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152A - Leakage detection apparatus for a steam sterilizer - Google Patents

Leakage detection apparatus for a steam steril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152A
KR20200001152A KR1020180073743A KR20180073743A KR20200001152A KR 20200001152 A KR20200001152 A KR 20200001152A KR 1020180073743 A KR1020180073743 A KR 1020180073743A KR 20180073743 A KR20180073743 A KR 20180073743A KR 20200001152 A KR20200001152 A KR 20200001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terilizer
bottom plate
sump
sensor
l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4339B1 (en
Inventor
김진만
김영식
이성범
박홍철
이상률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180073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339B1/en
Publication of KR20200001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1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3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leakage detection device for a steam sterilizer comprising: a water collecting container arranged in the steam sterilizer and collecting water leaking from the steam sterilizer;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water collection state of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an alarm generating part for generating an alarm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data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and a control part arranged apart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larm generating p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a pollution around the steam sterilizer and can prevent a damage caused by the water leakage.

Description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LEAKAGE DETECTION APPARATUS FOR A STEAM STERILIZER}Leakage detection device for steam sterilizer {LEAKAGE DETECTION APPARATUS FOR A STEAM STERILIZER}

본 발명은,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 멸균기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sterilizer for steam steriliz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ak sterilizer for steam sterilizer for detecting a leak occurring in the steam sterilizer.

스팀 멸균기는 고온 고압의 증기로 수술 기기 등을 멸균하는 장비로서, 수술장에서 널리 사용한다.Steam sterilizer is a device for sterilizing surgical instruments with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eam, and is widely used in the operating room.

이러한 스팀 멸균기는 제품의 특성상 고온 고압의 증기와 물의 공급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에, 스팀 멸균기의 사용 도중에 종종 누수가 발생한다.These steam sterilizers are essential for the supply of steam and water at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due to the nature of the product. As a result, water leakage often occurs during the use of steam sterilizers.

스팀 멸균기로부터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스팀 멸균기의 주변이 오염되어 수시로 청소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If leakage occurs from the steam sterilizer, the surroundings of the steam sterilizer is contaminated, which is a cumbersome problem of frequent cleaning.

특히, 스팀 멸균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변에 고가의 시설물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스팀 멸균기가 설치된 수술장의 하부 층에 CT, X-RAY. MRI 등의 영상 의료기기가 설치된 영상 의료기기실이 배치된 경우, 스팀 멸균기로부터의 누수로 인해 영상 의료기기실에 피해가 발생하고, 이에 누수의 피해 점검과 고장 수리를 위해 장시간 동안 영상 의료 기기실의 사용할 수 없게 되어, 경제적 손실이 클 뿐만 아니라 고가의 수리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f there are expensive facilities in the vicinity of the place where the steam sterilizer is installed, for example, CT, X-RAY. When an imaging medical equipment room equipped with an imaging medical equipment such as an MRI is installed, the leakage from the steam sterilizer causes damage to the imaging medical equipment room, and thus, the imaging medical equipment room can be used for a long time to check the damage of the leakage and repair the malfun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economic loss is large, but also expensive repair costs.

따라서, 스팀 멸균기의 사용에 따른 누수의 피해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는 누수 감지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leak detec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the damage of a leak early due to the use of a steam sterilizer.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17386호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131738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팀 멸균기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상시 모니터링하여 스팀 멸균기 주변의 오염을 줄이며, 누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stantly monitoring the leakage occurring in the steam sterilizer to reduce the contamination around the steam sterilizer, to provide a leak detection device for a steam sterilizer that can prevent damage due to leakage The purpose.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 멸균기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 멸균기로부터 발생하는 누수가 집수되는 집수통; 상기 집수통의 집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 데이터에 의거하여,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발생부; 및 상기 감지 센서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알람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steam sterilizer, the sump collecting water leak from the steam sterilizer; A sensor for sensing a catchment state of the sump; An alarm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larm based on sensed data sensed by the sensor; And a control unit spaced apart from the dete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larm generation unit.

여기서, 상기 집수통은,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바닥판과 함께 누수가 집수되는 집수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ump, the bottom plate to form a bottom; And a side wall provid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to form a collecting space in which water is collected together with the bottom plate.

상기 바닥판은 상기 집수통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sump toward the other side.

상기 바닥판은 적어도 일 영역이 내향 절곡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area of the bottom plate may be formed to be inwardly bent.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의 일측 중앙 영역만 함몰하도록 내향 절곡되거나, 또는 상기 바닥판의 중앙 영역이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하도록 내향 절곡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may be bent inwardly to recess only one central region of the bottom plate, or may be bent inwardly so that the central region of the bottom plate is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상기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 센서가 착탈하는 센서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sensor bracket provided on the side wall, the sensor is detachable.

상기 센서 브래킷은 상기 바닥판이 상기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인접한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nsor bracket may be disposed on a side wall adjacent to the position where the bottom plate is furthest from the top of the side wall.

상기 알람 발생부는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 빛을 발하는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larm generat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aker for generating sound and a lamp for emitting light.

상기 감지 센서와 상기 제어부는 내열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통신 모듈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nsing sensor and the controll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heat resistant wires or wirelessly by a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알람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수통과 이격 배치된 콘트롤 패널에 내장될 수 있다.The alarm generat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be embedded in a control panel spaced apart from the sump.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팀 멸균기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상시 모니터링하여 스팀 멸균기 주변의 오염을 줄이며, 누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antly monitoring the water leak generated in the steam sterilizer to reduce the pollution around the steam sterilizer,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due to the water lea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감지 센서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의 콘트롤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의 집수통이 스팀 멸균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의 집수통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ak detection device for a steam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tection sensor is disassembled in FIG. 1;
3 is a view showing a control panel of the leak detection device for a steam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mp of the water leak detection device for steam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steam sterilizer,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mp of the leak detection device for steam steriliz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pers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compon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of cours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erms that ar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specifically defined clearly.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1 to 3 illustrate a leak detection apparatus for a steam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는 집수통(10)과, 감지 센서(20)와, 알람 발생부(31,33)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leak detection apparatus for a steam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mp (10), a detection sensor 20, and the alarm generator (31, 33).

집수통(10)은 스팀 멸균기(100, 도 4 참조)로부터 발생하는 누수를 집수한다. The sump 10 collects leaks generated from the steam sterilizer 100 (see FIG. 4).

집수통(10)은 바닥판(11)과 복수의 측벽(13)으로 이루어지며, 상방이 개구된 사각형 단면의 통 형상을 가진다.The sump 10 consists of the bottom plate 11 and the some side wall 13, and has a cylindrical shape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which opened upwardly.

바닥판(11)은 편평한 판 형상을 가지며, 집수통(10)의 저면을 형성한다.The bottom plate 11 has a flat plate shape and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sump 10.

복수의 측벽(13)은 바닥판(11)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바닥판(11)과 함께 누수가 집수되는 집수 공간(15)을 형성한다.The plurality of side walls 13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11 to form a collecting space 15 through which the leakage is collected along with the bottom plate 11.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바닥판(11)은 집수통(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예컨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13) 중 어느 하나의 측벽(13)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측벽(13)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이로써, 집수통(10)의 집수 공간(15)은 점진적으로 깊이가 증대하는 단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스팀 멸균기(100)에서 발생한 누수는 바닥판(11)을 따라 자연 유하하며, 측벽(13)의 상단과 바닥판(11)이 최대로 이격된 집수 공간(15)의 위치로 예컨대, 집수 공간(15)의 가장 낮은 곳으로 유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plate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from one side of the sump 10 to the other side, for example, from one side wall 13 of one of the pair of side walls 13 opposed to each other ( 13, it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As a result, the water collecting space 15 of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 has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depth gradually increases. Accordingly, the leakage occurring in the steam sterilizer 100 naturally flows along the bottom plate 11, and the water leaks to the position of the collecting space 15 in which the top of the side wall 13 and the bottom plate 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will flow to the lowest point of the space 15.

도 4에는 전술한 집수통(10)이 설치된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above-mentioned sump container 10 is install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통(10)은 스팀 멸균기(10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As shown in FIG. 4, the sump 10 is more effectively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am sterilizer 100.

감지 센서(20)는 집수통(10)의 집수 상태를 감지한다. 감지 센서(20)는 광센서, 포토 센서, 초음파 센서, 레벨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 센서(20)의 센싱면은 집수통(10)의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어, 집수통(10)으로 모인 누수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The detection sensor 20 detects a water collecting state of the water container 10. The detection sensor 20 may be configured of an optical sensor, a photo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level sensor, and the like. The sensing surface of the detection sensor 20 is dispos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mp container 10, so that the leak collected in the sump container 10 can be quickly detected.

감지 센서(20)는 내열 전선(21)에 의해 후술할 제어부(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detection sensor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1 to be described later by the heat resistant wire 21.

이러한 감지 센서(20)는 센서 브래킷(25)에 착탈되며, 센서 브래킷(25)은 집수통(10)의 측벽(13) 일측에 마련된다.The detection sensor 20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ensor bracket 25, and the sensor bracket 2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ide wall 13 of the sump 10.

본 실시예에서의 센서 브래킷(25)은 바닥판(11)이 측벽(13)의 상단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인접한 측벽(13) 예컨대, 집수통(10)의 가장 깊은 곳에 인접한 측벽(13)에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센서 브래킷(25)에 장착된 감지 센서(20)가 집수통(10)의 가장 깊은 곳의 집수 상태 예컨대, 수위를 감지하여, 누수 여부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집수통(10)에 집수된 누수가 외부로 흘러넘쳐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The sensor bracket 25 in this embodiment has a bottom plate 11 adjacent to the side wall 13 adjacent to the position furthest from the top of the side wall 13, for example, the side wall 13 adjacent to the deepest portion of the sump 10. It is prepared. As a result, the detection sensor 20 mounted on the sensor bracket 25 detects the water collection state of the deepest portion of the water container 10, for example, the water level, so that the water leak can be quickly detected. ), The leakage of water collected to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from causing damage.

이와 같이, 감지 센서(20)를 센서 브래킷(25)에 착탈함으로써, 집수통(10)에 모인 누수를 버릴 경우, 센서 브래킷(25)으로부터 감지 센서(20)를 분리한 후, 집수통(10)을 스팀 멸균기(100)로부터 꺼내어, 집수통(10)에 모인 누수를 간편하게 버릴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nsor 20 is detached from the sensor bracket 25 and the water leak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 is discarded,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 is detached from the sensor bracket 25. ) Is taken out of the steam sterilizer 100, it is possible to easily discard the leak collected in the sump (10).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감지 센서(20)가 집수통(10)의 일 측벽(13)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지 센서(20)는 스팀 멸균기(100)에 마련될 수도 있다.He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nsor 20 is provided on one side wall 13 of the sump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nsor 20 may be provided in the steam sterilizer (100).

알람 발생부(31,33)는 감지 센서(20)에 의해 감지된 감지 데이터에 의거하여, 알람을 발생한다.The alarm generators 31 and 33 generate alarms based on the sensed data detected by the sensor 20.

알람 발생부(31,33)는 제어부(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트롤 패널(40)에 마련될 수 있다.The alarm generators 31 and 3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1 and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40 as shown in FIG. 3.

본 실시예에서는 알람 발생부로서,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31)와, 빛을 발하는 램프(33)가 마련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s an alarm generator, a speaker 31 for generating sound and a lamp 33 for emitting light are provided.

스피커(31)는 일정 주기로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연속적인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메시지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램프(33)는 점등되거나, 또는 일정 주기로 점멸되거나, 정상 상태일 때와 비정상 상태일 때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할 수 있다.The speaker 31 may output a warning sound at regular intervals, output a continuous warning sound, or output a message. In addition, the lamp 33 may be turned on or blink at regular intervals, or may emit light of a different color when it is in a normal state and when it is in an abnormal state.

이러한 스피커(31)와 복수의 램프(33)는 제어부(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콘트롤 패널(40)의 전면에 마련되어 있다.The speaker 31 and the plurality of lamps 3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1 and ar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ontrol panel 40.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알람 발생부로서 스피커(31)와 램프(33)가 동시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알람 발생부로서 스피커(31) 또는 램프(33)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31) 및 램프(33)의 수량은 집수통(10)의 수량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Here, although the speaker 31 and the lamp 33 are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at the same time as the alarm generat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ly the speaker 31 or the lamp 33 may be provided as the alarm generating unit. have. In addition, the quantity of the speaker 31 and the lamp 33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the sump (10).

한편, 콘트롤 패널(40)은 집수통(10)과 이격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부(41)가 내장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panel 40 is spaced apart from the sump container 10, the control unit 41 is built.

제어부(41)는 스팀 멸균기(100)의 사이즈가 크고 소음이 크므로, 스팀 멸균기(100)의 내부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 감지 센서(20)와 이격된 상태에서 내열 전선(2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Since the control unit 41 has a large size and a high noise level of the steam sterilizer 100, access to the inside of the steam sterilizer 100 is not easy, and thus the heat resistant wire 2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etection sensor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제어부(41)는 감지 센서(20)로부터 감지된 감지 데이터에 의거하여 일 예로, 집수통(10)에 집수된 누수의 높이가 기준 높이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면, 알람 발생부(31,33)가 알람을 발생하도록 알람 발생부(31,33)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When the controller 41 determines that the height of the leaked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ntainer 10 exceeds the reference height, for example, based on the sensed data detected by the sensor 20, the alarm generators 31 and 33 may determine that the height of the leak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height. The control signal is sent to the alarm generators 31 and 33 to generate an alarm.

일 예로서, 집수된 누수 높이가 기준 높이 미만이면 예컨대, 정상 상태이면 램프(33)는 녹색을 발하고, 집수된 누수의 높이가 기준 높이를 초과하면 예컨대, 비정상 상태이면 램프(33)는 적색으로 바뀜과 동시에, 스피커(31)에서 경고음이 발생하게 된다.As an example, if the collected leak height is less than the reference height, for example, in the normal state, the lamp 33 emits green, and if the collected leak height exceeds the reference height, for example, the lamp 33 is red if it is abnormal At the same time,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from the speaker 31.

이로써, 사용자는 알람 발생부(31,33)로부터 발생하는 알람에 의해, 스팀 멸균기(100)로부터의 누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user can grasp the leak from the steam sterilizer 100 by the alarm generated from the alarm generators 31 and 33.

여기서, 제어부(41)와 감지 센서(20)는 내열 전선(2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통신 모듈(미도시)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1)는 감지 센서(20)에 의해 감지된 감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41 and the detection sensor 20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heat-resistant wire 21, but are connec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41 is the detection sensor 20. May sense data sensed by

한편, 콘트롤 패널(40)은 스팀 멸균기(100)의 기존 패널에 마련되거나, 또는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panel 40 may be provided on an existing panel of the steam sterilizer 100 or may be separately provided.

여기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35는 알람 발생부(31,33)를 초기화하는 리셋 버튼이다.In this case, reference numeral 35 denotes a reset button for initializing the alarm generators 31 and 33.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집수통(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개방된 형태의 스팀 멸균기(100)의 하단부에, 구체적으로는 스팀 멸균기(100)의 누수 예상 위치에 위치시킨다.By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container 10 of the leak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lower end of the steam sterilizer 100 of the open form, specifically, steam It is located in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leak in the sterilizer (100).

스팀 멸균기(100)로부터 누수가 발생하면, 스팀 멸균기(100)로부터 발생하는 누수는 집수통(10)의 바닥판(11)의 경사를 따라 유동하며, 바닥판(11)의 낮은 곳으로 집수된다.When leakage occurs from the steam sterilizer 100, the leakage generated from the steam sterilizer 100 flows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sump 10 and is coll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1. .

이 때, 집수통(10)에 마련된 감지 센서(20)는 집수통(10)에 모인 누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제어부(41)로 보낸다.At this time, the detection sensor 20 provided in the sump (10)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llected in the sump (10) and sends it to the controller (41).

제어부(41)는 감지 센서(20)로부터 전송된 수위 데이터가 기준 수위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알람 발생부(31,33)가 작동하도록 알람 발생부에 신호를 보낸다.If the controller 41 determines that the water level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evel, the controller 41 sends a signal to the alarm generator to operate the alarm generators 31 and 33.

알람 발생부(31,33)가 알람을 발생하면, 사용자는 집수통(10)을 스팀 멸균기(100)로부터 빼내어, 집수통(10)에 모인 누수를 버린다.When the alarm generators 31 and 33 generate an alarm, the user pulls out the sump container 10 from the steam sterilizer 100 and discards the leakage collected in the sump container 10.

이로써, 스팀 멸균기(100)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누수가 스팀 멸균기(100) 주위로 누출되지 않게 되어, 스팀 멸균기(100) 주변의 오염을 줄이며, 누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leakage occurring in the steam sterilizer 100 can be monitored at all times. In addition, the leak does not leak around the steam sterilizer 100, thereby reducing the contamination around the steam sterilizer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due to leakage.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의 집수통(10′)이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water reservoir (10 ') of the leak detection device for steam steriliz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통(10′)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달리, 바닥판(11)의 일측 중앙 영역이 함몰하도록 바닥판(11)이 내향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 ′ has a shape in which the bottom plate 11 is bent inwardly so that one central area of the bottom plate 11 is recessed,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러한 집수통(10′)의 형상에 의해, 집수통(10′)으로 유입된 누수는 바닥판(11)을 따라 자연 유하하며 바닥판(11)의 가장 낮은 곳으로 집수되어, 스팀 멸균기(100)의 누수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e shape of the sump (10 '), leaks flowing into the sump (10') flows naturally along the bottom plate 11 and is collected to the lowest place of the bottom plate 11, the steam sterilizer (100) ) Can be detected more quickly.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통(10′)은 집수통(10′)의 바닥판(11)의 일측 중앙 영역만 함몰하도록 내향 절곡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집수통(10′)의 바닥판(11)의 중앙 영역이 바닥판(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하도록 내향 절곡될 수 있다.Here, the sump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o be inwardly bent to recess only one central area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sump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entral area of the bottom plate 11 of 10 'may be bent inwardly to d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11.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알람 발생부가 하나의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 데이터에 의거하여 알람을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알람 발생부는 복수의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복수의 감지 데이터에 의거하여 알람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때 복수의 감지 센서에 순번을 부여하고 그 순번에 따라 알람 발생 패턴을 달리하여, 어느 쪽에서 누수가 발생하였는지 알람을 발생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one alarm generating unit generates an alarm based on the sensing data detected by one detecting sens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alarm genera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etecting sensors. An alarm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sensed plurality of sensed data. In this case, an alarm may be generated by assigning a number to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s and changing an alarm gener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order.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집수통이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집수통은 다각형, 원형, 타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lthough the sump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sump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a polygon, a circular shape, and a octagonal shap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realiz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10′: 집수통
20: 감지 센서
25: 센서 브래킷
31: 스피커
33: 램프
10,10 ′: sump
20: detection sensor
25: sensor bracket
31: speaker
33: lamp

Claims (10)

스팀 멸균기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 멸균기로부터 발생하는 누수가 집수되는 집수통;
상기 집수통의 집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 데이터에 의거하여,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발생부; 및
상기 감지 센서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알람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
Is disposed in the steam sterilizer, the sump collecting water leaks from the steam sterilizer;
A detection sensor detecting a catchment state of the sump;
An alarm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larm based on sensed data sensed by the sensor; And
It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detection sensor, the leakage detection device for a steam sterilizer comprising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larm genera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은,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바닥판과 함께 누수가 집수되는 집수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mp can,
A bottom plate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nd a side wall provid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to form a collecting space together with the bottom plate to collect a lea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집수통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of the sump, the leak sterilizer for steam steriliz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적어도 일 영역이 내향 절곡 형성된,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one region of the bottom plate is bent inwardly, leak detection device for steam steriliz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의 일측 중앙 영역만 함몰하도록 내향 절곡되거나, 또는 상기 바닥판의 중앙 영역이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하도록 내향 절곡된,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ottom plate is,
Or bent inwardly to recess only one central region of the bottom plate, or bent inwardly to reces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 센서가 착탈하는 센서 브래킷을 포함하는,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leak detection device for a steam sterilizer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the sensor sensor includes a sensor bracket detachab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브래킷은 상기 바닥판이 상기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인접한 측벽에 배치된,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sensor bracket is disposed on a side wall adjacent to the position where the bottom plate is furthest from the top of the side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발생부는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 빛을 발하는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larm generat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eaker for generating sound and a lamp for emitting light, leak sterilizer for steam steriliz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와 상기 제어부는 내열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통신 모듈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되는,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control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a heat-resistant wire, or wirelessly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module, leak detection device for a steam steriliz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수통과 이격 배치된 콘트롤 패널에 내장되어 있는, 스팀 멸균기용 누수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larm generat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built in a control panel spaced apart from the sump, the steam sterilizer leak detection device.
KR1020180073743A 2018-06-27 2018-06-27 Leakage detection apparatus for a steam sterilizer KR1020743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743A KR102074339B1 (en) 2018-06-27 2018-06-27 Leakage detection apparatus for a steam steril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743A KR102074339B1 (en) 2018-06-27 2018-06-27 Leakage detection apparatus for a steam steriliz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52A true KR20200001152A (en) 2020-01-06
KR102074339B1 KR102074339B1 (en) 2020-02-06

Family

ID=6915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743A KR102074339B1 (en) 2018-06-27 2018-06-27 Leakage detection apparatus for a steam steriliz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33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682U (en) * 1996-11-16 1998-08-05 이종화 Drip tray for dish dryer
JP2010522081A (en) * 2007-03-21 2010-07-01 シルバン ソース、 インク. Water purification system
KR20110036273A (en) * 2009-10-01 2011-04-07 홍경표 Dustbin for livestock house
KR101193629B1 (en) * 2012-08-02 2012-10-23 장진용 Water leakage and cut-off apparatus of water purifier
KR101317386B1 (en) 2012-04-02 2013-10-11 주식회사 엠케이티 Steam sterilizer for medical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682U (en) * 1996-11-16 1998-08-05 이종화 Drip tray for dish dryer
JP2010522081A (en) * 2007-03-21 2010-07-01 シルバン ソース、 インク. Water purification system
KR20110036273A (en) * 2009-10-01 2011-04-07 홍경표 Dustbin for livestock house
KR101317386B1 (en) 2012-04-02 2013-10-11 주식회사 엠케이티 Steam sterilizer for medical device
KR101193629B1 (en) * 2012-08-02 2012-10-23 장진용 Water leakage and cut-off apparatus of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339B1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57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fluid level
JP2017528258A (en) Indoor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50045614A1 (en) Endoscope Connector Cov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EP3289418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medical, in particular dental, device
RU2017137517A (en) MULTIPLE INDEPENDENT SOUND AREAS FOR THE PATIENT MONITOR
KR20160127979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scanner for oral cavity and scanner system for oral cavity comprising the same
KR1019908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ir Contamination by Using Ultraviolet Air Sterilizer
JP2018079462A (en) Wor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of ultraviolet disinfection facility
KR102074339B1 (en) Leakage detection apparatus for a steam sterilizer
JP6088394B2 (en) Endoscope cleaning / disinfecting apparatus and adapter for endoscope cleaning / disinfecting apparatus
JP2000060764A (en) Automatic hand disinfecting apparatus
JP2015526112A (en) Electronic indicator device for cleaning monitoring
CN108558092A (en) A kind of water purifier with function of ultraviolet sterilization
JP3210243U (en) UV sterilizer
AU2019350640B2 (en) Surgical lighting system sterile field encroachment indicator
CN212067249U (en) Ultraviolet ray sterilizing lamp
KR20180049577A (en) LED Lighting Apparatus
US20220062454A1 (en) Ultraviolet Hand Sanitizer
KR102337302B1 (en) Auto sterilizing apparatus
SE1450160A1 (en) Device for gas leak detection and warning.
KR20220010376A (en) Ultraviolet ray disinf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16167399U (en) Infrared body temperature detection device
JP2009077936A (en) Endoscope wash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CN109570109A (en) A kind of cleaning sterilizer for medical apparatus
CN212347450U (en) Floor typ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