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223U -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 - Google Patents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223U
KR20200002223U KR2020190001328U KR20190001328U KR20200002223U KR 20200002223 U KR20200002223 U KR 20200002223U KR 2020190001328 U KR2020190001328 U KR 2020190001328U KR 20190001328 U KR20190001328 U KR 20190001328U KR 20200002223 U KR20200002223 U KR 202000022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late
drainage
handle
drain
drain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2020190001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223U/ko
Publication of KR202000022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배수트랩 본체의 상부를 덮는 거름판에 손잡이를 인출식으로 설치하여 청소 작업시 손잡이를 들어 올린 후 이를 통해 커버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평상 시에는 커버 상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에 의하면; 거름판(340)에는 선재를 통해 벤딩되어 이루어지며 중앙부위가 거름판(340) 상부로 노출되는 파지부(351)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는 배수홀(341)을 통해 거름판(340) 하부로 절곡 연장되어 거름판(340) 하면에 걸리는 걸림부(352)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거름판(340)에서 파지부(351)가 상측으로 출입 가능한 손잡이(3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A FILTER PLATE FOR DRAINING TRAP}
본 고안은 배수트랩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배수관으로 물을 빠져나가게 안내하면서 배수관 악취는 유입되지 않게 하는 배수트랩의 거름판을 용이하게 들어낼 수 있는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 주택, 아파트 등 공동주택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는 배출되는 각종 하수를 집수 처리할 수 있도록 집수조가 설치되며, 각 가정의 욕실 또는 베란다 등의 바닥과 집수조는 배수관(배수 파이프)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관에는 생활 주변의 화장실, 욕조 등과 같이 많은 양의 물과 오물이 함께 내려감으로써 냄새(악취)가 역류할 수 있는데, 냄새(악취)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화장실(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 배수트랩이다.
종래 배수트랩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P)의 직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통결합구(2)가 천공된 배수트랩 본체(1)와, 이 배수트랩 본체(1)의 통결합구(2)에 하부로 연장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부에 일정높이의 물이 채워져 잔류하는 배수잔류통(3)과, 배수트랩 본체(1)의 통결합구(2)에 하부로 연장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부는 배수잔류통(3) 내부공간에 이격되게 수용되는 배수유도통(4)과, 배수트랩 본체(1)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전역에 걸쳐 배수홀(5a)이 천공된 거름판(5)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물은 거름판(5)의 배수홀(5a)들을 통해 배수트랩 본체(1) 중앙부로 모이면서 배수유도통(4)을 경유하며, 계속하여 배수잔류통(3)의 벽면에 천공된 배수창(3a)을 통해 배수관(P)으로 빠져나간다(도 1의 화살표 방향 참조). 배수 과정에서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은 거름판(5)에서 1차로 걸러지고 배수유도통(4)과 배수잔류통(3) 내부에서도 걸러진다. 그리고 배수잔류통(3) 바닥에는 일정높이의 물이 채워져 배수유도통(4) 하단이 항상 잠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배수관(P)으로부터의 냄새(악취) 역류가 방지된다.
이러한 종래 배수트랩 구조에서는 거름판(5)과 배수잔류통(3) 내부에 누적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거름판(5)을 먼저 들어내야 한다. 그러나 종래 배수트랩 거름판(5)은 배수트랩 본체(1)의 상부를 덮도록 인입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 작업시 매번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분해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배수트랩의 여과판용 손잡이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76133호에 공지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용신안등록 제20-0476133호 배수트랩의 여과판용 손잡이(100)는 커버체(200)의 상부면에 저면이 접촉되는 손잡이부(1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손잡이부(110) 저면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회전축(120)이 커버체(20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20)의 하부에는 커버체(200)에 형성된 배수공(210)을 통해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십자형 걸림돌기(13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130)를 커버체(200)의 배수공(210)에 끼워넣고 회전시키면 여과판용 손잡이(100)가 커버체(200)에 고정된다. 따라서 배수트랩의 청소 작업 시 여과판용 손잡이(100)를 통해 커버체(200)를 용이하게 들어올려 분해할 수 있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 제20-0476133호의 배수트랩의 여과판용 손잡이(100)는 손잡이부(110)가 커버체(200) 상부에 돌출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밟는 경우 다칠 수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번 청소작업 시 여과판용 손잡이(100)를 착탈시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트랩 본체의 상부를 덮는 거름판에 손잡이를 인출식으로 설치하여 청소 작업시 손잡이를 들어 올린 후 이를 통해 커버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평상 시에는 커버 상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수관이 설치된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매립 설치되며, 상면에는 배수를 안내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배수관과 수용되도록 통 결합구가 하부로 연장된 배수트랩 본체와; 상부가 개방되고 벽면과 밑면을 갖는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통 결합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벽면에는 배수창이 천공되어 일정 높이의 물이 채워져 잔류하는 배수잔류통과; 상기 통 결합구 상단 내벽에 상단부가 나사 결합식으로 조립되고 하단부는 상기 배수잔류통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배수유도통과; 상기 배수트랩 본체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며 전역에 걸쳐 배수홀이 천공된 거름판을 갖춘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거름판은 선재를 통해 벤딩되어 이루어지며 중앙부위는 상기 거름판 상부로 노출되는 파지부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는 상기 배수홀을 통해 상기 거름판 하부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거름판 하면에 걸리는 걸림부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거름판에서 상기 파지부가 상측으로 출입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손잡이 파지부의 중앙부가 상기 거름판 상부에 만곡된 상태로 노출되도록 라운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에 의하면; 청소 작업 시 거름판 상부로 노출된 손잡이를 통해 거름판을 용이하게 들어올려 배수트랩 본체로부터 빼냄으로써, 배수트랩 본체 내부와 거름판에 누적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러한 손잡이의 파지부는 거름판에서 상측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거름판이 배수트랩 본체에 조립된 상태에서 거름판 상부로 노출된 부분이 최소로 되어 배수과정에서 지장을 주거나 다칠 염려가 없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에 의하면; 손잡이 파지부의 중앙부가 거름판 상부에 만곡된 상태로 노출되도록 라운드 벤딩되어 있어서, 무의식적으로 거름판을 밟더라도 다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수트랩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76133호의 배수트랩의 여과판용 손잡이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 - Ⅴ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조립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거름판 분해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에서 거름판을 분해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300)은 배수관이 설치된 욕실(화장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배수를 안내하면서 냄새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통 결합구(311)가 하부로 연장되게 이루어진 배수트랩 본체(310)와, 이 배수트랩 본체(310)의 통 결합구(3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잔류통(320)과, 통 결합구(311) 상단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조립되며 하단부가 배수잔류통(320)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배수유도통(330)과, 배수트랩 본체(310) 상면을 덮는 거름판(340)을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배수트랩 본체(310)는 배수관이 설치된 욕실(화장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매입되어 배수관과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것은 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의 가장자리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커버재(312)로 덮여 있다. 또한, 배수트랩 본체(310)의 상면은 배수가 용이하도록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져 있으며, 배수트랩 본체(310)의 중앙에는 통 결합구(311)가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통 결합구(311)는 배수관에 수용 배치되는 것으로, 이의 상단 내벽에는 배수유도통(330)의 착탈 결합을 위해 암나사(313)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314'은 배수트랩 본체(3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단차턱으로, 이의 내측으로 거름판(340)이 흔들림없이 견실하게 안착 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잔류통(320)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벽면(321)과 밑면(322)을 갖는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수트랩 본체(310)의 통 결합구(311) 하부로 연장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배수잔류통(320)의 벽면(321)에는 밑면(322)에서부터 일정한 높이로 복수개의 배수창(323)이 천공되어 있어서, 배수가 이루어지면서도 항상 일정높이의 물이 채워져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배수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으면 잔류하는 물을 통해 냄새 역류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배수유도통(330)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결합구(311) 상단 내벽에 상단부가 나사 결합식으로 조립되며, 이의 하단부는 배수잔류통(320)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배수유도통(330)의 하단은 배수잔류통(320)의 배수창(323) 보다 아래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어서, 물은 배수유도통(330)의 하단부를 U 형태로 돌아서 배수창(323)으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를 통해 머리카락과 같은 오염물이 걸러질 수 있으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배수잔류통(320)에 잔류하는 물에 의해 냄새 역류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유도통(330)의 저부에 걸린 오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배수유도통(330)을 풀리는 방향으로 돌려 빼낼 수 있다.
또한, 거름판(340)은 배수트랩 본체(310)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역에 걸쳐서 배수홀(341)들이 천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흘려진 물은 거름판(340)의 배수홀(341)들을 통해 배수관측으로 유입되며, 유입과정에서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이 1차로 걸려지게 된다. 이러한 거름판(340)은 내부식성이 우수산 스테인리스 스틸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이루어지며, 배수트랩 본체(310) 상면의 단차턱(314) 내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거름판(340)에는 청소 작업 시 이를 용이하게 들어낼 수 있도록 손잡이(350)가 거름판(340) 상측으로 출입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손잡이(350)는 선재(스테인리스 철사)를 통해 벤딩되어 이루어지며, 중앙부위는 거름판(340) 상부로 노출되는 파지부(351)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는 배수홀(341)을 통해 거름판(340) 하부로 절곡 연장되어 거름판(340) 하면에 걸리도록 걸림부(352)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350)의 파지부(351)가 거름판(340) 상부에서 상측으로 출입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손잡이(350)의 파지부(351)는 중앙부가 거름판(340) 상부에 만곡된 상태로 노출되도록 라운드 벤딩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거름판의 사용 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300) 내부를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350)를 통해 거름판(340)을 먼저 들어낸다(도 6의 화살표 방향 참조). 즉, 거름판(340) 상부로 노출된 손잡이(350)의 파지부(351)를 잡고서 이를 들어올리면 배수트랩 본체(310)에서 거름판(340)이 용이하게 분리됨으로써(도 7의 화살표 방향 참조), 배수트랩 본체(310) 내부와 거름판(340)에 누적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350)의 파지부(351)는 거름판(340)에서 상측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거름판(340)이 배수트랩 본체(310)에 조립된 상태에서 거름판(340) 상부로 노출된 부분이 최소로 되어 배수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도 5참조). 특히, 손잡이(350) 파지부(351)의 중앙부가 거름판(340) 상부에 만곡된 상태로 노출되도록 라운드 벤딩되어 있어서, 무의식적으로 거름판(340)을 밟더라도 다칠 염려가 없다.
300..배수트랩 310..배수트랩 본체 311..통 결합구
312..커버재 313..암나사 314..단차턱
320..배수잔류통 321..벽면 322..밑면
323..배수창 330..배수유도통 340..거름판
341..배수홀 350..손잡이 351..파지부
352..걸림부

Claims (2)

  1. 배수관이 설치된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매립 설치되며 상면에는 배수를 안내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배수관과 수용되도록 통 결합구(311)가 하부로 연장된 배수트랩 본체(310)와; 상부가 개방되고 벽면(321)과 밑면(322)을 갖는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통 결합구(3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벽면(321)에는 배수창(323)이 천공되어 일정 높이의 물이 채워져 잔류하는 배수잔류통(320)과; 상기 통 결합구(311) 상단 내벽에 상단부가 나사 결합식으로 조립되고 하단부는 상기 배수잔류통(320)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배수유도통(330)과; 상기 배수트랩 본체(310)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며 전역에 걸쳐 배수홀(341)이 천공된 거름판(340)을 갖춘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거름판(340)은 선재를 통해 벤딩되어 이루어지며 중앙부위는 상기 거름판(340) 상부로 노출되는 파지부(351)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는 상기 배수홀(341)을 통해 상기 거름판(340) 하부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거름판(340) 하면에 걸리는 걸림부(352)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거름판(340)에서 상기 파지부(351)가 상측으로 출입 가능한 손잡이(3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50)의 파지부(351)는 중앙부가 상기 거름판(340) 상부에 만곡된 상태로 노출되도록 라운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 거름판.
KR2020190001328U 2019-04-01 2019-04-01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 KR202000022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28U KR20200002223U (ko) 2019-04-01 2019-04-01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28U KR20200002223U (ko) 2019-04-01 2019-04-01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23U true KR20200002223U (ko) 2020-10-12

Family

ID=7280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328U KR20200002223U (ko) 2019-04-01 2019-04-01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22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68184A1 (en) Drain filter apparatus to capture hair and debris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48289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472503Y1 (ko) 배수트랩
KR100816677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0463052Y1 (ko) 착탈식 걸름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레버식 배수장치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200002223U (ko)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
KR200490200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트랩
KR100899798B1 (ko) 오수받이장치
KR20200002278U (ko) 손잡이를 갖춘 배수트랩용 거름판
KR200368837Y1 (ko) 착탈식 걸름망이 구비된 세면기용 배수전
KR20210000079U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200489534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 트랜치
KR100954145B1 (ko) 점검구 전환이 가능한 오수받이
KR20170003207U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20090132690A (ko) 하수처리의 위생구조물
JP4859365B2 (ja) 排水口構造
KR102045116B1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KR20080057911A (ko) 배수구의 머리카락 수거판
KR100698773B1 (ko)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0712963B1 (ko) 배수관용 소음 및 역유입 방지장치
KR20170003206U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