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240U -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240U
KR20200002240U KR2020190001379U KR20190001379U KR20200002240U KR 20200002240 U KR20200002240 U KR 20200002240U KR 2020190001379 U KR2020190001379 U KR 2020190001379U KR 20190001379 U KR20190001379 U KR 20190001379U KR 20200002240 U KR20200002240 U KR 202000022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mouth
mouth plug
mouthplu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784Y1 (ko
Inventor
이성식
임미정
Original Assignee
이성식
임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식, 임미정 filed Critical 이성식
Priority to KR2020190001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78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5/00Muzz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입마개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반려견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는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위함으로써 상기 반려견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입마개부; 상기 반려견의 목에 착용되는 목걸이부; 상기 반려견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일단에 상기 목걸이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타단에 상기 입마개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입마개부가 상기 목걸이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반려견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잠금신호 또는 개방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잠금신호가 생성되면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입마개부가 상기 반려견의 입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1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입마개부에 의해 상기 반려견에 의한 사고가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개방신호가 생성되면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입마개부가 상기 반려견의 머리 위 또는 머리 뒤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2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반려견이 상기 입마개부로부터 자유로워 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반려견이 입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반려견으로 하여금 입마개의 착용에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황에 따른 착용 및 해제가 편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Muzzle device for a companion dog}
본 고안은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출시 반려견의 입 주변에 착용시킴으로써 반려견에 의한 사고를 미리 방지함과 동시에 입마개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반려견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려견과 함께 외출하는 경우 반려견이 길에 떨어진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려견이 다른 동물 또는 사람을 공격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반려견에게 입마개를 착용시킨다.
하지만, 기존의 입마개는 반려견의 입을 감싸 반려견이 입을 벌리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착용 되어 반려견에게 큰 불편함을 주게 되며, 착용 및 해제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반려견의 경우 혀를 내밈으로써 체온을 조절하게 되는데 기존의 입을 감싼 입마개를 착용한 경우 혀를 내밀 수 없어 체온조절을 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1545 (발명의 명칭: 애완동물용 마스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반려견이 입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상황에 따른 착용 및 해제가 편리하도록 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입마개가 착용된 상태에서도 반려견이 혀를 자유롭게 내밀 수 있도록 하여 체온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는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위함으로써 상기 반려견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입마개부; 상기 반려견의 목에 착용되는 목걸이부; 상기 반려견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일단에 상기 목걸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타단에 상기 입마개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입마개부가 상기 목걸이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반려견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잠금신호 또는 개방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잠금신호가 생성되면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입마개부가 상기 반려견의 입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1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입마개부에 의해 상기 반려견에 의한 사고가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개방신호가 생성되면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입마개부가 상기 반려견의 머리 위 또는 머리 뒤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2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반려견이 상기 입마개부로부터 자유로워 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반려견의 호흡수, 심박수, 혈당량, 체온 및 스트레스 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생체정보에 상기 심박수가 포함된 경우, 상기 수집된 심박수가 기설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개방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집된 심박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잠금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마개부는, 일단과 타단이 한 쌍의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위하는 제1 입마개부재; 일단과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위하되, 상기 제1 입마개부재의 하측에 상기 제1 입마개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제2 입마개부재; 및 일단과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위하되, 상기 제2 입마개부재의 하측에 상기 제2 입마개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제3 입마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마개부는, 상기 제1 입마개부재, 상기 제2 입마개부재 및 상기 제3 입마개부재 간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상태에서도 상기 반려견의 혀가 출입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되, 일단이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의 상측 및 하측에 복수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의 복수의 홈과 맞물리는 제1 톱니바퀴;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의 복수의 홈과 맞물리는 제2 톱니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톱니바퀴와 제2 톱니바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마개부는, 상기 제1 입마개부재, 상기 제2 입마개부재 및 상기 제3 입마개부재 중 어느 하나의 입마개부재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반려견을 향하는 내측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반려견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톱니바퀴 및 상기 제2 톱니바퀴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입마개부와 상기 반려견과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마개부는, 상기 제1 입마개부재, 상기 제2 입마개부재 및 상기 제3 입마개부재 중 어느 하나의 입마개부재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반려견을 향하는 내측 중앙에 위치하고, 분사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반려견의 코 또는 입을 향해 액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분사된 액체가 상기 코 또는 입을 통해 상기 반려견의 체내에 유입되도록 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액체를 저장하고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된 액체를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하는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분사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액체가 상기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반려견의 체내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마개부는, 상기 제1 입마개부재, 상기 제2 입마개부재 및 상기 제3 입마개부재 중 어느 하나의 입마개부재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반려견을 향하는 내측 중앙에 위치하고, 분사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반려견의 코를 향해 액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반려견이 상기 분사된 액체의 향기를 맡도록 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액체를 저장하고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된 액체를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하는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는, 상기 반려견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리적 안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향기가 나는 액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생체정보에 상기 스트레스 지수가 포함된 경우, 상기 수집된 스트레스 지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분사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이에 의해, 반려견이 입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반려견으로 하여금 입마개의 착용에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황에 따른 착용 및 해제가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입마개가 착용된 상태에서도 반려견이 혀를 자유롭게 내밀 수 있도록 하여, 입마개가 착용된 상태에서도 반려견이 혀를 이용한 체온조절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가 반려견에 착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마개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마개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10)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10)가 반려견(d)에 착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10)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이하, '입마개 장치'라 한다.)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마개 장치(10)는 반려견(d)이 입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상황에 따른 착용 및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마개 장치(10)는 입마개부(100), 목걸이부(200), 연결부(300), 수집부(400), 제어부(500) 및 통신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마개부(100)는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위함으로써 반려견(d)에 의한 물림과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때, 입마개부(100)는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의함으로써 반려견(d)이 입마개 장치(10)의 착용에 의한 거부감과 갑갑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입마개부(10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목걸이부(200)는 입마개 장치(10)가 반려견(d)에 착용 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에 착용 될 수 있으며, 고정력의 향상을 위해 반려견의 몸에 착용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목걸이부(200)와 입마개부(100)를 연결함으로써 입마개부(100)가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연결부(300)는 반려견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되, 제1 연결부재(310), 제2 연결부재(320) 및 지지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10)는 연결부(300)의 일단에 마련되어 목걸이부(200)에 결합됨으로써 연결부(300)가 목걸이부(200)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2 연결부재(320)는 연결부(300)의 타단에 마련되어 입마개부(100)에 결합됨으로써 연결부(300)가 입마개부(100)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지지부재(3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되 일단이 제1 연결부재(310)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2 연결부재(320)와 결합되어 제1 연결부재(310)와 제2 연결부재(320) 사이를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연결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310)가 목걸이부(200)에 결합되고, 제2 연결부재(320)가 입마개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연결부재(310)와 제2 연결부재(320) 사이에 결합된 지지부재(33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입마개부(100)가 반려견(d)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10)는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지지부재(330)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입마개부(100)가 반려견의 입의 전면에 위치되거나, 입마개부(100)가 반려견의 머리 위 또는 머리 뒤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부재(310)는 제어부(500)로부터 잠금신호가 생성되면,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입마개부(100)가 반려견의 입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1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입마개부(100)에 의해 반려견(d)에 의한 물림과 같은 사고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310)는 제어부(500)로부터 개방신호가 생성되면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입마개부(100)가 반려견의 머리 위 또는 머리 뒤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2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반려견(d)이 입마개로부터 자유로워 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마개부(100)가 반려견의 머리 위로 위치되도록 회전되는 방향이 제2 방향이며, 제1 방향은 이와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연결부재(310)의 회전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미도시)가 마련되어 자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수집부(400)는 반려견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때, 생체정보는 반려견의 호흡수, 심박수, 혈당량, 체온 및 스트레스 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수집부(400)는 반려견의 호흡수, 심박수, 혈당량, 체온 및 스트레스 지수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집부(400)는 반려견(d)과의 접촉을 위하여 목걸이부(200)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는 측정 항목에 따라 유리한 위치에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수집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각종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생성된 각종 신호를 이용하여 연결부(300)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500)는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생체정보에 심박수가 포함된 경우, 수집된 심박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잠금신호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연결부재(31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제1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수집된 심박수가 기설정된 값 미만이면 개방신호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연결부재(31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제2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500)는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생체정보에 호흡수가 포함된 경우, 수집된 호흡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잠금신호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연결부재(31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제1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수집된 호흡수가 기설정된 값 미만이면 개방신호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연결부재(31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제2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려견(d)이 공격성을 갖는 흥분 상태일 때에는 도 2와 같은 제1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반려견(d)에 의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반려견(d)이 공격성이 없는 평시 상태일 때에는 도 3과 같은 제2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반려견(d)이 입마개로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어 반려견의 입마개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통신부(600)는 사용자 단말과 같은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해 마련되며,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반려견의 생체정보를 외부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개방신호가 생성되기 전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600)를 통해 외부 기기에 제2 상태로의 전환에 대해 허가를 요청하고, 외부기기로부터의 허가가 있는 경우에만 개방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0)는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생체정보에 심박수가 포함된 경우, 수집된 심박수가 기설정된 값 미만이면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외부기기로부터 허가를 요청하고, 외부기기로부터의 허가가 있는 경우에 개방신호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연결부재(31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제2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반려견의 생체신호뿐 아니라 사용자가 반려견의 주변상황을 판단 후 입마개부(100)의 개방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제2 연결부재(320)에는 GPS수신기(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재(320)에 GPS수신기(미도시)가 포함되는 경우, 통신부(600)는 실시간으로 GPS수신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외부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마개부(1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마개부(1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마개부(100)는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의함으로써 반려견(d)이 입마개 장치(10)의 착용에 의한 거부감과 갑갑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입마개부(100)가 반려견의 전면에 위치한 제1 상태에서도 반려견(d)이 혀를 자유롭게 내밀 수 있도록 하여 체온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입마개부(100)는 제1 입마개부재(110), 제2 입마개부재(120) 및 제3 입마개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마개부재(110)는 일단과 타단이 한 쌍의 제2 연결부재(320)에 각각 연결되어, 제 상태에서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입마개부재(120)는 일단과 타단이 한 쌍의 제2 연결부재(320)에 각각 연결되어, 제 상태에서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위하되 제1 입마개부재(110)의 하측에 제1 입마개부재(110)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입마개부재(130)는 일단과 타단이 한 쌍의 제2 연결부재(320)에 각각 연결되어, 제 상태에서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위하되 제2 입마개부재(120)의 하측에 제2 입마개부재(120)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입마개부재(110)와 제2 입마개부재(120) 간의 이격된 공간과, 제2 입마개부재(120)와 제3 입마개부재(130) 간의 이격된 공간에 의해 반려견의 혀가 자유롭게 출입 가능할 수 있으며, 입마개부(100)에 의한 불편함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반려견은 제1 상태에서도 혀의 출입이 자유롭기 때문에 체온조절에 용이할 수 있고, 입마개가 씌워진 상태에서도 물을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입마개부(100)는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입마개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나, 입마개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개의 입마개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마개부(1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마개부(100), 연결부(300) 및 제어부(5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따른 연결부(300)는 입마개 장치(10)가 착용되는 반려견의 얼굴형태 또는 크기에 따라 길이가 변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재(330)는 일단의 상측 및 하측에 복수의 홈(33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재(310)는 지지부재(330)의 상측의 복수의 홈과 맞물리는 제1 톱니바퀴(311)와 지지부재(330)의 하측의 복수의 홈과 맞물리는 제2 톱니바퀴(3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톱니바퀴(311) 및 제2 톱니바퀴(312)는 제1 연결부재(310)의 내측에 마련되되, 제1 연결부재(310)에 결합된 지지부재(330)의 일단 상측 및 하측에 접면하여 지지부재(330)의 상측 및 하측의 홈(331)과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도 5a와 같이 제1 톱니바퀴(311)와 제2 톱니바퀴(312)의 회전을 통해 지지부재(330)가 후진하도록 함으로써 제1 연결부재(310)와 제2 연결부재(320) 사이의 거리(l1)가 가까워지도록 조절하거나, 도 5b와 같이 제1 톱니바퀴(311)와 제2 톱니바퀴(312)의 회전을 통해 지지부재(330)가 후진하도록 함으로써 제1 연결부재(310)와 제2 연결부재(320) 사이의 거리(l2)가 멀어지도록 조절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제1 톱니바퀴(311)와 제1 톱니바퀴(311)의 회전을 위해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미도시)가 마련되어 제1 톱니바퀴(311)와 제2 톱니바퀴(312)가 회전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마개부(100)와 제어부(5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1 상태에서 반려견의 얼굴을 향하는 입마개부(100)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마개부(100)와 제어부(5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마개부(100)는 상술한 제1 입마개부재(110), 제2 입마개부재(120) 및 제3 입마개부재(130) 외에도 거리감지센서(140), 분사노즐(150) 및 탱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140)는 제1 상태에서 입마개부(100)로부터 반려견의 얼굴까지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입마개부재(110), 제2 입마개부재(120) 및 제3 입마개부재(130) 중 어느 하나의 입마개부재에 위치하되, 제1 상태에서 반려견을 향하는 내측 중앙에 위치하여 반려견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마련된다.
제어부(500)는 거리감지센서(140)로부터 감지된 거리를 기반으로 제1 톱니바퀴(311) 및 제2 톱니바퀴(312)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입마개부(100)와 반려견과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거리감지센서(140)로부터 감지된 거리를 기반으로 제1 연결부재(310)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데, 생성되는 구동신호에는 제1 톱니바퀴(311) 및 제2 톱니바퀴(312)의 회전수와 회전방향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제1 톱니바퀴(311) 및 제2 톱니바퀴(312)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제1 연결부재(310)와 제2 연결부재(32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입마개부(100)와 반려견과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0)는 개방신호 또는 잠금신호를 생성하기 전에 제1 연결부재(310)와 제2 연결부재(320)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 또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입마개부(100)가 반려견의 얼굴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개방신호를 생성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뒤에 제1 연결부재(310)와 제2 연결부재(320) 사이의 거리가 최소로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제2 상태에서의 입마개 장치(10)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반려견이 느끼는 불편함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분사노즐(150)은 액체를 반려견의 코를 향해 액체를 분사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1 입마개부재(110), 제2 입마개부재(120) 및 제3 입마개부재(130) 중 어느 하나의 입마개부재에 위치하되, 제1 상태에서 반려견을 향하는 내측 중앙에 위치하고, 분사신호가 생성되면 액체를 분사함으로써 분사된 액체가 코를 통해 반려견의 체내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150)은 반려견의 코를 향하도록 위치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입을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반려견이 분사된 액체를 흡입하기 용이하도록 작은 입자상태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탱크(미도시)는 액체를 저장하고 분사노즐(150)과 연결되어 저장된 액체를 분사노즐(150)에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탱크(미도시)는 입마개부(100)에 위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 연결부재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된 액체가 물인 경우, 제어부(500)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분사신호를 생성하여, 저장된 액체가 기설정된 시간마다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반려견이 기설정된 시간마다 수분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액체가 기설정된 시간마다 복용해야 하는 약물인 경우에도 제어부(500)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분사신호를 생성하여, 저장된 액체가 기설정된 시간마다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반려견이 기설정된 시간마다 약물이 반려견의 체내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저장된 액체가 반려견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리적 안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아로마 향이 나는 액체이고, 수집부(400)에 의해 수집된 생체정보에 스트레스 지수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500)는 수집된 스트레스 지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분사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반려견이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마다 아로마 향이 분사되어 반려견의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액체가 혈압약, 당뇨약과 같은 이상상황이 발생하는 즉시 복용해야 하는 약물인 경우, 제어부(500)는 수집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반려견의 이상상황을 판단하고 분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된 액체가 혈압약이고, 수집부(400)에 의해 수집된 생체정보에 혈압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500)는 수집된 혈압정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분사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반려견의 체내에 혈압약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100: 입마개부 110: 제1 입마개부재
120: 제2 입마개부재 130: 제3 입마개부재
140: 거리감지센서 150: 분사노즐
200: 목걸이부 300: 연결부
310: 제1 연결부재 311: 제1 톱니바퀴
312: 제2 톱니바퀴 320: 제2 연결부재
330: 지지부재 331: 홈
400: 수집부 500: 제어부
600: 통신부

Claims (7)

  1.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위함으로써 상기 반려견에 의한 물림과 같은 사고를 방지하는 입마개부;
    상기 반려견의 목에 착용되는 목걸이부;
    상기 반려견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일단에 상기 목걸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타단에 상기 입마개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입마개부가 상기 목걸이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반려견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잠금신호 또는 개방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잠금신호가 생성되면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입마개부가 상기 반려견의 입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1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입마개부에 의해 상기 반려견에 의한 사고가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개방신호가 생성되면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입마개부가 상기 반려견의 머리 위 또는 머리 뒤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2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반려견이 상기 입마개부로부터 자유로워 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반려견의 호흡수, 심박수, 혈당량, 체온 및 스트레스 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생체정보에 상기 심박수가 포함된 경우, 상기 수집된 심박수가 기설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개방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집된 심박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잠금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마개부는,
    일단과 타단이 한 쌍의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위하는 제1 입마개부재;
    일단과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위하되, 상기 제1 입마개부재의 하측에 상기 제1 입마개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제2 입마개부재; 및
    일단과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반려견의 입 주변을 환위하되, 상기 제2 입마개부재의 하측에 상기 제2 입마개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제3 입마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마개부는,
    상기 제1 입마개부재, 상기 제2 입마개부재 및 상기 제3 입마개부재 간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상태에서도 상기 반려견의 혀가 출입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되, 일단이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의 상측 및 하측에 복수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의 복수의 홈과 맞물리는 제1 톱니바퀴;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의 복수의 홈과 맞물리는 제2 톱니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톱니바퀴와 제2 톱니바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마개부는,
    상기 제1 입마개부재, 상기 제2 입마개부재 및 상기 제3 입마개부재 중 어느 하나의 입마개부재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반려견을 향하는 내측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반려견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톱니바퀴 및 상기 제2 톱니바퀴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입마개부와 상기 반려견과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마개부는,
    상기 제1 입마개부재, 상기 제2 입마개부재 및 상기 제3 입마개부재 중 어느 하나의 입마개부재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반려견을 향하는 내측 중앙에 위치하고, 분사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반려견의 코 또는 입을 향해 액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분사된 액체가 상기 코 또는 입을 통해 상기 반려견의 체내에 유입되도록 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액체를 저장하고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된 액체를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하는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분사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액체가 상기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반려견의 체내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마개부는,
    상기 제1 입마개부재, 상기 제2 입마개부재 및 상기 제3 입마개부재 중 어느 하나의 입마개부재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반려견을 향하는 내측 중앙에 위치하고, 분사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반려견의 코를 향해 액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반려견이 상기 분사된 액체의 향기를 맡도록 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액체를 저장하고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된 액체를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하는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는,
    상기 반려견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리적 안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향기가 나는 액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생체정보에 상기 스트레스 지수가 포함된 경우, 상기 수집된 스트레스 지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분사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KR2020190001379U 2019-04-04 2019-04-04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KR200492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79U KR200492784Y1 (ko) 2019-04-04 2019-04-04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79U KR200492784Y1 (ko) 2019-04-04 2019-04-04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40U true KR20200002240U (ko) 2020-10-14
KR200492784Y1 KR200492784Y1 (ko) 2020-12-08

Family

ID=7280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379U KR200492784Y1 (ko) 2019-04-04 2019-04-04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7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665A (ko) * 2021-03-22 2022-09-29 김경준 심박수 기반 전자동 반려동물 입마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670A (ja) * 2004-08-04 2006-02-16 Daikin Ind Ltd ペット健康管理システム
CN103493747A (zh) * 2013-09-26 2014-01-08 郑运婷 自控犬口罩装置
KR20150103819A (ko) * 2014-03-04 2015-09-14 이상준 애완견 입마개
KR20160131545A (ko) 2015-05-07 2016-11-16 황정하 애완동물용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670A (ja) * 2004-08-04 2006-02-16 Daikin Ind Ltd ペット健康管理システム
CN103493747A (zh) * 2013-09-26 2014-01-08 郑运婷 自控犬口罩装置
KR20150103819A (ko) * 2014-03-04 2015-09-14 이상준 애완견 입마개
KR20160131545A (ko) 2015-05-07 2016-11-16 황정하 애완동물용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665A (ko) * 2021-03-22 2022-09-29 김경준 심박수 기반 전자동 반려동물 입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784Y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30563A1 (en) Smart Wearable Injection and/or Infusion Device
EP3416711B1 (en) Adherence monitor for a medicament inhaler with tethered cap
US108743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an opioid overdose and injection of an opioid receptor antagonist
CN104491955B (zh) 安全式胰岛素笔针
US20170173260A1 (en) Infus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liquid medicine thereof
US9468729B2 (en) Releasable monitor with optical dose counter for a medicament inhaler
KR200492784Y1 (ko) 반려견용 입마개 장치
EP3559922A2 (de) Autonomes haushaltsgerät und sitz- oder liegemöbel hierzu sowie haushaltsgerät
WO2005000103A3 (en) Human physiological and chemical monitoring system
CN106072810A (zh) 一种文胸
KR200409394Y1 (ko) 링거액 감시기
CN207409102U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安全监控系统
CN106139320A (zh) 智能移动输液监护物联网管理系统
CN105105730A (zh) 一种电子设备和监控方法
KR101258025B1 (ko) 자동 안약 투여장치
CN212214115U (zh) 一种抑郁症病房用的护理装置
CN206762000U (zh) 一种可夹持智能胰岛素注射笔
CN207342003U (zh) 氧气雾化面罩
CN211188773U (zh) 一种癫痫发作自动报警给药装置
CN217793980U (zh) 一种点滴计数装置
US20210338948A1 (en) Biomarker Based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CN113041157A (zh) 一种基于视觉传输的实时病理监测心内科喂药系统
RU200610297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за состоянием человека
CN102469772A (zh) 捕食阻止
WO202302858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auto-inj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