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118A - A miniature cleaner - Google Patents

A miniature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118A
KR20200005118A KR1020180078395A KR20180078395A KR20200005118A KR 20200005118 A KR20200005118 A KR 20200005118A KR 1020180078395 A KR1020180078395 A KR 1020180078395A KR 20180078395 A KR20180078395 A KR 20180078395A KR 20200005118 A KR20200005118 A KR 20200005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leaning
unit
coupled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1516B1 (en
Inventor
강민정
Original Assignee
강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정 filed Critical 강민정
Priority to KR102018007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516B1/en
Publication of KR20200005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5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23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means for inducing vibration to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8Disc-shaped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26Dusting brus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73Brush for cleaning specific unusual places not otherwise covered, e.g. gutters, golf clubs, tops of tin cans, corner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small vacuum cleaner used to clean a narrow gap of an object to be cleaned such as electronic products. The ultra-small vacuum cleaner for cleaning the object to be cleaned such as the electronic products comprises: a body having a certain space therein; a vibration generating unit consisting of a vibration motor and a vibration weight, and provided inside the body to generate the vibration of the body; a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object to be cleaned by contact; a support unit in which one end is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has the predetermined length coupled to the clean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Description

초소형 청소기{A MINIATURE CLEANER}Mini vacuum cleaner {A MINIATURE CLEANER}

개시된 내용은, 전자제품 등의 피대상물의 좁은 틈새를 청소하는데 사용되는 초소형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Disclosed is a micro-vacuum cleaner used to clean narrow gaps of an object such as an electronic product.

초소형 청소기는 일반적인 청소기로는 청소가 힘든 컴퓨터 본체, 키보드, 핸드폰충전부, 이어폰연결잭, 전화기, 에어컨 등의 전자제품이나 창틀, 서랍 등의 좁은 틈새를 청소하는데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Ultra-compact vacuum cleaner refers to appliances used to clean narrow spaces such as computer frames, keyboards, cell phone chargers, earphone jacks, telephones, air conditioners, and window frames and drawers, which are difficult to clean with general cleaners.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9191호에 개시된 초소형 청소기가 있다.The related art is a micro cleaner disclosed in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49191.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는 공기의 유입을 위한 흡입구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하부에 구비된 틈새나 표면의 불순물을 떼어내는 제진수단과, 공기의 유동을 유도하는 송풍수단, 흡입된 먼지나 불순물을 포집하는 필터부와, 전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micro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body having an inlet for inlet of air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of air, and vibration damping means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gaps or surface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inducing air flow. And a blowing means, a filter part for collecting the inhaled dust and impurities, and a power source.

상기 종래기술은 제진수단을 통하여 먼지를 제거한 다음 흡입팬을 통하여 제거된 먼지를 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제진수단인 브러쉬가 몸체의 전방에 형성된 흡입구 통로에 위치하여 흡입구의 폭과 대응되는 곳은 효과적인 청소가 가능하지만 그렇지 못한 곳은 청소하기가 곤란하므로 청소가능구역이 지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suck the dust removed through the suction fan after removing the dust through the vibration damping means, but where the brush which is a vibration damping means is located in the inlet passage formed in front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uction port is effective Cleaning is possible, but not so difficult to clea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ing area is extremely limited.

KRKR 10-2005-004919110-2005-0049191 AA

개시된 내용의 목적은 전자제품 등의 피대상물의 좁은 틈새를 청소함에 있어 피대상물의 구조에 제한됨이 없이 다양한 곳의 청소가 가능한 초소형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ultra-small vacuum cleaner capable of cleaning various place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structure of an object in cleaning a narrow gap of an object such as an electronic product.

또한, 잘 닦이지 않는 피대상물 표면에 결착된 먼지나 이물질 등을 빠르게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초소형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ltra-compact cleaner capable of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ing dust or foreign matter bound to a surface of a hard-to-be-washed object.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등의 피대상물을 청소하는 초소형 청소기로서,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진동모터와 진동추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와, 접촉에 의하여 피대상물을 청소하는 클리닝부와, 일단은 상기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클리닝부에 결합되는 일정 길이를 가진 지지부와, 상기 진동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A micro cleaner for cleaning an object such as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comprising a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 vibration motor and a vibration weight, and provided inside the body to generate vibration of the body. A generating part, a cleaning part for cleaning the object by contact, a support par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leaning part, and a power supply part supplying power to the vibration generating part It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일정 길이를 가진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타단에 나사탭이 형성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지지부의 타단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멜라민 수지 또는 면 재질의 스펀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upport portion is made of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ut the screw tab is formed on the other end, the cleaning unit, the coupling hole formed with a screw hole on one side, so that the screw can be screw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It may include a melamine resin or cotton sponge attached to the.

또한, 상기 클리닝부는, 원통형 형상, 직육면체 형상, 삼각뿔 형상, 구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unit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a cylindrical shap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triangular pyramid shape, and a spherical shape.

한편,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클리닝부에 회동을 인가하며, 상기 전원부의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회동인가부를 더 포함하되,상기 회동인가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과 결합하는 연결구와, 몸체 내부의 선단과 상기 진동발생부 사이에 위치하며 샤프트가 상기 연결구와 결합되는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to apply a rotation to the cleaning unit, and further includes a rotation applying unit which is operated by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the rotation applying unit, a connector for engaging with one end of the support, and the inside of the body Located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portion may include a vibration motor coupled to the coupling shaft.

여기서, 상기 클리닝부는 딱딱한 유형의 멜라민 수지 스펀지로 이루어져 일측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클리닝부의 나사공에는 상기 지지부의 타단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Here, the cleaning part is made of a melamine resin sponge of a hard type, a screw hol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may be screwed to the screw hole of the cleaning part.

또한, 상기 클리닝부는 멜라민 수지 또는 면 재질의 스펀지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접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는 상기 접촉홀에 삽입되어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part is made of a melamine resin or cotton sponge, the adhesive hole is formed on one side,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ntact hole may be coupled by an adhesive.

또한, 상기 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회동모터의 샤프트와 상기 연결구의 결합축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연결구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upport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so as to be eccentric to one side based on the coupling shaft of the shaft and the connector of the rotating motor.

한편,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에서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분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구를 갖는 분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펀지 및 적어도 하나의 클리닝브러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펀지와 클리닝브러쉬는 상기 분기부의 지지구에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branch having a support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and at least two supports that are symmetrically branch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pport bar, The clean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sponge and at least one cleaning brush, and the sponge and the cleaning brush may have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of the branch part.

여기서, 상기 분기부는 상기 지지구가 두 개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영문자 'U'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구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스펀지가 결합되며, 다른 하나에는 클리닝브러쉬가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branch portion is composed of two supports, the overall letter made of the letter 'U', the sponge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support, the cleaning brush may be coupled to the other.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전자제품 등의 피대상물의 좁은 틈새를 청소함에 있어 피대상물의 구조에 제한됨이 없이 다양한 곳의 청소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leaned in various place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object in cleaning the narrow gap of the object, such as electronic products.

또한, 잘 닦이지 않는 피대상물 표면에 결착된 먼지나 이물질 등을 빠르게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e the dust or foreign matter boun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difficult to wipe.

본 실시예들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의 내부 구성을 보이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 2에 도시된 지지부와 클리닝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1, 2에 도시된 클리닝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의 구성 중 지지부와 연결구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ltra-compact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unit and the cleaning unit shown in FIGS.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leaning unit shown in Figs.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and the connector of the micro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6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ultra-compact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ltra-compact clea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micro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실시예] [First Embodiment]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의 내부 구성을 보이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 2에 도시된 지지부와 클리닝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2에 도시된 클리닝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ltra-compact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ltra-compact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3 is a support and cleaning shown in Figs.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negative coupling relationship, and FIG.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leaning unit illustrated in FIGS. 1 and 2.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100)는 컴퓨터 본체, 키보드, 핸드폰충전부, 이어폰연결잭, 전화기, 에어컨 등의 전자제품이나 창틀, 서랍 등을 포함하는 피대상물을 청소하는 초소형 청소기로서, 몸체(110), 진동발생부(140), 클리닝부(170) 및 지지부(160)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회동인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ultra-compact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computer main body, a keyboard, a mobile phone charging unit, an earphone connection jack, a phone, an air conditioner, an object including a window frame, a drawer, and the like. As an ultra-compact cleaner for cleaning, it includes a body 110, a vibration generating unit 140, a cleaning unit 170 and a support unit 160, and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applying unit 150.

몸체(1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초소형 사이즈로 제작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거나 기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Body 110 is manufactured in a very small size enough to be gripped by the user. To this end, it may be made in a variety of shapes, but preferably made of a cylindrical or other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in this embodiment.

몸체(110)는 내부에 진동발생부(140) 등 주요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일정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진동발생부(140)와 회동인가부(150)가 분리 설치될 수 있도록 구획벽(116)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구획벽(116)에는 전원부(130)와 연결된 도선(미도시)이 회동모터(152)측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관통홈(116a)이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pace for installing the main parts such as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40 therein, the partition wall (so that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40 and the rotation applying unit 150 can be installed separately) 116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a through hole 116a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16 so that a conductive wire (not show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extend toward the rotation motor 152.

몸체(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하 짝으로 이루어져 결합에 의해 하나의 몸체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후단에는 몸체(11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건전지만 교체할 수 있도록 후단캡(1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후단캡(112)의 바깥쪽면에는 전원를 ON/OFF 시키는 전원버튼(120)이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body 110 may be configured to be a single body by combining the upper and lower pairs, and the rear end cap 112 to replace only the battery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110 is not separated. )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cap 112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button 120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진동발생부(140)는 진동모터(144)와 진동추(142)로 이루어지며, 몸체(110) 내부에 구비되어 몸체(110)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발생된 진동은 지지부(160)를 통하여 후술할 클리닝부(170)에 전달된다.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40 is made of a vibration motor 144 and the vibration weight 142, is provided in the body 110 serves to generate the vibration of the body (110). The vibration generated at this time is transmitted to the cleaning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support unit 160.

진동추(142)는 진동모터(144)의 샤프트(144a)와 결합되며 일측의 하중이 모터축을 기준으로 편심되도록 구성될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로 일정 두께를 가지되 그 단면이 반원형 내지 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Vibrating weight 142 is coupled to the shaft 144a of the vibration motor 144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oad on one side is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motor shaft, the preferred embodiment has a certain thickness but the cross-section is semi-circular to arc shape Can be configured.

진동발생부(140)는 몸체(110) 내부나 외부 등 다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인가부(150)가 구비되지 않고 진동발생부(140)만 구비된 경우 몸체(110) 내부 전방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며, 회동인가부(150)가 구비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인가부(150)와 전원부(130)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40 may be located in various ways such as inside or outside the body 110. For example, when only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40 is provided without the rotation applying unit 150, it is preferable to be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inside the body 110, and when the rotation applying unit 150 is provided in FIG. 2. As shown, it is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rotation applying unit 150 and the power supply unit 130.

종래 일반적인 초소형 청소기의 경우 클리닝부에 수동적으로 힘을 가하여 피대상물을 문질러서 청소하였으므로 사용하는데 불편이 따랐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발생부(140)로 인하여 클리닝부(170)에 진동이나 미세떨림이 발생하고 이러한 진동이나 미세떨림에 의한 피대상물과의 접촉에 의해 자동적으로 청소가 되므로 청소를 힘들이지 않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general ultra-small vacuum cleaner was applied to rub the object by manually applying a force to the cleaning unit was inconvenient to use,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vibration or fine vibration in the cleaning unit 170 due to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40 This occurs and is automatically cleaned by the contact with the object caused by the vibration or fine vib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ffectively cleaned without effort.

회동인가부(150)는 지지부(160)에 연결되어 클리닝부(170)에 회동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지지부(170)의 일단과 결합하는 연결구(154)와, 몸체(110) 내부의 선단과 진동발생부(140) 사이에 위치하는 회동모터(1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on applying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160 to apply the rotation to the cleaning unit 170, the connector 154 for coupling with one end of the support unit 170, the front end and the inside of the body 110 and It may include a rotation motor 152 positioned between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40.

연결구(154)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or 154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in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cuboid shape.

연결구(154)는 지지부(160)와 몸체(110)의 선단 사이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구(154)의 일 측에는 회동모터(152)의 샤프트(114)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지지부(160)가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or 154 is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160 and the tip of the body 110 and may preferabl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ne side of the connector 154 may be coupled to the shaft 114 of the rotation motor 152 and the support portion 160 to the other side.

이를 위해 연결구(154)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결합공(154a)과 나사공(154b)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154a)에는 회동모터(152)의 샤프트(152a)가 삽입되어 체결핀(P)에 의해 고정되며, 나사공(154b)에는 일단에 나사탭(162)이 형성된 지지부가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나사공(154b)은 회동모터(152)의 샤프트(152a)와 연결구(154)의 결합축(C, 가령 도 5참조)과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To this end, coupling holes 154a and screw holes 154b may be form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154, respectively. The shaft 152a of the rotation motor 15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54a and fixed by the fastening pin P, and the support part in which the screw tab 162 is formed at one end is screwed and fixed to the screw hole 154b. do. At this time, the screw hole 154b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shaft 152a of the rotation motor 152 and the coupling shaft C of the connector 154 (for example, see FIG. 5).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구(154)와 회동모터(152)의 샤프트(152a) 또는 연결구(154)와 지지부(160)의 결합관계에 대해 각각 고정핀 방식과 나사결합방식의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구(154)와 지지부(160)의 결합관계도 고정핀(P)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for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haft 152a or the connector 154 and the support 160 of the connector 154 and the rotating motor 152, respectively, an example of a fixing pin method and a screw coupling method, but is limited thereto Of course,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or 154 and the support 160 may also be coupled by the fixing pin (P).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리닝부(170)가 진동발생부(140)와 회동인가부(150)에 의하여 진동과 회전을 동시에 하므로 보다 먼지나 이물질 제거성능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잘 닦이지 않는 피대상물 표면에 결착된 먼지나 이물질 등을 빠르게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leaning unit 170 vibrates and rotates at the same time by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40 and the rotation applying unit 150, the dust or foreign matter removal performance is superior, and thus the object to be wiped off It can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e dust and foreign matters stuck on the surface.

전원부(130)는 바람직하게는 몸체(110) 내부의 후단측에 위치되며, 진동발생부(140)와 회동인가부(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부의 종류로는 알카라인 전지 등의 일반전지나 니켈 카드뮴 등의 충전전지가 이용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30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body 110, and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40 and the rotation applying unit 150. As the type of the power supply unit, a general battery such as an alkaline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such as nickel cadmium may be used.

클리닝부(170)는 접촉에 의해 피대상물을 청소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지지부(160)의 타단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나사공(174a)이 형성된 결합구(174)와, 결합구(174)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멜라민 수지 또는 면 재질의 스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구(174)는 지지부(160)와 결합을 고려하여 플라스틱이나 금속성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지지부(160)의 타단에는 나사탭(164)이 형성된다.The cleaning unit 170 is a configuration that serves to clean the object by contact, the coupling hole 174 and the coupling hole (174) formed with a screw hole 174a at one side to be screw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160 174 may include a sponge made of melamine resin or cotton material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heet. At this time, the coupler 174 may be implemented in a plastic or metallic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coupling with the support 160, the screw tab 164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160.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스펀지(172)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에 도시된 몸체와 몸체 외측에 부착된 브러쉬로 구성된 클리닝브러쉬(194)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onge 172 is taken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ponge 172 may include a cleaning brush 194 composed of a body and a brush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클리닝부(170)는 다양한 구조의 피대상물을 청소하기 위하여 여러 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제작되거나, 도 4의 (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삼각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leaning unit 170 may be of various types for cleaning the objects having various structures, but preferably, the cleaning unit 17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illustrated in FIG. 1, or (a), (b) and (c) of FIG. 4. As shown in the figure may be made of a cube, a triangular pyramid, a spherical shape.

육면체 형상의 클리닝부(172-1)는 주로 회동인가부(150) 없이 진동발생부(140) 만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사용자는 일측면으로 문질러 사용하다가 그 기능이 다할 경우 다른 측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cube-shaped cleaning part 172-1 is mainly used when only the vibration generating part 140 is present without the rotation applying part 150, and the user rubs it to one side and uses it as another side when the function is full. Can be.

삼각뿔 형상의 클리닝부(172-2)는 원통의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삼각뿔로 이루어지며, 주로 컴퓨터 자판이나 전화기 버튼 등 좁은 틈새를 청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triangular pyramid-shaped cleaning unit 172-2 is composed of a triangular pyramid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cylindrical body, and can be mainly used to clean narrow gaps such as computer keyboards or telephone buttons.

원통 형상(도 1참조)이나 구 형상의 클리닝부(172-3)는 창틀이나 냉장고 내부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 등 일정 간격을 가진 길이방향 홈을 청소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Cylindrical shape (refer to FIG. 1) or spherical shape cleaning unit 172-3 may be easy to clean the longitudinal grooves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such as a window groove or a rail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frigerator.

지지부(160)는 일단은 몸체(110)의 선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클리닝부(170)에 결합되어 클리닝부(170)를 지지하는 동시에 몸체(110)에서 발생된 진동을 클리닝부(17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몸체(110)에 회동인가부가 설치되는 실시예의 경우 클리닝부(17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모터의 회동력을 클리닝부(17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unit 160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11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leaning unit 170 to support the cleaning unit 170 and at the same time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body 110 to the cleaning unit 170. It serves to convey.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rotation applying unit is installed in the body 110, not only serves to support the cleaning unit 170, but also additionally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cleaning unit 170.

이를 위해 지지부(16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일정 길이를 가진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60)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8cm ~ 15 cm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컴퓨터 본체 등 손이 닿지 않는 좁고 깊숙한 곳의 청소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길이를 가지므로 후술할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클리닝부에서 원심력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support 16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but preferably may have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ere, the length of the support unit 160 is preferably made of about 8cm ~ 15cm,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leaned in a narrow, deep place, such as a computer body out of reach. In addition, since it has the predetermined length, the centrifugal force can be effectively exerted in the cleaning unit in the second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클리닝부(170)와 지지부(16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60)의 타단이 스펀지(170) 내부의 결합(174)구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도 2참조). Looking a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leaning unit 170 and the support unit 160,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unit 160 may be screwed to the coupling 174 sphere inside the sponge 170 (see Fig. 2) .

다른 방식으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부(170)가 딱딱한 유형의 멜라민 수지 스펀지(172)로 이루어져 그 일측에 나사공(172a)이 형성된 경우, 지지부(160)의 타단이 나사공(172a)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a) of FIG. 3, when the cleaning part 170 is made of a melamine resin sponge 172 of a hard type, and a screw hole 172a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the support part 160 is provided. The other end of may be screwed into the screw hole (172a).

또 다른 방식으로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펀지(172)의 일측에 접착홀이 형성되고, 지지부(160)의 타단이 접착홀(172a)에 삽입되어 접착제(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펀지(172)는 멜라민 수지 또는 면 재질로 이루어지며, 접착제(B)는 면접착력이 우수한 순간접착제나 수지접착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In another method, as shown in FIG. 3B, an adhesive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ponge 172,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160 is inserted into the adhesive hole 172a so that the adhesive B is used. Can be combined by. At this time, the sponge 172 is made of a melamine resin or cotton material, the adhesive (B) may be used an instant adhesive or a resin adhesive with excellent surface adhesive forc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의 구성 중 지지부와 연결구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의 작동 상태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upport and a connector of the micro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6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micro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는 몸체(110), 진동발생부(140), 회동인가부(150), 클리닝부(170), 지지부(160), 전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경우 회동인가부(150)가 포함된 제1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지지부(160)의 일단과 연결구(154)의 결합구조 및 그에 따른 효과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한 바 중복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and 6, the micro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body 110, a vibration generating unit 140, a rotation applying unit 150, a cleaning unit 170, a support unit 160, and a power supply unit ( 130).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including the rotation applying unit 150, only one coupling structure of the support unit 160 and the connector 154 and the corresponding effects are different,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bar. The description of the redundant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지지부(160)의 일단과 연결구(154)의 결합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60)의 일단이 회동모터(152)의 샤프트(152a)와 연결구(154)의 결합축(C)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연결구(154)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oupling structure of one end of the support unit 160 and the connector 154 may include one end of the support unit 160 coupled to the shaft 152a of the rotation motor 152 and the connector 154.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connector 154 to be eccentric to one side based on C).

이를 위해 지지부(160)의 일단에는 나사탭(162)이 형성되고 연결구(154)에는 제1 실시예와 달리 나사공(154b)이 결합축(C1)을 기준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screw tab 16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160, and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screw hole 154b may be formed to be tapered based on the coupling shaft C1.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가 연결구에 편심되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회동모터 샤프트의 결합축(C1)과 지지부의 결합축(C2)은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회동모터가 작동하게 되면 클리닝부가 도 6에서와 같이 세차운동을 하게 되고 원심력에 의해 피대상물을 청소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support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or so as to be eccentric, the coupling shaft C1 of the rotating motor shaft and the coupling shaft C2 of the support portion have a constant angle. Accordingly, when the rotating motor is operated, the cleaning unit performs the precession as shown in FIG. 6 and cleans the object by centrifugal force.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청소기(100)는 몸체(110), 진동발생부(140), 회동인가부(150), 클리닝부(170), 지지부(160), 전원부(130)를 포함하되, 제1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클리닝부(170)의 구성과 지지부(160)의 구조에 있어 차이점이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중복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micro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110, a vibration generating unit 140, a rotation applying unit 150, a cleaning unit 170, a support unit 160, and a power supply unit ( 130,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cleaning unit 170 and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unit 160 as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bar, the description of the redundant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below do.

지지부(160)는 일단이 몸체(110)의 선단에 결합되는 지지바(182)와, 지지바(182)의 타단에서 지지바의(182) 길이방향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분기되는 지지구(184-1, 184-2)를 갖는 분기부(184)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바(18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구(184)는 다양한 형상과 종류의 클리닝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unit 160 includes a support bar 182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110 and a support symmetrically branch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182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pport bar 182. Branch 184 having 184-1, 184-2. Here, the support bar 18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but like the firs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support 184 may be configured to have at least two so that the cleaning unit of various shapes and types can be combined.

클리닝부(19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펀지(192) 또는 적어도 하나의 클리닝브러쉬(19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펀지(192)는 멜라민 수지 또는 면 재질로 이루어지며, 클리닝브러쉬(194)는 원통형의 몸체와 몸체 외측면에 형성된 브러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leaning unit 19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but preferably,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sponge 192 or at least one cleaning brush 194. In this case, the sponge 192 may be made of melamine resin or cotton, and the cleaning brush 194 may be made of a cylindrical body and a brush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분기부(184)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184-1, 184-2)가 두 개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영문자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지지구(184-1, 184-2)의 어느 하나에는 스펀지(192)가 결합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클리닝브러쉬(194)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지지구로 구성된 분기부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 개 내지 네 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Branch portion 184 may be made of a variety of structures, but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7, the support (184-1, 184-2) is composed of two can be made of the overall letter 'U' shape. . In this case, the sponge 192 may be coupled to one of the supporters 184-1 and 184-2, and the cleaning brush 194 may be coupled to the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nched portion consisting of two supports is taken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ymmetrically formed of three to four.

제3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160)의 회전에 의해 스펀지(192)와 클리닝브러쉬(194)가 지지바(182)를 축으로 회전하여 피대상물과 교차 접촉하게 되므로 클리닝브러쉬(194)에 의한 먼지제거기능과 스펀지(192)에 의한 먼지제거기능이 동시에 구현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sponge 192 and the cleaning brush 194 rotate the support bar 182 about the axis to cross the contact with the object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160, the cleaning brush 194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ust removal function and the dust removal function by the sponge 192 is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in place of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 초소형 청소기 110: 몸체
120: 전원버튼 130: 전원부
140: 진동발생부 150: 회동인가부
160, 180: 지지부 170, 190: 클리닝부
100: ultra-compact cleaner 110: body
120: power button 130: power unit
140: vibration generating unit 150: rotation applying unit
160, 180: support part 170, 190: cleaning part

Claims (9)

전자제품 등의 피대상물을 청소하는 초소형 청소기로서,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몸체;
진동모터와 진동추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
접촉에 의하여 피대상물을 청소하는 클리닝부;
일단은 상기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클리닝부에 결합되는 일정 길이를 가진 지지부; 및
상기 진동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청소기.
As an ultra-small vacuum cleaner for cleaning objects such as electronic products,
A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 vibration generator made of a vibration motor and a vibration weight and provided inside the body to generate vibration of the body;
A cleaning unit cleaning the object by contact;
A support having one end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leaning unit; 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정 길이를 가진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타단에 나사탭이 형성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지지부의 타단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멜라민 수지 또는 면 재질의 스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is made of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ut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screw tab,
The cleaning unit may include a coupler having a screw hol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melamine resin or a sponge of cotton material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so as to be screw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원통형 형상, 직육면체 형상, 삼각뿔 형상, 구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Said cleaning part is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among a cylindrical shap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triangular pyramid shape, and a spherical shape, the ultra-small vacuum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클리닝부에 회동을 인가하며, 상기 전원부의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회동인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동인가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과 결합하는 연결구와, 몸체 내부의 선단과 상기 진동발생부 사이에 위치하며 샤프트가 상기 연결구와 결합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 rotation applying unit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to apply rotation to the cleaning unit and operated by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The rotation applying unit,
Miniatur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or for coupling to one end of the support, and a vibration motor locat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body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portion and the shaft is coupled to the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딱딱한 유형의 멜라민 수지 스펀지로 이루어져 일측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클리닝부의 나사공에는 상기 지지부의 타단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part is made of a melamine resin sponge of a hard type, a screw hol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is screwed to the screw hole of the cleaning part, ultra-compact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멜라민 수지 또는 면 재질의 스펀지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접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는 상기 접촉홀에 삽입되어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part is made of a melamine resin or cotton sponge, the adhesive hole is formed on one side,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contact hol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micro-mini clean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회동모터의 샤프트와 상기 연결구의 결합축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One end of th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onnector so as to be eccentric to one side based on the coupling shaft of the shaft and the connector of the rotating motor, ultra-small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에서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분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구를 갖는 분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펀지 및 적어도 하나의 클리닝브러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펀지와 클리닝브러쉬는 상기 분기부의 지지구에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branch having a support bar,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and at least two supports that are symmetrically branch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pport bar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The cleaning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sponge and at least one cleaning 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sponge and the cleaning brush is made of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of the branch portion, ultra-compact clean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는 상기 지지구가 두 개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영문자 'U'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구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스펀지가 결합되며, 다른 하나에는 클리닝브러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branch portion is composed of two support spheres are made of the overall English letter 'U' shape,
The sponge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support, and the other, the cleaning brus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act cleaner.

KR1020180078395A 2018-07-05 2018-07-05 A miniature cleaner KR1021415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395A KR102141516B1 (en) 2018-07-05 2018-07-05 A miniature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395A KR102141516B1 (en) 2018-07-05 2018-07-05 A miniature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118A true KR20200005118A (en) 2020-01-15
KR102141516B1 KR102141516B1 (en) 2020-08-05

Family

ID=6915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395A KR102141516B1 (en) 2018-07-05 2018-07-05 A miniature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5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39679A1 (en) * 2021-04-26 2022-10-27 Triple Win Technology(Shenzhen) Co.Ltd. Multifunctional cleaning pen for cleaning delicate and fragile objects, and method for pen in cleaning objec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191A (en) 2003-11-21 2005-05-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iniature cleaner
KR20090013973A (en) * 2007-08-03 2009-02-06 남궁금자 Washing device
KR101492517B1 (en) * 2014-04-24 2015-02-16 김민균 A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electromotive brus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191A (en) 2003-11-21 2005-05-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iniature cleaner
KR20090013973A (en) * 2007-08-03 2009-02-06 남궁금자 Washing device
KR101492517B1 (en) * 2014-04-24 2015-02-16 김민균 A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electromotive brus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39679A1 (en) * 2021-04-26 2022-10-27 Triple Win Technology(Shenzhen) Co.Ltd. Multifunctional cleaning pen for cleaning delicate and fragile objects, and method for pen in cleaning o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516B1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1872B (en) Vacuum cleaner
EP1608253B2 (en) Accessory for vacuum-cleaner household appliances
KR20160138931A (en) Ionizer
KR20200005118A (en) A miniature cleaner
CN112790664A (en) Dust suction device
JP2018149162A (en) Vacuum cleaner stand
CN108324178A (en) A kind of hand held cleaner
JP6852456B2 (en) Vacuum cleaner stand and vacuum cleaner system
JP2016083310A (en) Portable vacuum cleaner
CN212463600U (en) Nozzle mechanism of electrostatic eliminator
CN107740784B (en) Rotating shaft mounting structure and tower fan
KR20180129357A (en) Portable clothes cleaner that removes fine dust
CN213392794U (en) Axial flow fan
CN112202216A (en) Dust collector charging device with seesaw type top block
CN208573600U (en) Motor fixation kit and dust catcher
CN209136429U (en) Vacuum cleaner
JP2004337499A (en) Su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KR20210020749A (en) Stand for cleaner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150059544A (en) Hand dryer
CN213585184U (en) Dust collector charging device with seesaw type top block
CN213529737U (en) Ash removal device for processing of tablet personal computer
CN217282264U (en) Charging seat and combined structure
CN211613523U (en) Dust collector in server memory groove
KR20050049191A (en) Miniature cleaner
CN217216859U (en) Earphone cleaning pen with turnov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