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868U -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 - Google Patents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868U
KR20200000868U KR2020180004818U KR20180004818U KR20200000868U KR 20200000868 U KR20200000868 U KR 20200000868U KR 2020180004818 U KR2020180004818 U KR 2020180004818U KR 20180004818 U KR20180004818 U KR 20180004818U KR 20200000868 U KR20200000868 U KR 202000008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pain
protective layer
pcb
l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어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어라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어라이브
Priority to KR2020180004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868U/ko
Publication of KR202000008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9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physical therapy, e.g. cold or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27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biological activity, e.g. enzymes for debriding wounds or others, collagen or growth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리콘 고무 재질의 보호 레이어, 상기 보호 레이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보호 레이어 저면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LED, 상기 LED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PCB, 상기 PCB를 커버하고, 상기 복수의 LED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은박시트, 실리콘과 하이드로겔 혼합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은박시트를 커버하는 접착 시트, 상기 접착 시트를 커버하는 하이드로겔 접착 레이어, 및 상기 하이드로겔 접착 레이어를 커버하는 이형지 필름을 포함하는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LED PAIN AND INFLAMMATION RELIEF PATCH}
본 고안은 LED 광 테라피를 이용하여 통증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에 관한 것이다.
광의 세기가 낮은 적색광 및 근적외선 광을 이용한 광 테라피가 여러가지 질병의 치료를 위하여 개발된 이래 광테라피 효과에 대한 임상 시험 결과에 대한 논문이 1000여편 이상 발표되었다. 특히,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낮은 세기의 적색광 및 근적외선을 인체의 필요한 부위에 조사함으로써 통증완화, 염증완화, 주름개선, 상처치유, 모발 증가 등의 효과가 있다는 내용의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며, 적색광 및 근적외선을 이용한 광테라피 방법은 미국 FDA에서도 하가되었다. 이와 같은 적색광 및 근적외선을 이용한 광치료법이 점차 다양한 질병의 치료를 위한 비약물적인 방법의 하나로 광치료 효과가 다른 치료방법에 비하여 안전하고 후유증이 없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830나노 미터의 광의 경우 피부 피하층(SUBCUTANEOUS LAYER)까지 침투하고, 633 내지 450 나노미터의 광은 피부 깊이 2~3mm 진피까지 침투하며, 414 나노미터 광은 0.1~0.3mm 표피까지 침투한다.
도 2 는 저출력 광테라피에 의해 생성된 세포 신호 전달 경로의 개략도로 빛이 미토콘드리아의 CCO에 흡수되면 ATP 생성이 증가되며 동시에 활성산소(ROS)와 산화질소 (NO) 등이 생성된다.
한편, 파스라고 불리며 피부에 접착시켜 사용하는 소염 진통제용 패치가 있는데 형태와 특성에 따라 첩부재(plaster)와 습포제(cataplasma)로 나뉘어진다. 패치는 한쪽면에는 소염진통 효과를 내는 약제가 발라져 있고 다른쪽에는 신축성있는 섬유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패치는 피부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한쪽면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거나 별도의 접착성 필름을 쓰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6-0080962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9-0046603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9-0106958호
QaseemA,. Wilt T.J., McLean R.M., ForcieaM.A., Clinical Guidelines Committee of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Noninvasive Treatments for Acute, Subacute, and Chronic Low Back Pain: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66, No.7, 2017, pp.514-530 Nick Lane, Power Games, Nature, Vol. 443, pp.901
본 고안은 패치와 광 테라피용 LED를 일체화 시켜 하이드로겔을 이용하여 피부에 직접 붙임으로써 광원과 피부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광의 손실을 줄임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LED 발광 모듈을 안정적으로 피부에 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리콘 고무 재질의 보호 레이어, 상기 보호 레이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보호 레이어 저면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LED, 상기 LED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PCB, 상기 PCB를 커버하고, 상기 복수의 LED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은박시트, 실리콘과 하이드로겔 혼합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은박시트를 커버하는 접착 시트, 상기 접착 시트를 커버하는 하이드로겔 접착 레이어, 및 상기 하이드로겔 접착 레이어를 커버하는 이형지 필름을 포함하는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LED 발광 모듈이 실리콘 보호레이어와 접착 레이어 사이에 수용되어 안정적으로 사용자 피부에 광테라피를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반복적인 사용에도 약효가 떨어지지 않아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 시킬 수 있는 작용 효과가 기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실리콘 보호 레이어와 접착 레이어의 효과적인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통증 또는 염증이 발생한 환자의 통증 또는 염증 부위에 패치를 부착하여 적색광 및 근적외선을 함께 통증 및 염증 부위에 조사하여 광테라피로 통증 및 완화시킬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도 1의 광 파장의 크기에 따른 피부 침투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저출력광치료에 의해 생성된 세포 신호 전달 경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3에 도시된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의 레이어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의 PCB의 이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PCB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레이어의 성형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 는 도 3에 도시된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의 레이어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의 PCB의 이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PCB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레이어의 성형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는 실리콘 고무 재질의 보호 레이어(100), 상기 보호 레이어(10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보호 레이어 저면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LED(220,230), 상기 LED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240), 상기 전원부(24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250)가 설치되는 PCB(200), 상기 PCB를 커버하고, 상기 복수의 LED(220,230)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은박시트(300), 실리콘과 하이드로겔 혼합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은박시트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접착 시트(400), 상기 접착 시트(400)를 커버하는 하이드로겔 접착 레이어(500), 및 상기 하이드로겔 접착 레이어(500)를 커버하는 이형지 필름(600)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 레이어(100)는 원형의 실리콘 고무 박막으로 형성되고, 저면은 중심 영역으로 갈수록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중심 영역에 상기 PCB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의 볼록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PCB(200)가 수용된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 레이어(100)는 에지에서 수평면에 대하여 12°상측으로 기울어진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레이어는 스위치(250)에 상응하는 위치에 스위치용 돌부(130)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돌부(130) 저면에 배치되는 스위치(250)를 조작하여 LED(220,23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돌부(130) 좌우에 on/off 또는 온오프에 해당하는 도형을 양각으로 형성할 수 있다.
PCB(200)의 기판(210)은 FPCB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B(200)는 보호 레이어(100)와 접촉되는 면 이면에 LED(220,230)가 배치되고, 보호레이어(100)와 접촉되는 면에 전원부(240) 및 스위치(250)가 배치된다. 복수의 LED는 적색 LED(230)와 IR LED(220)를 포함한다. 적색 LED(230)은 63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염증 완화 효과를 가져온다. IR LED(220)는 85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통증 완화 효과를 가져온다. LED(220,230) 광에 의한 광테라피 효과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하이드로겔 접착 레이어(500)는 상기 보호 레이어(100)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하여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보호 레이어(100)가 PCB(200)와 함께 피부에 부착되도록 한다. 접착 시트(400)는 은박시트(300)보다 크고 상기 하이드로겔 접착 레이어(50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접착 시트(400)는 실리콘 고무에 접착력이 낮은 하이드로겔 접착 레이어(500)를 보호 레이어(100)와 안정적으로 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실리콘 고무 레이어와 PCB의 무게에도 안정적으로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가 피부에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부에 대한 접착력 강화를 위하여 보조 시트(7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시트(700)는 피부에 대한 통기성 및 피부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시트로 형성되고, 중심 영역에 보호 레이어(100)의 PCB에 상응하는 영역이 삽입될 수 있도록 통공(710)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의 (b)와 같이 보호 레이어(100)와 결합하게 된다. 보조 시트(700)의 저면에는 피부에 접착 및 이탈이 용이한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를 피부에 부착하고, LED를 턴온하여 피부에 조사하면 세포 조직내의 색소포(Chromophore) 또는 광수용기(Photon acceptor)에 흡수되어 세포 조직내 활성산소(ROS)와 아데노신(ATP) 합성을 증가시킨다. 600~900nm 파장 범위의 적색광 및 근적외선에 노출된 세포는 산화질소를 방출한다. ROS는 유전자 생산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절한 시간과 주기로 선택된 파장의 광은 세포내 씨토크롬(Cytochrome C Oxidase)와 같은 광수용기에 의하여 흡수된다. 이는 억제 NO를 광분해하고 효소 활성화를 촉진하며, 미토콘드리아의 대사와 ATP 생성을 촉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헤모글로빈, 미오글로빈과 같은 단백질이 부가적인 NO를 방출하고 이것은 연속적인 세포내 생화학 반응으로 이어진다. 결과적으로 세포의 대사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져 통증 완화 및 염증 완화에 LED 광이 큰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세포가 노쇠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병이 들었을 때에는 세포안의 미토콘드리아에서 ATP의 생성이 어렵게 된다. 이때에 세포에 광을 조사하면 세포 안에 있는 발전소인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CCO에서 빛을 흡수하여 ATP의 생성을 도와주게 된다. 이를 통해 세포가 다시 건강해질 수 있다.
세포에 광을 조사하면 광이 세포막을 투과하여 미토콘드리아의 CCO에 흡수되어 ATP의 생성이 활성화되며 이와함께 산화질소와 활성산소가 발생된다. 이때 생성된 산화질소는 혈관을 확장시켜 광이 조사된 영역의 혈액의 순환을 증가시키며 산화질소와 활성산소는 이를 신호로 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쇠한 세포나 스트레스를 받는 세포에 낮은 세기의 적색광 및 근적외선을 조사하면 세포 안에서 신진대사가 활성화되어 세포 기능의 정상화에 도움이 된다. 특히 건강하지 않은 상태의 세포 조직은 건강한 세포 조직에 비하여 보다 빨리 LED 광에 반응하며 미숙한 상태에 있는 세포에 대하여 광테라피는 보다 자극적인 세포 활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실리콘 고무 재질의 보호 레이어;
    상기 보호 레이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보호 레이어 저면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LED, 상기 LED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PCB;
    상기 PCB를 커버하고, 상기 복수의 LED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은박시트;
    실리콘과 하이드로겔 혼합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은박시트를 커버하는 접착 시트;
    상기 접착 시트를 커버하는 하이드로겔 접착 레이어; 및
    상기 하이드로겔 접착 레이어를 커버하는 이형지 필름을 포함하는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레이어는 원형의 실리콘 고무 박막으로 형성되고, 저면은 중심 영역으로 갈수록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중심 영역에 상기 PCB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PCB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레이어는 에지에서 수평면에 대하여 12°상측으로 기울어진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는 적색 LED와 IR LED를 포함하는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는 63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LED와 85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LED를 포함하는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접착 레이어는 상기 보호 레이어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 시트는 상기 은박시트보다 크고 상기 하이드로겔 접착 레이어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
KR2020180004818U 2018-10-23 2018-10-23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 KR202000008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818U KR20200000868U (ko) 2018-10-23 2018-10-23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818U KR20200000868U (ko) 2018-10-23 2018-10-23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68U true KR20200000868U (ko) 2020-05-06

Family

ID=7061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818U KR20200000868U (ko) 2018-10-23 2018-10-23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868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962A (ko) 2005-01-06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측정 거리 표시 장치
KR20090046603A (ko) 2007-11-06 2009-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트래픽 포워딩 장치 및 방법
KR20090106958A (ko) 2008-04-07 2009-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962A (ko) 2005-01-06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측정 거리 표시 장치
KR20090046603A (ko) 2007-11-06 2009-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트래픽 포워딩 장치 및 방법
KR20090106958A (ko) 2008-04-07 2009-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ick Lane, Power Games, Nature, Vol. 443, pp.901
QaseemA,. Wilt T.J., McLean R.M., ForcieaM.A., Clinical Guidelines Committee of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Noninvasive Treatments for Acute, Subacute, and Chronic Low Back Pain: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66, No.7, 2017, pp.514-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35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cellulite with the combination of low level light, ultrasound, and vacuum
US8252033B2 (en) Phototherapy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US20130041432A1 (en) Device for promoting growth of eyebrow hair
US20130178919A1 (en) Disposable skin care device
US20110264174A1 (en) Light Emmitting Apparatus
JP2004527362A (ja) 毛包の活動を刺激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50135618A (ko) 치료 또는 미용용 발광모듈
KR101932579B1 (ko) 피부관리기
US20190126060A1 (en) Eyewear phototherapy device for eye cosmetology
US202200620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cellulite with the combination of low level light, ultrasound, and vacuum
KR20150083588A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두피마사지기
KR20200000868U (ko) Led 통증 및 염증 완화 패치
KR101960857B1 (ko) 스킨 테라피 장치
TW201204425A (en) Face mask having light emitting elements
KR20130133970A (ko) 저주파 및 아이피엘을 이용한 치료용 마스크
TWM479139U (zh) 具光照美容效果的臉部護膚裝置
US20050192650A1 (en) Hand-held device for ameliorating skin imperfections using LED light emissions
TWM581919U (zh) Headgear type laser light therapy device
KR20210082663A (ko) 입술용 엘이디 미용 장치
KR102210736B1 (ko) 마사지 도구
US20200113778A1 (en) Biophotonic mask instru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381031B1 (ko) 광 파워밀도 조절이 용이한 다채널 광 자극 시스템
KR20230111282A (ko) 가임기 여성의 질염, 자궁냉증 및 통증 치료를 위한 체내 삽입형 다중파장 광선요법의 개인용 치료기기
KR200338733Y1 (ko)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피부 미용기가 부착된 화장품 용기
BR202012033571U2 (pt) Dispositivo flexível emissor de luz para tratamento de feridas cutân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