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938A - Method for checking safety guideline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hecking safety guideline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938A
KR20200001938A KR1020180075070A KR20180075070A KR20200001938A KR 20200001938 A KR20200001938 A KR 20200001938A KR 1020180075070 A KR1020180075070 A KR 1020180075070A KR 20180075070 A KR20180075070 A KR 20180075070A KR 20200001938 A KR20200001938 A KR 20200001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struction site
risk factor
object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0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6413B1 (en
Inventor
박찬식
이도엽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413B1/en
Publication of KR20200001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9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method and a server perform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for checking safety instructions on a construction site comprises: a receiving part receiving an image from an external device; a control part which analyzes the image to detect a plurality of objects present in the image, determines whether risk factors exist for the detected plurality of objects, and in case the risk factors exist,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risk factor exists; and a transmission part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a manager terminal on the construction site.

Description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Method for checking safety guideline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Method for checking safety guideline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afety management method of a construction site and a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건설 산업은 가장 위험한 산업 중 하나이다. 한국 산업 안전 보건 공단(KOSHA)에 따르면, 2016년 건설 업계 사망자는 544명으로 전체 산업의 31.2%를 차지했다.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의 안전 규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학계는 안전 관련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KOSHA는 개별 건설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안전 관리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안전 관련 콘텐츠(예: 규칙 및 규정, 안전 지침, 멀티미디어 교육 콘텐츠 및 사고 사례 등)를 웹 사이트에서 제공한다.The construction industry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industries. According to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construction industry deaths in 2016 accounted for 544 people, accounting for 31.2% of all industrie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governmental safety regulations are in place and academic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safety-related research. In addition, KOSHA provides a variety of safety-related content (e.g. rules and regulations, safety instructions, multimedia educational content and accident cases) on its website to support the overall safety management of individual construction projects.

한편,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프로세스는, 작업 수행 이전에 안전 계획을 수립하는 제1 단계와, 건설 현장의 관리자가 일일 안전 순회 점검을 통해 현장의 위험 요인 및 작업자의 안전 지침 준수 여부 등을 파악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 특히 제2 단계는 현장 관리자가 직접 현장에서 직접 상황을 보고 판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safety management process at the construction site includes the first step of establishing a safety plan before carrying out work, and the manager at the construction site checks the site's risk factors and worker's safety guidelines through daily safety tours. A second step is included, in particular the second step is made by the site manager in a way to view and judge the situation directly on site.

하지만, 소수의 현장 관리자가 현장의 모든 작업 과정을 관리 감독하거나, 수시로 변하는 현장의 위험 요인들을 파악하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존재한다.However, there are practical limitations for a small number of site managers to supervise all work processes on site or to identify site risk factors that change from time to time.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건설 현장의 관리자가 건설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여 판단 및 조치를 행해야 하는 사항들을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the manager of the construction site can directly manage the matters that need to determine and take action by checking directly on the construction site through the system.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r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복수의 객체에 대한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rver for performing an operation for checking the safety instruc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image from an external device; Analyzing the image to detect a plurality of objects present in the image, determining whether a risk factor exists for the detected plurality of objects, and if the risk factor exists, indicating that the risk factor exists.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worker of the construction si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내에서 함께 위치할 수 없는 객체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risk factor exists when there are objects that cannot be located together in the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2 이상의 객체가 기 설정된 반경 내에서 위치하는 경우,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risk factor exists when two or more objects included in the image are located within a preset radius.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복수의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 현상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작업의 유형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객체가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험 요소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determines a type of a job performed in the construction phenomenon based on the detected plurality of objects, and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risk factor when an object to be included in the type of the job does not exist in the image. can do.

상기 복수의 객체에 대한 체크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송부는 상기 체크 리스트를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that stores check lists for the plurality of objects. The transmission unit may transmit the check list to a terminal device of a worker in the construction si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에서 수행되며,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복수의 객체에 대한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in a device including a processor,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n image from an external device; Analyzing the image to detect a plurality of objects present in the image; Determining whether a risk factor exists for the detected plurality of objects; Generating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at the risk factor exists when the risk factor exists;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a terminal device of a worker in the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현장의 관리자가 건설 현장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건설 현장에서 획득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위험 요인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anager of the construction site does not go directly to the construction si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isk factor can be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managed through image analysis acquired at the construction si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현장의 위험 요인을 시스템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관리자의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수시로 변하는 건설 현장의 위험 요인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reduce the work of the manager by systematically grasping the risk factors of the construction si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automatically manage the risk factors of the construction site that changes from time to time.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the effects which can be deduced from the structur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invention, or a clai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afety management method of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In addition, the terms "...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점검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중앙 센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신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및 전송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afety management inspection of a construction site, and may be installed in a central center, and includes a receiver 110, a storage 120, and a controller. 130 and the transmission unit 140. Hereinafter,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수신부(110) 및 전송부(14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receiver 110 and the transmitter 140 perform a ro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보다 상세하게, 수신부(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건설 현장에 설치된 CCTV 또는 건설 현장의 작업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전송부(140)는 하기에서 설명할 알림 메시지를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In more detail, the receiver 110 receives an image from an external device. Her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possessed by a CCTV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or a worker at a construction site. Then, the transmission unit 14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be described below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worker.

저장부(120)는 건설 현장의 안전을 점검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는 건설 현장 내의 복수의 작업 공간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유형 정보(즉, 공종 정보) 및 상기한 작업의 유형에서 사용되는 객체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위험 상황을 정의한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는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에 대한 체크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Storage unit 120 stores a variety of information required to check the safety of the construction sit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type information of a work performed in a plurality of work spaces in a construction site (ie, work typ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an object used in the type of work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a table defining a risk situation described below.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20 may include a check list for a plurality of objects existing in the construction site.

제어부(130)는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를 점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서버(100)에 포함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서버(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performs an operation for checking safety manage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by a memory and a processor included in the server 100. At this time, the memory may be volatile and / or nonvolatile memory, and stores instructions or data related to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of the server 100. The processor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an application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제어부(130)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제어부(130)는 외부 장치에서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객체를 검출한다. 이 때, 객체는 건설 현장에 위치한 자재 또는 도구(장비)일 수 있다. 일례로서,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배경을 삭제하고 전경을 객체로서 추출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First, the controller 130 analyzes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detects an object present in the image. In this case, the object may be a material or a tool (equipment) located at a construction site. As an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delete the background from the image, extract the foreground as an object, and extract the object from the image in various other ways.

한편, 제어부(130)는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함으로써 객체 추출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increase the accuracy of object extraction by extracting an object from an ima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20.

세부적으로, 저장부(120)에는 건설 현장 내의 복수의 작업 공간에서 수행되는 작업 유형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가 CCTV인 경우 CCTV의 위치 정보는 서버(100)에 미리 등록되어 있고, 외부 장치가 단말 장치인 경우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는 수신부(110)를 통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수행되는 작업 유형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작업 유형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작업 유형이 확인되면, 어떠한 자재 또는 도구가 사용되는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므로, 제어부(130)는 작업 유형의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기반하여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객체를 검출한다. 일례로, 확인된 작업 유형이 "방수 공사"인 경우, 일반적으로 방수 공사에는 다수의 도구가 사용되며, 제어부(130)는 상기한 다수의 도구에 기반하여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torage unit 120 stores information of a work type performed in a plurality of work spaces in a construction sit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CTV,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CTV is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server 100, and If the device is a terminal devi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may be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through the receiver 1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job type performed in the space where the terminal device is located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detect the object existing in the image based on the identified job type information. have. That is, when the job type is confirmed, since it is possible to check what material or tool is used, the controller 130 checks the information of the job type and detects an object existing in the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identified work type is "waterproof construction", a plurality of tools are generally used for waterproof construction, and the controller 130 may detect an object existing in the image based on the plurality of tools. .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검출된 복수의 객체에 대한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Next,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a risk factor exists for the plurality of detected obj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이미지 내에서 함께 위치할 수 없는 객체들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risk factor when there are objects that cannot be located together in the image.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내에 조명등, 핸드 그라인더 및 아르곤 용접기가 존재하는 경우 폭발의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아르곤 용접기에 사용되는 아르곤은 인화성 물질이고, 핸드 그라인더 및 조명등은 고온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비이며, 아르곤에 고온에 가해지는 경우 아르곤이 폭발할 수 있다. 따라서, 아르곤 용접기와, 핸드 그라인더 또는 조명등이 하나의 이미지 상에 함께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위험 요소 즉, 폭발의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2,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if there is a lamp, a hand grinder and an argon welder in the image. That is, argon used in the argon welder is a flammable material, and hand grinders and lights are devices capable of generating high temperatures, and argon may explode when applied to high temperatures. Therefore, when the argon welder, the hand grinder or the lamp are present together in one imag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risk, that is, a risk of explosion.

이 때, 저장부(120)는 2 이상의 객체가 하나의 이미지 상에 함께 존재하는 경우 발생하는 위험 상황을 정의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상기 테이블에 기초하여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a table that defines a risk situation that occurs when two or more objects exist together on one image, and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a risk factor exists based on the table. Can be determin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2 이상의 객체가 기 설정된 반경 내에서 위치하는 경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a risk factor exists when two or more objects included in the image are located within a preset radius.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이미지 내에 물 및 전기선이 존재하는 경우, 감전의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전기선이 물 속에 잠긴 경우 감전의 위험이 존재하므로, 제어부(130)는 상기의 상황을 감전의 위험이 존재하는 위험 요소로 판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water and electric lines exist in one imag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risk of electric shock exists. That is, since there is a risk of electric shock when the electric cable is submerged in water,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above situation as a risk factor in which the risk of electric shock exists.

이 때, 저장부(120)는 2 이상의 객체가 하나의 이미지 상에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함께 존재하는 경우 발생하는 위험 상황을 정의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상기한 테이블에 기초하여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a table defining a risk situation that occurs when two or more objects exist together within a preset radius on one image, and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risk factor based on the tabl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re exists.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복수의 객체에 기초하여 건설 현상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된 작업의 유형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객체가 이미지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위험 요소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type of work performed in the construction phenomenon based on the plurality of objects detected in the image, and the object to be included in the determined type of work. Is not present in the image, it can be determined as a risk factor.

보다 상세하게, 작업의 유형 중 작업 A에는 객체 A, 객체 B, 객체 C 및 객체 D가 사용되며, 상기한 정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객체 A, 객체 B 및 객체 C를 검출한다. 그 후,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객체 A, 객체 B 및 객체 C에 기초하여 이미지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유형을 작업 A로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수행된 작업 A에서 객체 D가 존재하는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작업 A에서 객체 D가 존재하지 않는 즉, 위험 요소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object A, object B, object C, and object D are used for task A among the types of tasks, and the abov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as mentioned above. The controller 130 detects the object A, the object B, and the object C by analyzing the received image. Thereafter,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type of the job performed in the image as the job A based on the object A, the object B, and the object C detected in the imag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30 may check that the object D does not exist in the task A performed on the image. Therefor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object D does not exist in operation A, that is, the risk factor exists.

즉, 종래의 경우 현장 관리자가 직접 건설 현장에 가서 자재 또는 도구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지를 확인했다면, 본 발명의 경우 중앙 센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해 시스템적으로 자재 또는 도구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때,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복수의 객체에 및 저장부(120)에 저장된 작업의 유형 정보와 기한 작업의 유형에서 사용되는 객체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작업의 유형 중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객체가 이미지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위험 요소로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if the site manager directly went to the construction site to check whether the materials or tools exist normally,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materials or tools exist normally through the image recognition in the central center. This is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job performed in the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objects detected in the image and the type of the job stored in the storage 120 and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 used in the type of the due date job. If there is no object to be included in the image among the determined types of work, it may be determined as a risk factor.

계속하여, 제어부(130)는 위험 요소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전송부(140)는 알림 메시지를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작업자는 단말 장치를 통해 확인된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필요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at a risk factor exists. In addition, the transmitter 14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worker, and the worker may perform necessary actions based on the notification message confirmed through the terminal device.

한편, 제어부(130)는 검출된 객체 각각에 대한 체크 리스트를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체크 리스트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기 안전 점검표 등을 의미하며, 객체와 체크 리스트를 매칭한 정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transmit a check list for each detected object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worker. The check list may refer to a regular safety check list that can be used at a construction site, and the information matching the object and the check lis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20 as mentioned above.

즉, 종래의 경우 작업자가 직접 체크 리스트를 가지고 건설 현장에 가는 불편함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은 이미지 인식을 통해 추출된 객체의 모바일 체크 리스트를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상기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inconvenience of going to a construction site with a checklist by a worker is pres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by transmitting a mobile checklist of an object extracted through image recognition to a worker's terminal device. can do. This is as shown in FIG.

요컨대, 본 발명은 건설 현장의 관리자가 건설 현장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건설 현장에서 획득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위험 요인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이를 관리한다. 따라서, 관리자의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수시로 변하는 현장의 위험 요인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도구와 장비, 자재, 현장의 위험 요인들은 형태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내 건설 현장뿐만 아니라 해외 건설 현장에서도 활용 가능하다.In short,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anager of the construction site does not go directly to the construction site, automatically recognizes and manages risk factors through image analysis acquired at the construction site. Therefore, not only can the work of managers be reduced, but also the risk factors of the site that changes frequently can be managed automatically. In addition, tools, equipment, materials, and risk factors of construction site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so they can be used not only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but also in overseas construction site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상기 방법은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 일례로 서버(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afety management method of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method may be performed in an apparatus including a processor, for example, in the server 100. Hereinafter, a process performed fo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먼저, 단계(610)에서는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 이 때, 외부 장치는 건설 현장에 설치된 CCTV 또는 현장 작업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First, in step 610, an image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possessed by a CCTV or a site worker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다음으로, 단계(620)에서는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검출한다. 여기서, 객체는 건설 현장에 위치한 자재 또는 도구(장비)일 수 있다.Next, in step 620, the received image is analyzed to detect a plurality of objects present in the image. Here, the object may be a material or a tool (equipment) located at a construction site.

계속하여, 단계(630)에서는 검출된 복수의 객체에 대한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operation 630, it is determined whether a risk factor exists for the plurality of detected obj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630)에서는 이미지 내에서 함께 위치할 수 없는 객체들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630, when there are objects that cannot be co-located in the imag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risk factor exist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630)에서는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2 이상의 객체가 기 설정된 반경 내에서 위치하는 경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630, when two or more objects included in the imag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it may be determined that a risk factor exist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630)에서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복수의 객체에 기초하여 건설 현상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된 작업의 유형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객체가 이미지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위험 요소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630 to determine the type of work performed in the construction phenomenon based on the plurality of objects detected in the image, to be included in the type of the determined work If the object does not exist in the image, it can be determined as a risk factor.

그 후, 단계(640)에서는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위험 요소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단계(650)에서는 알림 메시지를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작업자는 단말 장치를 통해 확인된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필요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in step 640, if there is a risk factor,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a risk factor is generated, and in step 650, the notific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worker. The worker may perform necessary actions based on the notification message confirmed through the terminal devic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에는 앞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서버(100)에 관한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o far, embodiments of the 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may be applied as it is. Therefor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method of the construction site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ROM, RAM, flash memory, etc.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code such as produced by a compiler. Contains high-level language codes.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the thing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6)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를 수행하는 서버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복수의 객체에 대한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In the server performing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A receiver which receives an image from an external device;
Analyzing the image to detect a plurality of objects present in the image, determining whether a risk factor exists for the detected plurality of objects, and if the risk factor exists, indicating that the risk factor exists.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And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a terminal device of a worker in the construction si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내에서 함께 위치할 수 없는 객체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f there are objects that cannot be located together in the image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isk factor exis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2 이상의 객체가 기 설정된 반경 내에서 위치하는 경우,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risk factor exists when two or more objects included in the image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복수의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 현상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작업의 유형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객체가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험 요소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determines a type of a job performed in the construction phenomenon based on the detected plurality of objects, and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risk factor when an object to be included in the type of the job does not exist in the image.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객체에 대한 체크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송부는 상기 체크 리스트를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check list for the plurality of objects,
The transmission unit is a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check list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worker of the construction site.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에서 수행되며,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복수의 객체에 대한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험 요소가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n the method that is carried out in the device containing the processor, to perform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Receiving an image from an external device;
Analyzing the image to detect a plurality of objects present in the image;
Determining whether a risk factor exists for the detected plurality of objects;
Generating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at the risk factor exists when the risk factor exists;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a terminal device of a worker at the construction site.
KR1020180075070A 2018-06-28 2018-06-28 Method for checking safety guideline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0764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70A KR102076413B1 (en) 2018-06-28 2018-06-28 Method for checking safety guideline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70A KR102076413B1 (en) 2018-06-28 2018-06-28 Method for checking safety guideline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38A true KR20200001938A (en) 2020-01-07
KR102076413B1 KR102076413B1 (en) 2020-03-02

Family

ID=6915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070A KR102076413B1 (en) 2018-06-28 2018-06-28 Method for checking safety guideline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41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978B1 (en) * 2020-12-23 2021-04-28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tra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judges danger in work site
WO2022245091A1 (en) * 2021-05-18 2022-11-24 주식회사 플럭시티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dicating risk degree in three-dimensional modeling space of construction site
KR102476110B1 (en) * 2021-12-08 2022-12-09 주식회사 레딕스 A LED lights inspection system that is using lifts to up and down LED lights for safety of a work site
KR102534819B1 (en) * 2023-01-26 2023-05-30 한국산업안전(주)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platform service for providing manual and reporting results for safety monitoring of construction sites and industrial sit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316B1 (en) * 2020-09-28 2023-03-22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for monitoring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US11967155B2 (en) 2020-10-19 2024-04-23 OnsiteIQ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ccuracy of identifying observations based on images and risk assessment techniques using such determinations
KR102449823B1 (en) * 2021-11-11 2022-09-30 위즈코어 주식회사 Method for tagging images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519918B1 (en) * 2023-03-03 2023-04-10 주식회사 엠에스제이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ata labeling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objects at construction sites and determining risk situ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177A (en) * 2007-01-24 2009-01-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lling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ing realtime image search function
KR20160042687A (en) * 2014-10-10 2016-04-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KR20160126152A (en) * 2015-04-22 2016-11-02 (주)대우건설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information-transmission device in construction sites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177A (en) * 2007-01-24 2009-01-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lling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ing realtime image search function
KR20160042687A (en) * 2014-10-10 2016-04-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KR20160126152A (en) * 2015-04-22 2016-11-02 (주)대우건설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information-transmission device in construction sites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978B1 (en) * 2020-12-23 2021-04-28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tra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judges danger in work site
KR102322644B1 (en) * 2020-12-23 2021-11-09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System for providing safety guide of work sit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O2022245091A1 (en) * 2021-05-18 2022-11-24 주식회사 플럭시티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dicating risk degree in three-dimensional modeling space of construction site
KR102476110B1 (en) * 2021-12-08 2022-12-09 주식회사 레딕스 A LED lights inspection system that is using lifts to up and down LED lights for safety of a work site
KR102534819B1 (en) * 2023-01-26 2023-05-30 한국산업안전(주)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platform service for providing manual and reporting results for safety monitoring of construction sites and industrial si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413B1 (en)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413B1 (en) Method for checking safety guideline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US20120079598A1 (en) Tiered risk model for event correlation
KR101653736B1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KR20170006095A (en) Safety managing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site and industries
CN105512856A (en) Wechat-based potential safety hazar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CN104376264A (en) Software vulnerability handl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9684863B (en) Data leakage preven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GB2500519A (en) Hazard detection for asset management
CN109063481B (en) Risk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N111667163A (en) Fault monitoring method based on RPA technology, RPA robot and storage medium
US20200394600A1 (en) Fire protection inspection method, fire protection inspection device, and remote device
CN104320271A (en) Network device security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CN106293667B (en) Application program modification detection method and device
GB2588056A (en) Data privacy awareness in workload provisioning
KR102479245B1 (en) Inspection and management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5481002A (en) Abnormal behavior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6101193B (en) Information backup method, terminal equipment, operator server and backup system
US10269076B1 (en) Electronic device utilizing a risk reduction mechanism to manage property
CN114580877A (en) Engineering supervision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KR101957982B1 (en) Security activity smart tool box meeting system using beacon tag
KR102089158B1 (en) Method for checking safety guideline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CN111640008A (en) Ser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2629782B1 (en) Real-time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system
Bhattcharjee et al. Lessons learnt from Bhatdee Coal mine explosion disaster in India using root cause analysis technique
KR102498488B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accidents in the work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