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918U - A necktie fixing clip - Google Patents

A necktie fixing cl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918U
KR20200001918U KR2020190000738U KR20190000738U KR20200001918U KR 20200001918 U KR20200001918 U KR 20200001918U KR 2020190000738 U KR2020190000738 U KR 2020190000738U KR 20190000738 U KR20190000738 U KR 20190000738U KR 20200001918 U KR20200001918 U KR 202000019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collar
fixing
side portion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73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충석
이병찬
Original Assignee
이충석
이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석, 이병찬 filed Critical 이충석
Priority to KR2020190000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918U/en
Publication of KR20200001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91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3Neckties provided with holding devices, e.g. button holes or loops for securing them to a shirt or for holding the two ends of the neck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5Neckties made of different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16Linings; Stiffening-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넥타이 고정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Neck) 주변의 옷깃에 부착되도록 옷깃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제 1 장변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장변부(101)의 양단에는 제 1 단변부(102) 한 쌍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장변부(101)와 상기 제 1 단변부(102)의 내측에서 단면이 관통되도록 제 1 고정구(103)와 제 1 옷깃 결합수단(104)이 테두리 주위에 구비되는 제 1 고정편(100);과 상기 제 1 고정편(101)의 대향 위치에서 옷깃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2 장변부(201)와 상기 제 2 장변부(201)의 양단을 이루도록 한 쌍의 제 2 단변부(202)로 구비되며, 상기 제 2 장변부(201)와 상기 제 2 단변부(202)의 내측에서 단면이 관통되도록 제 2 고정구(203)와 제 2 옷깃 결합수단(204)이 테두리 주위에 구비되는 제 2 고정편(200); 및 넥타이 매듭 사이에 삽입되어 넥타이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삽입부(301)와 상기 삽입부(301)에서 상기 제 1 고정편(1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연장부(302)와 상기 삽입부(301)에서 상기 제 2 고정편(2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연장부(303)가 상기 제 1 고정구(103)와 상기 제 2 고정구(203)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지지편(300);을 포함하는 넥타이 고정 클립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fixing clip, and more particularly, a pair of a pair face each other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llar so as to be attached to the collar around the neck, and the first long side portion 101 is formed, and the first long side portion A pair of first short side portions 102 are integrally provided at both ends of 101, and a first fastener 103 so that a cross section is penetrat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long side portion 101 and the first short side portion 102 And a first fixing piece 100 in which the first collar coupling means 104 is provided around the rim; and a pair form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llar at opposite positions of the first fixing piece 101 It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cond short side portions 202 to form both ends of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short side portion 202 A second fixing piece 200 having a second fastener 203 and a second collar coupling means 204 provided around the rim so that the cross section penetrates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fixing piece 200; And an insertion portion 301 inserted between the tie knots and provided to support the tie,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302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301 to the first fixing piece 100 so as to be inclined upward. And a second extension part 303 integrally extending upwardly inclined from the insertion part 30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iece 200 to the first fixing tool 103 and the second fixing tool 203, respectively It relates to providing a tie fixing clip including; a support piece 300 provided to be inserted.

Description

넥타이 고정 클립 { A NECKTIE FIXING CLIP }Tie fixing clip {A NECKTIE FIXING CLIP}

본 고안은 넥타이 고정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Neck) 주변의 옷깃에 부착되는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이 양단이 삽입되어 넥타이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초보자가 편리하게 넥타이를 고정하도록 하며 넥타이 고정 후의 착용감이 편안하도록 하고 넥타이 고정 클립 착용시에도 원래의 패션감을 유지하도록 하는 넥타이 고정 클립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fixing clip, and more specifically, a pair of fixing pieces attached to a collar around the neck and a support piece having both ends of the fixing pieces inserted to support the tie, which is convenient for beginners. It relates to providing a tie fixing clip that allows the tie to be fixed properly, makes the fit after fixing the tie comfortable, and maintains the original fashion feeling even when wearing the tie fixing clip.

현대 사회는 개개인의 생활경제가 향상됨에 따라 식생활이나 주거생활 못지 않게 의상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의복용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의상에서 많은 액세서리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의상용 액세서리로 넥타이가 있다.In the modern society, as the life economy of each individual improves, interest in clothing as well as diet and residential life has increased, and various types of clothing products are being used. Many accessories are used in costumes, which are gaining interest in the modern society, and a tie is the most used clothing accessory among them.

넥타이는 정장 착용시 주로 착용되는 의상용 액세서리로서, 천으로 만들어져 와이셔츠 등의 셔츠 깃 아래로 목에 둘러 전면 목 부분에서 매듭을 매어 앞으로 늘어뜨려 착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넥타이는 정장 착용시 분위기 연출을 위해 직장인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교복에도 착용되고 있다.A tie is a clothing accessory that is mainly worn when wearing a formal wear. It is made of cloth and is worn by hanging it forward by tying a knot at the front neck under the collar of a shirt, such as a shirt, around the neck. Such a tie is worn not only for office workers but also for students' school uniforms to create an atmosphere when wearing a suit.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넥타이는 그 착용방법에 있어 매듭을 묶어야 하고, 매듭을 묶는 방법이 다소 복잡하고 번거로워 시간적 소모도 많고 특히 학생들은 그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당히 크다. 즉, 시간을 다투는 현대인에게 일일이 매듭을 묶어 사용하여야 하는 넥타이는 그 사용이나 시간을 절약하는데 있어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typical tie requires a knot to be tied in its wearing method, and the method of tying the knot is rather complicated and cumbersome, so time consuming is large, and students are particularly inconvenient in its use. In other words, for modern people struggling for time, a tie, which must be tied and used, has a significant problem in its use and time saving.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목줄을 미리 묶어놓은 상태로 사용하는 자동넥타이가 개시되고 있다.In order to alleviate such inconvenience, an automatic tie has been disclosed that is used in a state in which a collar is tied in advanc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걸이식 넥타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anging ti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기술의 넥타이(10)는, 소정의 길이와 매듭(11)이 만들어지고, 매듭(11)의 후면에 걸이부재(20)가 부착되며, 매듭(11)의 상단 양측에 소정길이의 연장부(12)(12')가 형성된다.In the tie 10 of the prior art, a knot 11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s made, a hook member 20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knot 11, and extensions of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knot 11 (12) (12') is formed.

걸이부재(20)는 중앙에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단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며, 하단에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집게편과, 양 집게편이 축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스프링이 구비된다. 그리고, 스프링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양 집게편의 손잡이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축에 부착편이 설치되고 부착편의 양단에는 고정공이 형성된다.The hook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hook groove formed in the center, a departure preventing jaw is formed at the upper end, a two clamp piece integrally formed with a handle portion at the lower end, and a spring so that both clamp pieces are elastically supported around an axis. In addition, fix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handle portions of both clamp pieces to fix both ends of the spring, attachment pieces are installed on the shaft, and fixing ho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attachment pieces.

걸이부재는 그 부착편을 사용하여 넥타이의 매듭(11)상에 재봉 등의 방법으로 고정설치되거나 스냅단추를 이용하여 부착고정된다. 그런 상태에서 넥타이(10)를 착용코자 할 경우에는 먼저 걸이부재(20)의 양 집게편을 벌려윗단추에 건다.The hanger member is fixedly installed on the knot 11 of the tie by means of sewing or the like using the attachment piece or fixed by using a snap button. In such a state, if you want to wear the tie 10, first open both tongs of the hanger member 20 and hang it on the upper button.

즉, 걸이부재(20)의 양 손잡이부를 누르게 되면 양 집게편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단이 벌어지게 되고, 그러면 그 벌어진 입구로 단추를 끼운 후 손잡이부의 누름력을 해제한다. 그러면 단추의 실은 걸이부재(20)의 걸이홈에 위치되고 양 집게편의 상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턱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That is, when both handles of the hook member 20 are pressed, the two tongs rotate around the axis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the upper end is widened. T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handle is released after inserting the button into the opened entrance. . Then, the thread of the button is located in the hook groove of the hook member 20 and is in a state that is not separated by the release bumps formed on the upper ends of both tongs.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넥타이(10)의 걸이부재(20)는 지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서있는 상태가 되는데, 와이셔츠 단추가 부착된 각도는 수직이 아니라 사람의 턱에서 목으로 내려가면서 몸통과 가까워지는 각도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수직으로 서있는 걸이부재(20)와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는 단추와의 각도 차이로 인하여 넥타이(10)를 착용했을 때, 몸에 잘 밀착되지 않아서 모양이 예쁘지 않은 단점이 있다.However, the hanger member 20 of the tie 10 of the prior art is in a state that stands almost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angle at which the shirt button is attached is not vertical, but the body and the body while going down from the chin to the neck It is usually the angle that gets closer. Therefore, when the tie 10 is worn due to the difference in angle between the vertically standing hanger member 20 and the button inclined at an ang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hape is not pretty because it does not adhere well to the body.

등록실용신안 제0186475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0188475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옷깃에 부착되어 넥타이를 고정하는 고정편을 좌우에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목둘레의 압박감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r necessities described above, and to minimize the pressure on the neck circumference by separately providing fixing piec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at are attached to the collar to fix the ti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편의 테두리를 옷깃의 진행방향을 따르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하여 착용 후 옷깃을 커버하는 옷의 내부에 감춰져서 착용 후 패션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edge of the fixing piece in a rectangular shape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llar so that it is concealed in the inside of the clothes covering the collar after wearing to maintain a sense of fashion after wearing.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좌우에 배치되는 고정편에 고정구를 제공하여 간단하게 넥타이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y fix the tie by providing a fastener to the fixing piece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구를 옷깃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를 형성하여 착용자 목의 둘레 또는 넥타이 매듭의 두께에 유연하게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plurality of fastene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llar to flexibly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earer's neck or the thickness of the tie kno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편의 배면에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고정구를 통해 삽입된 지지편의 양단이 옷깃과 고정편 사에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rus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iece so that both ends of the support piece inserted through the fastener can be stably accommodated between the collar and the fixing piec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편의 테두리가 직사각형 형태에서 일측이 개구되도록 구비하여 지지편 삽입이 옷깃 진행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서 편리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dge of the fixing piece to be opened at one side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support piece can be conveniently inserted from the top or botto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ollar.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편과 지지편에 마찰돌기를 형성하여 넥타이와 지지편, 고정편과 옷깃의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lipping of the tie and the support piece, the fixing piece and the collar by forming friction protrusions on the fix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편과 지지편을 투명한 재질로 구비하여 착용 후 패션감이 원래 복장 상태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piece and a support piec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a sense of fashion can maintain the original clothing state as much as possible after wearing.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편과 지지편을 탄성 재질로 구비하여 넥타이 고정 후의 변형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piece and a support piec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re is no deformation after fixing the tie.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task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desig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예와 관련된 넥타이 고정 클립은 먼저, 목(Neck) 주변의 옷깃에 부착되도록 옷깃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제 1 장변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장변부(101)의 양단에는 제 1 단변부(102) 한 쌍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장변부(101)와 상기 제 1 단변부(102)의 내측에서 단면이 관통되도록 제 1 고정구(103)와 제 1 옷깃 결합수단(104)이 테두리 주위에 구비되는 제 1 고정편(10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tie fixing clip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first, the first long side portion 101 is formed with a pair facing each other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llar so that it is attached to the collar around the neck. A pair of first short side portions 102 are integral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long side portion 101, and a cross-section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long side portion 101 and the first short side portion 102 is provided. It may include; a first fixture 103 and a first collar coupling means 104 is provided around the rim of the first fixing piece 100.

여기에, 상기 제 1 고정편(101)의 대향 위치에서 옷깃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2 장변부(201)와 상기 제 2 장변부(201)의 양단을 이루도록 한 쌍의 제 2 단변부(202)로 구비되며, 상기 제 2 장변부(201)와 상기 제 2 단변부(202)의 내측에서 단면이 관통되도록 제 2 고정구(203)와 제 2 옷깃 결합수단(204)이 테두리 주위에 구비되는 제 2 고정편(200);을 포함할 수 있다.Here, a pair to form both ends of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201 form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llar at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first fixing piece 101 It is provided as a second short side portion 202 of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fastener 203 and the second collar coupling means 204 so that a cross-section penetrates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short side portion 202. ) May include a second fixing piece 200 provided around the rim.

또한, 넥타이 매듭 사이에 삽입되어 넥타이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삽입부(301)와 상기 삽입부(301)에서 상기 제 1 고정편(1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연장부(302)와 상기 삽입부(301)에서 상기 제 2 고정편(2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연장부(303)가 상기 제 1 고정구(103)와 상기 제 2 고정구(203)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지지편(30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301 inserted between the tie knots and provided to support the tie,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302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301 to the first fixing piece 100 in an upward inclined direction. ) And a second extension part 303 integrally extending upwardly inclined from the insertion part 30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iece 200 to the first fixing tool 103 and the second fixing tool 203 It may include; support pieces 300 provided to be respectively inserted.

이때,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은 옷깃 방향 배면에 돌출부(104)가 구비되어 옷깃과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 사이에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are provided with a protrusion 104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llar direction to accommodate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 and 303 between the collar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또한,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는 상기 제 1, 2 장변부(101,201)의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 and 203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 portions 101 and 201.

여기서, 상기 제 1,2 장변부(101,201)는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의 일측은 상기 제 1,2 장변부(101,201)에 까지 이어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의 외형이 리을(ㄹ)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101 and 201 are provided so tha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 and 203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101 and 201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200 )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form a rieul (ㄹ) shape.

한편,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에 삽입되는 종단 부위에서 단차를 형성하도록 단차선(304)와 단차면(305)이 구비되며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만곡부(308)가 구비되며 넥타이 착용시에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를 사용자가 가압하도록 상기 삽입부(301)을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하여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의 중간 위치에 압박부(306)가 구비되며 상기 압박부(306)로 부터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 쪽의 진행 방향에 압박돌출부(30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tep line 304 and a step surface 305 are provided to form a step at the end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tures 103 and 203, and a curved portion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tures 103 and 203 308 is provided, and the insertion part 301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 and 303 so that the user presses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 and 303 when wearing a tie. A pressing part 306 is provided at a position, and a pressing protrusion 307 may be provided in a moving direction from the pressing part 306 toward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 and 203.

이때,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의 배면에는 톱니형상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301)의 표면과 배면에 각각 원형의 마찰돌기(301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may have a serrated shape, and circular friction protrusions 301a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301,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과 상기 지지편(300)은 탄성을 갖는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and the support piece 3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elasticity.

이에 본 고안은 넥타이 고정 클립을 제공하여,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e fixing clip,

첫째, 옷깃에 부착되어 넥타이를 고정하는 고정편을 좌우에 각각 별도 구비하여 넥타이 착용 후 사용자 목둘레의 압박감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of removing the feeling of pressure on the user's neck after wearing the tie by separately providing fixing piec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at are attached to the collar to fix the tie.

둘째, 고정편의 테두리를 옷깃의 진행방향을 따르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하여 착용 후 옷깃을 커버하는 옷의 내부에 감춰져서 착용 후 패션감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edge of the fixing piece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along the direction of the collar, and after wearing, it is hidden inside the clothes covering the collar, so that a sense of fashion is maintained after wearing.

셋째, 좌우에 배치되는 고정편에 고정구를 제공하여 초보 사용자도 간단하게 넥타이를 고정하게 한다.Third, by providing a fastener to the fixing piece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even a novice user can easily fix the tie.

넷째, 고정구를 옷깃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를 형성하여 착용자 목의 둘레 또는 넥타이 매듭의 두께에 유연하게 대응되게 한다.Fourth, a plurality of fastener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llar to flexibly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earer's neck or the thickness of the tie knot.

다섯째, 고정편의 배면에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고정구를 통해 삽입된 지지편의 양단이 옷깃과 고정편 사이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한다.Fifth,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iece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so that both ends of the support piece inserted through the fastener are stably accommodated between the collar and the fixing piece.

여섯째, 고정편의 테두리가 직사각형 형태에서 일측 일부는 개구 되도록 구비하여 지지편 삽입이 옷깃 진행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서 편리하게 이루어 진다.Sixth, the edge of the fixing piece is provided so that a part of one side is opened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support piece is conveniently inserted from the top or botto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collar.

일곱째, 고정편과 지지편에 마찰 돌기를 형성하여 넥타이와 지지편, 고정편과 옷깃의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venth,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slipping of the tie and the support piece, the fixing piece and the collar by forming a friction protrusion on the fix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여덟째, 고정편과 지지편을 투명한 재질로 구비하여 착용 후 패션감이 원래 복장 상태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Eighth, the fix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sense of fashion can maintain the original clothing state as much as possible after wearing.

아홉째, 고정편과 지지편을 탄성 재질로 구비하여 넥타이 고정 후의 변형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Ninth,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x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re is no deformation after fixing the tie.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in the present desig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걸이식 넥타이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고정 클립을 나타낸 사용 개념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고정 클립의 구성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고정 클립의 고정편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와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고정 클립 연장부의 단차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8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고정 클립 고정구와 연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for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is limited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hanging ti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tie fixing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ie fixing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piece of a tie fixing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tep difference of the extension of the tie fixing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tie fixing clip fastener and an exten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A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mere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걸이식 넥타이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고정 클립을 나타낸 사용 개념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고정 클립의 구성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고정 클립의 고정편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와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고정 클립 연장부의 단차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6 내지 8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고정 클립 고정구와 연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hanging ti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tie fixing cli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ie fixing clip, Figure 4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ixing piece of the tie fixing cli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tep difference of the tie fixing clip extension according to, Figures 6 to 8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tie fixing clip fastener and the exten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타이 고정 클립을 제공하는 본원 고안은 목(Neck) 주변의 옷깃에 부착되도록 옷깃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장변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장변부(101)의 양단에는 제 1 단변부(102) 한 쌍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장변부(101)와 상기 제 1 단변부(102)의 내측에서 단면이 관통되도록 제 1 고정구(103)와 제 1 옷깃 결합수단(104)이 테두리 주위에 형성되는 제 1 고정편(100)이 구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provides a tie fixing clip as shown in FIG. 2, a first long side portion 101 is formed so that a pair faces each other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llar so that it is attached to the collar around the neck, and the first A pair of first short side portions 102 are integral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ng side portion 101, and a first fastener (a first fastener that penetrates through a cross s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long side portion 101 and the first short side portion 102) ( 103) and the first collar coupling means 104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iece 100 formed around the rim.

또한, 상기 제 1 고정편(101)의 대향 위치에서 옷깃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2 장변부(201)와 상기 제 2 장변부(201)의 양단을 이루도록 한 쌍의 제 2 단변부(202)로 구비되며, 상기 제 2 장변부(201)와 상기 제 2 단변부(202)의 내측에서 단면이 관통되도록 제 2 고정구(203)와 제 2 옷깃 결합수단(204)이 테두리 주위에 배치되는 제 2 고정편(200)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pair of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201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llar at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first fixing piece 101 It is provided as a second short side portion 202, and a second fastener 203 and a second collar coupling means 204 so that a cross section is penetrate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short side portion 202 A second fixing piece 200 disposed around this rim is provided.

이때, 상기 제 1,2 장변부(101,201)과 상기 제 1,2 단변부(102,103)의 연결은 만곡진 형태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에 부상을 입히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101 and 201 and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102 and 103 is connected in a curved shape so as not to injure the user's hand.

여기에, 넥타이 매듭 사이에 삽입되어 넥타이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삽입부(301)와 상기 삽입부(301)에서 상기 제 1 고정편(1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연장부(302)와 상기 삽입부(301)에서 상기 제 2 고정편(2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연장부(303)가 상기 제 1 고정구(103)와 상기 제 2 고정구(203)에 각각 삽입되도록 지지편(300)이 구비되는 것이다.Here, the insertion portion 301 inserted between the tie knots and provided to support the tie,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301 to the first fixing piece 100 in an upward slope ( 302) and a second extension part 303 integrally extending upwardly inclined from the insertion part 30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iece 200 is provided with the first fastener 103 and the second fastener 203 The support pieces 300 ar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each.

이때, 역 삼각형상의 상기 삽입부(301)에는 관통공 또는 문양을 넣어서 강아지 또는 고양이와 같은 다양한 형상이 연출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At this time, it is also preferable to insert a through hole or a pattern into the inverted triangle-shaped insertion portion 301 to produce various shapes such as a dog or a cat.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은 옷깃 방향 배면에 돌출부(104)가 구비되어 옷깃과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의 사이에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가 옷깃과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의 밀착으로 부터 방해받지 않고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are provided with protrusions 104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llar direc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are disposed between the collar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2 It is provided so that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s 302 and 303 is accommodat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 and 303 are inserted smoothly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collar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여기서,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는 상기 제 1, 2 장변부(101,201)의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사용자 목둘레나 넥타이 매듭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의 단부가 적절하게 삽입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ere, a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 and 203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101 and 201 to extend the first and second end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ser's neck circumference or tie knot. It is to allow the ends of the portions 302 and 303 to be properly inserted.

이때,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장변부(101,201)는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의 일측은 상기 제 1,2 장변부(101,201)까지 도달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의 외형이 리을(ㄹ)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가용자가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을 옷깃의 아래에서 상부 방향 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고정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101 and 201 are provided so tha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 and 203 reaches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101 and 201, and the first ,2 The outer shape of the fixing pieces (100,200) is provided to form a rieul (ㄹ) shape, so that the user can insert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303) at an angle from the bottom of the collar to the top or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user's fixing work is convenient.

또한,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에 삽입되는 부위에서 단차를 형성하도록 단차선(304)와 단차면(305)이 더 구비되어 상기 단차면(305)가 옷깃과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의 사이에 부드럽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 and 303 have stepped lines 304 and stepped surfaces 305 so as to form a step at a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tures 103 and 203. It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stepped surface 305 can be smoothly accommodated between the collar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여기서,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의 배면에는 톱니형상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301)의 표면과 배면에 각각 원형의 마찰돌기가 구비되어 표면이 매끄러운 원단의 넥타이 또는 옷깃 환경에서의 미끄러짐을 예방하도록 한다.Here, a sawtooth shape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and circular friction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301, respectively, so that in a tie or collar environment of a smooth fabric To prevent slipping.

여기서, 톱니와 마찰돌기는 복수개가 형성되며 마찰돌기는 불규칙하게 분포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eeth and friction protrusions are formed and the friction protrusions are provided to be irregularly distributed.

또한,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과 상기 지지편(300)은 탄성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에 삽입된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의 단부가 탈거 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과 상기 지지편(300)은 투명 재질로 구비되어 넥타이를 착용한 이후라도 원래 패션에 이질감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200) and the support piece (300) are provided to have elasticity, and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303)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203) To prevent removal,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and the support pieces 300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re is no foreign feeling in the original fashion even after wearing a tie.

한편,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에 삽입되는 종단 부위에서 단차를 형성하도록 단차선(304)와 단차면(305)이 구비되어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a step line 304 and a step surface 305 are provided so as to form a step at the end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tures 103 and 203, and the first and second fixtures 103 and 203 are provided. ) To be fixed stably

이때,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의의 각 종단은 만곡부(308)가 구비된다.At this time, each end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 and 303 is provided with a curved part 308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 and 203.

여기에, 넥타이 착용시에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를 사용자가 가압하도록 상기 삽입부(301)을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하여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의 중간 위치에 압박부(306)가 구비되는데, 상기 압박부(306)는 복수의 불규칙한 돌기로 형성되거나 하나의 홀 또는 표면과 단차를 갖는 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Here, when the tie is worn, the insertion part 301 is pressed to the middl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 and 303 based on the center position so that the user presses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 and 303. The portion 306 is provided, and the pressing portion 306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irregular protrusions 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or a groove having a step difference with the surface.

또한, 상기 압박부(306)로 부터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 쪽의 진행 방향에 압박돌출부(307)이 구비되어 가압시의 미끄러짐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ressing protrusion 307 is provided in the moving direction from the pressing part 306 toward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 and 203 to prevent slipping during pressing.

여기에,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에는 제 1 고정구 부가홈(103a)이 구비되어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의 외부에 제 1 고정구 부가면(103b)를 형성하여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의 삽입시에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살짝 들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Here,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 and 203 are provided with a first fastener addition groove 103a to form a first fastener addition surface 103b on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 and 203, When the ,2 extension parts 302 and 303 are inserte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can be slightly lift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넥타이를 상기 삽입부(301)에 끼운 후에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의 단부를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에 끼우기만 하면 탄성력으로 넥타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user simply inserts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 and 303 in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 and 203 after inserting the tie into the insertion part 301, and the tie is elastically applied. It is fixed stably.

또한, 상기 지지편(300)은 넥타이로 인하여 전면부가 은폐되는 것이며,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은 옷깃에 가려지며 또한 일부가 가려지지 않는 경우라도 투명한 재질이라 원래 패션의 훼손이 적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piece 300 is to conceal the front portion due to the tie,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200) are covered by the collar and are transparent even when some are not covered, so the original fashion is less damaged. It is to lose.

이상 설명한 본원 고안에 따르는 넥타이 고정 클립을 이용하면, 옷깃에 부착되어 넥타이를 고정하는 고정편을 좌우에 각각 별도 구비하여 넥타이 착용 후 사용자 목둘레의 압박감을 없애는 효과가 있으며, 고정편의 테두리를 옷깃의 진행방향을 따르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하여 착용 후 옷깃을 커버하는 옷의 내부에 감춰져서 착용 후 패션감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좌우에 배치되는 고정편에 고정구를 제공하여 초보 사용자도 간단하게 넥타이를 고정하며, 고정구를 옷깃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를 형성하여 착용자 목의 둘레 또는 넥타이 매듭의 두께에 유연하게 대응되게 하며, 고정편의 배면에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고정구를 통해 삽입된 지지편의 양단이 옷깃과 고정편 사이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하며, 고정편의 테두리가 직사각형 형태에서 일측 일부는 개구 되도록 구비하여 지지편 삽입이 옷깃 진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서 편리하며, 고정편과 지지편에 마찰 돌기를 형성하여 넥타이와 지지편, 고정편과 옷깃의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고정편과 지지편을 투명한 재질로 구비하여 착용 후 패션감이 원래 복장 상태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으며, 고정편과 지지편을 탄성 재질로 구비하여 넥타이 고정 후의 변형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Using the tie fixing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of removing the feeling of pressure on the user's neck after wearing the tie by separately providing a fixing piece attached to the collar and fixing the tie on the left and right, and the rim of the fixing piece It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a sense of fashion after wearing by being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that follows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is concealed in the inside of the clothes that cover the collar after wearing, and by providing fasteners on the left and right fixing pieces, even beginners can easily wear a tie. It is fixed, and a plurality of fastener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llar to flexibly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earer's neck or the thickness of the tie knot, and a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fixing piece to prevent the support piece inserted through the fastener. Both ends are stably accommodated between the collar and the fixing piece, and the edge of the fixing piece is provided so that a part of it is opened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support piece is convenient from the top or bottom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collar, and the fixing piece and the support By forming friction protrusions on the side,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lipping of the tie and the support piece, the fixing piece and the collar, and the fix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are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feeling of fashion can maintain the original clothing state as much as possible after wearing. , The fix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are made of elastic material so that there is no deformation after fixing the tie.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rough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on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not by specific embodiments, but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corresponding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제 1 고정편
101 ... 제 1 장변부
102 ... 제 1 단변부
103 ... 제 1 고정구
103a .... 제 1 고정구 부가홈
103b ... 제 1 고정구 부가면
104 ... 제 1 옷깃 결합수단
200 ... 제 2 고정편
201 ... 제 2 장변부
202 ... 제 2 단변부
203 ... 제 2 고정구
204 ... 제 2 옷깃 결합수단
300 ... 지지편
301 ... 삽입부
302 ... 제 1 연장부
303 ... 제 2 연장부
304 ... 단차선
305 ... 단차면
306 ... 압박부
307 ... 압박돌출부
100 ... 1st fixing piece
101 ... Chapter 1
102 ... 1st short side
103 ... first fixture
103a .... Additional groove for the first fixture
103b ... 1st fixture side
104 ... first collar coupling means
200 ... second fixing piece
201 ... Chapter 2
202 ... 2nd short side
203 ... 2nd fixture
204 ... second collar coupling means
300 ... support piece
301 ... insert
302 ... first extension
303 ... second extension
304 ... step lane
305 ... step
306 ... pressure
307 ... compression protrusion

Claims (7)

목(Neck) 주변의 옷깃에 부착되도록 옷깃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제 1 장변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장변부(101)의 양단에는 제 1 단변부(102) 한 쌍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장변부(101)와 상기 제 1 단변부(102)의 내측에서 단면이 관통되도록 제 1 고정구(103)와 제 1 옷깃 결합수단(104)이 테두리 주위에 구비되는 제 1 고정편(100);
상기 제 1 고정편(101)의 대향 위치에서 옷깃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2 장변부(201)와 상기 제 2 장변부(201)의 양단을 이루도록 한 쌍의 제 2 단변부(202)로 구비되며, 상기 제 2 장변부(201)와 상기 제 2 단변부(202)의 내측에서 단면이 관통되도록 제 2 고정구(203)와 제 2 옷깃 결합수단(204)이 테두리 주위에 구비되는 제 2 고정편(200); 및
넥타이 매듭 사이에 삽입되어 넥타이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삽입부(301)와 상기 삽입부(301)에서 상기 제 1 고정편(1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연장부(302)와 상기 삽입부(301)에서 상기 제 2 고정편(2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연장부(303)가 상기 제 1 고정구(103)와 상기 제 2 고정구(203)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지지편(300);을 포함하는 넥타이 고정 클립.
A pair of a pair face each other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ollar so as to be attached to the collar around the neck, and a first long side portion 101 is formed, and a first short side portion 10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long side portion 101. A pair is provided integrally, and a first fastener 103 and a first collar coupling means 104 are provided around the rim so that a cross section is penetrat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first long side portion 101 and the first short side portion 102 The first fixing piece 100 to be;
A pair of second long sides 201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llar at opposite positions of the first fixing piece 101 and both ends of the second long side 201 It is provided as a short side part 202, and a second fastener 203 and a second collar coupling means 204 are framed so that a cross section is penetrate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long side part 201 and the second short side part 202 A second fixing piece 200 provided around; And
An insertion portion 301 inserted between the tie knots and provided to support the tie,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302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301 to the first fixing piece 100 to be inclined upwardly, A second extension part 303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art 301 to an upward inclined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iece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er 103 and the second fastener 203, respectively Tie fixing clip including; a support piece 300 provided to 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은,
옷깃 방향 배면에 돌출부(104)가 구비되어 옷깃과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의 사이에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고정 클립.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200),
Tie fixing clip,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104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llar direction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 and 303 is accommodated between the collar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는,
상기 제 1, 2 장변부(101,201)의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고정 클립.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 and 203,
Tie fixing clip,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 portions (101, 20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장변부(101,201)는,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의 일측은 상기 제 1,2 장변부(101,201)까지 도달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의 외형이 리을(ㄹ)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고정 클립.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101 and 201 are,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 and 203 is provided to reach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101 and 201 so that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0 and 200 is formed in a Rieul (ㄹ) shape. Tie fixing clip,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는,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에 삽입되는 종단 부위에서 단차를 형성하도록 단차선(304)와 단차면(305)이 구비되며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만곡부(308)가 구비되며 넥타이 착용시에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를 사용자가 가압하도록 상기 삽입부(301)을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하여 상기 제 1,2 연장부(302,303)의 중간 위치에 압박부(306)가 구비되며 상기 압박부(306)로 부터 상기 제 1,2 고정구(103,203) 쪽의 진행 방향에 압박돌출부(30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고정 클립.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 and 303,
A step line 304 and a step surface 305 are provided to form a step at the end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tures 103 and 203, and a curved portion 308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tures 103 and 203. ) Is provided, and the insertion part 301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 and 303 based on the center position so that the user presses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02 and 303 when wearing a tie. A tie fixing clip, characterized in that a pressing part 306 is provided, and a pressing protrusion 307 is provided in a direction from the pressing part 306 toward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03 and 20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의 배면에는 톱니형상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301)의 표면과 배면에 각각 원형의 마찰돌기(301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고정 클립.
The method of claim 1,
A tie fixing clip, characterized in that a sawtooth shape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200), and circular friction protrusions (301a) are provided on th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301,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고정편(100,200)과 상기 지지편(300)은,
탄성을 갖는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고정 클립.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100 and 200 and the support piece 300 are,
Tie fixing clip,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elasticity.
KR2020190000738U 2019-02-22 2019-02-22 A necktie fixing clip KR2020000191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38U KR20200001918U (en) 2019-02-22 2019-02-22 A necktie fixing cl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38U KR20200001918U (en) 2019-02-22 2019-02-22 A necktie fixing cl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18U true KR20200001918U (en) 2020-09-01

Family

ID=7245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738U KR20200001918U (en) 2019-02-22 2019-02-22 A necktie fixing cl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918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903A (en) 2021-06-01 2022-12-09 오영래 RF plasma multiple air sterilizer
KR20230010019A (en) 2021-07-10 2023-01-17 오영래 Plasma continuous supply type air sterilizer using RF electromagnetic wave energ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475B1 (en) 1996-07-05 1999-05-01 엘지전자주식회사 A closed type rotary compres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475B1 (en) 1996-07-05 1999-05-01 엘지전자주식회사 A closed type rotary compress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903A (en) 2021-06-01 2022-12-09 오영래 RF plasma multiple air sterilizer
KR20230010019A (en) 2021-07-10 2023-01-17 오영래 Plasma continuous supply type air sterilizer using RF electromagnetic wave energ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8724A (en) Scarf retainer and pendant
US20140250640A1 (en) Device for securing an article of clothing
US5003639A (en) Cap visor protector
US8393015B2 (en) Garment weights
KR20200001918U (en) A necktie fixing clip
US4159542A (en) Tie holder
US4847917A (en) Glove construction with means for removably securing accessories
USD455337S1 (en) Cord fastener
US2619640A (en) Combination cap and eyeshield
JP3218381U (en) Hat and necklace used for this
JP3166249U (en) School bag suspension
KR200435758Y1 (en) Convenient wear tie with elastic clip
KR101402004B1 (en) A fixing device for a nectie
KR200456277Y1 (en) Necktie clip
CN220631168U (en) Fur collar and clothes
KR200246452Y1 (en) apparatus for fixing belt
JP3124534U (en) Leather flower ribbon with fastener
KR200260775Y1 (en) An ornaments for decoration a button
KR20170111311A (en) Tie cap for decoration
JP3208637U (en) Ties with tie closure
JPH0647302U (en) Shirt with detachable decoration
JP3005013U (en) Clothes hanger cover
KR950005982Y1 (en) Necktie holder
KR920007609Y1 (en) Neckties fastening
JP3083084U (en) Necklace hat clo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