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066U -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066U
KR20200002066U KR2020190001028U KR20190001028U KR20200002066U KR 20200002066 U KR20200002066 U KR 20200002066U KR 2020190001028 U KR2020190001028 U KR 2020190001028U KR 20190001028 U KR20190001028 U KR 20190001028U KR 20200002066 U KR20200002066 U KR 202000020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air compressor
air
compartmen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2020190001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066U/ko
Publication of KR202000020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0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36Reducing noise or vibration emiss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6Air or water being indistinctly used as working fluid, i.e. the machine can work equally with air or water without any mo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14Architectures, e.g. special construction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입구와 배출구를 분리 구성하여 압축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개선시켜 흡입소음을 저감시킨 공기압축기용 소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압축기용 소음기{Silencer for air compressor}
본 고안은 공기압축기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분리 구성하여 압축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개선시켜 흡입소음을 저감시킨 공기압축기용 소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압축기용 소음기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몸체 내에 부직포 등의 재질로 된 다수의 소음재가 수용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몸체의 상면에는 외부 공기가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저면에는 몸체 내부의 공기를 공기 압축기의 흡입구로 안내하기 위한 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구는 공기 압축기의 흡입구와 연결되는 파이프에 고정되어진다.
공기압축기의 작동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는 몸체의 입구를 통해 몸체 내부로 유입되어 소음재층을 통과한 다음 출구를 통해 빠져나가 공기압축기의 흡입구로 흡입된다.
이때 공기가 소음재층을 통과할 때 공기압축기의 흡입력에 의한 소음이 크게 저감되고 또한, 소음재층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들 중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들을 거르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공기압축기용 소음기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몸체 내부의 공기 흐름의 저항이 많이 발생하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이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사로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소음은 물론 기류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0419001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흡입구와 배출구를 분리 구성하여 압축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개선시켜 흡입소음을 저감시킨 공기압축기용 소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축기용 소음기는 하우징의 안쪽 공간에 격벽에 의한 분리된 두 개의 격실을 형성하고 분리된 두 개의 격실중 바깥쪽의 격실에 구면체의 흡입부를 구성하여 공기의 흐름시 저항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공기압축기에 연결되는 결합부를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글라스 재질로 2중 사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축기용 소음기는 흡입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구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시 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흡입 효율이 우수하고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공기압축기에 연결되는 결합부를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글라스 재질로 2중 사출로 구성하여 고온에서도 충분이 견디어 에어클리너의 손 망실은 물론 기기의 손 망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축기용 소음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축기용 소음기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하우징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축기용 소음기의 또 다른 하우징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축기용 소음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축기용 소음기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하우징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축기용 소음기의 또 다른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용 소음기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용 소음기(100)는 사용상의 편리와 결합을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원통형의 하우징(102a)(102b)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공기압축기와 결합하였을 때 고온에 의한 소음기의 손 망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결합부(300)를 글라스 재질로 2중 사출로 하우징(102b)과 일체로 구성한다.
상기한 하우징(102a)(102b)의 안쪽 공간에는 격벽(10a)(10b)에 의한 분리된 두 개의 격실(14a)(14b)을 형성하고 분리된 두 개의 격실(14a)(14b)중 바깥쪽의 격실(14a)은 구면체의 흡입부(16)를 구성하여 공기의 흐름시 저항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배출부(18)로 유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격실(14a)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격벽(10c)을 형성하여 격실(14a)을 반원형으로 두 개의 격실(14a)인 흡입부(16)와 배출부(18)를 분리 구획하여 흡입부(16)로 흡입되는 공기는 무조건 배출부(18)로 흐르도록 유도하여 격실(14b) 내부에 고정되는 필터(200)를 거쳐 결합부(300)로 공기가 흐르도록 한다.
상기한 배출부(18)는 격실(14a)에 형성된 격벽(10c)의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흡입부(16)로 유입되는 공기가 서로 부딪히지 않고 한 방향으로만 유입되어 배출부(18)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한 하우징(102a)(102b)은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어느 한쪽의 하우징(102a)에는 결합돌기(400)를 다른 한쪽의 하우징(102b)에는 결합홈(402)을 형성하여 결합돌기(400)와 결합홈(402)을 서로 맞물리면서 하우징(102a)(102b)을 결합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 격벽(10c)이 위치되도록 하여 흡입부와 배출부를 구획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하우징(102a)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통로(30)가 천공되며 상기 흡입통로는 구면체의 흡입부(16) 위치에 고정되어 공기 저항이 전혀 없이 흡입될 수 있도록 하여 결국 소음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a,10b,10c: 격벽 14a,14b: 격실
16: 흡입부 18: 배출부
100: 소음기 102a, 102b: 하우징

Claims (3)

  1. 사용상의 편리와 결합을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원통형의 하우징(102a)(102b)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압축기용 소음기(100), 상기 소음기는 공기압축기와 결합하였을 때 고온에 의한 소음기의 손 망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결합부(300)를 글라스 재질로 2중 사출로 하우징(102b)과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102a)(102b)의 안쪽 공간에는 격벽(10a)(10b)에 의한 분리된 두 개의 격실(14a)(14b)을 형성하고 분리된 두 개의 격실(14a)(14b)중 바깥쪽의 격실(14a)은 구면체의 흡입부(16)를 구성하여 공기의 흐름시 저항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배출부(18)로 유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격실(14a)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격벽(10c)을 형성하여 격실(14a)을 반원형으로 두 개의 격실(14a)인 흡입부(16)와 배출부(18)를 분리 구획하여 흡입부(16)로 흡입되는 공기는 무조건 배출부(18)로 흐르도록 유도하여 격실(14b) 내부에 고정되는 필터(200)를 거쳐 결합부(300)로 공기가 흐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부(18)는 격실(14a)에 형성된 격벽(10c)의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흡입부(16)로 유입되는 공기가 서로 부딪히지 않고 한 방향으로만 유입되어 배출부(18)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KR2020190001028U 2019-03-13 2019-03-13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KR202000020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28U KR20200002066U (ko) 2019-03-13 2019-03-13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28U KR20200002066U (ko) 2019-03-13 2019-03-13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66U true KR20200002066U (ko) 2020-09-23

Family

ID=7266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028U KR20200002066U (ko) 2019-03-13 2019-03-13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066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001B1 (ko) 2001-02-28 2004-0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소음기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001B1 (ko) 2001-02-28 2004-0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소음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7674B2 (ja) 真空掃除機
US11274668B2 (en) Vacuum pump having a silencer
JP6175560B2 (ja) 掃除機
US11160428B2 (en) Cleaner
RU2299668C2 (ru) Выпуск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и пылесос,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6264339B (zh) 吸式清扫机
JP7097295B2 (ja) 真空ポンプ用のフィルタエレメントおよび付随する装着装置
CN107002708B (zh) 离心式鼓风机
RU2011105456A (ru) Шумогася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воздуходувок
CN106730203B (zh) 用于呼吸机的减噪装置和呼吸机
JP3213021U (ja) 送風機
JP2008039329A5 (ko)
KR100774483B1 (ko) 압축기용 흡입머플러 구조
JP2019501325A5 (ko)
JP7055600B2 (ja) 圧縮機用音響フィルタ
JP2018064849A (ja) モータモジュールおよび掃除機
KR20200002066U (ko) 공기압축기용 소음기
RU2649156C1 (ru) Компрессор бокового канал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богревате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916881B1 (ko) 공기 누설 방지 구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CN103221639A (zh) 降低噪声的气泵
JP6510791B2 (ja) 挿入式拡張管一体型エアクリーナおよびこれを適用したエンジン吸気系
CN208024430U (zh) 消声器以及具有它的消声组件
CN111121122A (zh) 一种吹吸风装置及应用有该吹吸风装置的吸油烟机
IT201900018902A1 (it) Compressore a vite
WO2016058434A1 (zh) 风道结构及具有其的表面清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