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412A -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412A
KR20200013412A KR1020180088584A KR20180088584A KR20200013412A KR 20200013412 A KR20200013412 A KR 20200013412A KR 1020180088584 A KR1020180088584 A KR 1020180088584A KR 20180088584 A KR20180088584 A KR 20180088584A KR 20200013412 A KR20200013412 A KR 20200013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user terminal
server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5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4569B1 (en
Inventor
박윤진
Original Assignee
박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진 filed Critical 박윤진
Priority to KR102018008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569B1/en
Publication of KR20200013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4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5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includes: a step of transmitting, by a server, a placement location of a first marker to a first user terminal; a step of receiving, by the server, a first image which takes an image of a first user together with an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t the location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step of transmitting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based on the first image received by th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receiv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강현실 기반으로 방문 장소, 체험 또는 물품 판매 페이지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visited place, an experience or a merchandise sale page, and the like based on augmented reality.

여가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대상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여가 생활의 한 방법 중 여행은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Various methods and objects are being develo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isure life. Travel is an important part of this way of leisure.

특히, 최근에는, 단순한 휴양을 위한 여행뿐만 아니라, 다양한 체험 위주의 여행을 선호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체험 위주의 여행을 위하여 일부 사람들은 스스로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여행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not only travel for recreation, but also prefer to travel for various experiences. For this, experience-oriented travel, some people tend to make and implement travel plans by using the Internet.

또한, 여행 장소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가이드 또는 책을 구매하기도 하며, 여행 기념품 또는 체험과 관련된 물품의 구매 시, 합리적인 소비를 위하여 인터넷 또는 책을 통하여 구매 정보를 얻고 있다.In addition, a guide or a book may be purchas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 travel place, and when purchasing souvenirs or experience-related items, purchase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Internet or a book for rational consumption.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00038호, 2016.03.04.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00038, 2016.03.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행자 또는 체험자들에게 다양한 방문 장소 및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ety of visit places and experiences to travelers or experiencers.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른 체험자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물품 구매 또는 방문 장소와 관련된 설명 등의 웹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b page, such as a description relating to the purchase of goods or a place to visit using an image photographed by another experienced person.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행 또는 방문 체험뿐만 아니라 과제(mission)와 달성(achievement) 시나리오가 있는 교육, 쇼핑, 콘텐츠 등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과제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not only a travel or visit experience, but also a task for a variety of situations, such as education, shopping, content with a mission (achievement) scenario (achieveme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가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장소에서 상기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를 함께 촬영한 제1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1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마커에 해당하는 제1 마커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커는, 상기 제1 마커 정보 제공 용도로서 오프라인 상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제1 마커 정보는, 총 이동 경로, 다음 방문 장소, 현재 장소에서의 미션, 다음 방문 장소에서의 미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he step of the server transmitting the placement of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e server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ing a first image of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nd a first user at the place; a firs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based on the first image received by the server And transmitting the marker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wherein the first marker is pre-installed on-lin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and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includes a total movement path; And at least one of a next visit place, a mission at the current place, and a mission at the next visit plac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마커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마커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2 마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커는, 온라인상에 업로드 된 이미지상에서 추출된 것으로서, 상기 제1 마커를 대체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보여지는 것이고, 상기 제2 마커 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제2 마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로서 미리 결정된 제공 정보 및 온라인상의 정보로서 웹 페이지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he step of the server extracts a second marker from the first image, the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Providing a second image including a second marker to a second user terminal, the server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receiving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wherein the second marker is extracted from an image uploaded on-line and is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in place of the first marker. 2 marker information is determined in advance as information provid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a database of the server or an information provider that provide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As the available information and on-lin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web pages.

상기 웹 페이지 링크는, 상기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와 관련된 설명 페이지, 상기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와 관련된 물품의 판매 페이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된 페이지 및 서버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된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 링크이다.The web page link may include a description page associated with a plac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a sales page of an article related to a plac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a page set by a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request of a server administrator. At least one page link among the set pages.

상기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마커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한 결과물을 수신하는 것이다.The providing of the second imag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may include providing the second user terminal to the second user terminal so that the second user terminal may capture the second image, and request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In the receiving step, the server receives a result of photographing the second image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상기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마커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2 마커를 선택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되, 상기 제2 마커를 선택하는 이벤트는 증강현실 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providing of the second imag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may include displaying the second image on the second user terminal by the server, and receiving the request for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by the server. Receiving an event for selecting the second marker in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from the second user, the event for selecting the second marker in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It is don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1 마커가 배치된 장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장소에서 제1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를 함께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증강현실 객체와 상기 제1 사용자의 촬영 이미지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촬영 결과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마커에 해당하는 제1 마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커는, 상기 제1 마커 정보 제공 용도로서 오프라인 상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제1 마커 정보는, 총 이동 경로, 다음 방문 장소, 현재 장소에서의 미션, 다음 방문 장소에서의 미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in which a first user terminal receives a place where a first marker is arranged from a server, and the first user terminal is located at the place. Recognizing a first marker, photographing, by the first user terminal, an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nd a first user together, wherein the first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and the first user. Transmitting a photographed image to the server, and receiving, by the first user terminal, first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from the server based on a photographing result, wherein the first marker comprises: the first marker; 1 Marker information is provided in advance on the offline for use,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the total travel path, the next visit place, the mission at the current place, c. And at least one of the missions of the places to visi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마커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이미지 상에 포함된 제2 마커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커는,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에서 상기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를 함께 촬영한 제1 이미지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이미지상에서 추출된 것으로서, 제1 마커를 대체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보여지는 것이고, 상기 제1 마커는, 상기 제1 마커의 정보 제공 용도로서 오프라인 상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제2 마커 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제2 마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로서 미리 결정된 제공 정보 및 온라인상의 정보로서 웹 페이지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in which a second user terminal requests a second image including a second marker from a server. Receiving the second image from a server,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server for second marker information included on the second image, wherein the second marker includes: The first image of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nd the first user at the placement location is extrac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on the first image, and replaces the first marker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s shown, the first marker is pre-installed off-line as an information providing purpose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is the server or the And at least one of predetermined information provided as information provid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a database of an information provider providing second marker information and a web page link as online information.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것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이미지 상에 포함된 상기 제2 마커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한 결과물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다.Receiving the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by the second user terminal is provided by the server so that the second user terminal can shoot the second image, the second user terminal is the second image The step of requesting the server for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transmits a result of photographing the second image by the second user terminal to the server.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수신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이미지 상에 포함된 상기 제2 마커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2 마커를 선택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마커를 선택하는 것은 증강현실 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Receiving the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by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cond user terminal is to receive the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to be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cond user The requesting of the server for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included on the second image by the terminal may include selecting the second marker from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by the second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selecting of the second marker is performed in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The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that is hardware to execute any one of the above methods.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여행자 또는 체험자는 스스로 여행 또는 체험을 위하여 자세하게 조사하지 않아도, 다양한 방문 장소 및 체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veler or an experienced person can be provided with various visit places and experience information without having to investigate in detail for a trip or an experience by herself.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문 장소 및 체험 정보를 제공 받음으로써,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ceiving a variety of visit places and experience inform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it is possible to induce interest of users.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방문 장소나 체험과 관련된 물품 등에 대한 구매 페이지 링크 또는 방문 장소와 관련된 설명 페이지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물품 등을 구매하거나 방문 장소에 관련된 상세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user with a link to the purchase page or the page associated with the visit to the purchase site or the article related to the experience, the user can purchase a desired item or the like and check the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visit place Can be.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여행 또는 체험뿐만 아니라, 교육, 쇼핑, 콘텐츠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과제 등을 수행하도록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정보 및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learning by providing the user to perform a task or the like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education, shopping, content, as well as travel or experien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서버의 증강현실 기반 장소 및 체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서버의 증강현실 기반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서버의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서버의 제2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증강현실 기반 장소 및 체험 정보를 제공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증강현실 기반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사용자 단말 상에서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place and experience information of the server.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web page link information of the server.
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providing web page link information of a server.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providing web page link information using a second user terminal of a server.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augmented reality-based place and experience information of a first user terminal.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eiving augmented reality-based web page link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eiving web page link information of a second user terminal.
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receiving web page link information on a second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compon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of cours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erms that ar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specifically defined clearly.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은 카메라 및 위치를 수신하는 GPS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로서,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모두 포함한 것으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도 해당될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re mobile terminals including a camera and a GPS function for receiving a location, and include all of various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rithmetic processing to provide a result to a user.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cellular phone, a 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a mobile terminal of a synchronous / asynchronous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This may also be a Palm Personal Computer (PDA),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the lik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서버의 증강현실 기반 장소 및 체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place and experience information of the server.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가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10),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에서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를 함께 촬영한 제1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S120) 및 서버가 수신한 제1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1 마커에 해당하는 제1 마커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transmits an arrang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S110), and the server arranges the first marker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ing a first image of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nd the first user at the location (S120) and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based on the first image received by the server Transmitting to the first user terminal (S130).

제1 마커는, 제1 마커의 정보 제공 용도로서, 오프라인 상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제1 마커는 오프라인 상에 배치된 물건 등에 대한 일부 표시로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화면을 볼 때에, 카메라를 제1 마커가 배치된 곳을 향하는 경우,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가 카메라 화면 상에 나타난다.The first marker is provided in advance on offlin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first marker. That is, the first marker is a partial display of the object placed on the offline, etc. When the user looks at the camer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camera faces the place where the first marker is disposed, the augmented reality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The object appears on the camera screen.

서버가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10)는, 제1 마커의 배치 장소가 포함된 장소의 방문을 원하는 제1 사용자 단말에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전송한다.In operation S110, the server transmitting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transmits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at wants to visit the place including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방문을 원하는 장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서버는 사용자의 선호를 반영하여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The first user may select a place to be visited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transmits the plac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reference.

서버가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때에는 제1 마커가 배치된 정확한 위치를 전송한다.When the server transmits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e server transmits the exact location where the first marker is placed.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에서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를 함께 촬영한 제1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S120)에서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는 오프라인 상에 배치된 물건 등에 대한 일부 표시인 제1 마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화면을 볼 때에, 카메라를 제1 마커가 배치된 곳을 향하는 경우, 카메라 화면 상에 나타나는 객체이다.Augmented reality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in step S120, the server receives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nd a first image of photographing the first user together at the placement of the first marker; The object is an object that appears on the camera screen when the user faces the place where the first marker is placed when the user views the camer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first marker which is a partial display of an object placed on the offline or the like. to be.

증강현실 객체는 사용자의 단말 화면 상에만 나타나는 가상의 객체로서, 실제 장소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객체이다.The augmented reality object is a virtual object that appears only on the user's terminal screen and is an object that does not appear in a real place.

제1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의 방향을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에서 제1 마커에 해당되는 곳으로 향하는 경우,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가 나타나고, 제1 사용자는 증강현실 객체와 함께 촬영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와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의 촬영 이미지인 제1 이미지를 서버에 전송한다.When the direction of the camera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directed from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to the pl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ppears, and the first user takes a picture together with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The first image, which is a captured image of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and the first marker,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by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서버는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한다.The server receives the first image from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서버가 수신한 제1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1 마커에 해당하는 제1 마커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30)는, 서버가 제1 이미지를 수신하여, 제1 이미지에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가 함께 촬영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마커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다.The transmitting of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based on the first image received by the server (S130) may include receiving the first image by the server and generating a first marker on the first im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is taken together,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제1 마커 정보는, 일 실시예로, 총 이동 경로, 다음 방문 장소, 현재 장소에서의 미션, 다음 방문 장소에서의 미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방문 장소 또는 미션 등은 여행뿐만 아니라 쇼핑 상황에서도 적용된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total travel path, a next visit place, a mission at a current place, and a mission at a next visit place. Visit places or missions apply not only to travel but also to shopping.

제1 마커 정보가 총 이동 경로 또는 다음 방문 장소를 포함하는 것은, 제1 사용자의 여행을 위하여, 다양한 방문 장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includes the total travel path or the next visit place to provide various visit places for the first user's journey.

다른 실시예로, 제1 마커 정보는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교재에 포함되어 있는 캐릭터와 사진을 함께 찍어서 함께 공유하는 등 교육 상황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미션을 포함한다. 방문 장소는 서버 관리자 또는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지정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이후에 변경이 가능하다. 즉, 총 이동 경로가 일부 변경될 수 있으며, 또는 총 이동 경로가 전부 변경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a place, but includes a learning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in an educational situation, such as taking a picture with a character included in a textbook and sharing it together. The visit place is set in advance by the server administrator or a user who designates the plac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and can be changed later. That is, the total travel path may be partially changed, or the total travel path may be all changed.

뿐만 아니라, 총 이동 경로 또는 방문 장소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 받는 사용자의 참여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이 때, 다른 사용자가 변경된 경로 또는 장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경로 또는 장소를 변경한 사용자에게 리워드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tal travel route or visit place may be changed by the participation of a user who receives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when another user uses the changed path or place, a rewar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who changed the path or place.

또한, 제1 마커 정보 중 미션은 서버 관리자 또는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지정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다양한 수행 미션 또는 체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ission of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is to provide a variety of missions or experiences previously set by the server administrator or a user who designates the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수행 미션 또는 체험은 일 실시예로,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에서 기존부터 제공하고 있었던 수행 미션 또는 체험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기존에는 제공되고 있지 않았으나, 서버 관리자 또는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지정하는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진 수행 미션 또는 체험일 수 있다.The mission or experience may be, in one embodiment, a mission or experience that has been previously provided at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and in another embodiment, a server administrator or the placement of the first marker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provided. It may be a fulfillment mission or experience created by a user specifying a place.

수행 미션 또는 체험 또한, 사용자의 참여에 의해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고, 변경된 수행 미션 또는 체험이 다른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경우에는 수행 미션 또는 체험의 변경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리워드가 제공될 수 있다.A performance mission or experience may also be added or changed by the user's participation, and a rewar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who provided a change in the performance mission or experience when the changed performance mission or experience is used by another user.

도 2는 서버의 증강현실 기반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web page link information of the server.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가 제1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추출하는 단계(S140),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2 마커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150),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마커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60) 및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에 제2 마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extracts a second marker from the first image (S140), and the server includes the second marker at the reques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Providing the second imag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S150), the server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S160) and the server provide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S170.

서버가 제1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추출하는 단계(S140)에서 제1 이미지는 일 실시예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상에 업로드 된 것이다.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인스타그램(instagram), 구글+(google+), 유튜브(youtube), 핀터레스트(pinterest), 링크드인(linkedin), 미투데이(me2day), 네이버 밴드(naver band), 카카오스토리(kakao story) 등 본 발명의 서비스와 관련이 없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고, 본 발명 서비스 자체의 어플리케이션 상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도 포함한다.In operation S140 of the server extracting the second marker from the first image, the first image is uploaded on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Facebook, Twitter, Instagram, Google+, YouTube, Pinterest, LinkedIn, LinkedIn, Me2day, Naver Band ( It includes social network service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naver bands and kakao stories, and also includes social network services on applications of the service itself.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 이미지는 사진 형태로서 오프라인 출력물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image is an offline output in the form of a photo.

오프라인 출력물의 상기 제1 이미지 상에서 제2 마커를 추출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서버로 전송한다.A second marker is extracted from the first image of the offline output and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server.

제2 마커는, 온라인상에 업로드 된 이미지 또는 오프라인 출력물 상에서 추출된 것으로서, 제1 마커를 대체하여 제2 사용자 단말에 보여지는 것이다.The second marker is extracted from an image uploaded on-line or off-line output, and is display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place of the first marker.

제1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추출하는 것은, 일 실시예로 서버 자체에서 임의대로 수행되어 추출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서버 관리자 또는 제1 마커 배치 장소를 지정하는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추출 방식에 의해 추출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이미지를 업로드 하는 제1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Extracting the second marker from the first image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by the server itself and may be extracted. In another embodiment, the extraction of the second marker may be performed based on a predetermined extraction method of a user who designates a server manager or a location for placing the first marker. Th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by a first user who uploads the first image.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2 마커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150)에서, 제2 이미지는 서버가 제1 마커에 제2 마커를 오버랩 시켜 제2 마커를 포함시키는 것이다.In operation S150, when the server provides a second image including the second marker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cond image is generated by the server overlapping the second marker with the first marker. 2 markers.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마커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60)에서 제2 마커 정보는 서버 또는 제2 마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로서 미리 결정된 제공 정보 및 온라인상의 정보로서 웹 페이지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operation S160, when the server receives a request for providing second marker information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provid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from a database of a server or an information provider that provide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 predetermined offer information and a web page link as information on-line.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로서 미리 결정된 제공 정보는 제2 마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예컨대, 제2 마커를 이용하여 광고하려는 회사 등)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려는 정보를 제2 마커 정보로서 제공한다.The predetermined provision information a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clude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 a database of an information provider (for example, a company to advertise using the second marker, etc.) that provide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Provide as information.

웹 페이지 링크는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와 관련된 설명 페이지,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와 관련된 물품의 판매 페이지, 제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된 페이지 및 서버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된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 링크이다.The web page link includes at least one of a description page associated with the plac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a sale page of the article associated with the plac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a page set by the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page set by the server administrator's request. Link to the page.

서버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2 마커 정보를 전송한다(S170).The server transmit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S170).

사용자에게 방문 장소나 체험과 관련된 물품 등에 대한 구매 페이지 링크 또는 방문 장소와 관련된 설명 페이지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물품 등을 구매하거나 방문 장소에 관련된 상세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the user with a link to a purchase page or a description page related to a visit place for a product related to a visit place or experience, the user can purchase a desired item or the like and check the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visit place.

도 3 및 도 4는 서버의 증강현실 기반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as a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web page link information of a server.

도 3은 서버가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providing web page link information by a server.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가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10),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에서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를 함께 촬영한 제1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S120), 서버가 수신한 제1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1 마커에 해당하는 제1 마커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30), 서버가 제1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추출하는 단계(S140), 서버가 제2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S152),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이미지를 촬영한 결과물을 수신하는 단계(S162) 및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에 제2 마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transmits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S110), and the server arranges the first marker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ing a first image of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nd the first user at the location (S120), based on the first image received by the server,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S130), the server extracts the second marker from the first image (S140), the server provides a second image, the second user terminal to take a second image Providing (S152) the server to receive the result of photographing the second image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S162), and transmitt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S170). Include.

서버가 제2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S152)는,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2 마커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150)의 일 실시예로서, 서버가 제2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제2 이미지를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As the server provides the second image, the providing of the second user terminal to capture the second image (S152) may include the second image including the second marker at the reques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In an embodiment of providing the second user terminal (S150), the server displays the second image on the computer screen at the request of the second user.

제2 이미지가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면,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컴퓨터 화면에 표시된 제2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서버에 전송한다.When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the second user photographs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by using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second image to the server.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컴퓨터 화면 상에서 제2 이미지를 촬영한 결과물을 수신하는 단계(S162)에서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 제2 이미지를 수신하고, 서버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면,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마커 정보의 제공을 요청한 것으로 인식한다.In step S162, when the server receives the result of photographing the second image on the computer screen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rver receives the second image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receives the second image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Upon receipt, the second user terminal recognizes that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마커가 포함되어 출력된 오프라인 출력물을 촬영하여, 상기 제2 마커가 인식되면, 제2 마커 정보가 증강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user terminal photographs the offline output including the second marker and output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when the second marker is recognized.

따라서, 서버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제2 마커 정보의 제공 요청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2 마커 정보를 전송한다(S170).Therefore, the server transmit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S170).

도 4는 서버의 제2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providing web page link information using a second user terminal of a server.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가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10),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에서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를 함께 촬영한 제1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S120), 서버가 수신한 제1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1 마커에 해당하는 제1 마커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30), 서버가 제1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추출하는 단계(S140), 서버가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54), 서버가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제2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선택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S164) 및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에 제2 마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transmits an arrang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S110), and the server arranges the first marker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ing a first image of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nd the first user at the location (S120), based on the first image received by the server,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S130), the server extracts the second marker from the first image (S140), the server displays the second image on the second user terminal (S154), the server Receiving an event for selecting a second marker from a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from the second user (S164), and transmitt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S170). It includes.

서버가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54)는,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2 마커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150)의 일 실시예로서, 도 3과 같이 컴퓨터 화면을 통하지 않고,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The server displaying the second image on the second user terminal (S154) may include providing the second user terminal with a second image including the second marker at the reques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S150). As an example,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mputer screen as shown in FIG. 3.

서버가 제2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제2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선택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S164)에서 제2 마커를 선택하는 이벤트는,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제2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터치 또는 드래그 등 사용자가 선택하는 행위는 모두 포함된다.In operation S164, when the server receives an event for selecting the second marker from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from the second user, the event for selecting the second marker is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In the second image, all the actions of the user, such as touching or dragging the second marker, are included.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마커를 선택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면, 서버는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마커 정보의 제공을 요청한 것으로 인식한다.When the server receives an event for selecting the second marker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rver recognizes that the second user terminal has requested to provide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따라서, 서버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제2 마커 정보의 제공 요청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2 마커 정보를 전송한다(S170).Therefore, the server transmit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S170).

도 5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증강현실 기반 장소 및 체험 정보를 제공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augmented reality-based place and experience information of a first user terminal.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수신하는 단계(S210),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장소에서 제1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S220), 제1 사용자 단말이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를 함께 촬영하는 단계(S230), 제1 사용자 단말이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의 촬영 이미지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240) 및 제1 사용자 단말이 촬영 결과에 의해 서버로부터 제1 마커에 해당하는 제1 마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es a placement location of a first marker from a server (S210), and the first user terminal places the location. Recognizing the first marker in the step (S220), the first user terminal to shoot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nd the first user together (S230), the first user terminal is augmented reality object and the first The step S240 of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user to the server and the step of receiving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from the server by the first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result (S250).

제1 마커는, 제1 마커의 정보 제공 용도로서, 오프라인 상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제1 마커는 오프라인 상에 배치된 물건 등에 대한 일부 표시로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화면을 볼 때에, 카메라를 제1 마커가 배치된 곳을 향하는 경우,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가 카메라 화면 상에 나타난다.The first marker is provided in advance on offlin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first marker. That is, the first marker is a partial display of the object placed on the offline, etc. When the user looks at the camer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camera faces the place where the first marker is disposed, the augmented reality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The object appears on the camera screen.

제1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수신하는 단계(S210)는, 제1 사용자 단말이 제1 마커의 배치 장소가 포함된 장소의 방문을 원하는 경우,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전송한다.In operation S210,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es a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from the server,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desires to visit a place including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may be determined. send.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방문을 원하는 장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의 선호를 반영한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서버로부터 수신한다.The first user may select a place to be visited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es a plac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reflecting the preference of the first user from the server.

제1 사용자 단말은 제1 마커가 배치된 정확한 위치를 서버로부터 수신한다.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es from the server the exact location where the first marker is placed.

제1 사용자 단말이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를 함께 촬영하는 단계(S230)에서,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는 오프라인 상에 배치된 물건 등에 대한 일부 표시인 제1 마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화면을 볼 때에, 카메라를 제1 마커가 배치된 곳을 향하는 경우, 카메라 화면 상에 나타나는 객체이다.In operation S230,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photographs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nd the first user together,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may be a partial display of an object disposed on the offline. When the user views the camer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1 marker, the camera is an object that appears on the camera screen when the camera faces the place where the first marker is disposed.

증강현실 객체는 사용자의 단말 화면 상에만 나타나는 가상의 객체로서, 실제 장소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객체이다.The augmented reality object is a virtual object that appears only on the user's terminal screen and is an object that does not appear in a real place.

제1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의 방향을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에서 제1 마커에 해당되는 곳으로 향하는 경우,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가 나타나고, 제1 사용자는 증강현실 객체와 함께 촬영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와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의 촬영 이미지인 제1 이미지를 서버에 전송한다(S240).When the direction of the camera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directed from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to the pl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ppears, and the first user takes a picture together with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In operation S240, a first image, which is a captured image of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and the first marker,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제1 사용자 단말이 촬영 결과에 의해 서버로부터 제1 마커에 해당하는 제1 마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50)는, 제1 이미지를 수신한 서버가 제1 이미지에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가 함께 촬영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마커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이 제1 마커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In operation S250,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es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from the server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result, the server receiving the first image corresponds to the first marker in the first im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and the first user are photographed together,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so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es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제1 마커 정보는, 총 이동 경로, 다음 방문 장소, 현재 장소에서의 미션, 다음 방문 장소에서의 미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first marke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total travel path, a next visit place, a mission at a current place, and a mission at a next visit place.

제1 마커 정보가 총 이동 경로 또는 다음 방문 장소를 포함하는 것은, 제1 사용자의 여행을 위하여, 다양한 방문 장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includes the total travel path or the next visit place to provide various visit places for the first user's journey.

방문 장소는 서버 관리자 또는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지정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이후에 변경이 가능하다. 즉, 총 이동 경로가 일부 변경될 수 있으며, 또는 총 이동 경로가 전부 변경될 수도 있다.The visit place is set in advance by the server administrator or a user who designates the plac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and can be changed later. That is, the total travel path may be partially changed, or the total travel path may be all changed.

뿐만 아니라, 총 이동 경로 또는 방문 장소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 받는 사용자의 참여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이 때, 다른 사용자가 변경된 경로 또는 장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경로 또는 장소를 변경한 사용자에게 리워드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tal travel route or visit place may be changed by the participation of a user who receives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when another user uses the changed path or place, a rewar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who changed the path or place.

또한, 제1 마커 정보 중 미션은 서버 관리자 또는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지정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다양한 수행 미션 또는 체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ission of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is to provide a variety of missions or experiences previously set by the server administrator or a user who designates the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수행 미션 또는 체험은 일 실시예로,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에서 기존부터 제공하고 있었던 수행 미션 또는 체험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기존에는 제공되고 있지 않았으나, 서버 관리자 또는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지정하는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진 수행 미션 또는 체험일 수 있다.The mission or experience may be, in one embodiment, a mission or experience that has been previously provided at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and in another embodiment, a server administrator or the placement of the first marker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provided. It may be a fulfillment mission or experience created by a user specifying a place.

수행 미션 또는 체험 또한, 사용자의 참여에 의해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고, 변경된 수행 미션 또는 체험이 다른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경우에는 수행 미션 또는 체험의 변경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리워드가 제공될 수 있다.A performance mission or experience may also be added or changed by the user's participation, and a rewar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who provided a change in the performance mission or experience when the changed performance mission or experience is used by another user.

도 6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증강현실 기반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eiving augmented reality-based web page link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마커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요청하는 단계(S310),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S320),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이미지 상에 포함된 제2 마커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S330)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2 마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requests a second image including a second marker from the server (S310). The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S320), the second user terminal requests the server for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included on the second image (S33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from the server the second Receiving the marker information (S340).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마커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요청하는 단계(S310)에서 제2 마커는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에서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를 함께 촬영한 제1 이미지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상에 업로드 되고, 업로드 된 제1 이미지상에서 추출된 것으로서, 제1 마커를 대체하여 제2 사용자 단말에 보여지는 것이다.In operation S310,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requests a second image including the second marker from the server, the second marker may share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nd the first user at a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The photographed first image is upload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onto a social network service, and extracted from the uploaded first image, and is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in place of the first marker.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인스타그램(instagram), 구글+(google+), 유튜브(youtube), 핀터레스트(pinterest), 링크드인(linkedin), 미투데이(me2day), 네이버 밴드(naver band), 카카오스토리(kakao story) 등 본 발명의 서비스와 관련이 없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고, 본 발명 서비스 자체의 어플리케이션 상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도 포함한다.Social network services include facebook, twitter, instagram, google +, youtube, Pinterest, linkedin, me2day, It includes social network services not related to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naver band and a kakao story, and also includes a social network service on an application of the service itself.

제1 마커는 제1 마커의 정보 제공 용도로서 오프라인 상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The first marker is pre-installed on the offlin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first marker.

제1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추출하는 것은, 일 실시예로 서버 자체에서 임의대로 수행되어 추출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서버 관리자 또는 제1 마커 배치 장소를 지정하는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추출 방식에 의해 추출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이미지를 업로드 하는 제1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Extracting the second marker from the first image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by the server itself and may be extracted. In another embodiment, the extraction of the second marker may be performed based on a predetermined extraction method of a user who designates a server manager or a location for placing the first marker. Th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by a first user who uploads the first image.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S320)에서, 제2 이미지는 서버가 제1 마커에 제2 마커를 오버랩 시켜 제2 마커를 포함시키는 것이다.In operation S320,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the second image is a server including the second marker by overlapping the second marker on the first marker.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이미지 상에 포함된 제2 마커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S330)에서 제2 마커 정보는 서버 또는 제2 마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로서 미리 결정된 제공 정보 및 온라인상의 정보로서 웹 페이지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operation S330,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requests the server for second mark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is the second user terminal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or the information provider that provide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 predetermined offer information a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and a web page link as information to be online.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로서 미리 결정된 제공 정보는 제2 마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예컨대, 제2 마커를 이용하여 광고하려는 회사 등)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려는 정보를 제2 마커 정보로서 제공한다.The predetermined provision information a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clude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 a database of an information provider (for example, a company to advertise using the second marker, etc.) that provide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Provide as information.

웹 페이지 링크는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와 관련된 설명 페이지,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와 관련된 물품의 판매 페이지, 제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된 페이지 및 서버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된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 링크이다.The web page link includes at least one of a description page associated with the plac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a sale page of the article associated with the plac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a page set by the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page set by the server administrator's request. Link to the page.

제2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제2 마커 정보를 수신한다(S340).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S340).

사용자에게 방문 장소나 체험과 관련된 물품 등에 대한 구매 페이지 링크 또는 방문 장소와 관련된 설명 페이지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물품 등을 구매하거나 방문 장소에 관련된 상세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the user with a link to a purchase page or a description page related to a visit place for a product related to a visit place or experience, the user can purchase a desired item or the like and check the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visit place.

도 7 및 도 8은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의 증강현실 기반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 받는 방법으로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as a method in which a second user terminal receives augmented reality-based web page link information of a server.

도 7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컴퓨터 화면을 이용한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receiving web page link information using a computer screen of a second user terminal.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마커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요청하는 단계(S310),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2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단계(S322),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이미지를 촬영한 결과물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332)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2 마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requests a second image including a second marker from the server (S310), at the reques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ing a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to take a picture (S322), the second user terminal transmits the result of photographing the second image to the server (S332)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Receiving step (S340).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단계(S322)는,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S320)의 일 실시예로서,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에 요청하여 서버로부터 제2 이미지를 컴퓨터 화면 상에서 제공 받는 것이다.In operation S322, 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es a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so that the second user terminal may receive the second image. By requesting a server, a second image is provided from a server on a computer screen.

제2 사용자 단말이 컴퓨터 화면 상에서 제2 이미지를 촬영한 결과물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332)는,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컴퓨터 화면 상의 제2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를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고, 제2 사용자 단말이 촬영한 제2 이미지를 서버에 전송하는 것은, 제2 마커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이다.In operation S332, the second user terminal transmits a result of photographing the second image on the computer screen to the server,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photographs the second image on the computer screen provided from the server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erver. The transmitting of the second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user terminal to the server requests the provision of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마커가 포함되어 출력된 오프라인 출력물을 촬영하여, 상기 제2 마커가 인식되면, 제2 마커 정보가 증강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user terminal photographs the offline output including the second marker and output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when the second marker is recognized.

따라서, 제2 사용자 단말은 제2 마커 정보의 제공 요청에 따라, 서버로부터 제2 마커 정보를 수신한다(S340). Therefore, 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S340).

도 8은 제2 사용자 단말 상에서 웹 페이지 링크 정보를 제공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receiving web page link information on a second user terminal.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마커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요청하는 단계(S310),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수신하는 단계(S324),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제2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선택하는 단계(S334)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2 마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requests a second image including the second marker from the server (S31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Receiving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S324), selecting a second marker from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S334)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S340).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수신하는 단계(S324)는,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S320)의 일 실시예로서, 도 7과 같이 컴퓨터 화면을 통하지 않고, 서버로부터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수신하는 것이다.In operation S324, 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to be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as an embodiment of step S320 in which 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image is received from the server to be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mputer screen.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제2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선택하는 단계(S334)에서, 제2 마커를 선택하는 것은,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제2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터치 또는 드래그 등 사용자가 선택하는 행위는 모두 포함된다.In operation S334,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selects the second marker from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selecting the second marker may include selecting the second marker from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2 All actions selected by the user, such as touching or dragging the marker, are included.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제2 마커를 선택하면, 제2 사용자 단말이 서버에 제2 마커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이다.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selects the second marker, the second user terminal requests the server to provide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따라서, 제2 사용자 단말은 제2 마커 정보의 제공 요청에 따라, 서버로부터 제2 마커 정보를 수신한다(S340).Therefore, 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S340).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by a combination thereof. Software modules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form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realiz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10)

서버가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장소에서 상기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를 함께 촬영한 제1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1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마커에 해당하는 제1 마커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커는,
상기 제1 마커 정보 제공 용도로서 오프라인 상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제1 마커 정보는,
총 이동 경로, 다음 방문 장소, 현재 장소에서의 미션, 다음 방문 장소에서의 미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
Transmitting, by the server,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e server receiving,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 first image of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nd a first image of the first user at the place;
And transmitting first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based on the first image received by the server.
The first marker,
It is installed in advance on the offlin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At least one of a total travel path, a next visit place, a mission at the current place, and a mission at the next visit place,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제2 마커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마커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마커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2 마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커는,
온라인상에 업로드 된 이미지상에서 추출된 것으로서, 상기 제1 마커를 대체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보여지는 것이고,
상기 제2 마커 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제2 마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로서 미리 결정된 제공 정보 및 온라인상의 정보로서 웹 페이지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extracting a second marker from the first image;
Providing, by the server, a second image including the second marker to a second us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a second user terminal;
Receiving, by the server, a request for provid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Sending, by the server,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cond marker,
It is extracted from an image uploaded on-line and is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in place of the first marker.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At least one of predetermined information provided as information provid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or information provider for provid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and a web page link as information online.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링크는,
상기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와 관련된 설명 페이지, 상기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와 관련된 물품의 판매 페이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된 페이지 및 서버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된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 링크인,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web page link,
At least one of a description page associated with a plac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a sales page of an article related to a placement place of the first marker, a page set by a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page set by a request of a server administrator Page links,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마커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한 결과물을 수신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Providing the second image to a second user terminal,
The server provides the second user terminal so that the second user terminal can take the second image.
Receiving the request of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Wherein the server receives the result of photographing the second image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마커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2 마커를 선택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되, 상기 제2 마커를 선택하는 이벤트는 증강현실 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Providing the second image to a second user terminal,
The server is displaying the second image on 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ing the request of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The server receives an event for selecting the second marker from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from the second user, wherein the event for selecting the second marker provides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Is done within the application,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제1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제1 마커의 배치 장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장소에서 제1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를 함께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증강현실 객체와 상기 제1 사용자의 촬영 이미지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촬영 결과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마커에 해당하는 제1 마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커는,
상기 제1 마커 정보 제공 용도로서 오프라인 상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제1 마커 정보는,
총 이동 경로, 다음 방문 장소, 현재 장소에서의 미션, 다음 방문 장소에서의 미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
Receiving, by the first user terminal, a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from the server;
Recognizing, by the first user terminal, a first marker at the place;
Photographing, by the first user terminal, an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nd a first user together;
Transmitting, by the first user terminal,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and a captured image of the first user to the server; And
And receiving, by the first user terminal, first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from the server based on a photographing result.
The first marker,
It is installed in advance on the offlin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The first marker information,
At least one of a total travel path, a next visit place, a mission at the current place, and a mission at the next visit place,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마커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이미지 상에 포함된 제2 마커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커는,
제1 마커의 배치 장소에서 상기 제1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와 제1 사용자를 함께 촬영한 제1 이미지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이미지상에서 추출된 것으로서, 제1 마커를 대체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보여지는 것이고,
상기 제1 마커는,
상기 제1 마커의 정보 제공 용도로서 오프라인 상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제2 마커 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제2 마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로서 미리 결정된 제공 정보 및 온라인상의 정보로서 웹 페이지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
Requesting, from the server, a second image including a second marker by a second user terminal;
Receiving, by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Requesting, by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rver for second mark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The second marker,
The first image, which is taken together with the first user and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er at the location of the first marker, is extracted from the first image on the first image, and replaces the first marker. 2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he first marker,
It is installed in advance on the offlin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first marker,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At least one of predetermined information provided as information provid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or information provider for providing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and a web page link as information online.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것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이미지 상에 포함된 상기 제2 마커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한 결과물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Receiving the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by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cond user terminal is provided from the server to take the second image,
Requesting, by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rver for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The second user terminal transmits the result of photographing the second image to the server,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수신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이미지 상에 포함된 상기 제2 마커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2 마커를 선택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마커를 선택하는 것은 증강현실 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Receiving the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by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cond user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image from the server to be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Requesting, by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rver for the second mark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The second user terminal selects the second marker from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wherein the selecting of the second marker is performed in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information. ,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프로그램.10. An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coupled to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stored on a recording mediu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9.
KR1020180088584A 2018-07-30 2018-07-30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KR102174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84A KR102174569B1 (en) 2018-07-30 2018-07-30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84A KR102174569B1 (en) 2018-07-30 2018-07-30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412A true KR20200013412A (en) 2020-02-07
KR102174569B1 KR102174569B1 (en) 2020-11-05

Family

ID=6957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584A KR102174569B1 (en) 2018-07-30 2018-07-30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56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510A (en) * 2009-07-30 2011-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therefor
KR20130014665A (en) * 2011-07-31 2013-02-08 민경환 System and method for trip game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augmented reality
KR20140136088A (en) * 2013-05-16 2014-11-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20150039233A (en) * 2013-10-01 2015-04-1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augmented reality ser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510A (en) * 2009-07-30 2011-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therefor
KR20130014665A (en) * 2011-07-31 2013-02-08 민경환 System and method for trip game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augmented reality
KR20140136088A (en) * 2013-05-16 2014-11-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20150039233A (en) * 2013-10-01 2015-04-1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augmented reality service
KR101600038B1 (en) 2013-10-01 2016-03-0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augmented reality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569B1 (en)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6995B2 (en) Automatic guided image capturing and presentation of images
US20190179405A1 (en) Providing a digital model of a corresponding product in a camera feed
US10298534B2 (en) Associating an indication of user emotional reaction with content items presented by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10984602B1 (en) Facial expression tracking during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sessions
US10645460B2 (en) Real-time script for live broadcast
US201503179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inted glass effect for interface controls and elements
US9830388B2 (en)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US20230300292A1 (en) Providing shared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within video calls
US20150317319A1 (en) Enhanced search results associated with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CN110073348A (en) For the method and system in the interior access third party's service of application
US20160035016A1 (en) Method for experiencing multi-dimensional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20190164323A1 (en) Method and program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CN107735760A (en) For checking the method and system of embedded video
EP3499447A1 (en) Providing a digital model of corresponding product in a camera feed
US20210374199A1 (e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he data communication system
US10600062B2 (en) Retail website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trending looks by location
KR102174569B1 (en)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JP577524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230360282A1 (en) Generating shared augmented reality scenes utilizing video textures from video streams of video call participants
US20230162447A1 (en) Regionally enhancing faces in a digital video stream
JP7281012B1 (e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19207495A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2585102B1 (en)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gps information using metaverse service
US20170270599A1 (en) Retail website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trending looks
JP675598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s,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