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608U - 환자용 소변주머니 - Google Patents

환자용 소변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608U
KR20200001608U KR2020190000139U KR20190000139U KR20200001608U KR 20200001608 U KR20200001608 U KR 20200001608U KR 2020190000139 U KR2020190000139 U KR 2020190000139U KR 20190000139 U KR20190000139 U KR 20190000139U KR 20200001608 U KR20200001608 U KR 202000016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bag
patient
wearing part
urin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한
Original Assignee
임태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한 filed Critical 임태한
Priority to KR2020190000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608U/ko
Publication of KR202000016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other discharge from mal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with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한 중증환자 또는 요실금을 앓는 남자 환자의 소변을 받아내고 받아진 상태에서 소변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 환자용 소변주머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용 소변주머니{Urine bag}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한 중증환자 또는 요실금을 앓는 남자 환자의 소변을 받아내고 받아진 상태에서 소변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 환자용 소변주머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중증환자는 자신의 의지대로 움직일 수 없어 소변이 마려워도 자신이 직접 소변을 볼 수 없어 보호자가 소변통을 대 주어야 하며, 요실금 환자는 소변이 언제 나오는지 몰라 자신도 모르는 사이 소변을 싸고 만다.
특히 입원하고 있는 환자는 수액을 지속적으로 맞게 되어 소변이 자주 마렵게 되고 소변이 마려울 때 마다 받아내지 못하면 환자복과 시트를 적셔 습기에 의한 욕창은 물론 각종 냄새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간병인이 24시간 환자를 보호하며 수시로 소변을 받아주어야 하나 현실적으로 환자를 24시간 개호하기에는 어려운 것이며 중증환자나 요실금 환자는 소변을 받아내기 어려워 기저귀를 채우나 기저귀는 쓰레기 처리가 난감하여 바람직한 해결 방안은 되지 못하는 것이었다.
또한 중증환자의 경우 소변으로 각종 검사를 실시하게 되나 기저귀를 채울 경우 검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 267802호의 소변주머니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환자의 귀두를 감사면서 소변을 받아주도록 한 것이다.
이는 환자의 소변을 받아주는 용도로는 사용이 가능하나 소변 량이 많을 경우 또는 황자가 뒤척이다가 주머니가 눌려질 경우 내부에 받아진 소변이 새는 경우가 허다하여 그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는 것이다.
등록실용실안 제 20-267802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거동이 불편한 중증환자 또는 요실금을 앓는 남자 환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소변을 받아내고 소변이 받아진 상태에서 소변이 외부로 임의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 환자용 소변주머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소변주머니는 입구와 목이 좁고 긴 형태로 구성되고 목 부분 아래로 원형으로 부푼 형태의 호리병 모양으로 형성되어진 소변주머니의 목 부분에 밀폐용 비닐지를 주머니 안쪽으로 길게 내려가도록 2중 구조로 접착 고정하여 소변이 볼 때에는 밀폐형 비닐지가 벌어지면서 소변을 담아 보관하고 소변을 다 마친후에는 밀폐형 비닐지가 다시 붙는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여 주머니 안쪽의 소변이 역류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소변주머니는 환자에게 착용 후 소변을 본 후에도 밀폐형 주머니로 인하여 주머니내에 있는 소변이 역류하지 못하게 되므로 환자복은 물론 시트를 버리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비닐 재질의 주머니를 제공하여 종래의 기저귀로 사용하는 것보다 폐기물이 훨씬 줄어들어 환경을 오염하는 일이 더욱 적어지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변주머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주머니의 착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변주머니에 압축 스펀지가 내재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주머니의 또 다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변주머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주머니의 착용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변주머니에 압축 스폰지가 내재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켓용 시계밴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변주머니는 사용상의 편리와 착용감을 위하여 연질의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환자에게 착용시 밀폐력을 우수하게 하고 내부에 모아진 소변의 역류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오뚝이 형상의 몸체(2)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는 상부로 얇고 길게 착용부(6)가 형성되고, 상기 착용부(6)의 안쪽으로 몸체(2)의 상단과 연하여 실링밴드(10)로 밀폐형 비닐지(8)를 가열 접착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밀폐형 비닐지(8)는 착용부(6)의 중간 부분 또는 목부분에서 몸체(2) 내부의 주머니(4) 안쪽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착용자가 소변을 볼 경우에는 비닐지가 벌어지면서 주머니 내부로 소변을 보고 소변이 모아진 상태에서는 밀폐형 비닐지(8)가 서로 달라붙어 밀폐되면서 역류를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착용부(6)의 상단에는 고무줄(20)이 고정되며 상기 고무줄(20)은 환자의 귀두위에서 착용부(6)가 밀착하도록 하여 소변주머니의 착용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몸체(2)의 안쪽 빈 공간이 주머니(4)에는 압축스펀지(12)가 내장되며 상기 압축스펀지(12)는 소변을 흡수하여 덩어리 형태로 유지되므로 소변이 역류되는 현상은 전혀 없게 된다.
본 고안의 소변주머니는 착용부(6)의 상부에 구성된 고무줄(20)을 이용하여 교정팬티와의 연결이 가능하여 소변주머니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소변의 역류는 물론 소변주머니의 착용이 더욱 우수한 것이다.
상기한 착용부(6)의 상단에는 고무줄을 제거하고 조임테이프(30)를 형성하여 착용자에 따라 밀착이 가능한 상태로의 착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실링밴드(10)에는 배꼽밴드(40)12를 추가하여 배꼽부위에 고정하도록 하여 소변주머니의 움직임을 억제하면서 착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의 소변주머니는 중증환자 또는 요실금 환자에게 쉽게 착용이 가능하며 착용후에는 소변이 주머니(4) 내에 모아지더라도 밀폐형 비닐지(8)로 인하여 소변의 역류를 제한하여 환자복 또는 의류가 젖게 되는 현상이 없어 중증환자 또는 요실금 환자에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몸체 4: 주머니
6: 착용부 8: 밀폐형 비닐지

Claims (4)

  1. 연질의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며, 환자에게 착용시 밀폐력을 우수하게 하고 내부에 모아진 소변의 역류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오뚝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2), 상기 몸체(2)는 상부로 얇고 길게 착용부(6)가 형성되고, 상기 착용부(6)의 안쪽으로 몸체(2)의 상단과 연하여 실링밴드(10)로 밀폐형 비닐지(8)를 가열 접착 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소변주머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밀폐형 비닐지(8)는 착용부(6)의 중간 부분 또는 목부분에서 몸체(2) 내부의 주머니(4) 안쪽으로 길게 형성하여 착용자가 소변을 볼 경우에는 비닐지가 벌어지면서 주머니 내부로 소변을 보고 소변이 모아진 상태에서는 밀폐형 비닐지(8)가 서로 달라붙어 밀폐되면서 역류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소변주머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착용부(6)의 상단에는 고무줄(20) 또는 조임테이프(30)가 고정되어 귀두위에서 착용부(6)가 밀착되면서 착용되도록 구성하며, 몸체(2) 안쪽 빈 공간 주머니(4)에는 압축스펀지(12)가 내장되어 소변을 흡수하여 덩어리 형태로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소변주머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변주머니는 착용부(6)의 상부에 구성된 고무줄(20)을 이용하여 교정팬티와의 연결하여 소변주머니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소변의 역류는 물론 소변주머니의 착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실링밴드(10)에는 배꼽밴드를 추가하여 배꼽부위에 소변주머니가 고정되도록 하여 소변주머니의 움직임을 억제하면서 착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소변주머니.
KR2020190000139U 2019-01-10 2019-01-10 환자용 소변주머니 KR202000016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39U KR20200001608U (ko) 2019-01-10 2019-01-10 환자용 소변주머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39U KR20200001608U (ko) 2019-01-10 2019-01-10 환자용 소변주머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536U Division KR20210000223U (ko) 2020-12-11 2020-12-11 환자용 소변주머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08U true KR20200001608U (ko) 2020-07-20

Family

ID=7183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139U KR20200001608U (ko) 2019-01-10 2019-01-10 환자용 소변주머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60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114B1 (ko) 2020-11-18 2021-03-29 주식회사 건바이오 소변 주머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802Y1 (ko) 2001-11-26 2002-03-13 김동학 일회용 소변 주머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802Y1 (ko) 2001-11-26 2002-03-13 김동학 일회용 소변 주머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114B1 (ko) 2020-11-18 2021-03-29 주식회사 건바이오 소변 주머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7418A (en) Device for absorbing urine with incontinent persons
US20110137273A1 (en) Fecal management system
CN209899730U (zh) 一种女性接尿器
US20070005031A1 (en) Incontinence collection device
KR20200001608U (ko) 환자용 소변주머니
US2625160A (en) Infant's diaper substitute or the like
KR200468519Y1 (ko) 남성전용 위생 패드
KR200476247Y1 (ko) 남성 요실금용 위생 패드
KR102034738B1 (ko) 면생리대 커버
KR200465001Y1 (ko) 남성 소변전용 기저귀
KR20210000223U (ko) 환자용 소변주머니
KR20110040264A (ko) 용변저장실이 형성된 일회용 기저귀
JP3220650U (ja) 小便吸収用パック
CN209645247U (zh) 一种男士专用纸尿裤
KR200464213Y1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기저귀
CN219439651U (zh) 男性防漏尿护理袋
CN202313959U (zh) 具备使用后收紧功能的尿便两用一次性卫生用品
KR200422275Y1 (ko) 초보자용 생리대
CN207545300U (zh) 一种防溢流集尿器
KR20210010039A (ko) 패드를 이용한 절약형 기저귀
CN209933143U (zh) 一种男用防返流尿袋
KR20080004941U (ko) 남성환자소변전용기저귀
CN211067331U (zh) 一种粘贴型男用抗返流接尿装置
US20160038349A1 (en) Absorbent Feminine Hygiene Device
EP3381425B1 (en) Gender-specific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3009;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