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200U -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 Google Patents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200U
KR20200002200U KR2020190001305U KR20190001305U KR20200002200U KR 20200002200 U KR20200002200 U KR 20200002200U KR 2020190001305 U KR2020190001305 U KR 2020190001305U KR 20190001305 U KR20190001305 U KR 20190001305U KR 20200002200 U KR20200002200 U KR 202000022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otective film
band
functional material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30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2944Y1 (en
Inventor
김연산
Original Assignee
김연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산 filed Critical 김연산
Priority to KR2020190001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44Y1/en
Publication of KR20200002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0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4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72Packaging of dressings
    • A61F13/00076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 A61F13/0008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removal of the packaging and release l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85Accessories for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n the skin, e.g. single hand handl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handling layer
    • A61F13/0236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handl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handling support layer
    • A61F13/024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handl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handling support layer the application or handling support layer being re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61F13/026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especially adapted for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 A61F2013/00804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different adhesion of different adhesiv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17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handles or handling tabs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가 용이한 밴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보호필름을 구비하여 이형필름으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밴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structure that is easy to separ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d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release film by providing a functional protective film and attached to the user's skin.

Description

분리가 용이한 밴드 구조체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Ban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본 고안은 분리가 용이한 밴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보호필름을 구비하여 이형필름으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밴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structure that is easy to separ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d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release film by providing a functional protective film and attached to the user's skin.

피부에 상처가 났을 때 감염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방법으로 흔히 건조드레싱과 습윤드레싱이 사용된다. 특히, 습윤밴드는 상처부위에 부착됨으로써 상처치유세포가 잘 형성되도록 습윤환경을 조성하여 흉터지지 않고, 빠르게 상처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한다.Dry dressing and wet dressing are commonly used to prevent and heal infections when the skin is injured. In particular, the wet band is attached to the wound to create a moist environment so that wound healing cells are well formed so that the wound can be quickly healed without being scarred.

일반적으로 습윤드레싱에 사용되는 습윤밴드는 점착력이 있고, 약제를 포함하여 피부에 접착되어 상처를 치료하는 약제층과 상기 약제층을 커버하여 상기 약제층을 보호하는 커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wet band used for wet dressing has adhesive strength, and includes a drug layer that is adhered to the skin to heal wounds, including a drug, and a cover layer that covers the drug layer to protect the drug layer.

이와 같은 습윤밴드를 피부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상기 습윤밴드가 부착되어 있는 이형필름에서 분리한 후, 분리된 습윤밴드를 상처부위에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때, 손으로 상기 습윤밴드를 직접 잡고 상기 이형필름에서 분리함으로써, 상기 습윤밴드의 가장자리가 손상되거나, 혹은 상기 약제층이 오염될 수 있다.In order to attach such a wet band to the skin, a method of attaching the separated wet band to the wound after separating it from the release film to which the wet band is attached is used by hand. At this time, by directly holding the wet band by hand and separating it from the release film, the edge of the wet band may be damaged or the drug layer may be contaminated.

상기 습윤밴드의 가장자리가 손상되는 경우, 손상된 부위의 점착력이 약해져 습윤 밴드가 밀착되지 않아 습윤환경이 제대로 조성되지 않고, 점착력이 약해진 부분이 점차 습윤밴드 전체로 번져 습윤밴드가 쉽게 떨어져 버리게 된다.When the edge of the wet band is damage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damaged area is weakened and the wet band is not adhered to the wet band, so that the wet environment is not properly created, and the weakened portion gradually spreads to the entire wet band, so that the wet band easily falls off.

혹은 상기 약제층이 오염되는 경우 오염물질에 의해 오히려 상처가 악화되거나, 상처의 치유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drug layer is contamin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und may be worsened by the contaminant or the healing effect of the wound may be reduced.

본 고안은 기능성보호필름을 구비하여 이형필름으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밴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nd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release film and attached to a user's skin by having a functional protective film.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피부에 직접 부착되는 약제층; 및 상기 약제층의 피부에 부착되는 측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약제층을 커버하는 커버층; 을 포함하는 밴드유닛; 상기 밴드유닛의 약제층 측에 부착되는 이형필름; 및 상기 밴드유닛의 커버층 측에 부착되는 기능성보호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필름은, 상기 약제층을 보호하는 이형필름층; 및 상기 약제층에 부착되는 면에 구비되어 이형력을 조절하는 이형력조절층; 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보호필름은, 상기 밴드유닛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층; 및 상기 커버층에 부착되는 면에 구비된 점착층; 을 포함하는, 밴드 구조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ug layer directly attached to the skin; And a cover layer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attached to the skin of the drug layer to cover the drug layer. Band unit comprising a; A release film attached to the drug layer side of the band unit; And a functional protective film attached to the cover layer side of the band unit. Including, the release film, a release film layer for protecting the drug layer; And a release force control layer provided on a surface attached to the drug layer to control a release force. Including,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a protective film layer for protecting the band unit; And an adhesive layer provided on a surface attached to the cover layer. It provides a band structure comprising a.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보호필름층은, 상기 보호필름층의 일단으로부터 기설정된 폭을 갖는 제1파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층의 상기 제1파지부를 제외한 영역에 상기 점착층이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film layer, the first hold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Including, the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in a region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excluding the first gripping part.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보호필름층은, 상기 보호필름층의 일단으로부터 기설정된 폭을 갖는 제1파지부; 및 상기 보호필름층의 타단으로부터 기설정된 폭을 갖는 제2파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층의 상기 제1파지부 및 상기 제2파지부를 제외한 영역에 상기 점착층이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film layer, the first hold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a second gripp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Including, the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in a region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excluding the first gripping portion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1파지부는 상기 제2파지부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ipping portion may have a wider width than that of the second gripping portion.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커버층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약제층 및 상기 이형력조절층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크고, 상기 약제층 및 사람의 피부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작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cover layer may be greater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drug layer and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and less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drug layer and the human skin.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이형력조절층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약제층 및 상기 이형력조절층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작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may be less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drug layer and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피부에 직접 부착될 수 있고,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물질층; 상기 기능성물질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상기 기능성물질층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보호필름층 및 상기 기능성물질층의 타측에 배치되는 이형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층의 일부 영역에만 상기 점착층이 배치되어 있는, 밴드 구조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skin, a functional material layer comprising a functional material;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Including; a protective film layer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of the adhesive layer and a release film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disposed only in a partial area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Provides a structure.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점착층 및 상기 기능성물질층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기능성물질층 및 상기 이형필름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크고, 상기 약제층 및 사람의 피부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작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may be greater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and the release film, and less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drug layer and the human skin.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이형필름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기능성물질층 및 상기 이형필름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작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film may be less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and the release film.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보호필름층은, 상기 기능성물질층을 내부의 공간에 평면상으로 수용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 일측에 돌출된 형태의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중앙부 타측에 돌출된 형태의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이한 형태이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는 상이한 형태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film layer, the central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in a plane in the interior space; A first handl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entral part; And a second handle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and the first handle may have different shapes, and the central portion and the second handle may have different shapes.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점착층은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일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may include one end formed in a zigzag shape.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밴드구조체는, 상기 상기 기능성물질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증과 분리되어 배치되는 추가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adhesiveness.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보호필름층의 세로길이 대 가로길이의 비는 1:3 내지 1:8에 해당하고, 상기 보호필름층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층의 가로길이의 10% 내지 40%까지 연장된 영역의 일부 혹은 전체에 상기 점착증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밴드구조체는, 상기 기능성물질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증과 분리되어 배치되는 추가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vertical length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corresponds to 1:3 to 1:8, and extends from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to 10% to 40%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The tackiness is disposed in a part or all of the area, and the band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tackiness. have.

본 고안에서는, 상기 추가점착증은 분리된 형태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adhesiveness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in a separate form.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보호필름에 의해 이형필름에 부착된 밴드유닛을 보호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hibit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band unit attached to the release film by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형필름에 부착된 밴드유닛을 기능성보호필름에 의해 밴드유닛의 훼손 없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unit attached to the release film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damaging the band unit by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형필름에 부착된 밴드유닛을 분리할 때, 용이하게 기능성보호필름을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parating the band unit attached to the release film, it is possible to exhibit the effect of easily gripping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된 밴드유닛을 기능성보호필름에 의해 피부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ed band un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skin by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밴드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의 사용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유닛의 사용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몇 실시예들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몇 실시예들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층 및 점착층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는 도 15에 도시된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는 본 고안의 몇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고안의 몇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0는 본 고안의 몇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use of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use of the b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nd structure shown in FIG. 9.
1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protective film layer and an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nd structure shown in FIG. 12.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nd structure shown in FIG. 15.
17 schematically shows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a number of specific details are disclosed to aid 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is aspect(s) may be implement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exemplary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sed, and the descriptions described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As used herein, “a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and the like may not be construed as having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as being better or advantageous than other aspects or designs. .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 “or” is intended to mean an inclusive “or” rather than an exclusive “or”. That is, unless specified otherwise or is not clear from the context, "X employs A or B" is intended to mean one of the natural inclusive substitutions. That is, X uses A; X uses B; Or, when X uses both A and B, “X uses A or B” can be applied to either of these cases. In addition, 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should be understood to refer to and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related items.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ing"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corresponding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as not.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has the same meaning a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rpreted as.

본 명세서에서 습윤밴드는 부착부위에 대한 습윤효과를 제공하는 밴드뿐만 아니라, 부착부위에 대한 보호 혹은 치유효과를 제공하는 밴드를 포함하는 최광의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etting band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broadest sense including a band providing a wetting effect to the attachment site as well as a band providing a protective or healing effect on the attachment site.

도 1 내지 도 20에서의 측단면도에서 각 층이 직선형태이고 이에 따라 사이가 비어있는 것처럼 도시된 부분은 본 고안의 이해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함일 뿐, 비어있는 실시예 혹은 구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n the side cross-sectional views in FIGS. 1 to 20, the portions shown as if each layer is in a straight shape and thus there is an empty space is only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limited to an empty embodiment or structure. no.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는 밴드유닛(100), 기능성보호필름(200) 및 이형필름(3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nd unit 100, a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and a release film 300.

상기 밴드유닛(100)은 피부에 직접 부착되는 약제층(120) 및 상기 약제층(120)의 피부에 부착되는 측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약제층(120)을 커버하는 커버층(110)을 포함한다.The band unit 100 includes a drug layer 120 directly attached to the skin and a cover layer 110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attached to the skin of the drug layer 120 to cover the drug layer 120 Include.

상기 약제층(120)은 사용 시 피부에 직접 부착되어 피부에 대한 치유, 습윤 및 보호 중 1 이상의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제층(120)은 하이드로콜로이드로 구성되어 점착력을 가지고 피부에 부착되고, 피부를 습윤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치유를 촉진시킨다.When used, the drug layer 12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skin and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of healing, wetting, and protecting the skin. Preferably, the drug layer 120 is composed of a hydrocolloid and adheres to the skin with adhesion, and promotes healing by maintaining the skin in a wet state.

본 고안의 몇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약제층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아크릴점착제, 및 상처 치유나 미용에 도움이 되는 의약품 혹은 물질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g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ydrocolloid, an acrylic adhesive, and a drug or substance useful for wound healing or beauty.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약제층은 대일밴드TM 과 같이 점착력이 있는 거즈층으로 대체되거나 혹은 상기 거즈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g layer may be replaced with a gauze layer having adhesive strength , such as Daeil Band TM , or may include the gauze layer.

상기 커버층(110)은 상기 약제층(120)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약제층(120)에 대한 보호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층(110)은 PU(Poly Uretha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P(Poly Propylene), PE(Poly Ethylene) 등의 1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layer 110 covers the drug layer 120 to protect the drug layer 120. Preferably, the cover layer 110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of poly urethane (PU),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ropylene (PP), poly ethylene (PE), and the like.

상기 약제층(120) 및 상기 커버층(110)은 제조과정에서 완전히 밀착되어 접착됨으로써, 상기 밴드유닛(100)의 사용시, 혹은 탈 부착 시 서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유닛으로서 사용된다.The drug layer 120 and the cover layer 110 are completely adhered to each othe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so that they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band unit 100 is used or attached, but are used as a unit.

상기 이형필름(300)은 상기 밴드유닛(100)의 약제층(120) 측에 부착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형필름(300)에는 1 이상의 밴드유닛(100)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이형필름(300)에 1 이상의 밴드유닛(100)이 부착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와 같은 이형필름(300)에서 밴드유닛(100)을 하나씩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release film 300 is attached to the drug layer 120 side of the band unit 10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band units 100 may be attached to the release film 300. In this way, one or more band units 100 are attached to one release film 300, and a user may separate and use the band units 100 one by one from the release film 300.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은 상기 밴드유닛(100)의 커버층(110) 측에 부착된다.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은 상기 밴드유닛(100)에 부착됨으로써, 사용 전의 밴드유닛(100)을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밴드유닛(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유닛(100)을 사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밴드유닛(100)을 상기 이형필름(300)으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밴드유닛(100)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is attached to the cover layer 110 side of the band unit 100. Since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is attached to the band unit 100, when storing the band unit 100 before use, the band unit 1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In addition, when a user who intends to use the band unit 100 separates the band unit 100 from the release film 300, the band unit 100 may be easily separated.

상기 밴드 구조체는 1 이상의 기능성보호필름(200)을 구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형필름(300)에 부착된 1 이상의 밴드유닛(100) 각각에 대하여 부착되어 상기 밴드유닛(100)을 보호할 수 있다.The band structur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and is attached to each of the at least one band unit 100 attached to the release film 300 as shown in FIG. 1 to provide the band unit 100. Can protect.

도 2는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밴드유닛(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unit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밴드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정사각형, 타원형, 직사각형, 육각형 또는 마름모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본 고안의 밴드유닛(10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되지 않은 어떠한 형태의 밴드유닛(100)도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band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ake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1, as well as a circle, a square, an oval, a rectangle, a hexagon, or a rhombus as shown in FIG. The same may take various forms, and the shape of the band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type of band unit 100 not shown may fall with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밴드유닛(100)의 다양한 실시예 중 원형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circular embodiment amo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band unit 100 shown in FIG. 2.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3 and 4 are plan and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형필름(300)은 상기 약제층을 보호하는 이형필름층(310) 및 상기 약제층에 부착되는 면에 구비되어 이형력을 조절하는 이형력조절층(320)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은 상기 밴드유닛(100)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층(210) 및 상기 커버층(110)에 부착되는 면에 구비된 점착층(220)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film 300 is provided on a release film layer 310 that protects the drug layer and a surface attached to the drug layer to control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Including,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includes a protective film layer 210 for protecting the band unit 100 and an adhesive layer 220 provided on a surface attached to the cover layer 110.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는 하단으로부터 이형필름(300), 밴드유닛(100) 및 기능성보호필름(200)의 순서로 결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in the order of the release film 300, the band unit 100 and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from the bottom.

상기 이형필름(300)은 이형필름층(310) 상에 구비된 이형력조절층(320)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유닛(100)의 약제층(120)은 상기 이형력조절층(320)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약제층을 커버하는 커버층(110)은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의 점착층(210)에 부착되어 보호필름층(220)과 결합되어 있다.The release film 300 includes a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provided on the release film layer 310, and the drug layer 120 of the band unit 100 is on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Is attached. The cover layer 110 covering the drug layer is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210 of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and is combined with the protective film layer 220.

상기 약제층(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테두리 부분에 비해 두꺼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 부분이 테두리 부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피부의 상처부위에 직접 접촉하는 중앙 부분에서는 상기 약제층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상처부위가 아닌 테두리 부분에서는 마찰 혹은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밴드유닛(100)이 떨어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drug layer 120 may have a structure having a central portion thicker than that of an edge portion. As such,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thicker than the edge portion, thereby maximizing the effect of the drug layer in the central portion that directly contacts the wound portion of the skin, and the band unit 100 due to friction or external impact in the edge portion other than the wound portion. )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r being damaged.

상기 보호필름층(210)은 상기 밴드유닛(100)을 보호하고, 상기 밴드유닛(100)을 상기 이형필름(300)으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호필름층(210)은 상기 밴드유닛(10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혹은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protects the band unit 100 and serves to provide a gripping part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when the band unit 100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film 300. .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band unit 100 can be visually confirmed.

또한, 상기 보호필름층(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유닛(10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밴드유닛(100)을 보호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has a larger area than the band unit 100 and protects the band unit 100 as shown in FIG. 3.

도 3에서 상기 보호필름층(210)은 6각형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보호필름층(2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In FIG. 3,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is illustrated in a hexagonal shape, but the shap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take various forms.

이 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필름층(210)은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일단으로부터 기설정된 폭을 갖는 제1파지부(211)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타단으로부터 기설정된 폭을 갖는 제2파지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may include a first gripping portion 211 having a preset width from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nd in another embodiment A second gripping portion 212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may be further includ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필름층(210)은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우측 단으로부터 기설정된 폭을 갖는 제1파지부(211)를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파지부(211)는 상기 보호필름층의 폭의 약 50%가량의 폭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3,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includes a first gripping portion 21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right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first gripping part 211 has a width of about 50% of the width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또한, 상기 보호필름층(210)은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좌측 단으로부터 기설정된 폭을 갖는 제2파지부(212)를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파지부(211)는 상기 보호필름층의 폭의 약 10%가량의 폭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includes a second gripping portion 212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left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first gripping part 211 has a width of about 10% of the width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이 때, 상기 점착층(220)은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상기 제1파지부(211) 및 상기 제2파지부(212)를 제외한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점착층(220)이 상기 제1파지부(211) 및 상기 제2파지부(212)를 제외한 영역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파지부(211) 및 상기 제2파지부(212)는 상기 밴드유닛(100) 또는 상기 이형필름(300)에 접착되지 않아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고, 파지함에 있어서 손에 점착층(220)이 닿지 않아 손에 점착제가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adhesive layer 220 may be provided in a region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except for the first holding portion 211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12.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dhesive layer 220 is provid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first gripping part 211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the first gripping part 211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Since it is not adhered to the band unit 100 or the release film 300, the user can easily grip it, and the adhesive layer 220 does not touch the hand during gripp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from getting on the hand.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착층(220)은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상기 제1파지부(211) 및 상기 제2파지부(212)를 제외한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상기 제1파지부(211) 및 상기 제2파지부(212)를 제외한 영역 전체에 상기 점착층(220)이 구비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기 점착층(220)은 상기 밴드유닛(100)의 형태 및 면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220 may be provided in a region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except for the first gripping part 211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but thi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adhesive layer 220 is provided on the entire area except for the first gripping part 211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The adhesive layer 2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areas according to the shape and area of the band unit 100.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파지부(211)는 상기 제2파지부(212)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즉 상기 제1파지부(211) 및 상기 제2파지부(212)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으며, 두 파지부 중 더 넓은 폭을 갖는 파지부를 제1파지부(211), 더 좁은 폭을 갖는 파지부를 제2파지부(212)로 설정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ipping part 211 has a width wider than that of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That is, the first gripping part 211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may have different widths, and the gripping part having a wider width among the two gripping parts is the first gripping part 211 and the narrower width. The gripping part having a may be set as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파지부(2110)의 폭은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폭의 40~5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파지부(211)가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폭의 약 절반 가량의 폭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제1파지부(211)를 파지하여 상기 밴드유닛(100)을 상기 이형필름(3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width of the first gripping portion 2110 may have a width of 40 to 50% of the width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gripping part 211 has a width of about half of the width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the user easily grips the first gripping part 211 and the band unit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release film 300.

상기 점착층(220)은 상기 보호필름층(210) 및 상기 밴드유닛(1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필름층(210)을 상기 밴드유닛(100)의 커버층(110)에 부착시킨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착층(220)은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기설정된 영역에 점착제나 접착제 혹은 이와 비슷한 성질을 가진 화합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착제는 실리콘점착제 혹은 수성점착제일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220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nd the band unit 100 to attach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to the cover layer 110 of the band unit 10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220 is formed by apply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 adhesive, or a compound having similar properties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may be a silicone adhesive or an aqueous adhesive.

상기 이형필름층(310)은 상기 이형필름(300)을 지지하는 몸체로서 상기 밴드유닛(100)의 사용 전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의 약제층(12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밴드유닛(100)은 약제층(120)을 상기 이형필름(300)에 부착함으로써 사용 시 피부에 부착되는 상기 약제층(120)의 면이 오염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형필름층(310)에는 복수개의 밴드유닛(100)이 부착되어 사용자가 사용 시 상기 밴드유닛(100)을 하나씩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release film layer 310 is a body supporting the release film 300 and serves to protect the drug layer 120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before use of the band unit 100. The band unit 100 prevents contamination or deformation of the surface of the drug layer 120 attached to the skin during use by attaching the drug layer 120 to the release film 300. A plurality of band units 100 are attached to the release film layer 310 so that the band units 100 may be separated and used one by one when a user uses them.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형필름층(31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혹은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film layer 310 may be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aper.

상기 이형력조절층(320)은 상기 이형필름층(3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밴드유닛(100)의 약제층(120)이 부착될 수 있다.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layer 310 to attach the drug layer 120 of the band unit 100.

상기 이형력조절층(320)은 부착된 상기 약제층(120)과의 이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형필름층(310)의 일 면에 코팅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형력조절층(320)은 상기 이형필름층(310)의 일 면에 실리콘 코팅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may be formed in a manner that is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layer 310 so as to control the release force with the attached drug layer 12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may be generated by performing a silicone coating on on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layer 310.

혹은 상기 이형력조절층(320)은 상기 이형필름층(310)의 일 면의 표면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형력조절층(320)은 상기 이형필름층(310)의 일 면에 표면가공을 함으로써 상기 약제층(120)과의 이형력을 조절하거나, 혹은 상기 이형필름층(310)을 형성하는 재질 자체의 구조에 의해 표면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약제층(120)과의 이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may be formed by a surface structure of one side of the release film layer 310.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is a material for controlling the release force with the drug layer 120 or forming the release film layer 310 by performing a surface treatment on on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layer 310 By forming a surface structure by its own structure, the release force with the drug layer 120 may be adjusted.

도 4에서는 상기 점착층(220)이 상기 이형력조절층(320)과 서로 떨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밴드유닛(100)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갖고, 상기 보호필름층(210) 및 상기 이형필름층(310)은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점착층(220) 및 상기 이형력조절층(320)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In FIG. 4, the adhesive layer 220 is shown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rom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but the band unit 100 has a very thin thickness,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nd the release film Since the layer 310 may be bent,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may contact each other.

이 때 상기 점착층(220) 및 상기 이형력조절층(320) 사이의 이형력은 낮게 설정되어, 사용자가 상기 밴드유닛(100)을 상기 이형필름(300)으로부터 분리할 때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is set low, so that when the user separates the band unit 100 from the release film 300, it can be easily separated. To b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층(220) 및 상기 이형력조절층(320)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약제층(120) 및 상기 이형력조절층(320)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작다.Preferably,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is less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drug layer 120 and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의 사용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use of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에서 밴드유닛(100)을 이형필름(300)에서 분리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의 제1파지부(211)을 파지하고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이형필름(300)으로부터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 및 상기 밴드유닛(100)을 동시에 분리하게 된다.Figure 5 (a) shows a state of separating the band unit 100 from the release film 300 in the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user grips and pulls the first gripping part 211 of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to separate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and the band unit 100 from the release film 300 at the same time. do.

이 때,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의 점착층(220) 및 상기 밴드유닛(100)의 커버층(110)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밴드유닛(100)의 약제층(120) 및 상기 이형필름(300)의 이형력조절층(320) 사이의 이형력 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의 제1파지부(211)을 잡아당김에 의해 상기 점착층(220) 및 상기 커버층(110)이 분리되지 않고, 상기 약제층(120) 및 상기 이형력조절층(320)이 분리됨으로써, 상기 밴드유닛(100)은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이형필름(300)으로부터 분리된다.At this time,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220 of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and the cover layer 110 of the band unit 100 is the drug layer 120 and the release film of the band unit 100 It is greater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of (300). Therefore,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cover layer 110 are not separated by pulling the first gripping part 211 of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and the drug layer 120 and the release force By separating the control layer 320, the band unit 100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film 300 in a state attached to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밴드유닛(100)을 직접 잡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상기 이형필름(300)으로부터 밴드유닛(100)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and use the band unit 100 from the release film 300 without directly holding the band unit 100.

도 5의 (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에서 밴드유닛(100)을 이형필름(300)에서 분리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의 제2파지부(212)을 파지하고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이형필름(300)으로부터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 및 상기 밴드유닛(100)을 동시에 분리하게 된다.5(b)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nd unit 100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film 300 in the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user can simultaneously separate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and the band unit 100 from the release film 300 by grasping and pulling the second holding portion 212 of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do.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는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의 점착층(220) 및 상기 밴드유닛(100)의 커버층(110)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밴드유닛(100)의 약제층(120) 및 상기 이형필름(300)의 이형력조절층(320) 사이의 이형력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1파지부(211)를 파지하고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이형필름(300)으로부터 상기 밴드유닛(100)을 분리할 수 있으나, 상기 밴드 구조체의 보관 상태, 주변 온도, 습도 등에 따라 상기 약제층(120) 및 상기 이형력조절층(320) 사이의 이형력이 증가하여, 상기 제1파지부(211)를 파지하고 잡아당길 때 상기 약제층(120) 및 상기 이형력조절층(320)이 분리되지 않고, 상기 점착층(220) 및 상기 커버층(110)이 분리되어 상기 밴드유닛(100)이 상기 이형필름(300)에 남은 채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만이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The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220 of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and the cover layer 110 of the band unit 100 is the drug of the band unit 100 The band unit from the release film 300 by gripping and pulling the first gripping part 211 because it is greater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layer 120 and the release force adjusting layer 320 of the release film 300 Although (100) can be separated,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drug layer 120 and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increases depending on the storage state of the band structure, ambient temperature, humidity, etc., and the first gripping part When gripping and pulling (211), the drug layer 120 and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are not separated, and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cover layer 110 are separated, and the band unit 100 ) May occur when only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is separated while remaining on the release film 300.

이 때, 사용자는 상기 제1파지부(211)를 파지하고 잡아당길 때, 상기 밴드유닛(100)이 상기 이형필름(300)과 분리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즉시 상기 제1파지부(211)를 놓고, 상기 제2파지부(212)를 파지하고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밴드유닛(100)을 상기 이형필름(3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grasps and pulls the first gripping part 21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nd unit 100 is not separated from the release film 300, the first gripping part 211 is immediately removed. Then, the band unit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release film 300 by gripping and pulling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상기 제2파지부(212)의 경우 상기 제1파지부(211)에 비해 그 폭이 좁아 사용자가 파지 용이성이 낮으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파지부(212)를 파지하고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밴드유닛(100)의 중심부가 아닌, 가장자리부터 상기 이형필름(30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약제층(120) 및 상기 이형력조절층(320)의 전체적인 이형력이 상기 점착층(220) 및 커버층(110) 사이의 전체적인 이형력 보다 커 진 경우에도, 가장자리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약제층(120) 및 상기 이형력조절층(320)의 단위면적 당 이형력은 상기 점착층(220) 및 커버층(110) 사이의 단위면적 당 이형력에 비해 낮으므로, 상기 점착층(220) 및 커버층(110)이 분리되지 않고, 상기 약제층(120) 및 상기 이형력조절층(320)이 분리되어, 상기 밴드유닛(100)을 상기 이형필름(3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the width of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first gripping part 211, so that the user's gripping ease is low, but as shown in FIG. 5(b),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film 300 from the edge of the band unit 100, not from the center of the band unit 100. In this way, even when the overall release force of the drug layer 120 and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is greater than the overall release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cover layer 110, separation from the edge Since the release force per unit area of the drug layer 120 and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is lower than the release force per unit area between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cover layer 110, the adhesive layer ( 220) and the cover layer 110 are not separated, the drug layer 120 and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20 are separated, so that the band unit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release film 300 do.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유닛(100)의 사용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se of the band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유닛(100)은 기능성보호필름(200)과 함께 이형필름(300)으로부터 분리되어 피부(400)의 상처부위에 부착된다.Referring to FIG. 6, the band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film 300 together with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and attached to the wound portion of the skin 400.

도 6의 (a)는 얼굴의 여드름 등의 치유를 원하는 상처부위의 피부(400)에 기능성보호필름(200)과 함께 밴드유닛(100)을 부착한 모습을 도시한다. 이 때 사용자는 제1파지부(211) 등을 파지한 채 상기 밴드유닛(100)을 상처부위에 맞추어 놓고 기능성보호필름(200) 채로 눌러줌으로써 피부(400)에 상기 밴드유닛(100)의 약제층(120)이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Figure 6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nd unit 100 is attached together with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on the skin 400 of the wound area desired to heal such as acne on the face. At this time, the user places the band unit 100 on the wound while holding the first gripping part 211, and presses the band unit 100 on the skin 400 by holding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Allows layer 120 to contact.

도 6의 (b)는 피부(400)에 밴드유닛(100)을 부착한 후, 기능성보호필름(200)을 제거하는 모습이다. 사용자는 상기 이형필름(300)으로부터 밴드유닛(100)을 분리할 때와 같이 제1파지부(211) 혹은 제2파지부(212)를 파지하고 잡아당김으로써 쉽게 기능성보호필름(200)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의 (b)는 상기 제1파지부(211)를 파지하고 잡아당기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6B is a view of removing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after attaching the band unit 100 to the skin 400.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by gripping and pulling the first gripping part 211 or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as when separating the band unit 100 from the release film 300 can do. 6B shows an embodiment of gripping and pulling the first gripping part 211.

이 때,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의 점착층(220) 및 상기 밴드유닛(100)의 커버층(110)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밴드유닛(100)의 약제층(120) 및 사람의 피부(400)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작다. 따라서 상기 제1파지부(211) 혹은 제2파지부(212)를 파지하고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약제층(120) 및 피부(400)는 접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점착층(220) 및 커버층(110)이 분리됨으로써 상기 기능성보호필름(200)이 제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220 of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and the cover layer 110 of the band unit 100 is the drug layer 120 of the band unit 100 and the human skin It is less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400). Therefore, when the first gripping part 211 or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is gripped and pulled, the drug layer 120 and the skin 400 are maintained in an adhered state, and the adhesive layer 220 and By separating the cover layer 110,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may be removed.

도 6의 (c)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밴드유닛(100)을 피부(400)에 부착한 후의 모습을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의 (c)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밴드유닛(100)을 직접 파지하지 않은 채 피부(400)의 원하는 부위에 상기 밴드유닛(100)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6(c) shows a state after attaching the band unit 100 to the skin 40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unit 100 is easily attached to a desired portion of the skin 400 without the user directly holding the band unit 100 by hand, as shown in FIG. 6(c). You can do it.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는 기능성보호필름(200)의 보호필름층(210)은 비대칭 형상을 취할 수 있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n the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of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200 may take an asymmetric shape.

도 7에서 보호필름층(210)의 우측 단에는 제1파지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좌측 단에는 제2파지부(2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파지부(211) 및 상기 제2파지부(212)를 제외한 영역에는 점착층(220)이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제1파지부(211) 및 상기 제2파지부(212)의 형성 위치를 쉽게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제1파지부(211)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필름층(210)의 우측은 모따기가 형성된 사각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고, 상기 제2파지부(212)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필름층(210)의 좌측은 사다리꼴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In FIG. 7, a first gripping part 211 is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nd a second gripping part 212 is formed at the left end, and the first gripping part 211 and the An adhesive layer 220 is provided in an area excluding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user to easily grasp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first gripping part 211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on which the first gripping part 211 is formed The right side has a square shape with chamfered, and the left sid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on which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is formed has a trapezoidal shape.

이와 같이,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일단측 및 타단측은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상기 제1파지부(211) 혹은 상기 제2파지부(212)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을 인식하고, 용이하게 상기 제1파지부(211) 혹은 상기 제2파지부(212)를 파지하여 밴드유닛(100)을 이형필름(3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In this way,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re formed in different shap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ripping part 211 or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is formed. In addition, the band unit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release film 300 by easily gripping the first gripping part 211 or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보호필름층(210)에는 상기 제1파지부(211) 및 상기 제2파지부(212) 중 1 이상의 형성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표시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rection display unit 213 for indicating a formation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gripping part 211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 May be provided.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방향표시부(213)는 상기 제1파지부(211)가 형성된 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방향표시부(213)를 통해 상기 제1파지부(211)의 형성 방향을 파악함으로써 상기 방향표시부(213) 측에 형성된 상기 제1파지부(211) 혹은 상기 방향표시부(213) 반대측에 형성된 상기 제2파지부(212)를 파지하고, 이형필름(300)으로부터 밴드유닛(10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direction indication part 213 is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first gripping part 211 is formed, so that the user forms the first gripping part 211 through the direction indication part 213. By grasping the direction, the first gripping part 211 formed on the direction indication part 213 side or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indication part 213 is gripped, and the band from the release film 300 The unit 100 can be separated.

상기 방향표시부(213)는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파지부(211)측에 위치하거나, 혹은 상기 제2파지부(212)측에 위치하거나, 혹은 상기 제1파지부(211)측 및 상기 제2파지부(212)측에 서로 다른 모양으로 위치할 수 있다.The direction indication part 213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gripping part 211, as in the embodiment of FIG. 8, or located on the side of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or the first gripping part 211 The side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may be positioned in different shapes.

상기 방향표시부(213)는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표면에 인쇄되거나, 혹은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표면을 가공함으로써 양각 혹은 음각으로 표시되거나, 혹은 표면 거칠기를 조절하여 투명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direction indicator 213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or displayed in relief or intaglio by processing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or adjusts the transparency by adjusting the surface roughness. Can be displayed in a way.

이와 같이 상기 방향표시부(213)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제1파지부(211) 혹은 상기 제2파지부(212)의 형성 방향을 파악하여 용이하게 상기 제1파지부(211) 혹은 상기 제2파지부(212)를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this way, through the direction indicator 213,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ripping part 211 or the second gripping part 212 is formed, and the first gripping part 211 or the second wav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hold the branch 212 can be exerted.

혹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구조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일단측 및 타단측은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파지부(211) 및 상기 제2파지부(212) 중 1 이상의 형성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표시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re formed in different shapes as shown in FIG. 7,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gripping part 211 and the A direction display part 213 may be provided to indicate the formation direction of one or more of the second gripping parts 212.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는, 피부에 직접 부착될 수 있고,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물질층(125); 상기 기능성물질층(125)의 일측에 배치되는 점착층(220); 상기 점착층(220)의 상기 기능성물질층(125)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보호필름층(210); 및 상기 기능성물질층(125)의 타측에 배치되는 이형필름(3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that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skin and includes a functional material; An adhesive layer 22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 protective film layer 210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of the adhesive layer 220; And a release film 33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상기 기능성물질층(125)은 도 3,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약제층 및 커버층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층에 해당하고, 본 고안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능성물질층(125)은 도 3, 4에서의 약제층 및 커버층의 복합구조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 4 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약제층 및 커버층이 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제층 및 커버층의 구분 없이 하나의 기능성물질층(125)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corresponds to a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drug layer and the cover lay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nd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is , It may correspond to the composite structure of the drug layer and the cover layer in 4. As shown in FIGS. 3 and 4,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ug layer and a cover layer may be provided in a combined form, but in some embodiments, a singl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is form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drug layer and the cover layer It can also be implemen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성물질층(125)은 점착력 및 피부에 대한 기능성을 가진다.Preferably,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has adhesion and functionality to the skin.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성물질층(125)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아크릴점착제, 및 상처 치유나 미용에 도움이 되는 의약품 혹은 물질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ydrocolloid, an acrylic adhesive, and medicines or substances useful for wound healing or beauty.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능성물질층(125)는 대일밴드TM 과 같이 점착력이 있는 거즈층에 해당하거나 혹은 상기 거즈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may correspond to an adhesive gauze layer such as Daeil Band TM or may include the gauze layer.

점착층(220), 및 보호필름층(210)은 도 3,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점착층(220) 및 보호필름층(210)에 상응하는 구성에 해당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s corresponding to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일부 영역에만 상기 점착층(220)이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adhesive layer 220 is disposed only in a partial area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상기 이형필름(330)은 도 3,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이형필름(330)층 및 이형력조절층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층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330)은 밴드구조체가 인체에 사용되기 전에 상기 기능성물질층(125) 및 점착층(220)의 일부 혹은 전체에 접하여, 밴드구조체 전체를 지지하면서, 기능성물질층(125) 및 점착층(2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release film 330 may correspond to a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lease film 330 layer and the release force control lay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he release film 330 is in contact with part or all of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nd the adhesive layer 220 before the band structure is used on the human body, and supports the entire band structure, while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nd adhesion It serves to protect the layer 220.

도 3, 4 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형필름(330)층 및 이형력조절층이 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이형필름(330)층 및 이형력조절층의 구분 없이 하나의 이형필름(330)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3 and 4,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ease film 330 layer and a release force control layer may be provided in a combined form, but in some embodiments, a release film 330 layer and a release force control layer It may be implemented as one release film 330 without distinction of.

도 9에 도시된 밴드구조체에서의 실시예는 도 3, 4에 도시된 밴드구조체의 구성과 비교시, 도 3, 4에 도시된 밴드구조체에서는 보호필름층(210)의 제2파지부 영역에는 점착층(220)이 배치되지 않지만, 도 9에 도시된 밴드구조체에서의 실시예에서는 제2파지부영역이 존재하지 않고, 보호필름층(210)의 일단에서부터 기설정된 영역까지 점착층(220)이 배치되어 있다.The embodiment of the band structure shown in FIG. 9 is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band structure shown in FIGS. 3 and 4, and in the band structure shown in FIGS. 3 and 4, the second gripping portion region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lthough the adhesive layer 220 is not disposed, in the embodiment of the band structure shown in FIG. 9, the second gripping portion region does not exist, and the adhesive layer 220 from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to a predetermined region Has been placed.

도 3, 4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서는 점착층(220)의 배치 및 각 층의 이형력 조절을 통하여 도 5, 6에서 도시된 방식으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형필름(330)으로부터 보호필름층(210), 점착층(220), 및 기능성물질층(125)을 박리한 후에,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기능성물질층(125)로부터 보호필름층(210), 및 점착층(220)을 박리할 수 있다.As in the embodiments of FIGS. 3 and 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s conveniently protected from the release film 330 in the manner shown in FIGS. 5 and 6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control of the release force of each layer. After peeling the film layer 210,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nd the adhesive layer from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in a state attached to the user's skin ( 220) can be peeled off.

이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일부 영역에만 상기 점착층(220)이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층(220) 및 상기 기능성물질층(125)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기능성물질층(125) 및 상기 이형필름(330)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크고, 상기 약제층 및 사람의 피부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작다.In order to implement such a function, the adhesive layer 220 is disposed only in a partial area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nd preferably, between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The release force is greater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nd the release film 330 and less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drug layer and the human ski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층(220) 및 상기 이형필름(330)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기능성물질층(125) 및 상기 이형필름(330)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작다.More preferably,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release film 330 is less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nd the release film 330.

이와 같은 각 층 사이의 이형력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는 후술하는 도 10 내지 도 20에서의 실시예에서도 모두 동일하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5, 6 의 방식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밴드구조체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relative magnitudes of the release force between each layer are the same in the embodiments of FIGS. 10 to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user can easily configure the band structure as in the method of FIGS. 5 and 6 by this configuration. The effect that can be used can be exhibited.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nd structure shown in FIG.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220)은 보호필름층(210)의 하측에서 좌측의 일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도 3,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시 사용자의 피부로의 부착성에 있어서 약간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지만, 제조상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adhesive layer 220 extends from the lower sid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to one end of the left side. This embodiment may have some inconvenience in the adhesion to the user's skin when compared to the examples shown in FIGS. 3 and 4, but may have ease of manufacture.

도 11은 본 고안의 몇 실시예들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도 3,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시, 보호필름층(210) 및 점착층(220)의 형태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밴드구조체를 이형필름(330)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examples shown in FIG. 11 are compared with the examples shown in FIGS. 3 and 4,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nd the adhesive layer 22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band structure to the release film 330 ) Can exert an effect that can be removed from it.

또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보호필름층(210)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사각형상 혹은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상의 이형필름에서의 수평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한정된 이형필름(330) 공간에서 보다 많은 기능성물질층(125), 점착층(220), 보호필름층(210)으로 구성되는 밴드모듈을 배치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having the shap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s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 11, the limited release film 330 is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in the square-shaped or square-shaped release film with rounded corners. ) 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exert the effect of disposing a band module composed of more functional material layers 125, adhesive layer 220, and protective film layer 210.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220)을 배치함으로써, 보호필름층(210)의 일단 및 타단에 점착층(220)이 배치되지 않는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osing the adhesive layer 220 as shown in (A) of FIG. 11, the first adhesive layer 220 is not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 gripping part and a second gripping part may be provided.

혹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220)을 배치함으로써, 보호필름층(210)의 일단에만 점착층(220)이 배치되지 않는 제1파지부 가 구비될 수도 있다.O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osing the adhesive layer 220 as shown in (B) of FIG. 11, the first adhesive layer 220 is not disposed only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 holding part may be provided.

도 12는 본 고안의 몇 실시예들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시, 점착층(220)이 모두 보호필름층(210)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보다 부착된 상태에서의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has a technical feature in that all the adhesive layers 220 are located inside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s compar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With such a structure, user convenience in a more attached state can be improved.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층(210) 및 점착층(22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nd the adhesive lay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필름층(210)은, 상기 기능성물질층(125)을 내부의 공간에 평면상으로 수용하는 중앙부(210.2); 상기 중앙부 일측에 돌출된 형태의 제1손잡이부(210.1); 및 상기 중앙부 타측에 돌출된 형태의 제2손잡이부(210.3)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이한 형태이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는 상이한 형태이다.As shown in (A) of FIG. 13,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includes a central portion 210.2 for accommodating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in a planar shape in an internal space; A first handle portion (210.1)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second handle portion 210.3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where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first handle have different shapes, and the central portion and the second handle have different shapes.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부(210.2)는 상기 기능성물질층(125)에 상응하는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부(210.2)는 원형 혹은 타원 형상을 갖는다.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portion 210.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More preferably, the central portion 210.2 has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210.1) 및 제2손잡이부(210.2)는 사각형상 혹은 라운드진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중앙부(210.2)와 다른 형태로 돌출되는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중앙부(210.2)에 배치되는 기능성물질층(125)의 커버 면적을 최대화하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밴드구조체를 파지하거나 혹은 피부에 부착하는 과정에서의 편의성을 최대한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andle 210.1 and the second handle 210.2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or a rounded quadrangular shape, and preferabl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in a different shape from the central portion 210.2. Through this configuration, while maximizing the cover area of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disposed in the central part 210.2, the user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gripping the band structure or attaching it to the skin.

한편,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착층(220)은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일단을 포함한다. 도 3,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점착층(220)의 일단 및 타단은 모두 직선형태에 해당한다. 반면, 도 13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점착층(220)의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가장자리측 타단은 일반적인 직선형태 등의 형태를 가지지만, 상기 점착층(220)의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중앙부측 일단은 지그재그형 혹은 톱니형태 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기능성물질층(125)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점착층(220)과 보호필름층(210)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면서, 점착층(220)에 의한 기능성물질층(125)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B) of FIG. 13, the adhesive layer 220 includes one end formed in a zigzag shape.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3 and 4, both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adhesive layer 220 correspond to a straight line.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B) of FIG. 13, the other end of the adhesive layer 220 on the edg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has a shape such as a general straight line, but the adhesive layer 220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t the central portion has a zigzag shape or a sawtooth shape. With such a structure, wh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is attached to the user's skin,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re easily peeled while The effect of minimizing damage to the material layer 125 may be exhibited.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nd structure shown in FIG. 12.

도 14의 (A)는 도 12의 (A)의 밴드구조체의 측단면도에 해당하고, 도 14의 (B)는 도 12의 (B)의 밴드구조체의 측단면도에 해당한다.FIG. 14A corresponds to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nd structure of FIG. 12A, and FIG. 14B corresponds to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nd structure of FIG. 12B.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는 도 15에 도시된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1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nd structure shown in FIG. 15.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는, 상기 상기 기능성물질층(125) 및 상기 보호필름층(2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증과 분리되어 배치되는 추가점착층(221)을 더 포함한다.15 and 16, the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separated from the adhesion It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is disposed.

상기 추가점착층(221)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기능성물질층(125) 및 이형필름(330)과 동시에 맞대는 구조로 구현되거나, 혹은 기능성물질층(125)만 맞대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is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nd the release film 330 are butted at the same time, or only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is abutted. Can be implemented.

도 3, 4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서는 점착층(220) 및 추가점착층(221)의 배치 및 각 층의 이형력 조절을 통하여 도 5, 6에서 도시된 방식으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형필름(330)으로부터 보호필름층(210), 점착층(220), 및 기능성물질층(125)을 박리한 후에,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기능성물질층(125)로부터 보호필름층(210), 및 점착층(220)을 박리할 수 있다.As in the embodiments of FIGS. 3 and 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method shown in FIGS. 5 and 6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and controlling the release force of each layer. After peeling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the adhesive layer 220, and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from the release film 330, the protective film layer from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in a state attached to the user's skin ( 210), and the adhesive layer 220 may be peeled off.

이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일부 영역에만 상기 추가점착층(221)이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점착층(221) 및 상기 기능성물질층(125)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기능성물질층(125) 및 상기 이형필름(330)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크고, 상기 약제층 및 사람의 피부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작다.In order to implement such a function,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is additionally disposed only in a partial area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nd preferably,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and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nd the release film 330 is greater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nd the release film 330, and is less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drug layer and the human ski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점착층(221) 및 상기 이형필름(330)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기능성물질층(125) 및 상기 이형필름(330)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작다.More preferably,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and the release film 330 is less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nd the release film 330.

도 1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7 schematically shows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된 형태는 대일밴드TM과 같은 형태의 구조로서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형태의 밴드구조체에 해당한다.The shape shown in FIG. 17 corresponds to a band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length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as the Daeil Band TM .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긴 형태의 밴드에서 도 5, 6에서와 같은 사용형태를 구현함에 있어서, 보다 사용자의 사용용이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전술한 추가점착층(221)의 구성을 구현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implementing the usage patterns as shown in FIGS. 5 and 6 in such a long b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is implemented in order to further facilitate the user's use.

구체적으로,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는, 상기 상기 기능성물질층(125) 및 상기 보호필름층(2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증과 분리되어 배치되는 추가점착층(221)을 더 포함한다.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of FIG. 17, the b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nd is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adhesion. It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이형필름(330)으로부터 기능성물질층(125), 점착층(220), 추가점착층(221), 및 보호필름층(210)을 포함하는 밴드모듈을 분리하는 경우, 보호필름층(210)으로부터 기능성물질층(125)의 일부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when separating the band module including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the adhesive layer 220,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from the release film 330, the protective film Part of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may be prevented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layer 210.

특히, 도 17에서와 같이 가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밴드구조체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전에 기능성물질층(125)의 상당부분이 보호필름층(210)으로부터 분리되어 접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점착층(221)을 구비하여 이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도 5, 6 에서와 같은 착용을 가능하게 하였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and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long horizontal length as shown in FIG. 17,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is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and folded before being attached to the user's skin. In order to prevent th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is provided to solve this problem and at the same time, the wear as shown in FIGS.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세로길이 대 가로길이의 비는 1:3 내지 1:8에 해당하고,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가로길이의 10% 내지 40%까지 연장된 영역의 일부 혹은 전체에 상기 점착증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밴드구조체는, 상기 기능성물질층(125) 및 상기 보호필름층(2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증과 분리되어 배치되는 추가점착층(221)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ratio of the vertical length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corresponds to 1:3 to 1:8, and the width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from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The adhesiveness may be disposed in a part or all of the area extending to 10% to 40% of the length, and the band structure is disposed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It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disposed to be separated from the adhesion.

바람직하게는,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능성물질층(125)는 대일밴드TM 과 같이 점착력이 있는 거즈층에 해당하거나 혹은 상기 거즈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Preferab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7,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may correspond to a gauze layer having adhesive strength , such as Daeil Band TM , or may include the gauze layer.

도 18는 본 고안의 몇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1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서는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세로길이(B) 대 가로길이(A)의 비는 1:3 내지 1:8에 해당하고,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층(210)의 가로길이의 10% 내지 40%까지 연장된 영역(C)의 일부 혹은 전체에 상기 점착증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밴드구조체는, 상기 기능성물질층(125) 및 상기 보호필름층(2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증과 분리되어 배치되는 추가점착층(221)을 더 포함한다.In FIG. 18, the ratio of the vertical length (B) to the horizontal length (A)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corresponds to 1:3 to 1:8,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from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The adhesiveness may be disposed in a part or all of the area (C) that extends from 10% to 40% of the horizontal length of 210, and the band structure includes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It is disposed between 210, and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disposed to be separated from the adhesion.

도 18의 (A)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도 18의 (A)의 C영역에서 일부 점착층(220)이 없는 부분)을 구비한 실시예에 해당하고, 도 18의 (B)는 제조과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파지부가 없고 제1파지부만 있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18의 (B)와 달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점착층(220)이 보호필름층(210) 내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FIG. 18(A) is an embodiment including a first gripping part and a second gripping part (a portion without some adhesive layer 220 in the region C of FIG. 18(A)) in order to improve user convenience 18B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re is no second gripping part and only the first gripp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eas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Unlike (B) of FIG. 18,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220 may be disposed only inside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바람직하게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가점착증은 분리된 형태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추가점착층(221) 각각은 다양한 형태의 점, 선, 및 면 중 1 이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Preferably, as shown in FIG. 18, the additional adhesiveness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eparate forms, and each of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s 221 is implemented in one or more of various types of dots, lines, and surfaces. Can be.

도 18에서는 3개의 추가점착층(221)이 구비된 실시예에 해당한다.In FIG. 18, it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in which three additional adhesive layers 221 are provided.

도 19는 본 고안의 몇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1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의 (A) 및 (B)는 제2파지부를 구비한 형태에 해당하고, 도 19의 (C)는 제2파지부가 없는 형태에 해당한다. 도 19의 (B) 및 (C)에서와 달리 점착층(220)이 보호필름층(210) 내부에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19A and 19B correspond to a form having a second gripping part, and FIG. 19C corresponds to a form without a second gripping part. Unlike in (B) and (C) of FIG. 19, the adhesive layer 220 may be disposed only inside the protective film layer 210.

한편, 도 19의 (A)는 3개의 도트 형상의 추가점착층(221)이 구현된 실시예에 해당하고, 도 19의 (B)는 라인 형상의 단일 추가점착층(221)이 구현된 실시예에 해당하고, 도 19의 (C)는 6개의 도트 형상의 추가점착층(221)이 구현된 실시예에 해당한다.Meanwhile, (A) of FIG. 19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in which three additional adhesive layers 221 in the shape of dots are implemented, and (B) of FIG. 19 is an implementation in which a single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in a line shape is implemented. This corresponds to an example, and FIG. 19C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in the shape of six dots is implemented.

도 20는 본 고안의 몇 실시예에 따른 밴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2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추가점착층(221) 뿐만 아니라 기능성물질층(125)의 평면형상도 각 부위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0, the planar shape of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125 as well as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22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each portion and us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보호필름에 의해 이형필름에 부착된 밴드유닛을 보호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hibit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band unit attached to the release film by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형필름에 부착된 밴드유닛을 기능성보호필름에 의해 밴드유닛의 훼손 없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unit attached to the release film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damaging the band unit by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형필름에 부착된 밴드유닛을 분리할 때, 제1파지부 혹은 제2파지부를 통해 용이하게 기능성보호필름을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parating the band unit attached to the release film,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can be easily gripped through the first gripping part or the second gripping par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된 밴드유닛을 기능성보호필름에 의해 피부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ed band un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skin by the functional protective film.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a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claims and equival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밴드유닛
110: 커버층
120: 약제층
125: 기능성물질층
200: 기능성보호필름
210: 보호필름층
211: 제1파지부
212: 제2파지부
213: 방향표시부
220: 점착층
300: 이형필름
310: 이형필름층
320: 이형력조절층
330: 이형필름
100: band unit
110: cover layer
120: drug layer
125: functional material layer
200: functional protective film
210: protective film layer
211: first gripping part
212: second gripping part
213: direction indicator
220: adhesive layer
300: release film
310: release film layer
320: release force control layer
330: release film

Claims (8)

피부에 직접 부착될 수 있고,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물질층;
상기 기능성물질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상기 기능성물질층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보호필름층 및
상기 기능성물질층의 타측에 배치되는 이형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층의 일부 영역에만 상기 점착층이 배치되어 있는, 밴드 구조체.
A functional material layer that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skin and includes a functional material;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A protective film layer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of the adhesive layer, and
Includes; a release film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The band structure in which the adhesive layer is disposed only in a partial area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및 상기 기능성물질층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기능성물질층 및 상기 이형필름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크고,
상기 약제층 및 사람의 피부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작은, 밴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Greater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and the release film,
Less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drug layer and human skin, the band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이형필름 사이의 이형력은,
상기 기능성물질층 및 상기 이형필름 사이의 이형력 보다는 작은, 밴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film,
Less tha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and the release film, the band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층은,
상기 기능성물질층을 내부의 공간에 평면상으로 수용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 일측에 돌출된 형태의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중앙부 타측에 돌출된 형태의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이한 형태이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는 상이한 형태인, 밴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ective film layer,
A central portion accommodating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in a plane shape in an internal space;
A first handl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entral part; And
And a second handle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part,
The central portion and the first handle are of different shapes,
The central portion and the second handle are of different shapes, the band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일단을 포함하는, 밴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layer includes one end formed in a zigzag shape, a band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구조체는,
상기 상기 기능성물질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증과 분리되어 배치되는 추가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밴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nd structure,
The band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adhe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층의 세로길이 대 가로길이의 비는 1:3 내지 1:8에 해당하고,
상기 보호필름층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층의 가로길이의 10% 내지 40%까지 연장된 영역의 일부 혹은 전체에 상기 점착증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밴드구조체는,
상기 기능성물질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증과 분리되어 배치되는 추가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밴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tio of the vertical length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corresponds to 1:3 to 1:8,
The adhesion is disposed in a part or all of an area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to 10% to 40%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The band structure,
The band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unctional material layer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adhesivenes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추가점착증은 분리된 형태로 복수개로 구비되는, 밴드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7,
The additional adhesive is provided in a plurality in a separate form, the band structure.

KR2020190001305U 2019-03-29 2019-03-29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KR20049294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05U KR200492944Y1 (en) 2019-03-29 2019-03-29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05U KR200492944Y1 (en) 2019-03-29 2019-03-29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00U true KR20200002200U (en) 2020-10-07
KR200492944Y1 KR200492944Y1 (en) 2021-01-07

Family

ID=7280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305U KR200492944Y1 (en) 2019-03-29 2019-03-29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94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5402A1 (en) * 2021-08-11 2024-02-15 Best Bandage, LLC Bi-directional packaging adhesiv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213Y1 (en) * 2004-09-17 2004-12-14 이장수 Bandage for wound dressing
KR200404263Y1 (en) * 2005-09-21 2005-12-20 (주)영케미칼 A easy sticking disposable medical band
JP2006167129A (en) * 2004-12-15 2006-06-29 Alcare Co Ltd Sticking material
KR20160000830U (en) * 2014-08-29 2016-03-10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Disposable medical band with stain masking performance
WO2017170956A1 (en) * 2016-03-31 2017-10-05 センジュ ユーエスエ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atch materi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213Y1 (en) * 2004-09-17 2004-12-14 이장수 Bandage for wound dressing
JP2006167129A (en) * 2004-12-15 2006-06-29 Alcare Co Ltd Sticking material
KR200404263Y1 (en) * 2005-09-21 2005-12-20 (주)영케미칼 A easy sticking disposable medical band
KR20160000830U (en) * 2014-08-29 2016-03-10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Disposable medical band with stain masking performance
WO2017170956A1 (en) * 2016-03-31 2017-10-05 センジュ ユーエスエ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atch mater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5402A1 (en) * 2021-08-11 2024-02-15 Best Bandage, LLC Bi-directional packaging adhes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944Y1 (en)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5528C (en) Release strip with partible break to facilitate removal of adhesive coated strip
WO2012029831A1 (en) Adhesive sheet, use thereof, and method of adhering the adhesive sheet
US20200038252A1 (en) Tri-layered wound dressing and method therefor
US9029625B2 (en) Film dressing with improved application assistance
ES2441218T3 (en) A reinforcing layer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a plastic film to the skin
EP2508146B1 (en) Surgical incise drapes and methods for their application
EP2347741B1 (en) Film dressing
KR101187358B1 (en) Hydrocoloid band with transfer protective film
JP2011004850A (en) Film dressing
EP0802777A1 (en) Self-adhesive laminate
KR200492944Y1 (en)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JP6410624B2 (en) Patch sheet
JP3152966B2 (en) Adhesive sheet
KR101281353B1 (en) Dressing patch for medic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1723599B1 (en) An individual separated type of a hydrocolloid band set
JP2013255856A (en) Plaster body sheet
KR200488928Y1 (en)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JP2009028137A (en) Medical plaster body set
JP5966884B2 (en) Dressing material
KR102116924B1 (en) a affected skin area band set of individual separated type
JP2006130085A (en) Pasting product
JP3199420U (en) Dressing material
TWM565013U (en) Easy-tearing patch structure
JP5384730B2 (en) Patch sheet
US9615974B1 (en) Wound care pad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