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670A - 가변형 저주파 기기 - Google Patents

가변형 저주파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670A
KR20200001670A KR1020180074417A KR20180074417A KR20200001670A KR 20200001670 A KR20200001670 A KR 20200001670A KR 1020180074417 A KR1020180074417 A KR 1020180074417A KR 20180074417 A KR20180074417 A KR 20180074417A KR 20200001670 A KR20200001670 A KR 20200001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coupling
coupling terminal
frequency genera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더라이프
배병호
주식회사 비제이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더라이프, 배병호, 주식회사 비제이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더라이프
Priority to KR102018007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670A/ko
Publication of KR20200001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저주파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접촉패드를 회전시켜 저주파 발생기에 대한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관절이나 굴곡진 인체부위에도 손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쌍을 이루며 마련되는 복수의 접촉패드가 연결용 시트부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어, 접촉패드를 회전시켜 자세를 변경하거나 접촉패드를 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동안 접촉패드가 저주파 발생기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Description

가변형 저주파 기기{ELECTRIC STIMULATOR}
본 발명은 저주파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성 접촉패드를 피부에 접촉시키고 인체에 미세한 저주파 전류를 흘려보내 근육 또는 관절의 통증 등을 완화하는 가변형 저주파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건강증진을 위한 각종 기기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일반인들에게 널리 보급되고 있다.
저주파 기기는 저주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저주파 전류를 피부에 접촉된 전도성 접촉패드로 흘려보내 근육, 건, 인대 등을 자극함으로써 치료효과를 얻는 의료기기이다.
최근에는 저주파 기기를 이용한 근육 자극이 중량 운동과 동일한 효과를 불러온다는 점에 착안하여, 근육을 직접 자극하기 위한 운동 기기로도 저주파 기기가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저주파 기기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2565호 "저주파 치료기"(2005. 8. 3.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14190호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2014. 9. 24.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05062호 "저주파 패드를 활용한 다이어트 및 치료 벨트"(2015. 9. 16. 공개)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저주파 기기는 쌍을 이루며 피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전도성 접촉패드와, 전도성 접촉패드를 통하여 미세한 저주파 전류를 흘려보내기 위한 저주파 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저주파 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1의 저주파 기기의 경우 의료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형태로서, 쌍을 이루는 전도성 접촉패드(3)를 신체부위에 자유롭게 붙일 수 있도록 저주파 발생기(1)로부터 연장되는 두 가닥의 전선(2)에 각각의 전도성 접촉패드(3)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저주파 기기는 병원이나 가정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며, 전도성 접촉패드(3)가 두 가닥의 전선(2)에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침대나 의자에 가만히 누워있어야 한다.
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신체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밴드나 벨트 등을 이용하여 전도성 접촉패드(3)를 신체에 고정시켜야 하며 전선(2)으로 연결된 저주파 발생기(1)를 손에 들고 있거나 주머니 등에 수납해야 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또 다른 저주파 기기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저주파 기기의 개념 단면도이다.
도 2의 저주파 기기는 근육을 자극하여 운동 효과를 얻기 위한 저주파 운동기기의 형태로서,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기(4)의 크기가 소형이며 전도성 접촉패드(5)와 일체화되어 있어 착용한 상태로 신체 활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콤팩트형 저주파 기기는 고정된 근육 형태에 맞추어 제작되므로, 복근이나 대퇴부 근육과 같이 특정 부위 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통증 완화나 치료보다는 주로 근육 자극을 통한 운동 효과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관절과 같이 신체가 접히거나 돌출되는 부위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콤팩트형 저주파 기기는 전도성 접촉패드(5)가 저주파 발생기(4)에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전도성 접촉패드(5)의 손상시 부분적인 교체 및 수리가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2565호 "저주파 치료기"(2005. 8. 3.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14190호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2014. 9. 24.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05062호 "저주파 패드를 활용한 다이어트 및 치료 벨트"(2015. 9. 1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접촉패드를 개별적으로 회동시켜 저주파 발생기에 대한 자세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접촉패드의 회동에도 불구하고 연결용 시트부재와 저주파 발생기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가변형 저주파 기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되, 발생된 저주파 전류를 방출하기 위하여 하면에 복수의 제1결합단자부가 마련되는 저주파 발생기 ; 상기 제1결합단자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제2결합단자부가 마련되어 상기 저주파 발생기의 하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 형태의 연결용 시트부재 ; 일측의 폭이 좁고 타측의 폭이 넓은 형태이며, 일측이 상기 연결용 시트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 대하여 자세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저주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저주파 전류를 상기 제1결합단자부 및 상기 제2결합단자부를 매개로 전달받아 이를 인체에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패드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시트부재는 상기 저주파 발생기의 하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나 상기 저주파 발생기의 하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그 자세가 고정되며, 상기 접촉패드는 상기 제2결합단자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결합단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용 시트부재에 대하여 자세 변경이 가능하나 상기 연결용 시트부재에 대하여 탈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용 시트부재는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 대하여 자세가 고정되며, 상기 접촉패드는 상기 제2결합단자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결합단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 대하여 자세 변경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제1결합단자부는, 링 형태의 제1자력 결합 평면과 상기 제1자력 결합 평면의 중앙으로부터 상부로 함몰된 원형의 삽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제2결합단자부는, 상기 제1자력 결합 평면에 자력 결합되어 상기 제1자력 결합 평면과 면접촉되는 제2자력 결합 평면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자력 결합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원기둥 형태의 삽입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 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저주파 기기는, 각각의 접촉패드를 회전시켜 저주파 발생기에 대한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관절이나 굴곡진 인체부위에도 손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쌍을 이루며 마련되는 복수의 접촉패드가 연결용 시트부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어, 접촉패드를 회전시켜 자세를 변경하거나 접촉패드를 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동안 접촉패드가 저주파 발생기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저주파 기기의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또 다른 저주파 기기의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저주파 기기의 개념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저주파 발생기와 전도성 패드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분리 사시도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의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4의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도,
도 9는 도 8의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분리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자세를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저주파 발생기와 전도성 패드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분리 사시도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4의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8의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4의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자세를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가변형 저주파 기기는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저주파 발생기(100)와, 저주파 발생기(100)에 결합된 상태로 피부에 부착되어 저주파 전류를 인체에 전달하는 전도성 패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저주파 발생기(100)는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상면에 온/오프 및 저주파 전류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버튼(도면부호 미도시)과 저주파 전류의 강도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도면부호 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저주파 발생기(100)는 내부에 배터리가 일체로 마련되며, 충전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다.
저주파 발생기(100)의 하면에는 저주파 발생기(100)에서 발생된 저주파 전류를 방출하기 위한 제1결합단자부(110)가 마련된다. 제1결합단자부(110)는 쌍을 이루며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제1결합단자부(110)가 한 쌍을 이루며 마련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4개 또는 6개의 제1결합단자부(11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제1결합단자부(110)는 전도성 패드부(200)의 제2결합단자부(22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실시례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일례로 제1결합단자부(110)와 제2결합단자부(220)는 암/수 스냅단추로 이루어지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제1결합단자부(110)와 제2결합단자부(220)는 자력에 의하여 탈착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진다. 자력 결합 방식을 이용하면 제1결합단자부(110)와 제2결합단자부(220)의 위치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저주파 발생기(100)와 전도성 패드부(200)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결합단자부(110)는 제2결합단자부(220)와 자력 결합 되기 위한 링 형태의 제1자력 결합 평면(110a)과 그 중앙으로부터 상부로 함몰된 원형의 삽입홈(11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결합단자부(11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제1결합단자부(110)는 단자 하우징(111)과 자석(112)과 하우징 덮개(113)로 이루어진다.
단자 하우징(111)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서, 단자 하우징(111)의 중앙에는 삽입홈(110b)을 형성하기 위한 삽입홈용 통공(111a)이 형성된다.
제1자력 결합 평면(110a)은 단자 하우징(111)의 하면에 형성된다.
단자 하우징(111)의 내부에는 자석(112)을 수용하기 위한 자석 수용부(111b)가 형성된다.
아울러 단자 하우징(111)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하우징 덮개(113)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꺾쇠(111c)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112)은 단자 하우징(111)의 자석 수용부(111b)에 삽입되어 제2결합단자부(220)가 제1결합단자부(110)에 자력 결합 되도록 한다.
자석(112)은 단자 하우징(111)의 자석 수용부(111b)에 삽입된 상태로 삽입홈용 통공(111a)과 함께 삽입홈(110b)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넛 형태로 형성된다. 삽입홈용 통공(111a)과 자석(112)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결합단자부(110)의 삽입홈(110b)은 도 9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우징 덮개(113)는 단자 하우징(111)에 삽입된 자석(112)이 단자 하우징(111)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우징 덮개(11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자석 수용부(111b)에 삽입된 자석을 덮도록 자석 수용부(111b)에 자석(112)과 함께 삽입되며, 단자 하우징(111)의 꺾쇠(111c)를 내측으로 꺾음으로써 하우징 덮개(113)가 고정된다.
한편 단자 하우징(111)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저주파 발생기(100)에 자력 결합되는 전도성 패드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도성 패드부(200)는, 복수의 제2결합단자부(220)가 마련된 연결용 시트부재(210)와, 연결용 시트부재(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주파 전류를 인체에 전달하는 복수의 접촉패드(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례의 연결용 시트부재(210)는 저주파 발생기(100)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결합단자부(110)를 모두 덮는 하트 모양의 시트 형태이다.
연결용 시트부재(210)에는, 제1결합단자부(11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결합단자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결합단자부(22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복수의 제2결합단자부(220)가 제1결합단자부(110)에 결합되면서, 연결용 시트부재(210)는 저주파 발생기(100)의 하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용 시트부재(210)는 저주파 발생기(100)의 하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나 저주파 발생기(100)의 하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그 자세가 고정된다.
연결용 시트부재(210)에는 제2결합단자부(22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제1통공(211)이 제1결합단자부(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통공(211)은 후술할 탈착용 단자대(221)의 축돌기(221d)가 관통되기 위한 것이다.
연결용 시트부재(210)에는 한 쌍의 제2결합단자부(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결합단자부(220)는 제1결합단자부(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통공(211)에 결합되므로, 제2결합단자부(220)를 통하여 저주파 발생기(100)에 결합되는 연결용 시트부재(210)는 저주파 발생기(100)에 대하여 그 자세가 고정된다.
제2결합단자부(220)의 하단부에는 저주파 발생기(100)에서 발생된 저주파 전류를 인체에 전달하기 위한 접촉패드(230)가 각각 결합된다. 일측이 제2결합단자부(220)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접촉패드(230)는 제2결합단자부(220)와 함께 연결용 시트부재(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의 접촉패드(230)는 연결용 시트부재(210) 및 저주파 발생기(100)에 대하여 자세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접촉패드(230)는 제2결합단자부(22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제2결합단자부(220)에 결합되어 연결용 시트부재(210)에 대하여 자세 변경이 가능하나, 연결용 시트부재(210)에 대하여 탈착되지 않는 구조이다.
접촉패드(230)는 저주파 발생기(100)로부터 발생된 저주파 전류를 제1결합단자부(110) 및 제2결합단자부(220)를 매개로 전달받아 이를 인체에 전달하게 된다.
도 7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2결합단자부(220)는 탈착용 단자대(221)와 접촉패드 결합편(222) 그리고 제1,2와셔(223,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탈착용 단자대(221)는 단자 몸체(221c)와 축돌기(221d)로 이루어지며 자화 및 통전 가능한 금속으로 제작된다.
단자 몸체(221c)의 상측에는 제1결합단자부(110)의 제1자력 결합 평면(110a)에 자력 결합되어 제1자력 결합 평면(110a)과 면접촉되는 제2자력 결합 평면(221a)과, 제2자력 결합 평면(221a)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제1결합단상며자부(110)의 삽입홈(110b)에 삽입되기 위한 원기둥 형태의 삽입돌기(221b)가 형성되어 있다.
축돌기(221d)는 단자 몸체(221c)의 하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축돌기(221d)의 단부에는 걸림머리(221e)가 형성된다(도 7에서는 미도시). 걸림머리(221e)는 금속조각을 용접하거나 납때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례에서는 축돌기(221d)의 단부를 압착하여 리벳의 머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걸림머리(221e)가 형성된다.
걸림머리(221e)는 축돌기(221d)에 연결용 시트부재(210)와 제1와셔(223) 그리고 접촉패드 결합편(222)을 하나로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제2결합단자부(220)의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도 7에서는 걸림머리(221e)를 확인할 수 없으며, 제2결합단자부(220)의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도 8에서는 걸림머리(221e)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탈착용 단자대(221)는 도 7에 도시된 형태로 제작되며, 축돌기(221d)에 연결용 시트부재(210), 제1와셔(223), 접촉패드 결합편(222)을 차례로 끼운 상태로 축돌기(221d)의 하단부를 압착하여 걸림머리(221e)를 형성함으로써, 도 8과 같이 리벳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결합 방법 외에도, 축돌기(221d)에 연결용 시트부재(210)와 제1와셔(223)를 차례로 끼운 상태로 접촉패드 결합편(222)을 축돌기(221d)에 직접 용접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축돌기(221d)에 접촉패드 결합편(222)을 결합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리벳이음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본 실시례의 접촉패드 결합편(222)은, 제3통공(222b)이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용 중앙몸체(222a)와, 결합용 중앙몸체(222a)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날개(22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3통공(222b)은 접촉패드 결합편(222)의 축돌기(221d)가 관통되기 위한 것이며, 한 쌍의 결합날개(222c)는 접촉패드(230)를 접촉패드 결합편(222)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에는 한 쌍의 결합날개(222c)가 하방으로 절곡된 '∩'자 형태의 접촉패드 결합편(222)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접촉패드 결합편(222)에 접촉패드(230)와 제2와셔(224)가 결합되도록 결합날개(222c)의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굴곡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인 결합 형태와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제1와셔(223)는 원판 형태이며, 중앙에 축돌기(221d)가 관통되기 위한 제2통공(223a)이 형성되어 있다. 제1와셔(223)는 연결용 시트부재(210)와 접촉패드 결합편(222)의 사이에서 축돌기(221d)가 제2통공(223a)을 관통하도록 개재된다.
제2와셔(224)는 접촉패드 결합편(222)에 접촉패드(230)가 결합될 때 함께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1와셔(223)과 마찬가지로 원판 형태로 제작된다. 제2와셔(224)에는 접촉패드 결합편(222)의 한 쌍의 결합날개(222c)가 관통되기 위한 한 쌍의 제2슬릿(224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하지 않은 제1슬릿(234)은 접촉패드(23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아래에서 접촉패드(230)의 구체적인 구성과 함께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례의 접촉패드(230)는 일측의 폭이 좁고 타측의 폭이 넓은 형태이며 한 쌍으로 마련된다. 각각의 접촉패드(230)는 반쪽으로 나누어진 하트 모양이며, 한 쌍의 접촉패드(230)를 맞붙이면 도 10과 같이 하트 모양이 된다. 접촉패드(230)의 형태는 실시례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접촉패드(230)는 굴곡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는 패드 몸체(231), 패드 몸체(210)의 하면에 마련되는 전도성 전극부(232), 전도성 전극부(232)의 하면에 마련되는 전도성 점착부(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드 몸체(231)는 인체의 접촉부위에 대응되는 형태로 굴곡될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로 제작된다. 일례로 고무나 실리콘 또는 원단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전도성 전극부(232)는 패드 몸체(231)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넓게 펼쳐진 형태이다. 전도성 전극부(232)는 제2결합단자부(220)에 접촉되어 통전된다. 전도성 전극부(232)는 인체에 저주파 전류를 고르게 전달할 수만 있으면 되므로 소재나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전도성 점착부(233)는 전도성 전극부(232)의 하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점착되며 전도성 전극부(232)에 전달된 저주파 전류를 인체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의 전도성 점착부(233)는 전도성 하이드로겔이다. 전도성 하이드로겔은 친수성 고분자 물질로서 생체 조직과 매우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전도성 점착부(233)를 통하여 접촉패드(230)를 피부에 접촉시키면 전도성 전극부(232)가 피부에 직접 접촉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아울러 전도성 하이드로겔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점착부(233)는 피부에 완전히 접착되는 것이 아니므로 손쉽게 탈착 가능하며,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지 않는 한 반복하여 사용 가능하다.
전도성 점착부(233)의 하면에는 박리지(미도시)가 부착된다. 박리지는 전도성 점착부(233)의 점착면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저주파 기기에도 동일하게 사용되는 것이므로 별도로 도시하지 않는다.
접촉패드(230)는 제2결합단자부(22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제2결합단자부(220) 내지 연결용 시트부재(210)에 결합된다.
접촉패드(230)의 일측에는 한 쌍의 결합날개(222c)가 관통되기 위한 한 쌍의 제1슬릿(234)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1슬릿(234)은 패드 몸체(231)와 전도성 전극부(23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이로써 제1슬릿(234)을 관통하도록 제1슬릿(234)에 삽입된 결합날개(222c)가 전도성 전극부(232)에 접촉하게 된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연결용 시트부재(210)와 제2결합단자부(220) 그리고 접촉패드(230)의 구체적인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탈착용 단자대(221)가 연결용 시트부재(2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1와셔(223)와 접촉패드 결합편(222)이 연결용 시트부재(210)의 하부에 차례로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탈착용 단자대(221)의 축돌기(221d)가 연결용 시트부재(210)의 제2통공(221)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축돌기(221d)가 제1와셔(223)의 제2통공(223a)과 접촉패드 결합편(222)의 제3통공(222b)을 차례로 통과하도록 한다.
이후, 축돌기(221d)의 단부를 압착하여 축돌기(221d)의 단부에 걸림머리(221e)가 형성되도록 한다. 형성된 걸림머리(221e)는 탈착용 단자대(221)의 축돌기(221d)로부터 연결용 시트부재(210), 제1와셔(223), 접촉패드 결합편(222)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접촉패드 결합편(222)에는 접촉패드(230)가 결합된다. 한 쌍의 결합날개(222c)가 접촉패드(230)의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슬릿(234)과 제2와셔(224)에 형성된 제2슬릿(224a)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날개(222c)를 수평 방향으로 절곡하여 접촉패드 결합편(222)에 접촉패드(230)와 제2와셔(224)가 고정되도록 한다.
접촉패드(230)와 함께 결합되는 제2와셔(224)는 결합날개(222c)에 의하여 접촉패드(230)의 제1슬릿(23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접촉패드(230)의 하면이 결합날개(222c)에 의하여 지지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접촉패드 결합편(222)에 접촉패드(23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접촉패드 결합편(222)에 접촉패드(230)와 제2와셔(224)가 결합된 이후 마감테이프(225)를 부착하여 결합된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복수의 제1결합단자부(110)가 저주파 발생기(100)의 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처럼, 복수의 제2결합단자부(220)도 연결용 시트부재(2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저주파 발생기(100)에 전도성 패드부(200)의 접촉패드(230)를 한번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전도성 패드부(200)를 저주파 발생기(10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모든 제2결합단자부(220)를 제1결합단자부(110)로부터 함께 분리하여야 하므로, 전도성 패드부(200)가 저주파 발생기(100)에 매우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접촉패드(230) 중 어느 하나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연결용 시트부재(210)를 통하여 모든 제2결합단자부(220)로 힘이 분산되므로, 힘이 가해지는 특정 접촉패드(230)가 저주파 발생기(100)로부터 단독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전도성 패드부(200) 전체가 저주파 발생기(10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실시례에 의한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제1결합단자부(110)와 제2결합단자부(220)는, 제1결합단자부(110)에 삽입되는 자석(112)에 의하여 자력 결합된다.
제2결합단자부(220)는 자화 가능한 금속으로 제작되므로, 제1결합단자부(110)에 접근시키면 제1결합단자부(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자석(112)에 의하여 자력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1결합단자부(110)는 제1자력 결합 평면(110a)과 원형의 삽입홈(110b)을 포함하는 구조이며, 제2결합단자부(220)는 제1자력 결합 평면(110a)에 자력 결합되는 제2자력 결합 평면(221a)과 삽입홈(110b)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태의 삽입돌기(22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1결합단자부(110)에 제2결합단자부(220)를 접근시키는 것만으로도 삽입돌기(221b)가 삽입홈(110b)에 삽입되며 정위치에 쉽게 결합될 수 있다.
삽입홉(110b)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21b)는, 제1결합단자부(110)에 제2결합단자부(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2자력 결합 평면(110a,221a)이 서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결합된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한다.
즉, 신체에 접촉패드(230)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동안 착용자가 과격하게 움직이더라도 전도성 패드부(200)가 저주파 발생기(1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접촉패드(230)는 제2결합단자부(220)와 함께 연결용 시트부재(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아울러 제2결합단자부(220)는 저주파 발생기(100)의 제1결합단자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접촉패드(230)를 제2결합단자부(220)와 함께 회전시켜 저주파 발생기(100)에 대한 자세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자력 결합되는 제1결합단자부(110)와 제2결합단자부(220)는,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더라도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아울러 연결용 시트부재(210)는 복수의 제2결합단자부(220)에 의하여 저주파 발생기(100)에 대하여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므로, 접촉패드(230)를 회전시켜 자세를 변경하는 동안 제2결합단자부(220)가 제1결합단자부(1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두 접촉패드(230)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피부에 접촉되어야 하므로 서로 간섭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례의 접촉패드(2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측이 타측에 비하여 폭이 좁은 형태이므로 두 접촉패드(230)를 어느 정도 회전시켜도 서로 간섭하지 않게된다.
접촉패드(230)를 회전시켜 본 실시례에 의한 가변형 저주파 기기의 형태를 변형시키면 관절과 같이 신체가 접히거나 돌출되는 부위에 두 접촉패드(230)를 손쉽게 부착할 수 있다.
특히, 접촉패드가 일직선으로 고정되어 있는 종래의 저주파 기기를 부착하기 어려운 목, 어깨, 팔목, 팔꿈치 등과 같은 부위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 사용 가능한 범위가 크게 확대된다.
따라서 종래의 저주파 기기로 자극하기 어려웠던 관절 부위의 건, 인대 등을 자극하여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사용하거나, 특정 근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등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례에서는 한 쌍의 접촉패드(230)가 마련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다. 실시례에 따라서 둘 이상의 쌍의 접촉패드(230)가 마련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둘 이상의 쌍의 접촉패드(230)가 마련되는 경우에도 모든 접촉패드(230)는 제2결합단자부(220)를 통하여 연결용 시트부재(2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례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저주파 발생기 110 : 제1결합단자부
110a : 제1자력 결합 평면 110b : 삽입홈
200 : 전도성 패드부
210 : 연결용 시트부재 211 : 제1통공
220 : 제2결합단자부 221 : 탈착용 단자대
221a : 제1자력 결합 평면 221b : 삽입돌기
221c : 단자 몸체 221d : 축돌기
222 : 접촉패드 결합편 222a : 결합용 중앙몸체
222c : 결합날개
223 : 제1와셔 223a : 제2통공
224 : 제2와셔 224a : 제2슬릿
230 : 접촉패드

Claims (3)

  1.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되, 발생된 저주파 전류를 방출하기 위하여 하면에 복수의 제1결합단자부가 마련되는 저주파 발생기 ;
    상기 제1결합단자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제2결합단자부가 마련되어 상기 저주파 발생기의 하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 형태의 연결용 시트부재 ;
    일측의 폭이 좁고 타측의 폭이 넓은 형태이며, 일측이 상기 연결용 시트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 대하여 자세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저주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저주파 전류를 상기 제1결합단자부 및 상기 제2결합단자부를 매개로 전달받아 이를 인체에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패드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및 관절의 통증 완화를 위한 가변형 저주파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시트부재는 상기 저주파 발생기의 하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나 상기 저주파 발생기의 하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그 자세가 고정되며, 상기 접촉패드는 상기 제2결합단자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결합단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용 시트부재에 대하여 자세 변경이 가능하나 상기 연결용 시트부재에 대하여 탈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및 관절의 통증 완화를 위한 가변형 저주파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결합단자부는, 링 형태의 제1자력 결합 평면과 상기 제1자력 결합 평면의 중앙으로부터 상부로 함몰된 원형의 삽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제2결합단자부는, 상기 제1자력 결합 평면에 자력 결합되어 상기 제1자력 결합 평면과 면접촉되는 제2자력 결합 평면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자력 결합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원기둥 형태의 삽입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및 관절의 통증 완화를 위한 가변형 저주파 기기.
KR1020180074417A 2018-06-28 2018-06-28 가변형 저주파 기기 KR20200001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417A KR20200001670A (ko) 2018-06-28 2018-06-28 가변형 저주파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417A KR20200001670A (ko) 2018-06-28 2018-06-28 가변형 저주파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70A true KR20200001670A (ko) 2020-01-07

Family

ID=6915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417A KR20200001670A (ko) 2018-06-28 2018-06-28 가변형 저주파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6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178A (ko)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휴니랩 안면 미용과 전신 마사지가 가능한 복합 미용기기
USD965148S1 (en) * 2021-01-20 2022-09-27 Shenzhen DJ Innovation Industry Co., Ltd Hydra need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565Y1 (ko) 2005-05-17 2005-08-19 (주)골든라이트 저주파 치료기
KR20140114190A (ko) 2013-03-18 2014-09-2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
KR20150105062A (ko) 2014-03-07 2015-09-16 김상도 저주파 패드를 활용한 다이어트 및 치료 벨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565Y1 (ko) 2005-05-17 2005-08-19 (주)골든라이트 저주파 치료기
KR20140114190A (ko) 2013-03-18 2014-09-2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
KR20150105062A (ko) 2014-03-07 2015-09-16 김상도 저주파 패드를 활용한 다이어트 및 치료 벨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5148S1 (en) * 2021-01-20 2022-09-27 Shenzhen DJ Innovation Industry Co., Ltd Hydra needle
KR20220120178A (ko)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휴니랩 안면 미용과 전신 마사지가 가능한 복합 미용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1622B2 (ja) アダプタ、電極アセンブリ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05457158B (zh) 可佩戴的经皮神经刺激器
JP7007660B2 (ja) 筋肉及び関節の疼痛緩和のための可変型低周波機器
US8868217B2 (en) Electrode for muscle stimulation
RU2749177C2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стимуляции мышц
KR101907511B1 (ko) 근육 및 관절의 통증 완화를 위한 가변형 저주파 기기
CN109414369A (zh) 刺激装置
KR102213309B1 (ko) 경두개 전기자극기
US8496570B2 (en) Bone growth stimulator
KR20200001670A (ko) 가변형 저주파 기기
US20210137775A1 (en) Massager
KR20180015998A (ko) 수중 헬스케어용 저주파 자극기
KR102140081B1 (ko) 반려동물용 저주파 치료기
KR100795826B1 (ko) 미세전류 자극기
JP2004275750A (ja) 治療用器具
KR102134959B1 (ko) 호흡리듬을 적용한 복부근육 전기자극 장치 및 전기자극 방법
US11771895B2 (en) Compact auricular stimulation device
US20040230228A1 (en) Device for treatment
JP2003325636A (ja) 健康器具
KR101628299B1 (ko) 전극 패드
CN214105179U (zh) 一种面部肌张力障碍缓解仪器
CN214435859U (zh) 耳夹电极和电流刺激治疗仪
CN215915654U (zh) 穴位刺激装置
WO1992008516A1 (en) Earpiece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acupuncture point
CN208770358U (zh) 一种乳房按摩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