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687A -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 Google Patents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687A
KR20200004687A KR1020180077869A KR20180077869A KR20200004687A KR 20200004687 A KR20200004687 A KR 20200004687A KR 1020180077869 A KR1020180077869 A KR 1020180077869A KR 20180077869 A KR20180077869 A KR 20180077869A KR 20200004687 A KR20200004687 A KR 20200004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book
fixing
lying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646B1 (ko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이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호 filed Critical 이기호
Priority to KR1020180077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64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023/049Desk stand for laptop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가 개시된다. 개시된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는 좌식탁자; 상기 좌식탁자에 회전되어 상기 좌식탁자에 겹치도록 인입되거나 상기 좌식탁자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인출되게 설치되는 회전지지판; 및, 상기 회전지지판에 설치되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Laptop cradle for using in the lying state}
본 발명은 누워서 사용하는 와식(臥式)형 노트북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방바닥, 거실, 마루, 침대 등에 편하게 바로 누워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가 간편하다는 이유로 인하여 노트북, 넷북 등의 전자기기의 보급이 늘어나서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노트북은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를 약칭한 것으로서, 개인이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노트 크기로 축소하여 제작된 컴퓨터를 말한다 상기한 노트북은 그 제작 특성을 통해 휴대하면서 필요시 언제 어디서든 문서작성 및 정보의 입, 출력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노트북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트북 거치대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노트북 거치대에 대해 등록실용신안 20-0469864호, 등록실용신안 20-0456534호, 등록특허 10-1256882호, 공개특허 10-2007-006910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노트북 거치대는 사용자가 테이블등에 놓고 사용자가 앉아서 사용하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허리, 어깨, 목 등에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었다.
즉, 기존의 노트북 거치대는 사용자가 가장 편한 누운 자세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69864호 등록실용신안 20-0456534호 등록특허 10-1256882호 공개특허 10-2007-006910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바로 누운 자세에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테이블로써의 기능도 함께 병행하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는 좌식탁자; 상기 좌식탁자에 회전되어 상기 좌식탁자에 겹치도록 인입되거나 상기 좌식탁자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인출되게 설치되는 회전지지판; 및, 상기 회전지지판에 설치되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트북 고정유닛은, 상기 회전지지판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 및, 상기 고정가이드에 전후 위치조정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 고정장착하도록 하는 조정가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식탁자는 접이식 다리를 구비하며, 상기 접이식 다리의 끝단에는 이동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노트북 고정유닛에 고정된 노트북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팔을 상기 좌식탁자의 밑으로 뻗어 마우스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패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우스패드부는,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의 말단에 겹쳐지거나 직각상태가 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우스패드; 및,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우스패드가 상기 회동바에 겹쳐지고, 상기 회동바가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회동바가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으로부터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잠금쇠;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측방으로 수평되게 연장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상하 높이조정가능하도록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된 스탠드형 지지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고정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트북 고정유닛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말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가이드; 및, 상기 고정가이드에 위치조정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 고정장착하도록 하는 조정가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는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편안하게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좌식생활이 어렵고, 허리디스크, 목디스크 질병 등 전신이 불편한 환자 또는, 의자에 앉거나 서서 생활하는 직장인이나 학생들이 누워 쉬면서 편하게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기존의 노트북 거치대는 노트북을 앉아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허리나 어깨를 구부리는 불편한 자세를 유발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고개를 숙이는 자세에 의해 거북목 형태의 불편한 자세를 유발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쉽게 피로함을 느끼고 장시간 사용시에는 몸의 자세에 대한 불균형을 이루어 각종 질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가장 편하게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어, 노트북의 장시간 사용에도 쉽게 피로하지 않고 편안하게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노트북 고정유닛을 지지하는 회전지지판이 좌식탁자에 힌지회전되도록 구성되어, 회전지지판을 좌식탁자에서 인출하거나 입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노트북 고정유닛을 사용하지 않을 때, 회전지지판을 좌식탁자에 인입시켜 전체적인 노트북 거치대의 부피를 줄여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회전지지판을 좌식탁자에서 펼쳐 인출시킨 후, 노트북을 누운 상태에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좌식탁자에 식탁이나 공부상 테이블로서의 기능도 함께 병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좌식탁자의 접이식 다리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있어,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를 자유자재로 용이하게 위치이동시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노트북 거치대가 사용상태로 형태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노트북고정유닛이 삭제된 상태에서 회전지지판이 좌식탁자 하면에 겹쳐지도록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에서 노트북 고정유닛이 회전지지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에서 노트북 고정유닛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노트북 고정유닛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a), 조립된 상태(b)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노트북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에 대한 사용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노트북 거치대에서 수평지지바의 일부와 노트북 고정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에 대한 사용예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10)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에 다른 노트북 거치대(10)는 좌식탁자(110), 회전지지판(115), 노트북 고정유닛(130), 마우스패드부(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좌식탁자(110)는 좌식테이블, 좌식상 등과 같이 사용자가 앉아서 사용하는 탁자로서, 탁자플레이트(111)와, 이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는 접이식 다리(1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접이식다리(113)는 좌식탁자에 맞게 300mm~500mm 범위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320mm의 길이를 적용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각각의 접이식다리(113)의 말단에는 좌식탁자(110)의 이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동바퀴(113a)가 구비된다.
회전지지판(115)은 힌지(h1)에 의해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 테두리에서 회전조작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지지판(115)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에 테두리에 겹쳐놓을 수도 있고, 회전지지판(115)을 도 1 및 도 3과 같이, 탁자플레이트(111)에 직각되게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힌지(h1)를 중심으로 90도 회전시켜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제1슬롯부재(115a)와 제2슬롯부재(115b)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제1슬롯부재(115a)와 제2슬롯부재(115b) 사이에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슬롯부재(115a)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
Figure pat00001
"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지지판(115)의 끝단 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제2슬롯부재(115b)는 "
Figure pat00002
"로 이루어지며 제1슬롯부재(115a)와 이격되게 회전지지판(115)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슬롯부재(115a)와 제2슬롯부재(115b)는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각각 회전지지판(115)의 하면과의 사이에 끼움홈(s)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탁자플레이트(111) 하면에 "
Figure pat00003
"으로 된 처짐방지부재(119)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처짐방지부재(119)는 탁자플레이트(111) 하면과의 사이에 삽입홈(119a)을 형성하여, 회전지지판(115)이 도 2나 도 4와 같이, 탁자 플레이트(111)의 하면에 겹쳐지도록 인입된 상태(보관상태)에서,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가 삽입홈(119a)에 삽입되어,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가 자중에 의해 쳐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노트북 고정유닛(130)은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노트북(20)의 본체(21)를 수직하게 끼운 형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노트북 고정유닛(130)은 회전지지판(115)의 회전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도 1,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노트북 고정유닛(130)은 고정가이드(132), 조정가이드(135) 및 고정볼트(13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고정가이드(132)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수평고정판(133)과, 이 수평고정판(133)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일체로 연장되는 수직고정판(1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조정가이드(135)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고정가이드(132)와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고정가이드(132)에 대해 전후 위치조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고정가이드(132)와의 사이공간에 노트북(20)의 본체(21)를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정가이드(135)는 수평고정판(133)의 하면에 겹쳐지도록 고정되는 결합판(136)과, 이 결합편(136)의 끝단 양측에는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판(137)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돌출판(137)은 수직고정판(134)과 나란히 병렬로 배치되며, 한 쌍의 돌출판(137)과 수직고정판(134) 사이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노트북(20)의 본체(21)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정볼트(138)는 나비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조정가이드(135)를 고정가이드(132)에 위치조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에는 볼트체결홀(n, 도6 참조)이 형성되고, 고정가이드(132)의 수평고정판(133)에는 제1볼트통과홀(133a, 도 7참조)이 형성되며, 조정가이드(135)의 결합판(136)에는 폭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를 갖는 장공형태의 제2볼트통과홀(136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고정가이드(132)의 수평고정판(133)과 조정가이드(135)의 결합판(136)을 겹친 상태에서, 겹쳐진 수평고정판(133)과 결합판(136)을 회전지지판(115)의 하면에 겹쳐지도록 한 쌍의 슬롯부재(115a,115b)에 형성된 양측의 끼움홈(s)에 끼워 삽입시킨 후, 고정볼트(138)를 제2볼트통과홀(136a) 및 제1고정볼트(133a)에 통과시키고, 볼트체결홀(n)에 나사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수평고정판(133)과 결합판(136)이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에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게 될 수 있다.
이때, 제2볼트통과홀(136a)이 장공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결합판(136)을 수평고정판(133)에 대해 폭방향으로 전후 이동시켜 위치조정한 후, 고정볼트(138)를 조여 수평고정판(133)과 결합판(136)을 회전지지판(115)에 고정시켜 줌으로써, 노트북(20)의 본체(20) 두께에 맞게 수직고정판(134)과 돌출판(137)의 사이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한 쌍의 돌출판(137)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직고정판(134)과 한 쌍의 돌출판(137) 사이에 노트북(20)의 본체(21)를 끼워 고정하는 경우, 도 9와 같이, 한 쌍의 돌출판(137) 사이에 노트북 터치패드(22)가 노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노트북 터치패드(22)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한 쌍의 돌출판(137)의 상하길이는 노트북(20)의 본체(21)의 키보드부(24)가 형성되지 않은 하부의 상하길이 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노트북(20)의 키보드(24)가 한 쌍의 돌출판(137)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완전히 노출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키보드부(24)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과 같이, 노트북(20)의 본체(21)가 수직고정판(134)과 한 쌍의 돌출판(137)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노트북(20)의 디스플레이부(25)는 본체(21)에 대해 소정각도로 각도조정하여, 바로 누워 있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25)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트북(20)의 본체(21)의 두께에 맞게 수직고정판(134)과 돌출판(137)의 사이간격을 조정하여 조정가이드(135) 및 고정가이드(132)를 회전지지판(115)에 고정볼트(138)로 고정시킨 다음, 노트북(20)의 본체(21)를 간격조정된 수직고정판(134)과 한 쌍의 돌출판(137) 사이에 끼워서 고정시킨 후 도 3 및 도 8과 같이, 회전지지판(115)을 탁자플레이트(111)에 대해 외측으로 직각되게 돌출되도록 조작해 노트북(20)의 키보드부(24)가 바로 누운 사용자의 명치 부위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 노트북(20)을 편하게 바로 누운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마우스패드부(150)는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 고정유닛(130)에 고정거치된 노트북(20)을 사용할 때, 노트북(20)과 연결된 마우스를 보다 편리하게 조작하는 패드로서 이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마우스패드부(150)는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에 고정된 회전지지부(151)와, 이 회전지지부(151)에 대해 피봇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탁자플레이트(111)에 대해 접철가능하도록 구성된 회동바(153)와, 이 회동바(153)의 말단에 회전되게 설치되되, 회동바(153)에 겹쳐지거나 또는 직각을 이루는 범위에서 회전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우스패드(15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우스패드부(150)는 도 8의 (a)와 같이, 회동바(153)를 탁자플레이트(111)에 대해 직각되게 회동시킨 상태에서, 마우스패드(155)를 회동바(153)의 말단에 직각되게 조작하여 사용상태가 되도록 한 후, 사용자가 바로 누운상태에서 노트북(20)을 사용하면서 팔을 탁자플레이트(111) 밑으로 펴서 마우스패드(155)에 마우스를 올려놓고 마우스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회동바(153)의 길이는 접이식 다리(113)의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사용상태시, 도 8의 (a)와 같이, 마우스패드(155)가 바닥에 대해 약간 떨어져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이식 다리(113)를 320mm로 구성하는 경우, 회동바(153)의 길이는 250mm로 구성할 수 있다.
반면, 마우스패드부(1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 8의 (b)와 같이, 마우스패드(155)를 회동바(153)에 겹치고, 회동바(153)를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에 겹치지는 보관상태가 되도록 조작해 둘 수 있다.
마우스패드부(150)는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에 설치되는 잠금쇠(157)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쇠(157)는 도어잠금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전진 조작에 따라, 도 8의 (b)와 같이, 마우스패드(155)가 회동바(153)에 겹치고, 회동바(153)가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에 겹쳐지는 보관상태에서, 회동바(153)가 탁자플레이트(111)에 대해 펼쳐지지 않도록 회동바(153)를 회동을 금지시키는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반면, 사용자가 잠금쇠(157)를 잠금쇠(157)를 후퇴시켜 회동바(153)의 회동규제를 해제해줌으로써, 회동바(153)를 탁자플레이트(111)에 대해 직각되게 회동시키고, 마우스패드(155)를 회동바(153)의 말단에 직각되게 회전시켜 사용상태로 조작가능하도록 해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노트북 고정유닛(130)에 노트북(20)의 본체(21)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하고, 회전지지판(115)을 탁자플레이트(115)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시켜(다시 말해, 회전지지판(115)을 탁자플레이트(115)에 대해 인출되도록 펼쳐서), 사용자가 좌식탁자(110)의 일측방에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 고정유닛(130)에 고정거치된 노트북(20)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노트북(20)이 노트북 고정유닛(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지지판(115)을 도 2와 같이, 탁자플레이트(115)의 하면 측으로 인입되도록 회전하여 접어줌으로써,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회전지지판(115) 및 노트북 고정유닛(130)에 걸리지 않고 방해없이 편안하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10)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노트북을 거치해 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시간 편안한 자세에서 안정적으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날씨가 추울 때에는 바로 누운상태에서 담요나 침구 등을 덮어 따뜻하게 몸을 보온시키면서 편하게 노트북을 사용할 수도 있게 해준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좌식탁자(110)의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에 마우스패드부(150)가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바로 누워서 노트북(20)을 사용할 때, 팔을 탁자플레이트(111)의 내측으로 뻗어서 가장 편안자세에서 마우스의 이용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노트북 고정유닛(130)은 고정가이드(132)의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일측부에 접철식 용지걸이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용지걸이대(140)는 힌지(145)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제1관절바(141) 및 제2관절바(143)로 이루어지며, 제1관절바(141)의 말단에는 힌지축(146)이 구비되고, 이 힌지축(146)이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피봇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용지걸이대(140)는 제1관절바(141) 및 제2관절바(143)가 서로 접어진 상태로 도 1과 같이, 수직고정판(134)에 겹쳐져 보관위치에 있거나, 사용자가 제1관절바(141) 및 제2관절바(143)를 수직고정판(134)에 대해 우측으로 펼쳐서 도 6과 같이 수직고정판(134)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조작한 후, 제2관절바(143)에 집게(미도시) 등의 부재를 이용해 원고나, 메모, 인쇄종이 등의 용지를 걸어두어 노트북(20)을 통한 문서 작업등을 용이하게 해낼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용지걸이대(140)는 제1관절바(141)의 말단에 형성된 힌지축(146)이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제1관절바(141)의 말단에 형성된 힌지축(146)을 수직고정판(134)의 후면 상단의 타측부에 이동설치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타측부에는 힌지축(146)이 결합가능한 결합공이 형성되어, 이 결합공에 힌지축(146)을 삽입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타측부에는 힌지축(146)을 수직고정판(134)의 후면 상단의 일측부에 결합고정하여 사용하다가, 힌지축(146)을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일측부에서 분리한 후, 힌지축(146)을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타측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해 용지걸이대(140)의 설치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용지걸이대(140)를 수직고정판(134)에 대해 좌측으로 펼쳐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의 노트북 거치대는 좌식탁자(110)에 회전지지판(115)이 구비되고, 이 회전지지판(115)에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온돌방등의 방바닥에 누워 사용할 수 있는 형태였으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는 스탠드형 지지프레임(200) 상에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설치되어 침대 상에서 사용자가 바로 누워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 2 실시 예의 노트북 고정유닛(130)은 제 1 실시 예의 고정유닛(130)과 동일하며, 이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스탠드형 지지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구조에 특징이 있다.
스탠드형 지지프레임(200)은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210)와, 이 베이스(210)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20)과, 이 수직프레임(220)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프레임(220)으로부터 측방으로 수평연장되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2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210)는 삼각판부(212)와, 이 삼각판부(212)의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3개의 연장바(2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삼각판부(212)의 외측으로 3개의 연장바(214)가 연장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지면과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220)은 삼각판부(212)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며, 원형봉형태로 이루어진다.
수직프레임(220)은 슬라이딩부재(231), 회전링(232), 및 수평지지바(2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딩부재(231)는 상하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수직프레임(220)이 삽입되어 수직프레임(22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슬라이딩부재(231)의 일측에는 조임볼트(231a)가 구비되며, 이 조임볼트(231a)는 슬라이딩부재(231)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나사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조임볼트(231a)를 조여주는 경우, 조임볼트(231a)의 끝단이 수직프레임(220)을 가압하여 슬라이딩부재(231)가 수직프레임(220)에 대해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고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회전링(232)은 슬라이딩부재(231)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부재(231)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외측으로 수평지지바(234)가 연장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수평지지바(234)는 회전링(232)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수평지지바(234)의 말단부에는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고정설치된다. 아울러, 수평지지바(234)는 슬라이딩부재(231)의 높이조정에 따라 높이가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제 1 실시 예에서는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에 고정가이드(132) 및 조정가이드(135)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었으나, 제 2 실시 예에서는 수평지지바(234)의 끝단부에 고정가이드(132) 및 조정가이드(135)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수평지지바(234)는 제1사각파이프(234a)와 제2사각파이프(234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사각파이프(234a)의 후단은 회전링(232)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제1사각파이프(234a)는 제2사각파이프(234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길이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사각파이프(234b)에는 나사홀(235)이 형성되어, 조임볼트(미도시)를 나사홀(235)을 통해 조여줌으로써, 제1사각파이프(234a)와 제2사각파이프(234b)의 길이조정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2사각파이프(234b)의 말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
Figure pat00004
" 형태로 이루어진 슬롯부재(236)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슬롯부재(236)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홈(s)에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제2사각파이프(234b)의 말단부에는 볼트의 체결이 가능한 볼트체결홀(n)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고정가이드(132)의 수평고정판(133)과 조정가이드(135)의 결합판(136)을 겹친 상태에서, 겹쳐진 수평고정판(133)과 결합판(136)이 제2사각파이프(234b)의 하면에 겹쳐지도록 슬롯부재(236)의 끼움홈(s)에 끼워 삽입시킨 다음,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볼트(138)를 결합판(136)에 형성된 제2볼트통과홀(136a) 및 수평고정판(133)에 형성된 제1볼트통과홀(133a)에 통과시킨 후, 제2사각파이프(234b)의 말단에 형성된 볼트체결홀(n)에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결합판(136)과 수평고정판(133)이 수평지지바(234)의 말단부 즉, 제2사각파이프(234b)의 말단부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볼트통과홀(136a)이 장공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결합판(136)을 수평고정판(133)에 대해 폭방향으로 전후 이동시켜 위치조정한 후, 고정볼트(138)를 조여 수평고정판(133)과 결합판(136)을 수평지지바(234)에 고정시켜 줌으로써, 노트북(20)의 본체(20) 두께에 맞게 수직고정판(134)과 돌출판(137)의 사이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고정가이드(132)과 조정가이드(135)를 수평지지바(234)에 고정되도록 결합시킨 다음, 노트북 고정유닛(130)의 수직고정판(134)과 한 쌍의 돌출판(137) 사이 공간에 노트북(20)의 본체(21)를 수직하게 끼워 고정장착하고, 슬라이딩부재(231)의 높낮이 및 수평지지바(234)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침대에 누운 사용자의 명치 부근에 노트북 본체(21)의 하단이 근접하도록 한 후, 침대(30) 상에 누워서 편안하게 노트북(20)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베이스부(210) 일측의 연장바(214)는 침대(30)의 밑으로 삽입되어, 수직프레임(220)이 침대(30)의 측단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는 노트북(20)의 사용이 완료된 후, 침대(30)에서 일어나고자 하는 경우, 수평지지바(234)를 슬라이딩부재(231)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대략 90도)시켜 수평지지바(234) 및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사용자가 일어날때 방해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시켜 놓고 일어날 수 있다.
아울러, 노트북(20)이 노트북고정유닛(130)에 고정되어 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를 노트북 본체(21) 측으로 접어주면 전원이 자동으로 꺼치므로, 효율적으로 노트북을 관리할 수 있다.
이처럼, 제 2 실시 예의 노트북 거치대는 사용자가 침대에서 바로 누워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피로회복은 물론이고 누워서 쉬면서 노트북을 사용하기 때문에 업무능률도 향상될 수 있으며, 학업이나 직장, 사회생활에서 지친 피로를 풀면서 앉는 것을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간이 협소하여 베이스부(210)를 설치하기 힘든 경우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벽에 경첩형태의 브라켓(미도시)을 설치하고, 이 경첩브라켓에 수평지지바(234)의 후단 즉, 제1사각파이프(234a)의 후단을 고정설치하여 수평지지바(234)를 벽에 대해 회전조작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2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210), 수직프레임(220), 슬라이딩부재(231), 회전링(232)의 구성이 삭제되고, 수평지지바(234)를 벽면에 설치된 경첩형 브라켓에 좌우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는 노트북 고정유닛(130)을 벽쪽으로 근접하게 회전시켜 놓고, 사용시, 노트북 고정유닛(130)을 보관위치에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 예는 제 2 실시 예에 비해 스탠드형 지지프레임(200)의 베이스(210')의 형태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베이스(21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실시 예에서 베이스(210)는 삼각판부(212)와, 이 삼각판부(212)의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3개의 연장바(214)를 포함하는 구성이었으나, 제 3 실시 예에서 베이스(210')는 4개의 연장바(216)가 "+"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4개의 연장바(216)가 연결되는 중심에는 수직프레임(220)이 수직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좌식탁자
111...탁자플레이트
113...접이식 다리
113a...이동바퀴
115...회전지지판
130...노트북 고정유닛
132...고정가이드
133...수평고정판
134...수직고정판
135...조정가이드
136...결합판
137...돌출판
138...고정볼트
140...용지걸이대
141...제1관절바
143...제2관절바
150...마우스패드부
151..회전지지부
153...회동바
155...마우스패드
157...잠금쇠
210...베이스부
212...삼각판부
214...연장바
220...수직프레임
230...수평프레임
231...슬라이딩부재
232...회전링
234...수평지지바

Claims (7)

  1. 좌식탁자;
    상기 좌식탁자에 회전되어 상기 좌식탁자에 겹치도록 인입되거나 상기 좌식탁자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인출되게 설치되는 회전지지판; 및,
    상기 회전지지판에 설치되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북 고정유닛은,
    상기 회전지지판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 및,
    상기 고정가이드에 전후 위치조정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 고정장착하도록 하는 조정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식탁자는 접이식 다리를 구비하며, 상기 접이식 다리의 끝단에는 이동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노트북 고정유닛에 고정된 노트북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팔을 상기 좌식탁자의 밑으로 뻗어 마우스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패드부는,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의 말단에 겹쳐지거나 직각상태가 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우스패드; 및,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우스패드가 상기 회동바에 겹쳐지고, 상기 회동바가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회동바가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으로부터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잠금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6.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측방으로 수평되게 연장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상하 높이조정가능하도록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된 스탠드형 지지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북 고정유닛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말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가이드; 및,
    상기 고정가이드에 위치조정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 고정장착하도록 하는 조정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KR1020180077869A 2018-07-04 2018-07-04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KR10212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869A KR102122646B1 (ko) 2018-07-04 2018-07-04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869A KR102122646B1 (ko) 2018-07-04 2018-07-04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687A true KR20200004687A (ko) 2020-01-14
KR102122646B1 KR102122646B1 (ko) 2020-06-26

Family

ID=6915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869A KR102122646B1 (ko) 2018-07-04 2018-07-04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64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853Y1 (ko) * 2001-06-28 2001-10-17 (주)디포그 컴퓨터용 테이블의 보조 기기 설치용 받침판 체결장치
KR20070069100A (ko) 2007-05-31 2007-07-02 이선경 운전대에 착탈 가능한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KR20090043400A (ko) * 2007-10-29 2009-05-06 옥은호 다용도 책상
KR200456534Y1 (ko) 2010-01-16 2011-11-04 (주)한국랩 노트북 거치대
JP2011224072A (ja) * 2010-04-16 2011-11-10 Kanji Inoue パソコンの台
KR101091790B1 (ko) * 2011-07-08 2011-12-13 김홍균 요통환자용 컴퓨터 키보드 책상
KR101256882B1 (ko) 2012-12-18 2013-05-02 이원희 노트북컴퓨터 경사 거치대
KR200469864Y1 (ko) 2012-10-23 2013-11-11 김민성 노트북 거치대
KR20170011589A (ko) * 2015-07-23 2017-02-02 임진광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853Y1 (ko) * 2001-06-28 2001-10-17 (주)디포그 컴퓨터용 테이블의 보조 기기 설치용 받침판 체결장치
KR20070069100A (ko) 2007-05-31 2007-07-02 이선경 운전대에 착탈 가능한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KR20090043400A (ko) * 2007-10-29 2009-05-06 옥은호 다용도 책상
KR200456534Y1 (ko) 2010-01-16 2011-11-04 (주)한국랩 노트북 거치대
JP2011224072A (ja) * 2010-04-16 2011-11-10 Kanji Inoue パソコンの台
KR101091790B1 (ko) * 2011-07-08 2011-12-13 김홍균 요통환자용 컴퓨터 키보드 책상
KR200469864Y1 (ko) 2012-10-23 2013-11-11 김민성 노트북 거치대
KR101256882B1 (ko) 2012-12-18 2013-05-02 이원희 노트북컴퓨터 경사 거치대
KR20170011589A (ko) * 2015-07-23 2017-02-02 임진광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646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5813B2 (ja) ノートパソコンの折り畳みテーブル
US7118080B2 (en) Multi-functional adjustable computer support stand
US20070012827A1 (en) Portable support device
US20070120034A1 (en) Xdeck laptop/book-holder
WO2015141996A1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KR101545833B1 (ko) 화장실용 보면대
WO2004084671A1 (fr) Support pour dormir en voyage
KR102122646B1 (ko)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CN111297047B (zh) 一种便携式多功能桌
KR20110029240A (ko) 의자 일체형 컴퓨터 테이블
JP5279088B2 (ja) 引出しとアーム・サポート・ボードと連結する書き物机
US8661990B2 (en) Collapsible tray for fold-up chair
JP4672922B2 (ja) 回転椅子
KR102128616B1 (ko)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KR20060108483A (ko) 독서대
JP3973653B2 (ja) 椅子型簡易便器
CN219165999U (zh) 一种可多角度展开的多功能椅
JP2010046106A (ja) 折畳み読書スタンド。
CN217851840U (zh) 一种医用折叠餐桌
JP2004129721A (ja) メモ台付き椅子
KR20160020071A (ko) 휴대용 문서 스탠드
KR102088738B1 (ko) 휴대용 발걸이용 방석
KR100938827B1 (ko) 독서대
CN207428729U (zh) 电脑桌及电脑桌组件
KR100503146B1 (ko) 수강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