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191U -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191U
KR20200001191U KR2020180005511U KR20180005511U KR20200001191U KR 20200001191 U KR20200001191 U KR 20200001191U KR 2020180005511 U KR2020180005511 U KR 2020180005511U KR 20180005511 U KR20180005511 U KR 20180005511U KR 20200001191 U KR20200001191 U KR 202000011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weight
unit
cooking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연주
Original Assignee
배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연주 filed Critical 배연주
Priority to KR2020180005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191U/ko
Publication of KR202000011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19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조리재료가 수용되는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바디부의 외주면 일측에 연결되어 바디부의 가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 바디부의 하부 내측에 조리재료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부 및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온도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열온도 및 중량센서부에서 감지한 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TEMPERATURE AND WEIGHT DISPLAY COOKWARE}
본 고안은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재료가 수용되는 바디부에 온도센서부 및 중량센서부를 결합하여 조리재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음식을 조리하는 온도가 표시되어 계량조리 및 대량조리를 편리하게 해주는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주방용 조리기구는 외부의 가스렌지 등의 가열장치 또는 내장된 열선장치로 열을 가해 그 열이 조리용기에 담긴 음식물에 전달되어 음식물이 조리되는 방식인데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실제 조리에 적정한 열보다는 필요 이상의 과다한 열을 습관적으로 가하고 있어 이 과열로 인해 조리기구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또한 필요이상의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리기구 또는 가열장치가 가열되고 있는 가열정도의 표시 또는 조리기구의 온도상태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없었다. 다만 사용자가 주관적으로 가열정도의 가늠하거나 조리되고 있는 음식이 눋거나 타는 등의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보고서야 조리기구에 가열되고 있는 가열정도를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45645호(2006.05.17. 공개)인 "온도계 내장 조리기구 부착용 손잡이"를 살펴보면, 중온, 고온, 과열 또는 온도수치가 표기된 온도계 스케일의 열감지봉 온도계를 내장한 손잡이로서 온도계 감지부인 열감지봉이 조리용기에 접점되어 있어서 가열장치로 가열시 조리기구에 가열되고 있는 온도 변화를 열감지봉 온도계가 감온하여 아날로그식으로 온도표시를 보여주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조리용기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아날로그식 온도계의 하부에 열감지봉이 연결되어 열감지봉을 통해 온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조리용기 내부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조리재료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저울을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4564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재료가 수용되는 바디부에 온도센서부 및 중량센서부를 결합하여 조리재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음식을 조리하는 온도가 표시되어 계량조리 및 대량조리를 편리하게 해주는 새로운 구조의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조리재료가 수용되는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가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 내측에 조리재료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온도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열온도 및 상기 중량센서부에서 감지한 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 내측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상부 일측까지 연장되는 열감지봉, 상기 열감지봉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에 가열되고 있는 온도를 측정하는 상기 열감지봉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한 온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는 조리재료를 바디부에 올려놓기만 해도 중량을 측정하고, 바디부를 가열하여 조리를 하면서 조리되는 온도를 확인하여 음식을 계량하는 대량조리를 편리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는 손잡이부에 온도 및 중량을 표시하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래시피대로 조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온도센서부의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손잡이부에 온도 및 중량이 표시되는 표시부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온도센서부의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손잡이부에 온도 및 중량이 표시되는 표시부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10)는 바디부(100), 온도센서부(200), 중량센서부(300) 및 손잡이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10)는 내부에 조리재료가 수용되는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100), 바디부의 외주면 일측에 연결되어 바디부의 가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200), 바디부의 하부 내측에 조리재료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부(300) 및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온도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열온도 및 중량센서부에서 감지한 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10)가 구비된 손잡이부(400)를 포함한다.
바디부(100)는 조리재료가 수용되는 조리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부(100)는 조리재료가 수용된 상태로 가스렌지, 전기렌지 등의 가열장치로 열을 가하면, 전체적으로 열이 전도되기 시작한다.
한편, 바디부(100)는 화력에 직접적으로 닿는 하부는 고열이고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대적으로 저온인 얇은 판재였던 종래의 바디와 달리 알루미늄 또는 다이캐스팅 등의 비교적 두꺼운 소재로 형성되어 열전도가 바디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전도되고 가열장치의 열을 직접적으로 받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전도열의 편차가 거의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디부(100)는 후술하는 온도센서부(200)를 구비하여 바디부 전체적으로 전도되는 열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온도센서부(200)는 바디부(100)의 외주면 일측에 연결되어 바디부(100)의 가열온도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온도센서부(200)는 열감지봉(210), 센싱부(220) 및 전송부(230)를 포함한다.
열감지봉(210)은 바디부(100)의 하부 내측으로부터 바디부(100)의 상부 일측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바디부(100)의 하부 내측부터 상부까지의 가열되는 온도와 동일한 온도로 가열된다.
이러한 열감지봉(210)은 바디부(100) 전체에 전도되는 열을 화력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열의 편차를 최소화 하여 조리 시, 바디부(100)의 내측의 온도를 후술하는 센싱부(220)에 전달해 준다.
또한, 열감지봉(210)은 센싱부(220)에 열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외부 온도에 간섭을 받지 않기 위해, 손잡이부(400)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센싱부(220)와 연결된다.
한편, 열감지봉(210)은 가볍고 열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싱부(220)는 열감지봉(210)의 일단에 연결되어 바디부(100)에 가열되고 있는 온도를 측정하는 열감지봉(210)의 온도변화를 감지한다.
다시 설명하면, 센싱부(220)는 손잡이부(400)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고, 손잡이부(400)의 내부로 연장된 열감지봉(210)의 일단에 연결되어 바디부(100)의 가열에 따라 온도변화를 가지는 열감지봉(210)의 온도를 감지한다.
전송부(230)는 센싱부(220)에서 측정한 온도를 디스플레이부(410)로 전송한다.
또한, 전송부(230)는 후술하는 중량센서부(300)에서 바디부(100)에 수용된 조리재료의 무게를 디스플레이부(410)로 전송하는 역할을 병행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중량센서부(300)는 바디부(100)의 하부 내측에 조리재료의 중량을 감지한다.
여기서, 중량센서부(300)는 바디부(100)의 하부에 수용되는 조리재료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해 바디부(100)의 하부 내측에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하면에 무게감지센서(3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무게감지센서(310)는 바디부(100)에 수용된 조리재료의 무게신호를 전송부(230)로 발송한다.
또한, 무게감지센서(310)는 압력을 이용하는 압력감응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부(400)는 바디부(10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온도센서부에(200)서 감지한 가열온도 및 중량센서부(300)에서 감지한 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손잡이부(400)는 바디부(10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나 양측에 결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400)는 내부에 온도센서부(20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바디부(100)와 연결되도록 바디부(10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되, 내부에 나선형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결합부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400)는 온도센서부(200)가 수용되는 공간의 하부에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또한, 온도센서부(200) 및 중량센서부(300)를 둘러싸는 패킹부재를 구비하여 온도센서부(200) 및 중량센서부(300) 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10)는 전송부(230)로부터 온도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중량센서부(300)로부터 수신받은 무게를 표시한다.
일례로, 일반적으로 조리에 적정한 조리기구의 온도는 프라이류, 조림류 등의 중온이 적정한 조리온도는 보통 100℃∼200℃이고, 튀김류 등에 적합한 고온 조리에는 200℃∼250℃가 보편적으로 알려진 적정한 온도이다.
이러한 온도변화를 표시하는 상태를 보면서 사용자는 적정한 상태의 화력을 조절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손잡이부(400)는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부를 포함한다.
배터리부는 디스플레이부(410) 뿐만 아니라, 온도센서부(200) 및 중량센서부(300)의 작동을 위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미도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
100 : 바디부
200 : 온도센서부
210 : 열감지봉
220 : 센싱부
230 : 전송부
300 : 중량센서부
310 : 무게감지센서
400 : 손잡이부
410 : 디스플레이부

Claims (2)

  1. 내부에 조리재료가 수용되는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가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 내측에 조리재료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온도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열온도 및 상기 중량센서부에서 감지한 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 내측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상부 일측까지 연장되는 열감지봉;
    상기 열감지봉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에 가열되고 있는 온도를 측정하는 상기 열감지봉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한 온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
KR2020180005511U 2018-11-30 2018-11-30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 KR202000011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11U KR20200001191U (ko) 2018-11-30 2018-11-30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11U KR20200001191U (ko) 2018-11-30 2018-11-30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91U true KR20200001191U (ko) 2020-06-09

Family

ID=7107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511U KR20200001191U (ko) 2018-11-30 2018-11-30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19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201A1 (ko) * 2022-05-27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가열을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645A (ko) 2005-04-11 2006-05-17 (주)개성상인 온도계 내장 조리기구 부착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645A (ko) 2005-04-11 2006-05-17 (주)개성상인 온도계 내장 조리기구 부착용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201A1 (ko) * 2022-05-27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가열을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5914B2 (en) Pressure cooker
US9241592B2 (en) Slow cooker with thermometer for indicating a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food in the cooking vessel
EP3225143B1 (en) Hanger-type cook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N205433281U (zh) 带温度测量设备的锅具
DK178659B1 (en) Wireless cooking thermometer
US11378462B2 (en) Waterproof thermometer for monitoring food temperatures during cooking process
US20190075960A1 (en) Portable heating rod
JP5465356B2 (ja) 本体コーティング層の寿命感知部を備えた調理機器
KR20200001191U (ko) 온도 및 무게표시 조리기구
CA3196658A1 (en) Food thermometer and method of using thereof
CA2805830A1 (en) Slow cooker with thermometer for indicating a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food in the cooking vessel
EP3855142B1 (en) Waterproof thermometer for monitoring food temperatures during cooking process
US20190307289A1 (en) Cooking Trigger
CN203595564U (zh) 高温检测计
KR101427895B1 (ko) 용기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KR20190125129A (ko) 온도 전송장치가 내장된 뚜껑 손잡이
WO2016138555A1 (en) Apparatus for heating a foodstuff
WO2006050527A2 (en) Pressure cooker
CN215424272U (zh) 烹饪器具智能手柄及烹饪器具
CN207455654U (zh) 一种接触式精准温控电磁炉
CN201436483U (zh) 电磁烤炉的温度控制装置
KR20210007866A (ko) 감지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 디바이스 시스템
CN217524848U (zh) 一种具有温度显示功能的烹饪锅具
CN211582579U (zh) 一种精准控温的温度传感器结构
JP3215191U (ja) サーモエレメントを備える電気炊飯器の上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