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931A - 미간 주위의 혈관에 대한 혈관압박장치 - Google Patents
미간 주위의 혈관에 대한 혈관압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8931A KR20200008931A KR1020180114432A KR20180114432A KR20200008931A KR 20200008931 A KR20200008931 A KR 20200008931A KR 1020180114432 A KR1020180114432 A KR 1020180114432A KR 20180114432 A KR20180114432 A KR 20180114432A KR 20200008931 A KR20200008931 A KR 202000089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ression device
- pressing portion
- bridge
- pressing
- blood vess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는 어느 하나의 안와 주위를 압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된 제1 압박부; 상기 제1 압박부로부터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안와 주위를 압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된 제2 압박부; 및 상기 제1 압박부에서 상기 제2 압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압박부와 상기 제2 압박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간 주위의 혈관에 대한 혈관압박장치에 대한 것으로, 필러 또는 지방이식 시술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미간 주위의 혈관을 압박하는 혈관압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수술적 성형 시술을 의미하는 쁘띠(petti) 성형은 절개나 수면 마취 등이 필요하지 않으며 시술 시간도 비교적 짧게 걸린다. 이러한 이점으로 최근 쁘띠 성형을 받는 사람이 늘고 있다. 쁘띠 성형의 대표적인 예로 필러 시술이 있는데, 필러 시술은 피부와 유사한 점도를 가진 필러 제제(예컨대, 히알루론산 등)를 주사기 바늘을 통해 피부 아래 주입하여 얼굴 윤곽이나 주름을 개선시키는 시술이다.
필러 시술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의료사고가 보고되고 있다. 대표적인 의료사고의 예로 실명을 들 수 있는데, 코 또는 미간 부위에 필러를 시술 과정에서 활차상 동맥(supratrochlear artery)이나 눈확위동맥(supraorbital artery)에 들어간 필러 제제가 역류하여 안동맥(ophthalmic artery)을 따라 망막동맥(retinal artery)에 흘러 들어가면 환자는 실명에 이르게 된다. 필러 시술과 유사한 과정으로 시술이 진행되는 지방이식 시술 과정에서도 유사한 의료사고가 왕왕 발생하고 있다.
실명은 한번 발생하면 치유하기가 어렵고 환자에게 치명적이기 때문에, 필러 시술을 하는 의사는 이러한 의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해부학적 지식을 쌓음과 동시에 끝이 날카로운 바늘보다 비교적 사고위험이 적다고 알려진 끝이 뭉툭한 바늘인 캐뉼라를 이용하여 필러 시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캐뉼라를 사용하여 필러 시술을 하더라도 환자의 실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는 없기 때문에, 캐뉼라를 이용한 필러 시술은 의료사고 예방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한다. 따라서 의사가 코 또는 미간 부위에 필러 시술 또는 지방이식 시술을 하는 경우 환자에게 심각한 의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코나 미간 부위에 필러 시술 또는 지방이식 시술을 하는 동안 안와(orbit)의 주변 혈관을 압박함으로써 설사 주사 바늘 또는 캐뉼라가 혈관을 찌르더라도 필러 제제 또는 지방이 망막동맥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혈관압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혈관압박장치를 이용하여 미간 주위의 혈관에 대하여 압박을 가하더라도 필러 시술이나 지방이식 시술을 위해 의사가 주사 바늘을 환자에게 꽂을 때 불편을 주지않는 혈관압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는 어느 하나의 안와 주위를 압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된 제1 압박부; 상기 제1 압박부로부터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안와 주위를 압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된 제2 압박부; 및 상기 제1 압박부에서 상기 제2 압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압박부와 상기 제2 압박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혈관압박장치를 이용하면, 코나 미간 부위에 필러 시술 또는 지방이식 시술을 하는 동안 안와(orbit)의 주변 혈관을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필러 시술 또는 지방이식 시술 과정에서 설사 주사 바늘이 혈관을 찌르더라도 필러 제제 또는 지방이 망막동맥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혈관압박장치에서 안와내측을 압박하는 제1 압박부와 제2 압박부를 연결하는 브릿지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의사가 혈관압박장치를 이용하여 미간 주위의 혈관에 대하여 압박을 가하면서도 필러 시술이나 지방이식 시술을 위해 주사 바늘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것에 불편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의 압박부의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2)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2)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3)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3)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4)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5)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5)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5)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6)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7)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7)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의 압박부의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2)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2)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3)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3)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4)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5)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5)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5)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6)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7)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7)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간(100) 주위의 혈관에 대한 혈관압박장치(1)를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의 압박부의 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의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는 제1 및 제2 압박부(10, 20)와 브릿지(30)를 포함하고, 혈관압박장치(1)의 형상은 예컨대 전체적으로 H 형상일 수 있다.
제1 압박부(10)는 어느 하나의 안와(200) 주위를 압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된다. 예컨대, 제1 압박부(10)는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 예각 또는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압박부(10)는 전체적으로 제1 방향(예컨대, y축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다만, 도 5를 참조하면 혈관압박장치(1)를 환자의 안면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혈관압박장치(1)에 힘이 가해지면 제1 압박부(10)는 안와(200) 주위를 압박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제1 압박부(10)는 제1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안와(200)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압박부(10)에서 휘어진 부분은 제2 방향(예컨대, x축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도 5에는 환자의 시신경과 관련된 혈관이 표시되었는데, 필러 시술이나 지방이식 시술 과정에서 주삿바늘이 혈관을 찔러서 필러 제제나 지방이 도 5에 표시된 혈관을 따라 흐른다면 환자의 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혈관압박장치(1)를 이용하여 안와(200) 주위(또는 미간(100) 주위)의 혈관을 압박함으로써 주삿바늘이 혈관을 찔러서 필러 제제나 지방이 혈관에 유입되더라도 필러 제제나 지방이 안와(200) 내의 망막동맥까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에서 제1 압박부(10)를 이용하여 안와(200) 주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하는 것이 필요하다. 안와(200) 주위에 안와(200) 내의 망막동맥까지 연결되는 혈관이 많이 위치하고 있어서 집중적인 압박이 필요하며, 안와(200) 주위는 안와(200) 내측, 안와(200) 상측 및 미간(100) 주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안와(200) 내측은 이웃하는 두 안와(200)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안와(200) 상측은 각각의 안와(200)와 미간(100)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첫째로,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는 안와(200) 주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하기 위해서 제1 압박부(10)를 안와(200)의 형상에 따라 휘어지도록(굴곡지도록)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제1 압박부(10)를 이용하여 안와(200) 주위에 넓게 배치된 혈관을 압박할 수 있다.
한편, 제1 압박부(10)는 브릿지(30)와 연결된 위치를 기준으로 제1 영역(Ⅰ)과 제2 영역(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제1 영역(Ⅰ)과 제2 영역의 휘어진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컨대 제1 영역(Ⅰ)의 휘어진 정도가 제2 영역(Ⅱ)의 휘어진 정도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영역(Ⅰ)은 안와(200) 상측까지 압박해야 하기 때문에 안와(200) 형상에 따라 휘어짐의 정도가 커야하는데 비해, 제2 영역(Ⅱ)은 안와(200) 내측에 배치된 일부 혈관을 압박하면 되기 때문에 휘어짐의 정도가 크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제1 압박부(10)의 제1 영역(Ⅰ)이 압박해야 하는 영역이 제1 압박부(10)의 제2 영역(Ⅱ)에 비해 넓기 때문에, 제1 압박부(10)에서 제1 영역(Ⅰ)에 해당하는 영역의 길이가 제2 영역(Ⅱ)에 해당하는 영역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압박부(10)의 제1 영역(Ⅰ)의 휘어진 정도와 제2 영역(Ⅱ)의 휘어진 정도가 같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환자에 따라 안와(200)의 형상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제1 압박부(10)의 휘어진 정도를 의사가 변경하거나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압박부(10)는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둘째로,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는 안와(200) 주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하기 위해서 제1 압박부(10)의 단부는 모따기가 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원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압박부(10, 20)의 단부는 모따기가 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안면이 평평한 평면이 아니라 굴곡이 있는 평면이기 때문에, 굴곡이 있는 안와(200) 주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하기 위해 제1 압박부(10)의 단부를 모따기 한 것이다. 여기서, 제1 압박부(10)의 단부는 도 1 및 도 4의 점선으로 표시된 원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압박부(10)에서 환자와 접하는 영역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셋째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는 안와(200) 주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하기 위해서 제1 압박부(10)는, 제1 재질로 형성되어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1)과, 제1 재질보다 경도(hardness)가 작은 제2 재질로 형성되어 프레임(11)을 감싸는 접촉부(12)를 포함한다. 즉, 제1 압박부(10)에서 상대적으로 외부에 위치하는 접촉부(12)는 프레임(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드러울 수 있다.
환자마다 안와(200)를 포함하여 안면 골격의 형상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박부(10)의 외측에 상대적으로 경도가 작은 접촉부(12)를 배치함으로써 혈관압박장치(1)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접촉부(12)가 힘에 의해 눌리면서 환자의 안면 골격의 형상에 맞게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는 환자 개개인에 맞도록 변형되어 환자의 안와(200) 주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압박부(20)를 설명한다. 제2 압박부(20)는 제1 압박부(10)로부터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안와(200) 주위을 압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된다.
제2 압박부(20)는 브릿지(30)를 통해 제1 압박부(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환자의 안면 골격에 한 쌍의 안와(200)가 포함되기 때문에 두개의 안와(200) 주위를 각각 압박하기 위해 제1 압박부(10) 이외에 제2 압박부(20)가 혈관압박장치(1)에 포함된다. 제1 압박부(10)와 관련하여 전술한 모든 구성 및 효과에 대한 설명 내용이 제2 압박부(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제1 압박부(10)와 제2 압박부(20)는 다음과 같이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압박부(10)와 제2 압박부(20)는, 브릿지(30)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가상의 선(A, B)을 기준으로 선대칭된 형상을 가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안면 골격에서 안와(200)의 형상과 안와(200) 주위의 혈관 배치는 예컨대 코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선대칭된 형상을 가지는데, 하나의 혈관압박장치(1)를 이용하여 서로 선대칭되는 형상과 배치를 갖는 한 쌍의 안와(200) 주위를 압박하기 위해 제1 압박부(10)와 제2 압박부(20) 역시 선대칭된 형상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압박부(10)와 제2 압박부(20)는 브릿지(30)의 연장 방향(예컨대, x축 방향)과 수직한 가상의 선(A)을 기준으로 선대칭된 형상을 가지며, 도 3을 참조하면 제1 압박부(10)와 제2 압박부(20)는 브릿지(30)의 연장 방향(예컨대, x축 방향)과 수직한 가상의 선(B)을 기준으로 선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의사가 환자의 안면 골격의 형상에 맞도록 제1 압박부(10) 또는 제2 압박부(20)에 외력을 가하여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 제1 압박부(10)는 제2 압박부(20)와 형상에 있어서 일부 차이가 날 수 있다.
이어서, 브릿지(3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브릿지(30)는 제1 압박부(10)에서 제2 압박부(20)를 향하는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압박부(10)와 제2 압박부(20)를 연결한다. 여기서, 제1 압박부(10)와 제2 압박부(20)의 모든 영역이 상호간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제1 및 제2 압박부(10, 20)의 일부만 브릿지(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압박부(10, 20)의 적어도 일부가 브릿지(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브릿지(30)는 제1 및 제2 압박부(10, 2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1 및 제2 압박부(10, 20)의 일부만 브릿지(30)에 의해 연결되면 브릿지(30)의 기능을 다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압박부(10, 20)가 브릿지(30)에 의해 연결되는 영역은 제한되지 않는다.
브릿지(30)는 아치(arch) 형상을 이루며 제1 압박부(10)에서 제2 압박부(20)를 향하는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압박부(10)와 제2 압박부(20)를 연결할 수 있다. 브릿지(30)가 z축 방향으로 돌출된 아치 형상을 이루고 있어서 혈관압박장치(1)는 z축 방향으로 충분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혈관압박장치(1)를 안면에 위치시킨 경우 제1 및 제2 압박부(10, 20)는 코의 양측에 위치하고 브릿지(30)는 코 위에 위치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에서 브릿지(30)의 아치 형상으로 인하여 환자의 코(또는 콧등)가 브릿지(30)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혈관압박장치(1) 이용 시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압박부(10, 20)의 z축 방향 높이가 충분히 확보되어 콧등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 브릿지(30)는 아치 형상이 아니라 평면 형상을 포함하여 형상에 제한이 없을 수 있다.
혈관압박장치(1)가 z축 방향으로 충분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는 다음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압박부(10, 20)는 평면(예컨대, xy평면) 상에서 연장되고, 제1 및 제2 압박부(10, 20)에서 평면(예컨대, xy평명)의 법선 방향(예컨대, z축 방향)으로 최외각에 위치한 면이 브릿지(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압박부(10, 20)에서 z축 방향의 최외각에 위치한 면이 브릿지(30)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는 브릿지(30)의 z축 방향 높이를 최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에서 환자의 코(또는 콧등)가 브릿지(30)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혈관압박장치(1) 이용 시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에서 브릿지(3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혈관압박장치가 환자의 코 위에 착용되더라도 투명한 브릿지(30)를 통해 환자의 콧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필러 시술 또는 지방이식 시술 과정에서 혈관압박장치(1)가 의사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는 H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와 달리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만을 포함하도록 제1 및 제2 압박부(10, 20)가 형성된 상태에서 브릿지(30)가 연결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압박부(10, 20)가 제1 및 제2 영역(Ⅰ, Ⅱ)을 모두 포함한 상태에서 브릿지(30)가 형성된 위치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1)와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2)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2)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혈관압박장치는 제1 및 제2 압박부(10, 20), 제1 및 제2 삽입구(13, 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압박부(10, 20)는 어느 하나의 안와 주위를 압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 예각 또는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압박부(10, 20)가, 제1 재질로 형성되어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1, 21)과, 제1 재질보다 경도(hardness)가 작은 제2 재질로 형성되어 프레임(11, 21)을 감싸는 접촉부(12, 22)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삽입구(13)는 제1 압박부(10)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제1 압박부(10) 중 예각 또는 둔각이 형성되는 영역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삽입구(13)는 제1 압박부(10)에 둘러싸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구(13)는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가 막혀 일부만 개구되거나 상단 및 하단 모두가 뚫려 개구되어 제1 삽입구(13) 내에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을 참조하면 제1 삽입구(13)에 의사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제1 삽입구(13)에 브릿지(30)의 일단이 삽입될 수도 있다.
혈관압박장치(2)를 이용하여 환자의 안와 주위를 압박하는 경우 제1 삽입구(13)를 통해서 혈관압박장치(2)에 외력이 전달될 수 있다. 혈관압박장치(2)가 환자의 안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압박부(10) 중 제2 압박부(20)와 마주보는 면에 외력이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1 삽입구(13)는 제1 압박부(10) 중 예각 또는 둔각이 형성되는 영역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압박부(20)에 대해서도 전술한 제1 압박부(10)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3)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3)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삽입구(13, 23) 각각에 브릿지(3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혈관압박장치(3)는 어느 하나의 안와 주위를 압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된 제1 압박부(10), 제1 압박부(10)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1 삽입구(13), 제1 압박부(10)로부터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안와 주위를 압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된 제2 압박부(20), 제2 압박부(20)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2 삽입구(23), 제1 압박부(10)에서 제2 압박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압박부(10)와 제2 압박부(20)를 연결하는 브릿지(30)를 포함할 수 있고, 브릿지(30)의 양단은 각각 제1 및 제2 삽입구(13, 23)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릿지(30)는 양단에는 브릿지 삽입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릿지 삽입부(33)는 제1 및 제2 삽입구(13, 23) 내의 내부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3)를 이용하면 브릿지 삽입부(33)를 제1 및 제2 삽입구(13, 23)에 넣어 혈관압박장치(3)를 사용할 수 있는데, 브릿지 삽입부(33)를 제1 및 제2 삽입구(13, 23)로부터 빼는 것도 가능하다. 즉, 혈관압박장치(3)로부터 브릿지(30)의 자유로운 착탈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사는 브릿지(30)를 이용하여 혈관압박장치(3)를 사용하는 중에 손쉽게 브릿지(30)를 제외시키고 손가락을 이용하여 혈관압박장치(3)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4)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압박부(10)는, 제1 재질로 형성되어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1)과, 제1 재질보다 경도가 작은 제2 재질로 형성되어 프레임(11)을 감싸는 접촉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12)는 적어도 일부에 개구영역(12b)이 형성되고, 프레임(11)은 개구영역(12b)을 통해 접촉부(12)로부터 제거되어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4)를 이용하면, 프레임(11)과 접촉부(12)의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위생을 위해 접촉부(12)를 프레임(11)으로부터 분리시켜 세척하거나, 새로운 접촉부(12)를 프레임(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프레임(11)은 일단에 돌출영역(11a) 형성되어 있어서, 돌출영역(11a)을 통해 접촉부(12)로부터 손쉽게 프레임(11)을 빼낼 수 있다.
접촉부(12)는 프레임(11)이 접촉부(12)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프레임(11)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공간(12a)을 포함할 수 있는데, 삽입공간(12a) 중 프레임(11)의 돌출영역(11a)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구영역(1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5)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5)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5)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혈관압박장치(5)는 혈관압박장치(5)를 환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한다.
고정부(38)는 혈관압박장치(5)를 환자의 안면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고정부(38)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혈관압박장치(5)를 환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고정부(38)는 빨래집게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15를 참조하면 고정부(38)의 일측에 환자의 코가 삽입될 수 있으며 고정부(38)의 타측에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부(38)의 상기 일측이 환자의 코 크기에 맞는 상태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다만, 고정부(38)는 혈관압박장치(5)를 환자의 안면에 고정할 수 있다면 그 구성은 제한되지 않는다.
혈관압박장치(5)는 체결부(36)를 더 포함하고, 체결부(36)는 고정부(38)와 브릿지(3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36)의 일부는 고정부(38)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브릿지(30)에 연결된다.
예컨대, 체결부(36)의 일단은 고정부(38)에 고정될 수 있으며, 체결부(36)의 다른 일부는 브릿지(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릿지(30)는 체결부(36)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 삽입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6)가 브릿지(30)에 연결되는 위치는 조정 가능한데, 이를 위해 체결부(36)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체결부(36)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 삽입부(35)의 상측에 돌기 고정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부(36)가 체결부 삽입부(35)에 얼마나 삽입된 상태대로 체결부(36) 상면 돌기가 돌기 고정부(37)에 의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코 형상에 따라 체결부(36)가 브릿지(30)에 연결되는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5)를 이용하면 환자의 체형에 맞도록 혈관압박장치(5)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6)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압박부(10, 20) 각각의 양단에 연결줄(40)이 연결되어 있고, 해당 연결줄(40)의 길이를 사용자에 맞도록 조정하여 귀 또는 목에 걸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6)를 이용한다면, 혈관압박장치(6)를 의사가 손으로 잡고 있지 않더라도 환자의 안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7)의 평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혈관압박장치(7)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혈관압박장치(7)는 제2 압박부(20) 없이 제1 압박부(10)만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압박부(10)는 제1 재질로 형성되어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1)과, 제1 재질보다 경도(hardness)가 작은 제2 재질로 형성되어 프레임(11)을 감싸는 접촉부(12)를 포함한다.
다만, 제1 압박부(10)는 휘어짐없이 일 방향으로 직선 연장될 수 있으며, 의사의 외력에 의해 그 형상이 환자의 안면에 맞도록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8을 참조하면, 혈관압박장치(7)를 환자의 안면 형상에 맞도록 변형하여 혈관을 압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혈관압박장치
10: 제1 압박부
11, 21: 프레임 12, 22: 접촉부
20: 제2 압박부 30: 브릿지
100: 미간 200: 안와
11, 21: 프레임 12, 22: 접촉부
20: 제2 압박부 30: 브릿지
100: 미간 200: 안와
Claims (18)
- 어느 하나의 안와 주위를 압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된 제1 압박부; 및
상기 제1 압박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1 삽입구
를 포함하는 혈관압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부는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 예각 또는 둔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삽입구는 상기 제1 압박부 중 예각 또는 둔각이 형성되는 영역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구는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가 막히거나, 상단 및 하단 모두가 뚫린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부로부터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안와 주위를 압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된 제2 압박부;
상기 제2 압박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2 삽입구; 및
상기 제1 압박부에서 상기 제2 압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압박부와 상기 제2 압박부를 연결하는 브릿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인, 혈관압박장치. - 어느 하나의 안와 주위를 압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된 제1 압박부;
상기 제1 압박부로부터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안와 주위를 압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휘어져서 연장된 제2 압박부; 및
상기 제1 압박부에서 상기 제2 압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압박부와 상기 제2 압박부를 연결하는 브릿지
를 포함하는 혈관압박장치.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부는, 제1 재질로 형성되어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제1 재질보다 경도가 작은 제2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적어도 일부에 개구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개구영역을 통해 상기 접촉부로부터 제거되어 교체 가능한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접촉부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일단에 돌출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 중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출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구영역이 형성된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부와 상기 제2 압박부는,
상기 브릿지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선대칭된 형상을 갖는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아치(arch)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 압박부에서 상기 제2 압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압박부와 상기 제2 압박부를 연결하고,
상기 혈관압박장치를 안면에 위치시킨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압박부는 코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코 위에 위치하는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압박부의 일부만 상기 브릿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압박장치는 H 형상 또는 U 형상을 갖는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압박부에서, 상기 브릿지와 연결된 위치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휘어진 정도가 상이한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압박부의 단부는 모따기가 된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압박부는 평면 상에서 연장된 것이고,
상기 제1 및 제2 압박부에서 상기 평면의 법선 방향으로 최외각에 위치한 면이 상기 브릿지에 의해 연결된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압박장치를 환자의 안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일부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브릿지에 연결되는 것인 상기 고정부와 상기 브릿지를 연결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브릿지에 연결되는 위치는 조정 가능한 것인, 혈관압박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혈관압박장치를 환자의 안면에 고정시키는 것인, 혈관압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083180 | 2018-07-17 | ||
KR1020180083180 | 2018-07-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8931A true KR20200008931A (ko) | 2020-01-29 |
Family
ID=6932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4432A KR20200008931A (ko) | 2018-07-17 | 2018-09-21 | 미간 주위의 혈관에 대한 혈관압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0893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8773B1 (ko) * | 2020-06-12 | 2021-02-22 | 김경모 | 필러물질 주사용 보조기구 |
WO2021170253A1 (de) * | 2020-02-28 | 2021-09-02 | Telamedica Gmbh | Druckvorrichtung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5735B1 (ko) | 2014-05-02 | 2016-07-05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코 또는 그 주변의 혈관을 가시화하는 혈관 가시화 장치 및 방법 |
-
2018
- 2018-09-21 KR KR1020180114432A patent/KR2020000893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5735B1 (ko) | 2014-05-02 | 2016-07-05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코 또는 그 주변의 혈관을 가시화하는 혈관 가시화 장치 및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70253A1 (de) * | 2020-02-28 | 2021-09-02 | Telamedica Gmbh | Druckvorrichtung |
KR102218773B1 (ko) * | 2020-06-12 | 2021-02-22 | 김경모 | 필러물질 주사용 보조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23081A (en) | Ocular surgical protective shield | |
TW539564B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ocular iontophoresis | |
US20030088241A1 (en) | Eyesight correcting apparatus | |
WO1996014019A1 (en) | Open angle glaucoma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 |
KR20200008931A (ko) | 미간 주위의 혈관에 대한 혈관압박장치 | |
US8147467B2 (en) | Noninvasive lacrimal canalicular occlusion device and method | |
WO2024060519A1 (zh) | 高度近视后巩膜加固部件 | |
US7584754B1 (en) | Disposable eye pa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osable eye patch | |
JP2632139B2 (ja) | 持続式注点眼装置 | |
CN209236762U (zh) | 一种适用不同阶段视力恢复用视力训练仪器 | |
CN106821431A (zh) | 一种医用开睑器 | |
KR200192542Y1 (ko) | 안부 안마기 | |
US5134991A (en) | Ocular pressure-reducing device | |
US615526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eving intraocular pressure | |
KR102225866B1 (ko) | 안약 용기 | |
US5467147A (en) | Ophthalmic treatment aid having a pressure applicator | |
US5499065A (en) | Device for preventing eye drops from entering the nasolacrimal duct system | |
KR102393985B1 (ko) | 점안액 투약 보조 장치 | |
CN211658225U (zh) | 一种眼科临床用眼睑扩张器 | |
CN211043836U (zh) | 一种护目镜 | |
KR102563635B1 (ko) | 수술용 안구 보호대 | |
CN218075428U (zh) | 泪道按压器械 | |
CN209629971U (zh) | 可调式激光防护眼罩 | |
CN215608799U (zh) | 一种眼部离子导入电疗仪 | |
CN213098756U (zh) | 一种手术保护眼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