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534A -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534A
KR20200012534A KR1020180087945A KR20180087945A KR20200012534A KR 20200012534 A KR20200012534 A KR 20200012534A KR 1020180087945 A KR1020180087945 A KR 1020180087945A KR 20180087945 A KR20180087945 A KR 20180087945A KR 20200012534 A KR20200012534 A KR 20200012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channel
external electronic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363B1 (ko
Inventor
최병열
박세호
김유수
박경민
이우람
이주향
윤용상
조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363B1/ko
Priority to PCT/KR2018/014959 priority patent/WO2020022578A1/ko
Priority to EP18928016.7A priority patent/EP3790163A4/en
Priority to CN201880095662.8A priority patent/CN112425030A/zh
Priority to US16/263,397 priority patent/US10958094B2/en
Publication of KR20200012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4B5/00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identity of one or more communicating identities is hidden
    • H04L63/0421Anonymous communication, i.e. the party's identifiers are hidden from the other party or parties, e.g. using an anonymiz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6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user or device identifiers, e.g. serial number, physical or biometrical information, DNA, hand-signature or measu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5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lurality of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연결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고,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 2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충전 하는 동작을 유지하고, 및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고, 및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제 3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CHANNEL ASSOCIATED WITH WIRELESS CHARGING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XTERNAL DEVICE AND METHD FOR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충전과 관련된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전자 장치들은 최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별도의 단자를 구비하고, 전력 공급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무선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무선 충전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충전은 전자 장치가 별도의 충전 커넥터와 유선으로 연결하지 않고, 충전 패드 등에 올려 놓는 등의 근접 접촉을 통해서, 배터리의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전송 장치와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사이에는, 전력의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충전 관련 데이터, 전력 전송 장치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무선 충전에 대한 표준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표준에 의하면,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데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인 IN-BAND 통신 방식이 정의되어 있다. IN-BAND 통신 방식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데 이용되는 코일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만, IN-BAND 통신 방식의 주파수 대역폭이 다른 통신 방식에 비해 협소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가 다른 통신 방식에 비해 느릴 수 있고, 상대적으로 느린 데이터 전송 속도로 인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IN-BAND 통신 방식과 다른 무선 통신 방식(OOB, Out-Of-Band)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전송 장치와 전자 장치간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와 IN-BAND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된 전자 장치와, OOB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된 전자 장치가 서로 다른 크로스 커넥션(cross connection)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크로스 커녁션 현상은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연결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고,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 2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충전 하는 동작을 유지하고, 및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고, 및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제 3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연결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 2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 유지하는 동작;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제 3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다시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과 관련된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IN-BAND 통신 방식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는 무선 통신 방식을 같이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어,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과 관련된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OOB 통신을 연결할 때 전력 전송 장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OOB 통신을 연결할 수 있어, 다른 전력 전송 장치와 연결되지 않아, 크로스 커넥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과 관련된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OOB 통신 방식 및 In-Band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전력 전송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크로스 커넥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과 관련된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의 상태 변경시, OOB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어, 다른 전자 장치가 In-Band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크로스 커넥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력 관리 모듈(188) 및 배터리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무선 통신 모듈(192), 전력 관리 모듈(188), 및 안테나 모듈(197)에 대한 블럭도(300)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전원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익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통신 채널의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통신 채널을 지원하지 못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력 수신 상태의 변경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1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관리 모듈(188) 및 배터리(189)에 대한 블럭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충전 회로(210), 전력 조정기(220), 또는 전력 게이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210)는 전자 장치(101)에 대한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89)를 충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회로(210)는 외부 전원의 종류(예: 전원 어댑터, USB 또는 무선충전),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전력의 크기(예: 약 20와트 이상), 또는 배터리(189)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충전 방식(예: 일반 충전 또는 급속 충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배터리(189)를 충전할 수 있다. 외부 전원은 전자 장치(101)와, 예를 들면, 연결 단자(178)을 통해 유선 연결되거나, 또는 안테나 모듈(197)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조정기(220)는, 예를 들면,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189)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레벨 또는 전류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다른 전압 또는 다른 전류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력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조정기(220)는 상기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189)의 전력을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들 각각의 구성 요소에게 적합한 전압 또는 전류 레벨로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조정기(220)는 LDO(low drop out) regulator 또는 switching regulato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 게이지(230)는 배터리(189)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예: 배터리(189)의 용량, 충방전 횟수, 전압,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충전 회로(210), 전압 조정기(220), 또는 전력 게이지(230)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사용 상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배터리(189)의 충전과 관련된 충전 상태 정보(예: 수명, 과전압, 저전압, 과전류, 과충전, 과방전(over discharge), 과열, 단락, 또는 팽창(swelling))를 결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상기 결정된 충전 상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배터리(189)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189)의 상태가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력 관리 모듈(188)은 배터리(189)에 대한 충전을 조정(예: 충전 전류 또는 전압 감소, 또는 충전 중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은 외부 제어 장치(예: 프로세서(12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보호 회로(protection circuit module(PCM))(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보호 회로(240)는 배터리(189)의 성능 저하 또는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예: 사전 차단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보호 회로(240)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셀 밸런싱, 배터리의 용량 측정, 충방전 횟수 측정, 온도 측정, 또는 전압 측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BMS))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의 상기 사용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충전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모듈(276) 중 해당하는 센서(예: 온도 센서), 전원 게이지(230), 또는 전력 관리 모듈(188)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모듈(176) 중 상기 해당하는 센서(예: 온도 센서)는 배터리 보호 회로(140)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이와는 별도의 장치로서 배터리(189)의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무선 통신 모듈(192), 전력 관리 모듈(188), 및 안테나 모듈(197)에 대한 블럭도(300)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MST 통신 모듈(310) 또는 NFC 통신 모듈(330)을 포함하고, 전력 관리 모듈(188)은 무선 충전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안테나 모듈(397)은 MST 통신 모듈(310)과 연결된 MST 안테나(397-1), NFC 통신 모듈(330)과 연결된 NFC 안테나(397-3), 및 무선 충전 모듈(350)과 연결된 무선 충전 안테나(397-5)을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는 생략 또는 간략히 기재된다.
MST 통신 모듈(310)은 프로세서(120)로부터 제어 정보, 또는 카드 정보와 같은 결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고, MST 안테나(397-1)를 통해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자기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자기 신호를 외부의 전자 장치(102)(예: POS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자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310)은 MST 안테나(397-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고(미도시), 이 스위칭 모듈을 제어하여 MST 안테나(397-1)에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방향을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압 또는 전류의 방향의 변경은 MST 안테나(397-1)를 통해 송출되는 자기 신호(예: 자기장)의 방향이 그에 따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방향이 변경되는 상태의 자기 신호는, 외부의 전자 장치(102)에서 감지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예: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카드가 상기 전자 장치(102)의 카드 리더기에 읽히면서(swiped) 발생하는 자기장과 유사한 효과(예: 파형)를 야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2) 에서 상기 자기 신호의 형태로 수신된 결제 관련 정보 및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네트 워크(199)를 통해 외부의 서버(108)(예: 결제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330)은 프로세서(120)로부터 제어 정보, 또는 카드 정보와 같은 결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신호를 NFC 안테나(397-3)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NFC 통신 모듈(330)은, NFC 안테나(397-3)을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2)로부터 송출된 그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350)은 무선 충전 안테나(397-5)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102)(예: 휴대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외부의 전자 장치(102)(예: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350)은, 예를 들면, 자기 공명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ST 안테나(397-1), NFC 안테나(397-3), 또는 무선 충전 안테나(397-5) 중 일부 안테나들은 방사부의 적어도 일부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ST 안테나(397-1)의 방사부는 NFC 안테나(397-3) 또는 무선 충전 안테나(397-5)의 방사부로 사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경우, 안테나 모듈(397)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MST 통신 모듈(310) 또는 NFC 통신 모듈(330)) 또는 전력 관리 모듈(188)(예: 무선 충전 모듈(350))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들(397-1, 397-3, 또는 397-3)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예: close) 또는 분리(예: open)하도록 설정된 스위칭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무선 충전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NFC 통신 모듈(330) 또는 무선 충전 모듈(350)은 상기 스위칭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NFC 안테나(397-3) 및 무선 충전 안테나(397-5)에 의해 공유된 방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일시적으로 NFC 안테나(397-3)와 분리하고 무선 충전 안테나(397-5)와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310), NFC 통신 모듈(330), 또는 무선 충전 모듈(35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외부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310) 또는 NFC 통신 모듈(330)의 지정된 기능(예: 결제 기능)들은 신뢰된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신뢰된 실행 환경(TEE)은,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한 기능(예: 금융 거래, 또는 개인 정보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되기 위해 메모리(130)의 적어도 일부 지정된 영역이 할당되는 실행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지정된 영역에 대한 접근은, 예를 들면, 거기에 접근하는 주체 또는 상기 신뢰된 실행 환경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구분하여 제한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전원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전력 전송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310)는 외부 전자 장치(3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30)는 제 1 전자 장치(310)와 일정 거리 이내 근접할 수 있고, 외부 전자 장치(330)는 제 1 전자 장치(310)로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30)는 무선 충전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에 정의된 표준 방식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31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30) 및 제 1 전자 장치(310)는 전달되는 전력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30) 및 제 1 전자 장치(310)는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 대역을 이용하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310)와 외부 전자 장치(33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충전 관련 정보, 외부 전자 장치(330)의 식별 정보, 전자 장치(310)의 식별 정보, 외부 전자 장치(330)의 인증 정보, 외부 전자 장치(330)의 충전 모드 전환을 위한 정보,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의 수신상태 여부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충전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 1 통신 채널(341)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다양한 암호화 방식에 기반하여 암호화된 패킷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채널(341)은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 채널로, IN-BAND 통신 방식이 이용하는 통신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IN-BAND 통신 방식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데 이용되는 코일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채널(341)에 할당된 대역폭은 다른 통신 방식에 할당된 대역폭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제 1 통신 채널(341)은 약 20~250byte/sec(예를 들어, ASK 코딩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제 1 전자 장치(310)에서 외부 전자 장치(33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약 약 250Byte/sec이며, FSK 코딩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외부 전자 장치(330)에서 제 1 전자 장치(31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약 20Byte/sec일 수 있다)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질 수 있고, 제 1 통신 채널(341)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느린 데이터 전송 속도로 인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310)와 외부 전자 장치(330)는 제 1 통신 채널(341)과 다른 제 2 통신 채널(351)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 2 통신 채널(351)은 제 1 전자 장치(310)과 외부 전자 장치(330)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 bluetooth, nfc, 또는 Wi-Fi) 방식인 out-of-band 통신 방식에서 이용하는 통신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통신 채널(351)에 할당된 대역폭은 제 1 통신 채널에 할당된 대역폭에 비해 클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310)와 외부 전자 장치(330)는 제 2 통신 채널(351)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310)와 외부 전자 장치(330)는 제 2 통신 채널(351)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충전 관련 정보, 외부 전자 장치(330)의 식별 정보, 전자 장치(310)의 식별 정보, 외부 전자 장치(330)의 인증 정보, 또는 외부 전자 장치(330)의 충전 모드 전환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1 전자 장치(31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예: 도 2의 충전 회로(210))(410),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89))(420),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430) 및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4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 회로(410)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배터리 (420)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회로(410)가 외부 전자 장치(330)로부터 WPC 표준, Qi 표준, PMA(power matters alliance) 표준에 정의된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 회로(410)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330)와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43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bluetooth, Wi-Fi, 또는 NFC)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30)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430)는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3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3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310)의 제 1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외부 전자 장치(330)의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330)가 제 2 통신 채널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제 2 통신 채널을 위한 외부 전송 장치(330)의 제 2 통신 채널에 대한 주소 데이터, 제 2 통신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는 다양한 방식(예를 들면, 익명화된 데이터 패킷(anonymous packet))으로 암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식별 정보 및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330)로 전송될 수 있다.
제 1 식별 정보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 전송되는 전자 장치(3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 전송되는 외부 전자 장치(33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식별 정보는 제 2 통신 채널(351)을 통해 전송되는 외부 전자 장치(33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식별 정보는 제 2 통신 채널(351)을 통해 전송되는 전자 장치(3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식별 정보는 전자 장치(310)를 다른 전자 장치와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와 함께 제 1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1 식별 정보를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고, 암호화된 제 1 식별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별 정보는 익명화된 데이터 패킷(anonymous packet) 형태로 암호화될 수 있다. 식별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330)와 연결되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320))가 제 1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없게 함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식별 정보 또는 제 2 식별 정보는 장치의 ID(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모델명 또는 식별 정보), 충전 동작 모드 정보(예를 들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전력, 전압, 전류 정보, 동작 모드 변경을 위한 정보),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통신회로 관련 식별 정보(예를 들면, 제 2 통신 채널의 생성을 위한 식별 정보, 제 2 통신 채널을 위한 외부 전송 장치(330)의 제 2 통신 채널에 대한 주소 데이터, 제 2 통신 채널에 대한 정보, MAC 주소) 또는 암호화와 관련된 공유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330)와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30)는 전자 장치(310)가 전송한 제 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330)는 제 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310)가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2 전자 장치(320))는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동작을 통해, 크로스 커넥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30)로부터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는 제 1 전력 수신 모드에서 제 2 전력 수신 모드로 전환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는 전력 수신 모드 변경 이전, 외부 전자 장치(330)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제 2 전력 수신 모드는 제1 전력 수신 모드에 비해 전자 장치(310)로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의 크기가 큰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310)는 제 2 전력 수신 모드에 있는 경우, 제 1 전력 수신 모드에 있는 경우 보다 배터리(420)의 충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외부 전자 장치(330)가 제 2 전력 수신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데이터 또는 외부 전자 장치(330)가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수신 모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30)로부터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을 모두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30)로부터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330)가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3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외부 전자 장치(330)의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전력 수신 모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40)는 외부 전자 장치(330)의 인증이 성공함에 대응하여, 제 1 전력 수신 모드에서 제 2 전력 수신 모드로 변경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4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440)는 외부 전자 장치(330)의 인증이 실패함에 대응하여, 제 1 전력 수신 모드를 유지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4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익명의 데이터 패킷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익명의 데이터 패킷은 암호화된 패킷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익명의 데이터 패킷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330)로 전송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410)를 제어할 수 있다. 암호화 방식에는 다양한 암호화 방식이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 및 외부 전자 장치(330)는 서로 약속된 암호화/복호화 방식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암호화된 익명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서로 약속된 암호화/복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익명의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익명의 데이터는 1회성 난수를 이용하여 생성된 1회성 데이터(instant, disposable data)로 구현될 수 있다. 익명의 데이터는 제 1 통신 채널(341) 또는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된 익명의 데이터 및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된 익명의 데이터를 각각 확인하고, 각각의 익명의 데이터가 동일한 난수에 의해 생성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에 연결된 전자 장치가 동일한 외부 전자 장치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하여 제 1 익명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2 익명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2 익명의 데이터에서 제 2 익명의 데이터를 생성한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 정보가 미리 지정된 외부 전자 장치(330)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2 익명의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외부 전자 장치(330)의 식별정보와 경우, 충전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 동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하여 제 2 익명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수신한 제 2 익명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제 2 익명의 데이터가 외부 전자 장치(33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2 익명의 데이터에서 제 2 익명의 데이터를 생성한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 정보가 미리 지정된 외부 전자 장치(330)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2 익명의 데이터가 외부 전자 장치(33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 제 1 익명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310)의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하여 제 1 익명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30)의 프로세서는 수신한 제 1 익명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제 1 익명의 데이터가 전자 장치(3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30)의 프로세서는 제 1 익명의 데이터에서 제 1 익명의 데이터를 생성한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 정보가 미리 지정된 전자 장치(310)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30)의 프로세서는 는 제 1 익명의 데이터가 전자 장치(33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 제 2 익명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하여 전자 장치(300)와 외부 전자 장치(330)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익명화되어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서의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하여 전자 장치(300)와 외부 전자 장치(330)간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위한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더라도, 복호화할 수 없어, 전자 장치(300)와 다른 외부 전자 장치간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이 불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하여 전자 장치(300)와 외부 전자 장치(330)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익명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하여 전자 장치(300)와 외부 전자 장치(330)간 충전 모드를 설정(또는 변경)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다른 외부 전자장치는 충전 모드를 설정하는 식별정보를 확인 불가능할 수 있다.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전력 전송 상태의 전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40)는 전자 장치(310)의 무선 전력 수신 회로(410)의 상태 변경을 감지하여, 전력 전송 상태의 전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력 전송 모드는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와 전자 장치(310)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핑 감지 상태(ping detection phase),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와 전자 장치(310) 사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는 구성 상태(configuration phase) 및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가 전자 장치(310)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 상태(power transfer phase)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전력 수신 상태에서 전력 수신 중지 상태로 전환됨을 감지하고, 제 2 통신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40)는 충전 중에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는 데이터(예.CEP)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전력 전송 중지 상태를 파악하고, 제 2 통신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440)는 무선 충전 회로(430)를 통해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임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제 2 통신 채널(351)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무선 통신 회로(4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동작을 통해, 전자 장치(310)와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 사이의 거리가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멀어지고,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와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320))간 무선 전력을 송/수신하는 상태에서, 제 2 통신 채널의 유지로 인해 크로스 커넥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도 4b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전원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전력 전송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 내지 도 4c에는, 제 1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10)), 제 1 전력 전송 장치(예: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330)), 제 2 전자 장치(320) 및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310)는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는 제 1 전자 장치(310)와 일정 거리 이내 근접할 수 있고,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는 제 1 전자 장치(310)로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는 무선 충전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에 정의된 표준 방식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31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 및 제 1 전자 장치(310)는 전달되는 전력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 및 제 1 전자 장치(310)는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 대역을 이용하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310)와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충전 관련 정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의 식별 정보, 전자 장치(310)의 식별 정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의 인증 정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의 충전 모드 전환을 위한 정보,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의 수신 상태 또는 성공 여부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충전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 1 통신 채널(341)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다양한 암호화 방식에 기반하여 암호화된 패킷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채널(341)은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 채널로, IN-BAND 통신 방식이 이용하는 통신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채널(341)에 할당된 대역폭은 다른 통신 방식에 할당된 대역폭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제 1 통신 채널(341)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느린 데이터 전송 속도로 인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310)와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는 제 1 통신 채널(341)과 다른 제 2 통신 채널(351)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 2 통신 채널(351)은 제 1 전자 장치(310)과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 bluetooth, nfc, 또는 Wi-Fi) 방식인 out-of-band 통신 방식에서 이용하는 통신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통신 채널(351)에 할당된 대역폭은 제 1 통신 채널에 할당된 대역폭에 비해 클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310)와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는 제 2 통신 채널(351)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충전 관련 정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의 식별 정보, 전자 장치(310)의 식별 정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의 인증 정보, 또는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의 충전 모드 전환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320)는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제 2 전자 장치(320)와 일정 거리 이내 근접할 수 있고,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제 2 전자 장치(320)로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에 정의된 표준 방식에 따라서, 제 2 전자 장치(32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 및 제 2 전자 장치(320)는 전달되는 전력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 및 제 2 전자 장치(320)는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 대역을 이용하는 제 3 통신 채널(343)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320)와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제 2 통신 채널(343)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충전 관련 정보,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의 식별 정보, 제 2 전자 장치(330)의 식별 정보,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의 인증 정보,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의 충전 모드 전환을 위한 정보,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의 수신의 상태 여부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충전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 3 통신 채널(343)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다양한 암호화 방식에 기반하여 암호화된 패킷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통신 채널(343)은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 채널로, IN-BAND 통신 방식이 이용하는 통신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제 3 통신 채널(343)은 제 1 통신 채널(341)이 이용하는 통신 방식과 동일한 통신 방식이 이용하는 통신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IN-BAND 통신 방식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데 이용되는 코일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통신 채널(343)에 할당된 대역폭은 다른 통신 방식에 할당된 대역폭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제 3 통신 채널(343)은 약 20~250byte/sec(예를 들어, ASK 코딩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제 2 전자 장치(320)에서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약 약 250Byte/sec이며, FSK 코딩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에서 제 2 전자 장치(32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약 20Byte/sec일 수 있다)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질 수 있고, 제 3 통신 채널(343)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느린 데이터 전송 속도로 인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320)와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제 3 통신 채널(343)과 다른 제 4 통신 채널(353)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 4 통신 채널(353)은 제 2 전자 장치(320)와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 bluetooth, nfc, 또는 Wi-Fi) 방식인 out-of-band 통신 방식에서 이용하는 통신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제 4 통신 채널(353)은 제 2 통신 채널(343)이 이용하는 통신 방식과 동일한 통신 방식이 이용하는 통신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통신 채널(353)에 할당된 대역폭은 제 3 통신 채널에 할당된 대역폭에 비해 클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320)와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제 4 통신 채널(353)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320)와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제 4 통신 채널(353)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충전 관련 정보,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의 식별 정보, 제 2 전자 장치(320)의 식별 정보,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의 인증 정보,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의 충전 모드 전환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310)와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는 제 1 통신 채널(341) 및 제 2 통신 채널(351)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320)와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제 3 통신 채널(343) 및 제 4 통신 채널(353)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310), 제 2 전자 장치(320))는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전력을 송신하는 전자 장치(예: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와 동일한 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들이 서로 인접한 경우, 제 1 통신 채널로 연결된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 채널로 연결된 전자 장치가 서로 다를 수 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31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와 연결될 수 있고, 제 2 통신 채널(361)을 통해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 2 전자 장치(330)는 제 3 통신 채널(343)을 통해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와 연결될 수 있고, 제 4 통신 채널(361)을 통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에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전자 장치가 서로 다른 현상을 크로스 커넥션(cross connection)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크로스 커넥션이 발생한 경우, 무선 전력 공급의 제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 및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하나의 전력 전송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 및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가 하나의 전력 전송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 및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제 1 전력 전송 회로 및 제 2 전력 전송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위한 통신 회로 및 제 2 통신 채널(361)을 위한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제 3 통신 채널(343)을 위한 통신 회로 및 제 4 통신 채널(353)을 위한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31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상태에서, 제 2 통신 채널(361)을 통해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의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크로스 커넥션이 발생한 경우, 무선 전력 공급의 제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크로스 커넥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과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와 연결된 상태에서, 크로스 커넥션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제 1 통신 또는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의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 및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40)는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제 1 통신 또는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의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 연결 대상이 동일한 전자장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된 대상이 동일 여부에 기반하여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유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부터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는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를 다른 전자 장치들과 구별 가능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할 때,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 제 2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상기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3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3 식별 정보는 제 2 통신 채널(351)을 통해 전송되는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한 제 2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 3 식별 정보가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동일함에 대응하여, 제 3 식별 정보가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제 1 통신 채널(341) 및 제 2 통신 채널(351)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부터의 무선 전력의 수신을 유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제 1 식별 정보와 제 2 식별 정보가 동일함을 지시하는 신호(예: id_correct packet)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 제 3 식별 정보가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가 아닌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 크로스 커넥션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가 아닌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통신 채널(361)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여,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3 식별 정보가 다른 외부 전자 장치(34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서로 다름을 지시하는 신호(예:id_incorrect packet)를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서로 다름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 2 통신 채널(361)을 통한 제 1 전자 장치(310)와의 연결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와의 연결을 수립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고, 크로스 커넥션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부터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는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를 다른 전자 장치와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2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와 제 2 통신 채널을 통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가 아닌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부터 전력 전송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40)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가 아닌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부터 전력 전송 및 제 1 통신 채널의 연결은 유지하고, 제 2 통신 채널(361)을 해제할 수 있다.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와 제 2 통신 채널(341)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가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서 수신한 제 2 식별 정보 및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서 수신한 제 3 식별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프로세서(440)가 아닌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가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서 제 1 식별 정보를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 전송하고, 제 2 통신 채널(351, 361)을 통해 제 4 식별 정보를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서 수신한 제 1 식별 정보 및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서 수신한 제 4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 연결된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된 전자 장치가 동일한 전자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310, 제 1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44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서 수신한 제 1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하여 수신한 제 1 식별 정보 또는 제 1 식별 정보 관련된 데이터를 제 2 통신 채널(351, 363)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310)는 제 2 통신 채널(351, 361)로 수신한 데이터와 제 1 식별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310)가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이 동일한 전자 장치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310)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서 제 1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통신 채널(351)을 통하여 제 1 식별 정보 또는 관련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 1 전자 장치(310)는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와 제 1 통신 채널(341) 및 제 2 통신 채널(351)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310)가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1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채널을 통하여 제 1 식별 정보 또는 제 1 식별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이 동일한 전자 장치와 연결되었는지 여부 확인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력 전송장치(330)가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채널을 통하여 제 2 식별 정보 또는 제 2 식별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이 동일한 전자 장치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40) 또는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가 먼저,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 제 1 식별 정보 또는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제 1 통신 채널(341)이 아닌 제 2 통신 채널(361)을 통해 제 3 식별 정보 또는 제 4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간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1 전자 장치(310), 도 3a의 제 2 전자 장치(320))(510) 및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1 전력 전송 장치(330), 도 3a의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52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520)는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 제 1 프로세서(523) 및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전자 장치(510)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예: Qi 방식,또는 PMA 방식)과 공진 유도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며,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510)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전력을 전송하는 주파수의 일부 대역을 이용하는 제 1 통신 채널(531)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5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코일(529)을 이용한 제 1 통신 채널(531)의 연결, 해제를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회로(52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Wi-Fi, bluetooth, 또는 NFC)을 이용하여 제 2 통신 채널(532)을 통해 전자 장치(5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프로세서(523)는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 및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 프로세서(523)는 전자 장치(510)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 1 식별 정보를 제 1 통신 채널(531)을 통해 전송하도록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프로세서(523)는 전자 장치(510)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 2 식별 정보를 제 2 통신 채널(532)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예: 도 4a의 무선 전력 수신 회로(410)), 제 2 프로세서(513)(예: 도 4a의 프로세서(440)) 및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예: 도 4a의 무선 통신 회로(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예: Qi 방식,또는 PMA 방식)과 공진 유도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며,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520)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전력을 전송하는 주파수의 일부 대역을 이용하는 제 1 통신 채널(531)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5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코일(519)을 이용한 제 1 통신 채널(531)의 연결, 해제를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회로(5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Wi-Fi, bluetooth, NFC)을 이용하여 제 2 통신 채널(532)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5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 및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1 식별 정보를 제 1 통신 채널(531)을 통해 수신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를 제 2 통신 채널(532)을 통해 수신하도록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동작 601에서, 외부 전자 장치(520)의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와 전자 장치(510)의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1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핑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고, 브로드캐스팅된 핑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510)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 회로는, 동작 602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1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520)를 다른 전자 장치와 구별 가능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가 무선으로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회로(521)로 전송하는데 관련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03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11)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25)로 구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가 무선으로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회로(521)로 전송과 관련된 데이터(예를 들어, 전송 관련된 전압 값, 전력 값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05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와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외부 전자 장치(520)와 전자 장치(510)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핑 감지 상태(ping detection phase), 외부 전자 장치(520)와 전자 장치(510) 사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는 구성 상태(configuration phase) 및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자 장치(510)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 상태(power transfer phase)를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제 1 통신 채널을 생성, 제 1 식별 정보 전송 및 전력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07에서, 제 1 프로세서(523)는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예를 들어, 제 2 통신 채널 지원 여부 또는 무선 통신 회로 활성화 요청)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2 프로세서(513)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제 1 프로세서(523)가 전송한 신호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 생성하기 위한 신호를 제 2 프로세서(513)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09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의 응답 메시지를 제 1 프로세서(523)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2 프로세서(513)가 전송한 응답 메시지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응답 메시지를 제 1 프로세서(523)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11에서, 제 1 프로세서(523)는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 1 프로세서(523)는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제 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510)를 감지하였음을 지시하는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인식 정보를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는 인식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13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외부 전자 장치(520)의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전자 장치(510)의 식별 정보를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고, 암호화된 식별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520)로 전송할 수 있다. 식별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520)와 연결되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320))가 전자 장치(51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없게 함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15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 1통신 채널을 통하여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17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 및 제 1 식별 정보를 제 1 프로세서(523)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19에서, 제 1 프로세서(523)는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제 2 식별 정보를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21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2 식별 정보를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23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수신한 제 2 식별 정보를 제 2 프로세서(513)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25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와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가 제 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한 제 2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는 제 2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로 제 2 통신 채널을 활성화 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가 전송한 제 2 통신 채널을 활성화 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520) 역시, 전자 장치(510)가 전송한 제 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520)는 제 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510)가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2 전자 장치(320))는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동작을 통해, 크로스 커넥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충전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520)의 전력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는 제 1 전력 수신 모드에서 제 2 전력 수신 모드로 전환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제 2 전력 수신 모드는 제1 전력 수신 모드에 비해 전자 장치(510)로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의 크기가 큰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510)는 제 2 전력 수신 모드에 있는 경우, 제 1 전력 수신 모드에 있는 경우 보다 배터리(예: 도 4a의 배터리(420))의 충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제 2 전력 전송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 또는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외부 전자 장치(520)의 장치 정보(예를 들면, 장치 종류, 모델 명)를 포함하는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서 송/수신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수신 모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동작 601, 603 및 605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을 모두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5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의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전력 수신 모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의 인증이 성공함에 대응하여, 제 1 전력 수신 모드에서 제 2 전력 수신 모드로 변경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의 인증이 실패함에 대응하여, 제 1 전력 수신 모드를 유지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외부 전자 장치(520)의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와 전자 장치(510)의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1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핑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고, 브로드캐스팅된 핑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510)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 회로는, 동작 703에서, 무선 전력 수신회로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1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식별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 구별 가능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식별 정보는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가 무선으로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회로(521)로 전송하는데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제 1 식별 정보는 암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제 1 식별 정보는 익명화된 데이터 형태로 암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05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 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로 구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가 무선으로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회로(521)로 전송과 관련된 데이터(예를 들어, 전송 관련된 전압 값, 전력 값 정보)일 수 있다.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07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와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외부 전자 장치(520)와 전자 장치(510)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핑 감지 상태(ping detection phase), 외부 전자 장치(520)와 전자 장치(510) 사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는 구성 상태(configuration phase) 및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자 장치(510)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 상태(power transfer phase)를 순차적으로 전환 할 수 있다. 제 1 통신 채널을 생성, 제 1 식별 정보 전송 및 전력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프로세서(523)는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예를 들어, 제 2 통신 채널 지원 여부 또는 무선 통신 회로 활성화 요청)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2 프로세서(513)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는 다양한 방식(예를 들면, 익명화된 데이터 패킷(anonymous packet))으로 암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제 1 프로세서(523)가 전송한 신호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2 통신 채널의 생성하기 위한 신호를 제 2 프로세서(513)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는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의 응답 메시지를 제 1 프로세서(523)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2 프로세서(513)가 전송한 응답 메시지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응답 메시지를 제 1 프로세서(523)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프로세서(523)는 다른 충전 모드(예를 들어, 급속 충전 모드) 지원 여부를 위한 신호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2 프로세서(513)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09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익명의 제 1 식별 정보 또는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식별 정보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전자 장치(510)의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외부 전자 장치(520)의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식별 정보는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 간 미리 약속된 암호화 방식에 기반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제 1 식별 정보는 익명의 데이터 패킷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동작인 동작 709, 동작 711 및 동작 713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전자 장치(510)의 식별 정보를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고, 암호화된 식별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520)로 전송할 수 있다. 식별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520)와 연결되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320))가 전자 장치(51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없게 함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11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익명의 제 1 식별 정보 또는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13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 또는 익명의 제 1 식별 정보를 제 1 프로세서(523)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11 내지 동작 715에서 익명의 제 1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동작 703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15에서, 제 1 프로세서(523)는 익명의 제 1 식별 정보 또는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제 2 식별 정보를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는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 간 미리 약속된 암호화 방식에 기반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는 익명의 데이터 패킷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프로세서(523)는 미리 정의된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제 2 식별 정보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하고, 익명의 제 2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익명의 제 2 식별 정보를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17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익명의 제 2 식별 정보를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19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수신한 익명의 제 2 식별 정보를 제 2 프로세서(513)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익명의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520)의 식별 정보,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익명의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익명의 제 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동작 또는 충전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와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가 제 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한 제 2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520) 역시, 전자 장치(510)가 전송한 제 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520)는 제 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510)가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2 전자 장치(320))는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동작을 통해, 크로스 커넥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1 프로세서(523)와 익명의 식별 정보를 송수신 하고, 변경된 충전 모드로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모드로 전력을 수신하고,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통신 채널의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간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01에서,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와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03에서,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프로세서(513)의 제어에 기반하여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1 통신 채널과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520)와 연결된 상태에서, 크로스 커넥션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520)의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 및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프로세서(513)는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520)의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05에서,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는 제 1 프로세서(523)에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 3 식별 정보의 요청은 동작 803에서,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가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로부터 수신한 제 3 식별 정보 요청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07에서, 제 1 프로세서(523)는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로 제 3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프로세서(523)는 동작 705에서의, 제 3 식별 정보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 3 식별 정보를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09에서,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는 제 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3 무선 통신 회로(515)로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무선 전력 수신회로(511)로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미도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11에서,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제 3 식별 정보를 제 2 프로세서(513)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동일함에 대응하여,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3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330)로부터의 무선 전력의 수신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13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를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15에서,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를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817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제 1 프로세서(523)로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한 식별 정보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는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지시하는 신호(예: id_correct packet) 또는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가 아닌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지시하는 신호(예: id_incorrect packet)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한 식별 정보인 경우를 가정하고 서술되었으며, 제 3 식별 정보가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한 식별 정보인 경우, 동작 813, 815, 817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지시하는 신호(예: id_correct packe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523)는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제 2 통신 회로의 연결을 해제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를 제어할 수 있다. 제 3 식별 정보가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한 식별 정보인 경우,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식별 정보가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한 식별 정보가 아닌 경우, 동작 813, 815, 817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제 2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가 아닌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지시하는 신호(예: id_incorrect packet)일 수 있다.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으며, 도 9 내지 도 10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13, 815, 817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전자 장치(510)가 수신한 제 3 식별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520)로 전송하는 신호 일 수 있다. 전자 장치(510)는 수신한 제 3 식별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520)을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520)는 수신한 신호가 전송한 제 3 식별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520)는 비교 결과 기반하여 제 2 통신 채널의 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프로세서(513)가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가 아닌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후, 제 2 통신 채널을 해제하는 실시예와 관련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510)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520))와 연결되고,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2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a의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530)와 연결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51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53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상태에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전자 장치(510)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와 연결될 수 있고,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2 외부 전자 장치(53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510)는 크로스 커넥션이 발생되어,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전력 수신의 제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1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와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3에서,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와 제 2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2 전력 전송 장치(530)의 제 3 무선 통신 회로(531)는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5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530)로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7에서,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프로세서(513)의 제어에 기반하여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 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3 무선 통신 회로(53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09에서, 제 3 무선 통신 회로(531)는 제 3 프로세서(533)에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동작 911에서, 제 3 프로세서(533)는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제 3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510)로 전달하도록 제 3 무선 통신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13에서, 제 3 무선 통신 회로(531)는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3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15에서,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프로세서(513)로 제 3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수신한 제 3 식별 정보가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한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다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가 아닌 다른 전자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5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가 아닌 다른 전자 장치(제 2 외부 전자 장치(5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의 무선 전력의 수신을 유지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17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한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한 것이 아님을 판단함에 대응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해제하도록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19에서,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프로세서(513)의 제어에 기반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해제하고, 제 2 통신 채널의 해제의 알림 메시지를 제 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3 무선 통신 회로(53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21에서, 제 3 무선 통신 회로(531)는 제 2 통신 채널의 해제의 알림 메시지를 제 3 프로세서(533)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23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를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에 전송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25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2 프로세서(513)의 제어에 기반하여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한 식별 정보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27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1 프로세서(523)에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식별 정보가 제 1 식별 정보를 전송한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한 식별 정보가 아닌 경우, 동작 823, 825, 827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가 아닌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지시하는 신호(예: id_incorrect packe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프로세서(523)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1 식별 정보를 전송한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한 식별 정보가 아님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다시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510)로 전송하도록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31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은 도 6a에 도시된 동작 609 내지 동작 623에 도시된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33에서,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와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지만, 제 1 통신 채널의 연결 및 무선 전력 송/수신은 유지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제 1 통신 채널의 연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 및 무선 전력의 송/수신을 모두 해제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후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프로세서(513)가 제 3 식별 정보가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520)가 아닌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후, 제 2 통신 채널을 해제하고, 무선 충전을 종료하는 실시예와 관련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510)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520))와 연결되고,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2 외부 전자 장치(530)와 연결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전자 장치(510)는 크로스 커넥션이 발생되어,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전력 수신의 제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01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와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03에서,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와 제 2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2 전력 전송 장치(530)의 제 3 무선 통신 회로(531)는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05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530)로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07에서,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프로세서(513)의 제어에 기반하여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 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3 무선 통신 회로(53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09에서, 제 3 무선 통신 회로(531)는 제 3 프로세서(533)에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동작 911에서, 제 3 프로세서(533)는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제 2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510)로 전달하도록 제 3 무선 통신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13에서, 제 3 무선 통신 회로(531)는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3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15에서,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프로세서(513)로 제 3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수신한 제 3 식별 정보가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한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다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가 아닌 다른 전자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5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가 아닌 다른 전자 장치(제 2 외부 전자 장치(5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의 무선 전력의 수신을 유지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17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한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한 것이 아님을 판단함에 대응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해제하도록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19에서,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프로세서(513)의 제어에 기반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해제하고, 제 2 통신 채널의 해제의 알림 메시지를 제 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 3 무선 통신 회로(53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21에서, 제 3 무선 통신 회로(531)는 제 2 통신 연결의 연결의 해제의 알림 메시지를 제 3 프로세서(533)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1023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전력 송신을 종료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1 외부 전자 장치(520)로 전송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25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전력 송신을 종료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27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전력 송신을 종료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 1 프로세서(523)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1 프로세서(523)는 전력 송신을 종료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전력 송신을 종료하도록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제 1 프로세서(523)의 제어에 기반하여 전력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이 종료됨에 따라 전력 전송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이용하는 제 1 통신 채널 역시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가 제 2 통신 채널을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지만, 전자 장치(510)가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01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에 핑 신호(ping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전송 모드는 외부 전자 장치(520)와 전자 장치(510)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핑 감지 상태(ping detection phase), 외부 전자 장치(530)와 전자 장치(510) 사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는 구성 상태(configuration phase) 및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자 장치(510)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 상태(power transfer phase)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101은 핑 외부 전자 장치(520)와 전자 장치(510)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핑 감지 상태(ping detection phase)에서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05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에 구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동작 1003은, 외부 전자 장치(530)와 전자 장치(510) 사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는 구성 상태(configuration phase)에서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510)는 전력의 무선 송/수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이용하는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5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07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에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전자 장치(510)의 제 2 통신 채널의 지원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0)는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510)는 제 2 통신 채널의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없음을 알리는 신호(예: Non-ACK 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510)는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음을 알리는 신호(예: ACK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09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2 프로세서(513)의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없음을 알리는 신호(예: Non-ACK 신호)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동작 1107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무응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11에서, 외부 전자 장치(520)는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없음을 알리는 신호(예: Non-ACK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510)는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전자 장치(520)는 동작 1107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력 수신 상태의 변경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201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와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203에서,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와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201, 동작 1203에서,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는 제 1 통신 채널 또는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5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의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전력 수신 모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의 인증이 성공함에 대응하여, 제 1 전력 수신 모드에서 제 2 전력 수신 모드로 변경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의 인증이 실패함에 대응하여, 제 1 전력 수신 모드를 유지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205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 및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간 분리(detach)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간 분리는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없는 거리 이상 멀어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 및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충전 중에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는 데이터(예.CEP)가 일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간 분리(detach)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간 분리는 전력 전송 상태(power transfer phase)에서 외부 전자 장치(520)와 전자 장치(510)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핑 감지 상태(ping detection phase)로 전환되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간 분리를 감지함에 대응하여, 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520)는 외부 전자 장치(520)와 전자 장치(510)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핑 감지 상태(ping detection phase)로 전환될 수 있고, 핑 감지 상태에서는 전자 장치(510)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207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전력 전송 상태의 전환 여부를 감지하고,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전력 전송 상태에서 핑 감지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감지하고,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209에서,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 및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통신 채널의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동작을 통해,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 사이의 거리가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멀어지고, 외부 전자 장치(520)와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320))간 무선 전력을 송/수신하는 상태에서, 제 2 통신 채널의 유지로 인해 크로스 커넥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력 수신 상태의 변경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301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와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303에서,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와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301, 동작 1303에서,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는 제 1 통신 채널 또는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5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의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전력 수신 모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의 인증이 성공함에 대응하여, 제 1 전력 수신 모드에서 제 2 전력 수신 모드로 변경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의 인증이 실패함에 대응하여, 제 1 전력 수신 모드를 유지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305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 및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간 분리(detach)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간 분리는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없는 거리 이상 멀어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간 분리는 전력 전송 상태(power transfer phase)에서 외부 전자 장치(520)와 전자 장치(510)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핑 감지 상태(ping detection phase)로 전환되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 및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충전 중에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는 데이터(예.CEP)가 일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음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간 분리(detach)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간 분리를 감지함에 대응하여, 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520)는 외부 전자 장치(520)와 전자 장치(510)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핑 감지 상태(ping detection phase)로 전환될 수 있고, 핑 감지 상태에서는 전자 장치(510)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307에서, 제 1 프로세서(523)는 전력 전송 상태의 전환 여부를 감지하고,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 2 프로세서(513)가 전력 전송 상태의 전환 여부를 감지하고,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 2 프로세서(513)가 아닌 제 1 프로세서(523)가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프로세서(523)는 전력 전송 상태에서 핑 감지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감지하고,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309에서,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 및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2 통신 채널의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동작을 통해, 전자 장치(510)와 외부 전자 장치(520) 사이의 거리가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멀어지고, 외부 전자 장치(520)와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320))간 무선 전력을 송/수신하는 상태에서, 제 2 통신 채널의 유지로 인해 크로스 커넥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1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자 장치(예: 도 4a의 전자 장치(310))가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제 1 식별 정보 및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자 장치(310)가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통신 채널의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내용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401에서,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는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로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제 1 식별 정보 및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403에서,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는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제 2 무선 통신 회로(515)에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405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 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407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25)는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409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제 3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 1 프로세서(523)에 전달하고, 동작 1411에서, 제 1 프로세서(523)는 제 3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510)에 전송하도록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413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제 3 식별 정보를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415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2 프로세서(513)에 제 3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3 식별 정보가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520)에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한 제 2 식별 정보와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한 제 3 식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동일함에 대응하여,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의 무선 전력의 수신을 유지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제 1 식별 정보와 제 2 식별 정보가 동일함을 지시하는 신호(예: id_correct packet)를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5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가 아닌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 크로스 커넥션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가 아닌 다른 외부 전자 장치(34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무선 충전을 중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417에서, 제 2 프로세서(513)는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를 외부 전자 장치(520)에 전송하도록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419에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511)는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421에서, 무선 전력 전송 회로(525)는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를 제 1 프로세서(523)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417, 동작 1419 및 동작 1421에 기재된 동작은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통신 채널이 아닌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0) 및 외부 전자 장치(520)는 각각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을 수행하고, 판단 결과를 전송하는 동작 1417, 동작 1419, 동작 1421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연결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고,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 2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충전 하는 동작을 유지하고, 및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고, 및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제 3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와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동일함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와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다름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함을 확인한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및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상기 충전 하는 동작을 중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다시 연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통신 채널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 상태의 전환을 감지하고, 상기 전력 수신 상태의 전환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제 2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제 1 식별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제 2 식별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및 상기 제 2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식별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식별 정보를 암호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의 전력 수신 모드를 전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고,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의 전력 수신 모드를 전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과 관련된 전력 수신 상태의 전환을 감지하고, 상기 전력 수신 상태의 전환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3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3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 2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충전 하는 동작을 유지하고, 및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고, 및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제 3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암호화된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 무선 전력 수신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제 1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익명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익명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가 기지정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제 2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익명의 데이터의 복호화 또는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의 암호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익명의 데이터의 복호화 또는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의 암호화를 지원하지 못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익명의 데이터의 복호화 또는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의 암호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익명의 데이터의 복호화 또는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의 암호화를 지원하지 못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전력을 이용한 상기 배터리를 유지하거나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중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터리; 무선 전력 수신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데이터를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익명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익명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제 2 통신 채널에 대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익명의 데이터의 복호화 또는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의 암호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익명의 데이터의 복호화 또는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의 암호화를 지원하지 못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암호화를 지원하지 못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비익명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작 15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4a의 전자 장치(310), 도 5의 전자 장치(510))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0)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데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 대역을 이용한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5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503에서, 전자 장치(510)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통신 채널의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통신 채널을 활성화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에는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위한 데이터는 제 2 통신 채널을 위한 외부 전송 장치(520)의 제 2 통신 채널에 대한 주소 데이터, 제 2 통신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 채널을 활성화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는 다양한 방식(예를 들면, 익명화된 데이터 패킷(anonymous packet))으로 암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505에서, 전자 장치(510)는 전자 장치(510)의 제 1 식별 정보 및 외부 전자 장치(520)의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5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식별 정보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 전송되는 전자 장치(3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는 제 1 통신 채널(341)을 통해 전송되는 외부 전자 장치(33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식별 정보 및 제 2 식별 정보는 장치의 ID(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모델명 또는 식별 정보), 동작 모드 정보,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통신회로 관련 식별 정보(예를 들면, 제 2 통신 채널의 생성을 위한 식별 정보, MAC 주소) 또는 암호화와 관련된 공유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식별 정보 및 제 2 식별 정보는 암호화되어 송/수신될 수 있으며, 익명화된 데이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0)는 제 2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와 함께 제 1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0)는 제 1 식별 정보를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고, 암호화된 식별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식별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330)와 연결되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320))가 제 1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없게 함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507에서, 전자 장치(510)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509에서, 전자 장치(510)는 제 2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0)는 제 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510)는 제 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2 전력 전송 장치(340))는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520) 역시, 전자 장치(510)가 전송한 제 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520)는 제 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510)가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a의 제 2 전자 장치(320))는 제 2 통신 채널과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동작을 통해, 크로스 커넥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동작 16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4a의 전자 장치(310), 도 5의 전자 장치(510))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603에서, 전자 장치(510)는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3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3 식별 정보는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외부 전자 장치(520)의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605에서, 전자 장치(510)는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0)는 제 2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510)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510)는 제 2 식별 정보와 제 3 식별 정보가 동일함에 대응하여, 제 2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10)는 제 3 식별 정보의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제 2 통신 회로의 연결을 해제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제 1 무선 통신 회로(521)를 제어할 수 있다. 제 3 식별 정보가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520)가 전송한 식별 정보인 경우,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607에서, 전자 장치(510)는 제 3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가 아닌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609에서, 전자 장치(510)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4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611에서, 전자 장치(510)는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한 제 4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통신 채널을 다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613에서, 전자 장치(510)는 제 2 식별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520)로부터 수신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연결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 2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 유지하는 동작;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제 3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다시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와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동일함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와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다름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다시 연결하는 동작은 상기 제 3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함을 확인한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8)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연결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고,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 2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충전 하는 동작을 유지하고, 및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고, 및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제 3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와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동일함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와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다름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함을 확인한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및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상기 충전 하는 동작을 중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다시 연결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통신 채널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 상태의 전환을 감지하고,
    상기 전력 수신 상태의 전환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제 2통신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제 1 식별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제 2 식별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및
    상기 제 2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식별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식별 정보를 암호화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의 전력 수신 모드를 전환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의 전력 수신 모드를 전환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과 관련된 전력 수신 상태의 전환을 감지하고,
    상기 전력 수신 상태의 전환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3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3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 2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충전 하는 동작을 유지하고, 및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고, 및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제 3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암호화된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연결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 2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 유지하는 동작;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제 3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다시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와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동일함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식별 정보와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다름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다시 연결하는 동작은
    상기 제 3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함을 확인한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무선 전력 수신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제 1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익명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익명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가 기지정된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제 2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익명의 데이터의 복호화 또는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의 암호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익명의 데이터의 복호화 또는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의 암호화를 지원하지 못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익명의 데이터의 복호화 또는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의 암호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익명의 데이터의 복호화 또는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의 암호화를 지원하지 못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전력을 이용한 상기 배터리를 유지하거나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중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4. 전자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무선 전력 수신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식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2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인지 확인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데이터를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5.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 회로;
    무선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익명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익명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1회성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익명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익명의 데이터의 복호화 또는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의 암호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익명의 데이터의 복호화 또는 상기 제 2 익명의 데이터의 암호화를 지원하지 못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암호화를 지원하지 못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 채널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 1 통신 채널을 통하여 비익명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전력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180087945A 2018-07-27 2018-07-27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6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945A KR102564363B1 (ko) 2018-07-27 2018-07-27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CT/KR2018/014959 WO2020022578A1 (ko) 2018-07-27 2018-11-29 무선 충전을 이용하여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EP18928016.7A EP3790163A4 (en) 2018-07-27 2018-11-29 WIRELESS CHARGING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CN201880095662.8A CN112425030A (zh) 2018-07-27 2018-11-29 利用无线充电来控制通信信道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16/263,397 US10958094B2 (en) 2018-07-27 2019-01-31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channel by using wireless charging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945A KR102564363B1 (ko) 2018-07-27 2018-07-27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534A true KR20200012534A (ko) 2020-02-05
KR102564363B1 KR102564363B1 (ko) 2023-08-08

Family

ID=6917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945A KR102564363B1 (ko) 2018-07-27 2018-07-27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58094B2 (ko)
EP (1) EP3790163A4 (ko)
KR (1) KR102564363B1 (ko)
CN (1) CN112425030A (ko)
WO (1) WO20200225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561A1 (ko) * 2021-11-01 2023-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5971B2 (en) * 2018-10-23 2022-06-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O2020180004A1 (ko) * 2019-03-03 202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아웃밴드 통신에 기반하여 무선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MX2021010705A (es) 2019-03-07 2021-12-10 Hubbell Inc Transferencia de energía inductiva.
US11973542B2 (en) * 2019-04-17 2024-04-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7425590B2 (ja) * 2019-12-12 2024-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EP3863185A1 (en) * 2020-02-07 2021-08-11 Nxp B.V.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3890196B1 (en) * 2020-04-03 2023-06-21 Nxp B.V.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CN115017075B (zh) * 2021-11-02 2023-04-18 荣耀终端有限公司 通用串行总线接口的配置方法和相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405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에서의 교차 연결 방지 방법
KR20160072688A (ko) * 2014-12-15 2016-06-23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충전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KR20160125636A (ko) * 2015-04-22 2016-11-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전력 제어 방법 및 무선 전력 제어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948B1 (ko) * 2011-05-27 201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연결 수립
KR101367342B1 (ko) * 2011-09-14 2014-02-28 김범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구비된 무선충전 시스템
US9553473B2 (en) * 2013-02-04 2017-01-24 Ossi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ally delivering pulsed wireless power
US9548795B2 (en) * 2013-10-25 2017-01-17 Htc Corporation Method of identifying wireless power receiver in wireless power system
WO2016013944A1 (en) 2014-07-24 2016-01-28 Intel Corporation Secure wireless charging
US9762085B2 (en) 2014-10-03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wireless charging cross connection
JP2017011859A (ja) * 2015-06-19 2017-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141794B2 (en) 2015-08-28 2018-11-27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Inc. Alignment using signals from a secondary device before wireless power transfer
KR20170053237A (ko) 2015-11-06 2017-05-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멀티 코일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0461583B2 (en) * 2015-11-10 2019-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405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에서의 교차 연결 방지 방법
KR20160072688A (ko) * 2014-12-15 2016-06-23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충전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KR20160125636A (ko) * 2015-04-22 2016-11-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전력 제어 방법 및 무선 전력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561A1 (ko) * 2021-11-01 2023-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2578A1 (ko) 2020-01-30
KR102564363B1 (ko) 2023-08-08
EP3790163A1 (en) 2021-03-10
US20200036212A1 (en) 2020-01-30
US10958094B2 (en) 2021-03-23
CN112425030A (zh) 2021-02-26
EP3790163A4 (en)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4363B1 (ko)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충전과 관련된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200455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reason wireless charging is stopping
EP3635940B1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for wireless power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525917B1 (ko) 멀티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387687B2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116571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2588076B1 (ko)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US11482886B2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US11411432B2 (en) Method for disabling wireless power reception circuit on basis of stat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90136690A (ko) 충전 회로와 연결된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0103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객체 검출 기반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KR20200101096A (ko)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4629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harging on basis of state of battery
KR20200094926A (ko) 복수의 배터리들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전자 장치
KR20200100976A (ko) 무선 전력 충전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4906A (ko) 무선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667984B1 (ko) 무선 충전 수신기의 수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충전 송신기 및 방법
KR20210015558A (ko) 금속 물질을 탐지하는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