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092U - 전동 마스크 - Google Patents

전동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092U
KR20200001092U KR2020180005322U KR20180005322U KR20200001092U KR 20200001092 U KR20200001092 U KR 20200001092U KR 2020180005322 U KR2020180005322 U KR 2020180005322U KR 20180005322 U KR20180005322 U KR 20180005322U KR 20200001092 U KR20200001092 U KR 202000010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mask
motor
ai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이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용 filed Critical 이정용
Priority to KR2020180005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092U/ko
Publication of KR202000010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electric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마스크의 일측에 들숨과 날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형성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면 전동모터등의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게 되어 들숨일 때에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도록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이 회전하게 하고 날숨일 때에는 모터가 마스크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하도록 팬(fan)이 회전하게 하며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에는 필터를 형성하여 필터를 통하여 작동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동 마스크{Electromotion mask}
본 고안의 기술분야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압전소자등 들숨 날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전동모터와 필터등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먼지등으로 인해서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마스크에 의해서 코와 입이 상당 부분 차단되기 때문에 숨쉬기가 답답해 지는 문제가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호흡 곤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고안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마스크의 일측에 들숨과 날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형성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면 전동모터등의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게 되어 들숨일 때에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도록 모터가 회전하게 하고 날숨일 때에는 모터가 마스크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하되 필터를 형성하여 필터를 통하여 작동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효과는 미세먼지등으로 인해서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마스크에 의해서 코와 입이 상당 부분 차단되기 때문에 숨쉬기가 답답해 지는 문제가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호흡 곤란이 해소되고 호흡하는데 마스크에 의한 공기 유입과 유출이 전동 모터에 의하여 원할하게 마치 마스크를 쓰지 않은 것처럼 호흡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마스크의 일측에 들숨과 날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형성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면 전동모터등의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게 되어 들숨일 때에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도록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이 회전하게 하고 날숨일 때에는 모터가 마스크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하도록 팬(fan)이 회전하게 하며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에는 필터를 형성하여 필터를 통하여 작동되게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마스크의 일측에 1개 이상의 전동모터등의 액추에이터를 형성하여 동작시키게 되어 1개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도록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이 회전하게 하고 또 다른 1개는 모터가 마스크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하도록 팬(fan)이 회전하게 하는 것이며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에는 필터를 형성하여 필터를 통하여 작동되게 하는 것이다.
도 3은 모터와 팬(fan)은 일체로서 목에 걸 수 있도록 줄등으로 걸도록 형성되고 스위치는 모터와 팬과 배터리가 있는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모터와 팬(fan)이 일체로 된 공기의 흡입 배출부는 배관을 통하여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과 마스크와 연결되며 배관이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을 통하여 마스크 위를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막은 막과 마스크 사이를 통하여 공기가 사람의 입안으로 흡입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시도로서
마스크와 같은 형태의 흡입 배관의 일측에 들숨과 날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형성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면 전동모터등의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게 되어 들숨일 때에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도록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이 회전하게 하고 날숨일 때에는 모터가 마스크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하도록 팬(fan)이 회전하게 하며
팬(fan) 앞에 필터가 부착되도록 벨크로 테이프 등의 부착구로 필터를 부착시키고 팬(fan)의 바람이 배관을 향하도록 4면중에서 3면을 바람 막이로 막게 하고 팬(fan)은 줄이 형성되어 목에 걸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시도로서
마스크와 같은 형태의 흡입 배관의 일측에 들숨과 날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형성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면 전동모터등의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게 되어 들숨일 때에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도록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이 회전하게 하고 날숨일 때에는 모터가 마스크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하도록 팬(fan)이 회전하게 하며
팬(fan) 앞에 필터가 부착되도록 벨크로 테이프 등의 부착구로 필터를 부착시키되 선풍기의 바람이 일정 방향을 향하도록 4면중에서 3면을 바람 막이로 막게 하되 필터를 팬(fan)과 일정한 각도가 형성되게 하여 공기가 팬(fan)을 통하여 유입되고 유출되어 필터에 부딪힌 뒤에 배관으로 유입되게 형성하는 것이다.
1 : 마스크 2 : 센서
3 : 제어부 5 : 전동모터
10 : 필터 15 : 배터리부
20 : 팬(fan) 21 : 스위치
22 : 줄 23 : 배관
25 : 마스크 막 26 : 바람의 방향
27 : 바람막이 28 : 각도

Claims (22)

  1. 마스크의 일측에 들숨과 날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형성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면 전동모터등의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게 되어 들숨일 때에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도록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이 회전하게 하고 날숨일 때에는 모터가 마스크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하도록 팬(fan)이 회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2. 제 1항에서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에는 필터를 형성하여 필터를 통하여 작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3. 제1항의 센서는 압전소자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4. 마스크의 일측에 1개 이상의 전동모터등의 액추에이터를 형성하여 동작시키게 되어 공기를 흡입하게 되도록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이 회전하게 하거나
    1개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도록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이 회전하게 하고 또 다른 1개는 모터가 마스크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하도록 팬(fan)이 회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5. 제 4항에서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에는 필터를 형성하여 필터를 통하여 작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한 항에 있어서
    모터와 팬(fan)은 일체로서 목에 걸 수 있도록 줄등으로 걸도록 형성되고 들숨과 날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마스크의 일측에 형성되며 모터와 팬(fan)이 일체로 된 공기의 흡입 배출부는 배관을 통하여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과 마스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7. 제 6항에 있어서 배관이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을 통하여 마스크 위를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막은 막과 마스크 사이를 통하여 공기가 사람의 입안으로 흡입 배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8.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한 항에 있어서
    모터와 팬(fan)은 일체로서 목에 걸 수 있도록 줄등으로 걸도록 형성되고 들숨과 날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마스크의 일측에 부착하여 형성되도록 하며 모터와 팬(fan)이 일체로 된 공기의 흡입 배출부는 배관을 통하여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과 마스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와 일반 마스크를 결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배관이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을 통하여 마스크 위를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막은 막과 마스크 사이를 통하여 공기가 사람의 입안으로 흡입 배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와 일반 마스크를 결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한 항에 있어서
    모터와 팬(fan)은 일체로서 목에 걸 수 있도록 줄등으로 걸도록 형성되고 들숨과 날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마스크의 일측에 부착하여 형성되도록 하며 모터와 팬(fan)이 일체로 된 공기의 흡입 배출부는 배관을 통하여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과 마스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11. 제 10항에 있어서 배관이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을 통하여 마스크 위를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막은 막에 마스크의 사이를 통하여 공기가 사람의 입안으로 흡입 배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12. 제 4항 내지 제 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개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도록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이 회전하게 하고 또 다른 1개는 모터가 마스크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하도록 팬(fan)이 회전하게 하는 경우에 일정시간 주기로 모터가 정회전과 역회전이 되게 하는 스위치로 작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13. 제 4항과 제 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터와 팬(fan)은 일체로서 목에 걸 수 있도록 줄등으로 걸도록 형성되고 스위치는 모터와 팬과 배터리가 있는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모터와 팬(fan)이 일체로 된 공기의 흡입 배출부는 배관을 통하여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과 마스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14. 제 13항에 있어서 배관이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을 통하여 마스크 위를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막은 막과 마스크 사이를 통하여 공기가 사람의 입안으로 흡입 배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15. 제 4항과 제 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터와 팬(fan)은 일체로서 목에 걸 수 있도록 줄등으로 걸도록 형성되고 스위치는 모터와 팬과 배터리가 있는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모터와 팬(fan)이 일체로 된 공기의 흡입 배출부는 배관을 통하여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과 마스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와 일반 마스크를 결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배관이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을 통하여 마스크 위를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막은 막과 마스크 사이를 통하여 공기가 사람의 입안으로 흡입 배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와 일반 마스크를 결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
  17. 제 4항과 제 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
    모터와 팬(fan)은 일체로서 목에 걸 수 있도록 줄등으로 걸도록 형성되고 스위치는 모터와 팬과 배터리가 있는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모터와 팬(fan)이 일체로 된 공기의 흡입 배출부는 배관을 통하여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과 마스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18. 제 17항에 있어서 배관이 일체로 된 모터와 팬(fan)을 통하여 마스크 위를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막은 막에 마스크의 사이를 통하여 공기가 사람의 입안으로 흡입 배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마스크.
  19. 마스크와 같은 형태의 흡입 배관의 일측에 들숨과 날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형성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면 전동모터등의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게 되어 들숨일 때에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도록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이 회전하게 하고 날숨일 때에는 모터가 마스크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하도록 팬(fan)이 회전하게 하며
    팬(fan) 앞에 필터가 부착되도록 벨크로 테이프 등의 부착구로 필터를 부착시키고 팬(fan)의 바람이 배관을 향하도록 4면중에서 3면을 바람 막이로 막게 하고 팬(fan)은 줄이 형성되어 목에 걸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전동마스크.
  20. 마스크와 같은 형태의 흡입 배관의 일측에 들숨과 날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형성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면 전동모터등의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게 되어 들숨일 때에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도록 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이 회전하게 하고 날숨일 때에는 모터가 마스크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하도록 팬(fan)이 회전하게 하며
    팬(fan) 앞에 필터가 부착되도록 벨크로 테이프 등의 부착구로 필터를 부착시키되 선풍기의 바람이 일정 방향을 향하도록 4면중에서 3면을 바람 막이로 막게 하되 필터를 팬(fan)과 일정한 각도가 형성되게 하여 공기가 팬(fan)을 통하여 유입되고 유출되어 필터에 부딪힌 뒤에 배관으로 유입되게 형성하며 팬(fan)은 줄이 형성되어 목에 걸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전동마스크.
  21. 전원부의 스위치를 ON함에 의하여 전동모터등의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게 되어 전동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이 회전하게 하고
    마스크와 같은 형태의 흡입 배관의 일측에 들숨과 날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형성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면
    공기가 전면으로 나가게 되는 팬의 앞면 또는 뒷면에는 필터가 형성되고 팬의 앞면에는 마스크에 연결되는 흡입배관이 형성되고 흡입배관의 일측에는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어 흡입구는 마스크와 전동모터와 팬과 연결되지만 배기구는 마스크와는 연결되지만 전종모터와팬과는 연결되지 않으며
    들숨과 날숨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하여 들숨일 경우는 흡입배관의 구멍이 열리고 배출배관의 구멍이 닫히고 날숨일 경우는 흡입배관의 구멍이 닫히고 배출하는 구멍이 열리게 되도록 구멍의 뚜껑이 작동되도록 제어부에서 신호가 출력되며
    출력된 신호에 따라서 작동되는 동작기구에 의해서 흡입구와 배기구의 뚜껑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전동마스크.
  22. 제 21항에서 전동모터와 일체로된 팬(fan)은 목에 거는 줄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목에 걸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전동마스크.

KR2020180005322U 2018-11-19 2018-11-19 전동 마스크 KR202000010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22U KR20200001092U (ko) 2018-11-19 2018-11-19 전동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22U KR20200001092U (ko) 2018-11-19 2018-11-19 전동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92U true KR20200001092U (ko) 2020-05-27

Family

ID=7086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322U KR20200001092U (ko) 2018-11-19 2018-11-19 전동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09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021A (ko) 2021-07-08 2023-01-17 박태호 이륜차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거리 측정기 및 이어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021A (ko) 2021-07-08 2023-01-17 박태호 이륜차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거리 측정기 및 이어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7239B2 (en) Ventilation system for a protective suit
JP2017516546A (ja) 能動型通気システムを装着するための一方向弁を有する呼吸装置
US20180110946A1 (en) Air impeller device for providing assisted ventilation during spontaneous breathing
JP2007151823A (ja) 携帯型空調装置のアタッチメントならびに携帯型空調装置
KR20160129562A (ko) 공기흡입형 마스크
JP2017501781A (ja) 能動的通気システム及び呼吸装置
WO2019223627A1 (zh) 一种便携式气体供应装置及呼吸辅助系统
KR20200001092U (ko) 전동 마스크
JP5823799B2 (ja) ブロワー付マスク装置
CN204838108U (zh) 单向输气开放式口罩
KR20200001635U (ko) 전동 마스크
CN212491201U (zh) 一种口罩
SG2013097183A (en) Respiratory devices
KR20200001682U (ko) 전동 마스크
KR20190002528U (ko) 전동 마스크
JP3780455B2 (ja) ブロワー付マスク装置
CN206372408U (zh) 便携式鼻罩
KR20200002037U (ko) 전동 마스크
CN110354410A (zh) 双向换气阀及具有该双向换气阀的排风面罩
JP3726894B2 (ja) ブロワー付マスク装置
KR20200001984U (ko) 전동 마스크
KR102337725B1 (ko) 싸이클론을 활용한 음압마스크
KR20210000260U (ko) 전동 마스크
KR20210000277U (ko) 전동 마스크
RU140615U1 (ru) Полнолицевая мас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