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166A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3166A KR20200013166A KR1020180084427A KR20180084427A KR20200013166A KR 20200013166 A KR20200013166 A KR 20200013166A KR 1020180084427 A KR1020180084427 A KR 1020180084427A KR 20180084427 A KR20180084427 A KR 20180084427A KR 20200013166 A KR20200013166 A KR 202000131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prescription
- information
- pharmacy
- c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5—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lurality of channe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의료기관부재(100)로부터 발행된 처방전에 따라 약을 조제하는 약국에 설치되는 약국 부재(400)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 수개의 의료기관부재(100)로부터 처방전 발행 요청이 접수되면, 의약품 데이터가 포함된 의약품 코드(600)와 환자의 개인정보로 분할된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을 구비하는 클라우드 부재(200) 및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 및 저장하는 이용자 단말(300)을 포함하고, 약국 부재(400)는 이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하는 리더 단말(420) 및 리더 단말(420)로부터 수신된 의약품 코드(600)에 일치되는 개인정보를 클라우드 부재(200)로 요청하여 의약품 데이터와 환자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전자 처방전을 완성하는 약국 단말(410)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환자는 병원으로부터 종이 형태의 처방전을 발급받으면, 약국으로 가서 해당 처방전을 제출하여 약을 처방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종이 처방전은 보관이 쉽지 않기 때문에 분실, 훼손 등의 우려가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병원에서는 환자 보관용 처방전과, 약국 제출용 처방전을 함께 환자에게 발급하게 되므로 종이를 불필요하게 많이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병원에서 약국 제출용 처방전만을 환자에게 발급하는 경우 환자로서는 처방전을 약국에 제출하고 나면 처방 내역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자처방전이 이용되고 있다. 의사는 진료 시 처방내역을 전자문서로 작성하여 외부의 전자처방전 공인 보관 서버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하고, 환자가 방문한 약국에서는 전자처방전 공인 보관 서버에 접속해 환자의 전자처방전을 조회하여 약품을 조제할 수 있다.
하지만, 환자의 개인정보가 담긴 전자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해킹될 위험성이 있고, 또한, 병원에서 전자처방전의 수정이나 재발급과 같은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 시, 종이 처방전에 비해 처리 절차가 번거로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처방전을 간단하게 발급받아 약국에 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이 처방전의 분실, 훼손, 환경 문제 등을 해결하고, 외부의 서버를 경유하지 않는 것에 의해 해킹 가능성을 차단하여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전자 처방전의 발행 및 접수를 위하여 의료 기관의 처방전 발행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키오스크를 약국에 설치하였고, 약국을 지정한 환자의 전자 처방전을 약국에서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키오스크 단말이 고가 임에 따라 설치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키오스크의 단말을 통한 처방전 접수는 환자가 약국을 지정한 경우에만 전자 처방전의 발행이 가능한 것이며, 환자들 대부분은 종이 처방전을 출력하는 실정임에 따라 가격 대비 그 효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처방전을 전자 처방전으로 대체할 수 있고, 처방 의약품 정보와 환자 개인정보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관리하고, 2채널로 분리하여 환자(또는 대리인) 및 약국에 제공함에 따라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에 연동하여 약국의 재고 현황 산출 및 자동 주문이 가능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을 이용한 의약품 자동 주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 수개의 의료기관들의 처방전을 빅데이터화하여 처방전의 오류를 자동 수정할 수 있고, 각 약국의 재고 현황 파악을 통하여 조제 가능한 약국을 안내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의약품 자동 주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료기관부재로부터 발행된 처방전에 따라 약을 조제하는 약국에 설치되는 약국 부재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 수개의 의료기관부재로부터 처방전 발행 요청이 접수되면, 의약품 데이터가 포함된 의약품 코드와 환자의 개인정보로 분할된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을 구비하는 클라우드 부재 및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라우드 관리 단말로부터 의약품 코드를 수신 및 저장하는 이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약국 부재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의약품 코드를 수신하는 리더 단말 및 리더 단말로부터 수신된 의약품 코드에 일치되는 개인정보를 클라우드 부재로 요청하여 의약품 데이터와 환자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전자 처방전을 완성하는 약국 단말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채널 방식으로 의약품 데이터가 포함된 의약품 코드와, 개인정보를 이용자와 약국에서 상호 분리하여 제공하고, 환자의 개인정보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관리함에 따라 개인정보의 유출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QR 코드 및 이를 감지할 수 있는 POS 단말로서 전자 처방전을 전달할 수 있어 종이 처방전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 단말의 고장 또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의약품 코드의 오류를 대비할 수 있어 전자 처방전의 송수신에 따른 이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처방전과 약국의 재고 현황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관리함에 따라 약국의 재고 관리가 용이하고, 환자들에게 처방전별 조제 가능 약국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환자들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기관부재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무인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4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5는 이용자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6은 QR코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QR코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약국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S22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S23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S44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기관부재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무인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4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5는 이용자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6은 QR코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QR코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약국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S22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S23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S44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용자 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전자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통신부 및 네트워크는 통신 사업자에 의한 유무선 통신망과, 유무선 랜, 와이파이, 블루투스, 적외선, RF, NFC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공지된 통신장치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된 장치로서 장치나 장소 및 목적에 따라서 하나 또는 복 수개가 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장치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 등임에 따라 설치되는 장치의 명칭과 통신부를 조합하여 총칭하였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외부 네트워크 환경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은 처방전을 발행하는 의료기관부재(100)와, 의료기관부재(100)로부터 환자의 개인정보 및 처방전을 수신하여 2채널로서 전자 처방전을 발행하는 클라우드 부재(200)와, 클라우드 부재(200)로부터 의약품 데이터 및 인증키가 포함된 의약품 코드(600)(도 6 및 도 7 참조)를 수신하는 이용자 단말(300)과, 이용자 단말(300)의 의약품 코드(600)와 클라우드 부재(200)로부터 환자의 개인정보를 조합하여 전자 처방전을 완성 및 처방 의약품을 조제하는 약국 부재(400)와, 약국 부재(400)의 주문에 따라 의약품을 공급하는 공급사 단말(500)을 포함한다.
의료기관부재(100)는 병원, 의원, 보건서와 같이 처방전 발행이 가능한 의료기관을 의미한다. 여기서 의료기관부재(100)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환자의 대리인 정보, 환자에게 처방된 의약품과 진단명을 의미하는 데이터 및 코드로서 클라우드 부재(200)로 송신한다.
클라우드 부재(200)는 의료기관과 약국과 처방전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20)와,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여 이용자 단말(300) 및 약국 부재(400)로 의약품 코드(600) 및 개인정보를 송신하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의료기관별 정보(예를 들면, 주소, 진료과목, 의사, 전화번호등)와 환자 및/또는 환자의 대리인 정보와, 이용자 단말 정보 및 처방전등이 저장되는 의료기관 DB(221)와, 약국의 위치와 의약품의 재고현황 및/또는 약사정보가 저장되는 약국 DB(222)와, 처방전을 누적하여 저장 및 분류하는 처방전 DB(2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처방전 DB(223)는 이전 및 이후부터 발행된 처방전을 빅 데이터화(BIG-DATA)하여 진단명 또는 진단 코드에 따라 처방된 의약품 데이터 및 의약품 코드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부재(200)는 증상에 따른 처방전 정보를 빅데이터화 한다.
또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다수개의 의료기관부재(100)에서 수신된 처방전을 빅데이터화하고, 처방전에 따라 전자 처방전을 생성한다.
전자 처방전은 처방된 의약품을 지정하는 코드 또는 정보로 이루어진 의약품 데이터와, 환자의 개인 정보로서 구분하여 서로 다른 채널로서 송신된다. 따라서 클라우드 부재(200)는 처방된 의약품 데이터가 포함된 의약품 코드(600)를 이용자 단말(300)에 송신하고, 약국 부재(400)에 환자의 개인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약국 부재(400)에 송신되는 개인정보는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약품 코드(600)는 의약품 데이터와, 환자 본인 및/또는 대리인의 식별하는 식별 정보 및/또는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해제할 수 있는 복호화키, 의약품 코드의 발행 정보 및 사용 기간을 포함하는 발행정보와, 1회용 인증키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의약품 코드(600)는 QR 코드로 이용자 단말(300)에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처방전에 필요한 처방 의약품 정보와, 환자의 개인정보 를 상호 분리하여 제공함에 따라 종이 처방전을 대체하고, 환자의 개인정보 누출을 방지한다.
이용자 단말(300)은 클라우드 부재(200)로부터 수신된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 및 출력한다. 여기서 이용자는 환자 본인 또는 환자가 지정한 대리인중 어느 하나에서 등록한 모바일 단말에 해당되며, 이용자 단말(300)의 정보는 의료기관부재(100)를 통하여 클라우드 부재(200)에 등록될 수 있다.
약국 부재(400)는 이용자 단말(300)로부터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하는 리더 단말(420)과, 리더 단말(420)의 의약품 코드(600)에 포함된 1회용 인증키 및/또는 발행정보를 통하여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환자의 개인정보를 요청하여 전자 처방전을 출력하는 약국 단말(410)과, 전자 처방전을 출력하는 조제 단말(430)을 포함한다. 즉, 약국 부재(400)는 2채널로 수신된 의약품 데이터와 개인정보를 조합하여 전자 처방전을 완성하고, 이에 따른 의약품을 조제한다.
위에서 설명드린 의료기관부재(1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기관 부재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무인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의료기관부재(100)는 처방 의약품 및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진료 단말(110)과, 의료기관부재의 내부 네트워크 환경을 유지 및 관리하는 기관 서버(120)와, 처방전 신청 및 이용자 단말(300)의 등록을 요청하는 무인 단말(130)을 포함한다.
진료 단말(110)은 의사 및/또는 관련 직원(간호사 또는 행정직원)들이 처방 의약품과 환자의 개인정보를 등록한다. 진료 단말(110)은 이를 위하여 별도의 정보 입력 프로그램등이 구동될 수 있다.
기관 서버(120)는 내부 네트워크 환경을 유지 관리하며, 외부 네트워크 환경의 접속을 중개한다. 또한 기관 서버(120)는 진료 단말(110)과 무인 단말(130)간의 의약품 처방 및 환자 개인정보와, 수납 및 접수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금융 서버와 연계되어 비용 결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기관 서버(120)는 무인 단말(130) 또는 진료 단말(110)의 요청(예를 들면, 처방전 발행 요청)에 의해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송신한다. 또한, 기관 서버(120)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약국별 조제 가능한 의약품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이를 무인 단말(130) 및/또는 진료 단말(110)에 제공함도 가능하다.
무인 단말(130)은, 예를 들면, 키오스크로서 입력된 선택 명령과 기관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하여 진료 접수, 약국 검색, 수납, 지리 정보, 이용자 단말(300)의 등록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무인 단말(130)은 선택 명령에 따른 정보를 입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무인 단말 제어부(131), 기관 서버(120)와 진료 단말(110) 및/또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과 통신하는 무인 단말 통신부(132)와, 이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무인 단말 디스플레이(133)를 포함한다.
이중 무인 단말 디스플레이(133)는 터치형 디스플레이로서 다수개의 메뉴와, 메뉴 선택에 따른 결과를 출력한다.
무인 단말 통신부(132)는 무인 단말 제어부(131)의 제어에 따라 기관 서버(120)와 진료 단말(110) 및/또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과 통신을 수행한다. 또는 무인 단말 통신부(132)는 비용 수납을 위하여 금융 기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인 단말 통신부(132)는 이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과, 클라우드 관리 단말 및/또는 진료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신장치들이 조합된 장치를 의미한다. 이는 공지된 통신장치들의 조합에 해당되어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다.
다만, 무인 단말 통신부(132)는 이용자 단말(300)에 후술되는 1회용 인증키를 기록할 수 있도록 NFC 기록장치 또는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장치중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인 단말 제어부(131)는 환자의 접수 정보를 생성하는 접수 모듈(131a)과, 약국의 지리 및 처방전별 조제 가능 약국을 검색하는 약국 검색모듈(131b)과, 금융 서버(도시되지 않음)와의 통신을 통하여 비용을 결재하는 수납 모듈(131c)과, 선택된 지역의 지리 정보를 출력하는 지리 정보 모듈(131d)과, 처방전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처방전 신청 모듈(131e)과, 이용자 단말(300)의 정보를 등록하는 정보 등록 모듈(131f)을 포함한다.
접수 모듈(131a)은 환자의 접수 및 진료 기록을 생성하여 진료 단말(110)로 송신한다. 즉, 환자 또는 환자의 대리인(이하 이용자로 총칭함)은 무인 단말 디스플레이(133)를 통하여 진료를 신청하면, 접수 모듈(131a)은 환자의 접수 기록을 생성하여 무인 단말 통신부(132)를 통하여 기관 서버(120) 또는 진료 단말(110)로 송신한다.
지리 정보 모듈(131d)은 무인 단말 디스플레이(133)를 통하여 선택된 지역의 지리 정보를 출력한다. 즉, 지리 정보 모듈(131d)은 전자맵을 출력한다.
약국 검색모듈(131b)은 지리 정보 모듈(131d)과 연계되어 이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해당되는 약국을 지리 정보 모듈(131d)에서 제공되는 전자맵에 표시하여 무인 단말 디스플레이(133)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약국 검색모듈(131b)은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해당 이용자에게 처방된 처방의약품의 조제가 가능한 약국을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등록된 전체 약국에서 보유된 의약품 현황을 정보를 보유하고 있고, 이를 무인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약품 보유 현황 정보는 기관 서버(120)를 통하여 무인 단말(130)로 실시간으로 제공되거나, 무인 단말(130)의 실시간 요청에 따라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약국 검색모듈(131b)은 해당 이용자에 연계된 처방전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의약품의 조제가 가능한 약국 정보를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 및/또는 기관 서버(120)로 요청한다. 그리고 약국 검색모듈(131b)은 수신된 처방전의 조제가 가능한 약국 정보를 무인 단말 디스플레이(133)로 출력한다.
수납 모듈(131c)은 진료 단말(110) 및/또는 기관 서버(120)를 통하여 해당 이용자의 결재 비용을 산출 및 수납을 진행한다. 이를 위하여 수납 모듈(131c)은 외부의 금융 서버(도시되지 않음)와 연계될 수 있다.
처방전 신청 모듈(131e)은 무인 단말 디스플레이(133)를 통한 처방전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해당 이용자의 처방전을 요청한다. 여기서 처방전 요청은 진료 단말(110)로부터 작성된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과 개인정보와, 정보 등록 모듈(131f)에 의해 등록된 이용자 단말(30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등록 모듈(131f)은 이용자 단말(300) 정보의 등록을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요청한다. 여기서 이용자 단말(300) 정보는 환자 본인 또는 환자의 대리인 여부와,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정보 등록 모듈(131f)은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이용자 단말(300)의 등록시에 해당 이용자 단말(300)에 1회용 인증키의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1회용 인증키는 이용자 단말(300)의 에러나 외부 네트워크 환경에 의하여 의약품 코드(600)를 미수신, 또는 의약품 코드의 손상, 또는 응급 상황시에 해당 환자의 전자 처방전을 발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1회용 인증키는 무인 단말(130)에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 수신하여 이용자 단말(300)에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이는 무인 단말 통신부(132)에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블루투스, WiFi, NFC)를 추가함에 따라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무인 단말 통신부(132)는 NFC 기록 장치, 이용자 단말은 NFC 수신 장치를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정보 등록 모듈(131f)은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1회용 인증키를 NFC 기록장치에 태깅된 이용자 단말(300)에 기록한다.
1회용 인증키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 이용자 단말(300)로 송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1회용 인증키는 1회 사용 후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의 수신 여부에 따른 응답 또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보 등록 모듈(131f)은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환자의 처방전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환자 본인에 부여되는 환자 본인 코드와, 환자 대리인을 의미하는 환자 대리인 코드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 본인 식별코드가 총 8개의 숫자가 조합된 코드라면, 환자 대리인의 식별 코드는 환자 본인 식별코드 외에 대리인을 의미하는 대리인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약국에서는 이와 같은 식별정보를 통하여 본인 또는 정당한 대리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정상적인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환자 본인 코드 및 환자 대리인 코드는 무인 단말(130)의 정보 등록 모듈(131f)을 통하여 이용자 단말(300) 등록시 생성되어 처방전과 함께 클라우드 부재(200)에 송신될 수 있다.
또는 식별정보는 클라우드 부재(200)에서 일괄적으로 생성하여 의약품 코드(600)에 포함시킴도 가능하다. 식별정보의 생성은 다양한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그 주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무인 단말 제어부(131)는 진료 단말(1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무인 단말(130) 또는 진료 단말(110)에서 접수, 약국 검색, 수납, 지리 정보, 처방전 신청 및 이용자 단말(300)의 등록이 가능하며 이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의료기관부재(100)와 이용자 단말(300) 및 약국 부재(400)와의 요청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관리 단말 제어부(211)와, 의료기관부재(100)와 이용자 단말(300) 및 약국 부재(4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관리 단말 통신부(212)와, 관리 단말 디스플레이(213)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단말 통신부(212)는 의료기관부재(100)와 약국 부재(400) 및 이용자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외부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며, 이는 공지된 구성임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관리 단말 제어부(211)는 처방전 의약품 코드(600) 오류를 검색 및 수정하는 오류 수정 모듈(211a)과,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검색된 정보를 송신 및 출력하는 출력 제어 모듈(211b)과,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전자 처방전 생성 모듈(211c)과, 의약품 코드(600)를 분할하는 코드 분할 모듈(211d)과, 개인 정보를 암호화 및 복호화키를 생성하는 암호화 모듈(211e)과, 1회용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 생성 모듈(211f)을 포함한다.
오류 수정 모듈(211a)은 기관 서버(120) 및/또는 무인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의약품 데이터(코드)와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처방전 정보를 비교하여 수신된 의약품 데이터(코드)의 오류 여부를 확인하여 수정한다.
출력 제어 모듈(211b)은 데이터베이스(220)의 검색과, 이용자 단말(300), 무인 단말(130) 및 약국 단말(410)에 설정된 정보(예를 들면, 처방전별 조제 가능 약국 정보, 의약품 코드(600), 1회용 인증키, 개인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출력 제어 모듈(211b)은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의 조제 가능한 약국 정보, 의약품 코드(600) 및 환자의 개인 정보를 검색한다. 여기서 조제 가능한 약국 정보는 무인 단말(130) 및/또는 기관 서버(120)의 요청에 의해 진행 및 송신되거나 처방전 요청 접수 후 이용자 단말(300)에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제어 모듈(211b)은 약국 부재(400)로부터 의약품 코드(600)가 수신되면, 해당 의약품 코드(600)에 일치된 환자의 개인정보를 의료기관 DB에서 검색하여 해당 약국 부재(400)에 송신한다.
또한, 출력 제어 모듈(211b)은 1회용 인증키가 수신되면, 연계된 개인정보 및 의약품 코드(600)를 검색하여 이용자 단말(300)에 재송신하거나 또는 약국 단말(41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제어 모듈(211b)은 1회용 인증키가 수신되면, 연계 설정된 이용자 단말(300)로 1회용 인증키 수신에 대하여 응답한다.
전자 처방전 생성 모듈(211c)은 기관 서버(120) 및/또는 무인 단말(130)을 통하여 수신된 처방전 정보를 확인하여 전자 처방전을 생성한다. 여기서 전자 처방전은 개인정보와, 의약품 코드(600)로서 분할 생성된다. 이중 의약품 코드(600)는 의약품 데이터와, 복호화키, 환자 본인 또는 대리인 여부를 포함하는 식별정보, 발행정보, 1회용 인증키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중 발행정보는 개인정보와 연계되는 의약품 코드(600)의 발행번호, 사용 가능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코드(600)는 QR 코드로 이는 도 6과 도 7과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중,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코드(600)는 QR코드로 각각의 데이터(예를 들면, 의약품 데이터, 복호화키, 식별정보, 발행정보 또는 1회용 인증키)별로 서로 다른 QR코드(611~614)로 생성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QR코드(610)에 의약품 데이터, 복호화키, 발행정보, 1회용 인증키 또는 식별정보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복호화키는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코드이고, 1회용 인증키는 외부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의약품 코드(600)의 미수신 또는 이용자 단말(300)의 에러에 의한 의약품 코드(600)의 삭제 또는 손상을 대비하는 것으로서, 의약품 코드(600)에 포함되거나 또는 무인 단말(130)의 이용자 단말(300)에 등록시 별도로 송부될 수 있다.
코드 분할 모듈(211d)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데이터가 하나의 QR코드에 저장되었을 경우 해당 QR코드(621, 622)를 분할하고, 분할된 QR코드의 연결점(a, b, c, d) 정보를 생성한다. 연결점(a, b, c, d) 정보는 완전체 QR코드에서 임의로 설정된 분할선의 좌표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즉, QR코드는 이와 같은 연결점(좌표정보)(a, b, c, d)를 통하여 퍼즐과 같은 방식으로 분할 및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점은 발행정보와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에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할된 QR코드중 어느 하나는 이용자 단말(300)에 송신되고, 남은 하나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다. 따라서 약국 부재(400)로부터 이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분할된 QR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QR코드에 일치되는 연결점(a, b, c, d) 정보를 갖는 분할 QR코드를 검색하여 의약품 코드(600)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미완성된 의약품 코드(600)를 이용자 단말(300)에 송신하고,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서 약국 부재(400)로부터 미완성된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하여 의약품 코드(600)를 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출력 제어 모듈(211b)은 미완성된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하여 남은 반쪽의 의약품 코드(600)를 검색하여 의약품 코드(600)를 완성하고, 의약품 코드(600)에 일치되는 환자 개인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의약품 코드(600)와 함께 약국 부재(4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코드 분할 모듈(211d)은 의약품 코드(600)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암호화 모듈(211e)은 전자 처방전 생성 모듈(211c)에서 생성된 환자의 개인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개인 정보를 복호화시킬 수 있는 복호화키를 생성한다.
즉,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약국 부재(400)로 송신하고, 약국 부재(400)는 이용자 단말(300)로부터 획득된 복호화키를 통하여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복호화함에 따라 개인 정보의 유출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로 개인정보는 전자 처방전 생성 시마다 암호화되고, 이에 따라 복호화키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증키 생성 모듈(211f)은 1회용 인증키를 생성한다. 여기서 1회용 인증키는 1회 사용 후 이용자 단말(300)에서 자동 삭제되거나, 사용 기간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1회용 인증키는 무인 단말(130)에 등록된 이용자 단말(300)에만 발급되는 것으로 의약품 코드(600)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개로 송신될 수 있다.
도 5는 이용자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용자 단말(300)은 이용자 단말 제어부(310)와, 이용자 단말 통신부(320)와, 이용자 단말 디스플레이(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용자 단말 통신부(320)는 원거리 및 근거리 무선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특히 이용자 단말 통신부(320)는 무인 단말 통신부(132)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1회용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도록 NFC 수신장치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장치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 제어부(310)는 이용자 단말 통신부(320)를 통하여 수신된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 및 저장하는 의약품 코드 수신모듈(311)과, 1회용 인증키를 저장하는 1회용 인증키 저장 모듈(312)을 포함한다.
의약품 코드 수신 모듈(311)은 이용자 단말 통신부(320)를 통하여 수신된 의약품 코드(600)를 이용자 단말 디스플레이(330)에 출력한다. 여기서 의약품 코드 수신 모듈(311)은 의약품 코드(600) 별로 설정된 기간/시간이 경과 되면 사용 여부와 상관없이 자동삭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회용 인증키 저장 모듈(312)은 1회용 인증키를 저장하고, 이용자 단말 통신부(320)의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예를 들면, NFC 통신)로 약국 부재(400)로 송신한다. 여기서 1회용 인증키 저장 모듈(312)은 1회용 인증키가 사용 후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의 응답 또는 설정된 기간이 경과 되면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도 8은 약국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약국 단말(410)은 리더 단말(420)로부터 수신된 의약품 코드(600)를 이용하여 전자 처방전을 완성 및 출력하는 약국 단말 제어부(411)와,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 및 리더 단말(420)과 통신하는 약국 단말 통신부(412)와, 재고 정보 및 전자 처방전을 출력하는 약국 단말 디스플레이(413)와, 재고 정보를 저장하는 재고 DB(414)를 포함한다.
약국 단말 통신부(412)는 내부 네트워크 통하여 리더 단말(420),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과 통신을 수행한다. 내부 및 외부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임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약국 단말 디스플레이(413)는 전자 처방전과, 재고 현황 정보, 주문서등 약국 단말 제어부(411)에 의해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약국 단말 디스플레이(413)는 조제 단말(430)과 출력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제 단말(430)은, 예를 들면, 조제실에 설치된 단말로서 약사에게 전자 처방전을 출력하고, 입력된 조제 정보를 약국 단말(410)로 송신할 수 있다. 조제 정보는 이번 처방에 사용된 의약품의 종류와 수량이 포함된다.
또한, 조제 단말(430)과 약국 단말(410)은 동일한 것으로 설치될 수 있다.
재고 DB(414)는 재고 현황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재고 현황 정보는 재고 관리 모듈(411e)에 의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고, 설정된 시간 주기 또는 특정 약품이 부족한 상황이 되면,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송신될 수 있다.
약국 단말 제어부(411)는 리더 단말(420)로부터 수신된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하는 리딩 정보 수신 모듈(411a)과,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모듈(411b)과, 전자 처방전을 완성 및 출력하는 전자 처방전 출력 모듈(411c)과, 조제 가능 의약품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관리 모듈(411d)과, 재고 현황 및 재고 부족을 감시하는 재고 관리 모듈(411e)과, 재고 부족 의약품의 주문서를 생성 및 송신하는 주문서 생성 모듈(411f)을 포함한다.
리딩 정보 수신 모듈(411a)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된 리더 단말(420)의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하고, 해당 의약품 코드(600)에 포함된 의약품 데이터와, 복호화키와, 식별정보와, 1회용 인증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리더 단말(420)은 QR코드를 감지하는 POS 단말로서 이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330)에 출력된 QR코드를 리딩하여 약국 단말 제어부(411)로 송신한다.
그러므로 리딩 정보 수신 모듈(411a)은 이를 수신하여 QR코드에 포함된 복 수개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QR코드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QR코드의 사용 가능여부는, 예를 들면, 발행번호 및/또는 사용기간을 포함하는 데이터 또는 문자로서 QR코드 자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정보 요청 모듈(411b)은 리딩 정보 수신 모듈(411a)에서 추출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약국 단말 통신부(412)를 제어하여 해당 식별정보에 일치되는 개인정보를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요청한다.
여기서 정보 요청 모듈(411b)은 미완성된 의약품 코드(600)(분할된 QR코드(621))가 수신되면, 분할 QR코드의 발행정보를 확인하여 개인정보 및 완성된 의약품 데이터를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정보 요청 모듈(411b)은 1회용 인증키가 수신되면, 해당 1회용 인증키에 포함된 인증정보를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송신하여 해당 인증정보에 일치된 의약품 코드(600) 및 개인정보를 요청한다.
또는 정보 요청 모듈(411b)은 해당 이용자 단말(300)에 의약품 코드(600)의 재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1회용 인증키를 이용하여 의약품 코드(600)를 이용자 단말(300)에 재송신 요청하거나, 의약품 코드(600) 및 개인정보를 약국 단말(410)에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직접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처방전 출력 모듈(411c)은 약국 단말 통신부(412)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의약품 코드(600)에 포함된 복호화키로 암호를 해제하고, 의약품 데이터와 조합하여 전자 처방전을 완성한다. 완성된 전자 처방전은 약국 단말 통신부(412)를 통하여 조제 단말(430)로 송신된다. 또는 전자 처방전은 약국 단말 디스플레이(413)에 출력될 수 있다.
정보 관리 모듈(411d)은 의약품 재고 현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조제 가능한 의약품 정보를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송신한다. 즉, 정보 관리 모듈(411d)은 재고 현황 정보를 실시간, 설정된 주기별, 이벤트(특정 약품의 재고 소진)별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 송신한다.
재고 관리 모듈(411e)은 재고 현황 정보의 생성 및 재고 수량에서 의약품 조제로 인하여 사용된 의약품을 가감하여 재고 현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한다. 여기서 재고 관리 모듈(411e)은 전자 처방전의 포함된 의약품별 종류와 수량을 확인하여 현재 재고 현황 정보를 갱신하거나, 조제 단말(430)로부터 수신되 조제정보를 통하여 재고 현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재고 관리 모듈(411e)은 특정 의약품의 재고 부족이 감지되면, 이를 메세지로서 이벤트 발생을 경보한다. 이와 같은 이벤트 발생 정보는 정보 관리 모듈(411d)을 통하여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 송신된다.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해당 약품에서 재고가 소진된 의약품의 발생시에 해당 의약품을 통한 처방전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처방전에 따른 조제 가능 약국 정보에서 해당 약국을 제외하고 이용자 단말(300) 및/또는 무인 단말(130)에 안내할 수 있다.
주문서 생성 모듈(411f)은 재고 관리 모듈(411e)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주문서를 생성한다. 여기서 주문서는 약국 단말 디스플레이(413)에 출력되고, 이전에 자동 설정된 수량으로 주문서를 완성하거나, 수동 입력된 정보를 통하여 주문서를 완성할 수 있다.
즉, 주문서 생성 모듈(411f)은 각 의약품별 주문 수량 및 공급사 단말(500)의 정보(예를 들면, 이메일 주소, 팩스 번호)이 설정되어, 해당 의약품에 대한 재고 부족 이벤트가 발생되면 자동으로 설정 수량을 주문하는 주문서가 생성되어 공급사 단말(500)로 자동송신됨이 가능하다.
또는 주문서 생성 모듈(411f)은 관리자의 수동 입력에 따른 정보를 통하여 주문서를 완성하고, 선택된 공급사 단말(500)로 주문서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의료기관 부재에서 이용자 정보 등록 및 처방전을 등록하는 S100 단계와, 클라우드 부재(200)에서 처방전 및 이용자 정보를 저장(S210)하고,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여 이용자 단말(300) 및 약국 부재(400)에 각각 분리하여 송신하는 S200 단계와, 이용자 단말(300)에서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하는 S300 단계와, 약국 부재(400)에서 이용자 단말(300)의 의약품 코드(600)를 리딩(S410) 하여 클라우드 부재(200)에 개인정보를 요청(S420) 하여 전자 처방전을 완성 및 출력(S430)하는 S400 단계를 포함한다.
이중 S100 단계는 이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이용자 정보는 진료 단말(110)을 통해서 입력된 환자의 개인정보와, 이용자 단말(300) 정보(예를 들면, 환자의 전화번호, 대리인의 전화번호), 접수 및 의료기록, 수납 및 결재 정보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료 단말(110)의 환자 개인정보는 기관 서버(120)를 통하여 클라우드 부재(200)로 송신된다.
또한, 무인 단말(130)은 이용자가 진료 후 무인 단말(130)을 통하여 진료비용을 수납선택 시에 금융서버와 연계하여 결재를 진행하고, 이용자 단말(300) 정보를 등록한다.
여기서 무인 단말(130)은 이용자 단말(300)의 등록 및/또는 처방전 발행 요청시에 1회용 인증키를 클라우드 부재(200)에 요청 및 수신하여 이용자 단말(300)에 송신한다. 1회용 인증키는 무인 단말(130)의 NFC 기록장치에 의해 이용자 단말(300)로 송신된다. 또는 1회용 인증키는 의약품 코드(600)와 함께 송신됨도 가능하다.
S200 단계는 클라우드 부재(200)에서 의료기관부재(100)들의 개인정보와 이용자 단말(300) 및 처방전을 저장하는 S210 단계와,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여 2채널로 송신하는 S220 단계를 포함한다.
S210 단계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서 복 수개의 의료기관부재(100)들로부터 수신되는 처방전과 환자 개인정보 및 이용자 단말(300)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진단 별 처방의약품을 분류 저장하여 빅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또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이용자 단말(300)의 등록시에 1회용 인증키를 생성하여 무인 단말(130) 또는 이용자 단말(300)에 직접 송신한다.
S220 단계는 처방전 요청이 접수되면 의약품 코드(600)와 개인정보가 분리된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고, 2채널로서 이용자 단말(300) 및 약국 단말(41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S220 단계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S22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S220 단계는 오류 확인 후 수정하는 S221 단계와, 개인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키를 생성하는 S222 단계와, 의약품 코드(600)를 생성 및 송신하는 S223 단계와, 약국 단말(410)로부터 개인 정보 요청이 접수되는 지를 판단하는 S224 단계와, 암호화된 개인 정보를 송신하는 S225 단계와, 개인 정보 송신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S226 단계와, 1회용 인증키가 접수되는 지를 판단하는 S227 단계와, 1회용 인증키에 일치되는 처방전의 발행기록을 확인하여 약국 단말(410) 및/또는 이용자 단말(300)에 의약품 코드(600) 및/또는 개인정보를 송신 여부를 결정하는 S228 단계를 포함한다.
S221 단계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접수된 처방전의 오류를 확인하여 이를 수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출력 제어 모듈(211b)은 수신된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 데이터(코드) 및/또는 진단명을 의미하는 진단 코드와 일치되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의약품 데이터(코드) 또는 진단 코드를 검색 및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오류 수정 모듈(211a)은 출력 제어 모듈(211b)의 검색 결과를 통하여 오류 여부를 확인하고, 오류를 수정한다.
여기서 처방전은 진단 명(진단코드)과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약품 데이터와, 이용자 단말(300)의 식별정보(환자 또는 대리인 식별)와, 개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222 단계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서 오류 수정된 처방전을 통하여 확인된 환자의 개인정보를 암호화하고, 해당 암호화를 해제할 수 있는 복호화키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암호화 모듈(211e)은 처방전 또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환자의 개인정보를 암호화하고, 이를 해제할 수 있는 복호화키를 생성한다. 여기서 환자의 개인정보는 처방전 발행시마다 암호화되기에 복호화키 역시 신규 생성된다.
S223 단계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서 의약품 코드(600)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전자 처방전 생성 모듈(211c)은 QR코드로서 의약품 데이터와, 식별정보와, 복호화키와 발행정보가 서로 다른 QR코드로서 분할되거나 하나의 QR코드로서 의약품 코드(600)를 생성하고, S222 단계에서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연계시킨다.
또는 의약품 코드(600)는 인증키 생성 모듈(211f)에 의해 생성된 1회용 인증키를 더 포함함도 가능하다. 여기서 1회용 인증키는 의약품 코드(600)와 함께 이용자 단말(300)에 송신되거나 또는 별개로서 무인 단말(130)을 통하여 이용자 단말(300)에 송신될 수 있다.
아울러, 전자 처방전 생성 모듈(211c)은 상기와 같이 의약품 코드(600)와 개인정보의 연계 설정 후, 등록된 이용자 단말(300)에 의약품 코드(600)를 송신한다.
S224 단계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서 약국 단말(410)의 개인 정보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약국 단말(410)은 리더 단말(420)로부터 인식된 의약품 코드(600)에 포함된 발행정보를 통하여 개인정보를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요청할 수 있다.
S225 단계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S224 단계에서 개인 정보 요청이 접수되면, 해당 의약품 코드(600)의 발행정보에 연계된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발행정보는 연계된 개인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발행번호 및/또는 사용 가능 기간이 포함된다. 따라서 출력 제어 모듈(211b)은 개인정보의 요청시에 함께 수신된 발행정보와 데이터베이스(220)에 등록된 발행 정보 및 사용 설정기간과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 개인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약국 단말(410)에 에러 메세지를 송신한다.
S226은 개인정보의 송신 또는 에러 메세지 송신 여부를 기록 및 저장하는 단계이다.
S227 단계는 1회용 인증키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S228은 1회용 인증키가 수신되면, 해당 1회용 인증키에 연계된 이용자 단말(300) 및 처방전 정보를 검색하고, 이전 발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출력 제어 모듈(211b)은 약국 단말(410)로부터 1회용 인증키가 수신되면, 해당 1회용 인증키가 발행된 이용자 단말(300)의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출력 제어 모듈(211b)은 1회용 인증키에 연계 설정된 전자 처방전 정보를 검색하여 의약품 코드(600)를 재송신한다.
또는 출력 제어 모듈(211b)은 해당 1회용 인증키에 연계된 의약품 코드(600)와 개인정보를 약국 단말(410)로 송신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이용자 단말(300)에 의약품 코드(600) 재송신과 약국 단말(410)의 의약품 코드(600)와 개인정보의 송신 여부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서 설정된 규칙에 따라서 상담원과의 통화 또는 ARS를 통하여 이용자의 확인 과정을 거쳐 약국 단말(410)로 개인정보와 의약품 코드(600)를 모두 송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 단말(300)에 의약품 코드(600)를 재송신하여 S223 단계 이후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S300 단말은 이용자 단말(300)에서 리더 단말(420)과의 통신으로 약국 단말(410)에 1회용 인증키 및/또는 의약품 코드(600)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리더 단말(420)은 POS 스캐너로서 QR 코드를 감지하는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S300 단계 설명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S300 단계는 1회용 인증키를 수신 및 저장하는 S310 단계와, 암호화키 및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하는 S320 단계와, 의약품 코드(600)의 에러 여부를 판단하는 S330 단계와, 의약품 코드(600)의 에러가 발생되면 1회용 인증키를 출력하는 S340 단계와, 1회용 인증키 출력 이후에 1회용 인증키를 삭제하는 S350 단계와, 의약품 코드(600)가 정상이면 출력하는 S360 단계를 포함한다.
S310 단계는 무인 단말(130) 또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 1회용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무인 단말(130)을 통하여 처방전 발행을 요청 후, 무인 단말 디스플레이(133)에 출력되는 안내에 따라 자신의 이용자 단말(300)을 무인 단말 통신부(132)에 속한 NFC 기록장치에 태깅한다. 따라서 무인 단말(130)은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1회용 인증키를 NFC 기록장치를 통하여 이용자 단말(300)로 송신한다.
그러므로 이용자 단말 제어부(310)는 1회용 인증키 저장모듈(312)에서 이를 저장한다. 이때 1회용 인증키는 이용자의 식별정보(환자 또는 대리인 정보)와, 발행정보(발행번호 및 사용기간, 처방전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인 단말(130)은 진료 단말(110)로 대체가능하고, 1회용 인증키 역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 직접 수신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1회용 인증키가 처방전 발행 요청시에 생성 및 수신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이용자 단말(300)은 환자의 최초 진료 접수 또는 이후에 추가 등록이 가능함에 따라 진료 단말(110) 및/또는 무인 단말(130)에서 진료 접수시마다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따라서 1회용 인증키는 진료 접수시마다 생성되어 무인 단말(130)과 진료 단말(110) 및/또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 이용자 단말(300)에 송신됨도 가능하다.
아울러,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이용자의 진료 접수시마다 무인 단말(130) 및/또는 기관 서버(120)의 요청에 의해 해당 환자의 개인정보에 연계된 1회용 인증키를 생성 및 송신하고, 이용자 단말(300)은 진료 단말(110) 및/또는 무인 단말(130)을 통하여 수신 및 저장한다.
S320 단계는 이용자 단말(300)에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의약품 코드(600)는 의약품 데이터와,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해제할 수 있는 복호화키와, 환자 또는 대리인을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의약품 코드(600)의 발행번호 및 사용기간이 포함된 발행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S330 단계는 의약품 코드(600)의 에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근처 약국을 방문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 디스플레이(330)에 의약품 코드(600)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때 의약품 코드(600)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과 이용자 단말(300)간의 외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하여 수신됨에 따라 통신오류 또는 기타 원인에 의하여 수신된 의약품 코드(600)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 단말 제어부(310)는 의약품 코드(600)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여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340 단계는 이용자 단말 제어부(310)에서 의약품 코드(600)에 에러가 발생 되면 1회용 인증키를 이용자 단말 디스플레이(330)에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1회용 인증키는 QR코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즉, 의약품 코드 수신 모듈(311)은 의약품 코드(600)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이후 의약품 코드(600)의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안내 메세지와 함께 이용자 단말 디스플레이(330)에 1회용 인증키를 자동으로 출력 시킨다.
S350 단계는 이용자 단말 제어부(310)에서 1회용 인증키를 삭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1회용 인증키 저장모듈(312)은 1회용 인증키의 출력 이후,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면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회용 인증키는 리더 단말(420)을 통하여 약국 단말(410)로 출력되고, 약국 단말(410)은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1회용 인증키를 송신하여 연계된 의약품 코드(600)를 이용자 단말(300)에 재송신하도록 요청하거나, 약국 단말(410)로 직접 의약품 코드(600) 및 개인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므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1회용 인증키를 통하여 정보 요청 또는 재송신이 요청되면, 출력 제어 모듈(211b)이 구동되어 해당 1회용 인증키에 연계 설정된 이용자 단말(300)에 1회용 인증키의 수신에 대하여 응답한다.
따라서 이용자 단말(300)의 1회용 인증키 저장모듈(312)은 1회용 인증키를 삭제하며, 이후 진료 접수 또는 처방전 발행 요청시에 신규 생성된 1회용 인증키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또는 1회용 인증키 저장 모듈은 출력 후 설정 시간과, 사용 기간의 경과 여부 또는 리더 단말(42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RF, WiFi, 적외선 통신, NFC 중 어느 하나)을 통하여 자동 삭제됨도 가능하다.
S360 단계는 S330 단계에서 에러가 발생되지 않으면 의약품 코드(600)를 이용자 단말 디스플레이(330)에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의약품 코드 수신 모듈(311)은 이용자 단말 디스플레이(330)를 통하여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된 의약품 코드(600)를 출력한다.
S400 단계는, 도 9를 참조하면, 약국 부재(400)의 리더 단말(420)에서 이용자 단말(300)의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하는 S410 단계와, 의약품 코드(600)에 따른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S420 단계와, 전자 처방전을 출력하는 S430 단계를 포함한다.
S410 단계는 약국 부재(400)의 리더 단말(420)에서 이용자 단말(300)에서 출력된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리더 단말(420)은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POS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종래에 약국에 설치되는 고가의 키오스크 대신 저렴한 POS 단말을 사용함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가능하다.
S420 단계는 약국 부재(400)에서 이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의약품 코드(600)를 확인하여 이에 연계 설정된 환자의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약국 단말(410)은 의약품 코드(600)에 포함된 발행정보 및 식별정보를 통하여 의약품 코드(600)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해당 환자의 개인정보를 요청한다.
S430 단계는 약국 부재(400)에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개인정보를 확인하여 의약품 코드(600)에 포함된 의약품 데이터를 조합하여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약국 단말(410)은 의약품 코드(600)에 포함된 복호화키로서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해제하고, 전자 처방전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전자 처방전은 조제 단말(430)로 출력되어 처방전에 따른 의약품의 조제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은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서 각 약국의 재고현황을 수집하여 처방전별 제조 가능한 약국 정보를 제공하는 S230 단계와, 약국 단말(410)의 의약품 재고 현황에서 조제에 사용된 의약품을 가감하여 실시간으로 재고 현황을 업데이트 하여 소진된 의약품을 자동으로 주문하는 S44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중 S230 단계는 도 12, S440 단계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S23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약국 단말(410)들로부터 재고 현황 정보를 수집하는 S231 단계와, 처방전별 조제 가능한 약국을 검색 및 저장하는 S232 단계와, 처방전의 접수 후 조제 가능한 약국 정보를 무인 단말(130)과 진료 단말(110) 및/또는 이용자 단말(300)에 송신하는 S233 단계를 포함한다.
S231 단계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서 약국 단말(410)로부터 재고 현황 정보를 실시간 또는 이벤트별로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220)의 약국 DB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이벤트는 약국에서 이전 보유한 특정 약품의 소진 및 주문 정보에 해당 된다.
여기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특정 약국에서 이벤트 발생 후 해당 의약품의 입고가 완료되면, 이를 통하여 해당 약국의 재고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S232 단계 및 S233 단계에서 생성 및 송신되는 조제 가능 약국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S232 단계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서 빅데이터화된 처방전 정보를 이용하여 처방전별로 조제 가능한 약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각 약국의 재고 현황 정보와 처방전의 빅데이터를 비교하여 처방전별로 조제 가능한 약국 정보를 생성한다.
S233 단계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서 처방전별 조제 가능한 약국 정보를 진료 단말(110)과 무인 단말(130)과 기관 서버(120)와 및/또는 이용자 단말(3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조제 가능한 약국 정보는 설정된 주기별로 송신되거나, 또는 처방전 요청시마다 송신될 수 있다.
도 13은 S44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S440 단계는 약국 단말(410)에서 재고 현황 정보를 생성 및 업데이트 하는 S441 단계와, 재고 현황 정보를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송신하는 S442 단계와, 주문 여부를 판단하는 S443 단계와, 공급사 단말(500)에 주문서를 송신하는 S445 단계와, 입고 의약품 정보를 추가하는 S446 단계를 포함한다.
S441 단계는 약국 단말(410)에서 재고 의약품의 종류와 수량을 포함하는 재고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조제 단말(430)에서 사용된 의약품의 종류와 수량을 확인하여 재고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이다.
S442 단계는 약국 단말(410)에서 재고 현황 정보를 실시간 및/또는 특정 의약품의 소진 또는 입고 여부가 포함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약국 단말(410)은 특정 의약품의 재고 수량이 설정된 조건에 해당되면, 해당 의약품에 대한 수량 부족과 특정 의약품의 입고 여부가 포함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약국 단말(410)은 의약품의 재고 수량 변화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설정된 주기 및/또는 실시간으로 재고 현황 정보를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송신한다. 이때 재고 현황 정보는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거나, 별도로 송신될 수 있다.
S443 단계는 약국 단말(410)에서 재고 수량이 부족한 의약품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S444 단계는 약국 단말(410)에서 부족한 의약품의 주문서를 자동 생성하고, 설정된 공급사 단말(5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주문서는 재고 수량이 부족한 의약품과, 이전 설정된 수량으로 자동 생성될 수 있다.
S445 단계는 신규 의약품 또는 재고 수량이 부족한 의약품의 입고 여부 및 수량을 등록하는 단계이다. 약국 단말(410)은 공급사 단말(500)에 주문한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이 입력되면, 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입고 정보는 S441 단계를 통하여 재고 현황 정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2채널로서 의약품 데이터와 개인정보를 분리하여 이용자와 약국으로 송신하고, 개인정보가 암호화됨에 따라 개인정보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의약품 코드(600)를 QR코드로서 제공할 수 있어 고가의 키오스크가 아닌 저렴한 POS 단말로서 전자 처방전 전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자 처방전의 전달이 종래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 할 수 있고, 환자의 편의성 향상과,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 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의료기관부재
110 : 진료 단말
120 : 기관 서버 130 : 무인 단말
131 : 무인 단말 제어부 131a : 접수 모듈
131b : 약국 검색모듈 131c : 수납 모듈
131d : 지리 정보 모듈 131e : 처방전 신청 모듈
131f : 정보 등록 모듈 132 : 무인 단말 통신부
133 : 무인 단말 디스플레이 200 : 클라우드 부재
210 : 클라우드 관리 단말 211 : 관리 단말 제어부
211a : 오류 수정 모듈 211b : 출력 제어 모듈
211c : 전자 처방전 생성 모듈 211d : 코드 분할 모듈
211e : 암호화 모듈 211f : 인증키 생성 모듈
212 : 관리 단말 통신부 213 : 관리 단말 디스플레이
220 : 데이터베이스 221 : 의료기관 DB
222 : 약국 DB 223 : 처방전 DB
300 : 이용자 단말 400 : 약국 부재
410 : 약국 단말 411 : 약국 단말 제어부
411a : 리딩 정보 수신 모듈 411b : 정보 요청 모듈
411c : 전자 처방전 출력 모듈 411d : 재고 관리 모듈
411e : 주문서 생성 모듈 412 : 약국 단말 통신부
413 : 약국 단말 디스플레이 414 : 재고 DB
420 : 리더 단말 430 : 조제 단말
500 : 공급사 단말 600, 610, 621, 622 : 의약품 코드
a, b, c, d : 연결점
120 : 기관 서버 130 : 무인 단말
131 : 무인 단말 제어부 131a : 접수 모듈
131b : 약국 검색모듈 131c : 수납 모듈
131d : 지리 정보 모듈 131e : 처방전 신청 모듈
131f : 정보 등록 모듈 132 : 무인 단말 통신부
133 : 무인 단말 디스플레이 200 : 클라우드 부재
210 : 클라우드 관리 단말 211 : 관리 단말 제어부
211a : 오류 수정 모듈 211b : 출력 제어 모듈
211c : 전자 처방전 생성 모듈 211d : 코드 분할 모듈
211e : 암호화 모듈 211f : 인증키 생성 모듈
212 : 관리 단말 통신부 213 : 관리 단말 디스플레이
220 : 데이터베이스 221 : 의료기관 DB
222 : 약국 DB 223 : 처방전 DB
300 : 이용자 단말 400 : 약국 부재
410 : 약국 단말 411 : 약국 단말 제어부
411a : 리딩 정보 수신 모듈 411b : 정보 요청 모듈
411c : 전자 처방전 출력 모듈 411d : 재고 관리 모듈
411e : 주문서 생성 모듈 412 : 약국 단말 통신부
413 : 약국 단말 디스플레이 414 : 재고 DB
420 : 리더 단말 430 : 조제 단말
500 : 공급사 단말 600, 610, 621, 622 : 의약품 코드
a, b, c, d : 연결점
Claims (7)
- 의료기관부재(100)로부터 발행된 처방전에 따라 약을 조제하는 약국에 설치되는 약국 부재(400);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 수개의 의료기관부재(100)로부터 처방전 발행 요청이 접수되면, 의약품 데이터가 포함된 의약품 코드(600)와 환자의 개인정보로 분할된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을 구비하는 클라우드 부재(200); 및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부터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 및 저장하는 이용자 단말(300);을 포함하고,
약국 부재(400)는
이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의약품 코드(600)를 수신하는 리더 단말(420); 및
리더 단말(420)로부터 수신된 의약품 코드(600)에 일치되는 개인정보를 클라우드 부재(200)로 요청하여 의약품 데이터와 환자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전자 처방전을 완성하는 약국 단말(410);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의약품 코드(600)는
의약품 종류와 수량이 포함된 의약품 데이터와, 환자 또는 대리인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발행번호 및 사용기간이 포함된 발행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QR 코드이고,
리더 단말(420)은 QR 코드를 감지하는 POS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빅데이터화된 처방전 정보와 의료기관부재(100)로부터 수신된 처방전에 포함된 진단별 의약품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류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개인정보는 암호화되고,
의약품 코드(600)는 암호호된 개인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키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의료기관부재(100)는
진료 접수, 진료비 수납, 처방전 요청 및 처방전별로 연계 설정되어 의약품 코드(600)의 수신 가능한 이용자 단말(300)의 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요청하는 무인 단말(130);을 포함하고,
무인 단말(130)은
이용자 단말(300)의 등록 요청시에 환자 본인 또는 대리인 여부가 포함된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이용자 단말(300)은
처방전 발행 요청시마다 의료기관부재(100)로부터 의약품 코드(600)를 대체할 수 있는 1회용 인증키를 수신 및 저장하고,
약국 단말(410)은
1회용 인증키를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 송신하여 의약품 코드(600) 및 개인정보를 요청하고,
무인 단말(130)은
처방전 발행 명령이 입력되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에 처방전별로 연계 설정된 이용자 단말(300)의 1회용 인증키를 요청 및 수신하는 무인 단말 제어부(131); 및
무인 단말 제어부(131)의 제어에 의하여 이용자 단말(300)에 1회용 인증키를 기록하는 NFC 기록장치;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약국 단말(410)은
보유 의약품의 재고 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로 송신하고,
클라우드 관리 단말(210)은
각 약국 단말(410)별로 수신된 재고 현황 정보와, 빅데이터화된 처방전 정보를 조합하여 처방전별 조제 가능한 약국 정보를 생성하여 이용자 단말(3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4427A KR102172364B1 (ko) | 2018-07-20 | 2018-07-20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4427A KR102172364B1 (ko) | 2018-07-20 | 2018-07-20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3166A true KR20200013166A (ko) | 2020-02-06 |
KR102172364B1 KR102172364B1 (ko) | 2020-10-30 |
Family
ID=6956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4427A KR102172364B1 (ko) | 2018-07-20 | 2018-07-20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236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8491A (ko) * | 2010-05-24 | 2011-11-3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약국 예약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약국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 |
KR20120026194A (ko) * | 2010-09-09 | 2012-03-19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전자처방전 제어 관리 시스템, 병원단말장치, 및 전자처방전을 제어 관리하는 방법 |
KR20140014871A (ko) * | 2012-07-26 | 2014-02-06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전자 처방전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방법 |
KR101496186B1 (ko) * | 2014-04-14 | 2015-03-20 | 이디비(주) | 개인정보 보호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KR101811789B1 (ko) | 2015-10-19 | 2017-12-22 |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 전자 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KR101852774B1 (ko) * | 2017-01-16 | 2018-06-07 | 주식회사 유비케어 | 처방전 인식 오류 보정 방법 및 처방전 인식 오류 보정 시스템 |
-
2018
- 2018-07-20 KR KR1020180084427A patent/KR1021723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8491A (ko) * | 2010-05-24 | 2011-11-3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약국 예약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약국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 |
KR20120026194A (ko) * | 2010-09-09 | 2012-03-19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전자처방전 제어 관리 시스템, 병원단말장치, 및 전자처방전을 제어 관리하는 방법 |
KR20140014871A (ko) * | 2012-07-26 | 2014-02-06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전자 처방전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방법 |
KR101496186B1 (ko) * | 2014-04-14 | 2015-03-20 | 이디비(주) | 개인정보 보호에 기반한 전자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KR101811789B1 (ko) | 2015-10-19 | 2017-12-22 |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 전자 처방전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KR101852774B1 (ko) * | 2017-01-16 | 2018-06-07 | 주식회사 유비케어 | 처방전 인식 오류 보정 방법 및 처방전 인식 오류 보정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2364B1 (ko) | 2020-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67951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 |
JP4937481B2 (ja) | 分散遠隔アセットと薬物管理薬品投与システム | |
US20160180045A1 (en) | Wireless beacon devices used to track medical information at a hospital | |
US20140089011A1 (en) |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 |
US772992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medical items on an electronic prescription | |
US11893534B2 (en) |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 |
KR100989798B1 (ko)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7357308B2 (en) |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displaying patient information | |
JP2009531146A (ja) | 薬剤投与および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KR20020081306A (ko) | 전자 카드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338321B1 (ko) | 환자 중심의 처방전 전달시스템 및 처방전 전달방법 | |
US20210243185A1 (en) | Tap and Go PHI System | |
KR20200055926A (ko) | 스마트폰을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WO2001067345A1 (en) | Automated electronic encrypted prescription filling and record keeping and retrieval system | |
KR102526977B1 (ko) |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KR101743914B1 (ko) | 모바일 장치를 통한 처방전 전달 방법 및 모바일 장치 | |
KR102172364B1 (ko)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US20160117447A1 (en) | Method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apparatus of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 |
KR20180085372A (ko) | 처방정보 약국 전송방법 | |
US10580519B2 (en) |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displaying patient information | |
KR20200125403A (ko) | 환자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환자정보 관리시스템 | |
US1015245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al prescriptions and inventory | |
KR20160044967A (ko)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 |
KR20150134555A (ko) |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 | |
US20240013879A1 (en) | Medical system and computer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