉각하고, 저장실 온도가 하한 온도에 도달하면 냉동 사이클을 정지하는 방법으로 냉장고를 제어하고 있다.
근래에는, 냉동실 및 냉장실에 증발기가 각각 설치된 냉장고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종실 및 냉장실 각각의 증발기 중 한 증발기로 냉매가 유동되도록 한 후에 다른 한 증발기로 냉매가 유동하도록 한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6686호(등록일 2015.12.04)에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개시된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냉장실 밸브와 냉동실 팬을 동작시켜 냉장실을 냉각시킨 후, 냉동실 밸브와 냉동실 팬을 동작시켜 냉동실을 냉각한다.
그리고, 냉동실의 냉각 완료 후 압축기가 정지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냉동실 팬을 회전시켜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동실의 온도를 낮춘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압축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냉동실의 온도를 낮출 수는 있으나, 냉장실의 온도를 낮추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실에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는 냉장실의 온도의 변화량이 적을 수록 높다. 음식물의 신선도가 높은 경우 음식물의 보관 기간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압축기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냉징실 냉각을 위하여, 압축기가 다시 작동할 때까지 냉장실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압축기가 다시 작동하면 냉장실의 온도가 하강하게 되어 온도 변화가 크다. 따라서, 냉장실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피보관물의 신선도 향상을 위하여, 저장실의 온도 변화가 줄어들도록 제어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기의 온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1 저장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1 증발기와, 상기 제 1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2 저장실을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2 증발기와, 상기 제 2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1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로도록 연결하는 제 1 냉매통로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2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르도록 연결하는 제 2 냉매통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과 상기 제 2 저장실 냉각이 교번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어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1 저장실을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제 1 운전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제 2 냉각 사이클로 전환되어 상기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2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제 2 운전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정지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준 시간은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과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는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제 1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 시간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결정된 제 2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의 대표값은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 편차이고, 상기 제 2 저장실의 대표값은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 편차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저장실의 대표값과 기준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 1 운전 시간 및 제 2 운전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각 저장실의 대표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운전 시간 및 제 2 운전 시간을 이전 사이클에서의 운전 시간과 동일한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저장실의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 1 기준 시간 및 제 2 기준 시간을 이전 사이클에서의 운전 시간 보다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저장실의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 1 기준 시간 및 제 2 기준 시간을 이전 사이클에서의 운전 시간 보다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이클의 횟수와 무관하게 상기 압축기는 고정된 냉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의 압축기의 냉력과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가변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의 압축기의 냉력과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가변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1 저장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1 증발기와, 상기 제 1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2 저장실을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2 증발기와, 상기 제 2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1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로도록 연결하는 제 1 냉매통로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2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르도록 연결하는 제 2 냉매통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과 상기 제 2 저장실 냉각이 교번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어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1 저장실을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제 1 기준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제 2 냉각 사이클로 전환되어 상기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2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제 2 기준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정지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은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과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는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가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 작동되도록 하고,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가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저장실의 대표값은 상기 제 1 저장실의 평균 온도이고, 상기 제 2 저장실의 대표값은 상기 제 2 저장실의 평균 온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저장실의 대표값은 상기 제 1 저장실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평균 온도이고, 상기 제 2 저장실의 대표값은 상기 제 2 저장실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평균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저장실의 대표값과 각 저장실의 설정 온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설정 온도와 상기 각 저장실의 대표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을 이전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과 동일한 냉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설정 온도와 상기 저장실의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큰 경우에는 현재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을 이전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 보다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각 설정 온도와 상기 저장실의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재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을 이전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 보다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 시간 및 상기 제 2 기준 시간은 고정된 시간일 수 있다.
또는,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의 제 1 운전 시간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의 제 1 운전 시간과 동일하거나 가변될 수 있다.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의 제 2 운전 시간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의 제 2 운전 시간과 동일하거나 가변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1 저장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1 증발기와, 상기 제 1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2 저장실을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2 증발기와, 상기 제 2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1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로도록 연결하는 제 1 냉매통로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2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르도록 연결하는 제 2 냉매통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과 상기 제 2 저장실 냉각이 교번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어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1 저장실을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제 1 운전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제 2 냉각 사이클로 전환되어 상기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2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제 2 운전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정지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은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과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는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1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가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 작동되도록 하고,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2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가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 작동되고, 상기 제 1 기준 시간은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과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는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3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제 1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기준 시간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4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결정된 제 2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도록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1 저장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1 증발기와, 상기 제 1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2 저장실을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2 증발기와, 상기 제 2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1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로도록 연결하는 제 1 냉매통로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2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르도록 연결하는 제 2 냉매통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과 상기 제 2 저장실 냉각이 교번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장고 작동 초기,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어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1 저장실을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제 1 기준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제 2 냉각 사이클로 전환되어 상기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2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제 2 기준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정지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은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과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는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1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가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 작동되도록 하고,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2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가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 작동되고, 각 냉각 사이클에서 냉력 변동이 안정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3대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의 제 1 운전 시간을 결정하며, 결정된 제 1 운전 시간은 상기 제 1 기준 시간과 동일하거나 다르고,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4대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의 제 2 운전 시간을 결정하며, 결정된 제 2 운전 시간은 상기 제 2 기준 시간가 동일하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이전 사이클에서의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냉력 또는 사이클의 운전 시간이 가변될 수 있어, 냉장실 및 냉동실의 온도 변화 폭이 줄어들 수 있고 이에 따라, 피보관물의 신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의 냉력 및/또는 사이클의 운전 시간을 가변시키면서 압축기를 연속 운전시키므로, 상기 압축기가 과도한 냉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압축기를 오프시킨 후 온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압축기를 온 시키는 과정에서 필요한 기동 전력에 의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기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 사이클 및 냉동 사이클 각각의 운전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 사이클 및 냉동 사이클 각각이 작동할 때의 압축기의 냉력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내부에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어 상기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은 구획벽(113)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압축기(21)와, 응축기(22)와, 팽창 부재(23)와, 냉동실(111) 냉각을 위한 냉동실용 증발기(24)(또는 "제 1 증발기"라고 할 수 있음)와, 냉장실(112) 냉각을 위한 냉장실용 증발기(25)(또는 "제 2 증발기"라고 할 수 있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팽창 부재(23)를 지난 냉매를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24) 및 냉장실용 증발기(26) 중 어느 하나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절환 밸브(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냉매가 냉동실용 증발기(24)로 유동하도록 상기 절환 밸브(26)가 작동한 상태를 상기 절환 밸브(26)의 제1상태라 할 수 있다. 또한, 냉매가 냉장실용 증발기(25)로 유동하도록 상기 절환 밸브(26)가 작동한 상태를 상기 절환 밸브(26)의 제2상태라 할 수 있다. 상기 절환 밸브(26)는 일 예로 삼방 밸브(three way valve)일 수 있다.
상기 절환 밸브(26)는, 상기 압축기(21)와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25) 사이에 냉매가 흐로도록 연결하는 제 1 냉매통로와, 상기 압축기(21)와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24) 사이에 사이에 냉매가 흐르도록 연결하는 제2냉매통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절환 밸브(26)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112)의 냉각과 상기 냉동실(111)의 냉각이 교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24)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냉동실 팬(28)("제 1 송풍팬"이라고 할 수 있음), 상기 냉동실 팬(28)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모터(27),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25)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냉장실 팬(29)("제 2 송풍팬"이라고 할 수 있음) 및 상기 냉장실 팬(29)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모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냉매가 압축기(21), 응축기(22), 팽창 부재(23) 및 냉동실용 증발기(24)를 유동하는 일련의 사이클을 "냉동 사이클"이라 이름하고, 냉매가 압축기(21), 응축기(22), 팽창 부재(23) 및 냉장실용 증발기(25)를 유동하는 일련의 사이클을 "냉장 사이클"이라 이름하기로 한다.
그리고, "냉장 사이클이 작동된다"는 것은, 압축기(21)가 온되고, 냉장실 팬(29)이 회전되고, 냉매가 상기 절환 밸브(26)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25)를 유동하면서,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25)를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가 열교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냉동 사이클이 작동된다"는 것은 압축기(21)가 온되고, 냉동실 팬(298이 회전되고, 냉매가 상기 절환 밸브(26)에 의해서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24)를 유동하면서,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24)를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가 열교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위의 설명에서는 하나의 팽창 부재(23)가 상기 절환 밸브(26)의 상류에 위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절환 밸브(26)와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24) 사이에 제 1 팽창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절환 밸브(26)와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25) 사이에 제 2 팽창 부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절환 밸브(26)가 사용되지 않고,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24)의 입구 측에 제 1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25)의 입구 측에 제 2 밸브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냉동 사이클의 작동 시에는 제 1 밸브가 온되고, 제 2 밸브가 오프될 수 있고, 냉장 사이클의 작동 시에는 제 1 밸브가 오프되고, 제 2 밸브가 온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11)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냉동실 온도센서(41)와, 상기 냉장실(112)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냉장실 온도센서(42)와, 상기 냉동실(111)과 냉장실(112) 각각의 목표 온도(또는 설정 온도)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43)와, 입력된 목표 온도와 온도 센서(41, 42)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냉각 사이클(냉동 사이클 및 냉장 사이클을 포함)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냉동실(111)의 설정 온도 보다 낮은 온도를 제1 냉동실 기준 온도(또는 제3 기준 온도)라 하고, 상기 냉동실(111)의 설정 온도 보다 높은 온도를 제2 냉동실 기준 온도(또는 제4 기준 온도)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냉동실 기준 온도와 제2 냉동실 기준 온도 사이의 범위를 냉동실 설정 온도 범위라 이름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냉동실(111)의 설정 온도는 상기 제1 냉동실 기준 온도와 제2 냉동실 기준 온도의 평균 온도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냉장실(112)의 설정 온도 보다 낮은 온도를 제1 냉장실 기준 온도(또는 제1 기준 온도)라 하고, 상기 냉장실(112)의 설정 온도 보다 높은 온도를 제2 냉장실 기준 온도(제2 기준 온도)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냉장실 기준 온도와 제2 냉장실 기준 온도 사이의 범위를 냉장실 설정 온도 범위라 이름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냉장실(112)의 설정 온도는 상기 제1 냉장실 기준 온도와 제2 냉장실 기준 온도의 평균 온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는 상기 냉동실(111) 및 냉장실(112) 각각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50)는 냉장 사이클, 냉동 사이클 및 펌프 다운 운전이 1회의 운전 주기를 이루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압축기(21)를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운전시키면서 상기 사이클을 동작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펌프 다운 운전은 복수의 증발기 모두에 냉매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압축기(21)를 운전시켜 상기 각 증발기에 잔류하는 냉매를 압축기(21)로 모으는 운전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장 사이클을 작동시키고, 냉장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냉동 사이클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동 사이클을 작동시키는 중에 상기 냉동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 되면, 상기 펌프 다운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냉장 사이클의 시작 조건은 상기 냉동 사이클의 정지 조건과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펌프 다운 운전은 특수한 조건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 사이클과 냉동 사이클이 교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냉장 사이클 및 냉동 사이클이 1회의 운전 주기를 이룰 수 있다.
일 예로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펌프 다운 운전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냉장고(1)는,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냉동실(111) 및 냉장실(112) 각각의 온도가 저장되는 메모리(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기본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기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1)의 전원이 온된다(S1). 상기 냉장고(1)의 전원이 온되면, 냉동실(111) 또는 냉장실(112)을 냉각하기 위하여 냉장고(1)가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112)을 먼저 냉각한 후에 상기 냉동실(111)을 냉각할 때의 냉장고의 기본 제어방법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실(112)을 냉각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장 사이클을 작동시킨다(S2).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압축기(21)를 온시키고, 상기 냉장실 팬(29)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냉매가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25)로 유동하도록 상기 절환 밸브(26)를 제1상태로 절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에 상기 냉동실 팬(28)은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상기 압축기(21)에서 압축된 후 상기 응축기(22)를 지난 냉매는 상기 절환 밸브(26)를 통해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25)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25)를 유동하면서 증발된 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21)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25)와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냉장실(112)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12)의 온도는 하강하게 되는 반면, 상기 냉동실(111)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 상기 제어부(50)는 냉장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의 시작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하고, 제 1 운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냉장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운전 시간은 가변될 수 있다.
단계 S3에서 판단 결과, 상기 냉동 사이클의 시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작동시킨다(S4).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24)로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절환 밸브(26)를 제2상태로 절환시킨다. 상기 냉장 사이클에서 냉동 사이클로 전환되더라도 상기 압축기(21)는 정지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동실 팬(28)을 회전시키고 상기 냉장실 팬(29)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의 작동 중에 상기 냉동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고, 제 2 운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냉동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운전 시간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냉동 사이클이 정지되면, 상기 펌프 다운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S6).
그리고, 냉장고(1)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는 한(S7) 상기 제어부(50)는 다시 냉장 사이클을 작동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 사이클 및 냉동 사이클 각각의 운전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가 운전되고(S11), 사이클이 안정화(S12)되기 전까지는 상기 냉장 사이클은 제 1 기준 시간 동안 운전될 수 있고, 상기 냉장 사이클은 제 2 기준 시간 동안 운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 시간 및 제 2 기준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으로서 고정된 시간이며, 상기 메모리(44)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이클이 안정화되는 경우는, 상기 냉장고의 전체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거나, 상기 냉장실(112)의 온도가 냉장실 설정 온도 범위 내에 위치되거나 상기 냉동실(111)의 온도가 냉동실 설정 온도 범위 내에 위치되는 경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클이 안정화된 이후에는 상기 냉장 사이클과 상기 냉동 사이클 각각의 운전 시간은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냉장실(112) 및 냉동실(111) 각각의 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대표값을 획득하고, 대표값과 기준값의 차이를 연산한다(S13).
예를 들어,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냉장실(112)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대표값과 기준값의 비교에 의해서, 상기 냉장 사이클의 제 1 운전 시간이 상기 제 1 기준 시간과 동일한 시간으로 결정되거나 다른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냉장실(112)의 온도는 상기 냉장실 온도센서(42)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감지되고 상기 메모리(44)에 저장된다.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냉장실(112)의 온도는,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장실(112)의 온도,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장실(112)의 온도 및 상기 펌프 다운 운전 시의 냉장실(112)의 온도를 포함한다.
또한,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냉동실(111)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대표값과 기준값의 비교에 의해서, 상기 냉동 사이클의 제 2 운전 시간이 상기 제 2 기준 시간과 동일한 시간으로 결정되거나 다른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냉동실(111)의 온도는 상기 냉동실 온도센서(41)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감지되고 상기 메모리(44)에 저장된다.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냉동실(111)의 온도는,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동실(111)의 온도,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동실(111)의 온도 및 상기 펌프 다운 운전 시의 냉동실(111)의 온도를 포함한다.
냉장 사이클과 냉동 사이클 각각의 운전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저장실로 통칭하여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사이클의 운전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0)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한 대표값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이때, 상기 대표값은 일 예로 상기 저장실의 온도 편차일 수 있고, 상기 기준값은 기준 편차일 수 있다.
단계 S14에서 판단 결과,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현재의 사이클의 운전 시간을 이전 사이클의 운전 시간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S15). 그리고, 결정된 운전 시간을 반영한다(S21). 즉, 결정된 운전 시간으로 냉각 사이클을 작동시킨다.
반면, 단계 S14에서 판단 결과,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6).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운전 시간을 이전의 사이클에서의 운전 시간 보다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18).
즉, 상기 저장실의 온도 편차가 상기 기준 편차 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저장실의 온도 변화의 폭이 적으므로, 이와 같이 상기 저장실의 온도 편차가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운전 시간을 이전의 사이클에서의 운전 시간 보다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 크기에 따라서 운전 시간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S17).
예를 들어,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 보다 크면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운전 시간을 이전의 사이클의 운전 시간 보다 제1시간 만큼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 보다 크면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운전 시간을 이전의 사이클의 운전 시간 보다 제1시간 보다 더큰 제2시간 만큼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6에서 판단 결과,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운전 시간을 이전의 사이클에서의 운전 시간 보다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20).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 크기에 따라서 운전 시간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S19).
예를 들어,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 보다 작으면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운전 시간을 이전의 사이클의 운전 시간 보다 제1시간 만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 보다 작으면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운전 시간을 이전의 사이클의 운전 시간 보다 제1시간 보다 더큰 제2시간 만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 예의 경우, 냉장 사이클의 제 1 운전 시간을 이전 사이클의 냉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온도 편차와 기준 편차를 기초하여 결정하되, 상기 냉장실의 온도 편차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결정함으로써, 냉장실의 온도 변화 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냉동 사이클의 제 2 운전 시간은 이전 사이클의 냉동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온도 편차와 기준 편차를 기초하여 결정하되, 상기 냉동실의 온도 편차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결정함으로써, 냉동실의 온도 변화 폭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의 온도를 기초하여 운전 시간을 개별적으로 결정하므로,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의 온도 변화 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장 사이클 및 상기 냉동 사이클 각각의 운전 시간은 유지되거나 가변될 수 있으며, 냉장 사이클 작동 시에 상기 압축기는 고정된 냉력으로 작동되거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이 사이클 별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냉동 사이클 작동 중에는 상기 압축기가 고정된 냉력으로 작동되거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이 사이클 별로 가변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 사이클 및 냉동 사이클 각각이 작동할 때의 압축기의 냉력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냉장고도 기본적으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장 사이클, 냉동 사이클 및 펌프 다운 순으로 작동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기 펌프 다운 운전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사이클이 안정화된 후에는,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냉장실(112)의 온도에 기초하여 대표값을 산출한다(S31).
예를 들어,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냉장실(112)의 온도는 상기 냉장실 온도센서(42)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감지되고 상기 메모리(44)에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냉장실(112)의 온도는,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장실(112)의 온도,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장실(112)의 온도 및 상기 펌프 다운 운전 시의 냉장실(112)의 온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표값은 일 예로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냉장실(112)의 평균 온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대표 온도는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냉장실(112)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평균 온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를 연산한다(S32).
그 다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O인지 여부, 즉 설정 온도와 대표값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33).
단계 S33에서 판단 결과, 상기 설정 온도와 대표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장실(112)의 냉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34).
즉, 이전의 냉장 사이클 작동 시의 상기 압축기(21)의 냉력과 동일한 냉력으로 현재의 냉장 사이클에서 상기 압축기(21)가 작동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반면, 단계 S33에서 판단 결과, 상기 설정 온도와 대표값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35).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장실(112)의 냉력을 이전 냉장 사이클에서의 냉장실(112)의 냉력 보다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37).
즉, 이전의 냉장 사이클 작동 시의 상기 압축기(21)의 냉력 보다 현재의 냉장 사이클에서의 압축기(21)의 냉력이 감소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 크기에 따라서 냉력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S36).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온도와 대표값의 차이가 0 보다 크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이전의 냉장 사이클의 압축기(21)의 냉력 보다 제1레벨 만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 보다 크면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이전의 냉장 사이클의 압축기(21)의 냉력 보다 제2레벨 만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레벨은 제1레벨 보다 큰 값이다.
한편, 단계 S35에서 판단 결과,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작은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112)의 냉력을 이전 사이클에서의 냉장실(112)의 냉력 보다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39).
즉, 이전의 냉장 사이클 작동 사의 상기 압축기(21)의 냉력 보다 현재의 냉장 사이클에서의 압축기(21)의 냉력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 크기에 따라서 냉력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S38).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온도와 대표값의 차이가 0 보다 작으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이전의 냉장 사이클의 압축기(21)의 냉력 보다 제3레벨 만큼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 보다 작으면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이전의 냉장 사이클의 압축기(21)의 냉력 보다 제4레벨 만큼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4레벨은 제3레벨 보다 큰 값이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벨은 상기 제3레벨과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레벨은 상기 제4레벨과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결정된 냉장실의 냉력(또는 압축기의 냉력)으로 상기 냉장 사이클을 운전시킨다(S40).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냉장 사이클의 운전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1).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장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기준 시간은 고정된 시간일 수 있다.
단계 S41에서 판단 결과, 냉장 사이클의 운전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장 사이클을 정지시키고, 상기 냉동 사이클을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부(50)는,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냉동실(111)의 온도에 기초하여 대표값을 산출한다(S42).
예를 들어,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냉동실(111)의 온도는 상기 냉동실 온도센서(41)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감지되고 상기 메모리(44)에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냉동실(111)의 온도는,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동실(111)의 온도,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동실(111)의 온도 및 상기 펌프 다운 운전 시의 냉동실(111)의 온도를 포함한다.
또는,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냉동실(111)의 온도는,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동실(111)의 온도, 상기 펌프 다운 운전 시의 냉동실(111)의 온도 및 직전의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동실(111)의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표값은 일 예로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냉동실(111)의 평균 온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대표 온도는 이전의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냉동실(111)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평균 온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를 연산한다(S43).
그 다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O인지 여부, 즉 설정 온도와 대표값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44).
단계 S44에서 판단 결과, 상기 설정 온도와 대표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동실(111)의 냉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45).
즉, 이전의 냉동 사이클 작동 시의 상기 압축기(21)의 냉력과 동일한 냉력으로 현재의 냉동 사이클에서 상기 압축기(21)가 작동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반면, 단계 S44에서 판단 결과, 상기 설정 온도와 대표값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46).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동실(111)의 냉력을 이전 냉동 사이클에서의 냉동실(111)의 냉력 보다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48).
즉, 이전의 냉동 사이클 작동 시의 상기 압축기(21)의 냉력 보다 현재의 냉동 사이클에서의 압축기(21)의 냉력이 감소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 크기에 따라서 냉력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S47).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온도와 대표값의 차이가 0 보다 크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이전의 냉동 사이클의 압축기(21)의 냉력 보다 제1레벨 만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 보다 크면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이전의 냉동 사이클의 압축기(21)의 냉력 보다 제2레벨 만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레벨은 제1레벨 보다 큰 값이다.
한편, 단계 S46에서 판단 결과,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작은 경우에는, 상기 냉동실(111)의 냉력을 이전의 냉동 사이클에서의 냉동실(111)의 냉력 보다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50).
즉, 이전의 냉동 사이클 작동 시의 상기 압축기(21)의 냉력 보다 현재의 냉동 사이클에서의 압축기(21)의 냉력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 크기에 따라서 냉력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S38).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온도와 대표값의 차이가 0 보다 작으면서,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대표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이전의 냉동 사이클의 압축기(21)의 냉력 보다 제3레벨 만큼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가 0 보다 작으면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대표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제1기준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을 이전의 냉동 사이클의 압축기(21)의 냉력 보다 제4레벨 만큼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4레벨은 제3레벨 보다 큰 값이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벨은 상기 제3레벨과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레벨은 상기 제4레벨과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결정된 냉동실(111)의 냉력(또는 압축기의 냉력)으로 상기 냉동 사이클을 운전시킨다(S51).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냉동 사이클의 운전 시간이 제 2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기준 시간은 고정된 시간일 수 있다.
단계 S52에서 판단 결과, 냉동 사이클의 운전 시간이 제 2 기준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정지시키고, 상기 펌프 다운 운전을 수행한다(S53).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설정 온도와 대표값의 차이가 줄어들도록 압축기(21)의 냉력이 가변될 수 있어, 냉장실 및 냉동실의 온도 변화 폭이 줄어들 수 있어 피보관물의 신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의 냉력을 가변시키면서 압축기를 연속 운전시키므로, 상기 압축기가 과도한 냉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압축기를 오프시킨 후 온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압축기를 온 시키는 과정에서 필요한 기동 전력에 의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설정 온도와 대표값의 차이를 기초로 압축기(21)의 냉력을 결정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대표값이 온도 만족 구간에 속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21)의 냉력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만족 구간의 상한 온도는 상기 저장실의 제2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온도이고, 상기 온도 만족 구간의 하한 온도는 상기 저장실의 제1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온도이며, 상기 설정 온도는 상기 온도 만족 구간 내의 온도이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저장실의 대표값이 상기 온도 만족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저장실의 냉력이 이전 사이클에서의 저장실의 냉력과 동일하도록 압축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저장실의 대표값이 상기 온도 만족 구간의 상한 온도 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저장실의 냉력이 이전 사이클에서의 저장실의 냉력 보다 증가되도록 압축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현재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이 이전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 보다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저장실의 대표값이 상기 온도 만족 구간의 하한 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저장실의 냉력이 이전 사이클에서의 저장실의 냉력 보다 감소되도록 압축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현재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이 이전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 보다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냉장 사이클 및 냉동 사이클의 운전 시간이 가변되는 기술이 개시되고, 도 5 및 도 6에서는 냉장 사이클 및 냉동 사이클 각각의 냉력이 가변되는 기술이 개시되나, 두 기술의 종합적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냉장 사이클의 운전 시간 및 냉력이 가변될 수 있고, 냉동 사이클의 운전 시간 및 냉력이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사이클의 안정화 조건 만족 전까지는 상기 냉장 사이클의 운전 시간은 고정된 시간인 제 1 기준 시간 동안 운전되고, 상기 냉동 사이클의 운전 시간은 고정 시간인 제 2 기준 시간 동안 운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 사이클의 냉력 및 냉동 사이클의 냉력은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클의 안정화 조건 만족된 이후에는 상기 각 사이클에서의 냉력이 가변될 뿐만 아니라 각 사이클에서의 운전 시간도 가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이클의 안정화 조건이 만족된 경우는, 각 냉각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이 일정 횟수 만큼 가변될 때, 냉력이 일정 범위 안에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냉력이 5회 동안 가변되는 과정에서 냉력 가변량이 기준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사이클의 안정화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냉력 가변을 위한 냉장실의 대표값을 제1 대표값이라 하고 냉동실의 대표값을 제2 대표값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시간 가변을 위한 냉장실의 대표값을 제3 대표값이라 하고 냉동실의 대표값을 제4 대표값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냉장실을 제 1 저장실이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냉동실을 제 2 저장실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 사이클을 상기 제 1 저장실을 위한 제 1 냉각 사이클이라 할 수 있고, 상기 냉동 사이클을 상기 제 2 저장실을 위한 제 2 냉각 사이클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팬을 제 1 저장실을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이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냉동실 팬을 제 2 저장실을 위한 제 2 냉기공급수단이라 이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냉장실을 제 2 저장실이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냉동실을 제 1 저장실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 사이클을 상기 제 2 저장실을 위한 제 2 냉각 사이클이라 할 수 있고, 상기 냉동 사이클을 상기 제 1 저장실을 위한 제 1 냉각 사이클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팬을 제 2 저장실을 위한 제 2 냉기공급수단이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냉동실 팬을 제 1 저장실을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이라 이름할 수 있다.
21: 압축기 22: 응축기
24: 냉동실용 증발기 25: 냉장실용 증발기
28: 냉동실 팬 29: 냉장실 팬
50: 제어부

Claims (17)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1 저장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1 증발기와, 상기 제 1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2 저장실을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2 증발기와, 상기 제 2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1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로도록 연결하는 제 1 냉매통로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2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르도록 연결하는 제 2 냉매통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과 상기 제 2 저장실 냉각이 교번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어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1 저장실을 위한 상기 제 1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제 1 운전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제 2 냉각 사이클로 전환되어 상기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2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제 2 운전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정지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 시간은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과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는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제 1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기준 시간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결정된 제 2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실의 대표값은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 편차이고,
    상기 제 2 저장실의 대표값은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 편차인 냉장고의 제어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저장실의 대표값과 기준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 1 운전 시간 및 제 2 운전 시간을 결정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각 저장실의 대표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운전 시간 및 제 2 운전 시간을 이전 사이클에서의 운전 시간과 동일한 시간으로 결정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저장실의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 1 기준 시간 및 제 2 기준 시간을 이전 사이클에서의 운전 시간 보다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기준값과 상기 저장실의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 1 기준 시간 및 제 2 기준 시간을 이전 사이클에서의 운전 시간 보다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이클의 횟수와 무관하게 상기 압축기는 고정된 냉력으로 작동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의 압축기의 냉력과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가변되고,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의 압축기의 냉력과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가변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8.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1 저장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1 증발기와, 상기 제 1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2 저장실을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2 증발기와, 상기 제 2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1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로도록 연결하는 제 1 냉매통로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2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르도록 연결하는 제 2 냉매통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과 상기 제 2 저장실 냉각이 교번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어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1 저장실을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제 1 기준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제 2 냉각 사이클로 전환되어 상기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2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제 2 기준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정지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은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과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는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가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 작동되도록 하고,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가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 작동되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실의 대표값은 상기 제 1 저장실의 평균 온도이고,
    상기 제 2 저장실의 대표값은 상기 제 2 저장실의 평균 온도인 냉장고의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실의 대표값은 상기 제 1 저장실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평균 온도이고,
    상기 제 2 저장실의 대표값은 상기 제 2 저장실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평균 온도인 냉장고의 제어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저장실의 대표값과 각 저장실의 설정 온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결정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설정 온도와 상기 각 저장실의 대표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을 이전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과 동일한 냉력으로 결정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설정 온도와 상기 저장실의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큰 경우에는 현재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을 이전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 보다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각 설정 온도와 상기 저장실의 대표값의 차이가 0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재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을 이전 사이클에서의 압축기의 냉력 보다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시간 및 상기 제 2 기준 시간은 고정된 시간인 냉장고의 제어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의 제 1 운전 시간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의 제 1 운전 시간과 동일하거나 가변되고,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의 제 2 운전 시간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의 제 2 운전 시간과 동일하거나 가변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6.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1 저장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1 증발기와, 상기 제 1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2 저장실을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2 증발기와, 상기 제 2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1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로도록 연결하는 제 1 냉매통로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2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르도록 연결하는 제 2 냉매통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과 상기 제 2 저장실 냉각이 교번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어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1 저장실을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제 1 운전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제 2 냉각 사이클로 전환되어 상기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2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제 2 운전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정지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은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과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는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1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가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 작동되도록 하고,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2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가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 작동되고,
    상기 제 1 기준 시간은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과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는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3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제 1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기준 시간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4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결정된 제 2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7.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1 저장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1 증발기와, 상기 제 1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제 2 저장실을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제 2 증발기와, 상기 제 2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냉기공급수단과,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1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로도록 연결하는 제 1 냉매통로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2 증발기 사이에 냉매가 흐르도록 연결하는 제 2 냉매통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과 상기 제 2 저장실 냉각이 교번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장고 작동 초기, 상기 제 1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작동되어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1 저장실을 위한 제 1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이 제 1 기준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제 2 냉각 사이클로 전환되어 상기 압축기가 작동하고, 상기 제 2 냉기공급수단이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제 2 기준 시간 동안 작동된 경우,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이 정지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은 이전의 제 1 냉각 사이클과 이전의 제 2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는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1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가 현재의 제 1 냉각 사이클에서 작동되도록 하고,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의 상기 압축기의 냉력은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2대표값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제어부는 결정된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가 현재의 제 2 냉각 사이클에서 작동되고,
    각 냉각 사이클에서 냉력 변동이 안정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1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3대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냉각 사이클의 제 1 운전 시간을 결정하며, 결정된 제 1 운전 시간은 상기 제 1 기준 시간과 동일하거나 다르고,
    상기 1회의 운전 주기 동안의 상기 제 2 저장실의 온도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4대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냉각 사이클의 제 2 운전 시간을 결정하며, 결정된 제 2 운전 시간은 상기 제 2 기준 시간가 동일하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180090461A 2018-08-02 2018-08-02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567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461A KR102567056B1 (ko) 2018-08-02 2018-08-02 냉장고의 제어방법
EP19844114.9A EP3832237A4 (en) 2018-08-02 2019-08-01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CN201980051626.6A CN112513550B (zh) 2018-08-02 2019-08-01 冰箱的控制方法
AU2019314054A AU2019314054A1 (en) 2018-08-02 2019-08-01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PCT/KR2019/009598 WO2020027596A1 (ko) 2018-08-02 2019-08-01 냉장고의 제어방법
US17/265,311 US11732948B2 (en) 2018-08-02 2019-08-01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to alternately cool two storage compart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461A KR102567056B1 (ko) 2018-08-02 2018-08-02 냉장고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107A true KR20200015107A (ko) 2020-02-12
KR102567056B1 KR102567056B1 (ko) 2023-08-16

Family

ID=6923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461A KR102567056B1 (ko) 2018-08-02 2018-08-02 냉장고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32948B2 (ko)
EP (1) EP3832237A4 (ko)
KR (1) KR102567056B1 (ko)
CN (1) CN112513550B (ko)
AU (1) AU2019314054A1 (ko)
WO (1) WO20200275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069B1 (ko) * 2020-08-10 2022-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12126B1 (ko) * 2021-10-21 2022-07-01 주식회사 스키피오 제빙기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7963A (zh) * 2021-02-03 2021-06-22 合肥朗驰工业设计有限公司 并联双系统冰箱的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284A (ko) * 2004-09-13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806314B1 (ko) * 2007-03-30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1070639B1 (ko) * 2006-05-15 2011-10-07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냉각 저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20130004678A (ko) * 2011-07-04 2013-01-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인버터 압축기를 구비한 냉장고의 운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324041B1 (ko) * 2007-03-13 2013-11-01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냉각 저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20170004351A (ko) * 2015-07-02 201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5528B1 (ko) * 2010-07-29 2017-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341A (ko) 1999-02-05 2000-09-05 윤종용 인터쿨러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404984B1 (ko) 2000-08-24 2003-11-1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E10260350B4 (de) * 2002-07-04 2015-11-26 Lg Electronics Inc.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Betriebs eines mit zwei Verdampfern ausgebildeten Kühlsystems
US7237395B2 (en) * 2003-12-22 2007-07-0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rigerators
KR100716300B1 (ko) 2006-01-09 2007-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방법
WO2009061120A2 (en) 2007-11-05 2009-05-14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KR101576686B1 (ko) 2010-06-14 2015-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144486B1 (ko) 2013-11-04 2020-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593575B1 (ko) 2016-11-30 2023-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18816B1 (ko) 2016-03-24 2023-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284A (ko) * 2004-09-13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070639B1 (ko) * 2006-05-15 2011-10-07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냉각 저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101324041B1 (ko) * 2007-03-13 2013-11-01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냉각 저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100806314B1 (ko) * 2007-03-30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1705528B1 (ko) * 2010-07-29 2017-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20130004678A (ko) * 2011-07-04 2013-01-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인버터 압축기를 구비한 냉장고의 운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4351A (ko) * 2015-07-02 201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069B1 (ko) * 2020-08-10 2022-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12126B1 (ko) * 2021-10-21 2022-07-01 주식회사 스키피오 제빙기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13550A (zh) 2021-03-16
US11732948B2 (en) 2023-08-22
AU2019314054A1 (en) 2021-03-18
CN112513550B (zh) 2022-12-02
US20210302092A1 (en) 2021-09-30
EP3832237A1 (en) 2021-06-09
KR102567056B1 (ko) 2023-08-16
WO2020027596A1 (ko) 2020-02-06
EP3832237A4 (en)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5291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13506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46550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N112513550B (zh) 冰箱的控制方法
KR20220084252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01782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145799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EP3392583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KR102617277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N114556035B (zh) 冰箱及其控制方法
KR102518479B1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69360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27869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69363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89265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077881A (ko) 인공지능 냉장고
RU2811723C1 (ru) Холодильник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US20220341649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9761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