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140A - Automatic and continuous inse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 Google Patents

Automatic and continuous inse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140A
KR20200001140A KR1020180073721A KR20180073721A KR20200001140A KR 20200001140 A KR20200001140 A KR 20200001140A KR 1020180073721 A KR1020180073721 A KR 1020180073721A KR 20180073721 A KR20180073721 A KR 20180073721A KR 20200001140 A KR20200001140 A KR 20200001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unit
breeding
housing
consta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3085B1 (en
Inventor
이상훈
김인덕
윤인숙
한국인
이경용
윤형주
이용석
정종민
Original Assignee
그린테코 주식회사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테코 주식회사,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085B1/en
Publication of KR20200001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1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0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ntinuous type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which automatically controls th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nd breeding time for each step according to growing processes of insects; and enables the optimization of a breeding environment and separation breeding for each size of larvae to enable mass production and to reduce costs. The automatic continuous type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s in a spawning unit, a larva breeding unit and an emergence unit, respectively, and provides air having controlled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a breeding device continuously. The automatic continuous type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imer and an alarm unit which measure an operating time of the spawning unit to notify the same, and withdraws spawned eggs at 2-4 day intervals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larva breeding unit, thereby enabling breeding for each size of larvae. The automatic continuous type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provides an optimum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 for the spawning unit, the larva breeding unit and the emergence unit, and enables breeding for each size of larvae, thereby reducing the lifecycle of insects to enable mass production and reduce costs.

Description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Automatic and continuous inse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Automatic and continuous inse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본 발명은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곤충의 성장과정에 따른 각 단계별로 온도, 습도 조도 및 사육시간 등을 정밀하게 자동 제어하고 사육환경의 최적화와 유충 크기별 분리 사육이 가능하게 하여 대량 생산과 단가를 절감시킨 자동형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unit cost redu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precisely and automatically control temperature, humidity roughness and breeding time at each stage according to the insect growth process, and to optimize the breeding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separating and breeding by larvae size, thereby reducing mass production and unit cost.

곤충(insect)이란 동물 중에서 가장 종류가 많은 곤충강(Insecta)에 속하는 무당벌레, 풀잠자리, 꽃등에, 딱정벌레 등과 같은 절지동물(Arthropoda)을 포함한다.Insects include arthropoda, such as ladybugs, grass dragonflies, flowers, beetles, etc. belonging to the largest species of insects (Insecta) among animals.

곤충은 서식환경의 범위를 넓히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부적합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생동안 태를 바꾸는데, 일반적으로 알(eggs), 유충(larvae), 번데기(pupae), 그리고 성충(adults)의 4단계를 거친다. Insects change their shape throughout their lives to broaden their habitat, to make efficient use of resources, and to overcome inadequate environments, typically four eggs, larvae, pupae, and adults. Go through the steps

곤충의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성충과 모양이 비슷한 것도 있지만 대개는 형태가 다르며 여러 차례 탈피를 한 후 번데기나 성충으로 변하는데 이와 같이 모양(형태)을 바꾸는 현상을 변태(metamorphosis)라 한다. 일생동안 모양 바꾸기를 몇 번이나 하고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에 따라, 변태에는 완전변태 및 불완전변태로 구분이 되는데, 그 중에서도 많은 곤충은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번데기 시기를 거쳐서 성충이 되며 이를 완전변태(complete metamorphosis)라 한다.Larvae hatched from insect eggs are similar in shape to adults, but they are usually different in shape and change into chrysalis or adult after many molting. This phenomenon is called metamorphosis. Depending on how many times they change their shape and how they go through life, metamorphosis can be classified into complete and incomplete metamorphosis. Among them, many insects are adult larvae that hatch from eggs through pupa. complete metamorphosis).

곤충의 일생을 살펴 볼 때 태를 바꾸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즉, 알에서 유충이 되는 과정을 부화(hatching)라 하고, 유충에서 번데기가 되는 것을 용화(pupation)라 하며, 번데기에서 성충이 되는 것은 우화(emergence)라고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암수가 되어 교미를 하게 되고 암컷은 알을 낳게 되는데 이를 산란(oviposition)이라 한다.The process of changing the shape is very important when looking at the life of an insect.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becoming a larva in eggs is called hatching, the pupae in larvae is called pupation, and the adult in pupae is called allegory. After this process, males and females are mated, and females lay eggs, which are called oviposition.

최근, 곤충 생태에 대한 연구에서 다양한 곤충의 자원화 활용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갈색거저리 등과 같은 곤충이 새로운 농가소득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Recently, researches on the utilization of resources of various insec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research on insect ecology, through which insects such as brown mealworms are spotlighted as a new farm income source.

이러한 곤충의 자원화 이용은 프랑스, 독일, 러시아, 일본 등지에서 잇달아 시작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0여 년 전부터 애완동물, 양식어류 등의 사료로 활용되면서 곤충 사육이 증가되었으며, 최근에는 상업화를 목적으로 갈색거저리를 대량 증식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source use of insects has been started in France, Germany, Russia, Japan and so on. In Korea, insect breeding has been increased as it is used for pets and farmed fish for more than 10 years. Recently, brown gourds are used for commercialization. The development of a technique for mass proliferation is actively underway.

여기에서,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는 곤충분류학상 딱정벌레목 거저리과(Tenebrionidae)에 속하며, 그 유충은 동물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으면서 성장이 빠르며, 번식률이 아주 높고, 유충의 허물은 키틴(chitin) 생산에 필요한 우수한 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칼슘의 함량이 새우나 게 껍질보다 낮아서 가공하기 쉽기 때문에, 기능식품, 의약용품, 보건용품, 환경재료, 사료 등과 같이 광범위한 응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erein, the brown goose (Tenebrio molitor) belongs to the insect taxonomy of the coleoptera (Tenebrionidae), the larvae have a relatively high protein content in the animal, the growth rate is very high, the reproduction rate is very high, and the larvae are chitin. It can be used as an excellent raw material required for production, and because the calcium content is lower than shrimp or crab shells and is easy to process, it is known that there i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nutraceuticals, medical supplies, health care products, environmental materials, feeds, and the like.

이러한 곤충을 대량사육하기 위해 등록번호 10-1663202호에는 수용 부재, 습도조절 유닛과 가열부재를 구비한 곤충 대량 사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mass-produce such insects, Patent No. 10-1663202 discloses an insect mass breeding apparatus having a receiving member, a humidity control unit and a heating member.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는 가열부재가 곤충이 사육되는 수용부재 하부 바닥에 열을 가하여 온도를 조절하고 있으므로 수용부재 상층부와 바닥부의 온도가 균일하지 못하고, 특히 외기온도가 높거나 낮은 경우에 사육공간 전체에 항온 항습을 유지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의 장치는 곤충 사육 전체 단계(부화, 용화, 우화 및 산란)에 적용하기 어려워 곤충 사육기간을 단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However, since the heating member controls the temperature by applying heat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member under which the heating element is raised,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part and the bottom of the receiving member is not uniform, especially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high or low, the entire breeding spac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ddition, the device of the registered paten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entire stage of insect breeding (hatching, yonghwa, allegory and spawning), there is a limit to shorten the insect breeding period.

본 발명은 곤충 사육 전체 단계(부화, 용화, 우화 및 산란)별로 항온 항습이 유지되는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unit cost reduction in which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maintained for each stage of insect breeding (hatching, soluble, allegory and spawning).

본 발명은 외기 온도 변화에도 사육장치 내의 온도와 습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reeding device can be kept uniform even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changes.

본 발명은 유충 크기 별로 사육 가능한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a unit cost reduction capable of breeding by larvae size.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1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성충이 산란한 알과 곤충분을 하부로 투과하는 제 1 분리망(13), 상기 제 1 분리망 하면에 접촉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산란유도 배지가 들어있으며 산란된 알을 보관하는 제 1 수거망(14), 상기 격벽(1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15) 및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16)를 구비하는 산란부(10) ;A housing 11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partition 12 separating the space of the housing into two, located inside the housing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partition wall, the eggs and insect powder spawning adult The first separation net 13 penetrating to the lower side, the first collecting net 14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paration net, there is a scattering induction medium and stores the scattered eggs 14, the partition 12 A scattering portion (10)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15) formed by side walls of the housing and through portions (16) formed i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such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d air in the chamber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hamber;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2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2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유충이 사육되는 제 2 분리망(23) 및 상기 격벽(2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25),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26)를 구비하는 유충 사육부(20) ;A housing 21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partition wall 22 separating the space of the housing into two, a second separation network located inside the housing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partition wall, wherein the larvae are bred ( 23) and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25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22 and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and through parts 26 formed i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so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d air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hamber. Larva breeding unit 20;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3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번데기가 놓여지는 제 3 분리망(33) 및 상기 격벽(3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35),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36)을 구비하는 우화부(30) ; 및A housing 31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partition wall 32 separating the space of the housing into two, a third separation network located inside the housing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partition wall, the pupa is placed ( 33) and a constant temperature / humidity chamber 35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32 and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and through parts 36 formed i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so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 humidity controlled air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hamber. Fable portion 30; And

상기 항온항습 챔버(15, 25, 35) 내부에 각각 위치하여 설정온도와 습도를 제공하는 복수의 항온 항습 장치(50) ; 및A plurality of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s (50) positioned in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s (15, 25, 35), respectively, to provide a se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위치하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온도와 습도와 비교하여 상기 항온 항습 장치(5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에 관련된다.And a controller 40 for receiving data from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located in the scattering, breeding, and allegorizing unit, and controlling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50 by comparing the data with a preset temperature and humidity. To an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산란부, 유충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항온항습 장치를 구비하여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사육장치에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respectively in the scattering unit, larva rearing unit and allegory unit can continuously provid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d air to the breeding apparatus.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산란부의 가동시간을 측정하고 알려주는 타이머와 경보부를 구비하여 2~4일 간격으로 산란된 알을 인출 및 유충 사육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충 크기 별 사육이 가능하다.The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imer and an alarm unit for measuring and notify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egg laying part, so that the eggs laid out at intervals of 2 to 4 days can be provided to the larvae breeding unit. Breeding by size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최적의 항온 항습 조건을 산란부, 유충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제공하고, 유충 크기 별 사육이 가능하므로 곤충 라이프 사이클을 단축시켜 대량 생산과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The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ptimal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for the spawning part, the larval rearing part and the allegorical part, respectively, and can be reared by the larvae size, thereby shortening the insect life cycle for mass production. The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의 일 구현예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서 항온 항습 챔버가 구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1 is one embodiment of the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front view of FIG. 1.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is driven i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r the drawings for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other words,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the sam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s "unit", "group",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의 일 구현예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서 항온 항습 챔버가 구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1 is one embodiment of the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front view of FIG. 1.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is driven i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산란부(10), 유충 사육부(20), 우화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1 to 4, the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ttering unit 10, a larval breeding unit 20, an allegory unit 30, and a controller 40. .

상기 산란부에서는 성충이 30~40일 정도 사육되면서 알을 낳는 사육 공간이다. 상기 유충 사육실은 2~4일 범위 내에 산란된 알이 수거 및 부화되는 부화실과 부화된 유충을 사육하는 사육실을 포함한다. 상기 우화실에는 번데기가 성충으로 완전 변태된다. In the spawning part is an adult breeding space to lay eggs while breeding for about 30 to 40 days. The larval rearing room includes a hatching room in which eggs laid and hatched in a range of 2 to 4 days and a rearing room for breeding hatched larvae. In the allegory, the pupa is completely transformed into an adult.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산란부(10)에서 유충 사육부(20)로 알이 이동되고, 유충 사육부에서 우화부로 번데기(전체 생성된 번데기 중 산란을 위한 일부 번데기만 이동함)가 이동되고, 상기 우화부에서 산란부로 성충이 이동된다.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ggs are transferred from the larval breeding unit 20 to the larval breeding unit 10, and the pupae (large pupae for spawning of the entire generated pupa are moved) from the larval breeding unit to the above, Adults move from fable to spawning.

상기 산란부(10)는 하우징(11), 격벽(12), 제 1 분리망(13), 제 1 수거망(14), 항온항습 챔버(15) 및 관통부(16)를 포함한다. The scattering unit 10 includes a housing 11, a partition 12, a first separation network 13, a first collection network 14, a constant temperature / humidity chamber 15, and a penetrating portion 16.

상기 하우징(11)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다. The housing 11 has a receiving space therein.

상기 격벽(12)은 상기 하우징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차단벽이다. 상기 격벽(12)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은 성충이 사육되는 공간이고, 그 반대편 하우징 공간은 항온 항습 챔버(15)가 위치한다.The partition 12 is a barrier that divides the housing into two spaces. The housing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partition 12 is a space in which the adult is reared, and the housing space on the opposite side is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15.

상기 제 1 분리망(13)은 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성충이 산란한 알과 곤충분을 하부로 투과한다. The first separation net 13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partition wall, and penetrates the eggs and insects scattered by the adult.

상기 제 1 수거망(14)은 상기 제 1 분리망 하면에 접촉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산란유도 배지가 들어있으며 산란된 알을 받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거망(14)은 밑에 산란유도배지(밀기울)가 깔려 있으며, 알이 산란된 배지 수거상자를 의미한다.The first collection network 14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paration network, the scattering induction medium is contained therein can be stored to receive the scattered eggs. The first collection network 14 has a scattering induction medium (bran) underneath, and means a medium collection box in which eggs are scattered.

상기 항온항습 챔버(15)는 상기 격벽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챔버 내부에는 항온항습장치(50)가 설치된다.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15 is a space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and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and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pparatus 50 is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상기 관통부(16)는 상기 챔버(15)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홀이나 구멍이다. The through portion 16 is a hole or a hol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so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d air in the chamber 15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hamber.

상기 항온항습장치(50)는 물을 저장하는 가습조(51), 가습조에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증발시키는 가습히터(52), 내부에 냉매가 팽창됨에 따라 외부 표면에 접촉되는 공기 및 수증기의 온도를 낮추는 증발기(53), 전기코일로 공기 및 수증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히터(54), 챔버에서 온도와 습도가 콘트롤된 공기 및 수증기를 상기 관통부를 통해 곤충 사육공간으로 강제 이송하는 팬(55), 상기 가습조에 물을 공급하는 수조(56), 상기 수조로부터 물을 가습조에 이송하는 배관(57) 및 자동밸브(58)를 포함한다.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50 is a humidification tank (51) for storing water, a humidifying heater (52) installed inside the humidification tank to evaporate water, the air and water vapor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as the refrigerant is expanded therein Evaporator 53 to lower the temperature, a heater 54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and steam with an electric coil, a fan for forcibly transfer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d air and steam in the chamber through the penetrating to the insect breeding space ( 55), a water tank 56 for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cation tank, a pipe 57 for transferr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humidification tank, and an automatic valve 58.

상기 가습조는 수조(56)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일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는 가습조에 설치된 수위 센서의 수위 데이터를 수신 받으며, 자동밸브(58)를 콘트롤하여 가습조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humidifying tank may be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water tank 56 to maintain a constant level. For example, the controller 40 may receive the water level data of the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in the humidification tank, and control the automatic valve 58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humidification tank constant.

상기 가습조, 증발기, 히터 등은 공지된 장치들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The humidifier, the evaporator, the heater and the like can be used without any known devices.

상기 유충 사육부(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2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2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유충이 사육되는 제 2 분리망(23) 및 상기 격벽(2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25),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26)를 구비한다.The caterpillar breeding unit 20 is a housing 21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partition wall 22 separating the space of the housing into two, and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partition wall, the larva The breeding second separation net 23 and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25 formed of the partition wall 22 and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so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d air in the chamber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hamber The through part 26 is provided.

상기 유충사육부(20)는 상기 제 2 분리망 하부에서 곤충분을 수거하는 제 2 수거망(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larval rearing unit 20 may include a second collecting net 24 for collecting insects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eparating net.

상기 하우징(21), 격벽(22), 항온항습 챔버(25) 및 관통부(26)는 상기 산란부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고할 수 있다.The housing 21, the partition wall 22,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25, and the through part 26 may refer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scattering part.

한편, 상기 유충 사육부(2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충 사육부는 도 1에 도시된 유충 사육부가 1~50개가 연속하여, 또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arvae breeding unit 2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For example, the larvae breeding unit 1 to 50 larvae breeding unit shown in Figure 1 may be arranged continuously or adjacent.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산란부(10), 유충 사육부(20), 우화부(30)가 본체(60)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유충 사육부가 상기 본체 내부에 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1 to 3, the scattering unit 10, the larval breeding unit 20, allegorical unit 3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60, the larval breeding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상기 산란부(10), 복수의(예를 들면, 1 내지 50여 개) 유충 사육부(20), 우화부(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을 외부(외부시설이나 장치 등)와 구분 및 보호할 수 있는 형태의 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본체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제시된 정형화된 직육면체 구조 이외에도 내부에 산란부, 유충사육부 및 우화부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어떤 형태의 구조물도 해당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cattering unit 10, a plurality of (for example, 1 to 50) larva rearing unit 20, allegory unit 30 ), And a main body of a form that can distinguish and protect them from the outside (external facilities, devices, etc.). That is,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any type of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scattering parts, larval breeding parts, and allegorizing parts in addition to the standard cuboid structure shown in FIGS. 1 to 3.

상기 유충 사육부는 부화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화실은 적정온도가 35℃, 습도 70%의 온도 습도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larval breeding part may include a hatching chamber. The hatching chamber may be set to a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of 35 ℃, 70% humidity.

상기 우화부(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3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번데기가 놓여지는 제 3 분리망(33) 및 상기 격벽(3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35),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36)를 구비한다.The allegorical part 30 has a housing 31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partition wall 32 separating the space of the housing into two, and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partition wall, and the pupa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35 formed by a third separation net 33 and the partition wall 32 and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and through hole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so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d air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hamber. The part 36 is provided.

상기 하우징(31), 격벽(32), 항온항습 챔버(35) 및 관통부(26)는 상기 산란부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고할 수 있다.The housing 31, the partition wall 32, the constant temperature / humidity chamber 35, and the through part 26 may refer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scattering part.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위치하는 온도센서(T)와 습도센서(H)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온도와 습도와 비교하여 상기 항온 항습 장치(60)를 컨트롤한다. The controller 40 receives data from a temperature sensor T and a humidity sensor H located in the scattering, breeding, and allegorizing unit, and compares the data with a preset temperature and humidity to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Control 60.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저장부(41), 항온항습 모듈(42), 조도 모듈(43), 사육모듈(44), 디스플레이부(45) 및 통신부(46)와 이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4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storage unit 41,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42, the illuminance module 43, the breeding module 44, the display unit 45, and the communication unit 46. It may include a processor 47.

상기 저장부에는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의 적정 온도, 습도 및 사육시간이 저장된다. The storage unit stores the appropriate temperature, humidity and breeding time of the scattering unit, breeding unit and allegory unit.

상기 산란부의 적정온도 범위는 25~30℃이고, 기준 온도는 27℃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산란부의 적정습도는 60%로 설정될 수 있다. 산란부에서 알을 수거하는 기준 시간은 3일로 설정될 수 있다.An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of the scattering unit is 25 ~ 30 ℃, the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set to 27 ℃. Proper humidity of the scattering unit may be set to 60%. The reference time for collecting eggs from the scattering unit may be set to 3 days.

상기 유충 사육실의 적정온도 범위는 26~29℃이고, 하한기준값은 26℃, 상한 기준값은 29℃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유충 사육실의 적정습도 는 60%로 설정될 수 있다. The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of the larval rearing room is 26 ~ 29 ℃, the lower limit reference value may be set to 26 ℃, the upper limit reference value is 29 ℃. The appropriate humidity of the larval rearing room may be set to 60%.

상기 우화실의 적정온도 범위는 25~28℃이고, 하한기준값은 25℃, 상한 기준값은 28℃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유충 사육실의 적정습도 는 60%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우화실의 사육 시간은 1~2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of the allegory chamber is 25 ~ 28 ℃, the lower limit reference value may be set to 25 ℃, the upper limit reference value to 28 ℃. The appropriate humidity of the larval rearing room may be set to 60%. Breeding time of the allegory room may be set to 1-2 weeks.

상기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모듈화된 항온항습 모듈(42)을 처리하여 상기 항온 항습 장치(60)를 컨트롤할 수 있다.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thermo-hygrostat device 60 by processing the thermo-hygrostat module 42 modularized by a software program.

상기 항온항습 모듈은, 먼저, 프로세서가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위치하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온도범위와 습도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데이터가 설정 범위보다 높은 경우 가습히터(62), 증발기(63) 또는 히터(64)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데이터가 설정 범위보다 낮은 경우 가습히터(62), 증발기(63) 또는 히터(64)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odule, first, a processor receives data from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located at the scattering unit, breeding unit, and allegorical unit, and the processor compares the data with a preset temperature range and humidity rang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heater 62, the evaporator 63 or the heater 64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or humidity data is higher than the set range, or to humidify the measured temperature or humidity data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or humidity data is lower than the set range. Operating the heater 62, the evaporator 63, or the heater 64.

상기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모듈화된 조도 모듈(43)을 처리하여 LED(17)를 컨트롤할 수 있다.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LED 17 by processing a module of illuminance module 43 by a software program.

상기 조도 모듈은, 먼저, 프로세서가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위치하는 조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조도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측정된 조도 데이터가 설정 범위보다 높은 경우 LED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 측정된 조도 데이터가 설정 범위보다 낮은 경우 LED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lluminance module may include: first, a processor receiving data from an illuminance sensor positioned at each of the scattering part, the breeding part, and the allegorical part, and comparing the data with a preset illuminance range by the processor; measured illuminance data May stop operating the LED when the value is higher than the set range, and turn on the LED when the measured illuminance data is lower than the set range.

상기 사육모듈은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의 사육 기간을 설정하고 사육 기간의 경과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The breeding module sets the breeding period of the scattering unit, breeding unit and allegory unit and informs the user whether the breeding period has elapsed.

예를 들면, 상기 사육모듈은 타이머와 경보부를 구비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즉,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산란부의 가동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2~4일 간격으로 설정된 상기 타이머의 설정 시간이 종료되면 알림부저(경보부)를 작동하여 관리자에게 사육이 종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For example, the breeding module may be a system having a timer and an alarm unit. That is, the system is provided with a timer for measur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scattering unit, and when the set time of the timer set in the interval of 2 to 4 days can operate a notification buzzer (alarm) to notify the manager that the breeding is finished. .

또는, 상기 시스템은 내부에 타이머가 구비된 제어부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모듈화된) 사육모듈을 처리하여 경보를 울리게 하거나 관리자 단말로 문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ystem may process a breeding module (modulated as a software program) to a control unit having a timer therein so as to sound an alarm or transmit a text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상기 디스플레이부(45)는 상기 본체(50)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온도, 습도, 사육시간을 표시할 수 있고, 비이상적으로 온도나 습도가 높거나 낮을 경우 이를 알려주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45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50.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current temperature, humidity, and breeding time, and may include a lamp that informs of non-ideally high or low temperature or humidity.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상기 본체 외면에 형성된 입력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사육조건(온도, 습도, 시간 등)을 설정 변경 할 수 있다. The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modu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input module may set and change breeding conditions (temperature, humidity, time, etc.) according to a user's touch or manipulation.

입력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The input module is configured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in the form of a single touch panel (or touch screen) to simultaneously perform input and display functions.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46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r terminal.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3)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1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성충이 산란한 알과 곤충분을 하부로 투과하는 제 1 분리망(13), 상기 제 1 분리망 하면에 접촉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산란유도 배지가 들어있으며 산란된 알을 보관하는 제 1 수거망(14), 상기 격벽(1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15) 및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16)를 구비하는 산란부(10) ;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2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2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유충이 사육되는 제 2 분리망(23) 및 상기 격벽(2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25),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26)를 구비하는 유충 사육부(20) ;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3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번데기가 놓여지는 제 3 분리망(33) 및 상기 격벽(3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35),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36)을 구비하는 우화부(30) ;
상기 항온항습 챔버(15, 25, 35) 내부에 각각 위치하여 설정온도와 습도를 제공하는 복수의 항온 항습 장치(50) ; 및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위치하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온도와 습도와 비교하여 상기 항온 항습 장치(5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A housing 11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partition 12 separating the space of the housing into two, located inside the housing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partition wall, the eggs and insect powder spawning adult The first separation net 13 penetrating to the lower side, the first collecting net 14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paration net, there is a scattering induction medium and stores the scattered eggs 14, the partition 12 A scattering portion (10)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15) formed by side walls of the housing and through portions (16) formed i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such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d air in the chamber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hamber;
A housing 21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partition wall 22 separating the space of the housing into two, a second separation network located inside the housing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partition wall, wherein the larvae are bred ( 23) and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25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22 and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and through parts 26 formed i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so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d air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hamber. Larva breeding unit 20;
A housing 31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partition wall 32 separating the space of the housing into two, a third separation network located inside the housing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partition wall, the pupa is placed ( 33) and a constant temperature / humidity chamber 35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32 and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and through parts 36 formed i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so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 humidity controlled air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hamber. Fable portion 30;
A plurality of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s (50) positioned in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s (15, 25, 35), respectively, to provide a se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nd a controller 40 for receiving data from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located in the scattering, breeding, and allegorizing unit, and controlling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50 by comparing the data with a preset temperature and humidity.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saving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산란부의 가동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2~4일 간격으로 설정된 상기 타이머의 설정 시간이 종료되면 알림부저를 작동하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comprises a timer for measur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scattering unit, and for the unit cost reduction including an alarm for operating the alarm buzzer when the set time of the timer set at intervals of 2 to 4 days Automated continuous insect mass produc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위치하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온도와 습도와 비교하여 히터, 증발기를 온오프하는 항온 항습 모듈 ;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위치하는 조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조도와 비교하여 LED 등을 온오프하는 조도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constant temperature / humidity module for receiving data from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respectively positioned in the scattering unit, breeding unit and allegorical unit, and comparing the data with a preset temperature and humidity to turn on / off a heater and an evaporator;
Receiving data from the illumination sensor located in the scattering unit, breeding unit and allegory unit respectively, and compares the data with a predetermined illumination intensity on the automatic continuous insect for reducing the unit price including an illumination driving module on and off Mass production system.
KR1020180073721A 2018-06-27 2018-06-27 Automatic and continuous inse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KR1021330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721A KR102133085B1 (en) 2018-06-27 2018-06-27 Automatic and continuous inse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721A KR102133085B1 (en) 2018-06-27 2018-06-27 Automatic and continuous inse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40A true KR20200001140A (en) 2020-01-06
KR102133085B1 KR102133085B1 (en) 2020-07-13

Family

ID=6915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721A KR102133085B1 (en) 2018-06-27 2018-06-27 Automatic and continuous inse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0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787A (en) * 2021-06-30 2023-01-06 홍소현 Heating humidifier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supply in insect breeding groun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683B1 (en) * 2009-06-03 2009-11-23 박성남 Apparatus and method for brine shrimp collection device
KR101665359B1 (en) * 2012-04-27 2016-10-24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Environment test device
KR20170103070A (en) * 2016-03-02 2017-09-13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the black soldier fly
KR101828287B1 (en) * 2017-08-04 2018-02-12 김원준 Manufacturing system for diptera insect and cast of diptera inse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683B1 (en) * 2009-06-03 2009-11-23 박성남 Apparatus and method for brine shrimp collection device
KR101665359B1 (en) * 2012-04-27 2016-10-24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Environment test device
KR20170103070A (en) * 2016-03-02 2017-09-13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the black soldier fly
KR101828287B1 (en) * 2017-08-04 2018-02-12 김원준 Manufacturing system for diptera insect and cast of diptera inse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787A (en) * 2021-06-30 2023-01-06 홍소현 Heating humidifier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supply in insect breeding gr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085B1 (en)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horeau et al. Nutritional ecology beyond the individual: a conceptual framework for integrating nutrition and social interactions
Pallini et al. Predators induce interspecific herbivore competition for food in refuge space
US5133289A (en) Artificial system and method for breeding fleas
Navarro-Campos et al. Impact of factitious foods and prey on the oviposition of the predatory mites Gaeolaelaps aculeifer and Stratiolaelaps scimitus (Acari: Laelapidae)
US20180168133A1 (en) Self-harvesting sustaining feed system for aquaponics
Gigon et al. Biological control of Tetranychus urticae by Phytoseiulus macropilis and Macrolophus pygmaeus in tomato greenhouses
Strodl et al. Social familiarity modulates group living and foraging behaviour of juvenile predatory mites
JP2003259761A (en) Breeding device
Read et al. Culturing chelifers (Pseudoscorpions) that consume Varroa mites
KR102260548B1 (en) Life Cycle Integration System for Breeding Black Soldier Fly
KR20200001140A (en) Automatic and continuous inse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US11690367B2 (en) Arthropod trap and extermination method
Zhang et al.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adults and progeny of the predaceous mite Lasioseius japonicus (Acari: Blattisociidae) fed on the cereal mite Tyrophagus putrescentiae (Acari: Acaridae)
Jumaev et al. In vitro mass reproduction of parasitic entomophages (Braconidae, Trichogrammatidae)
CN112913787A (en) Intensive cultivation device and method for adult hermetia illucens
Wang et al. Cannibalism of parasitoid‐attacked conspecifics in a non‐carnivorous caterpillar
Clemmensen et al. Dormancy cues alter insect temperature–size relationships
CN109644947A (en) A kind of cultural method of Predacious function
Tan et al. Light dependency of life trails, reproduction, locomotion, and predation in the polyphagous ladybird H ippodamia variegata
Napiórkowska et al. Thermal preferences of two spider species: an orb-web weaver and a synanthropic funnel-web weaver
CN212184772U (en) Heisui river horsefly adult breeding box
US5544621A (en)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live insects to fish
Zhang et al. Development,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a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 Lasioseius japonicus Ehara (Acari: Blattisociidae), on eggs of Drosophila melanogaster (Diptera: Drosophilidae) and Sitotroga cerealella (Lepidoptera: Gelechiidae)
CN204047648U (en) One is fed esculent swift Multifunctional insect cultivation cage
Dupray et al. Population dynamics of a poultry hematophagous mite: characterization of the population growth and identification of factors of its slowdown using closed mesoco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