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082U -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 - Google Patents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082U
KR20200001082U KR2020180005302U KR20180005302U KR20200001082U KR 20200001082 U KR20200001082 U KR 20200001082U KR 2020180005302 U KR2020180005302 U KR 2020180005302U KR 20180005302 U KR20180005302 U KR 20180005302U KR 20200001082 U KR20200001082 U KR 202000010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frame
opening
closing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미현
Original Assignee
강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미현 filed Critical 강미현
Priority to KR2020180005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082U/ko
Publication of KR20200001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1Photograph stands made of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에 관한 것으로서, 앨범의 일측에 액자를 일체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사진의 보관 및 전시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진이 보관되어지는 다수의 내지(10')가 구비된 앨범본체(10)와, 상기 앨범본체(10)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앨범하우징(20)과, 상기 앨범하우징(20)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진 개폐커버(20')로 구성되는 앨범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20')에는 사진의 전시가 가능한 액자프레임(30)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ALBUM STRUCTURE HAVING FOLDING TYPE PICTURE FRAME}
본 고안은 앨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사진첩 앨범에 별도의 액자 프레임을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서 사진의 보관 뿐만 아니라 스탠딩 액자형태의 전시가 가능한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이나 기타 서류 등을 분류 보관할 수 있는 앨범은 비교적 두꺼운 종이나 목재등으로 구성된 전·후면 표지 내부 중앙에 다수의 내지가 바인더에 의해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입학이나 졸업 등의 각종 기념일에 주로 사진을 찍고, 촬영한 사진을 보관하는 앨범은 하나의 앨범에 많은 사진을 넣허 보관할 수 있도록 대체적으로 크고 무겁게 제작되었으나, 현대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카메라가 장착된 핸드폰 등으로 평상시에도 많은 사진을 찍고 보관할 사진들은 앨범에 꽂아 보관을 하는데, 언제나 간편히 볼 수 있도록 작은 싸이즈로 가볍게 제작되고 외관도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앨범은 사진을 보관할 수 있는 기능만이 구비되어 있고, 사진을 삽입한 앨범은 주로 케이스에 끼워 책장등에 꽂아 보관함으로써 보관 외의 기능이 추가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책상이나 테이블의 위에 사진을 삽입한 액자를 놓고 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언제나 사진을 통해 볼 수 있으나. 이러한 액자의 경우에는 사진을 그때 그때 바꿀 수 없어 늘 같은 사진을 보게 되거나, 사진을 바꾸기 위해서 따로 보관되어 있는 앨범에서 사진을 꺼내어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35333호(2007.01.10.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43999호(2007.07.24.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앨범내에 절첩 형태의 액자 프레임을 일체로 구비시켜서 내부에 보관되는 사진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하여 전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액자기능과 앨범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사진이 보관되어지는 다수의 내지가 구비된 앨범본체와, 상기 앨범본체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앨범하우징과, 상기 앨범하우징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진 개폐커버로 구성되는 앨범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에는 사진의 전시가 가능한 액자프레임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자프레임은 개폐커버와 동일한 크기를 이룸으로서 삼각형 형태로 스탠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앨범과 액자가 일체화된 구조를 이룸으로서 사진의 보관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보관되는 사진에 대한 관심도가 증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액자의 설치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앨범의 보관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 외관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 앨범의 펼침과정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앨범의 액자 설치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앨범의 액자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앨범을 완전히 펼친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앨범의 내지를 펼친 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부 상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 앨범의 액자 설치상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B부 확대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벨크로테이프 부착부분의 분리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앨범은, 사진이 보관되어지는 다수의 내지(10')가 구비된 앨범본체(10)와, 상기 앨범본체(10)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앨범하우징(20)과, 상기 앨범하우징(20)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진 개폐커버(20')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앨범본체(10)는 기존의 일반적인 앨범 구조를 이루게 되며, 앨범하우징(20)은 사각의 함체형 구조를 이루어 앨범본체(10)의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앨범본체(10)의 일측에 개폐커버(20')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개폐커버(20')에 사진의 전시가 가능한 사각 형상의 액자프레임(30)이 절첩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 구비된다.
즉, 액자프레임(30)은 개폐커버(20')의 내측에서 개폐커버(20')와 동일한 크기를 이루도록 제작됨으로서 펼쳐서 세웠을 때 삼각형 형태로 스탠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앨범하우징(20)에는 액자프레임(30)의 일단부가 걸려질 수 있는 걸림턱(21)이 구비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의 앨범은 앨범본체(10)를 앨범하우징(20) 내에 보관하는 가운데 필요에 따라 사진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폐커버(20')를 열고서 앨범본체(10)를 펼쳐서 내지(10')에 보관중인 사진의 확인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내지(10')에 보관중인 사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액자프레임(30)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액자프레임(30)을 스탠딩 형태로 세워주게 되면 액자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개폐커버(20')를 열고서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액자프레임(30)을 앨범하우징(20)의 걸림턱(21) 부위에 위치시키게 되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어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설치가 이루어진 액자프레임(30)에 앨범본체(10)에 보관중인 사진을 선택하여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게 됨으로, 사진의 보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액자와 앨범이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서 눈에 보이는 위치에 앨범이 항상 위치되어져 있기 때문에 수시로 앨범에 보관중인 사진의 확인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걸림턱(21)에는 액자프레임(30) 일단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우레탄 재질의 미끄럼 방지층(21a)이 코팅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액자프레임(30)을 세우기 위하여 걸림턱(21) 부위에 걸쳐놓았을 때 미끄럼 방지층(21a)과의 마찰력 작용으로 인해 미끄러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액자프레임(30)이 보다 안정적인 설치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액자프레임(30)의 일단부에는 절첩 가능한 거치부(31)가 일체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31) 및 이와 대응되는 앨범본체(10)에는 상호 착탈이 가능하도록 벨크로테이프(12,32)가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액자프레임(30)을 세워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거치부(31)가 앨범본체(10)와 면접촉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됨으로 보다 안정적인 설치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거치부(31)와 앨범본체(10)는 상호간에 벨크로 테이프(12,32)에 의해 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주변 충격으로 인해 액자프레임(30)이 다시 접혀지면서 개폐커버(20')가 닫혀지는 등의 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내부액자가 구비된 앨범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액자프레임이 사각의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액자프레임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삼각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앨범본체 10': 내지
20 : 앨범하우징 20': 개폐커버
21 : 걸림턱 21a: 미끄럼방지층
30 : 액자프레임

Claims (5)

  1. 사진이 보관되어지는 다수의 내지(10')가 구비된 앨범본체(10)와, 상기 앨범본체(10)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앨범하우징(20)과, 상기 앨범하우징(20)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진 개폐커버(20')로 구성되는 앨범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20')에는 사진의 전시가 가능한 액자프레임(30)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자프레임(30)은 개폐커버와 동일한 크기를 이룸으로서 펼쳤을 때 삼각형 형태로 스탠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앨범하우징(20)에는 액자프레임(30)의 일단부가 걸려질 수 있는 걸림턱(2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1)에는 액자프레임(30) 일단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우레탄 재질의 미끄럼 방지층(21a)이 코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자프레임(30)의 일단부에는 절첩 가능한 거치부(31)가 일체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31) 및 이와 대응되는 앨범본체(10)에는 상호 착탈이 가능하도록 벨크로테이프(12,32)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
KR2020180005302U 2018-11-19 2018-11-19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 KR202000010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02U KR20200001082U (ko) 2018-11-19 2018-11-19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02U KR20200001082U (ko) 2018-11-19 2018-11-19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82U true KR20200001082U (ko) 2020-05-27

Family

ID=7086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302U KR20200001082U (ko) 2018-11-19 2018-11-19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08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446B1 (ko) * 2022-05-09 2022-07-11 한국학술정보 주식회사 액자 겸용 앨범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333B1 (ko) 2001-11-13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어시스트 그립 핸들 구조
KR100743999B1 (ko) 2006-06-27 2007-07-30 손창일 포켓이 구비된 앨범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333B1 (ko) 2001-11-13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어시스트 그립 핸들 구조
KR100743999B1 (ko) 2006-06-27 2007-07-30 손창일 포켓이 구비된 앨범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446B1 (ko) * 2022-05-09 2022-07-11 한국학술정보 주식회사 액자 겸용 앨범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5513S1 (en) Mobile phone
USD592435S1 (en) Gift wrapping storage box with a deployable shelf
US9323135B1 (en) Multi-function foldable support arm
USD888549S1 (en) Small foldable snap box
KR20200001082U (ko) 절첩식 액자 프레임이 구비된 앨범
USD888548S1 (en) Large foldable snap box
KR200491463Y1 (ko) 내부 액자가 구비된 앨범
US20090300960A1 (en) Picture storage protection unit
JP3103884U (ja) アルバム兼用写真立て
KR102317801B1 (ko) 앨범테이블
US2884727A (en) Filing case
KR200356658Y1 (ko) 액자와 빗 수납구가 부설된 거울 케이스
KR20130006641U (ko) 점착식 상장 케이스
KR101243700B1 (ko) 탁상용 입체 달력
KR100985852B1 (ko) 종이를 접어서 만든 스탠드 카드 및 그 제작 방법
KR20130003022U (ko) 앨범
KR200441255Y1 (ko) 접이식 액자
KR101143271B1 (ko) 액자 겸용 앨범
KR200357553Y1 (ko) 액자가 구비된 앨범
KR200440541Y1 (ko) 졸업 앨범
USD906403S1 (en) Camera mount assembly
JP2019137028A (ja) 簡易スタンド
KR200404516Y1 (ko) 다용도 휴대용 화장지 지갑
KR101425132B1 (ko) 사진 앨범용 케이스
JP6043905B2 (ja) 収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3119;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31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223

Effective date: 2021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