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545A - 이중 파이프로 온실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파이프로 온실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545A
KR20200002545A KR1020180076161A KR20180076161A KR20200002545A KR 20200002545 A KR20200002545 A KR 20200002545A KR 1020180076161 A KR1020180076161 A KR 1020180076161A KR 20180076161 A KR20180076161 A KR 20180076161A KR 20200002545 A KR20200002545 A KR 20200002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reenhouse
pipe
temperatur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301B1 (ko
Inventor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강젠
이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강젠, 이창수 filed Critical (주)바이오강젠
Priority to KR102018007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3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은, 지면 아래 소정의 깊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에어 포트와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파이프;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되고, 온도 조절되고 살균 소독된 에어를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 1 온실 제어기;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되고, 온도 조절되고 살균 소독된 에어를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 2 온실 제어기; 및 상기 복수의 에어 포트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에서 제공된 온도 조절되고 살균소독된 에어를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에어는 에어 분출구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는 온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파이프로 온실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GREENHOUSE CONTROL SYSTEM CONTROLLING TEMPERATURE OF GREENHOUSE USING DUAL PIPE}
본 발명은 온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온실 제어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실(greenhouse)은 비닐이나 유리 등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온실에서는 농작물의 적정 재배 온도를 맞추기 위해, 겨울에는 난방 장치를 가동하고 여름에는 냉방 장치를 가동한다. 난방 장치는 대류 작용에 의해 실내 온도를 높인다. 즉, 난방 장치에서 가열된 에어(air)는 지붕으로 상승하고 어느 온도로 냉각되면 하강한다. 이러한 대류 작용은 에어가 상승하고 하강하는 곳이 있어 난방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또한, 온실 내부의 지면 근처로는 열기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대형 온실의 경우에는, 난방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온도 차가 커서 농작물의 적정 재배 온도를 전체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 여름에는 농작물의 적정 온도를 위해 냉방 장치(예를 들면, 에어컨 등)를 가동해야 하는 데, 연료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온실의 경우에, 밀폐된 공간에서 난방 또는 냉방 장치가 계속해서 가동되기 때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취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온실의 난방 효과를 높이고 온실 내부 곳곳에 고르게 온도 조절할 수 있고, 냉난방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억제할 수 있는 온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은, 지면 아래 소정의 깊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에어 포트와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파이프;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되고, 온도 조절되고 살균 소독된 에어를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 1 온실 제어기;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되고, 온도 조절되고 살균 소독된 에어를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 2 온실 제어기; 및 상기 복수의 에어 포트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에서 제공된 온도 조절되고 살균소독된 에어를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에어는 에어 분출구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는 온실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파이프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온실 제어기로부터 제 1 길이 내에서 상기 복수의 에어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파이프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온실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 1 길이보다 길고 제 2 길이보다 짧은 길이 내에서 상기 복수의 에어 포트와 연결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1 파이프는 상기 제 2 파이프 내부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이프는 상기 복수의 에어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파이프 내부의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이프는 상기 제 2 파이프 내부의 위쪽 내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이프는 상기 제 2 파이프의 외부에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 각각은, 대기 에어의 오염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항균필터부; 상기 항균필터부를 통해 입력된 에어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기 위한 팬코일부; 및 상기 팬코일부의 온도 조절된 에어를 살균소독하고, 상기 살균소독된 에어를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로 제공하기 위한 살균소독부를 포함한다.
상기 팬코일부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 상기 온도 조절된 물을 순환하기 위한 순환 파이프; 상기 순환 파이프를 통해 상기 온도 조절된 물을 공급받고, 열이나 냉기를 발생하는 라디에이터; 및 상기 온도 조절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라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팬 코일부는, 상기 순환 파이프의 물을 강제로 순환하기 위한 순환 펌프; 상기 순환 파이프 내의 물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수 공급기; 및 상기 라디에이터로 바람을 제공함으로 열이나 냉기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소독부는 차아염소산을 살균소독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살균소독부는 상기 온도 조절된 에어와 결합되어 분무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상기 차아염소산을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은 온실 내부에 별도의 냉난방 장치(예를 들면, 에어콘이나 히터)를 설치하지 않고도, 온실 내부의 온도를 고르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실 제어 시스템은 이중 파이프를 이용하여 온실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실의 지면 아래와 천장 부분의 A-A'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파이프의 외부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중 파이프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이중 파이프의 단면 B-B'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팬코일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살균소독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제 1 온실 제어기(1100), 제 2 온실 제어기(1200), 그리고 온실(1300)을 포함한다.
도 1의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온실(1300)의 좌우에 있는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를 통해 대기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이 보다 적거나 더 많은 온실 제어기를 통해 대기 에어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가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의 활용 방법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는 각각 항균필터부(1110, 1210), 팬코일부(1120, 1220), 그리고 살균소독부(1130, 123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는 온실(1300)의 지면 아래에 설치된 이중 파이프(1310, 1311)로 살균/소독된 난방 또는 냉방 에어를 제공할 수 있다. 온실(1300)의 이중 파이프(1310, 1311)에는 복수의 에어 포트(1313, 1314)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를 통해 들어온 난방 또는 냉방 에어는 에어 포트(1313, 1314)를 통해 온실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온실 내부로 들어온 에어는 온실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온실 지붕의 에어 배출부(도 2 참조, 1320)를 통해 외부로 나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는 동일한 내부 구성 및 동작 원리를 갖는 바, 이하에서는 제 1 온실 제어기(1100)의 구성 및 동작이 주로 설명될 것이다. 제 1 온실 제어기(1100)는 대기 에어를 불어넣은 에어 공조실(도시되지 않음)의 에어 공조 포트를 통해 대기 에어를 공급 받을 수 있다.
항균필터부(1110)는 에어 공조실에서 들어온 대기 에어의 오염 물질이나 먼지 등을 1차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 항균필터부(1110)는 대기 에어를 항균 처리를 함으로 곰팡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항균필터부(1110)는 탈부착 가능한 항균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항균필터는 사용법에 따라 일정 주기마다 교체될 수 있다. 항균필터부(1110)를 통과한 대기 에어는 파이프를 통해 팬코일부(1120)로 유입될 수 있다.
팬코일부(1120)는 대기 에어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팬코일부(1120)는 물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발열 장치와 낮추기 위한 냉각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발열 장치와 냉각 장치 중 어느 하나만 가질 수도 있다. 팬코일부(1120)는 발열 장치 또는 냉각 장치를 통해 물의 온도를 올리거나 낮추고, 순환 펌프를 통해 배관에 흐르는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팬코일부(1120)는 라디에이터를 이용하여 유입된 대기 에어의 온도를 올리거나 낮출 수 있다. 팬코일부(1130)는 송풍팬을 이용하여 대기 에어를 살균소독부(1130)로 불어넣을 수 있다.
살균소독부(1130)는 팬코일부(1120)에서 유입된 대기 에어를 최종적으로 살균 처리하거나 소독할 수 있다. 살균소독부(1130)는 친환경 살균제 또는 친환경 소독제를 이용하여 대기 에어를 살균/소독 처리할 수 있다. 살균소독부(1130)는 살균제나 소독제를 차갑게(cold) 해서 대기 에어에 분사 또는 분무할 수 있다. 살균소독부(1130)는 살균 또는 소독된 대기 에어를 온실(1300)의 지면 아래 설치된 이중 파이프(1310, 1311)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는 살균소독 처리되고 온실(1300)의 실내 온도에 맞게 조절된 대기 에어를 온실(1300)의 이중 파이프(1310, 1311)로 제공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로부터 유입된 대기 에어는 이중 파이프(1310, 1311)에 일정 간격으로 또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에어 포트(1313, 1314)를 통해 온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살균 소독 처리된 친환경 대기 에어를 온실(1300)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냉난방 장치를 온실 내부에 설치하지 않고도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온실(1300)의 실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온실(1300)의 지면 아래에 이중 파이프(1310, 1311)를 설치함으로, 온실(1300)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살균 또는 소독된 대기 에어를 고르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실의 지면 아래와 천장 부분의 A-A'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실(1300)은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로부터 살균 소독 처리되고 온도 조절된 에어를 공급받는다. 대기 에어는 온실(1300)의 지면 아래 매설된 이중 파이프(1310, 1311)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이중 파이프(1310, 1311)는 지면 아래 일정 깊이(예를 들면, 5m)에 설치될 수 있다. 이중 파이프(1310, 1311)를 통해 흐르는 에어는 이중 파이프(1310, 1311)에 연결된 에어 포트(1313, 1314)를 통해 온실(1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에어 포트(1313, 1314)는 이중 파이프(1310, 1311)와 일체로 제조되거나, 분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에어 포트(1313, 1314)가 이중 파이프(1310, 1311)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볼트 나사 결합 방식 등을 통해 이중 파이프(1310, 1311)와 체결될 수 있다. 에어 포트(1313, 1314)는 이중 파이프(1310, 1311)를 통해 흐르는 에어가 실내 내부에 고르게 퍼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에어 포트(1313, 1314)는 이중 파이프(1310, 131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거나 사용 목적에 맞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실내 내부에 유입된 에어는 지붕에 설치된 에어 배출구(1320)를 통해 외부로 나갈 수 있다. 에어 배출구(1320)는 내부 에어가 밖으로 배출되기만 하고, 외부 에어가 안으로 들어올 수 없다. 이를 위해 에어 배출구(1320)는 외부 에어의 유입을 막기 위한 체크 밸브(check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파이프의 외부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이중 파이프 중에서 외부에서 보이는 파이프(1310)만 도시되어 있고, 내부에 있는 파이프(도 1 참조, 1311)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을 참조하면, 온실(1300) 내부의 지면 아래 매설된 파이프(1310)는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310)는 S자형 또는 U자형이거나, ㄷ자형이거나 동심원 모양일 수도 있다.
파이프(1310)는 하나의 배관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배관이 볼트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배관이 체결되는 부분에서는 에어가 새지 못하도록 밀봉될 수 있다. 외부 파이프(1310) 또는 내부 파이프(1311) 단면의 지름은 사용 용도에 맞게 일정 길이(예를 들면, 80-100mm)를 가질 수 있다.
파이프(1310)에는 복수의 에어 포트(1313)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포트에는 내부 파이프(도 1 참조, 1311)에 연결되는 제 1 에어 포트(1313)와 외부 파이프(1310)에 연결되는 제 2 에어 포트(도 1 참조, 1314)가 있다. 에어 포트(1313)는 필요할 때만 사용하도록 에어 뚜껑을 가질 수 있다. 에어 포트(1313, 1314)는 에어가 온실(1300) 내부에 고르게 나가도록 일정 간격으로 또는 사용 목적에 맞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중 파이프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U자형 파이프를 일자형으로 펼쳐 놓은 것이고, 이중 파이프(1310, 1311)에서의 에어의 흐름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파이프(1311)는 외부 파이프(13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내부 파이프(1311)에 제 1 에어 포트(1313)가 연결되고, 외부 파이프(1310)에 제 2 에어 포트(1314)가 연결될 수 있다. 내부 파이프(1311)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외부 파이프(1310)의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파이프(1311)는 제 1 에어 포트(1313)를 이용하여 외부 파이프(1310)의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 1 에어 포트(1313)가 외부 파이프(1310)를 관통하여 내부 파이프(1311)에 연결되고, 외부 파이프(1310)를 관통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 외부 파이프(1310)의 중앙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온실 제어기(1100)는 제 1 내부 파이프(1311a)와 외부 파이프(1310)로 살균 또는 소독된 에어를 제공한다. 제 2 온실 제어기(1200)는 제 2 내부 파이프(1311b)와 외부 파이프(1310)로 살균 또는 소독된 에어를 제공한다. 제 1 내부 파이프(1311a)는 a1 지점을 지나 a2 지점까지 설치된다. 제 2 내부 파이프(1311b)는 b1 지점을 지나 b2 지점까지 설치된다.
제 1 내부 파이프(1311a)로 들어온 에어는 a2 지점까지 있는 제 1 에어 포트(1313)를 통해 온실(1300)로 제공된다. 제 2 내부 파이프(1311b)로 들어온 에어는 b2 지점까지 있는 제 1 에어 포트(1313)를 통해 온실(1300)로 제공된다. 외부 파이프(1310)로 들어온 에어는 a2 지점과 b2 지점 사이에 있는 제 2 에어 포트(1314)를 통해 온실(1300)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도 4에 도시된 이중 파이프(1310, 1311)를 구비함으로, 온실(1300) 내부에 살균 또는 소독된 에어를 고르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실(1300)의 온도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한 a2 지점과 b2 지점 사이에 외부 파이프(1310)를 통해 직접 에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실(1300)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 1 에어 포트(1313)와 제 2 에어 포트(1314)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한 제 2 에어 포트(1314)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 에어가 좀 더 잘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 파이프(1311)는 외부 파이프(1310)의 위쪽 내벽에 접할 수 있다. 내부 파이프(1311)에 제 1 에어 포트(1313)가 연결되고, 외부 파이프(1310)에 제 2 에어 포트(1314)가 연결될 수 있다. 내부 파이프(1311)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외부 파이프(1310)의 위쪽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파이프(1311)는 용접과 같은 접합 수단을 이용하거나 제 1 에어 포트(1313)를 이용하여 외부 파이프(1310)의 위쪽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내부 파이프(1311a)로 들어온 에어는 a2 지점까지 있는 제 1 에어 포트(1313)를 통해 온실(1300)로 제공된다. 제 2 내부 파이프(1311b)로 들어온 에어는 b2 지점까지 있는 제 1 에어 포트(1313)를 통해 온실(1300)로 제공된다. 외부 파이프(1310)로 들어온 에어는 a2 지점과 b2 지점 사이에 있는 제 2 에어 포트(1314)를 통해 온실(1300)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도 5에 도시된 이중 파이프(1310, 1311)를 구비함으로, 온실(1300) 내부에 살균 또는 소독된 에어를 고르게 제공하고, 온실(1300)의 온도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한 a2 지점과 b2 지점 사이에 외부 파이프(1310)를 통해 직접 에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내부 파이프(1311)는 외부 파이프(1310)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용어의 통일을 위해 내부 파이프와 외부 파이프로 설명하지만, 이들의 위치 관계는 내부와 외부 관계가 아니라 평행 관계에 있음은 자명하다.
내부 파이프(1311)에 제 1 에어 포트(1313)가 연결되고, 외부 파이프(1310)에 제 2 에어 포트(1314)가 연결될 수 있다. 내부 파이프(1311)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외부 파이프(1310)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파이프(1311)는 용접 등과 같은 접합 수단을 통해 외부 파이프(1310)에 접하여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파이프(1311)는 일정 거리를 두고 외부 파이프(1310)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온실 제어기(1100)는 제 1 내부 파이프(1311a)와 외부 파이프(1310)로 살균 또는 소독된 에어를 제공한다. 제 2 온실 제어기(1200)는 제 2 내부 파이프(1311b)와 외부 파이프(1310)로 살균 또는 소독된 에어를 제공한다. 제 1 내부 파이프(1311a)는 a2 지점까지 설치되고, 제 2 내부 파이프(1311b)는 b2 지점까지 설치된다.
제 1 내부 파이프(1311a)로 들어온 에어는 a2 지점까지 있는 제 1 에어 포트(1313)를 통해 온실(1300)로 제공된다. 제 2 내부 파이프(1311b)로 들어온 에어는 b2 지점까지 있는 제 1 에어 포트(1313)를 통해 온실(1300)로 제공된다. 외부 파이프(1310)로 들어온 에어는 a2 지점과 b2 지점 사이에 있는 제 2 에어 포트(1314)를 통해 온실(1300)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온실(1300) 내부에 살균 또는 소독된 에어를 고르게 제공하고, 온실(1300)의 온도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한 a2 지점과 b2 지점 사이에 외부 파이프(1310)를 통해 직접 에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이중 파이프의 단면 B-B'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내부 파이프(1311a)로 들어온 에어는 제 1 에어 포트(1313)를 통해 온실(1300)로 제공된다. 외부 파이프(1310)로 들어온 에어는 제 2 에어 포트(1314)를 통해 온실(1300)로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에어 포트(1313, 1314)는 에어 뚜껑을 가질 수 있다. 에어 뚜껑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 1 에어 포트(1313)의 에어 뚜껑은 제 1 내부 파이프(1311a)로 들어온 에어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고, 제 2 에어 포트(1314)의 에어 뚜껑은 외부 파이프(1310)로 들어온 에어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에어 뚜껑은 반드시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만은 아니며, 발명의 실시에 따라 수동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팬코일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팬코일부(1120)는 온도 조절 장치(1121), 라디에이터(1122), 순환펌프(1123), 보충수 공급기(1124), 송풍팬(1125), 그리고 컨트롤러(1126)를 포함한다.
팬코일부(1120)는 온실(1300)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온도 정보를 입력받고, 실내 온도가 미리 설정해 놓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팬코일부(1120)는 실내 온도를 15도로 유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에서 입력받은 온도가 15도보다 낮으면, 좀 더 높은 온도의 공기를 내보내 실내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반대로 15보다 높으면, 발열 동작을 줄여서 실내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팬코일부(1120)는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정보를 입력받고, 농작물에 따라 시간대 별로 온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15도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팬코일부(1120)는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 사이에서는 농작물 생육에 적합한 15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오후 5시부터 12시 사이에서는 온도가 12도에서 15도 사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12시부터 오전 4시까지는 10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오전 4시부터 8시 사이에서는 9도에서 10도 사이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팬코일부(1120)는 순환 파이프(1101)에 연결되는 온도 조절 장치(1121), 라디에이터(1122), 순환 펌프(1130), 보충수 공급기(1124), 송풍팬(1125), 그리고 컨트롤러(1126)를 포함한다.
온도 조절 장치(1121)는 컨트롤러(1126)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발열 장치 또는 냉각 장치이다. 온도 조절 장치(1121)는 발생된 열이나 냉기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외벽에 단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1121)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물 유입구와, 내부로부터 외부로 물을 방출하기 위한 물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1121)는 물 유입구로 유입된 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고, 온도 조절된 물을 물 유출구로 방출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1121)는 내열성 및 저팽창 특성을 갖는 소재, 예를 들어 석영관, 세라믹관으로 제조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1122)는 온도 조절된 물을 순환 파이프(1101)를 통해 입력받고, 순환 파이프(1101)의 열이나 냉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순환 파이프(1101)는 녹슬지 않고 내구성이 좋으며 가볍고 열전도도가 좋은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라디에이터(1122) 내에 있는 내부 순환 파이프(1101)는 특별히 특수한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내부 순환 파이프(1101)에 코팅된 특수 물질로 인해, 온수가 내부에 흐를 때 원적외선이 발생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1122) 내에서 순환 파이프(1101)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도 방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라디에이터(1122)로 유입되는 물은 A에서 B방향으로 지나고, 다시 B에서 A방향으로 지나간다. 내부 순환 파이프(1101)를 지나는 물이 방향을 바꾸는 A 또는 B부분은, 도 9에서는 직각으로 되어 있으나, 물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반원 모양으로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내부 순환 파이프(1101)에 물이 부족한 경우에, 외부에서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물 주입구를 가질 수 있다. 물 주입구는 내부 순환 파이프(1101)에 직접 물이 주입되거나 수도꼭지 등에 연결되어 주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순환 펌프(1130)는 순환 파이프(1101) 내의 물이 강제적으로 순환하도록 하는 펌프 장치이다. 순환 펌프(1130)는 라디에이터(1122)를 지나온 물을 강제적으로 순환하기 위해, 라디에이터(1122)와 온도 조절 장치(1121)의 물 유입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순환 펌프(1130)는 온도 조절 장치(1121)에서 나온 물을 강제적으로 순환하기 위해, 온도 조절 장치(1121)의 물 유출구와 라디에이터(1122)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보충수 공급기(1124)는 순환 파이프(1101) 내에 있는 물의 양을 감지하고, 물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 부족한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보충수 공급기(1124)는 라디에이터(1122)의 안쪽과 바깥쪽에 있는 순환 파이프(1101)에 연결될 수 있다. 보충수 공급기(1124)는 평상 시에 일정량의 물을 보관하고 있고, 물 부족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자동으로 순환 파이프(1101)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송풍팬(1125)은 라디에이터(1122)에 에어를 불어 넣을 수 있다. 송풍팬(1125)은 항균필터부(1110)를 지나온 에어를 흡입하고, 흡입된 에어를 라디에이터(1122)에 불어넣음으로, 라디에이터(1122) 주위의 온도 조절된 에어가 살균소독부(1130)로 송풍될 수 있도록 한다. 송풍팬(1125)은 프로펠러(Propeller)형 팬으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 시로코(Sirocco)형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송풍팬(1125)은 온도 조절 장치(1110)의 물 유입구 쪽에 설치되어 있으나 물 유출구 쪽에 설치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1126)는 온도 조절 장치(1121)의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1126)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고, 온도 조절 장치(1121)의 전극으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126)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집적된 복수의 칩들,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유무선 장치, 외부에 동작 상황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회로, 그리고 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살균소독부(1130)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살균소독부(1130)는 파이프에 복수의 분사홀(1131)을 구비하고 있고, 분사홀(1131)을 통해 살균제 또는 소독제(1132)가 분사될 수 있다. 도 10에서 분사홀(1131)은 살균제 또는 소독제(1132)를 분무할 수 있도록 적정 크기의 지름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분사홀(1131)은 사용 방법에 따라 다각형 또는 다른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분사홀(1131)을 통해 분무되는 살균제 또는 소독제(1132)는 친환경 천연 살균소독제(예를 들면, 차아염소산, HOCL)일 수 있다.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 HOCL)은 인체에 상처나 부상이 있을 때 외부에서 침입한 유해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대항, 파괴, 살균하기 위해 백혈구에서 생성되는 산화물질이다. 차아염소산은 인체의 백혈구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독성과 내성이 없는 친환경 천연 살균소독제이다. 천연 살균소독제(1132)는 차가운 온도(3-4도)로 콜드 분사될 수 있다. 살균소독제(1132)가 분사되면, 에어는 살균소독제(1132)와 결합되어 분무 형태로 된다. 온실(1300)의 이중 파이프(1310, 1311)로 유입된 에어는 에어 포트(1313, 1314)를 통해 온실(1300)의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온실(1300)의 지면 아래 이중 파이프(1310, 1311)를 설치하고, 살균 또는 소독 처리되고 온도 조절된 에어를 이중 파이프(1310, 1311)로 공급할 수 있다. 이중 파이프(1310, 1311)로 공급된 에어는 에어 포트(1313, 1314)를 통해 온실(13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온실(1300)로 유입된 에어는 에어 배출구(1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온실(1300) 내부에 별도의 냉난방 장치(예를 들면, 에어콘이나 히터)를 설치하지 않고도, 온실(13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친환경 천연 살균소독제를 파이프를 통해 공급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 농작물을 저렴한 비용으로 재배할 수 있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온실 제어 시스템
1100, 1200: 온실 제어기
1110, 1210: 항균필터부
1120, 1220: 팬코일부
1130, 1230: 살균소독부
1300: 온실
1310, 1311: 파이프
1313, 1314: 에어 포트
1320: 에어 배출구

Claims (10)

  1. 지면 아래 소정의 깊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에어 포트와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파이프;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되고, 온도 조절되고 살균 소독된 에어를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 1 온실 제어기;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되고, 온도 조절되고 살균 소독된 에어를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 2 온실 제어기; 및
    상기 복수의 에어 포트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에서 제공된 온도 조절되고 살균소독된 에어를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에어는 에어 분출구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는 온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파이프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온실 제어기로부터 제 1 길이 내에서 상기 복수의 에어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파이프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온실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 1 길이보다 길고 제 2 길이보다 짧은 길이 내에서 상기 복수의 에어 포트와 연결되는 온실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이프는 상기 제 2 파이프 내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이프는 상기 복수의 에어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파이프 내부의 중앙에 고정되는 온실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이프는 상기 제 2 파이프 내부의 위쪽 내벽에 위치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이프는 상기 제 2 파이프의 외부에서 평행하게 위치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 각각은,
    대기 에어의 오염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항균필터부;
    상기 항균필터부를 통해 입력된 에어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기 위한 팬코일부; 및
    상기 팬코일부의 온도 조절된 에어를 살균소독하고, 상기 살균소독된 에어를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로 제공하기 위한 살균소독부를 포함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팬코일부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
    상기 온도 조절된 물을 순환하기 위한 순환 파이프;
    상기 순환 파이프를 통해 상기 온도 조절된 물을 공급받고, 열이나 냉기를 발생하는 라디에이터; 및
    상기 온도 조절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라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팬 코일부는,
    상기 순환 파이프의 물을 강제로 순환하기 위한 순환 펌프;
    상기 순환 파이프 내의 물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수 공급기; 및
    상기 라디에이터로 바람을 제공함으로 열이나 냉기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소독부는 차아염소산을 살균소독제로 사용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소독부는 상기 온도 조절된 에어와 결합되어 분무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상기 차아염소산을 분사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KR1020180076161A 2018-06-30 2018-06-30 이중 파이프로 온실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KR102122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161A KR102122301B1 (ko) 2018-06-30 2018-06-30 이중 파이프로 온실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161A KR102122301B1 (ko) 2018-06-30 2018-06-30 이중 파이프로 온실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45A true KR20200002545A (ko) 2020-01-08
KR102122301B1 KR102122301B1 (ko) 2020-06-26

Family

ID=6915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161A KR102122301B1 (ko) 2018-06-30 2018-06-30 이중 파이프로 온실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3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763B1 (ko) * 2023-02-23 2024-02-20 이만근 라지에이터를 이용한 열풍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438A (ja) * 1994-11-01 1996-05-21 Tatsuo Ikeshiro 太陽光利用型植物栽培ハウスにおける、軽(中)量鉄骨による 多層式省エネt、iハウス
KR200344742Y1 (ko) * 2003-10-13 2004-03-10 대한민국 (관리부서 농촌진흥청) 온풍난방기용 이중덕트
KR100724787B1 (ko) * 2006-04-14 2007-06-04 위태욱 온실의 지온 및 실내온도 조절장치
KR100919263B1 (ko) * 2009-02-17 2009-09-30 이한호 스팀을 이용한 가열 및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농,축산용 하우스 난방장치
JP2011201838A (ja) * 2010-03-26 2011-10-13 Es Technology Kk 植物の防疫方法および防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438A (ja) * 1994-11-01 1996-05-21 Tatsuo Ikeshiro 太陽光利用型植物栽培ハウスにおける、軽(中)量鉄骨による 多層式省エネt、iハウス
KR200344742Y1 (ko) * 2003-10-13 2004-03-10 대한민국 (관리부서 농촌진흥청) 온풍난방기용 이중덕트
KR100724787B1 (ko) * 2006-04-14 2007-06-04 위태욱 온실의 지온 및 실내온도 조절장치
KR100919263B1 (ko) * 2009-02-17 2009-09-30 이한호 스팀을 이용한 가열 및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농,축산용 하우스 난방장치
JP2011201838A (ja) * 2010-03-26 2011-10-13 Es Technology Kk 植物の防疫方法および防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763B1 (ko) * 2023-02-23 2024-02-20 이만근 라지에이터를 이용한 열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301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800B1 (ko) 습도조절 및 살균유닛이 구비된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54178B1 (ko) 살균정화 및 가온 겸용 공기 공급장치
KR20140097689A (ko) 버섯 및 새싹 재배를 위한 장치
KR100696599B1 (ko) 축사용 냉온수 분무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1693378B1 (ko) 국소 송풍 구조를 갖는 팬코일 유닛
KR20100067156A (ko) 온실용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식 열교환 시스템
KR20060114183A (ko) 냉온풍 기능을 가진 축사용 냉온 안개 분무기
KR200381792Y1 (ko) 신발 건조장치
KR102122301B1 (ko) 이중 파이프로 온실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KR102141718B1 (ko)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
KR102122307B1 (ko) 그래핀막을 갖는 온실 제어 시스템
KR20200002543A (ko) 이중 팬코일부 및 살균소독부를 포함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KR100993877B1 (ko) 온풍기
KR100939591B1 (ko) 냉난방겸용이 가능한 농업시설용 열회수형 환기장치
KR20200027208A (ko) 버섯 재배용 수분 공급 장치
KR200390063Y1 (ko) 냉온풍 기능을 가진 축사용 냉온 안개 분무기
KR101885905B1 (ko) 온실 제어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CN219531115U (zh) 一种空气消毒机
KR20200002544A (ko) 온실에 체크 밸브를 갖는 온실 제어 시스템
KR20150137567A (ko) 축열식 공기소독 냉열 교환기
JP2003250367A (ja) 植物栽培装置
KR100822402B1 (ko) 농업용 하우스 발열 송풍기
KR101416496B1 (ko) 친환경 건축물
KR102264424B1 (ko) 온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KR20100082585A (ko) 시설하우스의 냉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