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141A -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141A
KR20200004141A KR1020180077219A KR20180077219A KR20200004141A KR 20200004141 A KR20200004141 A KR 20200004141A KR 1020180077219 A KR1020180077219 A KR 1020180077219A KR 20180077219 A KR20180077219 A KR 20180077219A KR 20200004141 A KR20200004141 A KR 20200004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device
sensor
output mo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동
Original Assignee
십일번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십일번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십일번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4141A/ko
Publication of KR2020000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은, 제 1 음향 장치와 제 2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음향 장치의 제 1 센서로부터의 제 1 센서 정보와 제 2 음향 장치의 제 2 센서로부터의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 동안의 제 1 센서 정보 및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음향 장치와 제 2 음향 장치 각각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회전각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FOR CONTROLLING AN OUTPUT MODE OF AN AUDIO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기기의 사용 상태에 따라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전자 장치의 휴대성이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이동 중에도 전자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전자 장치는 통화, 사운드 청취, 인터넷 서핑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동 중인 사용자는 사운드(sound) 청취와 같이 전자 장치를 직접적으로 바라보지 않고도 사용 가능한 전자 장치의 기능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사운드 청취의 기능은 전자 장치 자체에 내장된 음향 기기를 통해 음향이 출력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고,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외부의 음향 기기를 통해 음향이 출력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다. 외부의 음향 기기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자만이 사운드를 청취하기 위한 이어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양 쪽 귀에 각각 접촉될 수 있는 2개의 스피커(이하 음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2개의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양 쪽 귀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만 직접적으로 사운드 청취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음향이 복수의 음향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이어폰과 같은 음향 기기가 사용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운드를 보다 입체감 있게 전달하기 위해 스테레오(stereo) 모드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스테레오 모드는 하나의 음향을 복수의 음향 장치 각각에 일부씩 나누어서 재생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사운드의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음향 출력 방식이다. 전자 장치는 스테레오 모드와 함께 모노 모드로도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모노 모드는 일반적인 사운드 재생 방식, 즉 하나의 음향을 하나 이상의 음향 장치를 이용하여 동일하게 출력하는 방식이다. 전자 장치가 이러한 두개의 방식으로 음향을 출력하여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 또는 초기 설정에 따라 음향 출력 방식이 결정된다.
한편,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사용자의 양 쪽 귀에 각각 삽입된 음향 장치 중 하나는 사용자의 귀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한 쪽 귀로만 음향을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나머지 한 쪽 귀에 삽입된 음향 장치를 사용자의 귀에서 분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음향 기기를 이용하여 사운드를 다른 사용자와 함께 듣고자 하는 경우, 이어폰의 한 쪽 음향 장치를 사용자의 귀에서 분리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 설정된 사운드 재생 방식이 스테레오 모드이면, 각각의 음향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래의 사운드를 제대로 청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쪽의 음향 장치만을 사용하는 경우 사운드 재생 방식을 변경하는 입력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611929호, 센서가 내장된 이어폰 및 이를 이용한 재생 장치 (2016년04월18일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입력 없이 음향 기기에 포함된 복수의 음향 장치의 사용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음향 출력 모드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바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은, 제 1 음향 장치와 제 2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음향 장치의 제 1 센서로부터의 제 1 센서 정보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제 2 센서로부터의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제 1 센서 정보 및 상기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각각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각 및 상기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모두가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센서 정보는 상기 제 1 음향 장치의 요(yaw), 롤(roll), 피치(pitch)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서 정보는,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요, 롤, 피치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회전각이 소정의 회전각 이하이고,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이동 거리가 소정의 이동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모두가 상기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각각의 회전각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이고,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각각의 이동 거리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모두가 상기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 1 센서 정보는 상기 제 1 음향 장치의 방위각(azimuth)에 대한 정보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서 정보는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방위각 정보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제 1 음향 장치의 방위각과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방위각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제 1 음향 장치 또는 상기 제 2 음향 장치가 상기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기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모두가 상기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 모드를 스테레오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음향 장치 또는 상기 제 2 음향 장치가 상기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모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음향 장치와 제 2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음향 모드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음향 장치의 제 1 센서로부터의 제 1 센서 정보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제 2 센서로부터의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제 1 센서 정보 및 상기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각각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회전각 및 상기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모두가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 모드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1 센서 정보는, 상기 제 1 음향장치의 요(yaw), 롤(roll), 피치(pitch)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서 정보는, 상기 제 2 음향장치의 요, 롤, 피치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향 기기는 이어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음향 기기의 제 1 음향 장치에 대한 제 1 센서로부터의 제 1 센서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제 2 음향 장치에 대한 제 2 센서로부터의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제 1 센서 정보 및 상기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각각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각 및 상기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음향 장치 각각에 포함된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음향 장치 각각의 사용 상태를 식별함으로써 적절한 음향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음향 장치 각각의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음향 장치 각각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를 산출함으로써 복수의 음향 장치 각각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장치와 음향 기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장치와 음향 기기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방법의 각 단계의 흐름의 예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방법의 각 단계의 흐름의또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센서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센서 정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음향 장치 각각의 센서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장치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적어도 일부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하이브리드 구현 방식으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재구성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머신(machine)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특징들 및/또는 기능성들 중 적어도 일부는 최종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 컴퓨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assistant), 모바일 전화기, 스마트폰, 랩탑, 태블릿 컴퓨터 또는 그와 유사한 것), 소비자 전자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전자 디바이스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범용 네트워크 호스트 머신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장치와 음향 기기의 예를 도시한다. 음향 모드 제어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도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상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 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성되어 상술된 예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기기(103)는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와 연결되어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음향 기기(103)는, 예를 들면, 음향 출력을 가능케하는 복수의 음향 장치(또는 스피커)(101, 102)를 포함하는 이어폰일 수 있다. 도 1의 복수의 음향 장치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은 음향 기기(103)의 사용자의 귀에 한 쪽씩 각각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음향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 따르면,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음향 기기(103)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외부의 장치인 음향 기기(103)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connector),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커넥터,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 SD(secure digital)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headphone)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커넥터를 통해 음향 기기(103)와 유선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일부가 하나의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경우, 각각의 통신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 모듈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음향 기기(103)와의 유선 연결에 기반하여 음향 기기(103)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 기기(103)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음향 기기(103)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BT),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음향 기기(103)와 무선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일부가 하나의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경우, 각각의 통신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 모듈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음향 기기(103)와의 무선 연결에 기반하여 음향 기기(103)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 기기(10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장치와 음향 기기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2의 설명에서는 도 1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와 음향 기기(103)는 연결(예: 유선 연결 또는 무선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다양한 정보는 예를 들면, 음향 기기(103)의 센서 정보 또는 음향 기기(103)의 모드 정보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음향 기기(103)는 제 1 센서(또는 제 1 센서)(206), 제 2 센서(또는 제 2 센서)(207) 및 출력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206)는 음향 기기(103)의 제 1 음향 장치(101)의 상태를 식별하여 센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센서(206)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센서(206)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또는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206)는 6축 센서 또는 9축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센서(206)가 6축 센서로 구성된 경우, 제 1 센서(206)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206)가 9축 센서로 구성된 경우, 제 1 센서(206)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gyro) 센서는 회전하는 물체의 역학 운동을 이용하여 위치 또는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는 자이로스코프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이로 센서가 회전 운동하여 생기는 회전 반발력을 측정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경하여 센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이로 센서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물체(예: 제 1 음향 장치(101))의 위치나 자세를 나타내는 센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에 의해 생성된 센서 정보는 물체의 요(yaw), 롤(roll), 피치(pitch)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 및 자이로 센서의 센서 정보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할 수하여 있는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는, 질량이 있는 물체의 속도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가속도에 따른 힘을 측정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경하여 센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물체(예: 제 1 음향 장치(101))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센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에 의해 생성된 센서 정보는 물체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지자기 센서(또는 지자계 센서)는 지구와 지구 주위에 나타나는 자석과 같은 자성을 지칭하는 지자기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는 지자기의 방향을 측정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경하여 센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자기 센서는 지자기의 방향, 즉 자북을 기준으로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물체의 위치 또는 방향을 나타내는 센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에 의해 생성된 센서 정보는 물체의 방위각(azimuth)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지자기 센서 및 지자기 센서의 센서 정보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206)는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기 위한 심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심박 센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심장이 몇번 뛰는지, 즉 심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 인체에 접촉됨으로써 심박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206)는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GPS는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센서(206)는 상술한 센서를 통해 생성된 센서 정보(이하 제 1 센서 정보)를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센서(206)는 제 1 센서 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제 1 센서 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2 센서(207)는 음향 기기(103)의 제 2 음향 장치(102)의 상태를 식별하여 센서 정보(이하 제 2 센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센서(207)는 제 1 센서(206)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센서(207)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또는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센서(207)는 6축 센서 또는 9축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센서(207)가 6축 센서로 구성된 경우, 제 2 센서(207)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센서(207)가 9축 센서로 구성된 경우, 제 2 센서(207)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센서(207)는 상술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회전각, 이동 거리, 또는 방위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제 2 센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센서(207)에 포함된 센서의 종류는 상술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회전각, 이동 거리, 또는 방위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센서 정보를 제 2 센서 정보로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206) 및 제 2 센서(207) 각각에는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기 위한 심박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심박 센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심장이 몇번 뛰는지, 즉 심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인체에 접촉됨으로써 심박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센서(206)는 제 1 음향 장치(101)가 접촉된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할 수 있고, 제 2 센서(207)는 제 2 음향 장치(102)가 접촉된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할 수 있다.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가 한 명의 사용자에게 접촉되어 있는 경우, 제 1 센서(206)와 제 2 센서(207)의 센서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반면에,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가 한 명의 사용자에게 접촉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1 센서(206)와 제 2 센서(207)의 센서 정보는 상이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음향 장치(101)는 사용자의 한 쪽 귀에 접촉되어 있고, 제 2 음향 장치(102)는 사용자에게서 분리 되어 있는 경우, 제 1 음향 장치(101)의 센서 정보는 사용자의 심박을 나타내는 센서값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제 2 음향 장치(102)의 센서 정보는 0의 값, 즉 아무런 정보를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206) 및 제 2 센서(207) 각각에는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센서(206)는 제 1 센서(206)가 포함된 제 1 음향 장치(101)의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센서(207)는 제 2 센서(207)가 포함된 제 2 음향 장치(102)의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센서(206)에 의해 생성된 제 1 센서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와 제 2 센서(207)에 의해 생성된 제 2 센서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 사이의 간격은 사용자의 두 귀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사람에 따라 사용자의 두 귀 사이의 간격은 다를 수 있으므로, 제 1 센서 정보와 제 2 센서 정보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가 한 명의 사용자에게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206) 및 제 2 센서(207) 각각에는 제스처 센서, 기압 센서, 그립(grip)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 센서는 센서에 근접한 물체가 있는 지 여부를 식별하여 그에 따른 센서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일 수 있다. 제스처 센서는 제스처 센서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근접한 물체가 있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그립 센서는 그립 센서를 포함하는 물체에 대해 사용자의 그립, 즉 압력 및 터치(touch)가 가해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컬러 센서는 컬러 센서가 감지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색상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온도 센서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습도 센서는 습도 센서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 일 수 있다. 조도 센서는 조도 센서 주변의 광량 또는 빛의 세기, 즉 얼마나 밝은 지 혹은 얼마나 어두운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206)와 제 2 센서(207)는 동일한 종류의 센서로 구성될 수 도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 1 센서(206)와 제 2 센서(207)는 동일한 센서로 구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 1 센서(206)와 제 2 센서(207)를 통해 생성되는 센서 정보(예: 제 1 센서 정보와 제 2 센서 정보)의 종류는 동일할 수 있다.
출력부(208)는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음향(또는 음향 신호)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08)는 예를 들면,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일 수 있다. 출력부(208)는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인 음향을 아날로그 신호인 사운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208)는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로부터 스테레오 모드의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출력부(208)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에 수신된 음향 신호를 나누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08)는 제 1 음향 장치(101)를 통해 출력될 제 1 음향 신호는 제 1 음향 장치(101)를 통해 출력하고, 제 2 음향 장치(102)를 통해 출력될 제 2 음향 신호는 제 2 음향 장치(10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을 통해 출력될 음향 신호는 서로 다를 수 있고, 이러한 음향 신호에 대한 정보는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로부터 미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스테레오 모드에서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을 통해 출력될 음향 신호에 대한 정보는 음향을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미리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음향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출력부(208)에 전달함으로써 스테레오 모드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208)는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로부터 모노 모드의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모노 모드의 음향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재생 방식으로써 제공되는 음향을 그대로 출력하는 방식을 지칭한다. 이로 인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에는 동일한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출력되는 음향은 제공되는 원래의 음향 그 자체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수신부(202), 정보 산출부(203), 출력 모드 제어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02)는 음향 기기(103)와의 연결에 기반하여 음향 기기(103)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02)는, 음향 기기(103)가 복수의 음향 장치(예: 제 1 음향 장치(101) 및 제 2 음향 장치(102))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음향 장치 각각으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부(202)는 제 1 음향 장치(101)의 제 1 센서(206)로부터 제 1 센서 정보 및 제 2 음향 장치(102)의 제 2 센서(207)로부터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산출부(203)는 제 1 센서 정보 및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정보 산출부(203)는, 실시예에 따라,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의 방위각을 또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산출부(203)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의 회전각의 차이, 가속도의 차이, 이동 거리의 차이, 및 방위각의 차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제 1 센서(206)와 제 2 센서(207)에 각각 심박 센서가 포함된 경우, 정보 산출부(203)는 제 1 센서(206)와 제 2 센서(207)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심박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제 1 센서(206)와 제 2 센서(207)에 각각 GPS 센서가 포함된 경우, 정보 산출부(203)는 위치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회전각에 대한 정보 및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1 음향 장치(101)와 제2 음향 장치(102)의 회전각에 대한 정보 및 이동 거리(또는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복합적으로 판단하여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1 음향 장치(101)와 제2 음향 장치(102)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또는 가속도)에 대한 정보가 한 객체에 붙어 있는 경우에 나올 수 있는 값인 지 여부를 판단하여 음향 기기(103)의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한 객체에 붙어 있는 경우에 나올 수 있는 값은 미리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회전각, 이동 거리, 및 방위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가 산출되는 경우, 산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가 모두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의 회전각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하이고,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의 이동 거리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하인 경우,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206)와 제 2 센서(207)에 각각 심박 센서가 포함된 경우,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 1 센서(206)와 제 2 센서(207) 각각의 사용자의 심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동일한 시간에 대한 심박이 서로 동일한 경우,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206)와 제 2 센서(207)에 각각 GPS 센서가 포함된 경우,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 1 센서(206)와 제 2 센서(207)의 위치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동일한 시간에 대한 위치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실시예에 따라,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소정의 시간 구간 별로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의 센서 정보를 비교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 구간(예: 3초)은 미리 지정된 값일 수 있고,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획득된 센서 정보를 적분하여 소정의 시간 구간에 대한 센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비교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 사용자에게 접촉 되어 있는 상태는, 사용자가 음향 기기(103)를 혼자 사용하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을 사용자의 양 쪽 귀에 삽입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에 의한 사운드를 청취하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반면에,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게 접촉 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사용자가 음향 기기(103)에 포함된 복수의 음향 장치 중 하나만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중 하나를 사용자의 한 쪽 귀에 삽입하여 삽입된 음향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에 의한 사운드를 청취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한 쪽 귀로만 청음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는 한 쪽 귀에만 음향 장치를 삽입하여 들을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하나의 음향 기기(103)를 이용하여 함께 사운드를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 음향 기기(103)의 복수의 음향 장치 중 하나의 음향 장치(예: 제 1 음향 장치(101))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음향 장치(예: 제 2 음향 장치(102))는 다른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음향 기기(103)에 포함된 복수의 음향 장치 중 하나만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는 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상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으면, 스테레오 모드로 음향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모노 모드로 음향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결정된 모드에 따른 음향을 음향 기기(103)에 전송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출력 모드가 스테레오 모드로 결정되는 경우,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로 나누어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을 전송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출력 모드가 모노 모드로 결정되는 경우, 나누어 지지 않은 원래의 음향이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에 출력되도록 음향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 및 음향 기기(103)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음향 기기(103)의 사용 양태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향 기기(103)를 통한 음향 출력 모드를 사용자가 직접 변경 또는 제어하기에는 추가적인 동작이 요구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제어 장치(100) 및 그 방법은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만족도 높은 사운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제어 장치(100) 및 그 방법은, 음향 기기(103)에 포함된 복수의 음향 장치 각각에 삽입된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센서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음향 기기(103)의 사용 양태를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자동적으로 파악된 사용 양태에 따라 음향 출력 제어 장치(100) 및 그 방법은 음향 출력 모드를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변경 또는 제어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방법의 각 단계의 흐름을 도시한다. 이하 도 3에서는 도 1 또는 도 2에 서술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이 생략될 수 있다.
수신부(202)는 제 1 음향 장치(101)의 제 1 센서(206)로부터 제 1 센서 정보 및 제 2 음향 장치(102)의 제 2 센서(207)로부터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1). 수신부(202)는 음향 기기(103)와 무선 또는 유선 연결에 의해 제 1 센서 정보 및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02)는 제 1 센서 정보 및 제 2 센서 정보를 순차적으로 또는 순서에 무관하게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신부(202)는 제 1 센서 정보 또는 제 2 센서 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거나, 제 1 센서 정보 또는 제 2 센서 정보의 생성에 따라 즉시 생성된 제 1 센서 정보 또는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02)에 의해 수신된 제 1 센서 정보 또는 제 2 센서 정보 각각은 예를 들면, 요(yaw), 롤(roll), 피치(pitch) 정보, 가속도 정보, 및 방위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정보에 대한 예는 도 5,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할 수 있다.
정보 산출부(203)는 소정 시간 동안의 제 1 센서 정보 및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S102). 제 1 센서 정보 및 제 2 센서 정보 각각에 방위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정보 산출부(203)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의 방위각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산출부(203)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의 회전각의 차이, 가속도의 차이, 이동 거리의 차이, 및 방위각의 차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산출부(203)는 제 1 센서(206) 및 제 2 센서(207)가 6축 센서를 포함하고 이로 인해 제 1 센서 정보 및 제 2 센서 정보 각각에 회전각 및 가속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의 회전각의 차이, 가속도의 차이, 및 이동 거리의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정보 산출부(203)는 제 1 센서(206) 및 제 2 센서(207)가 9축 센서를 포함하고 이로 인해 제 1 센서 정보 및 제 2 센서 정보 각각에 방위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의 방위각의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산출부(203)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의 회전각의 차이, 가속도의 차이, 이동 거리의 차이, 및 방위각의 차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회전각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S103).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회전각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1 음향 장치(101)와 제2 음향 장치(102)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또는 가속도)를 복합적으로 판단하여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1 음향 장치(101)와 제2 음향 장치(102)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또는 가속도)가 한 객체에 붙어 있는 경우에 나올 수 있는 값인 지 여부를 판단하여 음향 기기(103)의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한 객체에 붙어 있는 경우에 나올 수 있는 값은 미리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일 실시예에서,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회전각에 대한 정보,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 및 방위각에 대한 정보가 산출되는 경우, 회전각에 대한 정보와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 및 방위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가 모두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의 회전각이 소정의 회전각 이하이고,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의 이동 거리가 소정의 이동 거리 이하인 경우,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는,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의 회전각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하이고,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의 이동 거리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하인 경우,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실시예에 따라,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소정의 시간 구간 별로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의 센서 정보를 비교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3초 간격으로, 수신된 제 1 음향 장치(101)의 센서 정보와 제 2 음향 장치(102)의 센서 정보를 비교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예: 스테레오 모드, 모노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드 제어부(205)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스테레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중 하나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모노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결정된 모드에 따른 음향을 음향 기기(103)에 전송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출력 모드가 스테레오 모드로 결정되는 경우,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에 나누어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을 전송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출력 모드가 모노 모드로 결정되는 경우, 나누어 지지 않은 원래의 음향이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에 출력되도록 음향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방법의 각 단계의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S103)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4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이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신부(202)는 제 1 음향 장치(101)의 제 1 센서(206)로부터 제 1 센서 정보 및 제 2 음향 장치(102)의 제 2 센서(207)로부터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01).
정보 산출부(203)는 소정 시간 동안의 제 1 센서 정보 및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S202).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회전각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3).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음향 기기(103)의 현재 음향 출력 모드가 스테레오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4).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기기(103)의 현재 음향 출력 모드가 스테레오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스테레오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S205).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기기(103)의 현재 음향 출력 모드가 스테레오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현재 음향 출력 모드를 유지하고 상술한 음향 모드 제어 방법의 이전 단계들을 다시 반복할 수 있다.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가 사용자에 접촉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현재 음향 출력 모드가 모노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6).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기기(103)의 현재 음향 출력 모드가 모노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모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S207).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기기(103)의 현재 음향 출력 모드가 모노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현재 음향 출력 모드를 유지하고 상술한 음향 모드 제어 방법의 이전 단계들을 다시 반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센서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자이로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센서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자이로 센서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IMU(inertial measurement unit)(관성 측정 장치) 또는 AHRS(attitude and heading reference system)(센서 융합기)로 구분된다. IMU는 각속도계, 가속도계, 지자계, 온도, 및 압력 등의 센서를 포함하고, AHRS는 IMU와 요(yaw), 롤(roll), 및 피치(pitch)의 값을 계산하는 MCU를 포함한다. IMU를 사용하는 경우, IMU를 통해 획득된 센서값을 이용하여 IMU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요(yaw), 롤(roll), 및 피치(pitch)의 값을 구하기 위한 계산을 수행해서, 해당 값을 구하여야 하고, AHRS는 MCU를 포함하기 때문에 센서 정보로서 요(yaw), 롤(roll), 및 피치(pitch)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yaw), 롤(roll), 및 피치(pitch)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하고자 하는 센서 정보이므로, 자이로 센서가 만약 IMU로 구성된 경우, 요(yaw), 롤(roll), 및 피치(pitch)의 값을 생성하는 모듈까지 하나의 자이로 센서로 가정하고, 자이로 센서가 만약 AHRS인 경우, 그 자체로 자이로 센서로 가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축(301)은 물체의 질량 중심에서 물체의 바닥 또는 상부를 향하는 축으로 요(yaw)의 축(vertical axis)을 의미한다. 이 때, 요는 물체를 축(301)을 기준으로 회전 시키는 동작을 지칭하며, 오른쪽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양(+)의 방향으로 한다. 축(302)은 물체의 질량 중심에서 물체의 앞 또는 뒤를 향하는 축으로 롤(roll)의 축(longitudinal axis)을 의미한다. 이 때, 롤은 물체를 축(302)을 기준으로 회전 시키는 동작을 지칭하며, 오른쪽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양(+)의 방향으로 한다. 축(303)은 물체의 질량 중심에서 물체의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향하는 축으로 피치(pitch)의 축(lateral axis)을 의미한다. 이 때, 피치는 물체를 축(303)을 기준으로 회전 시키는 동작을 지칭하며 오른쪽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양(+)의 방향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센서 정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지자기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센서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지자기(terrestrial magnetism)는 지구를 자석으로서 북극 부근에 S극, 남극 부근에 N극이 있다고 가정하고, 이 자석에 의하여 지구에 생기는 자기, 즉 지구 자기를 의미한다.
지자기 센서는 이러한 지자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에 의하여 자북을 찾아내는 센서이다. 지구의 자북의 위치는 일정하기 때문에, 지자기 센서는 자북을 찾아냄으로써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물체가 자북과 얼마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지를 알아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북 기준으로 물체의 자세를 나타내는 값(예: 자북 기준으로 물체의 각도)을 센서 정보로 도출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의 종류는 다양한 데, 가장 간단한 것은 지침으로서, 지자기의 방향을 직접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진동 주기로부터 크기를 알 수 있다. 자침 이외에도 보다 감도 높게, 보다 간편하게 지자기를 검출하기 위한 많은 센서가 있다. 회전 코일을 사용한 자기의, 강자성체의 자기포화 현상을 이용한 포화철심형(fluxgate)자력계, 양성자(proton)의 핵자기 공명을 이용한 양자 자력계, 루비듐이나 세슘 원자의 제만효과를 이용한 광 펌핑 자력계 등이 있다.
지자기 센서는 지자기를 측정함으로써 지자기 센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편각, 복각, 수평자력을 측정하여 센서 정보를 생성한다. 편각은 나침반이 가리키는 지자기북극과 지구북극과의 차이각, 복각은 지구상의 어느 점에서 지자기가 영향을 미치는 영역인 지구 자기장의 방향과 그곳의 수평면이 이루는 각, 그리고 수평자력은 지자기의 수평 성분을 의미한다.
지자기 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정보로서 물체가 자북과 얼마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지를 나타내는 방위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음향 기기(103)의 어느 하나의 음향 장치(400)가 지구의 중심에 있다고 가정하고 음향 기기 중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부분과 진북이 이루는 각도 θ를 방위각이라 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제 1 음향 장치(101)의 제 1 방위각(402)은 0°라 가정할 때, 제 2 음향 장치(102)의 제 2 방위각(403)이 180°인 경우는 사용자가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를 모두 사용하는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음향 장치(101)의 제 1 방위각(402)과 제 2 음향 장치(102)의 제 2 방위각(403)의 차이가 180°인 경우는 사용자가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를 모두 사용하는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제 1 음향 장치(101)의 제 1 방위각(402)과 제 2 음향 장치(102)의 제 2 방위각(403)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 범위 내, 예를 들면 170°에서 190 °범위 내인 경우, 사용자가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를 모두 사용하는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예시적으로 제 1 음향 장치(101)의 제 1 방위각(404)은 0°이고, 제 2 음향 장치(102)의 제 2 방위각(405)이 0°인 경우를 가정해보면, 이 경우는 사용자가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모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음향 장치(101)의 제 1 방위각(402)과 제 2 음향 장치(102)의 제 2 방위각(403)의 차이가 0°인 경우는 사용자가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제 1 음향 장치(101)의 제 1 방위각(402)과 제 2 음향 장치(102)의 제 2 방위각(403)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 범위 내, 예를 들면 0°에서 169 °범위 내인 경우, 사용자가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음향 장치 각각의 센서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음향 장치(101)의 제 1 센서 정보(501)와 제 2 음향 장치(102)의 제 2 센서 정보(504)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 7에서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임의의 센서에 의해 센서 정보로서 센서값이 획득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임의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심박 센서, 및 GPS 센서 등일 수 있으며, 상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센서 정보(501) 및 제 2 센서 정보(504)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래프를 이용하고자 한다. 즉, 도 7에서는 제 1 센서 정보(501) 및 제 2 센서 정보(504) 각각을 x 축을 시간으로 하고, y축을 센서값으로 하는 그래프 형태로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센서 정보(501)는 제 1 음향 장치(101)의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센서 정보이고, 제 2 센서 정보(502)는 제 2 음향 장치(102)의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센서 정보이다. 동일한 시간 구간(예: 제 1 시간 구간(502, 505), 제 2 시간 구간(503, 506))에 대해 제 1 센서 정보(501)와 제 2 센서 정보(502)는 유사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시간 구간(502, 505)에 대해 제 1 센서 정보(501)의 센서값과 제 2 센서 정보(504)의 센서값은 서로 상이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제 2 시간 구간(503, 506)에 대해 제 1 센서 정보(501)의 센서값과 제 2 센서 정보(504)의 센서값은 서로 유사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정보 산출부(203)는 제 1 시간 구간(502, 505) 및 제 2 시간 구간(503, 506) 각각에 대한 제 1 음향 장치(101) 및 제 2 음향 장치(102)의 센서값을 식별하고, 또한 해당 시간 구간 별로 센서값의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시간 구간(502, 505)에서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에 대한 센서값이 서로 상이하여, 센서값의 차이가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사도가 낮은 시간 구간인 제 1 시간 구간(502, 505)의 경우 센서값의 차이는 소정의 크기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 1 시간 구간(502, 505) 동안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게 접촉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모노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모노 모드는 일반적인 사운드 재생 방식, 즉 하나의 음향을 하나의 음향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방식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시간 구간(503, 506)에서는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 각각에 대한 센서값이 서로 유사하여, 센서값의 차이가 작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센서값의 차이는 미리 지정된 소정의 차이 이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사도가 높은 시간 구간인 제 2 시간 구간(503, 506)의 경우 센서값의 차이는 소정의 크기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제 2 시간 구간(503, 506) 동안 제 1 음향 장치(101)와 제 2 음향 장치(102)가 사용자에게 접촉 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기기(103)의 음향 출력 모드를 스테레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레오 모드는, 하나의 음향이 복수의 음향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이어폰과 같은 음향 기기가 사용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운드를 보다 입체감 있게 전달하기 위한 음향 출력 모드이다. 스테레오 모드는 하나의 음향을 복수의 음향 장치 각각에 일부씩 나누어서 재생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사운드의 입체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장치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음향 기기(103)의 모드 변경에 따라 변경된 모드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의 음향 출력 모드가 스테레오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스테레오 모드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비활성 상태인 경우,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의 화면에 스테레오 모드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창(601)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의 음향 출력 모드가 모노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모노 모드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창(602)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비활성 상태인 경우,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의 화면에 모노 모드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비활성 상태는 사용자가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운드 청취 이외의 다른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를 지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활성 상태는 사용자가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운드 청취 이외의 다른 기능, 예를 들면 인터넷, 게임, 또는 메시지 서비스 등을 사용하고 있어 화면이 온(on)된 상태를 지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이하 알림창(notification window))와 관련된 정보는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출력 모드 제어부(204)에 의해 음향 출력 모드가 결정되는 경우,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결정된 출력 모드에 대응되는 도 8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출력 모드가 모노 모드에서 스테레오 모드로의 변경을 결정하는 경우, 알림창(601)을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출력 모드 제어부(204)는 음향 출력 모드가 스테레오 모드에서 모노 모드로의 변경을 결정하는 경우, 알림창(602)을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음향 모드의 변경을 알리기 위한 알림창을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의 중앙부에 표시하였으나,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경우에 따라 상단 바에 표시될 수도 있고 팝업창의 형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알림과 함께 알림 사운드(notification sound)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는 음향 출력 모드의 변경을 음향 기기(103)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일 예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음향 출력 모드의 변경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는,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구동하여 프로세서에 연결된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와 함께, 음향 모드 제어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 (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 판독 기록 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음향 모드 제어 장치
101: 제 1 음향 장치
102: 제 2 음향 장치
103: 음향 기기
202: 수신부
203: 정보 산출부
204: 출력 모드 제어부
206: 제 1 센서
207: 제 2 센서
208: 출력부
301, 302, 303: 축
400: 음향 장치
402, 404: 제 1 방위각
403, 405: 제 2 방위각
501: 제 1 센서 정보
502, 505: 제 1 시간 구간
503, 506: 제 2 시간 구간
504: 제 2 센서 정보
601, 602: 알림창

Claims (12)

  1. 제 1 음향 장치와 제 2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음향 장치의 제 1 센서로부터의 제 1 센서 정보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제 2 센서로부터의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제 1 센서 정보 및 상기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각각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각 및 상기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모두가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정보는, 상기 제 1 음향 장치의 요(yaw), 롤(roll), 피치(pitch)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서 정보는,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요, 롤, 피치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회전각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이고,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이동 거리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모두가 상기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각각의 회전각이 소정의 회전각 이하이고,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각각의 이동 거리가 소정의 이동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모두가 상기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정보는 상기 제 1 음향 장치의 방위각(azimuth)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서 정보는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방위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음향 장치의 방위각과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방위각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제 1 음향 장치 또는 상기 제 2 음향 장치가 상기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모두가 상기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스테레오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음향 장치 또는 상기 제 2 음향 장치가 상기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모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8. 제 1 음향 장치와 제 2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음향 모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장치의 제 1 센서로부터의 제 1 센서 정보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의 제 2 센서로부터의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제 1 센서 정보 및 상기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각각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회전각 및 상기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모두가 제 1 객체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정보는, 상기 제 1 음향장치의 요(yaw), 롤(roll), 피치(pitch)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서 정보는, 상기 제 2 음향장치의 요, 롤, 피치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기기는 이어폰인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장치.
  12. 음향 기기의 제 1 음향 장치에 대한 제 1 센서로부터의 제 1 센서 정보와 상기 음향 기기의 제 2 음향 장치에 대한 제 2 센서로부터의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제 1 센서 정보 및 상기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음향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장치 각각의 회전각 및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각 및 상기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80077219A 2018-07-03 2018-07-03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004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219A KR20200004141A (ko) 2018-07-03 2018-07-03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219A KR20200004141A (ko) 2018-07-03 2018-07-03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141A true KR20200004141A (ko) 2020-01-13

Family

ID=6915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219A KR20200004141A (ko) 2018-07-03 2018-07-03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41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929B1 (ko) 2014-11-18 2016-04-18 김선형 센서가 내장된 이어폰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929B1 (ko) 2014-11-18 2016-04-18 김선형 센서가 내장된 이어폰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8807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segmenting image
US10362438B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apparatus
US9271103B2 (en) Audio control based on orientation
US10390140B2 (en) Output device outputting audio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005739B (zh) 用于基于语音的设备的外部视觉交互
US9326058B2 (en)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pparatus
KR101477442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스처-기반의 사용자 입력 검출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US10289208B2 (en) Wearable sensor system for providing a personal magnetic field and techniques for horizontal localization utilizing the same
KR20140062895A (ko)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10227504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류소모 제어방법
WO2019101185A1 (zh) 播放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CN110618805B (zh) 调整设备电量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2012003180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WO2021077923A1 (zh) 控制显示设备的方法及便携设备
WO2016017379A1 (ja) 携帯端末、トレーニング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トレーニング管理方法
KR102482960B1 (ko) 듀얼 스피커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그의 전자 장치
US201300551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3d gui)
CN110933452A (zh) 萌脸礼物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995455B2 (en) True wireless headphones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to an experiential eco-system and related devices, methods, and systems
CN110275655A (zh) 歌词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160031A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377208B (zh) 音频播放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04141A (ko) 음향 기기의 출력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066962A (ko)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13943A (ko) 음향 기기의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