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167A -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pop-up discharging part capable of controlling discharge direction - Google Patents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pop-up discharging part capable of controlling discharge dir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167A
KR20200004167A KR1020180077267A KR20180077267A KR20200004167A KR 20200004167 A KR20200004167 A KR 20200004167A KR 1020180077267 A KR1020180077267 A KR 1020180077267A KR 20180077267 A KR20180077267 A KR 20180077267A KR 20200004167 A KR20200004167 A KR 20200004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discharge
air
air cleaner
ou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수
남유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4167A/en
Publication of KR2020000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1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which comprises: a casing (100) having a filter assembly (115) and a fan assembly (131) which are formed therein; and a pop-up discharge part (200) located in one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casing (100) and capable of being lifted. The pop-up discharge part (200) comprises: an external housing (250) including a pop-up discharge grill (255); and an internal housing (240) concentrically located inside the external housing (250), rotated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housing (250), and having an opening part (245) formed in a portion of an external surface. Air purified by the filter assembly (115)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op-up discharge grill (255) and the opening part (245).

Description

풍향 조절형 팝업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An air purifier comprising a pop-up discharging part capable of controlling discharge direction}An air purifier comprising a pop-up discharging part capable of controlling discharge direction}

본 발명은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팝업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including a pop-up discharge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공기 청정기는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부, 흡기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 외기를 흡입하고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팬,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흡기부는 측면에 위치하고 토출부는 상면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air purifier includes an intake unit for sucking outside air, a filter unit for purifying intaken air, a fan for providing power for sucking outside air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Here, the intake portion is generally located on the side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토출부가 상면에 위치함에 따라, 정화된 공기는 공기 청정기의 상방으로 토출된다. 정화된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되면, 공기 청정기가 위치한 공간(예를 들어, 거실, 방) 내에서 정화된 공기가 크게 상승한 후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하강함으로써 큰 궤적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에서 먼 공간부터 대류에 의하여 해당 공간의 공기를 전체적으로 정화한다. 즉, 공기 청정기에서 먼 공간의 공기부터 정화되기 시작하며, 공기 청정기에 인접한 공간의 공기는 오히려 가장 늦게 정화된다. As the discharge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above the air cleaner. When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upward, the purified air in the space (eg, living room, room) in which the air cleaner is located increases and then moves to another position to have a large trajectory. Accordingly, the air in the space is purified as a whole by convection from the space far from the air purifier. That is, it starts to purify from the air in the space farther from the air purifier, and the air in the space adjacent to the air purifier is rather purified last.

공기 청정기에 인접한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화하기 위하여, 토출부가 상면이 아닌 측면에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가 존재한다. 이 경우, 공기 청정기에 인접한 공간에 정화된 공기가 직접 토출되어 전술한 문제점은 해소되나, 반대로 공기 청정기가 위치한 공간 전체가 빠르게 정화되지 못한다는 점, 공기 청정기 가까이에 위치한 사람(특히, 유아)에게 공기가 직접 토출되기에 안전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는 점 등이 단점이다. In order to purify the air adjacent to the air cleaner more efficiently, there is an air cleaner in which the discharge portion is located on the side rather than the upper surface. In this cas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solved by directly purifying the air to the space adjacent to the air purifier, but on the contrary, the entire area where the air purifier is located is not quickly cleaned. The disadvantage is that air can be directly discharged, which may cause safety problems.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 10-1572850 B1호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변경 가능한 가변 토출 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를 개시한다. 주로 사용되는 제 1 위치에서, 공기 청정기의 상면에 구비된 토출 유닛의 상측에는 토출 커버가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에 따라, 토출 유닛을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토출되되 다소 비스듬하게 상승한다. 집중 청정을 위한 제 2 위치에서 토출 커버가 토출 유닛의 상부를 완전히 폐쇄하는 대신 측면에 위치한 별도의 토출부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가 집중 토출된다. In this connection, Korean Patent No. 10-1572850 B1 discloses an air cleaner having a variable discharge unit that can be changed to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In the first position mainly used, the discharge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uni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leaner. As a resul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unit is discharged upward but rises slightly obliquely. Instead of the discharge cover completely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unit in the second position for the concentrated cleaning, the purified air is concentrated discharged through a separate discharge unit located at the side.

상기의 기술에서, 공기 청정기는 제 1 위치에서 정화된 공기를 비스듬한 상방으로 토출하기에 공기 청정기에서 먼 공간과 인접한 공간을 모두 정화할 것을 목표로 하지만, 오히려 어느 한 공간도 확실한 정화가 이루어지는 것에는 시간이 더 소요되는 편이다. 또한, 제 2 위치에서는 인접한 공간에 직접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지만 가까이에 위치한 사람에게 높은 풍압의 공기가 토출되어 야기되는 안전 문제 및 사용자의 손이 토출부에 끼일 수 있는 문제가 우려된다.In the above technique, the air purifier aims to purify both the space far from the air purifier and the space adjacent to the air purifier in order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at the first position obliquely upwards. It takes more time. In addition, in the second position, the purified air is directly discharged to the adjacent space, but there is a concern that safety problems caused by high wind pressure air are discharged to a person located nearby and a problem that the user's hand may be caught in the discharge portion.

다른 종래 기술을 살펴본다. Look at other prior art.

한국등록특허 제10-0600745 B1호는, 상부에 승강 가능한 토출부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개시한다. Korean Patent No. 10-0600745 B1 disclose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 discharge part that can be lifted and raised.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10233 A1호는, 토출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승강 가능한 토출부 커버가 구비된 공기 청정기를 개시한다.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10233 A1 discloses an air cleaner having a discharge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discharge portion cover that is liftable.

한국등록특허 제10-0464518 B1호는, 공기가 토출되는 배기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부 상에 승강 가능한 개폐장치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를 개시한다. Korean Patent No. 10-0464518 B1 discloses an air purifier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can be lifted and lowered on an exhaust part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exhaust par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한국등록특허 제10-1237427 B1호는 윈드 가이드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오염을 방지하는 가습기를 개시한다.Korean Patent No. 10-1237427 B1 discloses a humidifier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wind guide.

(특허문헌 1) KR 10-1572850 B1(Patent Document 1) KR 10-1572850 B1

(특허문헌 2) KR 10-0600745 B1(Patent Document 2) KR 10-0600745 B1

(특허문헌 3) KR 10-2005-0110233 A1(Patent Document 3) KR 10-2005-0110233 A1

(특허문헌 4) KR 10-0464518 B1(Patent Document 4) KR 10-0464518 B1

(특허문헌 5) KR 10-1237427 B1(Patent Document 5) KR 10-123742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구체적으로, 공기 청정기가 위치한 공간 내에서, 필요에 따라 공기 청정기에서 먼 공간 및 인접한 공간의 정화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Specifically, an air purifier capable of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purifying a space far from the air purifier and an adjacent space in a space where the air purifier is located may be performed as needed.

또한, 이를 위하여 팝업 토출부가 구비되는 경우, 팝업과 동시에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팝업을 위한 토출부의 승강 구조 및 풍향 조절 구조를 단순하게 한 공기 청정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addition, when the pop-up discharge unit is provided for this purpose, it is intended to propose an air cleaner that can adjust the wind direction at the same time pop-up. In particular, an air purifier with a simple structure for lifting and discharging the discharge portion for pop-up is propos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측에 필터 조립체(115) 및 팬 조립체(131)가 구비된 케이싱(100); 및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의 일 부분에 위치하며 상승 가능한 팝업 토출부(200)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로서, 상기 팝업 토출부(200)는, 팝업 토출 그릴(255)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250); 및 상기 외부 하우징(250)과 동심으로 그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2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외면 중 일부에 개구부(245)가 구비되는 내부 하우징(240)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조립체(115)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상기 팝업 토출 그릴(255)과 상기 개구부(245)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filter assembly 115 and the fan assembly 131 provided with a casing (100); And a popup discharge part 200 which is located on a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casing 100 and rises, wherein the popup discharge part 200 includes an outer housing including a popup discharge grill 255. 250); And an inner housing 240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the outer housing 250, rotatably with respect to the outer housing 250, and having an opening 245 in a part of an outer surface thereof.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assembly 115 is provided through the pop-up discharge grill 255 and the opening 24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provide an air purifier.

또한, 상기 팝업 토출부(200)는, 회전 가능하며 외측에 나사산이 구비된 팝업 스크류(233)를 구비한 팝업 스크류부(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250)은, 상기 팝업 스크류(233)가 삽입되며 내측에 나사산이 구비된 팝업 스크류 삽입부(253)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further includes a pop-up screw unit 230 having a pop-up screw 233 which is rotatable and provided with a screw thread on the outside thereof, and the outer housing 250 includes the pop-up screw.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op-up screw insertion portion 253 is inserted (233) and the thread is provided on the inside.

또한, 상기 팝업 토출부(200)는, 상기 외부 하우징(250)이 삽입 가능한 팝업 토출부 케이싱(2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250)은 그 외측으로 돌출된 팝업 가이드(259)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 토출부 케이싱(220)은, 그 내면에서 상하 방향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팝업 가이드(259)가 삽입되는 팝업 가이드홈(229)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further includes a pop-up discharge unit casing 220 into which the outer housing 250 can be inserted, and the outer housing 250 includes a pop-up guide 259 protruding outward. The pop-up discharge part casing 220 may include a pop-up guide groove 229 formed in a groove in an up-down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into which the pop-up guide 259 is inserted.

또한, 상기 팝업 토출부(200)는, 팝업 동력부재(211) 및 이에 의해 회전하는 팝업 제1기어(212)를 구비한 팝업 동력부(2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팝업 스크류부(230)는 상기 팝업 제1기어(212)에 맞물리는 팝업 제2기어(2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further includes a pop-up power unit 210 having a pop-up power member 211 and a pop-up first gear 212 rotated thereby, and the pop-up screw unit 230 Preferably includes a pop-up second gear 232 meshed with the pop-up first gear 212.

또한, 상기 팝업 동력부재(211)에 동력이 인가되면 상기 팝업 제1기어(212)가 회전하고, 이에 맞물린 상기 팝업 제2기어(232)가 회전하면서 상기 팝업 스크류부(230) 및 이에 구비된 상기 팝업 스크류(233)가 회전하며, 상기 팝업 가이드(259)가 삽입되는 상기 팝업 가이드홈(229)에 의해 상기 외부 하우징(250)의 회전 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팝업 스크류(2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팝업 스크류(233)의 나사산에 맞물린 나사산을 구비한 상기 팝업 스크류 삽입부(253)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외부 하우징(250)이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op-up power member 211, the pop-up first gear 212 rotates, and the pop-up second gear 232 engaged with the pop-up screw unit 230 and the pop-up screw unit 230 are rotated. The pop-up screw 233 rotates, the rotation of the pop-up screw 233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er housing 250 is limited by the pop-up guide groove 229 into which the pop-up guide 259 is inserted As the pop-up screw insertion portion 253 having a screw thread engaged with the screw thread of the pop-up screw 233 is rai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housing 250 is raised.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250)의 상승시, 상기 내부 하우징(240)이 함께 상승하고, 상기 팝업 스크류부(230)는 회전하고, 상기 팝업 토출부 케이싱(220)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outer housing 250 is rai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housing 240 rises together, the pop-up screw part 230 rotates, and the pop-up discharge part casing 220 is fixed.

또한, 상기 내부 하우징(240)은 풍향 조절 동력부재(241) 및 이에 의해 회전하는 풍향 조절 제1기어(242)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250)은, 상기 외부 하우징(25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풍향 조절 제1기어(242)에 맞물리며 상기 외부 하우징(250)과 동심인 풍향 조절 제2기어(25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housing 240 includes a wind direction control power member 241 and a wind direction control first gear 242 thereby rotated, the outer housing 250 is fixed to the outer housing 25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wind direction control second gear 252 which is engaged with the wind direction control first gear 242 and concentric with the outer housing 250.

또한, 상기 내부 하우징(240)의 상면에 소정의 각도만큼 구비되는 안내홈(244)이 위치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25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안내홈(244)에 삽입되는 돌출부(254)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244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240 by a predetermined angle, locat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250 and the protrusion 254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44. Is preferably located.

또한, 상기 풍향 조절 동력부재(241)의 동력에 의해 상기 풍향 조절 제1기어(242)가 회전하면, 고정된 상기 풍향 조절 제2기어(252)에 의해 상기 풍향 조절 동력부재(241) 및 상기 풍향 조절 제1기어(242)와 함께 상기 내부 하우징(240)이 상기 외부 하우징(250)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상기 돌출부(254)에 의하여 상기 안내홈(244)의 상기 소정의 각도만큼으로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first gear 242 is rotated by the power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power member 241, the wind direction control power member 241 and the by the fixed wind direction control second gear 252. The inner housing 240 rotates around the center of the outer housing 250 together with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first gear 242, and the protrusion 254 may be rotated by the predetermined angle of the guide groove 244.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is limited.

또한, 상기 팝업 토출 그릴(255)이 방사상 전체에 걸쳐 위치하며, 상기 개구부(245)가 방사상 일부 각도에 걸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p-up discharge grille 255 is positioned over the entire radial position, and the opening portion 245 is positioned over the radial partial angle.

또한, 상기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245)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 청정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leaner is changed while the opening 245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inner housing 240.

또한, 상기 팝업 토출 그릴(255)이 방사상 일부 각도에 걸쳐 위치하며, 상기 개구부(245)는, 상기 방사상 일부 각도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다수의 개구부(245a~245d)와, 방사상으로 상기 다수의 개구부(245a~245d) 사이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개구부(245f)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p-up discharge grill 255 is positioned over a partial radial angle, and the opening 245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s 245a to 245d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dial partial angle, and the plurality of radial opening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y one or more openings 245f located between the openings 245a to 245d.

또한, 상기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팝업 토출 그릴(255) 상기 개구부(245a~245d)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전방향 토출 모드와, 상기 개구부(245f)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집중 토출 모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omnidirectional discharge mod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pop-up discharge grill 255 through the openings 245a to 245d by the rotation of the inner housing 240, an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245f.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nsive discharge mode is made selectively.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는, 상기 케이싱(100)의 상기 상면의 다른 일 부분에 위치하는 상부 토출부(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토출부(120)는 상기 필터 조립체(115)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방으로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further includes an upper discharge part 120 positioned at another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100, and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is purified by the filter assembly 115. It is preferable to discharge the above-mentioned air upwards.

또한, 상기 상부 토출부(120)만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 상기 팝업 토출부(200)만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 및 상기 상부 토출부(120)와 상기 팝업 토출부(200)가 함께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mode in which only the upper discharge unit 120 discharges air, a mode in which only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discharges air, and the upper discharge unit 120 and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together supply air. It is preferable to control in either of the discharge modes.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측 상부에 토출부 하우징(125)이 위치하고, 상기 토출부 하우징(125)의 일부분에 상기 상부 토출부(120)가 위치하고 다른 일부분에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가 위치하며, 상기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에 상기 팝업 토출부(200)가 상승 가능하게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housing 125 is locat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air cleaner, the upper discharge unit 120 is located in a portion of the discharge unit housing 125, the pop-up discharge unit inserting portion 126 is located in another portion The pop-up discharge part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pop-up discharge part insertion part 126 so as to be lifted up.

또한, 상기 토출부 하우징(125)의 하면에 유로 가이드(150)가 위치하고, 상기 유로 가이드(150)의 상부 일측은 상기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와의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 가이드(150)의 상부 다른 일측은 상기 상부 토출부(120)와의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 가이드(150)의 하부는 상기 팬 조립체(131)와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low path guide 150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housing 125, and an upper side of the flow path guide 150 forms a passage with the pop-up discharge part insertion part 126, and the flow path guide 150.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forms a passage with the upper discharge unit 120,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guide 150 is preferably formed a passage with the fan assembly 131.

또한, 상기 유로 가이드(150) 내측에 유로 전환 부재(142)가 위치하며, 상기 유로 전환 부재(142)는 상기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와의 연통을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토출부(120)와의 연통을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 및 상기 상부 토출부(120) 모두와의 연통을 차단하지 않도록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low path switching member 142 is located inside the flow path guide 150, and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42 blocks communication with the pop-up discharge part inserting part 126 or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It is preferable to rotate so as not to block communication with) or to block communication with both the pop-up discharge part inserting part 126 and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또한, 상기 팝업 토출부(200)의 상승 정도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되며 자동으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팬 조립체(130)에 구비된 팬의 RPM에 상응하게 상승 정도가 제어되고, 수동으로 제어되는 경우 조작부(201)에 구비된 버튼의 제어에 상응하게 상승 정도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rising degree of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led and is controlled automatically, the rising degre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PM of the fan provided in the fan assembly 130 and is manually control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ising degree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button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201.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상대적 회전만으로도 풍향 전환을 구현할 수 있다. 비교적 간단한 기계적 구조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유로를 복잡하지 않게 하여 필터에서 이미 정화되어 유동 중인 공기가 청정기 내에서 추가 오염될 가능성을 낮추고, 장비 고장 가능성을 낮추며,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the wind direction conversion only by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Implementing with a relatively simple mechanical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not complicating the flow path, reducing the likelihood of further contamination of the air already purified in the filter in the purifier, reducing the likelihood of equipment failure and convenient maintenance.

팝업 토출부의 승강 구조 역시 간단한 기계적 구조로 구현된다. 팝업되면서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전선의 처리가 문제될 수 있는데, 동력부재에 제공되는 전선 외에는 각각의 하우징에 전선이 구비될 필요가 없어서 회전 운동의 제약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The lifting structure of the pop-up discharge part is also realized by a simple mechanical structure. In the case of taking a structure that rotates at the same time as pop-up, the processing of the wire may be a problem, except that the wire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in each housing other than the wire provided to the power member, so that the constraint of the rotational movement does not substantially exist.

팝업 토출부 외에도 상부 토출부가 더 구비된다. 필요에 따라 2개의 토출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작동시켜 근접 공간과 원격 공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정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상대적 회전을 통해 풍향을 전환할 수 있는 모드가 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 가능성을 넓히고 맞춤형 공기 청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pop-up discharge portion, the upper discharg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If necessary, one or both of the two discharge units can be operated to purify any one or more of the adjacent space and the remote spac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s well as to change the wind direction through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inner and outer housings. Combining modes is possible, which is desirable for broadening the user's choice and performing customized air clean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로서 팝업 토출부가 상승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로서 팝업 토출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는 설명을 위하여 도시를 일부 생략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다.
도 6은 팝업 토출부 중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에 따른 단면도로서, 팝업 토출부 전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팝업 토출부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9는 팝업 토출부 중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팝업 토출부 중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팝업 토출부 중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팝업 토출부 중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전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팝업 토출부 중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p-up discharge portion does not rise as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p-up discharge portion is raised as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show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ly omitted for the sake of illustra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er housing and an inner housing among the pop-up discharge parts.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6,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tire pop-up discharge por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p-up discharge unit.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of the pop-up discharge part as viewed from below.
10 is a bottom view showing an outer housing and an inner housing among the pop-up discharge parts.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of the pop-up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er housing and an inner housing of the pop-up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n outer housing and an inner housing of a pop-up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공기 청정기의 설명Description of Air Purifier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외면을 형성하는 케이싱(100)과, 케이싱(100)의 측면에 구비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부(110)와, 2개의 토출부를 포함한다.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100 forming an outer surface, an intake unit 110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sing 100 to suck outside air, and two discharge parts.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토출부는 케이싱(100)의 상면 일 부분에 위치하는 상부 토출부(120)와, 상면 다른 일부분에 위치하는 팝업 토출부(200)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two discharge parts include an upper discharge part 120 position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100, and a pop-up discharge portion 200 positioned on anoth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팝업 토출부(200)는 상승 가능하다. 도 1은 팝업 토출부(200)가 상승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 2는 팝업 토출부(200)가 완전히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절반 또는 그 외의 다른 상승 정도로의 조절도 가능하다. The pop-up discharge part 200 can be raised. 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does not rise, and FIG.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is completely raised. Although not shown, adjustment to half or other elevations is also possible.

팝업 토출부(200)의 상승 정도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팝업 토출부(200)의 상승 정도는 팬 조립체(130)에 구비된 팬의 RPM에 상응하게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정화된 공기가 가장 많이 토출되도록 팬의 RPM이 높은 경우 팝업 토출부(200)는 도 2와 같이 완전히 상승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정화된 공기가 절반 정도로 토출되도록 팬의 RPM이 절반 정도인 경우 팝업 토출부(200)는 절반 정도로 상승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멀리서도 공기 청정기가 정화된 공기를 얼마나 토출하는지 한 눈에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팝업 토출부(200)의 상승 정도는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201)에 구비된 별도의 버튼의 제어에 따라 단계별로 상승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버튼을 누르는 시간, 누르는 횟수, 누르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에 상응하게 상승 정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The degree of rise of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may be controlle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egree of rise of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RPM of the fan provided in the fan assembly 130. That is, when the RPM of the fan is high so that the most purified air is discharged,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may be fully raised as shown in FIG. 2, and the RPM of the fan is about half so that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about halfway. In this case,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may be raised to about half. In this case, the user has an advantage of knowing at a glance how much the air purifier discharges the purified air from a distance. As another example, the rising degree of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may be manually controlled. The user may adjust the degree of ascending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control of a separate button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201, and in particular, the degree of elevation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such as the time of pressing the button,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and the method of pressing.

상부 토출부(120)의 상면에는 상부 토출 그릴(121)이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부 토출부(12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방으로 토출되어 먼 공간부터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팝업 토출부(200)는 측면에 위치한 팝업 토출 그릴(255)을 통해 측방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따라서, 팝업 토출부(200)는 가까운 공간부터 공기를 정화한다. The upper discharge grill 121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discharge unit 120.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is discharged upwards to purify the air from a distant space. On the contrary, the pop-up discharge part 200 discharges air to the side through the pop-up discharge grill 255 located on the side. Therefore,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purifies the air from the close space.

상부 토출부(120)와 팝업 토출부(200)가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이 다르며, 공기를 정화하는 공간이 다르기에, 이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모드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부 토출부(120)만 공기를 토출하는 제1모드, 팝업 토출부(200)만 공기를 토출하는 제2모드, 및 상부 토출부(120)와 팝업 토출부(200)가 함께 공기를 토출하는 제3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될 수 있다. 제1모드는 공간 전체를 정화하거나 먼 공간부터 공기를 정화하는데 바람직하고, 제2모드는 공긴 전체보다는 공기 청정기에 가까운 공간부터 공기를 정화하는데 바람직하다.Since the upper discharge unit 120 and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discharge the air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space for purifying the air is differen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ariety of modes by combining them. For example, a first mode in which only the upper discharge unit 120 discharges air, a second mode in which only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discharges air, and the upper discharge unit 120 and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together supply air. The discharge may be controlled in any one of the third modes. The first mode is preferable to purify the entire space or to purify the air from a distant space, and the second mode is preferable to purify the air from a space close to the air cleaner rather than the entire air.

팝업 토출부(20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201)가 위치할 수 있다. 팝업 토출부(200)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에서 후술한다. An operation unit 201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may be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Details of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케이싱(100) 내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은 설명을 위하여 케이싱(100) 일부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다. A configuration inside the casing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3 to 5 are views for omitting a part of the casing 100 for explanation.

케이싱(100) 내측에 필터 조립체(115)가 위치한다. 흡기부(110)를 통해 흡기된 외기는 필터 조립체(115)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필터 조립체(115)에 포함될 수 있는 필터의 개수 및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The filter assembly 115 is located inside the casing 100. Outside air taken in through the intake unit 110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115. The number and type of filte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filter assembly 115 are not limited.

필터 조립체(115) 내측에 팬 하우징(132)이 위치하며, 여기에 팬 조립체(131)가 위치한다. 팬 조립체(131)는 팬을 포함하여 외기를 흡기하고 정화된 공기를 토출한다.The fan housing 132 is located inside the filter assembly 115, and the fan assembly 131 is located therein. The fan assembly 131 includes a fan to intake outside air and discharge purified air.

공기 청정기의 상부에는 토출부 하우징(125)이 위치한다. 토출부 하우징(125)의 일부분에 상부 토출부(120)가 위치하고 다른 일부분에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가 위치한다.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는 상하 개방된 공간으로서, 여기에 팝업 토출부(200)가 상승 가능하게 삽입되어 위치한다.The discharge part housing 125 is positioned above the air cleaner.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is positioned in a part of the discharge part housing 125, and the pop-up discharge part insertion part 126 is located in another part. The pop-up discharge part inserting part 126 is a space opened up and down, and the pop-up discharge part 200 is inserted therein so as to be liftable.

토출부 하우징(125)의 하면에 유로 가이드(150)가 위치한다. The flow path guide 150 is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housing 125.

유로 가이드(150)의 상부 일측은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와의 통로를 형성하고, 상부 다른 일측은 상부 토출부(120)와의 통로를 형성하고, 하부는 팬 조립체(131)와의 통로를 형성한다. 즉, 유로 가이드(150)는 Y자 형태로서, 각각 팝업 토출부(200), 상부 토출부(120) 및 팬 조립체(131)와 연통하는 것이다.One upper portion of the flow guide 150 forms a passage with the pop-up discharge portion inserting portion 126, the other upper portion forms a passage with the upper discharge portion 120, and the lower portion forms a passage with the fan assembly 131. do. That is, the flow path guide 150 has a Y shape and communicates with the pop-up discharge part 200,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and the fan assembly 131, respectively.

유로 가이드(150) 내측에 유로 전환 동력부(141) 및 여기서 동력을 받아 회동 가능한 유로 전환 부재(142)가 위치한다. The flow path switching power unit 141 and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42 that can be rotated by the power is positioned inside the flow path guide 150.

도 3과 같이 유로 전환 부재(142)는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와의 연통을 차단하거나, 또는 도 4와 같이 상부 토출부(120)와의 연통을 차단하거나, 또는 도 5와 같이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 및 상부 토출부(120) 모두와의 연통을 차단하지 않도록 회동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42 blocks communication with the pop-up discharge part inserting part 126, or blocks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as shown in FIG. 4, or pop-up discharge part as shown in FIG. 5. The insertion unit 126 and the upper discharge unit 120 can be rotated so as not to block the communication.

도 3과 같이 유로 전환 부재(142)가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와의 연통을 차단한 경우 정화된 공기는 모두 상부 토출부(120)를 통해 토출된다. 도 4와 같이 유로 전환 부재(142)가 상부 토출부(120)와의 연통을 차단한 경우 정화된 공기는 모두 팝업 토출부(200)를 통해 토출된다. 도 5과 같이 어느 것으로의 연통을 차단하지 않은 경우 상부 토출부(120) 및 팝업 토출부(200) 모두를 통해 토출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42 blocks communication with the pop-up discharge part inserting part 126, all of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As shown in FIG. 4, when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42 blocks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all of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pop-up discharge part 200. When not communicating with any one as shown in Figure 5 is discharged through both the upper discharge portion 120 and the pop-up discharge portion (200).

팝업 토출부의 설명Description of pop-up discharge section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팝업 토출부(2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6 to 10,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팝업 토출부(200)는 팝업 동력부(210), 팝업 토출부 케이싱(220), 팝업 스크류(230), 내부 하우징(240) 및 외부 하우징(25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p-up power unit 210, a pop-up discharge unit casing 220, a pop-up screw 230, an inner housing 240, and an outer portion. And housing 250.

팝업 동력부(210)는 팝업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팝업 동력부(210)는 공기 청정기의 다른 구조물에 단단히 고정되며, 팝업 동력부재(211) 및 이에 의해 회전하는 팝업 제1기어(212)를 구비한다. The popup power unit 210 provides power for the popup. The popup power unit 210 is firmly fixed to another structure of the air cleaner, and includes a popup power member 211 and a popup first gear 212 rotated thereby.

팝업 토출부 케이싱(220)에는 외부 하우징(250) 및 내부 하우징(240)이 삽입 가능하며, 고정부(221)에 의해 공기 청정기의 다른 구조물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이다.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다.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후술하는 내부 하우징(240) 및 외부 하우징(250)이 승강한다. 개방된 하면은 유로 가이드(150)와 연통되어 필터 조립체(115)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팝업 토출부(200)로 유입되도록 한다. The outer housing 250 and the inner housing 240 may be inserted into the pop-up discharge part casing 220, and are fixed to the other structure of the air cleaner by the fixing part 221.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The inner housing 240 and the outer housing 2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lifted through the open top surface. The open lower surface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guide 150 to allow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assembly 115 to flow into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팝업 토출부 케이싱(220)은 그 내면에서 상하 방향의 홈으로 형성되며 외부 하우징(250)의 팝업 가이드(259)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팝업 가이드홈(229)을 포함한다. 팝업 가이드홈(229)에 의하여, 팝업 동력부재(211)의 동력 인가시에도 외부 하우징(250)의 회전이 제한되어 승강된다.The pop-up discharge part casing 220 includes a plurality of pop-up guide grooves 229 which are formed as grooves in the up-down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which can be moved up and down by inserting the pop-up guide 259 of the outer housing 250. By the pop-up guide groove 229, even when the pop-up power member 211 is powered, the rotation of the outer housing 250 is restricted and lifted.

팝업 스크류부(230)는 승강하지 않고 회전 가능한 구조이다. 팝업 스크류부(230)는, 외측에 나사산이 구비된 팝업 스크류(233) 및 그 하단에 위치한 팝업 제2기어(232)를 포함한다. 팝업 제2기어(232)는 팝업 제1기어(212)에 맞물린다. The pop-up screw unit 230 is a structure that can rotate without lifting. The pop-up screw unit 230 includes a pop-up screw 233 having a screw thread on the outside and a pop-up second gear 232 positioned at the bottom thereof. The popup second gear 232 meshes with the popup first gear 212.

내부 하우징(240)과 외부 하우징(250)은 도 6 및 도 9에 잘 도시된다. 도 6에서는 설명을 위해 외부 하우징(250)의 상면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The inner housing 240 and the outer housing 250 are shown well in FIGS. 6 and 9. In FIG. 6,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250 is omitted for explanation.

내부 하우징(240)과 외부 하우징(250)은 팝업 토출부(200)의 승강시 함께 승강한다. 도 7은 상승한 상태에서의 팝업 토출부(200)를 도시한다. 즉, 팝업 동력부(210)의 팝업 동력부재(211)가 동력을 인가하면 외부 하우징(250)이 상승하는데, 이 때에 내부 하우징(240)은 함께 상승하고, 팝업 스크류부(230)는 회전하고, 팝업 토출부 케이싱(220)은 고정되어 상승하거나 회전하지 않는다. 하강할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The inner housing 240 and the outer housing 250 are elevated together when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is elevated. 7 shows the pop-up discharge part 200 in the raised state. That is, when the pop-up power member 211 of the pop-up power unit 210 applies power, the outer housing 250 is raised. At this time, the inner housing 240 rises together, and the pop-up screw unit 230 rotates. The pop-up discharge part casing 220 is fixed and does not rise or rotate. The same is true when descending.

또한, 내부 하우징(240)과 외부 하우징(250)은 동심이며, 내부 하우징(240)은 외부 하우징(2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외부 하우징(250)은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 하우징(240)만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대적인 회전에 의하여 팝업 토출부(2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이 조절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inner housing 240 and the outer housing 250 are concentric, and the inner housing 240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outer housing 250. In detail, the outer housing 250 rotates only the inner housing 240 without being rotated. By the relative rotation,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is controlled.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내부 하우징(240)은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풍향 조절 동력부재(241), 풍향 조절 동력부재(241)에 의해 회전하는 풍향 조절 제1기어(242),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안내홈(244) 및 공기가 유동하는 개구부(245)를 포함한다. The inner housing 240 may include a wind direction control power member 241 for providing power for rotation of the inner housing 240, a wind direction control first gear 242 rotated by the wind direction control power member 241, and an inner housing ( A guide groove 244 for limi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240 and the opening 245 through which air flows.

안내홈(244)은 내부 하우징(240)의 상면에 소정의 각도만큼 구비되어, 해당 각도만큼으로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을 제한한다. 즉, 안내홈(244)에는 외부 하우징(250)의 돌출부(254)(도 9 참조)가 삽입되는데, 고정된 돌출부(254)에 대하여 회전하는 안내홈(244)이 걸리게 되므로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다. The guide groove 244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240 by a predetermined angle, thereb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inner housing 240 by the corresponding angle. That is, the guide groove 244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254 (see Fig. 9) of the outer housing 250, the rotation is limited because the guide groove 244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xed protrusion 254 is caught. .

개구부(245)는 내부 하우징(240)의 외면(즉, 측면) 중 일부에만 구비되어, 하방으로부터 유동하여 도달한 공기를 외측으로 통과시킨다. 개구부(245)가 위치한 곳으로만 공기가 통과되고, 통과된 공기는 팝업 토출 그릴(255)를 통과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풍향이 조절된다. The opening 245 is provided only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ie,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240 to allow air that flows from below to reach the outside. The air passes only to the place where the opening 245 is located, and the pass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op-up discharge grill 255. Using this principle, the wind direction is controlled.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시 내부 하우징(240)에 구비된 전체 부품이 모두 함께 회전한다. 즉, 풍향 조절 동력부재(241)에 의해 동력이 인가되면 풍향 조절 제1기어(242)가 기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이에 맞물린 풍향 조절 제2기어(252)가 고정됨에 따라 내부 하우징(240)이 외부 하우징(250)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에 따라 풍향 조절 동력부재(241)는 물론 풍향 조절 제1기어(242)도 회전한다. 즉, 풍향 조절 제1기어(242)는 기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외부 하우징(250)의 중심을 중심으로도 회전하는 것이다. When the inner housing 240 rotates, all of the parts provided in the inner housing 240 rotate together. 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by the wind direction control power member 241, the wind direction control first gear 242 rotates about the gear center axis, and the inner housing 240 is fixed as the wind direction control second gear 252 engaged thereto is fixed. ) Rotates around the center of the outer housing 250, the wind direction control power member 241 as well as the wind direction control first gear 24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inner housing 240. That is,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first gear 242 rotates about the center of the gear and also rotates about the center of the outer housing 250.

외부 하우징(250)은 승강 운동은 하지만 회전 운동을 하지 않는 구조이다. 외부 하우징(250)의 상면에는 조작부(201)가 위치할 수 있으나, 도 6 이하에서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The outer housing 250 has a structure of lifting and lowering but not rotating. The operation unit 201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250, but the illustration is omitted in FIG. 6 and below.

외부 하우징(250)은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을 돕도록 풍향 조절 제1기어(242)에 맞물리는 풍향 조절 제2기어(252), 외부 하우징(250)의 상승을 위하여 팝업 스크류(233)가 삽입되는 팝업 스크류 삽입부(253),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안내홈(244)에 삽입되는 돌출부(254),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팝업 토출 그릴(255), 및 외부 하우징(250)이 회전하지 않고 상승하도록 팝업 가이드홈(229)에 삽입되는 팝업 가이드(259)를 포함한다. The outer housing 250 is a pop-up screw 233 for raising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second gear 252, which is engaged with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first gear 242, and the outer housing 250 to help rotate the inner housing 240. Is inserted into the pop-up screw insertion portion 253, the projection 254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44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inner housing 240, the pop-up discharge grill 255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and the outer housing It includes a pop-up guide 259 is inserted into the pop-up guide groove 229 so that the 250 is raised without rotating.

풍향 조절 제2기어(25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250)의 상면 내측에 구비된다. 팝업 스크류 삽입부(253)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하우징(250)과 동심이다. 풍향 조절 제1기어(242)가 기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이에 맞물린 풍향 조절 제2기어(252)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기에, 풍향 조절 제1기어(242)가 외부 하우징(250)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내부 하우징(240)이 회전하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second gear 252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250. It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p-up screw insertion portion 253, it is concentric with the outer housing 250. Even if the wind direction control first gear 242 rotates about the gear center axis, the wind direction control second gear 252 engaged thereto is fixed without rotation, so that the wind direction control first gear 242 is the center of the outer housing 250. Rotation around the inner housing 240 is rotated accordingly.

팝업 스크류 삽입부(253)는 내측에 나사산이 구비되며, 이는 팝업 스크류(233) 외면에 구비된 나사산에 대응된다. 팝업 스크류 삽입부(253)의 내측에 삽입된 팝업 스크류 삽입부(253)가 회전하면, 나사산이 서로 맞물린 팝업 스크류 삽입부(253) 역시 회전할 수 있지만 팝업 가이드(259)와 팝업 가이드홈(229)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팝업 스크류 삽입부(253)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 하우징(250) 및 이에 연결된 내부 하우징(240)이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The pop-up screw inserting portion 253 is provided with a thread inside, which corresponds to the thread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p-up screw 233. When the pop-up screw inserting portion 253 inserted inside the pop-up screw inserting portion 253 rotates, the pop-up screw inserting portion 253 with which the thread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may also rotate, but the pop-up guide 259 and the pop-up guide groove 229 are rotated. Rotation is limited by the popup screw insertion portion 253 is raised. Accordingly, the outer housing 250 and the inner housing 240 connected thereto are raised at the same time.

돌출부(254)는 내부 하우징(240)의 안내홈(244)에 삽입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40)이 회전하더라도 돌출부(254)에 의하여 안내홈(244)이 위치하는 소정의 각도만큼으로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이 제한된다. 안내홈(244)과 돌출부(254)는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254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44 of the inner housing 240. As shown in FIG. 9, even when the inner housing 240 rotates, the rotation of the inner housing 240 is limi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here the guide groove 244 is positioned by the protrusion 254. The guide groove 244 and the protrusion 254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팝업 토출 그릴(255)은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부분이다. 필터 조립체(115)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는, 팝업 토출부 케이싱(220)의 개방된 하면을 거쳐 내부 하우징(240) 내측으로 유동하고, 개구부(240) 및 팝업 토출 그릴(255)을 통과하여 토출된다. The pop-up discharge grill 255 is a portion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assembly 115 flows through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pop-up discharge part casing 220 into the inner housing 240, and discharges through the opening 240 and the pop-up discharge grill 255. do.

팝업 가이드(259)는 팝업 가이드홈(229)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외부 하우징(250)의 외면에 구비되며,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The pop-up guide 259 is a portion inserted into the pop-up guide groove 229 and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250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

팝업 토출부의 승강 방법의 설명Explanation of lifting method of pop-up discharge part

팝업 동력부(210)의 팝업 동력부재(211)에 동력이 인가되면 팝업 제1기어(212)가 회전하고, 이에 맞물린 팝업 제2기어(232)가 회전하면서 팝업 스크류부(230) 및 이에 구비된 팝업 스크류(233)가 회전한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op-up power member 211 of the pop-up power unit 210, the pop-up first gear 212 rotates, and the pop-up second gear 232 engaged with the pop-up screw unit 230 and the pop-up screw unit 230 are provided. Pop-up screw 233 rotates.

팝업 스크류(233)가 회전하면, 나사산에 의하여 팝업 스크류(233)가 삽입된 팝업 스크류 삽입부(253) 및 외부 하우징(250)이 회전할 수 있지만, 외부 하우징(250)의 팝업 가이드(259)가 팝업 가이드홈(229)에 삽입됨으로 인해 회전 운동이 제한된 상태이다. 따라서, 팝업 스크류 삽입부(253)는 나사산을 따라 상승하게 되어 외부 하우징(250)이 상승한다. 이 때에 팝업 가이드(259) 역시 상하 방향의 홈으로 형성된 팝업 가이드홈(229)을 따라 상승한다. When the pop-up screw 233 rotates, the pop-up screw insertion portion 253 and the outer housing 250 into which the pop-up screw 233 is inserted by the thread may rotate, but the pop-up guide 259 of the outer housing 250 may rotate. The rotational movement is limited because of the insertion into the pop-up guide groove 229. Therefore, the pop-up screw insertion portion 253 rises along the thread and the outer housing 250 rises. At this time, the pop-up guide 259 also rises along the pop-up guide groove 229 formed as a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외부 하우징(250)의 상승에 따라, 이에 연결된 내부 하우징(240) 역시 함께 상승하게 된다.In addition, as the outer housing 250 rises, the inner housing 240 connected thereto also rises together.

이러한 방법으로 팝업 토출부(200)는 상승하게 되며, 하강하는 경우 역시 이와 마찬가지 원리가 적용된다.In this way,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rises, and the same principle applies when falling.

팝업 토출부의 풍향 전환 방법의 설명Explanation of the wind direction switching method of the pop-up discharge part

내부 하우징(240)의 풍향 조절 동력부재(241)의 동력에 의해 풍향 조절 제1기어(242)가 회전하면, 외부 하우징(250)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하지 않는 풍향 조절 제2기어(252)에 맞물려 있기에 풍향 조절 제1기어(242)가 풍향 조절 제2기어(252)의 중심, 즉 외부 하우징(250)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풍향 조절 제1기어(242)는 내부 하우징(240)에 구비되었기에, 내부 하우징(240)이 외부 하우징(250)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first gear 242 is rotated by the power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power member 241 of the inner housing 240, the wind direction control second gear 252 is firmly fixed to the outer housing 250 and does not rotate. Sinc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first gear 242 rotates about the center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second gear 252, that is, the center of the outer housing 250. Since the first wind gear 242 is provided in the inner housing 240, the inner housing 240 rotates about the center of the outer housing 250.

다만, 외부 하우징(250)의 돌출부(254)가 내부 하우징(240)의 안내홈(244)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안내홈(244)이 형성된 소정의 각도만큼으로 회전 범위는 제한된다. However, since the protrusion 254 of the outer housing 25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44 of the inner housing 240, the rotation range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angle at which the guide groove 244 is formed.

이러한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으로 풍향이 전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wind direction may be switched by the rotation of the inner housing 240.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팝업 토출 그릴(255)이 방사상 전체에 걸쳐 위치하며, 개구부(245)가 방사상 일부 각도에 걸쳐서만 위치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45)는 방사상 약 70도 정도의 각도로만 위치하는데, 이러한 각도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pop-up discharge grille 255 is located throughout the radial position and the opening 245 is located only over some radial angle. As shown in Figures 8 to 10, the opening 245 is located only at an angle of about 70 degrees radially, of course, this angle can be changed as much.

도 10과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큰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될 것이다. 이 때에 내부 하우징(240)이 작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개구부(245)의 위치가 변경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이 변경된다. In a state arranged as shown in FIG. 10, air will be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large arrow shown in FIG. 10. At this time, if the inner housing 240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small arrow, the position of the opening 245 is changed to change the wind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팝업 토출부의 다른 실시예Another embodiment of the pop-up discharge portion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팝업 토출부(2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면, 팝업 토출 그릴(255)과 개구부(245)의 위치만 변경된 실시예이다.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ly the positions of the pop-up discharge grill 255 and the opening 245 are changed.

팝업 토출 그릴(255)이 방사상 일부 각도에 걸쳐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13을 기준으로 총 4개의 영역에 팝업 토출 그릴(255)이 위치한다. The pop-up discharge grille 255 is positioned over some radial ang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op-up discharge grille 255 is positioned in four areas based on FIG. 13.

개구부(245)는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 그룹은, 팝업 토출 그릴(255)이 위치하는 방사상 일부 각도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개구부(245a~245d)이다. 두 번째 그룹은, 그러한 개구부(245a~245d)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245f)로서, 다시 말해 팝업 토출 그릴(255)이 위치하지 않는 각도에 위치하는 개구부(245f)이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구부(245a~245d)는 4개이고, 개구부(245f)는 1개이나,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opening 245 i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is the openings 245a to 245d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adial partial angles at which the pop-up discharge grille 255 is located. The second group is an opening 245f located between such openings 245a to 245d, that is, an opening 245f located at an angle at which the pop-up discharge grill 255 is not locat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there are four openings 245a to 245d, and one opening 245f is not limited in number.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그룹의 개구부(245a~245d)가 팝업 토출 그릴(255)의 각각의 위치에 상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큰 화살표 방향과 같이 방사상 전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전방향 토출 모드가 실행된다.As shown in FIG. 13, in the state where the openings 245a to 245d of the first group ar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sitions of the pop-up discharge grille 255, they may be discharged in the radially forward direction as in the large arrow direction. . That is, the omnidirectional discharge mode is executed.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에 의하여 개구부의 배치가 달라지만 두 번째 그룹의 개구부(245f)만이 팝업 토출 그릴(255) 중 일부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오직 개구부(245f)의 위치로만 공기가 토출된다. 첫 번째 그룹의 개구부(245a~245d)에 대응되는 외부 하우징(250)에는 팝업 토출 그릴(255)이 위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집중 토출 모드가 실행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내부 하우징(240)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도 회전하면 도면을 기준으로 위쪽으로만 공기가 토출되어 집중 토출이 이루어질 것이다. Although the arrangement of the openings is changed by the rotation of the inner housing 240, only the opening 245f of the second group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pop-up discharge grills 255. At this time, air is discharged only to the position of the opening portion 245f. This is because the pop-up discharge grille 255 is not positioned in the outer housing 250 corresponding to the openings 245a to 245d of the first group. That is, the concentrated discharge mode is execut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when the inner housing 240 rotates about 90 degrees counterclockwise, the air is discharged only upwards based on the drawing, so that the concentrated discharge may be performed.

이와 같은 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토출부(120)와 팝업 토출부(200) 중 어느 토출부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모드와 결합됨으로써, 간단한 기계적 구조만으로도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하게 맞춤형 공기 청정을 제공할 수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Such a mode is combined with a mode for which one of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and the pop-up discharge part 200 to be used as described above, thereby providing a user with a variety of customized air cleaning with a simple mechanical structure. It is especially preferable.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케이싱
110: 흡기부
115: 필터 하우징
120: 상부 토출부
121: 상부 토출 그릴
125: 토출부 하우징
126: 팝업 토출부 삽입부
131: 팬 조립체
132: 팬 하우징
141: 유로 전환 동력부
142: 유로 전환 부재
150: 유로 가이드
200: 팝업 토출부
201: 조작부
210: 팝업 동력부
211: 팝업 동력부재
212: 팝업 제1기어
220: 팝업 돌출부 케이싱
221: 고정부
229: 팝업 가이드홈
230: 팝업 스크류부
232: 팝업 제2기어
233: 팝업 스크류
240: 내부 하우징
241: 풍향 조절 동력부재
242: 풍향 조절 제1기어
244: 안내홈
245: 개구부
250: 외부 하우징
252: 풍향 조절 제2기어
253: 팝업 스크류 삽입부
254: 돌출부
255: 팝업 토출 그릴
259: 팝업 가이드
100: casing
110: intake section
115: filter housing
120: upper discharge part
121: upper discharge grill
125: discharge part housing
126: pop-up discharge portion inserting portion
131: fan assembly
132: fan housing
141: euro switching power unit
142: flow path switching member
150: Euro guide
200: pop-up discharge portion
201: control panel
210: pop-up power unit
211: popup power member
212: pop-up first gear
220: pop-up protrusion casing
221: fixed part
229: pop-up guide groove
230: pop-up screw portion
232: pop-up second gear
233: pop-up screw
240: inner housing
241: wind direction control power member
242: wind direction control first gear
244: Home
245: opening
250: outer housing
252: second wind direction gear
253: pop-up screw insert
254: protrusion
255: pop-up discharge grill
259: Popup Guide

Claims (19)

내측에 필터 조립체(115) 및 팬 조립체(131)가 구비된 케이싱(100); 및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의 일 부분에 위치하며 상승 가능한 팝업 토출부(200)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로서,
상기 팝업 토출부(200)는,
팝업 토출 그릴(255)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250); 및
상기 외부 하우징(250)과 동심으로 그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2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외면 중 일부에 개구부(245)가 구비되는 내부 하우징(240)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조립체(115)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상기 팝업 토출 그릴(255)과 상기 개구부(245)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 청정기.
A casing 100 having a filter assembly 115 and a fan assembly 131 therein; And
An air purifier including a pop-up discharge unit 200 which is located on a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casing 100 and rises,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An outer housing 250 including a pop-up discharge grill 255; And
It is located in the inner concentric with the outer housing 250, the inner housing 240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outer housing 250, the opening 245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assembly 11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op-up discharge grill 255 and the opening 245,
air clea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토출부(200)는,
회전 가능하며 외측에 나사산이 구비된 팝업 스크류(233)를 구비한 팝업 스크류부(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250)은, 상기 팝업 스크류(233)가 삽입되며 내측에 나사산이 구비된 팝업 스크류 삽입부(253)을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It further comprises a pop-up screw 230 having a pop-up screw 233 is rotatable and provided with a thread on the outside,
The outer housing 250 further includes a pop-up screw inserting portion 253 in which the pop-up screw 233 is inserted and a thread is provided inside.
air clean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토출부(200)는,
상기 외부 하우징(250)이 삽입 가능한 팝업 토출부 케이싱(2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250)은 그 외측으로 돌출된 팝업 가이드(259)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 토출부 케이싱(220)은, 그 내면에서 상하 방향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팝업 가이드(259)가 삽입되는 팝업 가이드홈(229)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The outer housing 250 further includes a pop-up discharge portion casing 220 can be inserted,
The outer housing 250 includes a pop-up guide 259 protruding outwardly thereof,
The pop-up discharge part casing 220 is formed as a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and includes a pop-up guide groove 229 into which the pop-up guide 259 is inserted.
air clean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토출부(200)는,
팝업 동력부재(211) 및 이에 의해 회전하는 팝업 제1기어(212)를 구비한 팝업 동력부(2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팝업 스크류부(230)는 상기 팝업 제1기어(212)에 맞물리는 팝업 제2기어(232)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It further comprises a pop-up power unit 210 having a pop-up power member 211 and the pop-up first gear 212 rotated thereby,
The pop-up screw unit 230 includes a pop-up second gear 232 meshed with the pop-up first gear 212,
air clea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동력부재(211)에 동력이 인가되면 상기 팝업 제1기어(212)가 회전하고, 이에 맞물린 상기 팝업 제2기어(232)가 회전하면서 상기 팝업 스크류부(230) 및 이에 구비된 상기 팝업 스크류(233)가 회전하며,
상기 팝업 가이드(259)가 삽입되는 상기 팝업 가이드홈(229)에 의해 상기 외부 하우징(250)의 회전 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팝업 스크류(2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팝업 스크류(233)의 나사산에 맞물린 나사산을 구비한 상기 팝업 스크류 삽입부(253)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외부 하우징(250)이 상승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op-up power member 211, the pop-up first gear 212 rotates, and the pop-up second gear 232 engaged with the pop-up screw unit 230 and the pop-up provided therein are rotated. Screw 233 rotates,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er housing 250 is limited by the pop-up guide groove 229 into which the pop-up guide 259 is inserted, the thread of the pop-up screw 233 is rotated by the pop-up screw 233. As the pop-up screw insert 253 with the thread engaged with it rises, the outer housing 250 rises,
air clean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250)의 상승시,
상기 내부 하우징(240)이 함께 상승하고, 상기 팝업 스크류부(230)는 회전하고, 상기 팝업 토출부 케이싱(220)은 고정되어 있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outer housing 250 is raised,
The inner housing 240 is raised together, the pop-up screw 230 is rotated, the pop-up discharge casing 220 is fixed,
air clea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240)은 풍향 조절 동력부재(241) 및 이에 의해 회전하는 풍향 조절 제1기어(242)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250)은, 상기 외부 하우징(25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풍향 조절 제1기어(242)에 맞물리며 상기 외부 하우징(250)과 동심인 풍향 조절 제2기어(252)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housing 240 includes a wind direction control power member 241 and thereby the wind direction control first gear 242,
The outer housing 250 further includes a wind direction adjusting second gear 252 fixed to the outer housing 250 and engaged with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first gear 242 and concentric with the outer housing 250. ,
air clean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240)의 상면에 소정의 각도만큼 구비되는 안내홈(244)이 위치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25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안내홈(244)에 삽입되는 돌출부(254)가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uide groove 244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240 by a predetermined angle,
Located i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250 and the protrusion 254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44 is located,
air clean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절 동력부재(241)의 동력에 의해 상기 풍향 조절 제1기어(242)가 회전하면, 고정된 상기 풍향 조절 제2기어(252)에 의해 상기 풍향 조절 동력부재(241) 및 상기 풍향 조절 제1기어(242)와 함께 상기 내부 하우징(240)이 상기 외부 하우징(250)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상기 돌출부(254)에 의하여 상기 안내홈(244)의 상기 소정의 각도만큼으로 회전이 제한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first gear 242 is rotated by the power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power member 241, the wind direction control power member 241 and the wind direction control by the fixed wind direction control second gear 252. The inner housing 240 rotates about the center of the outer housing 250 together with the first gear 242, and rotates by the protrusion 254 by the predetermined angle of the guide groove 244. Is limited,
air cleaner.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토출 그릴(255)이 방사상 전체에 걸쳐 위치하며,
상기 개구부(245)가 방사상 일부 각도에 걸쳐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pop-up discharge grill 255 is located throughout the radial,
Wherein the opening 245 is located over some radial angle,
air clean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245)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 청정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전환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0,
By the rotation of the inner housing 240,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leaner while the opening 245 is rotated,
air cleaner.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토출 그릴(255)이 방사상 일부 각도에 걸쳐 위치하며,
상기 개구부(245)는,
상기 방사상 일부 각도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다수의 개구부(245a~245d)와, 방사상으로 상기 다수의 개구부(245a~245d) 사이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개구부(245f)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pop-up discharge grille 255 is positioned over some radial angle,
The opening 245 is,
Comprising a plurality of openings (245a ~ 245d)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dial partial angle, and one or more openings (245f) located radially between the plurality of openings (245a ~ 245d),
air clean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2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팝업 토출 그릴(255) 상기 개구부(245a~245d)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전방향 토출 모드와, 상기 개구부(245f)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집중 토출 모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2,
By the rotation of the inner housing 240,
An omnidirectional discharge mod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pop-up discharge grills 255 and the openings 245a to 245d and a concentrated discharge mod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s 245f are selectively formed.
air cleaner.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는,
상기 케이싱(100)의 상기 상면의 다른 일 부분에 위치하는 상부 토출부(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토출부(120)는 상기 필터 조립체(115)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방으로 토출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air purifier,
And further comprising an upper discharge part 120 positioned at anoth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100, wherein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discharges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assembly 115 upwards. ,
air clean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토출부(120)만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
상기 팝업 토출부(200)만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 및
상기 상부 토출부(120)와 상기 팝업 토출부(200)가 함께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4,
A mode in which only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discharges air;
A mode in which only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discharges air, and
The upper discharge unit 120 and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is controlled in any one of the modes for discharging air together,
air clean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측 상부에 토출부 하우징(125)이 위치하고,
상기 토출부 하우징(125)의 일부분에 상기 상부 토출부(120)가 위치하고 다른 일부분에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가 위치하며, 상기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에 상기 팝업 토출부(200)가 상승 가능하게 삽입되어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4,
Discharge part housing 125 is locat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air cleaner,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is positioned in a part of the discharge part housing 125, and a pop-up discharge part inserter 126 is positioned in another part, and the pop-up discharge part 200 is in the pop-up discharge part inserter 126. ) Is inserted and positioned to rise,
air clean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 하우징(125)의 하면에 유로 가이드(150)가 위치하고,
상기 유로 가이드(150)의 상부 일측은 상기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와의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 가이드(150)의 상부 다른 일측은 상기 상부 토출부(120)와의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 가이드(150)의 하부는 상기 팬 조립체(131)와의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6,
The flow path guide 150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housing 125,
One upper portion of the flow guide 150 forms a passage with the pop-up discharge portion inserting portion 126, and the other upper portion of the flow guide 150 forms a passage with the upper discharge portion 120.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path guide 150 forms a passage with the fan assembly 131,
air cleaner.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150) 내측에 유로 전환 부재(142)가 위치하며,
상기 유로 전환 부재(142)는 상기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와의 연통을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토출부(120)와의 연통을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팝업 토출부 삽입부(126) 및 상기 상부 토출부(120) 모두와의 연통을 차단하지 않도록 회동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7,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42 is located inside the flow path guide 150,
The flow path switching member 142 blocks the communication with the pop-up discharge part inserter 126 or blocks the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discharge part 120 or the pop-up discharge part inserter 126 and the upper part. Rotating so as not to block communication with all of the discharge portion 120,
air cleaner.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토출부(200)의 상승 정도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되며, 자동으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팬 조립체(130)에 구비된 팬의 RPM에 상응하게 상승 정도가 제어되고, 수동으로 제어되는 경우 조작부(201)에 구비된 버튼의 제어에 상응하게 상승 정도가 제어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rising degree of the pop-up discharge unit 200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led, and if the rising degree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RPM of the fan provided in the fan assembly 130 is controlled automatically, if the operation unit is controlled manually Ascending degree is controlle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of the button provided in the 201,
air cleaner.
KR1020180077267A 2018-07-03 2018-07-03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pop-up discharging part capable of controlling discharge direction KR202000041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267A KR20200004167A (en) 2018-07-03 2018-07-03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pop-up discharging part capable of controlling discharge di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267A KR20200004167A (en) 2018-07-03 2018-07-03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pop-up discharging part capable of controlling discharge dir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167A true KR20200004167A (en) 2020-01-13

Family

ID=6915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267A KR20200004167A (en) 2018-07-03 2018-07-03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pop-up discharging part capable of controlling discharge dir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416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993A (en) * 2020-05-11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er
KR20220144711A (en) 2021-04-20 2022-10-27 코웨이 주식회사 Air cleaner
EP4306856A1 (en) * 2022-07-14 2024-01-1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993A (en) * 2020-05-11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er
KR20220144711A (en) 2021-04-20 2022-10-27 코웨이 주식회사 Air cleaner
EP4306856A1 (en) * 2022-07-14 2024-01-1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4714B2 (en) Air purifier
KR20200004167A (en)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pop-up discharging part capable of controlling discharge direction
JP6884977B2 (en) Air purifier with bidirectional fans in different discharge directions
EP3711842B1 (en) Air purifier
WO2017041698A1 (en) Top cover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adjustment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adjustment apparatus
CN114051575B (en) air purifier
KR102358334B1 (en) Air Cleaner
KR101916887B1 (en) Air cleaner with adjustable wind direction
KR20170057028A (en) Air blower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KR20220007363A (en) Air Cleaner
KR20170064778A (en) Air cleaner
CN109209946B (en) Fan
US20140357180A1 (en) Air cleaner
WO2018235947A1 (en)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KR20170064784A (en) Air cleaner
KR101995119B1 (en) window-mounted air purifier
KR20200108235A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20200112596A (en) Air purifier
KR102587028B1 (en) Air Processing Apparatus
KR20210125303A (en) Air Cleaner
KR100527357B1 (en) Air cleaner opening and closing inhalation hole
KR200462780Y1 (en) By-Pass Type Ventilation Unit
KR20240053404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20070033828A (en) Ventilation cleaning device
KR20210003624A (en) Ai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