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922U - Apparatus for leaving a lighting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eaving a ligh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922U
KR20200000922U KR2020180004960U KR20180004960U KR20200000922U KR 20200000922 U KR20200000922 U KR 20200000922U KR 2020180004960 U KR2020180004960 U KR 2020180004960U KR 20180004960 U KR20180004960 U KR 20180004960U KR 20200000922 U KR20200000922 U KR 202000009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housing
gripping
gripping wire
separation device
ou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96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철주
Original Assignee
(주)헤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헤렘 filed Critical (주)헤렘
Priority to KR2020180004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922U/en
Publication of KR202000009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92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기구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하우징에 대해 내부 하우징을 작은 힘으로 쉽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내부 하우징의 상면을 감싸게 파지 와이어를 형성하고, 그 파지 와이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때를 제외하고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파지 와이어 고정편을 설치하여 조작 편의성이 높고, 디자인적으로 미려한 조명기구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uminaire separation device, except for when the gripping wire is formed to wrap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so that the inner housing can be easily removed with a small force relative to the outer housing, and when the gripping wire is to be us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ture separating device that is easy to operate and has a beautiful design by installing a gripping wire fixing piece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조명기구 분리장치{APPARATUS FOR LEAVING A LIGHTING DEVICE}Lighting equipment separation device {APPARATUS FOR LEAVING A LIGHTING DEVICE}

본 고안은 조명기구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외부 하우징에 대해 내부 하우징을 작은 힘으로 쉽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내부 하우징의 상면을 감싸게 파지 와이어를 형성하고, 그 파지 와이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때를 제외하고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파지 와이어 고정편을 설치하여 조작 편의성이 높고, 디자인적으로 미려한 조명기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separation device, in more detail to form a gripping wire to wrap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so that the inner housing can be easily removed with a small force relative to the outer housing, and when the gripping wire is to be used. Except, it is related to a lighting device separating device having a high operational convenience and design, by installing a gripping wire fixing piece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작은 면적이지만 강한 조도를 발생시키는 LED 전구의 출현으로 인해 다양한 인테리어가 가능해진 실정이다.As is well known, in recent years, various interiors are possible due to the appearance of LED bulbs that generate a small area but strong illuminance.

또한, 모던한 스타일의 인테리어를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지면서 조명도 그러한 디자인적 트랜드에 발맞춰서 콤팩트한 외형으로 변모되고 있다.In addition, as the tendency to pursue modern style interiors has increased, lighting has been transformed into a compact appearance in line with such a design trend.

일반적인 조명장치는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 하우징은 천정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어져 있거나 또는 천장 매립형으로 구성되는 2가지 타입으로 생산되며, 내부 하우징은 외부 하우징에 대해 자석이나 클립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서 결합되어져 있고, 필요시 이탈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다.A general lighting device is composed of an inner housing and an out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is fixed to a ceiling through a separate fixing member or is produced in two types of ceiling-mounted type, and the inner housing is a magnet or clip for the outer housing. It is coupled through a coupling member such as, and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if necessary.

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조명장치도 모던한 디자인적 트랜드에 따라서 콤팩트하게 바뀌고 있는 바,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간격도 매우 협소해지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recently, the lighting device is also being compactly changed according to a modern design trend, and the gap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is also very narrow.

따라서,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결합과 분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조명기구의 고장 등의 유지보수시 전체 수리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since it takes a lot of time to combine and separate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conomical because it takes a lot of repair time for maintenance such as failure of the lighting fixture.

또한, 단순히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분리가 용이해지게 하는 것보다는 디자인적으로도 수려하면서도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분리가 용이해지게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structure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while also being beautiful in design, rather than simply separating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외부 하우징에 대해 내부 하우징을 작은 힘으로 쉽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내부 하우징의 상면을 감싸게 파지 와이어를 형성하고, 그 파지 와이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때를 제외하고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파지 와이어 고정편을 설치하여 조작 편의성이 높고, 디자인적으로 미려한 조명기구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of the prior art, and when a gripping wire is formed to wrap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so that the inner housing can be easily detached with a small force, and when the gripping wire is to be us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ture separating device having high operational convenience and design that is easy to operate by installing a gripping wire fixture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천정에 고정 케이블(6)을 통해 고정되거나 또는 천정에 매입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상단 내부 하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착판(14)이 구성된 외부 하우징(12)과, 상기 외부 하우징(12)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그 상면 소정부에 상기 부착판(14)에 대응되는 자석과 같은 결합부재(8)가 구성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12)에 대해 착탈되게 구성된 내부 하우징(4)으로 이루어진 조명장치에 대해; 상기 내부 하우징(4)의 상면을 덮을 수 있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손가락을 끼워넣어서 하방으로 당길 수 있는 파지 고리(36)가 형성된 파지 와이어(30) 및; 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22)를 가지며, 상기 파지 와이어(30)를 덮어서 내부 하우징(4)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그 양측의 고정 클립부(28)에 각각 파지 와이어(30)가 삽입되는 제 2절개부(25)가 형성되고, 몸체(22)의 중앙 소정부에 “ㄷ”자 형상의 제 1절개부(24)가 형성되며, 제 1절개부(24)로 인해 몸체(22)와 연장되고 상기 파지 와이어(3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홀더(26)가 형성된 파지 와이어 고정편(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분리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eiling through a fixed cable (6) or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is embedded in the ceiling, the upper inner bottom surface is made of a metal attachment plate (14) The outer housing 12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12, and a coupling member 8 such as a magnet corresponding to the attachment plate 14 is form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2) for a lighting device consisting of an inner housing (4)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 gripping wire 30 formed by bending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 and having a grip ring 36 capable of pulling downward by inserting fingers at both ends; It has a body 22 made of a plate shape, and the gripping wires 30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clip portions 28 on both sides so as to cover the gripping wires 30 and fix the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 Two incisions (25) are formed, a first incision (24) in the shape of a “c” shape is formed at a central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22), and the body (22) and the first incision (24) A fixture separation devic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gripping wire holding piece (20) extending and pressing the gripping wire (30) downward.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 와이어(30)는 몸체(32)가“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 중앙 소정부가 반원 형상으로 절곡된 돌출부(34)가 구성되며, 상기 파지 와이어 고정편(20)에 구성된 홀더(26)의 탄성력에 의해 상시 내부 하우징(4)의 상면에 그 돌출부(34)가 눕혀져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분리장치가 제공된다.Preferably, the gripping wire 30 is formed of a body 32 having a “U” shape and a protrusion 34 bent in a semicircular shape at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end thereof, to the gripping wire fixing piece 20. A luminaire separation devic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ng portion (34) is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figured holder (26).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 와이어(30)는 상시 상기 외부 하우징(12)과 내부 하우징(4)의 사이로 돌출되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분리장치가 제공된다.Preferably, the gripping wire 30 is provided with a lighting fixture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always protrude between the outer housing 12 and the inner housing 4.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 와이어 고정편(20)의 홀더(26)는 그 끝단에 상기 파지 와이어(30)의 돌출부(34)가 반대방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돌부(26a)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분리장치가 제공된다.Preferably, the holder 26 of the gripping wire fixing piece 20 has an exit preventing protrusion 26a for preventing the protrusion 34 of the gripping wire 30 from pass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its end. A lighting device separation device is provided, which is formed to protrude.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는 콤팩트한 최근의 조명기구 트랜드에 부합되면서 동시에 천정에 고정된 외부 하우징에 대해 내부 하우징을 쉽게 이탈시킬 수 있어서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고, 다양한 내부 하우징으로 교체하는 것도 매우 용이하여 다양한 조명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luminaire sepa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orms to the compact and recent luminaire trend, and at the same time, it is easy to remove the inner housing against the outer housing fixed to the ceiling, making maintenance very easy, and also replacing it with various inner housings. It is very easy to enjoy various lighting.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가 장착된 조명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 구성된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장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 구성된 외부 하우징의 일부와 내부 하우장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 포함된 내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를 구성하는 파지 와이어 고정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를 구성하는 파지 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 8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1 is a main part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device equipped with a lighting devic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configured i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configured i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housing included i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ping wire fixing piece constituting the lighting fixtur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ipping wire constituting the lighting fixtur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devic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lighting devic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가 장착된 조명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 구성된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장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 구성된 외부 하우징의 일부와 내부 하우장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 포함된 내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를 구성하는 파지 와이어 고정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를 구성하는 파지 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main part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device equipped with a lighting devic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ounting state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configured i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sectional view show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configured i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included i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housing,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ping wire fixing piece constituting the lighting fixtur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6b is a lighting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ping wire constituting a separation device,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devic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10)는 외부 하우징에 대해 내부 하우징을 작은 힘으로 쉽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내부 하우징의 상면을 감싸게 파지 와이어를 형성하고, 그 파지 와이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때를 제외하고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파지 와이어 고정편을 설치하여 조작 편의성이 높고, 디자인적으로 미려한 장치이다. Referring to this, the lighting fixture separ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ripping wire to wrap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so that the inner housing can be easily detached with a small force relative to the outer housing, and the gripping wire It is a device that is easy to operate and has a beautiful design by installing a gripping wire fixing piece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except when it is desired to use.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10)는 조명장치(2)에 구성된 부가 장치로서, 콤팩트하게 구성된 조명장치(2)는 천정에 고정 케이블(6)을 통해 고정되거나 또는 천정에 매입되게 구성되며 상단 내부 하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착판(14)이 구성된 외부 하우징(12)과, 상기 외부 하우징(12)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그 상면 소정부에 상기 부착판(14)에 대응되는 자석과 같은 결합부재(8)가 구성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12)에 대해 착탈되게 구성된 내부 하우징(4)으로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the lighting device separ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dditional device configured in the lighting device 2, and the lighting device 2 configured in a compact manner is fixed to the ceiling through a fixing cable 6 The outer housing 12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ceiling or is made of metal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upper end, and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12, and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 coupling member 8 such as a magnet corresponding to the plate 14 is formed, and is made of an inner housing 4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housing 12.

이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10)는 파지 와이어(30)와 파지 와이어 고정편(20)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lighting fixture separ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gripping wire 30 and a gripping wire fixing piece 20.

상기 파지 와이어(30)는 상기 내부 하우징(4)의 상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손가락을 끼워넣어서 하방으로 당길 수 있는 파지 고리(36)가 형성된다.The gripping wire 30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 and a gripping ring 36 capable of pulling downward by inserting fingers at both ends is formed.

즉, 상기 파지 와이어(30)는 몸체(32)가“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하우징(4)의 상면과 측면을 덮도록 장착되어 있으므로 파지 고리(36)에 작업자가 손가락을 넣어서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고정된 상기 외부 하우징(12)에 대해 상기 내부 하우징(4)이 이탈되게 된다.That is, the gripping wire 30 has a body 32 in a “c” shape, and is mounted to cover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inner housing 4, so that the operator puts a finger in the gripping ring 36 When pulled downward, the inner housing 4 is released relative to the fixed outer housing 12.

한편, 상기 파지 와이어 고정편(20)은 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22)를 가지며, 상기 파지 와이어(30)를 덮어서 내부 하우징(4)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그 양측의 고정 클립부(28)에 각각 파지 와이어(30)가 삽입되는 제 2절개부(25)가 형성되고, 몸체(22)의 중앙 소정부에 “ㄷ”자 형상의 제 1절개부(24)가 형성되며, 제 1절개부(24)로 인해 몸체(22)와 연장되고 상기 파지 와이어(3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홀더(26)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gripping wire fixing piece 20 has a body 22 made of a plate shape, and covers the gripping wire 30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 and the fixing clip portions 28 on both sides thereof A second incision 25 into which the gripping wire 30 is respectively inserted is formed, and a first incision 24 in the shape of a “c” shape is formed in a central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22, and the first incision is made. Due to the portion 24, a holder 26 extending from the body 22 and pressing the gripping wire 30 downward is formed.

보다 상세하게, 상기 파지 와이어(30)는 몸체(32)가“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 중앙 소정부가 반원 형상으로 절곡된 돌출부(34)가 구성되며, 상기 파지 와이어 고정편(20)에 구성된 홀더(26)의 탄성력에 의해 상시 내부 하우징(4)의 상면에 그 돌출부(34)가 눕혀져 있게 된다.In more detail, the gripping wire 30 has a body 32 having a “c” shape and a protrusion 34 bent in a semicircular shape at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end thereof, and the holding wire fixing piece 20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holder 26 configured in, the protruding portion 34 is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 at all times.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부(34)는 상기 몸체(32)에 대해 일정각도로 절곡되는 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4)는 그 측단면상 상기 몸체(32)에 대해 일정각도로 절곡되어져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부(34)는 상시(常時) 상기 내부 하우징(4)의 상면에 면(面)접촉되도록 절곡되어져 있다.Preferably, the protrusion 34 is bent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dy 32, and as shown in FIG. 6B, the protrusion 34 is bent at a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body 32 on its side cross-section. More preferably, the protrusion 34 is bent so as to make a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 at all times.

또한, 상기 파지 와이어(30)는 상시 상기 홀더(26)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게 되므로 상기 외부 하우징(12)과 내부 하우징(4)의 사이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gripping wire 30 is always press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holder 26, it does not protrude between the outer housing 12 and the inner housing 4.

한편, 상기 파지 와이어 고정편(20)의 홀더(26)는 그 끝단에 상기 파지 와이어(30)의 돌출부(34)가 반대방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돌부(26a)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져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older 26 of the gripping wire fixing piece 20 has an exit preventing protrusion 26a for preventing the protruding portion 34 of the gripping wire 30 from pass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its end. It is formed.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functions and functions of the lighting fixtur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a, 8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8A and 8B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lighting devic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천정에 고정 케이블(6)을 통해 고정되며 상단 내부 하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착판(14)이 구성된 외부 하우징(12)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12)의 내부에 내부 하우징(4)이 삽입되면, 그 내부 하우징(4)의 상면 소정부에 자석과 같은 결합부재(8)가 상기 부착판(14)에 부착되어 내부 하우징(4)이 고정된다. First, the inner housing (4) inside the outer housing (12), with the outer housing (12) fixed to the ceiling through a fixed cable (6) and having an attachment plate (14) made of metal installed on the upper inner bottom ) Is inserted, a coupling member 8 such as a magnet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plate 14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 to fix the inner housing 4.

그 상태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4)내의 조명부품이나 LED 조명 등에 고장이 발생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4)을 이탈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등의 걸림부재(40)를 이용해서 상기 파지고리(36)를 밀어내린다.In this stat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lighting component or LED light in the inner housing 4 and the inner housing 4 needs to be detached, the locking member 40 such as a ruler is shown as shown in FIG. 8A. Using this, the pagori 36 is pushed down.

그러면, 상기 파지 고리(36)가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상기 파지 와이어(30)의 몸체(32) 양측이 상기 돌출부(34)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Then, both sides of the body 32 of the gripping wire 30 are rotated relative to the protrusion 34 while the gripping ring 36 moves downward.

그러면서, 상기 돌출부(34)가 상기 파지 와이어 고정편(20)의 홀더(26)를 상방으로 밀어내면서 탄성력을 극복하게 되는 바, 그 상태는 도 8b와 같이 상기 파지 와이어 고정편(20)에 대해 상기 파지 와이어(30)가 수직인 상태가 된다.In the meantime, the protrusion 34 overcomes the elastic force while pushing the holder 26 of the gripping wire fixing piece 20 upwards, and the state thereof is relative to the gripping wire fixing piece 20 as shown in FIG. 8B. The gripping wire 30 is in a vertical state.

그 상태에서, 작업자는 양손의 손가락을 상기 파지 와이어(30)의 파지 고리(36)에 끼워넣고,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부착판(14)과 결합부재(8)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내부 하우징(4)이 외부 하우징(12)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In that state, the operator inserts the fingers of both hands into the grip ring 36 of the gripping wire 30 and pulls downward to release the attachment plate 14 and the coupling member 8 while the inner housing is released. (4) is released from the outer housing (12).

상기 내부 하우징(4)이 이탈되게 되어 상기 파지 고리(36)에 끼워진 손가락을 빼내면서 그 힘을 제거하면 상기 파지 와이어 고정편(20)의 홀더(26)가 원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력이 작용되어 상기 돌출부(34)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When the inner housing 4 is detached and the force is removed while pulling out the finger inserted in the grip ring 36, the elastic force to restore the holder 26 of the gripping wire fixing piece 20 to its original state is applied. The protrusion 34 is pressed downward.

그러면, 상기 돌출부(34)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돌출부(34)는 상기 내부 하우징(4)의 상면에 면(面)접촉되게 눌려지고, 그로인해 상기 파지 고리(36)는 도 8a와 같은 상태로, 상기 내부 하우징(4)의 하단으로부터 상부 위치로 올려지게 된다.Then, as the protrusion 34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protrusion 34 is pressed against the top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 so that the grip ring 36 is shown in FIG. 8A. In the same state, it is raised from the bottom of the inner housing 4 to the upper position.

따라서, 상기 내부 하우징(4)을 다시 상기 외부 하우징(12)에 요입하면 상기 파지 고리(36)가 노출되지 않게 되어 디자인적으로 미려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inner housing 4 is again recessed in the outer housing 12, the grip ring 36 is not exposed, and thus is beautiful in design.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분리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ing devic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2:조명장치, 4:내부 하우징,
8:결합부재, 10:조명기구 분리장치,
12:외부 하우징, 20:파지 와이어 고정편,
24:제 1절개부, 25:제 2절개부,
26:홀더, 28:고정 클립부,
30:파지 와이어, 32:와이어 몸체,
34:돌출부, 36:파지고리.
2: Lighting device, 4: Internal housing,
8: Coupling member, 10: lighting fixture separation device,
12: outer housing, 20: gripping wire fixture,
24: first incision, 25: second incision,
26: holder, 28: fixed clip portion,
30: gripping wire, 32: wire body,
34: projecting portion, 36: pagoda.

Claims (4)

천정에 고정 케이블(6)을 통해 고정되거나 또는 천정에 매입되게 구성되며 상단 내부 하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착판(14)이 구성된 외부 하우징(12)과, 상기 외부 하우징(12)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그 상면 소정부에 상기 부착판(14)에 대응되는 자석과 같은 결합부재(8)가 구성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12)에 대해 착탈되게 구성된 내부 하우징(4)으로 이루어진 조명장치에 대해;
상기 내부 하우징(4)의 상면을 덮을 수 있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손가락을 끼워넣어서 하방으로 당길 수 있는 파지 고리(36)가 형성된 파지 와이어(30) 및;
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22)를 가지며, 상기 파지 와이어(30)를 덮어서 내부 하우징(4)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그 양측의 고정 클립부(28)에 각각 파지 와이어(30)가 삽입되는 제 2절개부(25)가 형성되고, 몸체(22)의 중앙 소정부에 “ㄷ”자 형상의 제 1절개부(24)가 형성되며, 제 1절개부(24)로 인해 몸체(22)와 연장되고 상기 파지 와이어(3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홀더(26)가 형성된 파지 와이어 고정편(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분리장치.
The outer housing 12 is fixed to the ceiling through a fixed cable 6 or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ceiling and has an attachment plate 14 made of metal on the upper inner lower surface, and is inserted into the outer housing 12. For a lighting device composed of an inner housing 4 which is coupled, but has a coupling member 8 such as a magnet corresponding to the attachment plate 14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housing 12 ;
A gripping wire 30 formed by bending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 and having a grip ring 36 capable of pulling downward by inserting fingers at both ends;
It has a body 22 made of a plate shape, and the gripping wires 30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clip portions 28 on both sides so as to cover the gripping wires 30 and fix the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 Two incisions (25) are formed, a first incision (24) in the shape of a “c” shape is formed at a central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22), and the body (22) and the first incision (24) Lighting fixture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gripping wire fixing piece 20 is formed extending and pressing the gripping wire 30 downwar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와이어(30)는 몸체(32)가“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 중앙 소정부가 반원 형상으로 절곡된 돌출부(34)가 구성되며, 상기 파지 와이어 고정편(20)에 구성된 홀더(26)의 탄성력에 의해 상시 내부 하우징(4)의 상면에 그 돌출부(34)가 눕혀져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ping wire 30 is formed of a body 32 having a “c” shape and a protrusion 34 bent in a semicircular shape at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end thereof, and a holder formed on the gripping wire fixing piece 20 Lighting fixture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34 is ly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 at all times by the elastic force of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와이어(30)는 상시 상기 외부 하우징(12)과 내부 하우징(4)의 사이로 돌출되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ping wire 30 is a fixture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always protrude between the outer housing 12 and the inner housing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와이어 고정편(20)의 홀더(26)는 그 끝단에 상기 파지 와이어(30)의 돌출부(34)가 반대방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돌부(26a)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26 of the gripping wire fixing piece 2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preventing protrusions 26a for preventing the protrusions 34 of the gripping wires 30 from passing in opposite directions at its ends. Lighting apparatus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2020180004960U 2018-11-01 2018-11-01 Apparatus for leaving a lighting device KR2020000092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960U KR20200000922U (en) 2018-11-01 2018-11-01 Apparatus for leaving a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960U KR20200000922U (en) 2018-11-01 2018-11-01 Apparatus for leaving a ligh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22U true KR20200000922U (en) 2020-05-11

Family

ID=7061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960U KR20200000922U (en) 2018-11-01 2018-11-01 Apparatus for leaving a ligh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922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6549B2 (en) Duct rail
JP5235161B2 (en) lighting equipment
KR101420351B1 (en) The electric shoch preventing equipment for a lighting apparatus
JP6414775B2 (en) Luminaire and renewal method of luminaire
JP6004476B2 (en) LED lighting fixture installation / fall prevention device
US20190242559A1 (en) Ceiling fitting with a lighting module
KR20200000922U (en) Apparatus for leaving a lighting device
KR101085225B1 (en) LED fluorescent lamp assembly
JP5703445B2 (en) lighting equipment
JP6493675B2 (en) lighting equipment
KR101783106B1 (en) Apparatus mounting for lighting lamp
JP6695138B2 (en) Lighting device and light source unit
JP2017079204A (en) Lighting device, arrangement structure of lighting device, and light-emitting unit
JP6650747B2 (en) Light source unit and lighting device
JP6566342B2 (en) Connector, power supply device, and lighting fixture
JP6410172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JP2015011880A (en) Lighting fixture
JP6278686B2 (en) Connecting mechanism and lighting fixture
KR200400419Y1 (en) Wire connecting socket for illuminator
JP2019106257A (en) Lighting apparatus
JP6822265B2 (en) Power supply and lighting equipment
JP5743447B2 (en) Waterproof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fixture using the waterproof lighting device
JP4525934B2 (en) lighting equipment
JP6289186B2 (en) Socket cover mounting mechanism and socket cover and lighting fixture
JP6624804B2 (en) lighting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