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568A - Sculpture sharing system,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of - Google Patents

Sculpture sharing system,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568A
KR20200004568A KR1020180077575A KR20180077575A KR20200004568A KR 20200004568 A KR20200004568 A KR 20200004568A KR 1020180077575 A KR1020180077575 A KR 1020180077575A KR 20180077575 A KR20180077575 A KR 20180077575A KR 20200004568 A KR20200004568 A KR 20200004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lpture
sharing
user
inform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5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2279B1 (en
Inventor
송오성
송헌재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7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279B1/en
Publication of KR2020000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5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ulpture sharing system, a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fo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ulpture sharing system in which suppliers and consumers can easily and mutually transact a sculpture which can be arranged on the outside or the inside of a building, a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for. Moreover, the sculpture sharing method comprises a target-to-be-shared registering step, a sculpture inquiring step, a sculpture managing step, and an AR previewing step.

Description

조형물 공유 시스템, 조형물 공유 방법 및 이에 대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SCULPTURE SHARING SYSTEM,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OF}Sculpture Sharing System,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a {SCULPTURE SHARING SYSTEM,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OF}

본 발명은 조형물 공유 시스템, 조형물 공유 방법 및 이에 대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실외 혹은 실내에 배치될 수 있는 조형물에 대하여 공급자와 수요자가 용이하게 상호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조형물 공유 시스템, 조형물 공유 방법 및 이에 대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ulpture-sharing system, a sculpture-sharing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enable a supplier and a consumer to easily trade with respect to sculptures that can be disposed outdoors or indoors. A sculpture sharing system, a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예술 분야 종사자가 창작하는 조형물 혹은 조형작품의 경우 이에 대한 수요자들이 접근하기 어렵고, 접근을 한다고 하더라도 특정 형태의 매장에 집합된 실제 조형물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개별 조형물의 창작자를 찾아가야 확인을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sculptures or sculptures created by art workers, it is difficult for consumers to access them, and even if they do, they do not have to check the actual sculptures collected in a specific type of store. There is a problem.

또한, 조형물의 경우 개별적으로 미감적 가치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배경 건물 등과의 전체적인 조화에 의하여 미감적 가치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바, 사진 혹은 오프라인으로 확인을 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실제 배치하고자 하는 곳에 배치하는 경우 예상했던 만족이 성취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culptures, aesthetic values can not be delivered to users individually, but aesthetic values can be delivered to the users by the overall harmony with the background buildings. Placement often does not achieve the expected satisfaction.

또한, 대부분 1000만원이상의 고가품인 조형작품인 경우, 몇 개월 정도 설치하고 감상하면 새로운 작품에 대한 욕구가 생겨 주기적인 교체 감상 요구가 발생할 수 있으나 여러 개의 작품을 모두 소유하면 경제적인 손실이 크고 각 작품을 보관할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most expensive modeling works costing more than 10 million won may require desire for new works after several months of installation and appreci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pace to store the narrow.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실외 혹은 실내에 배치될 수 있는 조형물에 대하여 공급자와 수요자가 용이하게 상호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조형물 공유 시스템, 조형물 공유 방법 및 이에 대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ulpture sharing system, a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which enables a supplier and a consumer to easily trade with respect to sculptures that may be disposed outdoors or indoors of a building.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형물공유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조형물공유방법으로서,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조형물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공유대상을 등록하는 공유대상등록단계; 상기 조형물공유서버에 접속하여 공유대상의 조형물을 조회하는 조형물조회단계; 상기 조형물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조형물 중 1 이상에 대하여 공유를 요청하거나 혹은 요청을 처리하는 조형물관리단계; 및 상기 공유대상의 조형물에 대하여 지정된 배경영상에 대해 프리뷰를 구현하는 AR프리뷰단계를 포함하는, 조형물공유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ulpture sharing method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sharing based on the image of the sculpture taken by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Shared object registration step of registering the object; A sculpture inquiry step of accessing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to search for sculptures to be shared; A sculpture management step of requesting sharing or processing a request for at least one of the sculptures inquired in the sculpture inquiry step; And an AR preview step of implementing a preview on a background image designated for the sculpture to be sha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유대상등록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혹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된 영상에 기초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정보에 대해 1 이상의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1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판별된 1 이상의 객체에 대하여 객체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객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크기정보를 입력 받는 크기정보입력단계; 및 상기 객체 선택된 객체에 대한 조형물 관련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관련정보입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step may include obtaining image information based on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user terminal or an imag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one or more objects with respect to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determined one or more objects; Receiving an object selection for at least one object determined from a user; A size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size information on the object selected from the user; And a related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sculpture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selected from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기정보입력단계는, 상기 객체 선택된 객체의 에지정보에 기초하여 경계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경계영역을 상기 객체 선택된 객체의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영역의 크기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ize information input step may include: determining a boundary area based on edge information of the object selected object; Displaying the boundary area around the object selected object; And receiving size information of the boundary area from a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형물 관련정보는 조형물 공유가격정보 및 조형물 해쉬태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ulptur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sculpture share price information and sculpture hash ta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AR프리뷰단계는, 상기 조형물공유서버로부터 조형물리스트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프리뷰대상 조형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모듈을 구동하여 카메라모듈로 촬영한 배경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조형물설치영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영역정보입력단계; 상기 조형물설치영역에 상기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조형물표시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 review step, receiving a sculpture list from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and displaying it; Receiving a selection of a preview object sculpture from a user; Displaying a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module by driving the camera module of the user terminal; An area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 sculpture installation area from a user; A sculpture display step of overlaying and displaying an image of the preview target sculpture on the sculpture installation area; And changing an image of the object to be preview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역정보입력단계는, 상기 선택된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상기 크기정보입력단계에서 결정된 경계영역의 형태에 상응하는 프리뷰영역을 상기 배경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뷰영역의 크기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rea information input step may include: overlaying and displaying a preview are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undary area determined in the size information input step of the selected preview target sculpture on the background image; And receiving size information of the preview area from a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형물표시단계는, 상기 경계영역의 크기정보 및 상기 프리뷰영역의 크기정보에 기초하여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의 표시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를 상기 배경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ulpture display step, the display size of the image to be previewed sculptur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border region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preview region, and the image of the preview object sculpture It can be displayed by overlaying it on the background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형물관리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조형물공유서버에 등록된 조형물 중 개별적으로 공유를 요청하는 개별공유요청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조형물공유서버에 등록된 조형물에 대하여 카테고리에 따른 공유를 요청하는 그룹공유요청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등록된 조형물에 대한 공유요청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승낙 혹은 거절의 입력을 수행하는 요청처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ulpture management step, An individual sharing request step of individually requesting sharing among sculptures registered in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according to a user's input; A group sharing request step of requesting sharing according to a category of the sculptures registered in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a request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an input of acceptance or rejection from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haring request for the registered sculptur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형물서버는 등록된 조형물에 대하여 카테고리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그룹공유요청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조형물 그룹의 카테고리를 입력 받는 단계; 입력된 상기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등록된 조형물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그룹공유를 희망하는 조형물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그룹공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룹공유를 희망하는 조형물의 가능일정을 결정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그룹공유를 희망하는 조형물의 공유결정일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ulpture server grants category information to the registered sculpture, the group sharing request step, receiving a category of the sculpture group from the user; Displaying information of a registered sculpture corresponding to the input category; Receiving group sharing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sculpture that the user wishes to share with the user; Determining a possible schedule of the sculpture desired to be shared with the group and displaying the schedule; And receiving, from the user, a shared decision schedule of the sculpture that the group wishes to shar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형물공유서버 및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조형물공유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조형물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공유대상을 등록하는 공유대상등록부; 상기 조형물공유서버에 접속하여 공유대상의 조형물을 조회하는 조형물조회부; 상기 조형물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조형물 중 1 이상에 대하여 공유를 요청하거나 혹은 요청을 처리하는 조형물관리부; 상기 공유대상의 조형물에 대하여 지정된 배경영상에 대해 프리뷰를 구현하는 AR프리뷰부를 포함하는, 조형물공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ulpture-sharing system including a sculpture-sharing server and a user terminal, the registration object to be shared based on the image of the sculpture taken by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Shared target registration unit; A sculpture inquiry unit for accessing the sculpture-sharing server and inquiring a sculpture to be shared; A sculpture management unit for requesting sharing or processing a request for at least one of the sculptures inquired in the sculpture inquiry step; A sculpture-sharing system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n AR preview unit configured to preview a background image designated for the sculpture to be sha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유대상등록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혹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된 영상에 기초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정보에 대해 1 이상의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1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판별된 1 이상의 객체에 대하여 객체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객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크기정보를 입력 받는 크기정보입력단계; 및 상기 객체 선택된 객체에 대한 조형물 관련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관련정보입력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may include: obtaining image information based on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user terminal or an imag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one or more objects with respect to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determined one or more objects; Receiving an object selection for at least one object determined from a user; A size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size information on the object selected from the user; And a related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sculpture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selected from the user.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형물공유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조형물공유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조형물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공유대상을 등록하는 공유대상등록단계; 상기 조형물공유서버에 접속하여 공유대상의 조형물을 조회하는 조형물조회단계; 상기 조형물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조형물 중 1 이상에 대하여 공유를 요청하거나 혹은 요청을 처리하는 조형물관리단계; 및 상기 공유대상의 조형물에 대하여 지정된 배경영상에 대해 프리뷰를 구현하는 AR프리뷰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mplementing a sculpture sharing method performed in a user terminal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sculpture-sharing serv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s And storing instructions for causing the computing device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wherein the steps include: registering a sharing object based on an image of a sculpture photographed by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A sculpture inquiry step of accessing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to search for sculptures to be shared; A sculpture management step of requesting sharing or processing a request for at least one of the sculptures inquired in the sculpture inquiry step; And an AR preview step of implementing a preview on a background image designated for the sculpture to be sha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실외 혹은 실내에 배치될 수 있는 조형물에 대하여 공급자와 수요자가 용이하게 상호 거래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ier and the consumer can easily trade with respect to the sculpture that can be disposed in the building outdoors or indoo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요자는 조형물이 실제 자신이 배치하고자 하는 곳에 놓여졌을 경우의 프리뷰를 제공받을 수 있어, 자신이 원하는 조형물에 대한 만족도 높은 선택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umer can be provided with a preview when the sculpture is actually placed in the place where he wants to be placed, and can achieve the effect of making a high satisfaction choice for the sculpture that he / she wa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요자는 조형물 구매 및 배치에 대한 비용을 절약하면서, 조형물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umer can achieve the effect of various experiences with the sculpture, while saving the cost for the purchase and placement of the sculp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공유 시스템의 동작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공유서버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대상등록부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대상등록부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대상등록부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프리뷰부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프리뷰부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프리뷰부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관리부의 세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공유요청부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공유요청부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공유요청부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공유요청부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1 schematically shows an operating environment of a sculpture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ecution step of a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n execution step of a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n execution step of a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ecution step of the AR preview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n execution step of the AR review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n execution step of the AR review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chematically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haring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ep of performing a group sharing reques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n execution step of a group sharing reques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n execution step of a group sharing reques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 performing step of a group sharing reques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exemplarily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 / 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is aspect (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the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exemplary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sed and the descriptions described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Moreover, various aspects and features will be presented by a system that may include a number of devices, components, and / or modules, and the like. The various systems may include additional devices, components, and / or modules, etc., and / or may not include all of the devices, components, modules, etc.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drawings. It must be understood and recogniz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an embodiment”, “an example”, “aspect”, “an example”, etc., may not be construed as having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being better or advantageous than other aspects or designs. . The terms '~ part', 'component', 'module', 'system', 'interface', etc. used generally mean a computer-related entity, for example, hardware, hardware And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software.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mean that such features and / or components are present, bu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components, and / 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s the same meaning a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ideally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interpreted 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공유 시스템의 동작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 schematically shows an operating environment of a sculpture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형물공유 시스템은 조형물공유서버(2000) 및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와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1000)들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는 조형물을 공급하는 공급자 사용자단말기(1000) 및 조형물을 공유 받는 수요자 사용자단말기(1000)를 포함한다.The sculpture sharing system includes a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and a user terminal 1000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The user terminal 1000 includes a supplier user terminal 1000 for supplying a sculpture and a consumer user terminal 1000 for sharing the sculpture.

상기 공급자 사용자단말기(1000) 및 상기 수요자 사용자단말기(1000)는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조형물공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공급자 및 수요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조형물공유 시스템에 참가할 수 있다.The supplier user terminal 1000 and the consumer user terminal 1000 is connected to the sculpture-sharing server 2000, the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providing a user with a UI to use the sculpture-sharing system is installed, Suppliers and consumers can use the application to participate in the sculpture sharing system.

예를 들어, 공급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신의 조형물을 조형물공유서버(2000)에 업로드할 수 있고, 수요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조형물공유서버(2000)로부터 업로드된 다수의 조형물에 대한 조회 및 이에 대한 공유신청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 supplier may upload his / her sculptures to the sculpture-sharing server 2000 by using an application, and a consumer may query and search for a plurality of sculptures uploaded from the sculpture-sharing server 2000 by using an application. You can apply for sharing.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공급자 전용 어플리케이션 및 수요자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분리될 수도 있으나,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면서 공급자 회원으로 접속하거나 혹은 수요자 회원으로 접속할 수도 있고, 혹은 동일한 회원자격으로 공급자 기능을 이용하거나 수요자 기능을 이용하는 형태가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하기에서는 동일한 회원자격으로 공급자 기능을 이용하거나 수요자 기능을 이용하는 형태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The application may be divided into a supplier-only application and a consumer-only application, but may correspond to the same application and may be connected as a supplier member or a consumer member, or may use a supplier function or a consumer function with the same membership. It is possible. Regarding the function of the application, the following describes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orm of using the supplier function or the use of the consumer function with the same membership.

본 명세서에서 “조형물”은 미적 창작을 통하여 재료를 이용하여 창작된 물리적인 형태나 형상이 있는 창작품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culpture" means a work with a physical form or shape created using materials through aesthetic cre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공유서버(2000)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2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components of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공유서버(2000)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팅장치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ing device hav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이와 같은 컴퓨팅장치는 프로세서, 버스(프로세서, 메모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이의 양방향 화살표에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등록된 조형물에 대한 정보, 등록된 회원에 대한 정보, 및 조형물 공유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Such a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 processor, a bus (corresponding to a double-headed arrow between a processor, memory, network interface), a network interface, and a memory. The memory stores data on registered sculptures, information on registered members, and information related to sculpture sharing.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등록된 조형물에 대한 정보는 조형물의 이미지, 크기, 및 공유수수료, 공유가능일정 중 1 이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조형물에 대한 정보는 공급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업로드를 하여 생성되고, 수요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registered sculpture stored in the memory includes one or more of an image, a size, a sharing fee, and a shareable schedule of the sculpture. Information about such sculptures is generated by the supplier uploading through the application, the consumer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application.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등록된 회원에 대한 정보는 회원개인정보, 등록한 조형물에 대한 정보, 공유요청한 조형물에 대한 정보, 및 수수료정보를 포함한다.The information on registered members stored in the memory includes member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on registered sculptures, information on shared sculptures, and fee information.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조형물 공유와 관련된 정보는 해당 조형물에 대한 공유 중인 스케쥴, 공유가능한 스케쥴, 및 수수료 정보를 포함한다.Information related to the share of the sculpture stored in the memory includes a shared schedule, shareable schedule, and fee information for the sculpture.

프로세서에서는 조형물등록부(2100), 조형물분류부(2200), 조형물정보제공부(2300), 조형물관리부(2400), 및 수익분배부(2500)가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자동화된 컴퓨팅장치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ocessor, the sculpture registration unit 2100, the sculpture classification unit 2200, the sculptur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0, the sculpture management unit 2400, and the revenue distribution unit 2500 may be executed. In other embodiments the automated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of FIG. 2.

메모리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도 있다.The memory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include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and a disk drive. Such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y using a drive mechanism (not shown). Such a separat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not shown)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 / CD-ROM drive, a memory card, and the like. In other embodiments,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memory via a network interface rather tha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버스는 컴퓨팅장치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us may enable communication and data transfer between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The bus may be configured using a high-speed serial bus, a parallel bus, a storage area network and / or other suitable communication technology.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컴퓨팅장치를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자동화된 컴퓨팅장치를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may be a computer hardware component for connecting a computing device to a computer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may connect the automated computing device to the computer network via a wireless or wired connection.

프로세서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자동화된 컴퓨팅장치를 구현하는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해, 그리고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input / output operations that implement basic arithmetic, logic, and automated computing devices.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 by a memory or network interface and via a bus.

프로세서는 조형물등록부(2100), 조형물분류부(2200), 조형물정보제공부(2300), 및 조형물관리부(2400)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program code for the sculpture registration unit 2100, the sculpture classification unit 2200, the sculptur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0, and the sculpture management unit 2400. Such program code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a memory.

상기 조형물등록부(2100), 조형물분류부(2200), 조형물정보제공부(2300), 및 조형물관리부(2400)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조형물공유서버(2000)에 의한 조형물공유 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프로세서는 조형물공유 시스템에 따라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가 더 포함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가 결합될 수 있다.The sculpture registration unit 2100, the sculpture classification unit 2200, the sculptur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0, and the sculpture management unit 2400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sculpture sharing system by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The processor may omit some components,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or combine two or mor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sculpture sharing system.

상기 조형물등록부(2100)는 공급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10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업로드하는 등록대상 조형물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조형물등록부(2100)는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모리에 등록되는 조형물 정보를 저장한다.The sculpture registration unit 2100 performs a function of registering the registration target sculpture information upload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0 of the supplier. The sculpture registration unit 2100 stores sculpture information registered in a memory based on the received data.

상기 조형물분류부(2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형물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대상 조형물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급자는 자신이 등록하고자 하는 조형물에 대한 1 이상의 카테고리를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조형물분류부(2200)는 상기 카테고리에 따라 조형물을 분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급자가 자신이 등록하고자 하는 조형물에 대한 카테고리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조형물분류부(2200)는 등록대상 조형물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자동적으로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형물분류부(2200)는 특징정보 추출에 의한 카테고리 분류 기능을 수행하거나 혹은 CNN 등의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에 따라서 카테고리 분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culpture classification unit 2200 performs a function of classifying a category of a sculpture to be registered based on category information on a sculpture input by a user. The supplier may input one or more categories of sculptures to be registered by him, and the sculpture classification unit 2200 may classify the sculpture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Preferably, when the supplier does not input a category for the sculpture to be registered by the supplier, the sculpture classification unit 2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lassifying the category by extracting feature information about the sculpture to be registered. have. The sculpture classification unit 2200 may perform a category classification function by extracting feature information or may perform a category class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lgorithm such as CNN.

상기 조형물정보제공부(2300)는 수요자 사용자단말기(10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수신된 등록된 조형물에 대한 쿼리에 따른 등록된 조형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culptur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registered sculpture according to the query for the registered sculpture recei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consumer user terminal 1000.

상기 조형물관리부(2400)는 공급자 및 수요자 사용자단말기(1000)에서 일어나는 공유거래에 대한 절차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culpture management unit 2400 performs a function for a shared transaction that occurs in the supplier and consumer user terminal 1000.

상기 수익분배부(2500)는 조형물공유 시스템에 의하여 발생하는 거래에 대한 공급자에게 발생하는 수익 및 조형물공유 시스템의 운영자에게 발생하는 수수료 수익을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evenue distribution unit 2500 performs a function of deriving the revenue generated by the supplier for the transaction generated by the sculpture sharing system and the commission revenue generated by the operator of the sculpture sharing system.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00)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3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00)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팅장치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ing device hav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이와 같은 컴퓨팅장치는 프로세서, 버스(프로세서, 메모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이의 양방향 화살표에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Such a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 processor, a bus (corresponding to a double-headed arrow between a processor, memory, network interface), a network interface, and a memory.

프로세서에서는 복수의 프로그램 혹은 모듈이 실행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물공유서버(2000)와 관련된 모듈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Although a plurality of programs or modules may be executed in the processor,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modules related to the sculpture-sharing server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프로세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고,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공유대상등록부(1100), 조형물조회부(1200), 공유관리부(1300), AR프리뷰부(1400)를 포함하고, 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An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processor, and the applic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odules. The application includes a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1100, sculpture inquiry unit 1200, sharing management unit 1300, AR preview unit 1400, which can be executed in the processor. In other embodiments, the application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of FIG. 3.

메모리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도 있다.The memory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include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and a disk drive. Such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y using a drive mechanism (not shown). Such a separat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not shown)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 / CD-ROM drive, a memory card, and the like. In other embodiments,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memory via a network interface rather tha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버스는 컴퓨팅장치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us may enable communication and data transfer between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The bus may be configured using a high-speed serial bus, a parallel bus, a storage area network and / or other suitable communication technology.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기(1000)를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기(1000)를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may be a computer hardware component for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1000 to a computer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may connect the user terminal 1000 to the computer network through a wireless or wired connection.

프로세서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해, 그리고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공유대상등록부(1100), 조형물조회부(1200), 공유관리부(1300), AR프리뷰부(1400)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input / output operations that implement basic arithmetic, logic, and applications.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 by a memory or network interface and via a bus.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program codes for 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1100, the sculpture inquiry unit 1200, the sharing management unit 1300, and the AR review unit 1400. Such program code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a memory.

상기 공유대상등록부(1100), 조형물조회부(1200), 공유관리부(1300), AR프리뷰부(1400)는 상기 조형물공유 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프로세서는 조형물공유 시스템의 수행과정에 따라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가 더 포함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가 결합될 수 있다.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1100, sculpture inquiry unit 1200, sharing management unit 1300, AR review unit 14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sculpture sharing system. The processor may omit some components,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or combine two or mor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sculpture sharing system.

한편, 이와 같은 상기 컴퓨팅장치인 사용자단말기(10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과,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에 해당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1000 as the computing device includes a smart phone, a tablet,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 e-book reader, and a desktop ( desktop PC, laptop PC, netbook PC,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Hereafter referred to as 'PMP', MP3 player, mobile medical device, camera, wearable device (e.g., head-mounted device (HMD) For example, it may be referred to as an 'HMD'), an electronic garment, an electronic bracelet, an electronic necklace, an electronic accessory, an electronic tattoo, or a smart watch.

상기 공유대상등록부(1100)는 사용자단말기(1000)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조형물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공유대상을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유대상등록부(1100)는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조형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UI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유하고자 하는 조형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전술한 조형물공유서버(2000)에 저장되고, 이후 수요자가 자신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에 접속하여 조회할 수 있다.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1100 registers a sharing target based on an image of a sculpture photographed by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00. 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1100 may provide a UI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a sculpture to be shared by a user, and thus the user may input information about a sculpture to be shared. The inpu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above-described sculpture-sharing server 2000, after which the consumer can access and query the sculpture-sharing server 2000 through his application.

상기 공유대상등록부(1100)에서는 사용자는 조형물 자체에 대한 정보 및 조형물 공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조형물 자체에 대한 정보는 조형물에 대한 이미지 정보,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조형물 공유에 대한 정보는 조형물 공유 가능 일정, 조형물에 대한 공유 형태, 조형물에 대한 공유 수수료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1100, a user may input information on the sculpture itself and information on sharing the sculpture. Information about the sculpture itself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about the sculpture, and the information on the sharing of the sculpture may include a schedule for sharing the sculpture, a form of sharing the sculpture, and a sharing fee for the sculpture.

본 발명에서는 조형물에 대한 공유 형태는 특정 당사자와 상호 협의를 통하여 공유에 대한 조건을 정하는 제1 공유형태인 개별공유 형태, 및 특정 기간 동안 특정 그룹 혹은 풀에 등록시키고,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 혹은 그 관리자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공유가 되고 해당 공유에 대한 수수료가 자동적으로 지급되는 제2 공유형태인 그룹공유 형태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red form for the sculpture is the first shared form that defines the conditions for sharing through mutual agreement with a specific party, and registered in a specific group or pool for a specific period,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Or a group share type, which is a second share type that is automatically shared by the manager and a fee for the share is automatically paid.

상기 조형물조회부(1200)는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에 접속하여 공유대상의 조형물을 조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조형물조회부(1200)는 사용자로부터 조형물에 대한 검색 조건을 입력 받고 이에 따른 등록조형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에 쿼리하여 수신한 후에, 이를 사용자 UI에 따라서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culpture inquiry unit 1200 accesses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and performs a function of inquiring a sculpture to be shared. The sculpture inquiry unit 1200 receives a search condition for a sculpture from a user, queries the sculpture shared server 2000 for information about a registered sculpture according to the received sculpture, and arranges it according to a user UI to display the result. It performs the function.

상기 조형물조회부(1200)는 검색한 조형물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거나 혹은 특정 조형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형물조회부(1200)는 조형물에 대한 이미지 정보, 크기 정보, 조형물 공유 가능 일정, 조형물에 대한 공유 형태, 및 조형물에 대한 공유 수수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공유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공유 형태 혹은 그룹공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culpture search unit 1200 may provide a list of searched sculptures or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a specific sculpture. On the other hand, the sculpture display unit 1200 may display the image information, size information, the sculpture shareable schedule, the shared form for the sculpture, and the share fee for the sculpture. As described above, the sharing form may include an individual sharing form or a group sharing form.

상기 조형물관리부(2400)는 상기 조형물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조형물 중 1 이상에 대하여 공유를 요청하거나 혹은 요청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요자는 상기 조형물조회부(1200) 혹은 AR프리뷰부(1400)를 통하여 확인한 조형물에 대해 공유요청을 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조형물관리부(2400)가 실행되어 공유에 대한 거래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sculpture management unit 2400 requests to share or process a request for one or more of the sculptures inquired in the sculpture inquiry step. The consumer may request a share for the sculpture identified through the sculpture inquiry unit 1200 or the AR review unit 1400. In this case, the sculpture management unit 2400 executes a transaction for sharing.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0.

상기 AR프리뷰부(1400)는 상기 공유대상의 조형물에 대하여 지정된 배경영상에 대해 프리뷰를 구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조형물의 경우 다른 물리적 상품과 달리 자체만으로 미감적 가치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배경과 조화되어 미감적 가치를 발휘하기 때문에, 조형물 자체의 정보만으로는 수요자가 자신이 원하는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지 확신하기가 어렵다. 특히 조형물의 실물이 아닌 이미지 정보 만으로 공유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수요자는 해당 조형물이 자신이 원하는 조형물인지를 판단하기 더욱 어려워진다.The AR review unit 1400 performs a function of previewing a background image designated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shared. Unlike other physical products, sculptures are not able to exert an aesthetic value on their own, but they are aesthetic value in harmony with the backgrou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be sure that the information of the sculpture itself can satisfy the needs of the users. It is difficult. In particular, when determining whether to share only the image information, not the real thing of the sculpture, it is more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determine whether the sculpture is the sculpture that he / she wants.

본 조형물공유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R프리뷰부(1400) 기능을 구현하였다. 구체적으로 조형물을 현재 배경에 배치하는 프리뷰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생각하는 배경에서 조형물이 배치되었을 때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조형물공유 시스템의 활용도를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다.In this sculpture sharing system, the AR preview unit 1400 is implemented to solve such a problem. Specifically, by providing the user with a preview of placing the sculpture in the current background, the user can check when the sculpture is placed in the background of the user's thinking,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present sculpture sharing syste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대상등록부(1100)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4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ecution step of 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1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유대상등록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혹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에 저장된 영상에 기초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 상기 영상정보에 대해 1 이상의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1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S11); 사용자로부터 판별된 1 이상의 객체에 대하여 객체선택을 수신하는 단계(S12); 사용자로부터 객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크기정보를 입력 받는 크기정보입력단계(S13); 및 상기 객체 선택된 객체에 대한 조형물 관련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관련정보입력단계(S14)를 포함한다.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step may include obtaining image information based on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user terminal 1000 or an imag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0 (S10); Determining one or more objects with respect to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determined one or more objects (S11); Receiving an object selection for one or more objects determined from the user (S12); A size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size information on an object selected by an object from a user (S13); And a related information input step S14 for receiving sculpture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selected from the user.

단계 S10에서는 사용자단말기(1000)의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거나 혹은 사용자단말기(1000)에 저장된 이미지를 로드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한다.In operation S10, an image is captured by using a camera module of the user terminal 1000, or an imag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0 is loaded to obtain image information.

단계 S11에서는 객체식별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영상정보(이미지)에서 객체로 식별되는 1 이상의 영역을 판별하고, 식별된 객체임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객체로 식별된 요소 혹은 영역의 테두리선을 진하게 표시하고, 이에 대한 식별기호(예를 들어 숫자)를 표시한다.In step S11, one or more regions identified as objects in the image information (image) are identified by using an object identification algorithm, and are displayed as identified objects. Specifically, the border line of an element or region identified as an object is displayed in bold, and an identification symbol (for example, a number) for the object is displayed.

단계 S12에서는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단말기(1000)에 터치 입력 등을 수행하여, 1 이상의 식별된 객체 중 조형물로 등록하고자 하는 객체를 선택한다.In operation S12, the user performs a touch input or the like on his or her user terminal 1000 to select an object to be registered as a sculpture among one or more identified objects.

단계 S13에서는 사용자는 식별된 객체에 대해 크기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사용자단말기(1000)에서는 식별된 객체의 영역에 대한 표시가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영역에 대한 치수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다.In step S13, the user inputs size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object.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0 displays an indication of an area of the identified object, and a user may input a dimens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단계 S14에서는 사용자는 조형물의 공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공유에 대한 정보는 조형물 공유 가능 일정, 조형물에 대한 공유 형태, 조형물에 대한 공유 수수료, 조형물의 카테고리 혹은 해쉬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조형물 관련정보는 조형물 공유가격정보 및 조형물 해쉬태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14, the user may input information about the share of the sculpture, the information on the share may include a schedule for sharing the sculpture, the share type for the sculpture, the sharing fee for the sculpture, the category or hashtag information of the sculpture Can be. That is, the sculptur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sculpture shared price information and sculpture hash tag information.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영상정보로부터 선택된 객체의 업로드 이미지 정보, 크기정보, 및 조형의 공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에 업로드 한다.Thereafter, the application uploads the upload image information, the siz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sharing of the model select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S10에서는 사용자는 멀티뷰 샷(삼성전자 TM)을 이용하여 복수의 각도의 복수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단계 S11, S12, 및 S13, S14에서는 멀티뷰 샷에 의한 복수의 영상정보 중 대표영상정보(예를 들어, 첫번째 촬영된 영상정보)에 대하여 과정을 수행하고, S14이후에 추가적으로 복수의 영상정보로부터 선택된 객체의 복수의 이미지 정보 및 각각의 이미지에 대한 멀티뷰 샷 각도 정보를 추출하고, 이들을 업로드 이미지 정보로 결정한다. 이후 업로드 이미지 정보, 크기정보, 및 조형의 공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에 업로드 한다.Preferably, in step S10, the user acquires a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ngles by using a multi-view shot (Samsung Electronics TM ), and in step S11, S12, and S13, S14, a plurality of images by multi-view shots. A process is performed on the representative image information (eg, the first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amo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after S14, a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of the object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and a multi-view shot of each image The angle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these are determined as upload image information. Thereafter, upload image information, siz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sharing of the molding are uploaded to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대상등록부(1100)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n performing step of 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1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혹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에 저장된 영상에 기초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 상기 영상정보에 대해 1 이상의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1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S11)가 수행되었을 때의 사용자단말기(1000)의 화면이 도시된다.5,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image information based on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user terminal 1000 or an imag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0 (S10); 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0 is illustrated when determining at least one object with respect to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determined at least one object (S11).

도 5에서는 작업장 테이블 위에 펭귄 형상의 조형물을 촬영한 경우 우선 해당 사진에서 객체로 판별될 수 있는 부분을 상기 공유대상등록부(1100)에서 판별하고, 객체로 판별된 4가지 요소(테이블, 팽귄, 선반, 전등)의 윤곽선을 촬영한 이미지에서 더욱 뚜렷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객체로 인식된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로 인식된 요소들에 대해서는 식별정보가 부여되고, 따라서 상당히 많은 수의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객체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여 선택할 수 있다.In FIG. 5, when photographing a penguin-shaped sculpture on a workplace table, first, a portion that can be identified as an object in the corresponding picture is determined by 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1100, and four elements (table, penguin, and shelf) determined as objects , Etc., by more clearly displaying the outline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user, the user can identify the element recognized as an object. 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 5,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given to elements recognized as objects, and thus, even when a large number of objects are recognized, a user can more easily identify the desired object. You can choose.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비전문적인 공급자 예를 들어 미술대학교 전공자, 개인 예술가 등도 자신의 조형물에 대한 이미지 정보만을 별도의 전문적인 이미지 작업 없이 간단히 촬영만으로 추출하여 이를 조형물제공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전술한 AR프리뷰부(1400)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is method, non-professional suppliers, for example, art university majors and individual artists, can extract the image information of their sculptures by simply photographing them and provide them to the sculpture providing system. Enables the operation of one AR review unit 140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대상등록부(1100)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n execution step of 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1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사용자로부터 판별된 1 이상의 객체에 대하여 객체선택을 수신하는 단계(S12); 및 사용자로부터 객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크기정보를 입력 받는 크기정보입력단계(S13)가 수행되었을 때의 사용자단말기(1000)의 표시화면을 도시한다.6 is a step S12 of receiving an object selection for one or more objects determined from a user; And a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0 when the size information input step S13 for receiving size information on the object selected from the user is performed.

상기 크기정보입력단계(S13)는 상기 객체 선택된 객체의 에지정보에 기초하여 경계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경계영역을 상기 객체 선택된 객체의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영역의 크기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ize information input step (S13) may include determining a boundary area based on edge information of the object selected object; Displaying the boundary area around the object selected object; And receiving size information of the boundary area from a user.

도 6에서 상기 공유대상등록부(1100)는 상기 선택된 펭귄 형상의 객체의 에지정보의 최외곽점을 기초로 직사각형 형태의 경계영역을 결정하고, 이를 선택된 펭귄 형상의 객체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직사각형 형태의 경계영역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입력한다. In FIG. 6, 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unit 1100 determines a rectangular boundary area based on the outermost point of the edg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enguin-shaped object and displays it on the selected penguin-shaped object. Thereafter, the user inputs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rectangular boundary area.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공급자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하고자 하는 조형물에 대한 크기 정보를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입력된 크기정보는 후술하는 AR프리뷰부(1400)의 구현에 이용이 됨으로써, 수요자 사용자는 해당 조형물을 오프라인으로 보거나 자신이 배치하고자 하는 배경에 가설치를 하지 않더라도 전체적인 미감을 더욱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upplier user can simply input the size information of the sculpture that he or she wants to register, and the inputted size information is us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AR review unit 1400 to be described later. Even if you do not see the sculptures offline or install them temporarily in the background you want to place, you can have an effect that you can check the overall aesthetics more accuratel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프리뷰부(1400)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7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ecution step of the AR preview unit 1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AR프리뷰부(1400)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기능선택 혹은 기능호출을 함으로써 구동이 되고 이후 후술하는 AR프리뷰 단계가 수행된다.The AR review unit 1400 is driven by a function selection or a function call while a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and then an AR review step to be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상기 AR프리뷰단계는,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로부터 조형물리스트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하는 단계(S20); 사용자로부터 프리뷰대상 조형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S21);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의 카메라모듈을 구동하여 카메라모듈로 촬영한 배경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2); 사용자로부터 조형물설치영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영역정보입력단계(S23); 상기 조형물설치영역에 상기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조형물표시단계(S24);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단계(S25);를 포함한다.The AR review step may include receiving a sculpture list from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and displaying it (S20); Receiving a selection for the sculpture to be previewed from the user (S21); Displaying a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by driving the camera module of the user terminal 1000 (S22); An area information input step (S23)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sculpture installation area from a user; A sculpture display step (S24) of overlaying and displaying an image of the preview target sculpture on the sculpture installation area; And changing the image of the object to be preview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25).

단계 S20 및 S21에서는, 사용자는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에 등록된 조형물 중 AR프리뷰 기능을 수행할 조형물을 선택한다. In steps S20 and S21, the user selects a sculpture to perform an AR preview function among the sculptures registered in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단계 S22에서는 상기 AR프리뷰부(1400)는 카메라모듈을 구동시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배경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촬영되는 배경영상은 수요자가 공유하려고 하는 조형물을 배치하고자 하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In step S22, the AR review unit 1400 displays a background image captured in real time by driving the camera module. The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as described above may correspond to an area where a consumer intends to place a sculpture to be shared.

단계 S23에서는 사용자는 조형물설치영역 정보를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R프리뷰부(1400)는 등록자가 자신의 조형물을 등록할 때 입력한 경계영역의 형태에 상응하는 프리뷰 영역을 임의의 지점에 상기 배경영상 위에 오버레이한다.In step S23, the user inputs the sculpture installation area information. In detail, the AR review unit 1400 overlays a preview are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undary area input when the registrant registers his sculpture on the background image at an arbitrary point.

여기서 프리뷰 영역의 형태는 상기 경계영역의 형태에 따른다. 예를 들어, 경계영역이 5:8 비율의 직사각형인 경우에, 프리뷰 영역의 형태도 5:8 비율의 기설정된 혹은 임의의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이다.The shape of the preview area depends on the shape of the boundary area. For example, when the border area is a rectangle of 5: 8 ratio, the shape of the preview area is also a rectangle having a predetermined or arbitrary size of 5: 8 ratio.

이후, 상기 AR프리뷰부(1400)는 상기 프리뷰영역의 위치정보 및 크기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해당 프리뷰 영역을 터치 등의 입력형태로 드래그 하여 배경영상에서 자신이 배치하고자 하는 곳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해당 프리뷰 영역을 구성하는 요소의 1 이상의 길이 정보를 입력한다. 이후, 상기 AR프리뷰부(1400)는 상기 경계영역의 크기정보로부터 도출되는 비율정보에 기초하여 프리뷰 영역을 구성하는 요소의 나머지 길이 정보를 도출한다.Thereafter, the AR review unit 1400 performs a step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the preview area from a user. In detail, the user drags the corresponding preview area into an input form such as a touch and places it in the place where the user wants to place the background image. Then, the user inputs one or more length information of elements constituting the preview area. Thereafter, the AR review unit 1400 derives the remaining length information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preview area based on the ratio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size information of the boundary area.

즉, 예를 들어 도 6과 같은 공유대상등록단계에서 경계영역이 5:8 비율의 사각형인 경우에, 상기 단계 S23에서도 상응 혹은 동일한 비율을 갖는 5:8 비율의 사각형을 기설정된 크기로 사용자단말기(1000)의 배경영상에 도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배경영상에 도시되는 사각형의 예측되는 실제 크기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배경영상에 도시되는 사각형에 의하여 표시되는 사각형의 가로 길이가 1M 라고 판단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해당 사각형의 가로 길이로 1M 를 입력한다. 이후, 상기 AR프리뷰부(1400)는 해당 사각형의 세로 길이를 1.6M임을 도출하고, 사용자 배경영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리뷰 영역의 실제크기는 1M X 1.6M 라고 인식할 수 있다.That is,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border area is a rectangle of 5: 8 ratio in 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step as shown in FIG. 6, the user terminal may have a rectangle of 5: 8 ratio having a corresponding or identical ratio in step S23 to a predetermined size. The background image 1000 is shown. The user then inputs the predicted actual size of the rectangle shown in the background image.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rectangle indicated by the rectangle shown in the user background image is 1M, the user inputs 1M a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rectangle. Thereafter, the AR reviewer 1400 may derive that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rresponding rectangle is 1.6M, and recognize that the actual size of the preview area displayed on the user background image is 1M X 1.6M.

단계 S24에서는, 상기 경계영역의 크기정보 및 상기 프리뷰영역의 크기정보에 기초하여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의 표시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를 상기 배경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In step S24, the display size of the image to be previewed sculptur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boundary region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preview region, and the image of the preview target sculpture is overlaid and displayed on the background image.

즉, 상기 AR프리뷰부(1400)는 경계영역의 크기정보 및 프리뷰영역의 크기정보로부터 등록된 조형물의 현재 디스플레이하려는 배경영상에서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AR review unit 1400 may determine the size of the registered image of the background image to be currently displayed from the size information of the boundary area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preview area.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펭귄 형태의 조형물은 0.5M X 0.8M 로 입력하였고, 프리뷰 영역의 크기를 1M X 1.6M 로 입력받거나 혹은 1M만 입력받고 1M X 1.6M를 도출하는 경우에, 상기 펭귄형태의 조형물의 크기를 2배 축소하여 상기 배경영상 위에 오버레이 표시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the penguin-shaped sculpture as 0.5MX 0.8M and receives the size of the preview area as 1M X 1.6M, or receives only 1M and derives 1M X 1.6M as shown in FIG. 6. The size of the penguin-shaped sculpture is reduced by 2 times to display an overlay on the background image.

단계 S25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를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 프리뷰 영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조형물을 배경영상 위에서 그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이 단계 S25에서 수행된다.In step S25, the image to be previewe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pecifically, the function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ed sculpture on the background image based on the preview area is performed in step S25.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되는 펭귄형태의 조형물의 위치를 터치 기반 드래그 혹은 터치로 구현되는 키패드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 펭귄형태의 조형물의 이미지의 크기는 고정되고, 상기 배경영상 위의 펭귄형태의 조형물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move the position of the displayed penguin-shaped sculpture to a keypad implemented by touch-based drag or touch. Preferably,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penguin-shaped sculpture is fixed, and the position of the penguin-shaped sculpture on the background image may be chang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프리뷰부(1400)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n execution step of the AR review unit 1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표시화면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의 카메라모듈을 구동하여 카메라모듈로 촬영한 배경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2); 및 사용자로부터 조형물설치영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영역정보입력단계(S23)가 수행된 후의 화면에 해당한다.The display screen shown in FIG. 8 includes driving the camera module of the user terminal 1000 to display a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S22); And it corresponds to the screen after the area information input step (S23)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sculpture installation area from the user is perform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상기 크기정보입력단계에서 결정된 경계영역의 형태에 상응하는 프리뷰영역을 상기 배경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되어 있다. 도 8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리뷰영역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상기 프리뷰영역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프리뷰영역을 설정한 후에, 상기 프리뷰영역의 예측되는 실제 크기를 입력한다.As illustrated in FIG. 8, a preview are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undary area determined in the size information input step of the selected preview target sculpture is displayed on the background image. In FIG. 8, a rectangular preview area is displayed. The user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preview area in this state, and after setting the preview area to a desired position, the user inputs the expected actual size of the preview area.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프리뷰부(1400)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9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n execution step of the AR review unit 1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000)의 표시화면에서는 상기 경계영역의 크기정보 및 상기 프리뷰영역의 크기정보에 기초하여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의 표시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를 상기 배경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된다.As shown in FIG. 9,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0 determines the display size of the image to be previewed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boundary area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preview area, The image is displayed by overlaying it on the background image.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000)에 입력을 함으로써,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r may input the user terminal 1000 to move the position of the image of the object to be previewed.

바람직하게는, 상기 AR프리뷰부(1400)는 상기 S24 혹은 S25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르거나 혹은 자동적으로 배경영상에 대한 조형물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 혹은 기억하고, 이후, 사용자가 자신의 핸드폰의 위치를 변화시켜 카메라모듈이 촬영하는 배경영상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S24 혹은 S25 단계에 의하여 설정된 조형물의 위치에 따라 조형물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9의 상태에서 보다 왼쪽을 촬영하도록 사용자단말기(1000)의 위치 및 방향을 바꾸어 배경영상이 왼쪽으로 쉬프트 되는 경우, 상기 조형물의 이미지는 보다 오른쪽으로 쉬프트되어 표시되어 원래 설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위치에서의 조형물의 배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R review unit 1400 recognizes or sto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culpture with respect to the background image automatically or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fter the step S24 or S25 is performed. Even when the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changes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phone, the image of the sculptur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culpture set by the step S24 or S25. For example, when the background image is shifted to the left by chang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0 so that the user photographs the left side in the state of FIG. 9, the image of the sculpture is shifted to the right and displayed to be originally set. Displayed in the user can check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culpture at various locations.

더욱 바람직하게는, 해당 조형물의 등록자가 멀티뷰 샷을 이용하여 대상조형물에 대하여 복수의 각도의 복수의 영상정보를 등록시킨 경우에, 사용자가 자신의 핸드폰에서 배경영상을 바라보는 각도를 변화시켜 카메라모듈이 촬영하는 배경영상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상기 AR프리뷰부(1400)는 이에 대한 각도에 따라 변화된 조형물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More preferably, when the registrant of the sculpture registers a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ngles with respect to the target sculpture by using the multi-view shot, the user changes the angle at which the background image is viewed from his mobile phone. When the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by the module changes, the AR review unit 1400 displays an image of the sculpture changed according to the angle thereof.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관리부(1300)의 세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0 schematically illustrate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haring management unit 1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요자는 상기 개별공유요청부(1310) 및 상기 그룹공유요청부(1320)를 통하여 조형물조회부(1200) 혹은 AR프리뷰부(1400)를 통하여 지정한 조형물에 대한 공유거래를 요청할 수 있다. The consumer may request a shared transaction for the sculpture designated through the sculpture inquiry unit 1200 or the AR review unit 1400 through the individual share request unit 1310 and the group share request unit 1320.

공급자는 상기 요청처리부(1330)를 통하여 수요자로부터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에 입력된 공유요청에 대한 허가, 수요자 공유 관련 요청정보, 연락정보 확인, 수요자의 공유 수수료 조정 요청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supplier may perform permission for the sharing request input from the consumer to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through the request processing unit 1330, request for sharing the request of the consumer, confirm contact information, request for adjustment of the sharing fee of the consumer, and the like. .

상기 개별공유요청부(13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에 등록된 조형물 중 개별적으로 공유를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수요자 사용자가 A라는 조형물에 대해서 공유 요청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개별공유요청부(1310)를 통하여 공유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를 통하여 공급자에게 전송되고, 공급자는 상기 요청처리부(1330)를 통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유와 관련된 정보는 공유기간, 금액, 혹은 공유자가 금액을 제시한 경우의 금액에 대한 수용, 혹은 변경요청을 포함한다.The individual sharing request unit 1310 requests to share individually among the sculptures registered in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according to a user's input. Specifically, when the user of the consumer wants to make a request for sharing the sculpture A, by in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sharing through the individual sharing request unit 1310, the sculpture is transmitted to the supplier through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and the supplier The information may be confirmed through the request processor 1330.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haring includes a sharing period, an amount, or a request for acceptance or change of the amount when the sharer presents the amoun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공유 시스템에서는 특정 기간 동안 특정 그룹 혹은 풀에 등록시키고,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 혹은 그 관리자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공유가 되고 해당 공유에 대한 수수료가 자동적으로 지급되는 제2 공유형태인 그룹공유 형태로 공급자가 자신의 조형물을 등록할 수 있고, 수요자는 이와 같은 그룹공유를 통하여 조형물을 변화시키면서 공유를 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culpture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ed in a specific group or pool for a specific period, the sculpture is automatically shared by the sculpture-sharing server 2000 or its administrator and the fee for the sharing is automatically The supplier can register his / her sculptures in the form of group sharing, which is the second sharing type, and the consumer can receive sharing while changing the sculptures through such group sharing.

상기 그룹공유요청부(1320)를 통하여 사용자는 특정 카테고리와 기간을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형물공유서버(2000)는 입력된 카테고리에 따른 풀에 등록된 조형물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공유를 하는 거래를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자는 공유할 때마다 수요자와 이에 대한 협상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룹공유 풀에 자신의 조형물을 등록시켜놓고, 사용자의 그룹공유요청에 따라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가 자동적으로 공유거래를 체결하고, 이후 조형물공유서버(2000)에서 공유에 따른 수수료 배분이 수행될 수도 있다.The user can input a specific category and period through the group sharing request unit 1320, and accordingly,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performs a transaction for periodically sharing sculptures registered in the pool according to the input category. Can be tightened. In this case, the supplier does not negotiate with the consumer every time he shares, but registers his sculpture in the group sharing pool, and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automatically performs a sharing transaction according to the user's group sharing request. After the conclusion, the fee sharing according to the sharing may be performed in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상기 그룹공유요청부(1320)를 통한 그룹공유의 제1 형태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조형물의 카테고리, 공유기간(전체 공유기간), 및 공유주기(각 조형물에 대한 공유기간)를 입력하고,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의 조형물관리부(24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카테고리에 등록된 조형물들로부터 입력한 공유기간 및 공유주기에 부합하는 조형물들을 추출하고 이들에 대한 공유일정 및 이에 따른 수수료 배분 내역을 결정한다.The first type of group sharing through the group sharing request unit 1320 inputs a category, a sharing period (total sharing period), and a sharing period (sharing period for each sculpture) that the user desires. The sculpture management unit 2400 of the sculpture-sharing server 2000 extracts the sculptures corresponding to the sharing period and the sharing period input from the sculptures registered in the corresponding category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the sharing schedule for them.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fees accordingly.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공유요청부(1320)를 통한 그룹공유의 제2 형태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조형물의 카테고리, 공유기간을 입력하고,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는 해당 카테고리 내의 그룹공유가 가능하다고 등록된 조형물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조형물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조형물공유서버(2000) 및/또는 사용자가 공유일정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수요자 사용자는 보다 자신이 원하는 조형물만을 그룹공유 받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in the second form of group sharing through the group sharing request unit 1320, a user inputs a category and a sharing period of a sculpture desired by the user, and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shares a group within the categor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sculptures registered as possible,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sculpture, and accordingly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and / or the user can determine the sharing schedule. Through such a method, the user of the consumer can exert an effect of receiving the group share only the sculptures he wants.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공유요청부(1320)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ep performed by the group sharing request unit 1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과정은 상기 제2 형태의 그룹공유의 세부 단계에 해단한다.The process shown in FIG. 11 ends at the detailed step of group sharing of the second form.

구체적으로,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는 등록된 조형물에 대하여 카테고리 정보를 부여한다. 상기 카테고리 정보는 공급자가 자신의 조형물을 등록할 때 입력한 정보일 수도 있고, 혹은 상기 조형물서버가 특징정보 등을 기초로 도출해낸 정보일 수 있다. 하나의 조형물에는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gives category information on the registered sculpture. The category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put when a supplier registers his sculpture, or may be information derived by the sculpture server based on feature information. A plurality of categor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one sculpture.

상기 그룹공유요청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조형물 그룹의 카테고리를 입력 받는 단계(S30); 입력된 상기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등록된 조형물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31); 사용자로부터 그룹공유를 희망하는 조형물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그룹공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2);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에서 그룹공유를 희망하는 조형물의 가능일정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에서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33, 및 S34); 및 사용자로부터 그룹공유를 희망하는 조형물의 공유결정일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group sharing request step may include receiving a category of a sculpture group from a user (S30); Displaying information of a registered sculpture corresponding to the input category (S31); Receiving (S32) group sharing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sculpture that the user wishes to share with the user; Determining a schedule of the sculptures to be shared with the group in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and receiving and displaying them in the user terminal (1000) (S33, S34); And receiving, from the user, a shared decision schedule of the sculpture that the group wishes to share.

상기의 단계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above ste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공유요청부(1320)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n performing step of the group sharing request unit 1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조형물 그룹의 카테고리를 입력 받는 단계(S30); 입력된 상기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등록된 조형물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31);이 수행되어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조형물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을 수행하여 사용자로부터 그룹공유를 희망하는 조형물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그룹공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2);가 수행된 화면이 도시된다.12, step S30 of receiving a category of a sculpture group from a user;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sculpture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S31) input; is performed to display the sculptures for the category, where the user performs an input to identify the sculpture to share the group from the user Receiving group shar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S32); the screen is performed is shown.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카테고리(도 12에서는 현대미술)에 따른 그룹공유가 가능한 복수의 조형물들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조형물들을 선택할 수 있고, 도 12에서는 4번, 8번, 9번 조형물이 선택된 상태를 도시한다.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a plurality of sculptures that can be shared by a group according to a category (modern art in FIG. 12) input by the user. Here, the user may select his / her preferred sculptures, and FIG. 12 shows a state in which sculptures 4, 8, and 9 are select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공유요청부(1320)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 1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n performing step of the group sharing request unit 1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서는 그룹공유를 희망하는 조형물의 가능일정을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34)가 수행된 사용자화면을 도시한다. FIG. 13 illustrates a user screen in which a schedule (S34)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 schedule of a sculpture that is desired to be shared is performed.

여기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조형물들의 가능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선택된 조형물들에 대한 AR프리뷰부(1400) 기능을 호출하거나 혹은 각각 선택된 조형물들에 대한 상세정보를 조회할 수도 있다.Here, the user can check the possible schedule of the sculptures select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AR preview unit 1400 function may be called for each of the selected sculptures, or detailed information about each of the selected sculptures may be inquired.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공유요청부(1320)의 수행단계의 사용자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screen of an performing step of the group sharing request unit 1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4는 사용자로부터 그룹공유를 희망하는 조형물의 공유결정일정을 수신하는 단계(S35)가 수행되어 공유결정일정이 표시되는 사용자화면을 표시한다.In detail, FIG. 14 is a step (S35) of receiving a share determination schedule of a sculpture which is desired to share a group from a user, and displays a user screen on which a share determination schedule is displayed.

도 14에서는 최종 선택된 조형물과 일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In FIG. 14, the user may check the final selected sculpture and the schedu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단계 S35에서 자동적으로 일정을 결정하는 것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조형물공유서버(2000)는 선택된 조형물들에 대한 일정에 기초하여 선택된 조형물들을 이용하는 공유일정을 도출하고, 이를 사용자단말기(1000)에 전송하여 도 14와 같은 표시화면이 구현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user may perform an input requesting to automatically determine the schedule in step S35, in which case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2000 shares using the selected sculptures based on the schedule for the selected sculptures. A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14 may be implemented by deriving a schedule and transmitting the schedule to the user terminal 1000.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도 2에 따른 조형물공유서버 혹은 도 3에 따른 사용자단말기는 도 15에서 도시되는 컴퓨팅장치의 1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15 exemplarily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of FIG. 2 or the user terminal of FIG. 3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of the computing device of FIG. 15.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사용자단말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d an input / output subsystem ( I / Osubsystem 11400, power circuit 11500, and communication circuit 11600.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correspond to the user terminal A connected to the tactile interface device or the computing device B described above.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200 may include, for example,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magnetic disk, SRAM, DRAM, ROM, flash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have.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a software module, an instruction set, or other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1000.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은 단일 혹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연산처리속도 향상을 위하여 GPU 및 TPU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essing the memory 11200 from another component such as the processor 11100 or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1100. The processor 1110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or a plurality, and may include a processor in the form of a GPU and a TPU to improve the processing speed.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couple the input and / or output peripherals of the computing device 11000 to the processor 11100 and the memory 11200.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a software module or an instruction set stored in the memory 112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e computing device 11000 and process data.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Input / output subsystem 11400 may couple various input / output peripherals to peripheral interface 11300. For example, the input / 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monitor or keyboard, a mouse, a printer, or a touch screen or a sensor, as necessary,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input / output peripherals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input / output subsystem 11400.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ircuit 11500 may supply power to all or part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For example, power circuit 11500 may b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such as batteries or alternating current (AC), charging systems,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s, power converters or inverters, power status indicators or power sources. It can include an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include an RF circuit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also known as an electromagnetic signal,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이러한 도 15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은 도 15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5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15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of FIG. 15 is only one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1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include some components shown in FIG. 15,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in FIG. 15, or 2. It may have a configuration or arrangement that combines two or mo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a sensor,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5, and various communication schemes (WiFi, 3G, LTE)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 , Bluetooth, NFC, Zigbee, etc.) may include a circuit for RF communication.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integrated circuits specialized for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n application dedicated to a mobile terminal. An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a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mitter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file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for example, processors, controllers, arithmetic logic units (ALUs), digital signal processors, microcomputer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e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but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and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 it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in order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signal wave to be transmitted.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ing devices so that they are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embodiments,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 / 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at follow.

Claims (11)

조형물공유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조형물공유방법으로서,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조형물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공유대상을 등록하는 공유대상등록단계;
상기 조형물공유서버에 접속하여 공유대상의 조형물을 조회하는 조형물조회단계;
상기 조형물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조형물 중 1 이상에 대하여 공유를 요청하거나 혹은 요청을 처리하는 조형물관리단계; 및
상기 공유대상의 조형물에 대하여 지정된 배경영상에 대해 프리뷰를 구현하는 AR프리뷰단계를 포함하는, 조형물공유방법.
A sculpture sharing method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sculpture sharing server,
A sharing object registration step of registering a sharing object based on an image of a sculpture photographed by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A sculpture inquiry step of accessing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to search for sculptures to be shared;
A sculpture management step of requesting sharing or processing a request for at least one of the sculptures inquired in the sculpture inquiry step; And
And an AR preview step of implementing a preview on a background image designated for the sculpture to be shared.
청구항 1에 있어서,
공유대상등록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혹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된 영상에 기초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정보에 대해 1 이상의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1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판별된 1 이상의 객체에 대하여 객체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객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크기정보를 입력 받는 크기정보입력단계; 및
상기 객체 선택된 객체에 대한 조형물 관련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관련정보입력단계를 포함하는, 조형물공유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aring target registration step,
Obtaining image information based on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user terminal or an imag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one or more objects with respect to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determined one or more objects;
Receiving an object selection for at least one object determined from a user;
A size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size information on the object selected from the user; And
And a related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a related object related information of the object selected object from a us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기정보입력단계는,
상기 객체 선택된 객체의 에지정보에 기초하여 경계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경계영역을 상기 객체 선택된 객체의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영역의 크기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형물공유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ize information input step,
Determining a boundary area based on edge information of the object selected object;
Displaying the boundary area around the object selected object; And
And receiving size information of the boundary area from a us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 관련정보는 조형물 공유가격정보 및 조형물 해쉬태그정보를 포함하는, 조형물공유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culpture-related information includes sculpture share price information and sculpture hash tag information, sculpture sharing metho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AR프리뷰단계는,
상기 조형물공유서버로부터 조형물리스트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프리뷰대상 조형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모듈을 구동하여 카메라모듈로 촬영한 배경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조형물설치영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영역정보입력단계;
상기 조형물설치영역에 상기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조형물표시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형물공유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AR review step,
Receiving a sculpture list from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and displaying it;
Receiving a selection of a preview object sculpture from a user;
Displaying a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module by driving the camera module of the user terminal;
An area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 sculpture installation area from a user;
A sculpture display step of overlaying and displaying an image of the preview target sculpture on the sculpture installation area;
And changing the image of the object to be preview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영역정보입력단계는,
상기 선택된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상기 크기정보입력단계에서 결정된 경계영역의 형태에 상응하는 프리뷰영역을 상기 배경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뷰영역의 크기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형물공유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area information input step,
Overlaying and displaying a preview are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undary area determined in the size information input step of the selected preview target sculpture on the background image; And
And receiving size information of the preview area from a us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표시단계는,
상기 경계영역의 크기정보 및 상기 프리뷰영역의 크기정보에 기초하여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의 표시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프리뷰대상 조형물의 이미지를 상기 배경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조형물공유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culpture display step,
And determining the display size of the image of the object to be previewed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boundary area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preview area and overlaying the image of the object to be previewed on the background im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관리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조형물공유서버에 등록된 조형물 중 개별적으로 공유를 요청하는 개별공유요청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조형물공유서버에 등록된 조형물에 대하여 카테고리에 따른 공유를 요청하는 그룹공유요청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등록된 조형물에 대한 공유요청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승낙 혹은 거절의 입력을 수행하는 요청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조형물공유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ulpture management step,
An individual sharing request step of individually requesting sharing among sculptures registered in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according to a user's input;
A group sharing request step of requesting sharing according to a category of the sculptures registered in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And a request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an input of acceptance or rejection from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haring request for the registered sculptur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inpu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서버에는 등록된 조형물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그룹공유요청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조형물 그룹의 카테고리를 입력 받는 단계;
입력된 상기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등록된 조형물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그룹공유를 희망하는 조형물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그룹공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룹공유를 희망하는 조형물의 가능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그룹공유를 희망하는 조형물의 공유결정일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형물공유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sculpture server stores the category information on the registered sculpture,
The group sharing request step,
Receiving a category of a sculpture group from a user;
Displaying information of a registered sculpture corresponding to the input category;
Receiving group sharing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sculpture that the user wishes to share with the user;
Displaying a schedule of possible sculptures to be shared with each other; And
Receiving a share determination schedule of the sculpture that you want to share the group from the user, the sculpture sharing method.
조형물공유서버 및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조형물공유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조형물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공유대상을 등록하는 공유대상등록부;
상기 조형물공유서버에 접속하여 공유대상의 조형물을 조회하는 조형물조회부;
상기 조형물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조형물 중 1 이상에 대하여 공유를 요청하거나 혹은 요청을 처리하는 조형물관리부;
상기 공유대상의 조형물에 대하여 지정된 배경영상에 대해 프리뷰를 구현하는 AR프리뷰부를 포함하는, 조형물공유 시스템.
A sculpture sharing system including a sculpture sharing server and a user terminal,
A sharing object registration unit that registers a sharing object based on an image of a sculpture photographed by a camera of a user terminal;
A sculpture inquiry unit for accessing the sculpture-sharing server and inquiring a sculpture to be shared;
A sculpture management unit for requesting sharing or processing a request for at least one of the sculptures inquired in the sculpture inquiry step;
And an AR preview unit configured to preview the background image designated for the sculpture to be shared.
조형물공유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조형물공유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조형물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공유대상을 등록하는 공유대상등록단계;
상기 조형물공유서버에 접속하여 공유대상의 조형물을 조회하는 조형물조회단계;
상기 조형물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조형물 중 1 이상에 대하여 공유를 요청하거나 혹은 요청을 처리하는 조형물관리단계; 및
상기 공유대상의 조형물에 대하여 지정된 배경영상에 대해 프리뷰를 구현하는 AR프리뷰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mplementing a sculpture sharing method performed in a user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sculpture sharing serv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for causing a computing device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 The steps are:
A sharing object registration step of registering a sharing object based on an image of a sculpture photographed by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A sculpture inquiry step of accessing the sculpture sharing server to search for sculptures to be shared;
A sculpture management step of requesting sharing or processing a request for at least one of the sculptures inquired in the sculpture inquiry step; And
And an AR preview step of implementing a preview on a background image designated for the sculpture to be shared.
KR1020180077575A 2018-07-04 2018-07-04 Sculpture sharing system,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of KR102122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75A KR102122279B1 (en) 2018-07-04 2018-07-04 Sculpture sharing system,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575A KR102122279B1 (en) 2018-07-04 2018-07-04 Sculpture sharing system,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568A true KR20200004568A (en) 2020-01-14
KR102122279B1 KR102122279B1 (en) 2020-06-12

Family

ID=6915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575A KR102122279B1 (en) 2018-07-04 2018-07-04 Sculpture sharing system,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27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401A (en) 2009-07-22 2011-01-28 김금옥 System and method for rental service of work of art
KR20150033752A (en) * 2013-09-23 2015-04-02 김경중 Loan system of Digital image Work of art
KR20180040865A (en)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rranging electronic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 and server performing the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401A (en) 2009-07-22 2011-01-28 김금옥 System and method for rental service of work of art
KR20150033752A (en) * 2013-09-23 2015-04-02 김경중 Loan system of Digital image Work of art
KR20180040865A (en)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rranging electronic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 and server perform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279B1 (en)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1837B2 (en) Interactive collection book for mobile devices
US10319150B1 (en) Object preview in a mixed reality environment
US8782565B2 (en) System for selecting objects on display
CN103999048B (en) Dynamic configuration file switching based on user's identification
JP6227278B2 (en) Comparison of virtual and real images in shopping experience
CN105493070B (en) The task context framework shared for efficient data
US201901163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mera effect
US9516218B1 (en) Grouping digital images based on detected objects
KR102037829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terior construciton inmformation based on scenario
US9940538B2 (en) Visual comparisons using personal objects
KR102276936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exhibits in 3d virtual exhibition space
KR101898650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displaying information of works of art
JP2018180803A (en) Model arrangement program, model arrangement method and model arrangement device
US8898587B2 (en) Electronic book inscription system
Zhang et al. Solving the spatial scheduling problem: a two-stage approach
JP6275189B2 (en)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link information in content
KR102122279B1 (en) Sculpture sharing system, sculpture shar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of
US11379898B2 (en) Touch and pressure-based apparel image searching
JP2013131051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466395B1 (en) Device and system for digital signage controllable through cloud
KR20210020513A (en) Method for sharing your location-based experience and computer program
KR102540309B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n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xhibiting copyright-infringed images
US201703715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visualization
US20180330429A1 (en) Leading Edge Detection, Rotation, and Occlusion of Space Between Neighboring Image Pairs of a Set of Images
Qadeer et al. Interactive restaurant menu ordering system using projection mapping and machin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