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090A -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electronic products - Google Patents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electronic produ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090A
KR20200015090A KR1020180090418A KR20180090418A KR20200015090A KR 20200015090 A KR20200015090 A KR 20200015090A KR 1020180090418 A KR1020180090418 A KR 1020180090418A KR 20180090418 A KR20180090418 A KR 20180090418A KR 20200015090 A KR20200015090 A KR 20200015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voice recognition
noise filter
signa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4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7293B1 (en
Inventor
오순배
이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180090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293B1/en
Publication of KR2020001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0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2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product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prevent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n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product. To this end,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noise filter for filtering a frequency band signal except a set frequency band among signals provided from a microphone; an amplification unit for amplifying signals provided from the first noise filter; a second noise filter for filtering a frequency band signal except the set frequency band among the signals amplified in the amplification unit; a comparison unit for generating a trigger signal if a frequency band of a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noise filter is between a low level and a high level; and a microcomputer for supplying power to a voice recognition module by using a load switch if the trigger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parison unit.

Description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제어기기{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electronic products}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electronics

본 발명은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제어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제어기기에서 불필요한 전원이 소모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block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n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product.

요즘 홈 IoT(사물 인터넷)에 대한 광고가 많이 나오고 있으며, 특히 통신사를 필두로 스마트 홈 제어를 하고 있다.Nowadays, a lot of advertisements about home IoT (Internet of Things) are coming out, and smart home control is being carried out, especially by telecommunication companies.

최근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기술은 홈 내부와 외부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집안의 조명, 냉난방, 방범 및 통신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접속하여 원격 접근과 제어가 가능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의미한다. 전력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 등 각종 유무선 통신 기술이 활발히 보급되면서 네트워크 기반의 홈오토메이션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였고, 특히 스마트폰과 개인휴대단말기 등 정보기기의 보급과 함께 이들을 홈 네트워크를 위한 단말기로 활용 가능하게 되었다.Recent home network system technology enables remote access and control by accessing lighting, air-conditioning, security, and communication functions in a house using a network inside and outside the home as a single system. Means a system with all the functions that provide an environment. With the proliferation of variou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terest and demand for network-based home automation have increased. In particular, with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personal mobile terminals, they are used as terminals for home networks. It became possible.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신호처리 알고리즘 및 하드웨어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음성통신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인간과 시스템의 의사소통 수단이 키보드나 마우스에서 사용자의 음성으로 대체되고 있어 단순한 음성인식의 범위를 넘어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기기의 제어나 정보 서비스의 제공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Also, 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signal processing algorithms and hardware, the development of voic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actively performed. In particular, as communication means between humans and systems have been replaced by the user's voice in the keyboard or mouse, research goes beyond simple voice recognition and applies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to wireless home network systems, aiming to provide device control and information services. Is going on.

또한, 사용자의 이동성을 감안한 가변위치의 화자에 대한 음성 인식률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고성능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가변위치 고음성 인식기술이 요구된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peech recognition rate for the speaker of the variable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mobility of the user. Therefore, in order to construct a high-performance home network system, a variable position high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is required.

국내공개특허 제2013-0027920호에 기재된 선행 기술을 보면, 원격 음성인식 제어를 위해 가정 외부에서 음성으로 전화기와 기타 음성을 이용하는 정보기기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기전자 제품을 리모컨과 전원선을 이용하여 제어하며, 홈오토메이션에서 특정 기기의 상태 또는 전체 기기의 상태 및 상황을 음성으로 보고받을 수 있도록 한 원격에서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태 감시와 제어장치에 대한 연구가 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음성 인식 기술을 적용한 분야는 광범위하게 많아지고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027920, a remote controller controls an electric /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through an information device using a telephone and other voices from outside the home for remote voice recognition control. It is controlled by using power line and power line, and home automation and home network system status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using voice recognition remotely to receive and report the status of a specific device or the status and status of the whole device in voice. Has been studied. In recent years, the field of applying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has been extensively expanded.

이러한 분야의 음성인식 기술은 연구 활동의 영역에서 벗어나 상용화되며, 상용화된 음성인식 기술은 연구단계와 같은 환경에서는 좋은 성능을 보이나, 실제 인식환경에서는 성능이 저하되고 있다. 일반적인 실내 환경조건에서 수집된 음성신호는 보통 잔향음과 부가잡음에 의하여 저하되는데, 실제로 가정 내 또는 강당, 화상회의 회실, 강의실 등과 같은 닫힌 공간에서 마이크로폰 시스템에 수신된 신호는 직접 전달파와 벽면에 의한 반사파들이 더해진다. 결국, 실제 발생음을 명확히 얻기가 어렵기 때문에 음질 향상 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The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in these fields is commercialized out of the scope of research activities, and the commercialized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shows good performance in the same environment as the research stage, but is deteriorated in the actual recognition environment. In general indoor environment, the collected audio signals are usually degraded by reverberation and additional noise. Actually, the signals received by the microphone system in the home or in a closed space such as auditorium, video conference room, lecture room, etc. Reflected waves are added. After all,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actual sound clearly, so it is necessary to apply a sound quality improvement technique.

또한, 현재 음성을 인식하며, 집안의 가전제품으로 제어하는 음성인식 장치는 상시 전원이 공급된다. 즉, 음성인식 장치는 공급받은 상시 전원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음성을 인식하며, 인식된 음성에 따라 가전제품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that recognizes the current voice and controls the home appliances in the house is always supplied with power. That is,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recognizes the voice in real time using the supplied constant power, and controls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recognized voice.

하지만, 상시 전원의 공급이 불가능한 음성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집안의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경우, 내장된 배터리의 용량으로 인해 배터리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사용자가 언제 음성을 이용하여 가전제품을 제어할지 알 수 없으므로 음성인식 장치는 마이크와 음성인식 모듈에 실시간으로 전원을 공급해야 하며, 이는 내장된 배터리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지게 된다.However, when controlling home appliances in the home by using a voice recognition device that is unable to supply power at all times,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battery needs to be frequently replaced due to the capacity of the built-in battery. That is, since the user does not know when to control the home appliance using voice,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must supply power to the microphone and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in real time, which leads to a problem of frequently replacing the built-in battery.

따라서, 상시 전원의 공급이 불가능한 음성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음성인식 장치를 구성하는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안이 요구된다.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control home appliances using a voice recognition device that is not able to supply power at all times, a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a module constituting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is required.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0822호(고안의 명칭: 리모컨 시스템용 대기전력 차단장치)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0822 (Name of the proposal: Standby power cut-off device for remote control system)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5219호(발명의 명칭: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전원 제어 방법)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3-0105219 (Inventio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using voice recognition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시 전원 공급이 불가능한 제어기기를 이용하여 전자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by using a controller that can not always supply power.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필요한 경우에는 제어기기를 구성하는 음성인식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constituting the controller if necessary.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음성인식 모듈에서 소모되는 전원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minimizing the power consumed in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필요한 경우에만 음성인식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only when necessary.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어기기는 마이크로부터 제공받은 신호 중 설정된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노이즈 필터; 상기 제1 노이즈 필터에서 제공받은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 중 설정된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노이즈 필터; 상기 제2 노이즈 필터에서 제공받은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 사이의 주파수 대역이면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로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음성인식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마이콤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noise filter for filtering a frequency band signal other than the set frequency band among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provided by the first noise filter; A second noise filter for filtering a frequency band signal other than a set frequency band among the signals amplified by the amplifier; A compa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trigger signal when a frequency band of the signal provided by the second noise filter is a frequency band between a low level and a high level; When the trigger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parator, a microcomput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using a load switch.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제어기기는 제어기기를 구성하는 음성인식 모듈로 상시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음성인식 모듈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제어기기에서 소모되는 전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기는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므로, 내장된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power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only when a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by constantly supplying power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constituting the controller. Minimize the power supply.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ler is driven by the power supplied by the built-in batter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built-in battery.

또한, 기존 음성인식 모듈은 3 내지 5미터의 음성만을 인식하였으나, 본 발명은 증폭부를 이용하여 7미터 이상에서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Rubbish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인식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신호로 사용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ventional speech recognition module recognizes only 3 to 5 meters of vo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voice at 7 meters or more using an amplification uni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Rubbish voice data as a sig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제품 및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제어기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llustrates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in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rough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대상기기 및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대상기기 및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1 illustrates a control target devi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control target devi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제어대상기기 및 제어기기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기기(100)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모듈을 포함하며, 음성인식 모듈에서 인식된 음성을 처리한다. 음성인식 모듈에서 처리된 음성을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200)를 제어한다. 음성인식 모듈은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항상 전원을 공급받아야 한다. 하지만, 음성인식 모듈에 항상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음성인식 모듈에 공급하는 전원으로 인해 제어기기(100)를 구성하는 배터리의 전원은 급격하게 소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요한 경우에만 음성인식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이 인식된 경우에만 음성인식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1 shows a control target device and a controller. The controller 100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a voice, and processes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The control target device 200 is controlled by using the voice processed by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must always be powered to recognize the voice. However, when power is always supplied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the power of the battery constituting the controller 100 is suddenly consumed due to the power supplied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only when necessary.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only when the user's voice is recognized.

제어기기(100)는 수신된 음성을 분석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어대상기기(200)로 송출한다. 제어대상기기(200)는 제어기기(100)에서 송출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00 analyzes the received voic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200. The control target device 200 receiv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00 and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기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에 의하면 제어기기는 마이크, 음성인식 모듈, 트리거 신호 생성부, 마이콤 및 로드 스위치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기기는 상시로 전원이 공급되는 대신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기기이다.According to FIG. 2, the controller includes a microphone, a voice recognition module, a trigger signal generator, a micom, and a load switch.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is powered by a built-in battery instead of always being powered.

마이크(110)는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며, 이를 위해 마이크(110)는 항상 전원을 공급받는다. 마이크(110)로부터 수신된 소리는 음성인식 모듈(150)과 트리거 신호 생성부(120)로 제공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음성인식 모듈(150)은 평상시에는 전원을 공급받지 않으나, 로드 스위치(140)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음성인식 모듈(150)은 구동된다. 구동된 음성인식 모듈(150)은 이후 마이크(110)로부터 제공되는 소리(음성)을 인식하여 분석한다.The microphone 110 receives an external sound, and for this purpose, the microphone 110 is always powered. The sound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110 is provided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and the trigger signal generator 120.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is not normally supplied with power, but is powered by an operation of the load switch 140, and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is driven by the supplied power. The driven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then recognizes and analyzes the sound (voice) provided from the microphone 110.

트리거 신호 생성부(120)는 마이크(110)로부터 제공받은 음성을 분석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음성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은 음성 주파수 대역이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음성인식 모듈(150)은 다양한 주파수 대역 중 음성 주파수 대역에서만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이를 위해 트리거 신호 생성부(120)는 마이크(110)로부터 제공받은 소리의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고, 추출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마이콤(130)으로 제공한다.The trigger signal generator 120 analyzes the voice provided from the microphone 110 to determine whether the voice has a specific frequency band.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cular frequency band is a voice frequency band. In detail,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only from a voice frequency band among various frequency bands. To this end, the trigger signal generation unit 120 extracts a frequency band of the sound provided from the microphone 110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extracted frequency band to the microcomputer 130.

마이콤(130)은 제공받은 주파수 대역이 음성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음성 주파수 대역이면 로드 스위치(140)를 제어한다.The microcomput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provided frequency band is a voice frequency band, and controls the load switch 140 if the provided frequency band is a voice frequency band.

로드 스위치(140)는 마이콤(130)이 판단한 소리의 주파수 대역이 음성 주파수 대역이라면 음성인식 모듈(150)의 구동을 위해 음성인식 모듈(150)로 전원을 공급한다. 물론 마이콤(130)은 제공받은 주파수 대역이 음성 주파수 대역이 아닌 경우에는 로드 스위치(140)의 구동을 제한(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성인식 모듈(150)은 마이크(110)로부터 수신된 소리가 음성인 경우에만 구동되므로, 음성이 제공되지 않는 시점에도 불필요하게 음성인식 모듈(150)이 구동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The load switch 140 supplies power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to drive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when the frequency band of the sound determined by the microcomputer 130 is the voice frequency band. Of course, if the provided frequency band is not the voice frequency band, the microcomputer 130 restricts (blocks) the driving of the load switch 140. Therefore, since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only when the sound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110 is voice, it occurs because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is unnecessarily driven even when no voice is provide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기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 의하면 제어기기는 마이크, 제1 노이즈 필터, 증폭부, 제2 노이즈 필터, 비교부, 마이콤, 로드 스위치 및 음성인식 모듈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 3, the controller includes a microphone, a first noise filter, an amplifier, a second noise filter, a comparator, a microcomputer, a load switch, and a voice recognition module.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마이크(110)는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마이크는 외부로부터 항상 전원을 공급받는다. 마이크(110)로부터 수신된 소리는 제1 노이즈 필터(122)와 음성인식 모듈(150)로 제공된다.The microphone 110 receives the external sound, for this purpose, the microphon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lways powered from the outside. The sound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110 is provided to the first noise filter 122 and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제1 노이즈 필터(122)는 마이크(110)에서 수신된 소리에서 잡음을 제거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1 노이즈 필터(122)는 대역 통과 필터(BPF)이며, 음성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한다.The first noise filter 122 removes noise from the sound received by the microphone 110.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oise filter 122 is a band pass filter (BPF) and removes signals in the remaining frequency bands except signals in the voice frequency band.

제1 노이즈 필터(122)에서 필터링된 소리(신호)는 증폭부(124)로 제공된다. 증폭부(124)는 제1 노이즈 필터에서 필터링 소리를 일정 거리로 증폭된다. 증폭부(124)는 소리를 증폭시켜 음성 인식 거리를 증가시킨다. Far Field의 음성 인식 거리는 환경과 음압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3m 내지 5m 정도 한정되어 있지만, 증폭부(124)를 사용하는 경우 음성 인식 거리를 7m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The sound (signal) filtered by the first noise filter 122 is provided to the amplifier 124. The amplifier 124 amplifies the filtering sound by a first distance from the first noise filter. The amplifier 124 amplifies the sound to increase the speech recognition distance. Far field speech recognition distanc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nd sound pressure, but generally limited to about 3m to 5m, when using the amplifier 124 can increase the speech recognition distance to 7m.

증폭부(124)에서 증폭된 소리는 제2 노이즈 필터(126)로 제공된다. 제2 노이즈 필터(126)는 소리의 증폭으로 발생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노이즈 필터(126)는 대역 통과 필터(BPF)이며, 음성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2 노이즈 필터(126)는 300Hz ~ 3.4KHz 이외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ound amplified by the amplifier 124 is provided to the second noise filter 126. The second noise filter 126 removes noise generated by amplification of the sound. The second noise filter 126 is a band pass filter (BPF) and removes signals in the remaining frequency bands except signals in the voice frequency band. In detail, the second noise filter 126 removes a signal in a frequency band other than 300 Hz to 3.4 KHz.

제2 노이즈 필터(126)에서 필터링된 소리는 비교부(128)로 제공된다. 비교부(128)는 하이 레벨(High Level) 구간과 로우 레벨(Low Level) 구간을 설정하여 트리거(trigger) 기능을 수행한다. 비교부(128)의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은 필요한 경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비교부(128)는 제2 노이즈 필터(126)에서 제공받은 소리의 주파수 대역이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트리거 신호)를 마이콤(130)으로 제공한다.The sound filtered by the second noise filter 126 is provided to the comparator 128. The comparator 128 sets a high level section and a low level section to perform a trigger function. The high level and low level of the comparator 128 can be changed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if necessary. In detail, the comparator 128 provides information (trigger signal) to the microcomputer 130 when the frequency band of the sound provided by the second noise filter 126 falls between a low level and a high level. do.

마이콤(130)은 비교부에서 제공받은 트리거 신호가 제공되면 마이크(110)에서 수신한 소리가 음성 주파수 대역 신호임을 인지한다. 마이콤(130)은 마이크(110)에서 수신한 소리의 주파수 대역이 음성 주파수 대역이면 로드 스위치(140)의 동작을 제어한다.When the trigger signal provided by the comparator is provided, the microcomputer 130 recognizes that the sound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110 is a voice frequency band signal. The microcomputer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oad switch 140 when the frequency band of the sound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110 is the voice frequency band.

마이콤(130)은 로드 스위치(140)의 동작을 제어한 이후 비교부(128)로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트리거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 로드 스위치(140)의 동작을 제한하여, 음성인식 모듈(150)로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음성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음성인식 모듈(150)로 공급하던 전원을 차단하여 음성인식 모듈(150)에서 소모되는 전원을 최소화하게 된다.Aft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 switch 140, the microcomputer 130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e load switch 140 if the trigger signal is not provided within the set time from the comparator 128 to supply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Turn off the power. As such, when the signal of the voice frequency band is not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present invention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to minimize the power consumed by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로드 스위치(140)는 마이콤(130)이 인지한 소리의 주파수 대역이 음성 주파수 대역이라면 음성인식 모듈(150)의 구동을 위해 음성인식 모듈(15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동된다. 물론 마이콤(130)은 비교부(128)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마이크(110)로 수신된 소리의 주파수 대역이 음성 주파수 대역이 아니므로 로드 스위치(140)의 구동을 제한(차단)한다. The load switch 140 is driven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to drive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if the frequency band of the sound recognized by the microcomputer 130 is the voice frequency band. Of course, if the trigger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omparator 128, the microcomputer 130 limits the driving of the load switch 140 because the frequency band of the sound received by the microphone 110 is not the voice frequency band.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음성인식 모듈(150)은 평상시에는 전원을 공급받지 않으나, 로드 스위치(140)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음성인식 모듈(150)을 구동된다. 구동된 음성인식 모듈(150)은 이후 마이크(110)로부터 제공되는 소리(음성)을 인식하여 분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성인식 모듈(150)은 마이크(110)로부터 수신된 소리가 음성인 경우에만 구동되므로, 음성이 제공되지 않는 시점에도 불필요하게 음성인식 모듈(150)이 구동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is not normally supplied with power, but is powered by an operation of the load switch 140, and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is driven by the supplied power. The driven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then recognizes and analyzes the sound (voice) provided from the microphone 110. Therefore, since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only when the sound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110 is voice,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is generated because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is unnecessarily driven even when no voice is provide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음성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마이크(110)에서 수신한 이후 로드 스위치(140)에 의해 음성인식 모듈(150)이 전원을 공급받기 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자는 음성인식 모듈(150)을 구동을 위한 음성을 마이크(110)로 먼저 제공한 이후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마이크(110)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akes a certain time until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is powered by the load switch 140 after the sound of the voice frequency band is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110. Therefore,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provides a voice for driving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50 to the microphone 110, and then provide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to the microphone 11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in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performed in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S400단계에서 마이크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소리를 제1 노이즈 필터와 음성인식 모듈로 제공한다. 물론 S400단계에서 음성인식 모듈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In step S400, the microphone provides a sound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first noise filter and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Of course, it is assumed that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is not powered at step S400.

S402단계에서 제1 노이즈 필터는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한다.In operation S402, the first noise filter filters signals of the remaining frequency band except for the signal of the set frequency band by using the band pass filter.

S404단계에서 증폭부는 제1 노이즈 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제2 노이즈 필터로 제공한다.In step S404, the amplifier amplifies the signal filtered by the first noise filter, and provides the amplified signal to the second noise filter.

S406단계에서 제2 노이즈 필터는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한 후 비교기로 제공한다.In operation S406, the second noise filter filters the signals of the remaining frequency band except for the signal of the set frequency band by using the band pass filter and provides the comparator.

S408단계에서 비교기는 제2 노이즈 필터에서 제공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설정된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 사이에 해당하면,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여 마이콤으로 제공한다.In operation S408, when the frequency band of the signal provided by the second noise filter falls between the set low level and the high level, the comparator generates and provides a trigger signal to the microcomputer.

S410단계에서 마이콤은 비교기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제공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마이콤은 비교기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제공되면 로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인식음성 모듈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마이콤은 비교기로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트리거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 로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음성인식 모듈로 공급하던 전원을 차단한다.In step S410, the microcomputer determines whether a trigger signal is provided from the comparator. The microcomputer uses the load switch to supply power to the recognition voice module when the trigger signal is provided from the comparator. In addition, if the trigger signal is not provided within the set time from the comparator, the microcomputer uses a load switch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이콤은 비교기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에만 음성인식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여 음성인식 모듈에서 소모되는 전원을 최소화하여 배터리에 의해 제어기기의 구동 시간을 최대한 늘릴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icrocompu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power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only when the trigger signal is provided from the comparator, thereby minimizing the power consumed by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to increase the driving time of the controller by the batter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

100: 제어기기 200: 제어대상기기
110: 마이크 120: 트리거 신호 생성부
130: 마이콤 140: 로드 스위치
150: 음성인식 모듈 122: 제1 노이즈 필터
124: 증폭부 126: 제2 노이즈 필터
128: 비교부
100: controller 200: control target device
110: microphone 120: trigger signal generator
130: micom 140: load switch
150: voice recognition module 122: first noise filter
124: amplifier 126: second noise filter
128: comparator

Claims (5)

마이크로부터 제공받은 신호 중 설정된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노이즈 필터;
상기 제1 노이즈 필터에서 제공받은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 중 설정된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노이즈 필터;
상기 제2 노이즈 필터에서 제공받은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 사이의 주파수 대역이면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로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음성인식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마이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
A first noise filter for filtering a frequency band signal other than a set frequency band among signals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provided by the first noise filter;
A second noise filter for filtering a frequency band signal other than a set frequency band among the signals amplified by the amplifier;
A compa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trigger signal when a frequency band of the signal provided by the second noise filter is a frequency band between a low level and a high level;
And a micom that supplies power to a voice recognition module using a load switch when a trigger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para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비교부로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트리거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 상기 음성인식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로드 스위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crocomputer
And controlling the load switch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if a trigger signal is not provi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comparison unit.
제 2항에 있어서, 구동된 상기 음성인식 모듈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한 신호를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
The controller of claim 2, wherein the driven voice recognition module receiv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이즈 필터는,
음성 주파수 대역인 300Hz ~ 3.4KHz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noise filter,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o remove the signal of the frequency band other than the 300Hz ~ 3.4KHz frequency band of the voice frequency ban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로우 레벨 주파수와 하이 레벨 주파수를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mparator,
And controlling the low level frequency and the high level frequenc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KR1020180090418A 2018-08-02 2018-08-02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electronic products KR1026572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418A KR102657293B1 (en) 2018-08-02 2018-08-02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electronic produ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418A KR102657293B1 (en) 2018-08-02 2018-08-02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electronic produ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090A true KR20200015090A (en) 2020-02-12
KR102657293B1 KR102657293B1 (en) 2024-04-15

Family

ID=6956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418A KR102657293B1 (en) 2018-08-02 2018-08-02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electronic produc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29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1639A (en) * 2006-04-04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oice input apparatus and voice transmission/reception unit using the same
KR20130000822U (en) 2011-07-26 2013-02-05 최석현 apparatus for breaking stand-by power for remote control system
KR20130105219A (en) 2012-03-15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using voice recognition thereof
JP2016126136A (en) * 2014-12-26 2016-07-11 Kddi株式会社 Automatic mixing device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1639A (en) * 2006-04-04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oice input apparatus and voice transmission/reception unit using the same
KR20130000822U (en) 2011-07-26 2013-02-05 최석현 apparatus for breaking stand-by power for remote control system
KR20130105219A (en) 2012-03-15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using voice recognition thereof
JP2016126136A (en) * 2014-12-26 2016-07-11 Kddi株式会社 Automatic mixing device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293B1 (en) 202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5878B2 (en) Intelligent audio output devices
US20190354165A1 (en) Power Control Based on Packet Type
US9668052B2 (en) Audio routing system for routing audio data to and from a mobile device
CN105163236A (en) Intelligent sound system with gateway control function
AU20032693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rce of sound e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WO201923612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ltrasonic sensing in smart devices
JP20185080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detection for device control
US20200034109A1 (en) Bluetooth speaker configured to produce sound as well as simultaneously act as both sink and source
EP3145211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80052876A (en) A Home Network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And A Method thereof
CN111583922A (en) Intelligent voice hearing aid and intelligent furniture system
KR20200015090A (en)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electronic products
US2016033774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ttenuation of an audio signal
CN112333605B (en) Sound out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CN209165693U (en) A kind of central air-conditioning having sound amplification function
KR101616452B1 (en) Audio device with active noise canceling
KR20060107890A (en)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by speech recognition
CN104142635A (en) Sound masking system with monitoring center
CN212750365U (en) Intelligent voice hearing aid and intelligent furniture system
CN107358956B (en) Vo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module thereof
CN108954693B (en) Central air conditioner with sound amplifying function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101616454B1 (en) Audio device with active noise canceling
JP6928842B2 (en) Control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control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KR200329397Y1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detecting function of stealth camera
CN208540166U (en) A kind of interior single microphone remote pickup public addres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