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817A -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817A
KR20200008817A KR1020180082949A KR20180082949A KR20200008817A KR 20200008817 A KR20200008817 A KR 20200008817A KR 1020180082949 A KR1020180082949 A KR 1020180082949A KR 20180082949 A KR20180082949 A KR 20180082949A KR 20200008817 A KR20200008817 A KR 20200008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folding
reinforcing bar
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to KR102018008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8817A/ko
Priority to CN201811506074.7A priority patent/CN110726278A/zh
Priority to US16/219,063 priority patent/US20200025437A1/en
Publication of KR2020000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6Details of wall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가 소개된다.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는 냉장고 본체의 일측 개방면을 개폐하도록 냉장고 본체의 일측단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 1 도어와, 냉장고 본체의 타측 개방면에 대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제 1 도어에 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도어와, 제 1 도어를 제 2 도어에 선택적으로 폴딩 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락킹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FOLDING DOOR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 음료 등과 같은 저장물을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냉장고는 보관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종류에 따라 냉동 또는 냉장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냉동실에는 육류나 아이스크림과 같이 결빙온도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 식품들이 저장되며, 냉장실에는 야채류나 음료수와 같이 결빙온도를 약간 상회하는 온도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식품들이 저장된다.
특히, 냉장고가 대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냉장실은 냉장고의 상부에서 회전되는 힌지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냉동실은 냉장고의 하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냉장고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냉장고의 경우, 냉장실의 도어를 자주 열고 닫음에 따라, 전력 손실이 발생되고, 냉장실에 보관된 식품의 신선도가 저하되기도 한다.
특허문헌: 국내 공개특허 10-2009-0066771호 (2009. 6. 24.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폴딩가능한 구조를 통해 냉장실의 내부공간을 일부분만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는, 냉장고 본체의 일측 개방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냉장고 본체의 일측단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 1 도어; 상기 냉장고 본체의 타측 개방면에 대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도어에 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도어; 및 상기 제 1 도어를 상기 제 2 도어에 선택적으로 폴딩 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락킹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 1 도어 및 상기 제 2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고 본체의 개방면이 닫힐 때, 상기 제 1 도어 및 상기 제 2 도어 사이의 폴딩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 1 도어 또는 상기 제 2 도어에 마련되는 실링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제 1 도어에 마련되는 락킹홈부; 상기 락킹홈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도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강대; 및 상기 보강대가 상기 락킹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보강대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락킹홈부에 장착되고, 상기 보강대에 대한 상기 스위치의 가압 해제시, 상기 보강대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상기 보강대에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킹유닛의 동작을 고정하기 위한 구속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보강대에 마련되는 고정부; 및 전력 인가시 상기 고정부에 작용하는 전자기적 인력(引力)을 발생시키는 전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의 폴딩 가능한 구조를 통해 냉장실의 일부분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불필요한 완전 개방시 발생되는 냉기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냉장고의 도어 전체 중에서 중간부가 접어짐이 가능하므로, 도어 전체를 개폐하는 경우에 비하여, 도어를 손쉽게 여닫을 수 있고, 도어의 회전 반경을 줄일 수 있으며, 중간 사절부에 이슬 맺힘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에서, 락킹유닛의 보강대가 락킹홈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에서, 락킹유닛의 보강대가 락킹홈부에서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에서, 제 1 도어에 마련된 실링 가스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의 락킹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에서, 락킹유닛의 보강대가 락킹홈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에서, 락킹유닛의 보강대가 락킹홈부에서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10)는, 제 1 도어(110), 제 2 도어(120), 락킹유닛(300) 및 실링 가스켓(4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도어(110)는 냉장고 본체(20)의 일측 전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냉장고 본체(20)의 일측 개방면을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 본체(20)의 일측 개방면은 냉장고 도어의 오픈시, 냉장고 본체(20)의 냉장공간이 개방되는 개방면의 일측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하는 냉장고 본체(20)의 타측 개방면은 일측 개방면을 제외한 나머지 개방면으로, 냉장고 도어의 오픈시, 냉장고 본체(20)의 냉장공간이 개방되는 개방면의 타측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 1 도어(110)는 냉장고 본체(20)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도어(110)의 일측단부는 통상의 힌지장치를 통해 냉장고 본체(20)의 일측단부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도어(110)의 타측단부는 제 2 도어(120)와 폴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 도어(120)는 냉장고 본체(20)의 타측 전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냉장고 본체(20)의 타측 개방면을 개폐할 수 있다. 이 제 2 도어(120)는 제 1 도어(110)의 타측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도어(120)의 일측단부는 통상의 폴딩장치를 통해 제 1 도어(110)의 타측단부에 일측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들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는, 냉장고 본체(20)의 닫힘시 냉장고 본체(20)의 전체 개방면(일측 개방면 및 타측 개방면)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는 냉장고 본체(20)의 전체 개방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는, 냉장고 본체(20)의 오픈시 냉장고 본체(20)의 전체 개방면을 개방하거나, 냉장고 본체(20)의 적어도 일부 개방면(일 예로, 타측 개방면)만을 개방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가 플레이트 형태로 냉장고 본체(20)에서 회전되는 경우,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는 냉장고 본체(20)의 전체 개방면을 개방할 수 있다. 반면에, 제 1 도어(110)가 제 2 도어(120)에서 폴딩 가능한 경우, 냉장고 본체(20)의 타측 개방면만을 개방하거나, 제 1 도어(110)가 폴딩된 제 2 도어(120)에서 폴딩된 상태에서 제 2 도어(120)가 냉장고 본체(20)에서 회전되는 경우, 냉장고 본체(20)의 타측 개방면 뿐만 아니라 일측 개방면도 함께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는 락킹유닛(300)에 의해, 선택적인 폴딩 및 고정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락킹유닛(300)은 락킹홈부(310), 보강대(320), 스위치(330) 및 탄성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락킹홈부(310)는 제 1 도어(110)의 타측단부에 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락킹홈부(310)에는 보강대(320)의 끝단이 삽입 가능한 삽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대(320)는 락킹홈부(310)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 2 도어(1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강대(320)의 일단은 제 1 도어(110)의 락킹홈부(310)에 대향되게 위치되고, 보강대(320)의 타단에는 스위치(330)가 장착된다.
스위치(330)는 보강대(320)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 형태로, 냉장고 손잡이(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330)는 냉장고 손잡이에 장착되는 실시예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스위치(330)에 대한 사용자의 푸쉬 작동이 편리한 냉장고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스위치(330)가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는 경우, 보강대(320)는 스위치(330)의 가압력에 의해 락킹홈부(310)에 삽입될 수 있다. 스위치(330)의 가압 해제시, 락킹홈부(310)에 삽입된 보강대(320)는 탄성부재(34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탄성부재(340)는 락킹홈부(310)에 장착되는 탄성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탄성부재(340)는 보강대(320)에 대한 스위치(330)의 가압시, 보강대(320)에 의해 압축될 수 있고, 보강대(320)에 대한 스위치(330)의 가압 해제시, 보강대(32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보강대(32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에서, 제 1 도어에 마련된 실링 가스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가스켓(410)은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 사이에 폴딩이 이루어지는 폴딩 부위(F)에 제공됨으로써, 폴딩 부위(F)에서 냉기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의 가장자리부에는 실링부재(42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가스켓(410)은 제 2 도어(120)에 근접한 제 1 도어(110)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에 의해, 냉장고 본체(20)의 개방면이 닫힐 때, 실링 가스켓(410)은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 사이의 폴딩 부위를 커버함으로써, 폴딩 부위를 통한 냉기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의 락킹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락킹유닛(300)은 락킹홈부(310), 보강대(320), 스위치(330), 탄성부재(340) 및 구속수단(3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속수단(35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예를 들어, 락킹홈부(310), 보강대(320), 스위치(330) 및 탄성부재(340) 구성은,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락킹홈부(310), 보강대(320), 스위치(330) 및 탄성부재(340)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속수단(350)은 락킹유닛(300)의 동작, 보다 자세하게, 락킹유닛(300)의 보강대(320) 이동을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구속수단(350)이 락킹홈부(310)에 삽입된 보강대(320)를 고정하면,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는 폴딩이 되지 않는 플레이트 형태로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속수단(350)은 보강대(320)에 마련되는 고정부(351)와, 전력 인가시 고정부(351)에 작용하는 전자기적 인력(引力)을 발생시키는 전자석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인가시 전자석부(352)는 보강대(320)의 고정부(351)를 고정함으로써, 락킹유닛(300)의 동작, 다시 말해 보강대(320)의 이동을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보듯이,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가 폴딩되지 않는 플레이트 형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 손잡이에 마련된 스위치(330)를 푸시한다. 이때, 보강대(320)는 스위치(330)의 가압력에 의해 락킹홈부(310)에 삽입되므로,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는 보강대(320)에 의해 서로 고정된 상태가 되고,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를 폴딩이 되지 않는 플레이트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이후, 도 3에서 보듯이, 스위치(330)의 가압이 해제되면, 락킹홈부(310)에 삽입된 보강대(320)는 탄성부재(34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를 폴딩 가능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위치(330)를 푸시하지 않은 상태로, 제 1 도어(110)만을 제 2 도어(120)에서 폴딩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보듯이,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가 폴딩되지 않는 플레이트 형태로 계속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 손잡이에 마련된 스위치(330)를 푸시한 상태에서, 구속수단(350)의 전자석부(352)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전자석부(352)는 보강대(320)의 고정부(351)를 고정하므로, 사용자는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를 폴딩되지 않는 플레이트 형태로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폴딩 가능한 구조를 통해 냉장실의 일부분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도어 전체를 개폐하는 경우에 비하여, 도어를 손쉽게 여닫을 수 있고, 도어의 회전 반경을 줄일 수 있으며, 도어의 불필요한 완전 개방시 발생되는 냉기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제 1 도어 120 :제 2 도어
300 :락킹유닛 310 :락킹홈부
320 :보강대 330 :스위치
340 :탄성부재 350 :구속수단
410 :실링 가스켓

Claims (5)

  1. 냉장고 본체의 일측 개방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냉장고 본체의 일측단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 1 도어;
    상기 냉장고 본체의 타측 개방면에 대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도어에 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도어; 및
    상기 제 1 도어를 상기 제 2 도어에 선택적으로 폴딩 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락킹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 및 상기 제 2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고 본체의 개방면이 닫힐 때, 상기 제 1 도어 및 상기 제 2 도어 사이의 폴딩 부위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 1 도어 또는 상기 제 2 도어에 마련되는 실링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제 1 도어에 마련되는 락킹홈부;
    상기 락킹홈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도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강대; 및
    상기 보강대가 상기 락킹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보강대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락킹홈부에 장착되고, 상기 보강대에 대한 상기 스위치의 가압 해제시, 상기 보강대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상기 보강대에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의 동작을 고정하기 위한 구속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보강대에 마련되는 고정부; 및
    전력 인가시 상기 고정부에 작용하는 전자기적 인력(引力)을 발생시키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
KR1020180082949A 2018-07-17 2018-07-17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 KR20200008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949A KR20200008817A (ko) 2018-07-17 2018-07-17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
CN201811506074.7A CN110726278A (zh) 2018-07-17 2018-12-10 用于冰箱的可折叠门
US16/219,063 US20200025437A1 (en) 2018-07-17 2018-12-13 Foldable door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949A KR20200008817A (ko) 2018-07-17 2018-07-17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817A true KR20200008817A (ko) 2020-01-29

Family

ID=6916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949A KR20200008817A (ko) 2018-07-17 2018-07-17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25437A1 (ko)
KR (1) KR20200008817A (ko)
CN (1) CN1107262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99386B1 (en) * 2018-12-21 2023-06-0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with reversible do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6771A (ko)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도어 실링구조를 구비한 프렌치식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60423Y (zh) * 2003-09-12 2004-12-01 河南新飞电器有限公司 一种电冰柜的折叠门
CN2851998Y (zh) * 2005-12-23 2006-12-27 青岛市家用电器研究所 冷冻箱用对折玻璃门体结构
KR20080086279A (ko) * 2007-03-22 2008-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2538351B (zh) * 2011-11-18 2014-02-2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吧台内门和具有该吧台内门的冰箱
CN203415851U (zh) * 2013-09-02 2014-01-29 南京瑞科特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电力系统机柜的折叠门
CN106642945A (zh) * 2016-06-24 2017-05-10 重庆市民崧科技研发中心 折转式冰箱节能门
CN205784186U (zh) * 2016-06-24 2016-12-07 重庆示展科技发展中心 折转节能冰箱门
CN106123459A (zh) * 2016-07-03 2016-11-16 黄为 折叠冰箱门
CN106052271A (zh) * 2016-07-03 2016-10-26 黄为 折叠式组合冰箱门
KR102018555B1 (ko) * 2018-08-22 2019-09-05 이순우 폴딩 도어용 커넥터 및 폴딩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6771A (ko)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도어 실링구조를 구비한 프렌치식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26278A (zh) 2020-01-24
US20200025437A1 (en)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126B1 (ko) 냉장고 문 오프너
US8506028B2 (en) Refrigerator with door opening device
US7765645B2 (en) Refrigerator
US7458132B2 (en) Open-close equipment for door of refrigerator
US9920557B2 (en) Refrigerator
KR20110064720A (ko) 냉장고
KR101858238B1 (ko)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00008817A (ko) 냉장고의 접이식 도어
US9841222B2 (en) Refrigerator
KR20080079061A (ko) 냉장고
US20180334844A1 (en) Refrigerator
CN110736288A (zh) 设置有门打开/关闭装置的冰箱
KR100781601B1 (ko) 냉장고 도어의 자동닫힘 장치
JP4693862B2 (ja) 冷蔵庫
CN112444045A (zh) 用于将竖框组件枢转地联接到冰箱门上的铰链组件以及冰箱
CN211823380U (zh) 冷冻室门体结构及其冰箱
KR20070062846A (ko)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KR101192697B1 (ko) 냉장고용 홈바
CN111256408A (zh) 冷冻室门体结构及其冰箱
CN115540473A (zh) 一种门体及具有其的冷藏冷冻装置
KR19990012721A (ko) 냉장고도어 쇄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