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155U - Foldable gabled roof type canopy frame and canopy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oldable gabled roof type canopy frame and canopy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155U
KR20200002155U KR2020200003192U KR20200003192U KR20200002155U KR 20200002155 U KR20200002155 U KR 20200002155U KR 2020200003192 U KR2020200003192 U KR 2020200003192U KR 20200003192 U KR20200003192 U KR 20200003192U KR 20200002155 U KR20200002155 U KR 202000021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joint connector
canopy
folde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1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오순
Original Assignee
(주)인디고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디고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인디고 코리아
Priority to KR2020200003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155U/en
Publication of KR20200002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5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6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telescoping and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04H15/50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zy-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공지붕을 구현하기 위하여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횡 방향으로 놓이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20)의 길이를 L1로 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횡 방향으로 놓이는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30)의 길이를 L1보다 작은 L2로 하여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종방향으로 놓이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20)과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30)은 L3로서 같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L3 = L1/2 + L2/2의 관계를 가져야 슬라이더 연결구(121)가 충분히 밑으로 내려가 본 고안에 따른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00)이 완전히 접혀지게 된다. In order to realize a gable roof, the length of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120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is L1, and the length of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130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is s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making L2 smaller than L1, and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120 and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130, which are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have the same length as L3. To do. Accordingly, the slider connector 121 is sufficiently lowered to have a relationship of L3 = L1/2 + L2/2 so that the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folded.

Description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캐노피{Foldable gabled roof type canopy frame and canopy having the same} Foldable gabled roof type canopy frame and canopy having the same {Foldable gabled roof type canopy frame and canopy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펼쳤을 때에는 박공지붕형 캐노피가 현시되고 접었을 때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완전히 접혀서 부피가 최소화되는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을 갖는 캐노피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canopy frame, and particularly relates to a gable roof type foldable canopy frame in which the volume is minimized by being completely folded to facilitate storage when the gable roof type canopy is displayed and when fold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opy having the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캐노피는 일반 생활에서 뿐만 아니라 야전에서 군 지휘소나 장갑차 천막과 같은 군 시설 등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게 있다. 이러한 캐노피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접거나 분해하여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하여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이 사용되고 있다. The canopy is used in a wide variety of military facilities such as military command posts and armored vehicle tents in the field as well as in general life. Such a canopy is generally folded or disassembled to store when not in use, and a foldable canopy frame is used for this purpose.

그러나 종래의 접철식 캐노피는 천막지붕의 가운데 부분이 천막지주에 의해서 받쳐지면서 지지될 뿐 천막지붕의 경사부분은 특별히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천막지붕이 하중에 견디는 힘이 약하고 바람에 의해서 천막지붕이 위아래로 펄럭거리는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캐노피 프레임의 천정 높이가 낮아 사람이 캐노피를 출입하거나 캐노피 내부에서 활동하는 과정에서 캐노피 프레임이 머리에 부딪혀 불편함이 많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folding canopy, the middle part of the tent roof is support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tent column, but the inclined part of the tent roof is not particularly supported, so the tent roof has weak strength to withstand the load and the tent roof flutters up and down by the wind.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distance phenomenon occurs severely. In addition, due to the low ceiling height of the canopy frame,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when the canopy frame hits the head while a person enters the canopy or is active inside the canopy.

도 1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1661(2003.10.30.공고)에 개시된 종래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과의 비교 설명의 편의상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의 참조번호와 용어를 변경하였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folding canopy frame 1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31661 (Announcement on October 30, 2003), for convenience of comparis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Reference numbers and terms have been chang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앞측면, 뒷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갖는 사각형태의 캐노피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foldable canopy frame 1 is for implementing a square canopy having a front side, a rear side,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4개의 기둥프레임(11a, 11b, 11c, 11d)은 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4개의 기둥프레임(11a, 11b, 11c, 11d) 각각에는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더 연결구(12)가 설치된다. 4개의 기둥프레임(11a, 11b, 11c, 11d) 각각의 상단에는 탑 연결구(13)가 설치된다. The four pillar frames 11a, 11b, 11c, and 11d ar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o form a square shape. Each of the four pillar frames 11a, 11b, 11c, and 11d is provided with a slider connector 12 so as to be slidable up and down. A tower connector 13 is installed at the top of each of the four pillar frames 11a, 11b, 11c, and 11d.

캐노피의 각 측면을 위한 두 개의 기둥프레임 사이 , 즉 제1기둥프레임(11a)과 제2기둥프레임(11b) 사이, 제3기둥프레임(11c)과 제4기둥프레임(11d) 사이, 제1기둥프레임(11a)과 제3기둥프레임(11c) 사이, 제2기둥프레임(11b)과 제4기둥프레임(11d) 사이의 공간에 각각에 위치하도록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14)와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5)가 설치된다.Between two pillar frames for each side of the canopy, that is, between the first pillar frame (11a) and the second pillar frame (11b), between the third pillar frame (11c) and the fourth pillar frame (11d), the first pillar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14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14 are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ame 11a and the third pillar frame 11c and between the second pillar frame 11b and the fourth pillar frame 11d. 15) is installed.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30)은 탑 연결구(13)와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14)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탑 연결구(13)와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14)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30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hinged to the top connector 13 and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14, so that the top connector 13 and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14 are folded as an axis. do.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20)은 슬라이더 연결구(12)와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5)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슬라이더 연결구(12)와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5)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30)과 엑스(x)자 형태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30)에 결합핀(40)을 통하여 서로 교차 결합된다.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20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hinged to the slider connector 12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15 so that the slider connector 12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15 are folded around the axis. , The non-sliding side-folding frame 30 and the non-sliding side-folding frame 30 are cross-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coupling pin 40 so as to be folded in an X (x) shape.

내부하부관절연결구(64)와 내부상부관절연결구(65)는 캐노피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4개의 기둥프레임(11a, 11b, 11c, 11d)에 의한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The inner lower joint connector 64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65 ar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by the four pillar frames 11a, 11b, 11c, and 11d to be located inside the canopy.

제1내부접철프레임(51)은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14)와 내부상부관절연결구(65)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14)와 내부상부관절연결구(65)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The first inner folding frame 51 is hinged at both ends of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14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65 to fold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14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65 as an axis. It is installed so that it is made.

제2내부접철프레임(52)은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5)와 내부하부관절연결구(64)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5)와 내부하부관절연결구(64)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제1내부접철프레임(51)과 엑스(x)자 형태로 교차되면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제1내부접철프레임(51)에 결합핀(40)을 통하여 교차 결합된다. The second inner folding frame 52 is hinged at both ends of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15 and the inner lower joint connector 64 to fol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15 and the inner lower joint connector 64 as an axis. It is installed to achieve this, and is cross-coupled to the first inner folded frame 51 through a coupling pin 40 so as to be folded while crossing the first inner folded frame 51 in an X (x) shape.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20),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30), 제1내부접철프레임(51), 및 제2내부접철프레임(52)은 모두 같은 길이인 L3을 갖는다.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20,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30, the first internal folding frame 51, and the second internal folding frame 52 all have the same length L3.

천막지주(70)는 내부하부관절연결구(64)에 밑단이 지지된 상태로 내부상부 관절연결구(65)를 관통하여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The tent support 70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upward through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65 with the hem supported on the inner lower joint connector 64.

도 2는 도 1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이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을 접으면 슬라이더 연결구(12)가 밑으로 내려오면서 접철이 이루어진다.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lded state of the foldable canopy frame 1 of FIG. 1. As shown in FIG. 2, when the foldable canopy frame 1 is folded, the slider connector 12 is brought down and folded.

도 3은 도 1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이 뒤쪽 기둥프레임(11c, 11d)을 공유하면서 종 방향으로 직렬적으로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FIG. 3 show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foldable canopy frames 1 of FIG. 1 share the rear pillar frames 11c and 11d and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seri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술한 종래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에 의하면, 천막지붕(80)의 가운데 부분만 천막지주(70)에 의해서 지지되고 천막지붕(80)의 경사부에서 대해서는 지지가 전혀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천막지붕(80)의 전체적인 지지가 불안정하면서 약하고, 눈이나 비가 많이 올 때에 하중에 취약하며, 바람에 의하여 천막지붕(80)이 위아래로 펄럭거리는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olding canopy frame 1 described above, only the middle portion of the tent roof 80 is supported by the tent posts 70, and support is not considered at all in the slope of the tent roof 80, so the tent roof The overall support of (80) is unstable and weak, it is vulnerable to loads when it snows or rains a lot, and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tent roof 80 flutters up and down by the wind.

뿐만 아니라 캐노피 프레임(1)의 천정이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펼쳐지기 때문에 캐노피 프레임(1)의 천정 높이(H1)가 천막지붕(80)에서 한참 이격되어 밑에 위치하게 되므로, 캐노피 프레임(1)의 천정 높이(H1)가 낮아 사람이 캐노피를 출입하거나 캐노피 내부에서 활동할 때에 캐노피 프레임(1)의 천정이 머리에 부딪혀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캐노피 프레임(1)의 천정에 조명시설을 설치할 경우 조명시설이 사람의 머리에 부딪히기 때문에 조명시설을 설치하는 데에 공간적으로 제약이 매우 심하다. In addition, since the ceiling of the canopy frame (1) is substantially horizontally unfolded, the height (H1) of the ceiling of the canopy frame (1) is far apart from the tent roof (80) and is located below the ceiling of the canopy frame (1). Due to its low height (H1),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eiling of the canopy frame (1)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ceiling of the canopy frame (1) hits the head when a person enters the canopy or is active inside the canopy. Since it hits this person's head, space restrictions are very severe in installing lighting facilitie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1661(2003.10.30.공고)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Bulletin No. 20-0331661 (announcement on October 30, 2003)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캐노피 프레임의 천정높이가 종래보다 높은 상태에서 천막지붕의 경사부를 밑에서 지지하도록 박공형태의 천막지붕을 구현함으로써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보관 시에는 완전히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can be solved by implementing a gable-type tent roof to support the slope of the tent roof from below while the ceiling height of the canopy frame is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It is to provide a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that can be completely folded to minimize the volume.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에 의해 구현되는 박공지붕형 캐노피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ble roof type canopy implemented by the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앞측면, 뒷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갖는 사각형태의 캐노피를 구현하기 위한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for realizing a square canopy having a front side, a rear side,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4개의 기둥프레임;Four pillar frame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상기 기둥프레임 각각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 연결구;A slider connector installed to be slidable vertically on each of the pillar frames;

상기 기둥프레임 각각의 상단에 설치되는 탑 연결구;A tower connecto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each of the pillar frames;

캐노피의 각 측면을 위한 두 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와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A side upper joint connector and a side lower joint connector installed to be respectively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two pillar frames for each side of the canopy;

상기 탑 연결구와 상기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탑 연결구와 상기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A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installed so that the top connector and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are hinged at both ends so that the top connector and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are folded around an axis;

상기 슬라이더 연결구와 상기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 연결구와 상기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과 엑스(x)자 형태로 교차되면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에 교차 결합되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Both ends of the slider connector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the slider connector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are installed to be folded around an axis, and cross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in an X (x) shape. A sliding side folding frame cross-coupled to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to be folded while being folded; Including,

정면에서 보았을 때 횡 방향으로 놓이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은 길이 L1을 가지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횡 방향으로 놓이는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은 길이 L2를 가지며, L1 > L2인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liding side-folded frame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as a length L1, and the non-sliding side-folded frame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has a length L2, and has a relationship of L1> L2.

본 고안에 따른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과 상기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은 각각의 중앙에서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종 방향으로 놓이는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종 방향으로 놓이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은 같은 길이인 L3을 가지며, L3 = L1/2 + L2/2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and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are installed to be cross-coupled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 of each, and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and the front side are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As seen from,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l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the same length L3, and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relationship of L3 = L1/2 + L2/2.

본 고안에 따른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은,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4개의 기둥프레임에 의한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내부상부관절연결구와 내부하부관절연결구;An inner upper joint connector and an inner lower joint connector installed to be located in an inner space by the four pillar frames;

상기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와 상기 내부상부관절연결구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와 상기 내부상부관절연결구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제1내부접철프레임;A first inner folding frame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hingedly coupled to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so that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are folded along an axis;

상기 사이드상부 관절연결구와 상기 내부하부 관절연결구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상부 관절연결구와 상기 내측하부 관절연결구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내부접철프레임과 엑스(x)자 형태로 교차되면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내부접철프레임에 교차 결합되는 제2내부접철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Both ends are hingedly coupled to the upper side joint connector and the lower inner joint connector, and are installed to fol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and the inner lower joint connector along an axis, and the first inner folding frame and X(x) A second inner folded frame cross-coupled to the first inner folded frame so as to be folded while crossing in a ruler shape; It is made including,

상기 제1내부접철프레임과 상기 제2내부접철프레임은 각각의 중앙에서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The first inner folded frame and the second inner folded frame are installed to be cross-coupled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s of each,

정면에서 보았을 때 횡 방향으로 놓이는 제1내부접철프레임은 길이 L1을 가지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횡 방향으로 놓이는 제2내부접철프레임은 길이 L2를 가지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종 방향으로 놓이는 제1내부접철프레임과 제2내부접철프레임은 각각 길이 L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internal folded frame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as a length L1, the second internal folded frame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has a length L2, and the first internal folded frame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rame and the second inner folded frame a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has a length L3.

본 고안에 따른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가운데 부분에 있는 상기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와 상기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 사이 및 상기 내부하부관절연결구와 상기 내부상부관절연결구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수직버팀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able roof type foldable canop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pendicular to at least one of between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in the midd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between the inner lower joint connector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e is installed.

본 고안에 따른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좌우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와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가운데에 위치하는 상기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 사이 및 상기 내부상부관절연결구와 상기 탑 연결구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잇도록 와이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able roof type foldable canop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located in the midd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and the top connecto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installed so as to connect at least one of them.

본 고안에 따른 박공지붕형 캐노피는 상기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에 천막이 씌워져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able roof type cano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is covered with a tent.

본 고안에 의하면, 캐노피 프레임의 천정높이가 종래보다 높은 상태에서 천막지붕의 경사부를 밑에서 지지하도록 박공형태의 천막지붕을 구현하여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캐노피 프레임의 보관 시에도 완전히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by implementing a gable-shaped tent roof to support the slope of the tent roof from below while the ceiling height of the canopy frame is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The volume can be minimized.

도 1은 종래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이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이 종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00)이 접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의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00)이 종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수직버팀대(91)가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와이어(92)가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folding canopy frame (1);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lded state of the foldable canopy frame 1 of FIG.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foldable canopy frame 1 of FIG. 1 is connected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olding the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100 of FIG. 4;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100 of FIG. 4 is connected and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the vertical brace 91 is installed;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wire 92 is installed.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ly present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many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00)은 천막지붕이 종래와 달리 박공형태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앞측면, 뒷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갖는 사각형태의 캐노피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Figure 4, the gable roof-type folding canopy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gable shape unlike the conventional tent roof,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rear side, left side, and right side It is to implement a square-shaped canopy with

4개의 기둥프레임(111a, 111b, 111c, 111d)은 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4개의 기둥프레임(111a, 111b, 111c, 111d) 각각에는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더 연결구(112)가 설치된다. 4개의 기둥프레임(111a, 111b, 111c, 111d) 각각의 상단에는 탑 연결구(113)가 설치된다. The four pillar frames 111a, 111b, 111c, and 111d ar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o form a square shape. Each of the four pillar frames 111a, 111b, 111c, and 111d is provided with a slider connector 112 so as to slide up and down. A tower connector 113 is installed at the top of each of the four pillar frames 111a, 111b, 111c, and 111d.

캐노피의 각 측면을 위한 두 개의 기둥프레임 사이, 즉 제1기둥프레임(111a)과 제2기둥프레임(111b) 사이, 제3기둥프레임(111c)과 제4기둥프레임(111d) 사이, 제1기둥프레임(111a)과 제3기둥프레임(111c) 사이, 제2기둥프레임(111b)과 제4기둥프레임(111d) 사이의 공간에 각각에 위치하도록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114)와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15)가 설치된다. Between two pillar frames for each side of the canopy, that is, between the first pillar frame 111a and the second pillar frame 111b, between the third pillar frame 111c and the fourth pillar frame 111d, and the first pillar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114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are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ame 111a and the third pillar frame 111c, and between the second pillar frame 111b and the fourth pillar frame 111d, respectively. 115) is installed.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30)은 탑 연결구(113)와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114)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탑 연결구(113)와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114)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130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hinged to each of the top connector 113 and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114 so that the top connector 113 and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114 are folded as an axis. do.

정면에서 보았을 때 횡 방향으로 놓이는, 즉 앞뒤측면에 놓이는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30)은 길이 L2를 가지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종방향으로 놓이는 즉, 좌우측면에 놓이는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30)은 L3의 길이를 갖는다.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130 that is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at is, plac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has a length L2, and that is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at is,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130 that is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Has a length of L3.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20)은 슬라이더 연결구(112)와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15)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슬라이더 연결구(112)와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15)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30)과 엑스(x)자 형태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30)에 결합핀(140)을 통하여 서로 교차 결합된다. 이 때,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20)과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30)은 각각의 중앙에서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120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hinged to the slider connector 112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115 so that the slider connector 112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115 are folded around the axis. , The non-sliding side-folding frame 130 and the non-sliding side-folding frame 130 are cross-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pins 140 so that the folds are made in an X (x) shap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120 and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130 are installed to be cross-coupled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s of each.

정면에서 보았을 때 횡 방향으로 놓이는 즉, 앞뒤측면에 놓이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20)은 길이 L1을 가지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종방향으로 놓이는 즉 좌우측면에 놓이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20)은 L3의 길이를 갖는다.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120 that is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at is, plac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has a length L1, and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120 that is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at is,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s Have a length

내부하부관절연결구(164)와 내부상부관절연결구(165)는 캐노피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4개의 기둥프레임(111a, 111b, 111c, 111d)에 의한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The inner lower joint connector 164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165 ar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by the four pillar frames 111a, 111b, 111c, and 111d to be located inside the canopy.

제1내부접철프레임(151)은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114)와 내부상부관절연결구(165)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114)와 내부상부관절연결구(165)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The first inner folding frame 151 is hinged at both ends of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114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165 to fold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114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165 as an axis. It is installed so that it is made.

정면에서 보았을 때 횡 방향으로 놓이는 제1내부접철프레임(151)은 길이 L1을 가지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종방향으로 놓이는 제1내부접철프레임(151)은 길이 L3을 갖는다.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inner folded frame 151 ly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as a length L1, an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inner folded frame 151 l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 length L3.

제2내부접철프레임(152)은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15)와 내부하부관절연결구(164)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15)와 내부하부관절연결구(164)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제1내부접철프레임(151)과 엑스(x)자 형태로 교차되면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제1내부접철프레임(151)에 결합핀(140)을 통하여 교차 결합된다. 이 때, 제1내부접철프레임(151)과 제2내부접철프레임(152)은 각각의 중앙에서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inner folding frame 152 is hinged at both ends of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115 and the inner lower joint connector 164 to fol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115 and the inner lower joint connector 164 as an axis. It is installed to achieve this, and is cross-coupled to the first inner folded frame 151 through a coupling pin 140 so as to be folded while crossing the first inner folded frame 151 in an X (x) shap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inner folded frame 151 and the second inner folded frame 152 are installed to be cross-coupled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s of each.

정면에서 보았을 때 횡 방향으로 놓이는 제2내부접철프레임(152)은 길이 L2를 가지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종방향으로 놓이는 제2내부접철프레임(152)은 길이 L3을 갖는다.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econd inner folded frame 152 ly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as a length L2, an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econd inner folded frame 152 l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 length L3.

도 5는 도 4의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00)이 접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olding the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100 of FIG. 4.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박공지붕을 구현하기 위하여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횡 방향으로 놓이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20)의 길이를 L1로 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횡 방향으로 놓이는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30)의 길이를 L1보다 작은 L2로 하여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종방향으로 놓이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20)과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30)은 L3로서 같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mplement a gable ro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length of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120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o L1, and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130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 the length of which is smaller than L1 and the length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120 and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130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are the same length as L3.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따라서 L3 = L1/2 + L2/2의 관계를 가져야 슬라이더 연결구(121)가 충분히 밑으로 내려가 본 고안에 따른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00)이 완전히 접혀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slider connector 121 is sufficiently lowered to have a relationship of L3 = L1/2 + L2/2 so that the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folded.

종래에는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횡 방향이든 종 방향이든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20)과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30)이 길이 L3로서 모두 같기 때문에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을 완전히 접히도록 하는 데에 특별한 제한이 필요 없지만, 본 고안에서와 같이 박공지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에서는 위와 같이 L3 = L1/2 + L2/2 의 조건을 만족토록 해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20 and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30 are all the same as the length L3, so that the folding canopy frame 1 is completely folded. There is no need for special restrictions to do so, but it is very important to satisfy the condition of L3 = L1/2 + L2/2 as above in the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gable roof a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의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00)이 뒤쪽 기둥프레임(111c, 111d)을 공유하면서 종방향으로 직렬적으로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FIG. 6 show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gable roof-type folding canopy frames 100 of FIG. 4 share the rear pillar frames 111c and 111d and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seri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4 내지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은 박공지붕을 구현하기 위하여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횡 방향으로 놓이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20)의 길이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횡 방향으로 놓이는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30)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즉, L1 > L2 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As can be seen in FIGS. 4 to 6,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sliding side-folded frame in which the length of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120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is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order to implement a gable roof One feature is that it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130). That is, L1> L2.

그러면, 본 고안에 따른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100)을 펼쳤을 때에 슬라이더 연결구(12)가 위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가운데 앞쪽과 뒤쪽에 위치하는, 즉 앞뒤측면에 위치하는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114)와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15)가 모두 기둥프레임(111a, 111b, 111c, 111d)보다 높이 올라갈 수 있게 된다. Then, when the gable roof-type foldable canopy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the slider connector 12 slides upward and is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center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at is,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loca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 114) and the upper side joint connector 115 can be raised higher than both the pillar frames 111a, 111b, 111c, and 111d.

즉 기둥프레임(111a, 111b, 111c, 111d)의 높이를 H라 하고, 앞뒤측면에 위치하는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114)의 높이를 H1이라 하였을 때에 H1>H가 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height of the column frames 111a, 111b, 111c, and 111d is H, and the height of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114 loca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is H1, H1>H can be made.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천막지붕(180)의 가운데 부분은 앞뒤측면에 있는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15)와 그 중간에 있는 내부상부관절연결구(165)에 의해 제일 위로 지지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천막지붕(180)의 좌우 양쪽 부분은 탑 연결구(113)와 그 뒤에 있는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15)에 의해 지지되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천막지붕(180)의 가운데 부분과 좌우 양쪽 사이의 경사부는 앞뒤측면에 횡 방향으로 놓이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20) 및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130)과 그 중간에서 횡 방향으로 놓이는 제1내부접철프레임(151)과 제2내부접철프레임(15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박공형태의 천막지붕(180)이 구현된다.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middle part of the tent roof 180 is supported at the top by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115 i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165 in the middle, an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tent roof (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180) are supported by the top connector 113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115 behind it, an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inclined portions between the middle portion of the tent roof 180 and both left and right are on the front and rear sides. By being supported by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120 and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130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first internal folding frame 151 and the second internal folding frame 152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middle thereof, The tent roof 180 of the gable shape is implemented.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 캐노피 프레임(100)의 천정이 천막지붕(180)과 같이 위로 절곡된 상태가 되므로 도 1에 도시된 종래보다 캐노피 프레임(100)의 천정 높이가 높아져서 사람이 캐노피를 앞측면이나 뒷측면을 통하여 출입하거나 캐노피 내에서 활동할 때에 캐노피 프레임(100)의 천정에 머리가 부딪히지 않게 되고, 캐노피 프레임(100)의 천정에 조명시설과 같은 여러 부대시설을 설치코자 하는 경우에도 공간적으로 제약을 덜 받는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iling of the canopy frame 100 is bent upward like the tent roof 180, so the height of the ceiling of the canopy frame 100 is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shown in FIG. The head does not hit the ceiling of the canopy frame 100 when entering or exiting through the rear side or when active in the canopy, and space restrictions are limited even when various auxiliary facilities such as lighting facilities are to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canopy frame 100. Receive less.

또한 캐노피 프레임(100)에 의해 천막지붕(180)의 경사부도 지지되므로 천막지붕(180)의 지지가 안정되게 이루어지며 하중에도 강하고, 바람에 의하여 천막지붕(180)이 위아래로 펄럭거리는 현상도 크게 감소된다. 천막지붕(180)의 경사부 밑에서 천마지붕(180)을 지지하는 접철프레임에 천막지붕(180)을 끈 등으로 묶어 놓으면 천막지붕(180)의 펄럭거림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In addition, since the inclined portion of the tent roof 180 is also supported by the canopy frame 100, the support of the tent roof 180 is made stably and is strong against the load, and the phenomenon that the tent roof 180 flutters up and down by the wind is also large. Is reduced. If the tent roof 180 is tied with a string or the like on the folding frame supporting the cheonma roof 180 under the slope of the tent roof 180, the flutter of the tent roof 180 is more effectively prevented.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가운데 부분에 있는, 즉 앞뒤측면에 있는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114)와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15) 사이에 수직버팀대(91)를 끼워서 캐노피 프레임(100)의 천정이 붕괴되지 않고 천막지붕(18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수직버팀대(191)는 내부하부관절연결구(164)와 내부상부관절연결구(165)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a vertical brace 91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 side joint connector 114 and the upper side joint connector 115 in the middle part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at i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canopy frame ( The ceiling of 100) can be made to support the tent roof 180 more firmly without collapsing. The vertical brace 191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inner lower joint connector 164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165.

또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좌우측면에 위치하는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15)와 앞뒤측면에서 가운데 위치하는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115)를 와이어(192)로 연결하거나, 내부상부관절연결구(165)와 탑 연결구(113)를 와이어(192)를 연결함으로써 천막지붕(180)이 와이어(192)에 의해서도 지지되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115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115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re connected with a wire 192, or It is more preferable to connect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165 and the tower connector 113 to the wire 192 so that the tent roof 180 is supported by the wire 192 as wel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캐노피 프레임(100)의 천정높이가 종래보다 높은 상태에서 천막지붕(180)의 경사부를 밑에서 지지하도록 박공형태의 천막지붕(180)을 구현하여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캐노피 프레임(100)의 보관 시에도 완전히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by implementing the gable-shaped tent roof 180 to support the inclined portion of the tent roof 180 from below in a state where the ceiling height of the canopy frame 100 is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This can be solved, and even when the canopy frame 100 is stored, it can be completely folded to minimize the volume.

1: 종래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2: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본 고안)
11a~11d, 111a~111d: 기둥프레임
12, 112: 슬라이더 연결구
13, 113: 탑 연결구
14, 114: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
15, 115: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
20, 120: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
30, 130: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
40, 140: 결합핀
51, 151: 제1내부접철프레임
52, 152: 제2내부접철프레임
64, 164: 내부하부관절연결구
65, 165: 내부상부관절연결구
70: 천막지주
80, 180: 천막지붕
191: 수직버팀대
192: 와이어
1: Conventional foldable canopy frame
2: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this design)
11a~11d, 111a~111d: pillar frame
12, 112: slider connector
13, 113: tower connector
14, 114: side lower joint connector
15, 115: side upper joint connector
20, 120: sliding side folding frame
30, 130: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40, 140: coupling pin
51, 151: first internal folding frame
52, 152: second internal folding frame
64, 164: inner lower joint connector
65, 165: inner upper joint connector
70: tent holder
80, 180: tent roof
191: vertical brace
192: wire

Claims (6)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앞측면, 뒷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갖는 사각형태의 캐노피를 구현하기 위한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으로서,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4개의 기둥프레임;
상기 기둥프레임 각각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 연결구;
상기 기둥프레임 각각의 상단에 설치되는 탑 연결구;
캐노피의 각 측면을 위한 두 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와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
상기 탑 연결구와 상기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탑 연결구와 상기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
상기 슬라이더 연결구와 상기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 연결구와 상기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과 엑스(x)자 형태로 교차되면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에 교차 결합되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정면에서 보았을 때 횡 방향으로 놓이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은 길이 L1을 가지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횡 방향으로 놓이는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은 길이 L2를 가지며, L1 > L2인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As a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for realizing a square canopy having a front side, a rear side,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Four pillar frame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slider connector installed to be slidable vertically on each of the pillar frames;
A tower connecto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each of the pillar frames;
A side upper joint connector and a side lower joint connector installed to be respectively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two pillar frames for each side of the canopy;
A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installed so that the top connector and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are hinged at both ends so that the top connector and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are folded around an axis;
Both ends of the slider connector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the slider connector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are installed to be folded around an axis, and cross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in an X (x) shape. A sliding side folding frame cross-coupled to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to be folded while being folded; Including,
Gable roof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side-folded frame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has a length L1, and the non-sliding side-folded frame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has a length L2, and has a relationship of L1> L2. Foldable canopy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과 상기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은 각각의 중앙에서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종방향으로 놓이는 논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종방향으로 놓이는 슬라이딩 사이드접철프레임은 같은 길이인 L3을 가지며, L3 = L1/2 + L2/2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According to claim 1,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and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are installed to be cross-coupled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 of each, and the non-sliding side folding frame plac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liding side folding frame laid out has the same length L3, and a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lationship of L3 = L1/2 + L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기둥프레임에 의한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내부상부관절연결구와 내부하부관절연결구;
상기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와 상기 내부상부관절연결구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와 상기 내부상부관절연결구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제1내부접철프레임;
상기 사이드상부 관절연결구와 상기 내부하부 관절연결구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상부 관절연결구와 상기 내측하부 관절연결구를 축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내부접철프레임과 엑스(x)자 형태로 교차되면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내부접철프레임에 교차 결합되는 제2내부접철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내부접철프레임과 상기 제2내부접철프레임은 각각의 중앙에서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 횡 방향으로 놓이는 제1내부접철프레임은 길이 L1을 가지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횡 방향으로 놓이는 제2내부접철프레임은 길이 L2를 가지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종방향으로 놓이는 제1내부접철프레임과 제2내부접철프레임은 각각 길이 L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The method of claim 2,
An inner upper joint connector and an inner lower joint connector installed to be located in an inner space by the four pillar frames;
A first inner folding frame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hingedly coupled to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so that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are folded along an axis;
Both ends are hingedly coupled to the upper side joint connector and the lower inner joint connector, and are installed to fol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and the inner lower joint connector along an axis, and the first inner folding frame and X(x) A second inner folded frame cross-coupled to the first inner folded frame so as to be folded while crossing in a ruler shape; It is made including,
The first inner folded frame and the second inner folded frame are installed to be cross-coupled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s of each,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internal folded frame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as a length L1, the second internal folded frame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has a length L2, and the first internal folded frame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and the second inner folding frame each have a length L3.
제3항에 있어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가운데 부분에 있는 상기 사이드하부관절연결구와 상기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 사이 및 상기 내부하부관절연결구와 상기 내부상부관절연결구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수직버팀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vertical brace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between the side lower joint connector and the side upper joint connector in the middle part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between the inner lower joint connector and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Features a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제3항에 있어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좌우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와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가운데에 위치하는 상기 사이드상부관절연결구 사이 및 상기 내부상부관절연결구와 상기 탑 연결구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잇도록 와이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of between the upper side joint connector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upper side joint connector located in the midd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between the inner upper joint connector and the top connector Gable roof type folding canopy,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installed to connect. 제1항의 박공지붕형 접철식 캐노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공지붕형 캐노피.
A gable roof type canopy comprising the gable roof type foldable canopy of claim 1.
KR2020200003192U 2020-09-01 2020-09-01 Foldable gabled roof type canopy frame and canopy having the same KR2020000215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92U KR20200002155U (en) 2020-09-01 2020-09-01 Foldable gabled roof type canopy frame and canop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92U KR20200002155U (en) 2020-09-01 2020-09-01 Foldable gabled roof type canopy frame and canopy hav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031A Division KR20190091059A (en) 2018-01-26 2018-01-26 Foldable gabled roof type canopy frame and canopy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55U true KR20200002155U (en) 2020-10-05

Family

ID=7280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192U KR20200002155U (en) 2020-09-01 2020-09-01 Foldable gabled roof type canopy frame and canopy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155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3092A (en) * 2021-12-24 2022-03-25 重庆市亿鼎伞业有限责任公司 Portable tent frame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661Y1 (en) 2003-08-06 2003-10-30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Movable tent fr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661Y1 (en) 2003-08-06 2003-10-30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Movable tent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3092A (en) * 2021-12-24 2022-03-25 重庆市亿鼎伞业有限责任公司 Portable tent frame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0858B2 (en) Foldable tent
US11499334B2 (en) Pole frame structure of foldable tent
US6439251B2 (en) Erectable shelter with gable roof
KR100249591B1 (en) Collasible shelter with elevated canopy
US5944040A (en) Collapsible tent frame
US7055538B2 (en) Foldable tent having eaves
US6701949B2 (en) Erectable canopy with reinforced roof structure
US7836908B2 (en) Canopy with automatic roof structure having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US20150068573A1 (en) Foldable Tent
KR20200002155U (en) Foldable gabled roof type canopy frame and canopy having the same
KR20190091059A (en) Foldable gabled roof type canopy frame and canopy having the same
CN207092685U (en) A kind of foldable tent
US5595204A (en) Multi-use collapsible sun-shade tent
JP4245171B2 (en) Folding roof structure and bipod roof structure having the roof structure
CN214424187U (en) Foldable tent
CN210396334U (en) Arch crown tent frame rod structure
CN210396333U (en) Improvement of tent frame rod structure
KR101153274B1 (en) Folding tent
CN207160735U (en) A kind of attachment structure of awn
CN215485104U (en) Foldable tent
CN210857760U (en) Butterfly tent for eave
CN213654420U (en) Covering or awning on a car, boat, etc. room support and two covering or awning on a car, boat, etc. rooms in two tops covering or awning on a car, boat, etc. rooms
CN218715663U (en) Folding tent
WO2022241860A1 (en) Folding tent having roof ridge structure
CN2756761Y (en) Small tent support frame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