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402A -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402A
KR20200006402A KR1020180080096A KR20180080096A KR20200006402A KR 20200006402 A KR20200006402 A KR 20200006402A KR 1020180080096 A KR1020180080096 A KR 1020180080096A KR 20180080096 A KR20180080096 A KR 20180080096A KR 20200006402 A KR20200006402 A KR 20200006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units
service capacity
service
pattern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642B1 (ko
Inventor
김옥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18008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642B1/ko
Priority to US16/505,905 priority patent/US20200021508A1/en
Priority to EP19185422.3A priority patent/EP3595186B1/en
Publication of KR20200006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402A/ko
Priority to KR1020220049298A priority patent/KR102608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88Through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58Management thereof based on metrics or performanc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7Network analysis or design for predicting network behavi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2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bear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04W28/0942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based on measured or predicted load of entities- o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용량 분배 방법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용량 분배에 관한 것이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은 복수의 안테나를 공간적으로 분산시켜 실내 환경 또는 정해진 영역의 높은 트래픽 용량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 시스템이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신호가 도달되기 어려운 음역 지역에서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빌딩 내부, 터널, 지하철 등에 설치되고 있으며, 경기장, 대형 시설물 및 서비스 수요가 많은 장소 등에서도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된다.
이와 같이,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기지국의 한정된 출력, 커버리지를 보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서비스 음영 지역을 해소하고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통신 서비스가 데이터 통신 위주로 발달함에 따라,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통신 서비스 영역 확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를 결합 제공하는 형태로 발달하고 있다.
한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한정된 공간에서 정해진 숫자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서비스 제공 용량 및 서비스 제공 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다.
이에 반해, 통신 서비스 이용량 및 사용자는 매우 유동적이어서, 고정된 서비스 제공 용량 및 서비스 제공 범위의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는데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통신 서비스 이용량 변동 및 사용자 이동이 발생하더라도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서비스 품질을 유지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 용량을 동적으로 분배하여,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서비스 품질을 유지,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리모트 유닛들의 동작 상태에 따른 각 커버리지에서의 이용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이용 패턴에 따라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에서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적용하여, 서비스 수요 변화에 미리 대응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용량 분배 방법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처리량, 업링크 전송량, 다운링크 전송량 및 운용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에서의 상기 모니터링되는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이동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상기 이동 패턴에 따른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에서의 상기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에서의 이용량 변화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이용량 변화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상기 이용량 변화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용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시간대별로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대별로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이 출력하는 서비스 채널별로, 상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채널별로 분석된 상기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상기 서비스 채널별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양태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서브 시스템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 상기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분석 모듈; 및 상기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용량 분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처리량, 업링크 전송량, 다운링크 전송량 및 운용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 분석 모듈은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에서의 상기 모니터링되는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량 분배 모듈은 상기 분석된 이동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상기 이동 패턴에 따른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 분석 모듈은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에서의 상기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에서의 이용량 변화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량 분배 모듈은 상기 분석된 이용량 변화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상기 이용량 변화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 분석 모듈은 상기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하고, 상기 용량 분배 모듈은 상기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 분석 모듈은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시간대별로 예측하고, 상기 용량 분배 모듈은 상기 시간대별로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 분석 모듈은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이 출력하는 서비스 채널별로, 상기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량 분배 모듈은 상기 서비스 채널별로 분석된 상기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상기 서비스 채널별로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유닛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트랜시버 모듈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허브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의 배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용량 분배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 패턴에 따른 서비스 분배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예측된 서비스 용량에 따른 서비스 용량 분배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메인 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PU(Accelerate Processor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과 같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산 안테나 시스템(10, Distributed Antenna System)은 POI(Point Of Interest, 30), 메인 유닛(100), 허브 유닛(200), 리모트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OI(30)와 메인 유닛(100)을 헤드 엔드(Head End)라고 할 수 있고, 메인 유닛(100)을 헤드 엔드라고 할 수도 있다.
POI(30)는 복수의 기지국(1a~1n) 각각과 연결될 수 있고, 연결된 복수의 기지국(10a~10n)으로부터 다운 링크에 대응하는 기지국 신호(BTS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POI(30)는 처리된 기지국 신호를 메인 유닛(100)에 전송할 수 있다.
POI(30)는 기지국(BTS, 1a~1n)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신호 처리할 수 있고,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이 수신하고 처리한 단말기 신호를 기지국(1a~1n)에 전송할 수 있도록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OI(30)는 높은 파워 레벨의 기지국 신호를 감쇄하여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에 적절한 레벨로 변환할 수 있고, 기지국(1a~1n)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지국 신호를 다운 링크와 업 링크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POI(30)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에서 처리된 단말기 신호를 기지국(1a~1n)에 적합하도록 감쇄할 수 있다.
여기서 POI(30)는 신호 정합 장치라고 칭할 수도 있다.
메인 유닛(100)은 POI(30), 허브 유닛(200),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과 통신 매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매체는 광 케이블(optical fiber),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유닛(100)은 수신된 기지국 신호를 허브 유닛(200), 리모트 유닛(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유닛(100)은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허브 유닛(200), 리모트 유닛(300)에 분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유닛(100)는 수신된 RF 신호가 출력될 영역에 대응하는 리모트 유닛(300)에 전송하도록,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분배할 수 있다.
메인 유닛(100)은 다른 메인 유닛과 연결될 수 있고, 연결된 다른 메인 유닛과 기지국 신호 또는 단말기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 신호는 다운 링크 신호를 의미하고, 단말기 신호는 업 링크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메인 유닛(100)은 통신 서비스를 위한 용량(capacity)을 분배 또는 재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용량은 서비스 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유닛(100)은 서비스 채널별로 용량을 분배 또는 재분배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유닛(100)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방식 간의 신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유닛(100)은 FDD 캐리어를 TDD 캐리어로 변환할 수 있고, TDD 캐리어를 FDD 캐리어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리어는 서비스 신호에 따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서비스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메인 유닛(100)은 DAU(Distribution & Aggregation Unit)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메인 유닛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유닛(100)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유닛(100)은 RF 모듈(110), 베이스밴드 모듈(120), 백플레인(150), 트랜시버 모듈(170) 및 파워 서플라이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유닛(100)은 후술할 채널 스캐너(180)를 포함하거나 외부 장치인 채널 스캐너(180)와 연결될 수도 있다.
RF 모듈(110)은 복수의 RF 모듈(111~119)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RF 모듈(111~119) 각각은 서로 다른 대역의 RF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RF 모듈(111~119) 각각은 서로 다른 기지국과 연결되어, 다운 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업 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RF 모듈(110)은 다운 링크 신호를 감쇄할 수 있고, 다운 링크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F 모듈(110)은 다운 링크 신호인 RF 신호를 감쇄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RF 모듈(110)은 업 링크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RF 모듈(110)은 업 링크 신호인 디지털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시킬 수 있다.
RF 모듈(110)은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간의 변환을 위한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및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모듈(120)은 디지털 신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밴드 모듈(120)은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OBSAI(Open Baseband Remote Radiohead Interface)와 같은 규격의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도록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밴드 모듈(120)은 C-RAN(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s, Cloud-RAN), RAX(Radio Access eXchange), 통합된 BTS(All-in-one BTS) 등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백플레인(150)은 POI(30), RF 모듈(110), 베이스밴드 모듈(120), 트랜시버 모듈(170) 및 파워 서플라이 모듈(19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플레인(150)은 상술한 구성들과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입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백플레인(150)은 메인 유닛(100)에서 데이터 버스(data bus)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백플레인(150)은 신호 및 파워를 분배할 수 있고, 고속 신호 라우팅(high speed signal routing)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백플레인(150)은 파워 및 입출력 신호(I/O signal)를 POI(30)에 제공할 수 있다.
백플레인(150)은 메인보드라고 칭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170)은 허브 유닛(200), 리모트 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170)은 RF 모듈(110), 베이스밴드 유닛(120)과 허브 유닛(200), 리모트 유닛(300) 간에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또한, 트랜시버 모듈(170)은 다른 메인 유닛과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확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시버 모듈(170)을 통해, 메인 유닛(100)은 다른 메인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170)은 RF 모듈(110), 베이스밴드 유닛(12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어그리게이션(aggregation)할 수 있고, 허브 유닛(200), 리모트 유닛(300)으로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랜시버 모듈(170)은 광 포트(optic port)를 통해 어그리게이션된 신호를 허브 유닛(200), 리모트 유닛(300)으로 분배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170)은 노이즈 제거 필터링(noise rejection filtering), 레이트 변환(rate conversion)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170)은 신호 전송에 따른 밴드 할당(band allocation)을 수행할 수 있고, 섹터화(sectorization)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트랜시버 모듈(170)은 SISO/MIMO 신호 라우팅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170)은 시스템 상태(system status)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17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트랜시버 모듈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랜시버 모듈(170)은 FPGA(171), CPU(173), 스펙트럼 분석 모듈(175)을 포함할 수 있다.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171)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 173)은 상술한 트랜시버 모듈(17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스펙트럼 분석 모듈(175)은 스펙트럼을 표시하고 분석할 수 있다.
스펙트럼 분석 모듈(175)은 스펙트럼 파형(spectrum waveform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펙트럼 분석 모듈(175)은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Power Ratio), 채널 파워, OBW, 스펙트럼 방출 마스크(Spectrum emission Mask) 등을 표시하고 분석할 수 있다.
스펙트럼 분석 모듈(175)은 분석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펙트럼 분석 모듈(175)은 프로토콜(protocol), 캐리어(carrier), 영역(region), 밴드(band), MIMO, 섹터(sector)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펙트럼 분석 모듈(175)은 EVM(Error Vector Magnitude)을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한다.
메인 유닛(100)은 채널 스캐너(180)를 포함하거나, 외부 장치인 채널 스캐너(180)와 연결되어 채널 스캐너(18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채널 스캐너(180)는 디코드 장치 또는 디코드 서브랙(decode subrack)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채널 스캐너(180)는 수신되는 신호의 채널 주파수(Channel Frequency), 대역폭(Bandwidth), MNC(Mobile Network Code), MCC(Mobile Country Code), 채널 파워(Channel power), 파일럿 파워(Pilot powe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셀 ID(cell ID) 및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과 관련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스캐너(180)는 판단된 정보를 메인 유닛(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스캐너(180)는 수신되는 신호의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파워 서플라이 모듈(190)은 입력, 출력되는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워 서플라이 모듈(190)은 입력, 출력되는 전력을 AC(Alternating Current)에서 DC(Direct Current) 또는 DC에서 AC로 변환할 수 있다.
상술한 메인 유닛(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설명에 대한 예시로,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술한 구성 중 일부 구성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메인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허브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 및 리모트 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허브 유닛(200)은 광 케이블(optic fiber)를 통해, 메인 유닛(100) 및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다.
허브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과 리모트 유닛(300) 사이에 연결되어, 메인유닛(100)의 리모트 유닛(300) 연결 용량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허브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과 연결되고, 제1 내지 제3 리모트 유닛(300a~300c)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유닛(100)은 제4 내지 제n 리모트 유닛(300d~300n)과는 직접 연결되고, 제1 내지 제3 리모트 유닛(300a~300c)과는 허브 유닛(2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분배 안테나 시스템(10)은 리모트 유닛(300)이 허브 유닛(200)을 통해 메인 유닛(100)과 연결되는 형태의 토폴로지(topology)로 구성될 수도 있다.
허브 유닛(200)은 연결된 메인 유닛(100)과 리모트 유닛(300)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허브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이더넷 포맷으로 변환하고, 이더넷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리모트 유닛(300)에 전송할 수 있다.
허브 유닛(200)은 리모트 유닛(3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허브 유닛(200)은 PoE(Power of Ethernet)을 통해, 연결된 리모트 유닛(3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허브 유닛(200)은 연결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에 대한 전류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모니터링에 따라 자동적으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허브 유닛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허브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허브 유닛(200)은 트랜시버 모듈(270) 및 파워 서플라이 모듈(29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270)은 메인 유닛(100)과 인터페이싱을 위한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지 체인(daisy chain) 형태로 다른 허브 유닛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270)은 시스템 상태를 제어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트랜시버 모듈(270)은 상술한 허브 유닛(2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모듈(290)은 허브 유닛(200)에 포함된 구성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고, 연결된 리모트 유닛(3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한다.
리모트 유닛(300)은 메인 유닛(100)에 연결될 수 있고, 허브 유닛(200)을 통해 메인 유닛(100)에 연결될 수 있다.
리모트 유닛(300)은 메인 유닛(100)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단말기 신호를 메인 유닛(100)에 전송할 수 있다.
리모트 유닛(300)은 출력에 따라 하이 파워(high power)와 로우 파워(low power)로 구분될 수 있다. 로우 파워인 리모트 유닛을 로우 파워 무선 노드(Low power Radio Node)라고 할 수 있고, 하이 파워인 리모트 유닛을 하이 파워 무선 노드(High power Radio Node)라고 할 수 있다.
리모트 유닛(300)은 내장된 안테나(integrated antenna)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안테나 포트(external antenna port)를 통해 외부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유닛(300)은 방향성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거나 연결될 수 있어서, 특정 영역 또는 특정 섹터에 신호를 전송하고, 특정 영역 또는 특정 섹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트 유닛(300)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sector antenna) 안테나를 포함하거나 섹터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유닛(300)은 무지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지향성 안테나(directional antenna)를 포함하거나 연결될 수도 있다.
리모트 유닛(300)은 내장된 안테나와 외부 안테나 중 일부 안테나만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리모트 유닛(3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모트 유닛(300)은 트랜시버 모듈(370) 및 RF 모듈(38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370) 및 RF 모듈(380)은 상술한 리모트 유닛(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370)은 섹터화(sectorization) 및 MIMO 신호 라우팅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370)은 디지털 신호를 다운 링크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업 링크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트랜시버 모듈(370)은 업 링크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때, 디지털 필터링을 적용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370)은 시스템 상태 제어 및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370)은 WiFi 접속을 통한 원격 접속을 지원할 수도 있다.
RF 모듈(380)은 내장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듀플렉서(duplexer) 필터 또는 BPF(Band Pass Filter)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RF 모듈(380)은 다운 링크 RF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필터링할 수 있다.
RF 모듈(380)은 업 링크 RF 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할 수 있다.
RF 모듈(380)은 내장 안테나와 외장 안테나 포트 사이의 연결 및 이용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380)은 내장 안테나와 외장 안테나 포트 사이의 선택을 위한 기계적인 커넥터(mechanical conn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RF 모듈(380)에 내장되는 내장 안테나는 다양한 조합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한다.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50)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MS(50)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에 포함된 구성들, 예를 들면 하나의 노드의 상태 및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디지털 처리 구성 이외에 아날로그 처리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디지털 처리 구성과 아날로그 처리 구성이 혼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에 대한 구성 및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은 분석된 이용 패턴에 따라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어서, 서비스 환경 및 서비스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서비스 용량을 동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노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노드 장치(400)는 모니터링 모듈(410), 패턴 분석 모듈(430) 및 용량 분배 모듈(450)을 포함할 수 있다.
노드 장치(400)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고,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에 포함된 하나의 구성 또는 복수의 구성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드 장치(400)는 상술한 메인 유닛(100), 허브 유닛(200), 리모트 유닛(300)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고, 메인 유닛(100), 허브 유닛(200), 리모트 유닛(300) 중 복수의 유닛에 포함될 수도 있다. 노드 장치(400)의 구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모니터링 모듈(410)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에 포함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상태는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동작과 관련된 상태뿐만 아니라, 리모트 유닛(300) 각각과 관련된 서비스 환경과 관련된 상태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 모듈(410)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에 포함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처리량(throughput), 업링크 전송량, 다운링크 전송량 및 운용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업링크 전송량, 다운링크 전송량은 업링크 전송량 변화량, 다운링크 전송량 변화량 및 업링크와 다운링크 간의 변화량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용 전력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의 전체 서비스 영역 내에서, 리모트 유닛(300)의 특정 지역에 대한 소비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업링크 변화량 및 다운링크 변화량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에서의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 각각과 관련된 변화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업링크 변화량 및 다운링크 변화량은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 각각의 파워 변화량을 포함할 수 있고,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 각각의 모듈레이션 타입(modulation type)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변화량 및 다운링크 변화량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에서의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 각각의 전송량의 변화량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모듈(14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채널별로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모듈(140)은 각각의 리모트 유닛(300)이 출력하는 서비스 채널별로 상술한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410)은 복수로 구성되어,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을 일정 영역별로 각각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 모듈(410)은 상술한 메인 유닛(100), 허브 유닛(200) 및 리모트 유닛(300) 중 하나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고, 상술한 메인 유닛(100), 허브 유닛(200) 및 리모트 유닛(300) 중 하나의 유닛에 포함된 구성에 대응할 수도 있다.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 분석 모듈(43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이동 패턴은 단말기를 가진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 내에서, 사용자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시기에 대한 이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사용자 수 변화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수 변화 패턴은 사용자 수 증감에 대한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이용량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량 패턴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각각에 대한 이용량의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 분석 모듈(43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이용량 증감(增減)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패턴 분석 모듈(430)의 패턴 분석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의 서비스 영역 내의 지리적인 위치들을 기준으로 상술한 패턴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커버리지를 기준으로 상술한 패턴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지리적인 위치 또는 커버리지는 복수의 영역 또는 복수의 섹터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서비스 대상인 사용자(단말기)의 패턴, 서비스 용량의 패턴 등을 분석하고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 분석 모듈(43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시간대별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시간 및 서비스 채널별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패턴 분석 모듈(430)은 상술한 메인 유닛(100), 허브 유닛(200) 및 리모트 유닛(300) 중 하나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고, 상술한 메인 유닛(100), 허브 유닛(200) 및 리모트 유닛(300) 중 하나의 유닛에 포함된 구성에 대응할 수도 있다.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용량 분배는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동 패턴에 따라,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동량 변화 패턴에 따라,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을 서비스 채널별로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이 출력하는, 서비스 채널별로 서비스 용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동 패턴뿐만 아니라,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량 분배 모듈(450)은 시간대별로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용량 분배 모듈(450)은 시간 및 서비스 채널별로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용량 분배 모듈(45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이 포함하거나 연결되어 있는 무지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지향성 안테나(directional antenna)를 이용하여, 분배된 서비스 용량에 따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량 분배 모듈(45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이 포함하거나 연결되어 있는 무지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지향성 안테나(directional antenna)를 이용하여, 서비스 용량이 분배된 방향 또는 영역을 향해 서비스하도록 할 수 있다.
용량 분배 모듈(450)은 상술한 메인 유닛(100), 허브 유닛(200) 및 리모트 유닛(300) 중 하나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고, 상술한 메인 유닛(100), 허브 유닛(200) 및 리모트 유닛(300) 중 하나의 유닛에 포함된 구성에 대응할 수도 있다.
상술한 노드 장치(400)는 모니터링 모듈(410), 패턴 분석 모듈(430) 및 용량 분배 모듈(450) 이외에도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유닛(100), 허브 유닛(200), 리모트 유닛(300) 등과 같이 다른 구성에 포함될 경우에는 해당 구성에 필요한 다른 구성과 함께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노드 장치(400)의 일부 구성 또는 전체 구성은 NMS(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링 모듈(410), 패턴 분석 모듈(430) 및 용량 분배 모듈(450)은 하나 또는 복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노드 장치(400)는 복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장치로 구현된 노드 장치는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500)이라고 칭할 수 있다.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500)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에 포함되는 서브 시스템일 수 있다. 용량 분배 서비스 시스템(500)에 포함된 구성들은 노드 장치(400)의 구성들을 나누어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노드 장치(400)가 용량 분배 서비스 시스템(500)일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500)은 제1 노드 장치(401) 및 제2 노드 장치(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401)는 모니터링 모듈(410) 및 패턴 분석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노드 장치(402)는 용량 분배 모듈(4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401)와 제2 노드 장치(402)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10) 내의 서로 다른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 장치(401)는 메인 유닛(100)일 수 있고, 제2 노드 장치(200)는 허브 유닛(200)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노드 장치(401)는 메인 유닛(100)일 수 있고, 제2 노드 장치(402)는 리모트 유닛(300)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노드 장치(401)는 허브 유닛(200)일 수 있고, 제2 노드 장치(402)는 리모트 유닛(300)일 수 있다. 상술한 예시 이외에도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500)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 내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500)은 제1 노드 장치(401), 제2 노드 장치(402) 및 제3 노드 장치(4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401)는 모니터링 모듈(410)을 포함하고, 제2 노드 장치(402)는 패턴 분석 모듈(430)을 포함하고, 제3 노드 장치(403)는 용량 분배 모듈(4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드 장치(401), 제2 노드 장치(402) 및 제3 노드 장치(403)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10) 내의 서로 다른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 장치(401)는 메인 유닛(100)일 수 있고, 제2 노드 장치(200)는 허브 유닛(200)일 수 있고, 제3 노드 장치(300)는 리모트 유닛(300)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노드 장치(401)는 허브 유닛(200)일 수 있고, 제2 노드 장치(402)는 메인 유닛(100)일 수 있고, 제3 노드 장치(300)는 리모트 유닛(300)일 수 있다. 상술한 예시 이외에도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500)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 내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10), 노드 장치(400)에 대한 구성 및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10)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노드 장치(400)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상술한 것과 같이 노드 장치(400)는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500)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노드 장치(400)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10) 내의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110).
노드 장치(400)의 모니터링 모듈(410)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 내의 전체 리모트 유닛(300) 또는 일부의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상태는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동작과 관련된 상태뿐만 아니라, 리모트 유닛(300) 각각과 관련된 서비스 환경과 관련된 상태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 모듈(410)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에 포함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처리량(throughput), 업링크 전송량, 다운링크 전송량 및 운용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운용 전력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의 전체 서비스 영역 내에서, 리모트 유닛(300)의 특정 지역에 대한 소비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업링크 전송량, 다운링크 전송량은 업링크 전송량 변화량, 다운링크 전송량 변화량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간의 변화량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업링크 변화량 및 다운링크 변화량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에서의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 각각과 관련된 변화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업링크 변화량 및 다운링크 변화량은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 각각의 파워 변화량을 포함할 수 있고,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 각각의 모듈레이션 타입(modulation type)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변화량 및 다운링크 변화량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에서의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 각각의 전송량의 변화량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모듈(14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채널별로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모듈(140)은 각각의 리모트 유닛(300)이 출력하는 서비스 채널별로 상술한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410)은 복수로 구성되어,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을 일정 영역별로 각각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노드 장치(400)는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S130).
노드 장치(400)의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상술한 이용 패턴은 모니터링되는 동작 상태를 기초로 도출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이용에 대한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그래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이용에 대한 패턴은 리모트 유닛 각각의 동작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이동 패턴은 단말기를 가진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 내에서, 사용자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시기에 대한 이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인접한 리모트 유닛들 사이의 업링크 신호 파워, 다운링크 신호 파워의 변화를 기초로, 사용자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시기에 대한 이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업링크 신호 파워, 다운링크 신호 파워의 변화는 각각의 신호 파워의 변화일 수 있고, 업링크 신호 파워와 다운링크 신호 파워 간의 비율 변화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인접한 리모트 유닛들 사이의 운용 전력 변화를 기초로, 사용자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시기에 대한 이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사용자 수 변화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수 변화 패턴은 사용자 수 증감에 대한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운용 전력 변화, 업링크 신호 파워의 변화와 같은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사용자 수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한 변화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이용량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량 패턴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각각에 대한 이용량의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 분석 모듈(43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이용량 증감(增減)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상술한 패턴 분석 모듈(430)의 패턴 분석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의 서비스 영역 내의 지리적인 위치들을 기준으로 상술한 패턴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커버리지를 기준으로 상술한 패턴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서비스 대상인 사용자(단말기)의 패턴, 서비스 용량의 패턴 등을 분석하고 도출할 수 있다.
노드 장치(400)는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S150).
노드 장치(400)의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용량 분배는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동 패턴에 따라,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동량 변화 패턴에 따라,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사용자 수 변화 패턴에 따라,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을 서비스 채널별로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이 출력하는, 서비스 채널별로 서비스 용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어서, 리모트 유닛(300)의 동작 상태, 예를 들면 서비스 출력 상태에 따라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수치에 따라 리모트 유닛(300)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것이 아닌, 분석되는 이용 패턴에 따라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어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이용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서비스 용량 분배를 최적화할 수 있고,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이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의 배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의 메인 유닛(100)은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제3 리모트 유닛(303)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 각각은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및 제3 영역(630) 각각에 대해 서비스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및 제3 영역(630)은 지리적인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인접하여 서로 연속되는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및 제3 영역(630) 각각은 동일한 평면상의 영역일 수 있고,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 각각이 서로 다른 평면상의 영역일 수도 있다.
제1 리모트 유닛(310),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 각각은 서비스 용량 분배에 따라,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및 제3 영역(630) 각각에 대해 서비스할 수도 있고, 인접한 다른 영역에 대해서 서비스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리모트 유닛(310, 320, 330)은 하나의 영역에 대해서만 서비스할 수도 있고, 복수의 영역에 대해서 서비스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리모트 유닛(310, 320, 330)은 상술한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및 제3 영역(630) 중 일부를 분할한 분할된 영역을 서비스할 수도 있고, 복수의 영역이 결합된 하나의 섹터를 서비스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나의 영역을 분할한 분할된 영역을 섹터라고 할 수 있고, 복수의 영역을 결합한 영역을 섹터라고 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용량 분배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리모트 유닛(301)은 제1 영역(610)을 서비스하고, 제2 리모트 유닛(302)은 제2 영역(620)을 서비스하고, 제3 리모트 유닛(303)은 제3 영역(630)을 서비스할 수 있다.
도 11에서, 제1 리모트 유닛(301)이 서비스하는 커버리지들은 A로 표시될 수 있고, 제2 리모트 유닛(302)이 서비스하는 커버리지들은 B로 표시될 수 있고, 제3 리모트 유닛(303)이 서비스하는 커버리지들은 C로 표시될 수 있다.
노드 유닛(400)의 모니터링 모듈(410)은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 모듈(410)은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 각각의 처리량(throughput), 업링크 변화량, 다운링크 변화량, 다운링크 전송량 및 운용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노드 유닛(400)의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 각각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 각각이 서비스하는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제3 영역(630)에서의 사용자의 이동 패턴, 사용자 수 변화 패턴, 이용량 변화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가 제2 리모트 유닛(302)의 운용 전력이 증가하고, 제1 리모트 유닛(301)의 운용 전력이 감소하면, 제1 영역(610) 내의 사용자들이 제2 영역(620)으로 이동하는 이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가 제2 리모트 유닛(302)의 업링크 신호 파워가 증가하고, 제1 리모트 유닛(301)의 다운링크 신호 파워는 유지되나 제1 리모트 유닛(301)의 업링크 신호 파워가 감소하면, 제1 영역(610)에서 제2 영역(620)으로 사용자들이 이동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업링크 신호 파워와 다운링크 신호 파워 간의 불균형, 변화 등을 기초로, 사용자 이동에 따른 사용자 이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가 제2 리모트 유닛(302)의 운용 전력이 증가하면, 제2 리모트 유닛(302)이 서비스하는 제2 영역(620)에 사용자가 증가하거나, 이용량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노드 유닛(400)의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1)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용 패턴에 따르면, 제1 리모트 유닛(301)이 서비스하는 제1 영역(610)의 사용자 수가 감소하고, 제2 리모트 유닛(302)이 서비스하는 제2 영역(620)의 사용자 수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 경우, 제1 리모트 유닛(301)의 서비스 용량 중 일부를 제2 영역(620)에 분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모트 유닛(301)은 제1 영역(610)뿐만 아니라 제2 영역(620)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 서비스할 수 있다. 그래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영역(620)은 제2 리모트 유닛(302)이 서비스하는 커버리지들인 B만을 포함하다가, 서비스 용량 분배에 따라, 제1 리모트 유닛(301)이 서비스하는 커버리지들인 A를 더 포함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400)는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특정 서비스 채널에 대해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노드 장치(400)의 특정 서비스 채널에 대한 서비스 용량 분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모듈(410)은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및 제3 영역(630) 각각을 서비스하는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제2 영역(620)에서의 제1 서비스 채널의 이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용량 분배 모듈(450)은 제1 리모트 유닛(301)의 서비스 용량 중 일부를 제2 영역(620)에 대해, 제1 서비스 채널에 대해서만 분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모트 유닛(301)은 제1 영역(610)뿐만 아니라 제2 영역(620)의 일부 영역에 대한 제1 서비스 채널을 추가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영역(620)은 제2 리모트 유닛(302)이 서비스하는 커버리지들인 B만을 포함하다가, 서비스 용량 분배에 따라, 제1 리모트 유닛(301)이 제1 서비스 채널에 대해서만 서비스하는 커버리지들인 A를 더 포함하게 될 수 있다. 그래서 제2 영역(620)은 제1 서비스 채널에 대해서, 이전보다 많은 서비스 용량이 분배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노드 장치(400)는 분석된 이용 패턴에 따라, 특정 서비스 채널에 대해서만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섹터화(sectoriz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그래서 노드 장치(400)는 분석된 이용 패턴에 따라, 필요한 지역에 대해, 특정 서비스 채널에 대한 서비스 용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400)는 상술한 것과 같이, 분석된 이용 패턴에 따라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 패턴에 따른 서비스 분배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에서 각각의 영역에 표시된 A, B, C는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의 각각의 서비스 용량 분배에 따른 서비스 용량 점유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A는 해당 영역에서의 제1 리모트 유닛(301)의 서비스 용량 점유율을 나타내고, B는 해당 영역에서의 제2 리모트 유닛(302)의 서비스 용량 점유율을 나타내고, C는 해당 영역에서의 제3 리모트 유닛(303)의 서비스 용량 점유율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노드 장치(400)의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영역에서의 사용자들의 이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 분석 모듈(430)은 제2 영역(620)에 대응하는 제2 리모트 유닛(302)의 업링크 신호 파워가 증가하고, 제1 영역(610)에 대응하는 제1 리모트 유닛(301)의 다운링크 신호 파워는 유지되나 제1 리모트 유닛(301)의 업링크 신호 파워가 감소하면, 제1 영역(610)에서 제2 영역(620)으로 사용자들이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동 패턴을 기초로, 제1 리모트 유닛(301) 및 제2 리모트 유닛(302)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량 분배 모듈(450)은 사용자들이 이동하고 있는 제2 영역(620)에 대한 서비스 용량을 늘릴 수 있도록, 제1 리모트 유닛(301)이 전체 서비스 용량 중 일부를 제2 영역(620)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역(620)은 제2 리모트 유닛(302)뿐만 아니라, 제1 리모트 유닛(301)이 추가적으로 서비스하게 되어, 사용자들의 이동에 따른 사용량 증가에도 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용량 분배 모듈(450)이 제1 리모트 유닛(301)뿐만 아니라, 제3 리모트 유닛(303)이 전체 서비스 용량 중 일부를 제2 영역(620)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도 있다.
도 13에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면, 패턴 분석 모듈(430)은 제3 영역(630)에 대응하는 제3 리모트 유닛(303)의 업링크 신호 파워가 증가하고, 제2 영역(620)에 대응하는 제2 리모트 유닛(302)의 다운링크 신호 파워는 유지되나 제2 리모트 유닛(302)의 업링크 신호 파워가 감소하면, 제2 영역(620)에서 제3 영역(630)으로 사용자들이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용량 분배 모듈(450)은 분석된 이동 패턴을 기초로,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량 분배 모듈(450)은 사용자들이 이동하고 있는 제3 영역(630)에 대한 서비스 용량을 늘릴 수 있도록, 제2 리모트 유닛(302)이 전체 서비스 용량 중 일부를 제3 영역(630)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영역(630)은 제3 리모트 유닛(303)뿐만 아니라, 제2 리모트 유닛(302)이 추가적으로 서비스하게 되어, 사용자들의 이동에 따른 사용량 증가에도 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용량 분배 모듈(450)이 제2 리모트 유닛(302)뿐만 아니라, 제1 리모트 유닛(301)이 전체 서비스 용량 중 일부를 제3 영역(630)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13 및 도 14에 따른, 사용자들의 이동에 따른 서비스 용량 분배는, 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제1 영역(610)에서 제2 영역(620)을 거쳐, 제3 영역(630)으로 이동할 때, 노드 장치(400)는 사용자들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이동 패턴에 따라 각 영역에 대해 서비스하는 리모트 유닛들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노드 장치(400)는 서비스 용량 분배 시, 서비스 채널별로 리모트 유닛들의 서비스 용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400)는 모니터링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분석된 이용 패턴 또는 모니터링되는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노드 장치(400)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시간대별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노드 장치(400)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상술한 것과 같이 노드 장치(400)는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500)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노드 장치(400)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10) 내의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210).
노드 장치(400)의 모니터링 모듈(410)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 내의 전체 리모트 유닛(300) 또는 일부의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상태는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동작과 관련된 상태뿐만 아니라, 리모트 유닛(300) 각각과 관련된 서비스 환경과 관련된 상태도 포함할 수 있다. 노드 장치(400)의 동작 상태 모니터링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노드 장치(400)는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S230).
노드 장치(400)의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상술한 이용 패턴은 모니터링되는 동작 상태를 기초로 도출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이용에 대한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그래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이용에 대한 패턴은 리모트 유닛 각각의 동작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노드 장치(400)의 이용 패턴 분석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노드 장치(400)는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S240).
노드 장치(400)의 패턴 분석 모듈(43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패턴 분석 모듈(43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시간대별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시간 및 서비스 채널별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수집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모니터링 동작 상태 및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시간대별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대별 서비스 용량은 일정 시간대마다의 서비스 용량을 의미할 수 있고, 날짜, 요일, 시간 등과 같이 구체적인 시간 정보에 따른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출근 시간대마다 또는 출근 시간대에 일정 횟수 이상 제1 지역(610)에 대응하는 제1 리모트 유닛(301)의 운용 전력이 증가하면, 출근 시간대에 제1 지역(610)에 대한 서비스 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패턴 분석 모듈(430)은 점심 시간대마다 또는 점심 시간대에 일정 횟수 이상 제3 지역(630)에 대응하는 제3 리모트 유닛(303)의 윤용 전력이 증가하면, 점심 시간대에 제3 지역(630)에 대한 서비스 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400)는 상술한 시간 정보 및 시간대별 이벤트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시간 정보, 이벤트 정보를 상술한 모니터링된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동작 상태, 분석된 이용 패턴과 함께, 서비스 용량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 분석된 이용 패턴에 따른 추이를, 획득된 시간 정보, 이벤트 정보와 조합하여,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패턴 분석 모듈(430)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이 서비스하는 영역과 관련된 스포츠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스포츠 이벤트 정보 및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 분석 모듈(430)은 획득된 스포츠 이벤트 정보와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스포츠 이벤트 시작 전의 일정 시간 동안의 제1 시간대에는 스포츠 이벤트 장소 주변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서비스 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스포츠 이벤트 시작 후부터 스포츠 이벤트 종료시까지의 제2 시간대에는 스포츠 이벤트 장소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서비스 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패턴 분석 모듈(430)은 스포츠 이벤트 종료 후부터 일정 시간까지의 제3 시간대에는 스포츠 이벤트 장소 주변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서비스 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드 장치(400)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10)과 관련된 시간 정보 및 시간대별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노드 장치(400)는 상술한 시간 정보 및 시간대별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시간대별 예측되는 이벤트 정보를 도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노드 장치(400)는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예측된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패턴 분석 모듈(430)은 분석된 이용 패턴의 특정 시간, 특정 일정과 관련하여 반복되면, 반복되는 이용 패턴을 기초로 시간대별 예측되는 이벤트 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도출된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노드 장치(400)는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S250).
노드 장치(400)의 용량 분배 모듈(450)은 예측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용량 분배는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용량 분배 모듈(450)은 예측된 서비스 용량에 따라, 시간대별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용량 분배 모듈(450)은 예측된 서비스 용량에 따라, 시간대 및 서비스 채널별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용량 분배 모듈(450)은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을 서비스 채널별로 서비스 용량을 증가, 감소, 유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용량 분배 모듈(450)은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이 출력하는, 서비스 채널별로 서비스 용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은 복수의 리모트 유닛(30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은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복수의 리모트 유닛(30)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어서, 각 리모트 유닛의 서비스 용량이 증가 또는 감소되기 이전에, 미리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술한 예측된 서비스 용량에 따른 서비스 용량 분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예측된 서비스 용량에 따른 서비스 용량 분배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에서 각각의 영역에 표시된 A, B, C는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의 각각의 서비스 용량 분배에 따른 서비스 용량 점유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A는 해당 영역에서의 제1 리모트 유닛(301)의 서비스 용량 점유율을 나타내고, B는 해당 영역에서의 제2 리모트 유닛(302)의 서비스 용량 점유율을 나타내고, C는 해당 영역에서의 제3 리모트 유닛(303)의 서비스 용량 점유율을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노드 유닛(400)의 패턴 분석 모듈(430)은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및 제3 영역(630) 각각에 대한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 분석 모듈(430)은 제1 영역(610)에서의 서비스 용량이 증가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용량 분배 모듈(450)은 패턴 분석 모듈(430)이 예측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량 분배 모듈(450)은 서비스 용량이 증가될 제1 영역(610)에 대해서 서비스하던 제1 리모트 유닛(301) 이외에 다른 리모트 유닛의 서비스 용량을 제1 영역(610)에 분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용량 분배 모듈(450)은 제2 리모트 유닛(302)과 제3 리모트 유닛(303) 중 서비스 용량에 여유가 있는 제2 리모트 유닛(302)이 제1 영역(610)에도 서비스하도록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610)은 제1 리모트 유닛(301) 및 제2 리모트 유닛(302)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어서, 노드 장치(400)는 서비스 용량이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는 제1 영역(610)의 서비스 수요 변화에 미리 대응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노드 유닛(400)의 패턴 분석 모듈(430)은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및 제3 영역(630) 각각에 대한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 분석 모듈(430)은 제3 영역(630)에서의 서비스 용량이 증가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용량 분배 모듈(450)은 패턴 분석 모듈(430)이 예측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량 분배 모듈(450)은 서비스 용량이 증가될 제3 영역(630)에 대해서 서비스하던 제3 리모트 유닛(303) 이외에 다른 리모트 유닛의 서비스 용량을 제3 영역(630)에 분배할 수 있다. 그리고 용량 분배 모듈(450)은 제3 영역(630)에서 증가될 서비스 용량에 따라, 제3 영역(630)에 대해 추가될 서비스 용량을 제공할 리모트 유닛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량 분배 모듈(450)은 제3 영역(630)에 추가될 서비스 용량 및 제3 영역(630)에서의 서비스 제공 안정성의 중요도에 따라, 제3 영역(630)에 추가될 용량을 제공할 리모트 유닛 및 추가 분배되는 서비스 용량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안정성이란, 해당 영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안정적적으로 운용되어야 할 정도를 의미할 수 있고, 상대적인 값일 수도 있고 기준값과의 비교에 따른 절대적인 값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용량 분배 모듈(450)은 제3 영역(630)에 추가될 용량이 하나의 리모트 유닛의 일부 용량 분배 추가만으로 부족하고, 제3 영역(630)의 서비스 제공 안정성이 중요하다고 판단되면, 제3 영역(630)과 인접한 제2 리모트 유닛(302)의 전체 용량을 제3 영역(630)에 추가 분배할 수 있다. 그리고 용량 분배 모듈(450)은 제1 리모트 유닛(301)이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620)을 서비스하도록, 제1 리모트 유닛(301)의 서비스 용량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620)은 제1 리모트 유닛(301)에 의해 서비스되고, 제3 영역(630)은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어서, 노드 장치(400)는 서비스 용량이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는 제3 영역(610)의 서비스 수요 변화에 미리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400)는 복수의 영역을 하나의 섹터(sector)로 설정하고, 설정된 섹터(sector)에 대해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드 장치(400)는 복수의 영역을 하나의 섹터로 설정하고, 설정된 섹터에 대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노드 장치(400)는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복수의 서비스 유닛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설정된 섹터에 대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노드 장치(400)는 설정된 섹터에 대하여 서비스 용량을 예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노드 장치(400)는 복수의 영역을 하나의 섹터로 설정하여, 설정된 섹터에 대해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고, 복수의 영역 각각을 섹터로 설정한 복수의 섹터 각각에 대해, 분석된 이용 패턴, 예측된 서비스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노드 장치(400)는 하나의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 대한 이용 패턴 분석 및 서비스 용량 예측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분석된 이용 패턴 및 예측된 서비스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 대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섹터, 서브 영역에 대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400)의 동작 상태 모니터링, 이용 패턴 분석, 서비스 용량 예측 및 서비스 용량 분배는, 상술한 영역들에 대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400)의 설정된 섹터, 서브 영역에 대한 이용 패턴 분석 및 서비스 용량 예측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 분배는 상술한 영역들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노드 장치(400)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의 서브 시스템일 수 있고, 상술한 것과 같이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500)일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서는 메인 유닛(100)이 하나인 구성으로 설명했으나,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의 구성 및 토폴로지에 따라 메인 유닛(100)의 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메인 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분산 안테나 시스템(10)의 제1 메인 유닛(100a), 제2 메인 유닛(100b), 제3 메인 유닛(100c) 각각은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제3 리모트 유닛(303)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제1 리모트 유닛(301), 제2 리모트 유닛(302) 및 제3 리모트 유닛(303) 각각은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및 제3 영역(630) 각각에 대해 서비스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및 제3 영역(630)은 지리적인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인접하여 서로 연속되는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및 제3 영역(630) 각각은 동일한 평면상의 영역일 수 있고,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 각각이 서로 다른 평면상의 영역일 수도 있다.
제1 메인 유닛(100a), 제2 메인 유닛(100b) 및 제3 메인 유닛(100c) 각각은 연결된 다른 메인 유닛을 통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리모트 유닛과도 통신할 수 있고, 직접 연결되지 않은 리모트 유닛을 통해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제1 메인 유닛(100a), 제2 메인 유닛(100b) 및 제3 메인 유닛(100c) 각각은 연결된 다른 메인 유닛을 통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리모트 유닛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메인 유닛(100a)은 제1 리모트 유닛(301)뿐만 아니라, 연결된 제2 메인 유닛(100b)을 제2 리모트 유닛(302)과 통신하여, 제2 리모트 유닛(302)을 통해 서비스할 수 있고, 제2 리모트 유닛(302)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제1 메인 유닛(100a)은 연결된 제2 메인 유닛(100b) 및 제3 메인 유닛(100c)을 통해 제3 리모트 유닛(303)과 통신하여, 제3 리모트 유닛(303)을 통해 서비스할 수 있고, 제3 리모트 유닛(303)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메인 유닛(100) 각각은 직접 연결된 리모트 유닛뿐만 아니라, 다른 메인 유닛을 통한 통신을 통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리모트 유닛과도 통신할 수 있어서, 직접 연결되지 않은 리모트 유닛을 통한 서비스 및 서비스 용량 분배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 및 노드 장치의 동작은 하나의 메인 유닛(300)이 포함된 구성뿐만 아니라 복수의 메인 유닛(300)이 포함된 구성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실시 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a~1n: BTS 10: 분산 안테나 시스템
30: POI 50: NMS
100: 메인 유닛 110: RF 모듈
120: 베이스밴드 모듈 150: 백플레인
170: 트랜시버 모듈 171: FPGA
173: CPU 175: 스펙트럼 분석 모듈
180: 채널 스캐너 190: 파워 서플라이 모듈
200: 허브 유닛 270: 트랜시버 모듈
290: 파워 서플라이 모듈 300: 리모트 유닛
370: 트랜시버 모듈 380: RF 모듈
385: 안테나 400: 노드 장치
410: 모니터링 모듈 430: 패턴 분석 모듈
450: 용량 분배 모듈 500: 용량 분배 서브 시스템
610: 제1 영역 620: 제2 영역
630: 제3 영역

Claims (20)

  1.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용량 분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용량 분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처리량, 업링크 전송량, 다운링크 전송량 및 운용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용량 분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에서의 상기 모니터링되는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용량 분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이동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상기 이동 패턴에 따른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용량 분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에서의 상기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에서의 이용량 변화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용량 분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이용량 변화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상기 이용량 변화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용량 분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용량 분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용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시간대별로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대별로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용량 분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이 출력하는 서비스 채널별로, 상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용량 분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채널별로 분석된 상기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상기 서비스 채널별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용량 분배 방법.
  11.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서브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
    상기 모니터링된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대한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분석 모듈; 및
    상기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용량 분배 모듈을 포함하는
    서브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처리량, 업링크 전송량, 다운링크 전송량 및 운용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서브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분석 모듈은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에서의 상기 모니터링되는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 내에서의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는
    서브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분배 모듈은
    상기 분석된 이동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상기 이동 패턴에 따른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서브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분석 모듈은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에서의 상기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커버리지에서의 이용량 변화 패턴을 분석하는
    서브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분배 모듈은
    상기 분석된 이용량 변화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상기 이용량 변화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서브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분석 모듈은
    상기 분석된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예측하고,
    상기 용량 분배 모듈은
    상기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서브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분석 모듈은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시간대별로 예측하고,
    상기 용량 분배 모듈은
    상기 시간대별로 예측된 서비스 용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분배하는
    서브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분석 모듈은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이 출력하는 서비스 채널별로, 상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서브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분배 모듈은
    상기 서비스 채널별로 분석된 상기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각각의 서비스 용량을, 상기 서비스 채널별로 분배하는
    서브 시스템.
KR1020180080096A 2018-07-10 2018-07-10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390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96A KR102390642B1 (ko) 2018-07-10 2018-07-10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16/505,905 US20200021508A1 (en) 2018-07-10 2019-07-09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19185422.3A EP3595186B1 (en) 2018-07-10 2019-07-10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220049298A KR102608765B1 (ko) 2018-07-10 2022-04-21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96A KR102390642B1 (ko) 2018-07-10 2018-07-10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298A Division KR102608765B1 (ko) 2018-07-10 2022-04-21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402A true KR20200006402A (ko) 2020-01-20
KR102390642B1 KR102390642B1 (ko) 2022-04-27

Family

ID=674376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096A KR102390642B1 (ko) 2018-07-10 2018-07-10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20049298A KR102608765B1 (ko) 2018-07-10 2022-04-21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298A KR102608765B1 (ko) 2018-07-10 2022-04-21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21508A1 (ko)
EP (1) EP3595186B1 (ko)
KR (2) KR1023906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536A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이너트론 공공안전망용 분산 안테나 감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1703B2 (en) * 2019-12-03 2023-07-25 Fiplex Communications, Inc. Antenna monitoring system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348A (ko) * 2006-04-14 2009-01-2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환경에서 다양한 트래픽 흐름에 대한 서비스 품질제공
KR20130032778A (ko) * 2011-09-23 2013-04-02 알트론 주식회사 분산형 중계 시스템 및 분산형 중계 방법
KR20140021645A (ko) 2011-04-04 2014-02-20 피-웨이브 홀딩스, 엘엘씨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이종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성능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1551A (ko) * 2013-04-05 2014-10-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20140122220A (ko) * 2012-08-09 2014-10-17 악셀 와이어리스 리미티드 디지털 용량 중심적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KR20150033122A (ko) * 2013-09-23 2015-04-01 주식회사 쏠리드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KR20150040298A (ko) * 2012-07-31 2015-04-14 달리 시스템즈 씨오. 엘티디.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로드의 최적화
KR20170054287A (ko) * 2015-11-06 2017-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자원 구성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1910A (zh) * 2011-02-24 2012-08-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管理用户设备的方法及装置
US9107187B2 (en) * 2013-09-30 2015-08-11 At&T Mobility Ii Llc Enhanced self-organizing network switching matrix
US20150181615A1 (en) * 2013-12-23 2015-06-25 Adc Tele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acity management for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348A (ko) * 2006-04-14 2009-01-2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환경에서 다양한 트래픽 흐름에 대한 서비스 품질제공
KR20140021645A (ko) 2011-04-04 2014-02-20 피-웨이브 홀딩스, 엘엘씨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이종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성능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2778A (ko) * 2011-09-23 2013-04-02 알트론 주식회사 분산형 중계 시스템 및 분산형 중계 방법
KR20150040298A (ko) * 2012-07-31 2015-04-14 달리 시스템즈 씨오. 엘티디.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로드의 최적화
KR20140122220A (ko) * 2012-08-09 2014-10-17 악셀 와이어리스 리미티드 디지털 용량 중심적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KR20140121551A (ko) * 2013-04-05 2014-10-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20150033122A (ko) * 2013-09-23 2015-04-01 주식회사 쏠리드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KR20170054287A (ko) * 2015-11-06 2017-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자원 구성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536A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이너트론 공공안전망용 분산 안테나 감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642B1 (ko) 2022-04-27
KR20220063126A (ko) 2022-05-17
EP3595186B1 (en) 2022-03-09
EP3595186A1 (en) 2020-01-15
KR102608765B1 (ko) 2023-12-04
US20200021508A1 (en)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28546A1 (en) Soft hand-off and routing data in a virtualized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10938450B2 (en) Base station router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EP3216081B1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with dynamic capacity allocation and power adjustment
KR102067102B1 (ko) 복수의 네트워크 운영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몰 셀 네트워크 아키텍처
KR102608765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CN109314547B (zh) 混合无线通信系统
EP2326116A1 (en) Method and system related to quality of service in distributed wireless networks
CN103718588A (zh) 无线接入网络中的功耗管理
CN109923920A (zh) 用于资源管理装置、数据库和对象的电子设备和方法
US20210409994A1 (en) Methods, Circuits, Devices, Systems and Associated Computer Executable Code for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60028451A1 (en) Active Antenna System And Method With Full Antenna Ports Dimension
JP202003606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
US11265739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supporting selective routing of carrier aggregation (CA) an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data streams
KR102149420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JP2023552541A (ja) ニューラジオ・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干渉防止方法
CN110521278B (zh) 用于信号优势的数字das的自动配置
KR102120673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품질 개선 방법
WO2013191182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方法
KR102563534B1 (ko) 통신 노드 및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Singh et al. Improving spectrum efficiency in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granular identification
WO20231504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learning based slice modification, addition, and deletion
KR20200029771A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EA040610B1 (ru) Мягкая передача обслуживания и маршрутизация данных в виртуализованной распределённой антенной систем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1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503

Effective date: 2022012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