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524A - Drone - Google Patents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524A
KR20200012524A KR1020180087919A KR20180087919A KR20200012524A KR 20200012524 A KR20200012524 A KR 20200012524A KR 1020180087919 A KR1020180087919 A KR 1020180087919A KR 20180087919 A KR20180087919 A KR 20180087919A KR 20200012524 A KR20200012524 A KR 2020001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drone
connection member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9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9548B1 (en
Inventor
이소민
민서영
Original Assignee
이소민
민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민, 민서영 filed Critical 이소민
Priority to KR102018008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548B1/en
Publication of KR2020001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5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5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20Rotorcraft characterised by having shrouded rotors, e.g. 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7/00Convertible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U50/14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ducted or shrouded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62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is a drone including: a body; a plurality of propellers connected to the body and receiving rotational power to generate lift; and a plurality of arms disposed between the body and the plurality of propellers. The propeller includes: a rotary shaft rotating by the rotational power; a first blade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a housing surrounding the first blade; and a second blade spaced apar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second blade has one end moving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Description

드론{DRONE}Drone {DRONE}

실시 예는 드론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 drone.

회전날개(rotor)를 기관으로 회전시켜 발생하는 양력으로 비행하는 항공기를 헬리콥터(helicopter)라고 한다. 이러한 헬리콥터는 사람이 탈 수 있을 정도의 일반적인 헬리콥터와 사람 없이 비행하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헬리콥터인 드론(drone)이 있다. An aircraft flying with lift generated by rotating a rotor into an engine is called a helicopter. These helicopters include general helicopters that can be carried by humans and drones, which are relatively small helicopters that fly without people.

또한, 최근 무선 통신 및 이동 단말기의 발전과 함께 드론과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이용한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s, a number of technologies using a combination of functions of a drone and a mobile terminal have been developed.

예컨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 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의미하는 드론은 최초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개인의 취미용 드론, 정글이나 오지, 화산지역, 자연 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 투입하여 관련 정보를 얻는 드론, 방법용 드론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For example, a drone, which means an airplane or a helicopter-shaped aircraft flying by human radio waves without induction, was developed and used for the first time in military use, but recently, a hobby drone, a jungle or backcountry, a volcanic area, a natural disaster It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drones, method drones, etc. to obtain relevant information by inputting in areas that are inaccessible to human beings such as areas and accident areas of nuclear power plants.

그러나, 일반적으로 드론은 상공에서 비행하는 경우로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어, 해상과 육상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However, in general, drones are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y fly in the air,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use at sea and on land.

실시 예는 육상, 해상, 상공에 모두 이용 가능한 드론을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drone that can be used on land, at sea, or in the air.

또한, 내구성이 개선되고 이동 속도가 향상된 드론을 제공한다.It also provides drones with improved durability and improved travel speed.

또한, 다양한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 가능한 드론을 제공한다.It also provides drones that can respond quickly to various disasters.

또한, 소형화가 가능하여 적용 분야가 다양화된 드론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can be miniaturized to provide a drone with a diversified application field.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examples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bject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solution means or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will be included.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양력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프로펠러;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복수 개의 프로펠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암;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회전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 제1 날개; 상기 제1 날개를 둘러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 상에 이격 배치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일단이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한다.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body; A plurality of propellers connected to the body and provided with rotational power to generate lift; And a plurality of arms disposed between the body and the plurality of propellers, wherein the propeller includes: a rotation shaft rotating with the rotational power; A first wing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A housing surrounding the first wing; And second w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one end of which is moved outwardly or inwardly as the second wing rotates.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wing and the housing may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상기 제1 날개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앙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 중앙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wing may be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wing may be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제2 날개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날개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wing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ng may be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복수 개의 프로펠러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gles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상기 암은,The cancer,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제1 연결부재; 및A first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body; And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을 포함하고,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may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실시 예에 따르면, 드론을 육상, 해상, 상공에 모두 이용가능 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rone may be implemented to be available on land, sea, and air.

또한, 내구성이 개선되고 이동 속도가 향상된 드론을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drone with improved durability and improved movement speed.

또한, 다양한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 가능한 드론을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drones that can respond quickly to various disasters.

또한, 소형화가 가능하여 적용 분야가 다양화된 드론을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drone with a diversified application field due to miniaturization.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a는 암과 프로펠러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b는 변형예이고,
도 4는 암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프로펠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제2 날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변형예이고,
도 9a는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상공에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에서 드론의 정면도이고,
도 10a는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해상에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b는 도 10a에서 드론의 정면도이고,
도 11a는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육상에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드론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드론이 상공에서 지상으로 이동할 때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상면도이고,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하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변형예이고,
도 17 내지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a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m and the propeller,
3B is a varia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by the arm,
5 is a view showing a propeller,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wing,
8 is a modification of FIG. 5,
9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ver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B is a front view of the drone in FIG. 9A,
FIG. 10A is a view for explaining operation at sea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FIG. 10B is a front view of the drone in FIG. 10A,
11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 in the l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1B is a side view of the drone in FIG. 11A,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the drone moves from above to the ground,
13 is a view showing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4 is a top view of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5 is a bottom view of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6 is a modification of FIG. 13,
17 to 18 are views illustrating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second and first,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드론(1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yard drone 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드론(10)은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드론(1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The drone 1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power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It may includ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to the implementation of a mobile terminal, so that the drone 10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드론(1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드론(10)과 다른 단말 장치 또는 컨트롤러 사이, 또는 드론(10)과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드론(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component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rone 1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rone 10 and another terminal device or controller, or between the drone 10 and an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yard drone 1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or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 Touch keys, mechanical keys, and the like. The voice data or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G-sensor, Gyroscope Sensor,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Infrared Sensor, Finger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Optical sensors (e.g. cameras 121), microphones (see 122), battery gauges, environmental sensors (e.g. barometers, hygrometers, thermometers, radiation detection sensors, Thermal sensors, gas sensors, etc.), chemical sensors (eg, electronic noses, healthcare sensors, biometric sensors, etc.).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herein may utilize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후술할 수평 센싱부 및 지면 센싱부 또한 상기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다. 수평 센싱부 및 지면 센싱부는 본 발명의 특징을 수행하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정의한 것에 해당하므로 상술한 센싱부의 하위 구성과 중복될 수 있다.The horizontal sensing unit and the ground sens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40. Since the horizontal sensing unit and the ground sensing unit correspond to those defined in the functional aspect for carrying out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sensing unit and the ground sensing unit may overlap the sub-components of the sensing unit described abov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드론(1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드론(1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used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unit 152, a hap tip module 153, and an optical output unit 154. can do. The display unit 151 forms a layer structure with o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uch sensor, thereby implementing a touch screen.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drone 10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drone 10 and the user.

드론(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다른 단말 장치 또는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따라서 드론에 관련된 정보는 다른 단말 장치 또는 컨트롤러를 통해 출력하게 되고 최소한의 정보만 드론(10)의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one 10 is generally controll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terminal device or controller. Theref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one is output through the other terminal device or controller, and only the minimum information is displayed. It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50 of the).

인터페이스부(160)는 드론(1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론(1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drone 10.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device equipped with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drone 10, in response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60, appropriate control associated wit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may be performed.

또한, 메모리(170)는 드론(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드론(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드론(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드론(1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드론(1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드론(1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드론(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drone 10.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drone 10, data for operating the drone 10, and instruction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drone 1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the basic function of the drone 10.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and installed on the drone 10 to be driven by the throne control unit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drone 10.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드론(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rone 10.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information or a function appropriate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ar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드론(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Y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ele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urthermore, the X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XDron 10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드론(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rone 10.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자율주행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or example,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erform autonomous driving. It may include.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실시예에 따른 드론(10)은 몸체(210), 암(220), 프로펠러(230)를 포함한다.Dron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body 210, an arm 220, a propeller 230.

먼저, 몸체(210)는 드론(10)의 중심에 배치되어 드론의 균형의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210)는 드론(10)에 탑재되는 통신 부품, 제어 부품, 이미지 촬영 부품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210)는 내부 등에 도 1에서 전술한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rst, the body 21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rone 10 to form a center of balance of the drone. The body 210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a communication component, a control component, an image photographing component, and the like mounted on the drone 10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the body 210 may hav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nd a control uni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180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install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몸체(210)는 드론(1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230)와 암(220)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프로펠러(230)로부터 제공받은 추진력에 의해 상공, 해상, 지상 등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양력, 부력 등을 제공할 수 있다.Body 21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propeller 230 and the arm 220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drone 10,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in the air, sea, ground, etc. by the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propeller 230 Lift, buoyancy and the like can be provided.

또한, 몸체(210)는 형상이 소정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면체 또는 원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210)는 일면이 곡면일 수 있다. 이하에서 몸체(210)는 도 2와 같이 다각면체 형상인 것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body 210 is not limited to a predetermined shap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 or a cylinder. In addition, the body 210 may be curved on one surface. Hereinafter, the body 210 will be described as having a polygonal shape as shown in FIG. 2.

암(220)은 몸체(2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암(220)은 프로펠러(230)와 몸체(210) 사이에 배치되어 프로펠러(230)와 몸체(21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Arm 22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body (210). The arm 2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ropeller 230 and the body 210 to interconnect the propeller 230 and the body 210.

암(220)은 프로펠러(230)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개수일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230)가 4개인 경우 암(220)은 4개일 수 있으나, 이러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rm 220 may vary in number depending on the number of propellers 230. For example, as shown, when the propeller 230 is four, the arm 220 may be four,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프로펠러(230)는 몸체(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을 통해 추진력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펠러(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암(220)을 통해 몸체(210)와 연결되며, 복수 개일 수 있다. Propeller 230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210, it may generate a driving force through the rot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peller 230 is connected to the body 210 through the arm 220, and may be a plurality of propellers 230.

또한, 프로펠러(230)는 몸체(21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펠러(230)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으며, 전면부 또는 후면부 등 위치에 따라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propeller 230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or rear portion of the body 210. In addition, the propeller 230 may rotate in various directions, and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portion or the rear portion 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a는 암과 프로펠러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암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프로펠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제2 날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3a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m and the propeller,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by the arm,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propeller, Figures 6 and 7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wing. to be.

먼저, 도 3a을 참조하면, 암(220)은 제1 연결부재(221), 제2 연결부재(222), 가이드부(223), 회전판(224), 홀드부(225) 및 회전체(226)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A, the arm 22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221, a second connecting member 222, a guide part 223, a rotating plate 224, a holding part 225, and a rotating body 226. ) May be included.

먼저, 제1 연결부재(221)는 몸체(210)와 결합하여, 몸체(2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210)는 몸체(2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may be coupled to the body 210 and may be fixed to the body 210.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ody 210,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재(221)는 몸체(210)의 전면부에 배치된 제1-1 연결부재(221a)와 몸체(210)의 후면부에 배치된 제1-2 연결부재(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부는 드론(10)에서 드론(10)이 진행하는 방향 측의 영역을 의미하고, 후면부는 상기 드론(10)이 진행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측 영역을 의미한다. In detail,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may include the first-first connection member 221a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1b dispos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210. It may include. Here, the front part means an area on the side of the drone 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one 10 travels, and the rear part means an area on the s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one 10 travels.

제1-1 연결부재(221a)는 드론(210)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1 연결부재(221a)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first connection member 221a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drone 210 and may extend outward. For example, the first-first connection member 221a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또한, 여기서, 제1 방향(x축 방향)은 암 또는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이고, 제2 방향(y축 방향)은 제1 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면부의 암에서 후면부의 암을 향한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방향(z축 방향)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에 모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Here,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 or the connecting member,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i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rear of the arm of the front portion It may be in a direction towards the cancer.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또한, 제1-1 연결부재(221a)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컨대, 제1-1 연결부재(221a)는 2개일 수 있으며, 이하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제1-1 연결부재(221a)는 중앙에서 몸체(210)와 결합하고, 양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first-first connection member 221a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For example, the first-first connection member 221a may be two,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However, the first-first connection member 221a may be coupled to the body 210 at the center thereof, and both ends thereof may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마찬가지로, 제1-2 연결부재(221b)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예컨대 2개일 수 있다. 그리고 제1-2 연결부재(221b)는 제1-1 연결부재(221a)와 마찬가지로, 중앙에서 몸체(210)와 결합하고, 양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Similarly, there may be a plurality of 1-2 connecting members 221b, for example, two. In addition, the 1-2 connection member 221b may be coupled to the body 210 at the center, similarly to the 1-1 connection member 221a, and both ends thereof may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제1-1 연결부재(221a)와 제1-2 연결부재(221b)는 제1 방향으로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221)는 전면부와 후면부에서 차지하는 무게가 동일하여, 드론은 무게에 대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The first-first connecting member 221a and the first-second connecting member 221b may have the sam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ly, sinc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has the same weight i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the drone may maintain a balance with respect to the weight.

다만, 제1-1 연결부재(221a)는 제1-2 연결부재(221b)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 연결부재(221a)와 제1-2 연결부재(221b)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드론(10)은 육상, 해상, 상공 등 위치에 따라 개선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However, the first-first connection member 221a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second connection member 221b. Accordingly, the first-first connection member 221a and the second-second connection member 221b may not overlap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By such a configuration, the drone 10 can provide improved propuls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and, sea, and air.

또한, 제2 연결부재(222)는 몸체(210)의 전면부에 배치된 제2-1 연결부재(222a)와 몸체(210)의 후면부에 배치된 제2-2 연결부재(222b)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includes a 2-1 connection member 222a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210 and a 2-2 connection member 222b dispos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210. can do.

먼저, 제2-1 연결부재(222a)는 드론(210)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2-1 연결부재(222a)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1 연결부재(221a)는 제1-1 연결부재(221a)와 후술하는 가이드부(223), 회전판(224) 및 홀드부(225)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First, the 2-1 connecting member 222a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drone 210 and may extend outward. For example, the second-first connection member 222a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2-1st connection member 221a may be coupled to the 1-1st connection member 221a through the guide part 223, the rotating plate 224, and the hold part 225.

또한, 제2-1 연결부재(222a)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컨대, 제2-1 연결부재(222a)는 2개일 수 있으며, 이하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제2-1 연결부재(222a)는 제1-1 연결부재(221a)와 결합하고, 회동할 수 있다. 이에, 제2-1 연결부재(222a)는 제1-1 연결부재(221a)와 달리 몸체(210)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1 연결부재(221a)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1 connecting member 222a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For example, two second-connecting members 222a may be two,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However, the second-first connection member 222a may be coupled to the first-first connection member 221a and rotate. Thus, unlike the first-first connection member 221a, the second-first connection member 222a may not be fixed to the body 210. Also, the second-first connecting member 221a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이 때, 제2-1 연결부재(222a)는 제1-1 연결부재(221a)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first connecting member 222a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first connecting member 221a.

제2-2 연결부재(222b)는 후면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일 수 있다. 예컨대 제2-2 연결부재(222b)는 2개일 수 있고, 이하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2 connecting members 222b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may be plural in number.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b may be two,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is,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제2-2 연결부재(222b)는 제2-1 연결부재(222a)와 대응하여 제1-2 연결부재(221b)와 결합하고, 회동할 수 있다. 이에, 제2-2 연결부재(222b)는 제1-2 연결부재(221b)와 달리 몸체(210)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2 연결부재(221b)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second connecting member 222b may be coupled to the second-second connecting member 221b and rotate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first connecting member 222a. Thus, unlik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1b,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b may not be fixed to the body 210. Also, the second-second connecting member 221b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이 때, 제2-2 연결부재(222b)는 제1-2 연결부재(221b)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잇다. 이에 따라, 제2-2 연결부재(222b)는 제2-1 연결부재(222a)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1 연결부재(222a)는 제1-2 연결부재(221b)와 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가져, 제2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저면은 지면 등을 향한 방향의 하면으로 예컨대, 지상에서 드론의 하면과 접하는 면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b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1b. Accordingly, the second-second connecting member 222b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first connecting member 222a. In addition, the 2-1 connecting member 222a may have the sam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1-2 connecting member 221b and may overlap in the second direction. Here, the bottom may be a bottom surface in a direction toward the ground, for example, a surface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drone on the ground.

그리고 제2-1 연결부재(222a)와 제2-2 연결부재(222b)는 제1 방향으로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재(222)는 전면부와 후면부에서 차지하는 무게가 동일하여, 드론은 무게에 대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재(221)와 제2 연결부재(222) 사이의 결합은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2-1 connecting member 222a and the 2-2 connecting member 222b may have the sam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has the same weight i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so that the drone can maintain a balance with respect to the weight.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can be easily changed.

그리고 제2 연결부재(222)는 일면에 배치된 제2 리세스(LG)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리세스(LG) 내에서 회전판(224)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221)는 제2 연결부재(222)와 결합하고, 제2 연결부재(222)가 제1 연결부재(221)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may include a second recess LG dispos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rotating plate 224 may move in the second recess LG.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may slide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221)는 제1 리세스(RS)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세스(RS) 내에 회전판(224)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판(224)의 하부는 제1 연결부재(221)의 제1 리세스(RS)에 배치되고, 회전판(224)의 상부는 제2 연결부재(222)의 제2 리세스(LG)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221)와 제2 연결부재(222)는 가이드부(223)없이 서로 결합할 수 있으며, 회전판(224)가 제1 리세스(RS) 및 제2 리세스(LG)를 슬라이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may include a first recess RS. The rotating plate 224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recess RS. For example,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plate 224 is disposed in the first recess R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2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plate 224 is the second recess LG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2. Can be placed in.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out the guide part 223, and the rotating plate 224 may have the first recess RS and the second recess LG. ) Can be slid.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전면부에서 연결부재(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의 양단(최외측부)과 후면부의 암의 양단은 서로 높이 차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부에서 제2-1 연결부재(222a)의 양단은 후단부에서 제2-2 연결부재(222b)보다 저면으로부터 높이 배치될 수 있다.4, both ends (outermost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both ends of the arm of the rear part may have a height difference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both ends of the second-first connection member 222a at the front portion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second-second connection member 222b at the rear end por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 연결부재(222)와 제1 연결부재(2221)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연결부재(222)에 연결된 프로펠러(23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면부에 연결된 프로펠러(230) 중 어느 하나는 시계 방향으로 다른 하나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후면부에 연결된 프로펠러 중 어느 하나는 시계 방향으로 다른 하나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에 배치된 프로펠러 중 어느 하나와 후면부에 연결된 프로펠러 중 어느 하나는 각각 서로 좌측,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높이 차에 의하여, 드론이 상공 또는 해상에서 비행 또는 이동하다가 지상에서 이동하는 경우에 서로 회전 방향이 반대인 프로펠러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221)와 제2 연결부재(22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혀질 수 있다. 이로써, 모든 프로펠러(230)는 상공, 해상과는 다르게 육상에서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지상에서 상공으로 또는 상공에서 지상으로 환경이 변하더라도 회전력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즉, 회전축(231)을 회전시키는 동력의 회전 방향을 변화시킬 필요 없이 환경의 변화에도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21 may be disposed to overlap in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propeller 230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may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As described below, any one of the propellers 230 connected to the front part may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other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e of the propellers connected to the rear part may rotate clockwise and the other counterclockwise. In addition, any one of the propellers disposed on the front and one of the propeller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the right of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drone is flying or moving in the air or above the sea and moves on the grou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2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2 connected to the propellers having opposite rotation direc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 height difference. Can be folded in rotation. As a result, all the propellers 230 may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on land as opposed to air and sea. Accordingly,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move while maintaining rotational force even if the environment changes from the ground to the air or from the air to the ground. 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adapt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without having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wer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231.

그리고 제1 연결부재(221)와 제2 연결부재(2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221)와 제2 연결부재(222)는 위치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may be disposed above or below depending on the position.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221)는 몸체(210)에 고정되나, 제2 연결부재(222)는 제1 연결부재(22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회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is fixed to the body 210,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the first direction ( x-axis direction), and can rotate.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23)는 제1 연결부재(211)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23)는 제1 연결부재(211)의 외측 즉, 일단에 배치되고, 제1 연결부재(211)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223)는 일측이 개구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3A, the guide part 22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In detail, the guide part 223 may be disposed at an out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that is, at one end, and may cover a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And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223 may be opened.

그리고 가이드부(223)는 제2 연결부재(222)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223)는 제2 연결부재(222)의 하부에 배치되고, 일부 영역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연결부재(221)와 제2 연결부재(222)는 후술하는 회전판(224)을 통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art 223 may be alternately dispos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For example, the guide part 223 may be disposed under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and may overlap in a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in some regions. By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can be easily rotated through the rotating plate 224 to be described later.

즉, 회전판(224)은 가이드부(223) 내부에 배치되어, 제1 연결부재(221)와 제2 연결부재(222)를 연결하고, 제2 연결부재(222)를 회동할 수 있다. 회전판은 가이드부(223) 내부에 장착되어 제1 연결부재(221)의 연장 방향 즉,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회전할 수도 있다.That is, the rotating plate 224 may be disposed in the guide part 223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and rotat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The rotating plate may be mounted inside the guide part 223 to move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that is, in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may rotate.

구체적으로, 회전판(224)은 제1 회전판(224a)와 제2 회전판(22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판(224a)은 가이드부(223)의 개구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연결부재(222)와 결합할 수 있다. 제1 회전판(224a)은 제2 연결부재(222)와 다양한 체결 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나사 결합 등일 수 있으나, 이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pecifically, the rotating plate 224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plate 224a and a second rotating plate 224b. The first rotating plate 224a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area of the guide part 223 and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The first rotating plate 224a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by various fastening means. For example, it may be a screw coupling, but is not limited to this kind.

또한, 제2 회전판(224b)은 가이드부(223) 내부에 배치되고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판(224b)은 제1 회전판(221a)과 결합되어 있어, 제2 회전판(224b)이 회전하면 제1 회전판(221a)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판(224a)은 제2 회전판(224b)보다 면적이 작아, 제2 회전판(224b)의 회전각도 대비 제1 회전판(224a)의 회전각도가 클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상 또한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otating plate 224b may be disposed inside the guide part 223 and rotate. In addition, the second rotating plate 224b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plate 221a, and when the second rotating plate 224b rotates, the first rotating plate 221a may also rotate. In addition, the area of the first rotating plate 224a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224b, and thus,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224a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224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may also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ircle.

그리고 홀드부(225)는 가이드부(223)의 연장방향(예컨대, 제1 방향으로)으로 최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회전판(224)이 제1 연결부재(221)와 홀드부(225)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하더라도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고,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로써,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 hold part 225 may be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eg,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guide part 223. Thus, the rotating plate 22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and the holding part 225, but may not escape to the outside even when rotated, and may be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In this way, reliability can be improved.

회전체(226)는 제2 연결부재(22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22)는 양 끝단부 최외측면에 홈을 가질 수 있고, 홈에 회전체(226)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체(226)는 후술하는 프로펠러(230)에서 제1 날개(23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체(226)는 회동할 수 있으며, 동력은 드론(10) 내부의 동력부(미도시됨)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미도시됨)는 몸체(210)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동력은 제1 연결부재(211) 및 제2 연결부재(222)를 통해 회전체(226)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등이 제2 연결부재(222) 또는 제1 연결부재(221)에 배치되고, 회전체(226)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rotating body 226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may have grooves at the outermost side surfaces of both ends, and the rotating body 226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s. The rotating body 226 may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first blade 232 in the propeller 230 to be described later. The rotor 226 may rotate, and power may be transmitted from a power unit (not shown) inside the drone 10. A power unit (not shown) for providing power may be disposed in the body 210 and include a motor. The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rotating body 226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However,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motor or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or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226.

회전체(226)는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체(226)에 연결된 프로펠러(230)은 저면, 상면, 측면 등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회동하면서 프로펠러(230)의 제1 날개(232)도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226 may rotate by power, and may rotat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rotation direction. Accordingly, the propeller 230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226 may rotate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a bottom surface,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the first blade 232 of the propeller 230 may also rotate by power while rotating. .

또한, 회전체(226)는 회전을 통해 프로펠러(230)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회전체(226)는 측면에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를 가지며, 회전부재는 제2 연결부재(222)와 결합할 수 있다. 즉, 회전체(226)는 제2 연결부재(222)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고, 회전체(226)에 연결된 프로펠러(230)도 제2 연결부재(222)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공, 해상, 지상 등 다양한 환경에 맞춰 프로펠러(230)의 위치(예컨대, 제2 연결부재와 이루는 각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body 226 may adjust the angle with the propeller 230 through the rotation. For example, the rotating body 226 may have a rotating member rotatable on a side thereof, and the rotat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That is, the rotating body 226 may have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2, and the propeller 230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226 may also have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2. have.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propeller 230 (eg, the angle form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can be easily controlled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air, sea, and ground.

프로펠러(230)는 회전축(231), 제1 날개(232), 하우징(233) 및 제2 날개(2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peller 230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231, a first wing 232, a housing 233, and a second wing 234.

먼저, 회전축(231)은 회전체(226)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231)은 회전체(226)가 회동하는 축과 동일한 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회전축(231)은 회전체(226)의 회동에 따라 회동할 수 있어, 회전축(231)의 회전 중심축은 저면, 측면, 상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중심축은 전면과 후면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시예에 따른 드론(10)은 상황에 따라(예컨대, 상공, 지상, 해상) 프로펠러(230)의 저면으로부터의 높이 등의 위치와 배치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First, the rotating shaft 231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226. The rotating shaft 231 may be the same axis as the axis in which the rotating body 226 rotat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231 may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26, so that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rotation shaft 231 may move to the bottom, side, and top. In addition, the rotation center axis may rotate to the front and rear side. By such a configuration, the dron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set various positions and placement angles, such as the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propeller 230,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example, air, ground, and sea).

제1 날개(232)는 회전축(231)의 외면에 복수 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날개(232)는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회전축(231)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축(231)이 제1 방향(x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232)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wings 232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231. In addition, the first wings 232 may have the same length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231. For example, when the rotation shaft 231 rotates about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rotation shaft 232 may extend in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또한, 제1 날개(232)의 길이의 변형되는 경우, 제2 연결부재(222), 가이드부(223)의 길이가 변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first wing 232 is deformed,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2 and the guide part 223 may be deformed.

제1 날개(232)는 또한 회전축(231)의 회전 중심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져, 비스듬히 배치되어 추진력을 개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날개(232)의 일단은 회전축(231)과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하우징(234)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날개(232)도 하우징(233)의 내면 중앙을 따라 배치되어 공기, 물 등 유체가 유입과 유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blade 232 may als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231, and may be disposed at an angle to improve the driving fo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One end of the first wing 232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23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23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first wing 232 is also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33 may be a uniform inflow and outflow of fluid, such as air, water.

하우징(233)은 복수 개의 제1 날개(232)의 타단과 연결되고, 복수 개의 제1 날개(232) 및 중심축(231)을 감쌀 수 있다. 하우징(233)은 복수 개의 제1 날개(232)보다 최대 면적이 클 수 있다. 예컨대, 제1 날개(232)의 제3 방향(z축 방향) 최대 길이보다 하우징(233)의 제3 방향(z축 방향) 최대 길이가 클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날개(232)는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므로, 하우징(233)은 복수 개의 제1 날개(232)를 둘러싸기 위해 원형일 수 있으며, 원의 중심에 회전축(23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33)은 원형으로 외부의 충격에 내구성이 강하고, 지면 등과 접촉하더라도 마찰력이 작아 드론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housing 233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232 and may surround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232 and the central axis 231. The housing 233 may have a larger maximum area than the plurality of first wings 232. For example, the maximum length of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housing 233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length of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first blade 232.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rality of first wings 232 have the same leng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housing 233 may be circular to surround the plurality of first wings 232, and The rotation shaft 231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In addition, the housing 233 has a circular shape, which is strong in external impact, and has a small frictional force even when contacted with the ground, thereby improving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drone.

제2 날개(234)는 하우징(233)의 외면에 복수 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날개(234)는 하우징(233)에 결합되어, 회전축(231), 제1 날개(232) 및 하우징(233)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wings 23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33. The second wing 234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233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231, the first wing 232, and the housing 233.

구체적으로, 제2 날개(234)는 하우징(233)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하우징(233)과 인접한 다른 제2 날개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우징(233)이 회전하는 경우에 제2 날개(234)는 회전축(231)의 외면으로 펼쳐져, 프로펠러(230)에서 발생하는 추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날개(234)의 일단은 하우징(233)의 외면과 접하고, 타단은 회전 중에 하우징(233)의 외측에 배치되어 하우징(233)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날개(234)가 회전함에 따라 제2 날개(234)이 형성하는 원의 넓이는 회전하지 않는 경우의 원의 넓이보다 클 수 있다. 즉, 회전하는 경우에, 프로펠러(230)의 최대 회전 반경(예컨대, 제2 날개(234)의 타단과 회전축(231)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이 최대가 되고,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프로펠러(230)의 최대 회전 반경이 최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프로펠러(230)의 회전에 따른 추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housing 233 does not rotate, the second wing 234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another second wing adjacent to the housing 233. On the contrary, when the housing 233 rotates, the second blade 234 extend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231,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thrust generated by the propeller 230. For example, one end of the second wing 234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33, and the other e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233 during rota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233. For this reason, as the second blade 234 rotates, the area of the circle formed by the second blade 234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circle in the case of not rotating. That is, in the case of rotation, the maximum radius of rotation of the propeller 230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lade 234 and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ion shaft 231) becomes the maximum and the propeller ( The maximum turning radius of 230 may be minimum. By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propulsion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230.

또한, 제1 날개(232)이 회전하는 경우에, 제2 날개(234)는 제1 날개(23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blade 232 rotates, the second blade 234 may be unfol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blade 232.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그리고 제2 날개(234)는 가벼우며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날개(234)는 폴리 카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2 날개(234)는 최대 회전 반경을 갖는 경우에 드론(10)의 몸체(210), 암(220)을 지지할 수 있으며, 특히 에어(air)를 사용하지 않고 몸체(210)와 암(220)을 지지하여 내구성 및 안정성 등을 향상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2 날개(234)는 제1 회동부(234a), 제1 서브날개(234b), 제2 서브날개(234c), 제2 회동부(234d), 고정부재(234e)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wing 234 is light and may include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second wing 234 may be made of poly carb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econd wing 234 may support the body 210 and the arm 220 of the drone 10 in the case of having the maximum radius of rotation, in particular, the body 210 and the arm without using air. Durability, stability, etc. may be improved by supporting the 220.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vane 234 may include a first pivot 234a, a first sub-wing 234b, and a second. The sub-wings 234c, the second pivoting portion 234d, and the fixing member 234e may be included.

먼저, 제1 회동부(234a)는 하우징(233)의 외면과 축 결합되어 회전축(231)의 회전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1 회동부(234a)는 하우징(234)의 외면 중앙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동부(234a)는 스프링(S)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동부(234a)는 소정의 회전력 이하에서는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회동부(234a)에 연결된 제1 서브날개(234b)와 하우징(233)이 이루는 각도(θ)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회전력은 스프링의 복원력과 동일한 것이며, 스프링의 복원력이 변경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First, the first pivot 234a is axi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33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231. The first pivot 234a may be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34. In addition, the first pivot 234a may be wrapped by the spring S. Accordingly, the first pivot 234a is formed at an angle θ between the first sub-wing 234b and the housing 233 connected to the first pivot 234a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S at a predetermined rotation force or less. ) Can be minimized. Here, the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is the same as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it may be changed as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is changed.

이와 달리, 하우징(233)의 동력이 소정의 회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제1 회동부(234a)도 상기 소정의 회전력을 초과하는 동력을 발생하므로, 제1 회동부(234a)에 연결된 제1 서브날개(234b)와 하우징(233)이 이루는 각도(θ)는 회전력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제2 날개(234)는 프로펠러(230)의 회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하우징(233)이 이루는 각도(θ)가 커지므로 회전 반경이 증가하여 드론의 추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power of the housing 233 exceeds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the first rotating part 234a also generates power exceeding the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and thus, the first sub-wing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part 234a. An angle θ formed between the 234b and the housing 233 may increas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force. Accordingly, as the second wing 234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reas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ropeller 230, the angle θ formed by the housing 233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rotation radius to further improve the driving force of the drone. You can.

제1 서브날개(234b)는 제1 회동부(234a)와 결합하여, 제1 회동부(234a)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233)과 상술한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고정부재(234e)는 하우징(233)의 외면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233)과 결합할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234e)는 위치에 따라 제1 서브날개(234b)와 하우징(233)이 이루는 각도(θ1)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재(234e)는 제1 서브날개(234b)와 하우징(233)이 이루는 각도(θ1)를 감소하도록 제1 회동부(234a)의 회전방향에 반대 방향을 향해 위치할 수 있다. 고정부재(234e)의 위치도 전술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제2 날개(234)의 회전 반경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 first sub-wings 234b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ivot 234a and rotate to form the aforementioned angle with the housing 23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pivot 234a. However, the fixing member 234e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33 and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233. Accordingly, the fixing member 234e may control the angle θ1 formed between the first sub-wing 234b and the housing 233 according to the position. For example, the fixing member 234e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pivot 234a so as to reduce the angle θ1 formed between the first sub-wing 234b and the housing 233. The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234e may als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described above, so that the rotation radius of the second blade 234 may be various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제2 서브날개(234c)는 제1 서브날개(234b)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서브날개(234c)는 제1 서브날개(234b)와 축 결합하기 위하여 제2 회동부(234d)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서브날개(234c)는 제1 서브날개(234b)와 별개로 제2 회동부(234d)에 의해 회동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날개(234)의 회전 반경이 더욱 증가하여 회전력도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e second sub-wings 234c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b-wings 234b. The second sub-wings 234c may be coupled through the second pivoting portion 234d to axially couple with the first sub-wings 234b. Accordingly, the second sub-wings 234c may be rotated by the second pivoting portion 234d separately from the first sub-wings 234b. As a result, the rotation radius of the second blade 234 may be further increased to further improve the rotational force.

뿐만 아니라, 제2 서브 날개(234c)는 프로펠러(23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제1 서브날개(234b)와 이루는 각(θ2)을 최소화하여 제2 날개(234)의 타단이 하우징(233)의 외면 또는 인접한 제2 날개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드론(10)은 회전하는 경우에 부피, 회전 반경을 증가하고,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부피, 회전 반경을 감소시켜 소형화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opeller 230 does not rotate, the second sub-wing 234c minimizes an angle θ2 formed with the first sub-wing 234b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ng 234 is the housing 233.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r adjacent second wing of the. In this way, the drone 10 can increase the volume, the radius of rotation when rotating, and can reduce the volume, the radius of rotation when not rotating to provide miniaturization.

또한, 제2 날개(234)는 상공에서는 제1 날개(232)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외면으로 펼쳐지지 않고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지상에서 제2 날개(234)는 제1 날개(232)의 회전수를 상공의 경우 대비 작게 유지하여 양력을 제어하고, 제1 날개(232)를 외면으로 펼쳐지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wing 234 may maintain a folded state without expanding to the outer surface by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ing 232 in the air.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wing 234 on the ground to control the lift by keep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irst wing 232 smaller than in the air, and can spread the first wing 232 to the outer surface.

도 6을 참조하면, 회전하지 않는 경우로 제2 날개(234)의 일단은 하우징(233)에 접하나, 타단은 인접한 제2 날개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의 부피가 최소화되고, 회전축에서 제2 날개까지의 최대 반경도 감소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one end of the second wing 234 may contact the housing 233 while the other wing does not rotate, and the other end may contact the adjacent second wing.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drone can be minimized and the maximum radius from the axis of rotation to the second blade can also be reduced.

이와 달리, 도 7을 참조하면, 회전하는 경우 제2 날개(234)의 일단이 하우징(233)에 접하더라도 타단이 회전축(231)의 최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의 부피가 증가하고 회전축에서 제2 날개까지의 최대 반경도 증가하여 회전에 의한 동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contrast, referring to FIG. 7, even when one end of the second blade 234 contacts the housing 233, the other end may be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rotation shaft 231.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drone increases and the maximum radius from the rotation axis to the second blade also increases, thereby maximizing the power due to rotation.

도 8은 도 5의 변형예이다.8 is a modification of FIG. 5.

도 8을 참조하면, 제2 날개(234)의 일단은 하우징(233)에 접하고, 타단은 서브 하우징(235)의 내면과 접할 수 있다. 서브 하우징(235)에 의해 제2 날개는 외부 물질 등으로부터 파손될 위험이 감소하고, 제2 날개(234)는 서브 하우징(235)과 하우징(233) 사이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제2 날개는 용이하게 회전 반경을 증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one end of the second wing 234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using 233,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ub housing 235. By the sub-housing 235, the risk of the second vane being damaged from foreign matters and the like is reduced, and the second vane 234 is integrally connected between the sub-housing 235 and the housing 233, thereby providing a plurality of second vanes. Can easily increase the radius of rotation.

또한, 서브 하우징(235)은 충격에 대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230)는 외부 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개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프로펠러(230)는 에어리스 구조로, 외부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므로 드론이 주행하는 경우에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펠러(230)는 제2 날개(234)가 에어리스 바퀴로 작용하여 지상에서 타이어의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housing 235 may be made of a material deformable to impact. Accordingly, the propeller 230 may improve the absorbing force against external impact. In addition, the propeller 230 described above is an airless structure, and thus easily absorbs external shocks, thereby improving stability when the drone is traveling. For example, propeller 230 may provide second tire 234 to act as an airless wheel to serve as a tire on the ground.

도 9a는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상공에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에서 드론의 정면도이고, 도 10a는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해상에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b는 도 10a에서 드론의 정면도이고, 도 11a는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육상에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드론의 측면도이다.FIG. 9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9B is a front view of the drone in FIG. 9A, FIG. 10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FIG. 10A is a front view of the drone, FIG. 11A is a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11B is a side view of the drone in FIG. 11A.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공, 해상, 육상에서 모두 이용가능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이하 설명한다.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available in the air, sea, and land as described above.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상공에서 드론의 프로펠러(230)는 회전하는 중심축이 저면에 수평한 방향이므로, 상공에서 비행할 수 있다.9A and 9B, the propeller 230 of the drone in the air may fly in the air since the rotating central axis is horizontal to the bottom.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부의 제2-1 연결부재(222a)는 후면부의 제2-2 연결부재(222b)와 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first connection member 222a of the front part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second connection member 222b of the rear part.

이에, 제2-1 연결부재(222a)에 연결된 회전체(226)는 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프로펠러(230)의 회전축과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제2-2 연결부재(222b)에 연결된 회전체(226)는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프로펠러(230)의 회전축과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otating body 226 connected to the second-first connecting member 222a may be disposed to face the bottom surface and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propeller 230. On the contrary, the rotating body 226 connected to the second-second connecting member 222b may be disposed to face upward and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propeller 230.

이에 따라, 제2 프로펠러(230b)는 제1 프로펠러(230a)보단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의 추력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로펠러(230a)는 전면부에 배치된 프로펠러이고, 제2 프로펠러(230b)는 후면부에 배치된 프로펠러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propeller 230b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propeller 230a. Accordingly, the thrust of the drone can be improved. Here, the first propeller 230a may be a propeller disposed in the front portion, and the second propeller 230b may be a propeller disposed in the rear portion.

그리고 상공에서 제1 프로펠러(230a) 중 어느 하나와 이에 마주보는 제2 프로펠러(230b)에서 제1 날개의 회전방향(이하 제1 회전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로펠러(230a) 중 나머지 하나와 이에 마주보는 제2 프로펠러(230b)에서 제1 날개의 회전 방향(이하 제2 회전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In addition, any one of the first propellers 230a and the second propeller 230b facing each other in the air may have the same rotation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rotation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second propeller 230b facing the other one of the first propellers 230a, the rotation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blade may be the same.

이 때, 제1 회전 방향과 제2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공에서 용이하게 양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nd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By such a configuration, the lifting force can be easily provided in the air.

그리고 제1 프로펠러(230a)는 제2-1 연결부재(222a)의 하부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상의 경우 제2-1 연결부재(222a)에 대해 수직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프로펠러(230b)는 제2-2 연결부재(222b)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프로펠러(230a)와 제2 프로펠러(230b)는 제2-2 연결부재(222b)에 대한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이로써, 프로펠러를 통한 방향, 출력 등을 다양한 환경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이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opeller 230a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econd-first connecting member 222a, and may move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first connecting member 222a in the case of the ground. In contrast, the second propeller 230b may be located above the second-second connecting member 222b. That is, the first propeller 230a and the second propeller 230b may have differen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second-second connecting member 222b. Thus, the direction through the propeller, the output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s.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following.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해상에서 드론의 제2 프로펠러(230b)는 회전 중심축이 해수면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로펠러(230a)는 회전 중심축이 해수면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상에서 드론은 제1 프로펠러(230a)에 의해 부력을 향상시키고, 제2 프로펠러(230b)에 의해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2 프로펠러(230b)는 각 회전 중심축이 몸체(210)의 내측에서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A and 10B, the second propeller 230b of the drone may have an axis of rotation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sea surface at sea. In addition, the first propeller 230a may have a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center axis is perpendicular to the sea level. Accordingly, the drone can improve buoyancy by the first propeller 230a and provide propulsion force by the second propeller 230b at sea. At this time, the second propeller 230b may be disposed such that each rotation center axis overlaps the inside of the body 210.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1 연결부재(222a)는 제1-1 연결부재(221a)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해수면에 제1-1 연결부재(221a)보다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1 연결부재(221a)는 1차적으로 부력을 제공하며, 제2-1 연결부재(222a) 하부에 제1 프로펠러(230a)가 배치되더라도 해수에 잠기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first connecting member 222a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first connecting member 221a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first connecting member 221a on the sea surface. . As a result, the first-first connection member 221a may primarily provide buoyancy and may not be immersed in seawater even if the first propeller 230a is disposed below the second-first connection member 222a.

또한, 제2-2 연결부재(222b)가 제1-2 연결부재(221a)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해수면에 보다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프로펠러(230b)는 보다 해수면에 용이하게 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b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1a to be closer to the sea surface. Thus, the second propeller 230b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a surface more easily.

또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전기로 동력을 발생하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해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회전판을 통해 서로 제3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접혀질 수 있고, 회전체(226)는 프로펠러(230)와 제2 연결부재 사이의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만, 드론은 이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move more easily at sea when generating electric power.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may be fold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through the rotating plate, and the rotating body 226 may adjust the angle between the propeller 23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You can make various changes. However, drones are not limited to this kind.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육상(지상)에서 드론의 제1 프로펠러(230a)와 제2 프로펠러(230b)는 저면(예컨대,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1 연결부재(222a)와 제2-2 연결부재(222b)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1 연결부재(221a) 상부에 제2-1 연결부재(222a)가 배치되고, 제2-2 연결부재(222b)는 제2-1 연결부재(222a)와 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제1-2 연결부재(221b)는 제2-2 연결부재(222b)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11A and 11B, the first propeller 230a and the second propeller 230b of the drone may have the same height from the bottom (eg, the ground) in the land (ground). Specifically, the 2-1 connecting member 222a and the 2-2 connecting member 222b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For example, the second-first connecting member 222a is disposed on the first-first connecting member 221a, and the second-second connecting member 222b is flush with the bottom of the second-first connecting member 222a. The first-second connecting member 221b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second connecting member 222b.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육상에서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제1 프로펠러(230a)와 제2 프로펠러(230b)가 모두 지면과 접하고, 편평한 지면으로부터 최대 높이도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드론은 지면으로부터 균형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the land both the first propeller 230a and the second propeller 230b abuts the ground, the maximum height from the flat ground may be the same. This allows the drone to move while maintaining balance from the groun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에어리스로서 외부 충격에 신뢰성이 개선되고, 무게가 가벼우며 소형화를 용이하게 제공하면서 동시에 해상, 지상, 상공 등 다양한 환경에서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상공, 지상, 해상 등 다양한 환경에 따라 프로펠러의 각도가 용이하게 변경되고, 각도 변경에 있어서 추가적인 모터를 요구하지 않아 제품의 간소화 및 경량화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n airless, which improves reli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provides light weight, and can be easily miniaturized, and can be easily driven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sea, ground, and air. In addition, the angle of the propeller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air, ground, and sea,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implified product and light weight by not requiring an additional motor in changing the angle.

즉,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의료용으로서 재난이 발생한 곳의 지리적 제약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야에 적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That is,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easily overcome the geographical constraints where the disaster occurred for medical use. In addition,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field, bu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in addition.

도 12는 드론이 상공에서 지상으로 이동할 때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when the drone moves from above to the ground.

도 12를 참조하면, 드론은 제3 프로펠러 내지 제1-1 프로펠러(230-1), 제1-2 프로펠러(230-2), 제2-1 프로펠러(230-3), 제2-2 프로펠러(230-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drone includes the third propeller to the first-first propeller 230-1, the 1-2 propeller 230-2, the 2-1 propeller 230-3, and the second propeller. (230-4).

제1-1 프로펠러(230-1) 및 제1-2 프로펠러(230-2)는 전술한 제1 프로펠러(230a)에 포함되고, 제2-1 프로펠러(230-3) 및 제2-2 프로펠러(230-4)는 전술한 제2 프로펠러(230b)에 포함될 수 있다.The 1-1 propeller 230-1 and the 1-2 propeller 230-2 are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propeller 230a and the 2-1 propeller 230-3 and the 2-2 propeller 230-4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propeller 230b described above.

상공에서 제1-1 프로펠러(230-1)와 제1-2 프로펠러(230-2)는 회전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1 프로펠러(230-3)와 제2-2 프로펠러(230-4)는 회전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1 프로펠러(230-1)는 시계방향(C1)으로, 제1-2 프로펠러(230-2)는 반시계 방향(C2)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1 프로펠러(230-1)와 제2-2 프로펠러(230-4)는 동일한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C1))으로 회전하고, 제1-2 프로펠러(230-2)와 제2-3 프로펠러(230-3)는 동일한 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C2))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the air, the 1-1 propeller 230-1 and the 1-2 propeller 230-2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2-1 propeller 230-3 and the 2-2 propeller ( 230-4), the rotation shaft may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the 1-1 propeller 230-1 may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C1 and the 1-2 propeller 230-2 may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2. In addition, the first-first propeller 230-1 and the second-second propeller 230-4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eg, clockwise direction C1), and the first-second propeller 230-2 and the first propeller 230-2 may be rotated. The 2-3 propellers 230-3 may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eg, counterclockwise direction C2).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의 양단(최외측부)과 후면부의 암의 양단은 서로 높이 차를 가지므로, 드론이 상공 또는 해상에서 비행 또는 이동하다가 지상에서 이동하는 경우에 서로 회전 방향이 반대인 프로펠러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221)와 제2 연결부재(22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힐 수 있다. 즉, 제1 프로펠러(230-1)는 반시계 방향(예컨대, -90도)으로 회동하여 저면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제2 프로펠러(230-2)는 시계 방향(예컨대, +90도)으로 회동하여 저면에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모든 프로펠러(230)는 상공, 해상과는 다르게 육상에서 모두 동일한 방향(K)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지상에서 상공으로 또는 상공에서 지상으로 환경이 변하더라도 회전력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즉, 회전축(231)을 회전시키는 동력의 회전 방향을 변화시킬 필요 없이 환경의 변화에도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방향의 변화가 없어 프로펠러에서 회전의 동력에 대한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재(221)와 제2 연결부재(2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221)와 제2 연결부재(222)는 위치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both ends (outermost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the arms of the rear part have a height difference from each other, the drone is flying or moving in the air or at sea, and then When moving i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connected to the propeller rotation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can be folded to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That is, the first propeller 230-1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eg, -90 degrees) and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propeller 230-2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eg, +90 degrees). It can be locat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As a result, all the propellers 230 may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K) in the land, unlike air and sea. Accordingly,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move while maintaining rotational force even if the environment changes from the ground to the air or from the air to the ground. 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adapt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without having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wer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231. In addition, there is no chang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can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for the power of rotation in the propeller.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2 may be disposed above or below depending on the position.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상면도이고,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하면도이다.13 is a view showing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4 is a top view of the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5 is a bottom view of the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몸체(210'), 암(이하에서는 제1 연결부재(22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및 프로펠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210 ′, an arm (hereinaft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and a propeller 230.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몸체(210')는 내부에 홈(28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홈(280)에는 다양한 휴대 기기가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바일 이동기기가 안착할 수 있다. 이에, 전술한 몸체와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And the body 210 'of the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groove 280 therein. In addition, various portable devices may be disposed in the home 280, for example, a mobile mobile device may be seated. Thus, the body and shape described above may be different.

또한, 몸체(210')는 모바일 이동기기와 연결 가능한 케이블(270)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270)은 몸체(210')와 연결되면 무방하며, 몸체(210') 어디에도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270)은 모바일 이동기기와 연결되고, 모바일 이동기기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의해 모바일 이동기기의 센서 및 배터리로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210 ′ may have a cable 270 connectable to the mobile mobile device. The cable 27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210 ', and may be disposed anywhere in the body 210'. The cable 270 is connected to the mobile mobile device, and may operate as a sensor and a battery of the mobile mobile device by an application of the mobile mobile device.

또한,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221)는 몸체(210')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재(221)는 몸체(210') 내에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펠러(230)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3(a)와 같이, 프로펠러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재(22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may be disposed in the body 210 ′ and may be easily moved.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may slide in the body 210 '. In addition, the propeller 230 may be arranged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opellers 2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a), the number of propellers may vary, and may be four as shown.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may be dispos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이와 달리, 도 13(b)를 참조하면, 프로펠러의 개수는 2개이고, 제1 연결부재(221)는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Unlike this, referring to FIG. 13B, the number of propellers is two,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may be dispos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direction.

또한,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221)는 프로펠러(2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술한 회전체(226)가 제1 연결부재(221)와 프로펠러(23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연결부재(221)와 프로펠러(23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회전판과, 제2 연결부재, 가이드부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may be connected to the propeller 230, and the above-described rotating body 22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and the propeller 230. Is disposed in, can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21 and the propeller 230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rotating plat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the guide portion may also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전술한 드론과 마찬가지로, 육상, 지상, 해상 등 다양한 환경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이동기기의 위치를 알지 못하거나, 셀프 카메라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드론을 이동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easily moved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land, ground, and sea, similar to the drone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drone may be moved when the location of the mobile mobile device is not known or when the self-camera is to be photographed.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상면도, 하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a)와 도 15(a)는 육상에서 드론이 동작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b)와 도 15(b)는 상공에서 드론이 동작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c)와 도 15(c)는 보관 시 드론을 도시한 도면이다.14 and 15 are top and bottom views respectively of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pecifically, FIGS. 14 (a) and 15 (a) are views showing the drone operating in the land, and FIGS. 14 (b) and 15 (b) show the drone operating in the air. 14 (c) and 15 (c) are views illustrating a drone during storage.

도 14(a) 및 도 15(a)와 같이 프로펠러(230)는 저면에 수직한 방향을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프로펠러(230)는 몸체(210')의 양단부로 이동하여 회동할 수 있다.14 (a) and 15 (a), the propeller 230 may be positioned to hav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That is, the propeller 230 may rotate by moving to both ends of the body 210 '.

그리고 도 14(b) 및 도 15(b)와 같이, 상공에서는 프로펠러(230)가 드론의 저면에 수평한 방향을 가지도록 위치하며, 몸체(210')의 양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23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공기의 이동에 의한 힘이 몸체(210')에 가려지지 않으므로, 프로펠러(230)의 날개의 회전에 따른 양력이 발생할 수 있다.14 (b) and 15 (b), the propeller 230 may be positioned to have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bottom of the drone, and may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body 210 'in the air. Accordingly, since the force caused by the movement of air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230 is not covered by the body 210 ', lift may occur due to the rotation of the blades of the propeller 230.

도 14(c) 및 도 15(c)와 같이, 보관 시 프로펠러(230)는 몸체(2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프로펠러(230)의 개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며, 모든 프로펠러(230)가 몸체(210')와 수직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9230)는 일부 몸체(210') 외부에 배치되므로, 해상 또는 상공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14 (c) and 15 (c), the propeller 230 may be positioned on the body 210 'during storage. However, the number of propellers 230 may vary as described above, and all propellers 230 may not be positioned to overlap the body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since the propeller 9230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210 ', it may be movable in the sea or in the air.

도 16은 도 13의 변형예이다.16 is a modification of FIG. 13.

도 16을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드론은 이하 설명하는 내용을 제외하고 도 13에서 상술한 몸체(210'), 암(이하 제1 연결부재(22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및 프로펠러(230)에 관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drone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includes the body 210 ′, the arm (hereinaft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20) and the propeller 23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3 except for the following description. ) Can be applied equally.

변형예에 따른 드론은 제1 연결부재가 격자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재(220)는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며, 제2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우측 각각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1 프로펠러(전면부, 우측)와 제2-2 프로펠러(후면부, 좌측) 또는 제1-2 프로펠러(전면부, 좌측)와 제2-1 프로펠러(후면부,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재9220)은 몸체(2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몸체(210')와 연결될 수 있다.In the drone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may be arranged in a lattice.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0 may be disposed one by one in the front and rear parts, and one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0 based o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propeller (front part, right side) and the second propeller (rear part, left side) or the second propeller (front part, left side) and the second propeller (rear part, right side) may be disposed. Can b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922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210 ′ to move in a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9220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1 프로펠러와 제1-2 프로펠러는 회전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1 프로펠러와 제2-2 프로펠러는 회전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1 프로펠러는 시계방향(C1)으로, 제1-2 프로펠러는 반시계 방향(C2)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1 프로펠러와 제2-2 프로펠러는 동일한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C1))으로 회전하고, 제1-2 프로펠러와 제2-3 프로펠러는 동일한 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C2))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1-1 propeller and the 1-2 propeller may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2-1 propeller and the 2-2 propeller may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the 1-1 propeller may rotate clockwise (C1), and the 1-2 propeller may rotate counterclockwise (C2). And the 1-1 propeller and the 2-2 propeller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eg, clockwise direction C1), and the 1-2 propeller and the 2-3 propeller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eg, anticlockwise direction (C2). Can be rotated).

또한, 제1 연결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와 이격되어, 전면부와 후면부에서 좌측/우측 각각에 배치된 프로펠러는 서로 높이 차를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이 상공 또는 해상에서 비행 또는 이동하다가 지상에서 이동하는 경우에 서로 회전 방향이 반대인 프로펠러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221)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힐 수 있다. 즉, 제1 프로펠러는 반시계 방향(예컨대, -90도)으로 회동하여 저면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제2 프로펠러는 시계 방향(예컨대, +90도)으로 회동하여 저면에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모든 프로펠러(230)는 상공, 해상과는 다르게 육상에서 모두 동일한 방향(K)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지상에서 상공으로 또는 상공에서 지상으로 환경이 변하더라도 회전력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즉,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의 회전 방향을 변화시킬 필요 없이 환경의 변화에도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방향의 변화가 없어 프로펠러에서 회전의 동력에 대한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as described above, the propeller dispos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i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height. Accordingly, when the drone is flying or moving in the air or on the sea, and then moves on the grou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1 connected to the propellers having opposite rotation directions may be rotated and folded in different directions. That is, the first propeller may be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eg, −90 degree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propeller may be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eg, +90 degree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s a result, all the propellers 230 may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K) in the land, unlike air and sea. Accordingly,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move while maintaining rotational force even if the environment changes from the ground to the air or from the air to the ground. 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adapt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without having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wer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In addition, there is no chang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can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for the power of rotation in the propeller.

도 17 내지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도시한 도면이다.17 to 18 are views illustrating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몸체(210''), 암(220) 및 프로펠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 17 to 18,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210 ″, an arm 220 and a propeller 230.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몸체(210'')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며 구동을 위한 프로펠러(230)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body 210 '' may be seated by the user and connected with the propeller 230 for driving as described above.

또한, 몸체(210'')는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들부와, 속도 제어를 위한 변속부(미도시됨), 구동을 위한 엔진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오토바이에 적용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210 ''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rotatably coupled, a speed change portion (not shown) for speed control, and an engine portion (not shown) for driving. It is not limited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applied to a conventional motorcycle.

그리고 암(220)은 몸체(21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서는 암(220)내의 회전판과 회전체에 의해 연결부재 등이 회전 가능한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210'')와 암(220)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210'')와 암(220)은 서로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암(220)이 회전할 수 있다.The arm 220 may be coupled to the body 210 '' to be rotatab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like are rotatable by the rotating plate and the rotating body in the arm 2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upling may be made to be rotatable between the body 210 ″ and the arm 220. . In addition, the body 210 ″ and the arm 2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that the arm 220 may rotate.

예컨대, 암(220)은 단부에 연결된 프로펠러(230)와 같이 회전하며 도 18과 같이 프로펠러(230)가 몸체(210'')와 동일면 상에 배치되는 높이까지 회전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rm 220 rotates with the propeller 230 connected to the end, and as shown in FIG. 18, the arm 220 may rotate to a height at which the propeller 230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body 210 ″.

또한 도 17과 같이 암(220)의 각 단부에 배치된 프로펠러(230)는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고, 전면부에 배치된 프로펠러(230) 및 암(220)은 상술한 핸들부(230)오 연결되어 몸체(210'')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프로펠러(230)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로펠러(230)와 몸체(210'')의 사이즈가 감소하여 이에 가해지는 저항력이 감소되므로 속도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7, the propellers 230 disposed at each end of the arm 220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nd the propellers 230 and the arm 220 disposed at the front part are the handle part 230 described above. Connect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dy (210 ''). In addition, two propellers 230 respectively positioned at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Due to this, the size of the propeller 230 and the body 210 ''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resistance applied thereto, thereby providing speed improvement.

또한, 각 프로펠러(230)의 회전방향이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도 17과 같이 암(220)을 회전한 이후에 프로펠러(230)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구조는 다양한 개수를 갖는 이동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드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오토바이처럼 이동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direction of each propeller 230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but after the arm 220 is rotated as shown in FIG. 17, the propellers 230 may all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be applied to various moving bodies, which may include a drone. And if you're on the ground, you can move like a motorcyc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드론에서 프로펠러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드론은 2륜, 4륜, 6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propellers in the drones described herein may vary. For example, the drone may be driven in various ways, such as two wheels, four wheels, and six wheels.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 '~ part' used in the embodiment refers to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SIC, and the '~ par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mean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and the like.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the '~'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the '~'.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the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emplify the abov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is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any vari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nd differences relating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ill hav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양력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프로펠러;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복수 개의 프로펠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암;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회전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 제1 날개;
상기 제1 날개를 둘러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 상에 이격 배치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날개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과 접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하는 드론.
Body;
A plurality of propellers connected to the body and provided with rotational power to generate lift;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arms disposed between the body and the plurality of propellers,
The propeller,
A rotating shaft rotating with the rotating power;
A first wing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A housing surrounding the first wing; And
A second wing spaced apart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One end of the second wing is in contact with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drone to move outward or in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The drone and the first blade and the housing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앙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 중앙을 따라 배치되는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wing is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second wing is a drone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날개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연결되는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lade is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One end of the second wing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프로펠러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gles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The cancer,
A first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body; And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The dron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rotates in different directions.
KR1020180087919A 2018-07-27 2018-07-27 Drone KR102609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919A KR102609548B1 (en) 2018-07-27 2018-07-27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919A KR102609548B1 (en) 2018-07-27 2018-07-27 Dr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524A true KR20200012524A (en) 2020-02-05
KR102609548B1 KR102609548B1 (en) 2023-12-05

Family

ID=6951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919A KR102609548B1 (en) 2018-07-27 2018-07-27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548B1 (en)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2219B1 (en) * 1997-08-08 2002-03-05 Safedin Zelic Flying vehicle with lift generators
US20060016930A1 (en) * 2004-07-09 2006-01-26 Steve Pak Sky hopper
US20080048065A1 (en) * 2004-12-23 2008-02-28 Julian Kuntz Flying Device With Improved Movement on The Ground
KR20120071187A (en) * 2010-12-22 2012-07-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Wheel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20075035A (en) * 2010-12-28 2012-07-06 (주)아이엠테크놀로지 Driving assembly having wing-type wheels
KR20120139139A (en) * 2011-06-16 2012-12-27 김준규 Ground and air and water moving in the apparatus and methods
EP2752179A1 (en) * 2011-08-29 2014-07-09 Niigata University Wheelchair provided with feet
WO2015109322A1 (en) * 2014-01-20 2015-07-23 Robodub Inc. Multicopters with variable flight characteristics
US9393847B2 (en) * 2010-05-17 2016-07-19 Piasecki Aircraft Corporation Modular and morphable air vehicle
KR20160122096A (en) * 2016-08-19 2016-10-21 이승현 RC Car Drone
US20170029103A1 (en) * 2015-07-28 2017-02-02 Inventec Appliances (Pudong) Corporation Unmanned vehicle
KR20170027096A (en) * 2015-09-01 2017-03-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opeller allocation re-configurable drone
KR20170042952A (en) * 2015-10-12 2017-04-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Aircraft
KR20170088480A (en) * 2016-01-22 2017-08-0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Transformable wheel with airless tire
CN107117283A (en) * 2016-02-25 2017-09-01 鹦鹉无人机股份有限公司 With the unmanned plane for folding link arm
CN107207088A (en) * 2014-12-04 2017-09-26 埃尔瓦有限公司 Reconfigurable unmanned vehicle system
KR20180089938A (en) * 2017-02-01 2018-08-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variable wheel
JP6628173B2 (en) * 2014-12-25 2020-01-08 国立大学法人 名古屋工業大学 Land-borne vehicle with wheels that increase friction with the contact surface
CN111566008A (en) * 2017-12-12 2020-08-21 卡梅伦·斯潘塞 Variable geometry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system

Patent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2219B1 (en) * 1997-08-08 2002-03-05 Safedin Zelic Flying vehicle with lift generators
US20060016930A1 (en) * 2004-07-09 2006-01-26 Steve Pak Sky hopper
US20080048065A1 (en) * 2004-12-23 2008-02-28 Julian Kuntz Flying Device With Improved Movement on The Ground
US9393847B2 (en) * 2010-05-17 2016-07-19 Piasecki Aircraft Corporation Modular and morphable air vehicle
KR20120071187A (en) * 2010-12-22 2012-07-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Wheel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20075035A (en) * 2010-12-28 2012-07-06 (주)아이엠테크놀로지 Driving assembly having wing-type wheels
KR20120139139A (en) * 2011-06-16 2012-12-27 김준규 Ground and air and water moving in the apparatus and methods
EP2752179A1 (en) * 2011-08-29 2014-07-09 Niigata University Wheelchair provided with feet
WO2015109322A1 (en) * 2014-01-20 2015-07-23 Robodub Inc. Multicopters with variable flight characteristics
CN107207088A (en) * 2014-12-04 2017-09-26 埃尔瓦有限公司 Reconfigurable unmanned vehicle system
JP6628173B2 (en) * 2014-12-25 2020-01-08 国立大学法人 名古屋工業大学 Land-borne vehicle with wheels that increase friction with the contact surface
US20170029103A1 (en) * 2015-07-28 2017-02-02 Inventec Appliances (Pudong) Corporation Unmanned vehicle
KR20170027096A (en) * 2015-09-01 2017-03-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opeller allocation re-configurable drone
KR20170042952A (en) * 2015-10-12 2017-04-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Aircraft
KR20170088480A (en) * 2016-01-22 2017-08-0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Transformable wheel with airless tire
CN107117283A (en) * 2016-02-25 2017-09-01 鹦鹉无人机股份有限公司 With the unmanned plane for folding link arm
KR20160122096A (en) * 2016-08-19 2016-10-21 이승현 RC Car Drone
KR20180089938A (en) * 2017-02-01 2018-08-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variable wheel
CN111566008A (en) * 2017-12-12 2020-08-21 卡梅伦·斯潘塞 Variable geometry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548B1 (en)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525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06800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S11630457B2 (en) Multi-purposed self-propelled device
KR102624054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S114237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obstacle avoidance in aerial systems
US10423155B2 (en) Self propelled device with magnetic coupling
KR102323447B1 (en) Transformable unmanned aerial vehicle
US10901437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an omnidirectional depth sensing and obstacle avoidance aeria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7265017B2 (en) Unmanned flight systems and control systems used in unmanned flight systems
US11027835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6525973A (en) Multipurpose self-propelled device
US11267568B2 (en) Aerial system including foldable frame architecture
US10974825B2 (en) Aerial system including foldable frame architecture
WO2020038356A1 (en) Detachable protection structure for unmanned aerial systems
KR20180063719A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00012524A (en) Drone
US1101462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10040246B (en) Single-shaft double-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device, system with same and remote control method
KR20180009834A (en) Assembly kit for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EP2994804B1 (en) Multi-purposed self-propelled device
KR102627929B1 (en) Rotatable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constant position sensor
CN115941829A (en) Mobile terminal and posture fix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