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010A - 3d 스캐너 - Google Patents

3d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010A
KR20200010010A KR1020190038421A KR20190038421A KR20200010010A KR 20200010010 A KR20200010010 A KR 20200010010A KR 1020190038421 A KR1020190038421 A KR 1020190038421A KR 20190038421 A KR20190038421 A KR 20190038421A KR 20200010010 A KR20200010010 A KR 20200010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er
light
convex lens
sensor
transpar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근호
Original Assignee
손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근호 filed Critical 손근호
Priority to KR102019003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0011A/ko
Priority to KR1020190055453A priority patent/KR20200010020A/ko
Priority to KR1020190061607A priority patent/KR20200010026A/ko
Priority to PCT/KR2019/008808 priority patent/WO2020017879A1/ko
Publication of KR20200010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스캐너는 자체로 빛을 낼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와 오목볼록렌즈와 라이트와 센서를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자체광원을 이용하여 3D 스캐너에 사용하므로 써 3D 스캐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3D 스캐너{3D scanner Use Of Transparency Display}
본 발명의 3D 스캐너는 자체로 빛을 낼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와 렌즈와 라이트와 센서를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자체광원을 이용하여 3D 스캐너에 사용하므로 써 3D 스캐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3D 스캐너는 부피가 크지만 본 발명의 3D 스캐너는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3D 스캐너는 부피와 크기가 크지만 본 발명의 3D 스캐너의 부피와 크기가 작다.
투명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3D 스캐너는 투명 디스플레이 자체가 3D 스캐너의 부피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피가 작아 스캔속도가 빠르며, 안정성이 있으며, 각종 제어장치가 최소화 되며 여러 구성요소가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다.
대표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투명 디스플레이와 오목볼록렌즈와 센서를 사용하는 스캐너 도면.
도면 1은 오목볼록렌즈 도면
도면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투명 디스플레이와 오목볼록렌즈와 센서들을 이용한 3D 스캐너 도면.
도면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투명 디스플레이와 오목렌즈와 센서들을 이용한 3D 스캐너 도면.
도면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라이트와 오목볼록렌즈와 센서를 이용한 스캐너 도면.
도면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라이트와 오목볼록렌즈와 센서를 사용하는 스캐너 도면.
도면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라이트와 오목볼록렌즈와 센서들을 사용하는 3D 스캐너 도면.
본 발명의 3D 스캐너의 있어서,
대표도면에서는 오목볼록렌즈(3)와 투명 디스플레이(1)와 센서(2)를 일정 간격을 두고 일직선으로 세운다. 투명 디스플레이(1)의 자체광원에서 발생되는 빛(4)을 쏘여 오목볼록렌즈(3)를 투과하고 물체(5)에 반사되어 나온 빛(화상정보)(9)은 오목볼록렌즈(3)를 투과하고 투명 디스플레이(1)를 투과하여 센서(2)가 한꺼번에 읽어 들이면, 화상 정보를 여러 단계를 거쳐 물체에 대한 크기, 모양, 색상 등을 알아 낼 수 있는 스캐너 이다. 오목볼록렌즈(3)를 사용하면 광각이 넓어져 더 넓게 시야를 확보할수 있으며 센서(2)의 크기를 줄일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오목볼록렌즈(3)와 투명디스플레이(1)와 센서(2)가 결합된 것이 스캐너(7)라 한다.
도면 1에서는 오목볼록렌즈(3)은 오목렌즈(6)와 볼록렌즈(14)을 겹쳐서 같이 쓸수도 있고, 오목렌즈(6)와 볼록렌즈(14)을 합친것처럼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 2에서는 스캐너(7)와 스캐너(7-1)와 스캐너(7-2)에서 읽어들인 빛(화상정보)(9)는 서로 위치등의 정보가 각각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스캐너의 정보를 분석장치(11)가 위치정보등을 분석하여 물체에 대한 3D 이미지로 만들 수 있으므로 3D 스캐너(10) 이다.
도면 3에서는 스캐너(7)와 스캐너(7-1)와 스캐너(7-2)와 분석장치(11)이 결합된 것이 3D 스캐너(10)이다.
도면 4에서는 오목볼록렌즈(3)와 센서(2)를 일정 간격을 두고 일직선으로 세운다. 오목볼록렌즈(3) 뒤에 라이트(12)를 설치한다. 라이트(12)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4)을 쏘여 오목볼록렌즈(3)를 투과하고 물체(5)에 반사되어 나온 빛(화상정보)(9)은 오목볼록렌즈(3)를 투과하여 센서(2)가 한꺼번에 읽어 들이면, 화상 정보를 여러 단계를 거쳐 물체에 대한 크기, 모양, 색상 등을 알아 낼 수 있는 스캐너 이다.
오목볼록렌즈(3)를 사용하면 광각이 넓어져 더 넓게 시야를 확보할수 있으며 센서(2)의 크기를 줄일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오목볼록렌즈(3)와 라이트(12)와 센서(2)가 결합된 것이 스캐너(8)라 한다.
도면 5에서는 스캐너(8)와 스캐너(8-1)와 스캐너(8-2)에서 읽어들인 빛(화상정보)(9)는 서로 위치등의 정보가 각각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스캐너의 정보를 분석장치(11)가 위치정보등을 분석하여 물체에 대한 3D 이미지로 만들 수 있으므로 3D 스캐너(13) 이다.
도면 6에서는 스캐너(8)와 스캐너(8-1)와 스캐너(8-2)와 분석장치(11)이 결합된 것이 3D 스캐너(13)이다.
또한 3D 스캐너를 만들기 위해서 스캐너(7, 7-1, 7-2), 스캐너(8, 8-1, 8-2)개수가 2개 이상이면 충분하지만 많으면 많을수록 넓은 범위의 위치정보를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3D 스캐너의 광원을 움직이는 장치와 시간을 두고 조금씩 모은 정보를 읽고 분석하는 장치 및 각종 제어장치 등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3D 스캐너는 투명 디스플레이와 렌즈와 센서를 사용하여 한꺼번에 빛을 쏘이면 반사된 화상정보는 투명 디스플레이 자체를 통과한 후 센서가 한꺼번에 정보를 읽는 방식 이므로 스캔 속도가 빠르며 광원을 움직이는 장치 등 각종 제어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안정적이고 정확한 스캔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값비싼 센서의 크기를 줄있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물론 오목렌즈와 볼록렌즈를 같이 사용할 수도 있고 오목볼록렌즈와 투명 디스플레이와 라이트의 위치의 조정도 물론 가능하다. 오렌볼록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3D 스캔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스캐너(7, 7-1, 7-2, 8, 8-1, 8-2)의 스캐너를 따로 사용할 수도 있고 여러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스캔 속도도 빠르고 안정성이 높고, 여러가지 제어장치 없이 만들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3D 스캐너이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은 충분함.
1 : 투명 디스플레이, 2 : 센서, 3 : 오목볼록렌즈, 4 : 빛,
5 : 물체, 6 : 오목렌즈, 7 : 스캐너, 7-1 : 스캐너, 7-2 ; 스캐너,
8 : 스캐너, 8-1 : 스캐너, 8-2 ; 스캐너, 9 : 빛(화상정보), 10: 3D 스캐너(7, 7-1, 7-2), 13 : 3D 스캐너(8, 8-1, 8-2), 11 : 분석장치, 12 : 라이트, 13 : 3D 스캐너(8, 8-1, 8-2), 14 : 볼록렌즈.

Claims (2)

  1. 3D 스캐너에 있어서,
    투명 디스플레이(1)와;
    오목볼록렌즈(6)와;
    센서(2)를 이용한 스캐너(7, 7-1, 7-2)들과;
    스캐너(7, 7-1, 7-2)의 각각의 위치정보등을 분석하는 분석장치(11)가 결합된 3D 스캐너.
  2. 3D 스캐너에 있어서,
    오목볼록렌즈(6)와;
    라이트(12)와;
    센서(2)를 이용한 스캐너(8, 8-1, 8-2)들과;
    스캐너(8, 8-1, 8-2)의 각각의 위치정보등을 분석하는 분석장치(11)가 결합된 3D 스캐너.
KR1020190038421A 2018-07-18 2019-04-02 3d 스캐너 KR20200010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852A KR20200010011A (ko) 2018-07-18 2019-04-03 치과용 3d스캐너
KR1020190055453A KR20200010020A (ko) 2018-07-18 2019-05-13 치과용 3d스캐너
KR1020190061607A KR20200010026A (ko) 2018-07-18 2019-05-27 치과용 3d스캐너
PCT/KR2019/008808 WO2020017879A1 (ko) 2018-07-18 2019-07-17 치과용 3d스캐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205 2018-07-18
KR20180083205 2018-07-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010A true KR20200010010A (ko) 2020-01-30

Family

ID=6932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421A KR20200010010A (ko) 2018-07-18 2019-04-02 3d 스캐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00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8366B2 (en) Augmented reality lighting effects
US85763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controlling focal distance in a vision system camera
CN108541304A (zh) 具有灵活扫描图案的飞行时间深度映射
JP4579295B2 (ja) 画像表示装置
US20200004343A1 (en) Adjusting dimensioning results using augmented reality
US20170124396A1 (en) Dynamically created and updated indoor positioning map
WO2013138082A3 (en) Video otoscanner with line-of-sight probe and screen
US10832023B2 (en) Dual-imaging vision system camera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9936691A (zh) 双成像视觉系统相机、瞄准仪及其使用方法
KR20100112853A (ko) 3차원 거리 인식장치
KR101274301B1 (ko) 적외선 엘이디 발광영역의 영상 복원을 통한 증강현실 시스템
KR20200010010A (ko) 3d 스캐너
CN108475147B (zh) 图像识别装置、图像识别方法以及图像识别单元
KR102185322B1 (ko) 적외선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위치 검출 시스템
EP3615967B1 (en) Tracking optical flow of backscattered laser speckle patterns
JPS62194413A (ja) 三次元座標計測装置
Soomro et al. Decoupling of real and digital content in projection-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s using time multiplexed image capture
TW201508413A (zh) 立體掃描裝置
KR20170127842A (ko) 3차원 스캐너
US10931861B2 (en) Wide field of view panning camera
KR101274334B1 (ko) 비전기반의 증강현실 시스템
KR20200010011A (ko) 치과용 3d스캐너
KR102112795B1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3d 스캐너
KR20200120056A (ko) 치과용 3d 스캐너 측정방법
KR101547457B1 (ko) 방향 인식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