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975A -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975A
KR20200013975A KR1020180089282A KR20180089282A KR20200013975A KR 20200013975 A KR20200013975 A KR 20200013975A KR 1020180089282 A KR1020180089282 A KR 1020180089282A KR 20180089282 A KR20180089282 A KR 20180089282A KR 20200013975 A KR20200013975 A KR 20200013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uct
alloy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055B1 (ko
Inventor
정요한
한지웅
김대희
유승호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89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0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00Reactor types
    • G21C1/02Fast fission reactors, i.e. reactors not using a moderator ; Metal cooled reactors; Fast breeders
    • G21C1/03Fast fission reactors, i.e. reactors not using a moderator ; Metal cooled reactors; Fast breeders cooled by a coolant not essentially pressurised, e.g. pool-type reacto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28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Additions to the reactor coolants, e.g. against moderator corr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위치하고 고온의 공기가 이동하는 덕트, 덕트와 연결되고 덕트 내부에서 회전하고 덕트를 개폐하는 개폐구, 개폐구와 연결되고 개폐구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 그리고 개폐구와 연결되고 개폐구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가지는 합금체를 포함하고, 탄성체의 탄성력과 합금체의 복원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개폐구의 위치가 개폐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변화함으로써 덕트의 개폐가 조절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OF SODIUM-AIR HEAT EXCHANGER}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에서 이용되는 소듐냉각 고속로는 사고 발생 시 원자로의 정지에 따른 노심(Reactor Core)의 잔열을 제거하기 위한 잔열제거계통을 포함한다. 잔열제거계통은 원자로 풀(Pool)에 설치된 소듐-소듐 열교환기로부터 루프 내부로 유입된 열을 자연 순환에 의해 원자로 상단에 설치된 소듐-공기 열교환기로 전달하여 잔열을 제거한다.
지속적으로 잔열을 제거할 경우, 소듐-공기 열교환기 내부에 위치하는 소듐이 일정 온도 이하에서 고화될 수 있으며, 소듐 고화에 의해 잔열 제거 통로가 막힐 수 있으므로 원자로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원자로의 온도에 따라 원자로의 잔열을 제거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1,436,497은 “나선형 소듐대-소듐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자연순환 냉각 성능을 강화한 소듐냉각 원자로의 완전 피동형 잔열제거 시스템”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1,436,497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소듐-공기 열교환기 내부의 소듐이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소듐냉각 고속로에 정전이 발생할 경우에도 소듐-공기 열교환기를 안정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위치하고 고온의 공기가 이동하는 덕트, 덕트와 연결되고 덕트 내부에서 회전하고 덕트를 개폐하는 개폐구, 개폐구와 연결되고 개폐구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 그리고 개폐구와 연결되고 개폐구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가지는 합금체를 포함하고, 탄성체의 탄성력과 합금체의 복원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개폐구의 위치가 개폐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변화함으로써 덕트의 개폐가 조절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소듐냉각 고속로의 온도 변화에 따라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출구를 개폐하여 소듐의 고화 현상과 소듐 고화에 의해 잔열 제거 통로의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출구 개폐 구동에서 전자 제어 장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소듐냉각 고속로에 정전 또는 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도 온도 변화에 따라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출구를 안정적으로 개폐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가 적용된 소듐-공기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의 개폐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가 적용된 소듐-공기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의 개폐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원자력 발전소에서 이용되는 소듐냉각 고속로는 노심(Reactor Core)의 잔열을 제거하기 위한 잔열제거계통을 포함할 수 있다. 잔열제거계통은 소듐-소듐 열교환기(200)와 원자로 건물 상단에 소듐-공기 열교환기(100)를 포함하고, 열교환기(100, 200)들 사이를 연결한 루프(300)를 통해서 자연 순환하여 열을 제거할 수 있다.
지속적인 잔열 제거 시, 소듐-공기 열교환기(100)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므로, 소듐-공기 열교환기(100) 내부의 소듐이 고화될 수 있다. 소듐-공기 열교환기(100)에서 소듐 고화 현상이 발생될 경우, 열을 제거하는 통로가 막혀 원자로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다.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1)는 소듐-공기 열교환기(100)에 위치할 수 있다.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1)는 소듐-공기 열교환기(100)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될 경우 열리고,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닫힐 수 있다.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1)는 소듐-공기 열교환기(100)의 내부 온도에 따라 개폐할 수 있으므로,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내부의 열을 제거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소듐 고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1)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1)는 덕트(10), 개폐구(20), 탄성체(30) 그리고 합금체(4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0)는 소듐 공기 열교환기(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덕트(10)는 z축 방향으로 뻗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덕트(10)의 내부에는 고온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개폐구(20)는 연결바(21a, 21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21a, 21b)는 개폐구(20)의 양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개폐구(20)는 연결바(21a, 21b)를 통해 덕트(10)와 연결될 수 있다. 개폐구(20)는 덕트(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개폐구(20)는 덕트(10)의 내부에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개폐구(20)는 덕트(10) 내부의 원주와 맞닿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폐구(20)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폐구(20)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덕트(10)를 개폐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덕트(10)가 닫힌 상태일 경우, 개폐구(20)의 상면과 하면은 덕트(10)가 뻗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덕트(10)가 열린 상태일 경우, 개폐구(20)의 상면과 하면은 덕트(10)가 뻗은 z축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탄성체(30)는 개폐구(20)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30)는 개폐구(2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탄성체(30)는 제1 탄성부(31), 제2 탄성부(33) 그리고 제3 탄성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31)는 덕트(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탄성부(31)는 z축 방향으로 뻗으며 덕트(10) 내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부(33)는 개폐구(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탄성부(35)는 제1 탄성부(31)와 제2 탄성부(33)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탄성부(35)는 코일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체(30)의 탄성력이 x축 방향으로 작용하면 개폐구(20)는 회전할 수 있다. 탄성체(30)는 제1 탄성부(31)가 덕트(10)의 내부에 고정되고, 제2 탄성부(33)가 개폐구(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3 탄성부(35)가 가진 탄성력으로 개폐구(20)를 회전시켜 도 2와 같이, 덕트(10)를 닫을 수 있다.
덕트(10)가 닫힌 상태일 경우, 제1 탄성부(31)와 제2 탄성부(33)는 상호 각을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과 같이, 덕트(10)가 열린 상태일 경우, 제1 탄성부(31)와 제2 탄성부(33)는 z축 방향으로 뻗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합금체(40)는 개폐구(20)와 연결될 수 있다. 합금체(40)는 개폐구(20)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합금체(40)는 니켈-티타늄(Ni-Ti)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합금체(40)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합금체(40)는 온도에 따라 형상이 가변 될 수 있다. 합금체(40)는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형상이 가변 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온도는 140℃ 내지 200℃의 범위일 수 있다.
합금체(40)는 제1 합금부(41) 및 제2 합금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합금부(41)와 제2 합금부(43)는 상호 다른 반응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합금부(41)는 z축 방향으로 뻗으며 덕트(10) 내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합금부(43)는 개폐구(20)와 연결될 수 있다.
합금체(40)의 복원력이 -x축 방향으로 작용하면 개폐구(20)는 회전할 수 있다. 제1 합금부(41)가 덕트(10)의 내부에 고정되고 제2 합금부(43)가 개폐구(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 합금부(43)의 복원력으로 개폐구(20)를 회전시켜 도 3과 같이, 덕트(10)를 열 수 있다.
덕트(10)가 열린 상태일 경우, 제1 합금부(41)와 제2 합금부(43)는 z축 방향으로 뻗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합금부(41)와 제2 합금부(43)는 상호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덕트(10)가 닫힌 상태일 경우, 제1 합금부(41)와 제2 합금부(43)는 상호 각을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1)는 탄성체(30)와 합금체(40)를 통해서 개폐구(20)를 회전시켜 덕트(10)를 개폐할 수 있다.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1)는 탄성체(30)의 탄성력과 합금체(40)의 복원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개폐구(2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개폐구(20)는 개폐구(2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개폐구의 위치가 변화하면서 덕트(1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덕트(10)가 닫힌 상태에서, 덕트(10)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각을 이루는 형상인 합금체(40)가 직선 형상으로 가변 되면서 개폐구(20)에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합금체(40)의 복원력이 탄성체(30)의 탄성력보다 커지면서 합금체(40)는 개폐구(20)를 -x축 방향으로 밀어 개폐구(20)를 회전시키고 도 3과 같이 덕트(10)를 열 수 있다. 합금체(40)의 복원력에 의해 덕트(10)가 완전 열린 상태일 경우, 합금체(40)의 복원력과 탄성체(30)의 탄성력은 평형을 이룬 상태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온도는 140℃ 내지 200℃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합금체(40)의 미리 설정된 온도가 140℃인 경우, 덕트(10)의 내부 온도가 140℃ 이상이 되면, 덕트(10)가 열릴 수 있으며, 합금체(40)의 미리 설정된 온도가 200℃인 경우, 덕트(10)의 내부 온도가 200℃ 이상이 되면, 덕트(10)가 열릴 수 있다.
개폐구(20)가 열리면 덕트(10)의 내부 온도는 지속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개폐구(20)가 열린 상태에서 덕트(10)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될 경우, 합금체(40)의 복원력은 작아지고, 직선 형상인 합금체(40)가 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가변 될 수 있다. 합금체(40)의 복원력이 탄성체(30)의 탄성력보다 작아지면서 탄성체(30)는 개폐구(20)를 x축 방향으로 밀어 개폐구(20)를 회전시키고 도 2와 같이 덕트(10)를 닫을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온도는 140℃ 내지 200℃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합금체(40)의 미리 설정된 온도가 140℃인 경우, 덕트(10)의 내부 온도가 140℃ 이하가 되면, 덕트(10)가 닫힐 수 있으며, 합금체(40)의 미리 설정된 온도가 200℃인 경우, 덕트(10)의 내부 온도가 200℃ 이하가 되면, 덕트(10)가 닫힐 수 있다.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1)는 덕트(10)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합금체(40)의 복원력이 탄성체(30)의 탄성력보다 커지므로 개폐구(20)를 덕트(10)가 뻗은 방향으로 회전시켜 덕트(10)를 열 수 있다.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1)는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탄성체(30)의 탄성력이 합금체(40)의 복원력보다 커지므로 개폐구(20)를 덕트(10)가 뻗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덕트(10)를 닫을 수 있다.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1)는 덕트(10)의 내부 온도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덕트(10)를 열어 잔열 등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덕트(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덕트(10)를 닫아 소듐이 고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통로의 막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소듐-공기 열교환기(1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1)는 탄성체(30)의 탄성력과 합금체(40)의 복원력을 통해 피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전원 공급 장치 또는 액추에이터 등의 부가적인 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이에, 소듐냉각 고속로에 정전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도, 온도 변화에 따라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출구를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높을 수 있다. 또한, 소듐-공기 열교환기(100)의 정기적인 보수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유지 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1)는 덕트(10)와 개폐구(2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0)는 삽입홀(11a, 11b)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11a, 11b)은 덕트(10)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 형상일 수 있다. 삽입홀(11a, 11b)에는 연결바(21a, 21b)가 삽입될 수 있다.
개폐구(20)는 연결바(21a, 21b), 고정캡(23a, 23b) 그리고 결합면(25)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21a, 21b)는 개폐구(2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바(21a, 21b)는 개폐구(20)의 측면에서 y축 방향으로 볼록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바(21a)는 개폐구(20)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바(21b)는 개폐구(20)의 타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바(21a, 21b)는 상호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연결바(21a, 21b)는 각각 삽입홀(11a, 11b)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바(21a, 21b)의 일측 단부는 덕트(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개폐구(20)는 연결바(21a, 21b)를 통해 덕트(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캡(23a, 23b)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캡(23a, 23b)은 덕트(10)의 외부에 위치한 연결바(21a, 21b)의 일측 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캡(23a, 23b)은 연결바(21a, 21b)의 일측 단부를 감싸며 위치할 수 있으므로, 연결바(21a, 21b)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결합면(25)은 고정캡(23a, 23b)과 연결될 수 있다. 결합면(25)은 한 쌍으로 고정캡(23a, 23b)의 양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면(25)은 상호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고정캡(23a, 23b)이 연결바(21a, 21b)에 삽입될 경우 결합면(25)은 덕트(10)의 외면과 맞닿을 수 있다. 결합면(25)은 덕트(1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캡(23a, 23b)과 결합면(25)은 개폐구(20)가 회전할 경우에도 삽입홀(11a, 11b)에 삽입된 연결바(21a, 21b)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개폐구(20)의 회전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결합면(25)은 일측 단부에 진동 흡수 부재를 포함하여 개폐구(20)가 회전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개폐 장치 10: 덕트
20. 개폐구 21. 연결바
23. 고정캡 25. 결합면
30. 탄성체 31. 제1 탄성부
33. 제2 탄성부 35. 제3 탄성부
40. 합금체 41. 제1 합금부
43. 제2 합금부 100. 소듐-공기 열교환기
200. 소듐-소듐 열교환기 300. 루프

Claims (12)

  1.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위치하고 고온의 공기가 이동하는 덕트,
    상기 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덕트 내부에서 회전하고 상기 덕트를 개폐하는 개폐구,
    상기 개폐구와 연결되고 상기 개폐구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 그리고
    상기 개폐구와 연결되고 상기 개폐구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가지는 합금체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과 상기 합금체의 복원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개폐구의 위치가 상기 개폐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변화함으로써 상기 덕트의 개폐가 조절되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합금체는 형상기억합금인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합금체의 복원력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보다 커지고 상기 개폐구를 상기 덕트가 뻗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덕트가 열리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합금체의 복원력보다 커지고 상기 개폐구를 상기 덕트가 뻗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덕트가 닫히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합금체는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제1 합금부 및 상기 개폐구와 연결되는 제2 합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합금부와 상기 제2 합금부의 반응 온도는 상호 다른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제1 탄성부, 상기 개폐구와 연결되는 제2 탄성부, 그리고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제2 탄성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제2 탄성부를 연결하는 제3 탄성부를 포함하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개폐구는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덕트에 삽입 고정되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개폐구는 상기 덕트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바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바를 상기 덕트에 고정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9. 덕트, 상기 덕트를 개폐하는 개폐구, 상기 개폐구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체, 상기 개폐구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합금체를 포함하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덕트 내부의 공기의 온도에 따라 상기 합금체의 복원력과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의 차이가 생기고 그에 따라 개폐구가 회전하여 상기 덕트를 개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덕트를 개폐하는 단계는,
    상기 덕트 내부의 공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합금체의 복원력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 보다 커지는 단계,
    상기 합금체의 복원력으로 상기 개폐구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덕트가 열리는 단계,
    상기 합금체의 복원력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과 평형을 이루는 단계,
    상기 덕트 내부의 공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합금체의 복원력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 보다 작아지는 단계,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개폐구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덕트가 닫히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합금체의 복원력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 보다 커지는 단계는 상호 각을 이룬 상기 합금체의 상부와 하부가 상호 직선으로 복원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합금체의 복원력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 보다 작아지는 단계는 상기 합금체의 상부와 하부가 상호 각을 이루며 휘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방법.
KR1020180089282A 2018-07-31 2018-07-31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및 방법 KR102128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282A KR102128055B1 (ko) 2018-07-31 2018-07-31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282A KR102128055B1 (ko) 2018-07-31 2018-07-31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975A true KR20200013975A (ko) 2020-02-10
KR102128055B1 KR102128055B1 (ko) 2020-06-29

Family

ID=6962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282A KR102128055B1 (ko) 2018-07-31 2018-07-31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0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065B1 (ko) * 1999-06-26 2001-11-01 강낙관 자동 환기창
KR20020034009A (ko) * 2000-11-01 2002-05-08 노도훈 자동 환기장치
KR100951398B1 (ko) * 2008-03-25 2010-04-08 한국원자력연구원 히트 파이프 열교환기를 구비한 잔열제거 계통
KR101436497B1 (ko) 2012-12-11 2014-09-01 한국원자력연구원 나선형 소듐대-소듐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자연순환 냉각 성능을 강화한 소듐냉각 원자로의 완전 피동형 잔열제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065B1 (ko) * 1999-06-26 2001-11-01 강낙관 자동 환기창
KR20020034009A (ko) * 2000-11-01 2002-05-08 노도훈 자동 환기장치
KR100951398B1 (ko) * 2008-03-25 2010-04-08 한국원자력연구원 히트 파이프 열교환기를 구비한 잔열제거 계통
KR101436497B1 (ko) 2012-12-11 2014-09-01 한국원자력연구원 나선형 소듐대-소듐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자연순환 냉각 성능을 강화한 소듐냉각 원자로의 완전 피동형 잔열제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055B1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8784A (en) Passive heat transfer means for nuclear reactors
CA2886079C (en) Spring-operated back-up/fail-safe module for active grille shutter systems
JP4148417B2 (ja) 液体金属炉の安定的な受動残熱除去系
ES2638937T3 (es) Aparato de imán
JP2019032582A (ja) 情報処理装置
EP3073410B1 (en) Usb link lock device
KR20200013975A (ko) 소듐-공기 열교환기의 개폐 장치 및 방법
JP6633613B2 (ja) 原子炉から残留熱を排出するための受動的システム
EP3092651A2 (en) Managing nuclear reactor control rods
SA516371249B1 (ar) نظام تبريد سلبي لمبنى احتواء ومحطة قدرة نووية تتضمنه
CN111857284A (zh) 用于容纳存储处理器的装置和存储服务器
KR101520740B1 (ko) 안전 보호 용기 상의 열교환 계통을 갖는 자기 냉각 피동 원자로
EP347429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flow control in reactor passive decay heat removal
RU2082226C1 (ru) Система аварийного расхолаживания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KR102076899B1 (ko) 나노입자를 이용한 원자력 발전소의 냉각시스템
KR101646766B1 (ko) 피동촉매형 수소재결합기 및 이의 자연발화 방지방법
KR102582411B1 (ko) 피동냉각 설비
KR101513163B1 (ko) 역압 안전 밸브를 갖는 자기 냉각 피동 원자로
US11195630B2 (en) Nuclear reactor with fuel elements provided with expanders
KR101513167B1 (ko) 파열 냉각수 탱크를 갖는 자기 냉각 피동 원자로
JPH0525317B2 (ko)
WO2022122057A1 (en) Passive system with increased reliability for decay-heat removal from a nuclear reactor and method carried out on the system
JPH03226695A (ja) 2次系削除型高速増殖炉及びその蒸気発生器
KR100407700B1 (ko) 냉각재 순환펌프의 일차냉각수 유입 저감장치
Zaera-Sanz et al. Methodology, Design and Physical Deployment of Highly Dependable PLC Based Interlock Systems for 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