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191A -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191A
KR20200013191A KR1020180087715A KR20180087715A KR20200013191A KR 20200013191 A KR20200013191 A KR 20200013191A KR 1020180087715 A KR1020180087715 A KR 1020180087715A KR 20180087715 A KR20180087715 A KR 20180087715A KR 20200013191 A KR20200013191 A KR 20200013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length
porch
displa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826B1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826B1/ko
Priority to US16/514,262 priority patent/US10978005B2/en
Publication of KR2020001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230/00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5Waveforms comprising zero voltage phase or paus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복수의 화소들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외부로부터 입력 받은 타이밍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 제어 신호는, 프레임 구간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 상기 표시부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구간과 상기 표시부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블랭크 구간을 정의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공급되는 제1 구동 모드 및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상기 일정한 주기와 다른 주기로 공급되는 제2 구동 모드에서, 상기 블랭크 구간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매체인 표시장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표시 장치(Display Device)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확한 영상 처리를 위하여 한 프레임의 주기를 변경시키면서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주기가 변동될 때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복수의 화소들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외부로부터 입력 받은 타이밍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 제어 신호는, 프레임 구간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 상기 표시부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구간과 상기 표시부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블랭크 구간을 정의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공급되는 제1 구동 모드 및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상기 일정한 주기와 다른 주기로 공급되는 제2 구동 모드에서, 상기 블랭크 구간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랭크 구간은, 상기 프레임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표시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제1 포치 구간; 및 상기 표시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과 상기 프레임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 사이의 제2 포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는, 상기 제2 포치 구간의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i(i는 2 이상의 자연수)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가 i-1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 보다 증가하면, i+1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는 i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보다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증가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는 감소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i(i는 2 이상의 자연수)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가 i-1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 보다 감소하면, i+1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는 i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보다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감소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는 증가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 모드 및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상기 표시 구간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복수의 화소들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 모드에서, 각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가 서로 동일하고, 각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타이밍 제어부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서 표시부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 제어 신호는, 프레임 구간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 상기 표시부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구간과 상기 표시부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블랭크 구간을 정의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공급되는 제1 구동 모드 및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상기 일정한 주기와 다른 주기로 공급되는 제2 구동 모드에서, 상기 블랭크 구간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랭크 구간은, 상기 프레임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표시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제1 포치 구간; 및 상기 표시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과 상기 프레임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 사이의 제2 포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i(i는 2 이상의 자연수)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가 i-1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 보다 증가하면, i+1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는 i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보다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증가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는 감소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 모드 및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상기 표시 구간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한 영상 처리를 위하여 백 포치 구간 또는 프론트 포치 구간의 길이를 변경하되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랭크 구간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균일한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구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 일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제1 모드로 구동할 때 표시 장치에 입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 데이터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론트 포치 구간, 표시 구간 및 백 포치 구간의 길이를 수치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 동기 신호, 데이터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론트 포치 구간, 표시 구간 및 백 포치 구간의 길이를 수치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 일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할 때 표시 장치에 수직 동기 신호, 데이터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프론트 포치 구간, 표시 구간 및 백 포치 구간의 길이를 수치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부(100)과 표시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00)은 화소들(PXL), 화소들(PXL)에 연결된 데이터선들(D1~Dq) 및 주사선들(S1~Sp)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화소들(PXL)은 데이터선들(D1~Dq) 및 주사선들(S1~Sp)을 통해 데이터 신호 및 주사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화소들(PXL)은 제1 전원(ELVDD) 및 제2 전원(ELVSS)과 연결될 수 있다.
화소들(PXL)은 발광 소자(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발광 소자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전원(ELVDD)은 고전위 전압이고, 제2 전원(ELVSS)은 저전위 전압일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주사 구동부(210), 데이터 구동부(220) 및 타이밍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210)는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에 응답하여 주사선들(S1~Sp)에 주사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 구동부(210)는 주사선들(S1~Sp)에 주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주사선들(S1~Sp)과의 연결을 위하여, 주사 구동부(210)는 화소들(PXL)이 형성된 기판 상에 직접 실장되거나, 연성 회로 기판 등과 같은 별도의 구성 요소를 통해 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20)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와 영상 데이터(DATA)를 입력 받아,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20)는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선들(D1~Dq)에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선들(D1~Dq)과의 연결을 위하여, 데이터 구동부(220)는 화소들(PXL)이 형성된 기판 상에 직접 실장되거나, 연성 회로 기판 등과 같은 별도의 구성 요소를 통해 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특정 주사선으로 주사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특정 주사선과 연결된 일부의 화소들(PXL)은 데이터선들(D1~Dq)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일부의 화소들(PXL)은 공급받은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50)는 주사 구동부(210)와 데이터 구동부(2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신호들은 주사 구동부(210)를 제어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와, 데이터 구동부(22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타이밍 제어부(250)는 외부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와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 신호는 도트 클럭(D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50)는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를 주사 구동부(210)로 공급하고,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220)로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5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데이터 구동부(220)의 사양에 맞는 영상 데이터(DATA3)로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부(220)로 공급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DATA)는 표시부(100)의 화소(PXL)들 각각의 휘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DATA)는, 프레임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는 유효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기간을 정의하는 신호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주사 구동부(210), 데이터 구동부(220), 및 타이밍 제어부(250)를 개별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필요에 따라 통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구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i번째 주사선(Si)과 j번째 데이터선(Dj)에 연결된 화소(PXL)를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소(PXL)는 제1 트랜지스터(T1), 제2 트랜지스터(T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j번째 데이터선(Dj)에 연결된 제1 전극, i번째 주사선(Si)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및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i번째 주사선(Si)으로부터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j번째 데이터선(Dj)으로부터 받은 데이터 신호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로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충전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1 전원(ELVDD)에 연결된 제1 전극,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제1 노드(N1)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 값에 대응하여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거쳐 제2 전원(ELVSS)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전극(애노드 전극)과, 제2 전원(ELVSS)에 연결되는 제2 전극(캐소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2 트랜지스터(T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양에 대응되는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적색, 녹색,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primary color)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빛을 고유하게 내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1)는 이들 색의 공간적인 합으로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서, 트랜지스터들(T1, T2)의 제1 전극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트랜지스터들(T1, T2)의 제2 전극은 제1 전극과 다른 전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이 소스 전극으로 설정되면 제2 전극은 드레인 전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들(T1, T2)은 PMOS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고 NMOS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화소(PXL)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이므로, 본 발명의 화소(PXL)가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화소(PXL)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회로 구조를 가지며, 현재 공지된 다양한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 외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제공되는 전류를 보상하기 위한 부가적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수직 동기 신호, 데이터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특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타이밍 제어부(250)에 입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데이터 신호(DATA)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프레임 구간(FR)은 표시부(100)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구간(DPP) 및 표시부(100)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블랭크 구간(VB)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랭크 구간(VB)은 표시 구간(DPP)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블랭크 구간(VB)은 프론트 포치 구간(FPP) 및 백 포치 구간(BPP)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포치 구간(FPP)은 프레임 구간(FR)이 시작되는 시점 및 표시 구간(DPP)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일 수 있다. 백 포치 구간(BPP)은 표시 구간(DPP)이 종결되는 시점 및 상기 프레임 구간(FR)이 종결되는 시점 사이일 수 있다.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프레임 구간(FR)을 정의할 수 있다.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하이 레벨 구간과 로우 레벨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주기는 프레임 구간(FR)의 주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로우 레벨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은 프레임 구간(FR)이 시작되는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는 프레임 구간(FR)들 각각에 구비된 블랭크 구간(VB)과 표시 구간(DPP)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는 표시 구간(DPP)에서 로우 레벨을 갖고, 블랭크 구간(VB)에서 하이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가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구간 동안, 데이터 구동부(220)에서 데이터 신호(DATA)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각 프레임 구간(FR)에 포함되는 프론트 포치 구간(FPP), 백 포치 구간(BPP) 및 표시 구간(DPP)이 동일하도록 구동되는 제1 모드, 또는 각 프레임 구간(FR)에 포함되는 프론트 포치 구간(FPP), 백 포치 구간(BPP) 및 표시 구간(DP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가변하는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론트 포치 구간, 표시 구간 및 백 포치 구간의 길이를 수치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각 프레임 구간(FR)은 프론트 포치 구간(FPP), 표시 구간(DPP) 및 백 포치 구간(BPP)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프레임 구간(FR)의 길이를 2216이라 할 때, 프론트 포치 구간(FPP)의 길이는 200, 표시 구간(DPP)의 길이는 2000, 백 포치 구간(BPP)의 길이는 16이 될 수 있다. 즉, 한 프레임 구간(FR) 내에서 영상이 표시 되는 구간인 표시 구간(DPP)의 길이는 2000이고,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구간인 블랭크 구간(VB)의 길이는 216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각 프레임 구간(FR)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프레임 구간(FR)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해상도의 표시 장치에서 게임이 실행되어 예측 불가능한 영상을 표시하여야 하는 경우,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백 포치 구간(BPP)이 길어질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는 제2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 동기 신호, 데이터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특히, 도 5는 각 프레임 구간(FR)의 길이가 서로 다를 때 타이밍 제어부(250)에 입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데이터 신호(DATA)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프레임 구간(FR)의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번째 프레임 구간(FRn)과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의 길이는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를 위하여, n번째 프레임 구간(FRn)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하이 레벨 유지 기간은,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하이 레벨 유지 기간보다 길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론트 포치 구간, 표시 구간 및 백 포치 구간의 길이를 수치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의 길이를 2216이라 할 때 n번째 프레임 구간(FRn)의 길이는 2328로 길어질 수 있다. 또한,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은 2258로서,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의 길이보다 길고 n번째 프레임 구간(FRn)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프레임 구간(FR)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지만 프론트 포치 구간(FPP)과 표시 구간(DPP)의 길이는 동일하고 백 포치 구간(BPP)의 길이만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의 표시 구간(DPP)과 n번째 프레임 구간(FRn)의 표시 구간(DPP) 사이에 배치된 블랭크 구간(VB)은 n번째 프레임 구간(FRn)의 표시 구간(DPP)과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의 표시 구간(DPP) 사이에 배치된 블랭크 구간(VB) 구간보다 짧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는, 표시 구간(DPP) 및 프론트 포치 구간(FPP)의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백 포치 구간(BPP)만 길어지므로 프레임 구간(FR) 자체가 길어지게 된다. 이 경우, 프레임이 변경될 때마다 영상이 비표시 되는 구간(즉, 블랭크 구간(VB))의 길이가 변경되게 되므로, 영상의 휘도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수직 동기 신호, 데이터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특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타이밍 제어부(250)에 입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데이터 신호(DATA)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프레임 구간(FR)의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번째 프레임 구간(FRn)과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의 길이는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를 위하여,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n번째 프레임 구간(FRn)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각각의 하이 레벨 유지 기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프론트 포치 구간, 표시 구간 및 백 포치 구간의 길이를 수치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7을 참조하면,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의 길이를 2216이라 할 때 n번째 프레임 구간(FRn)의 길이는 2328로 길어질 수 있다. 또한,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은 2258로서,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의 길이보다 길고 n번째 프레임 구간(FRn)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 때, 표시 구간(DPP)의 길이만 동일하게 유지되고 프론트 포치 구간(FPP) 및 백 포치 구간(BPP)의 길이는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 포치 구간(BPP)의 길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백 포치 구간(BPP)의 변경 정도에 대응하여 변경된 백 포치 구간(BPP) 후에 이어지는 프론트 포치 구간(FPP)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서로 연속하는 백 포치 구간(BPP)과 프론트 포치 구간(FPP)의 총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에서 16만큼의 길이를 갖던 백 포치 구간(BPP)이, n번째 프레임 구간(FRn)에서 128만큼의 길이를 갖도록 변경되면, n번째 프레임 구간(FRn)에서 200만큼의 길이를 갖던 프론트 포치 구간(FPP)은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에서 88만큼의 길이를 갖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n번째 프레임 구간(FRn)에서 128만큼의 길이를 갖던 백 포치 구간(BPP)이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에서 58만큼의 길이를 갖도록 변경되면,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에서 88만큼의 길이를 갖던 프론트 포치 구간(FPP)이 n+2번째 프레임 구간(FRn+2)에서 158만큼의 길이를 갖도록 변경될 수 있다.
즉, 프레임이 변경될 때마다 백 포치 구간(BPP)의 길이가 변하더라도, 서로 연속하는 백 포치 구간(BPP)과 프론트 포치 구간(FPP)의 총 길이는 216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의 표시 구간(DPP)과 n번째 프레임 구간(FRn)의 표시 구간(DPP) 사이에 배치된 블랭크 구간(VB), n번째 프레임 구간(FRn)의 표시 구간(DPP)과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의 표시 구간(DPP) 사이에 배치된 블랭크 구간(VB), n+1번째 프레임 구간(FRn+1)의 표시 구간(DPP)과 n+2번째 프레임 구간(FRn+2)의 표시 구간(DPP) 사이에 배치된 블랭크 구간(VB)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프레임 구간(FR)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일정하지 않은 주기로 공급되더라도, 영상이 표시 되는 구간(즉, 표시 구간(DPP))과 영상이 비표시 되는 구간(즉, 블랭크 구간(VB))의 길이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휘도를 균일하게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백 포치 구간(BPP) 및 프론트 포치 구간(FPP)의 길이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급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공급 타이밍은 외부에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표시 장치 100: 표시부
200: 표시 구동부 210: 주사 구동부
220: 데이터 구동부 250: 타이밍 제어부
DPP: 표시 구간 VB: 블랭크 구간
FPP: 프론트 포치 구간 BPP: 백 포치 구간

Claims (15)

  1.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복수의 화소들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타이밍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 제어 신호는, 프레임 구간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 상기 표시부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구간과 상기 표시부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블랭크 구간을 정의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공급되는 제1 구동 모드 및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상기 일정한 주기와 다른 주기로 공급되는 제2 구동 모드에서, 상기 블랭크 구간의 길이가 동일한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구간은,
    상기 프레임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표시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제1 포치 구간; 및
    상기 표시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과 상기 프레임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 사이의 제2 포치 구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는, 상기 제2 포치 구간의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변경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i (i는 2 이상의 자연수)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가 i-1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 보다 증가하면, i+1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는 i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보다 감소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증가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는 감소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와 동일한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i (i는 2 이상의 자연수)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가 i-1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 보다 감소하면, i+1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는 i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보다 증가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감소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는 증가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와 동일한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모드 및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상기 표시 구간의 길이가 동일한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복수의 화소들로 공급하는 표시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모드에서,
    각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가 서로 동일하고, 각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11. 타이밍 제어부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서 표시부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 제어 신호는, 프레임 구간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 상기 표시부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구간과 상기 표시부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블랭크 구간을 정의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공급되는 제1 구동 모드 및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상기 일정한 주기와 다른 주기로 공급되는 제2 구동 모드에서, 상기 블랭크 구간의 길이가 동일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구간은,
    상기 프레임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표시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제1 포치 구간; 및
    상기 표시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과 상기 프레임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 사이의 제2 포치 구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i (i는 2 이상의 자연수)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가 i-1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 보다 증가하면, i+1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는 i번째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보다 감소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증가된 제2 포치 구간의 길이는 감소된 제1 포치 구간의 길이와 동일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모드 및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상기 표시 구간의 길이가 동일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80087715A 2018-07-27 2018-07-27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542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15A KR102542826B1 (ko) 2018-07-27 2018-07-27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6/514,262 US10978005B2 (en) 2018-07-27 2019-07-17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15A KR102542826B1 (ko) 2018-07-27 2018-07-27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191A true KR20200013191A (ko) 2020-02-06
KR102542826B1 KR102542826B1 (ko) 2023-06-15

Family

ID=6917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715A KR102542826B1 (ko) 2018-07-27 2018-07-27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78005B2 (ko)
KR (1) KR1025428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378A (ko) * 2011-11-25 2013-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076490A (ko) * 2016-12-28 2018-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와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3721B2 (en) 2009-12-30 2014-09-02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aligning frame data
US9036084B2 (en) * 2013-04-11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ous display of video data
KR20160099277A (ko) * 2015-02-12 201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6983B1 (ko) 2015-04-30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38199B1 (ko) 2015-12-24 2022-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378A (ko) * 2011-11-25 2013-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076490A (ko) * 2016-12-28 2018-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와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35167A1 (en) 2020-01-30
US10978005B2 (en) 2021-04-13
KR102542826B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868B1 (ko) Oled 표시 장치
US10937370B2 (en) Data driving circuit, display panel and display
KR102141238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0916205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30039551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20043995A (ko) 표시 장치
JP2016081030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US11417278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27276B1 (ko) 구동회로,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045807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20150142144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4008573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40069671A (ko)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133499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70110211A (ko) 화소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104241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14594B1 (ko)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20053688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10062764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99374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60027583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60070653A (ko) Oled 표시 장치
KR102542826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055383B1 (ko) 화소 회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992879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