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765U - Assembly tape fence for baby - Google Patents

Assembly tape fence for ba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765U
KR20200000765U KR2020180004290U KR20180004290U KR20200000765U KR 20200000765 U KR20200000765 U KR 20200000765U KR 2020180004290 U KR2020180004290 U KR 2020180004290U KR 20180004290 U KR20180004290 U KR 20180004290U KR 20200000765 U KR20200000765 U KR 202000007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module
door
prefabricated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29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순란
Original Assignee
정순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란 filed Critical 정순란
Priority to KR2020180004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765U/en
Publication of KR202000007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76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6Children's play- pens dismoun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는, 다수의 울타리 모듈을 갖는 본체와, 상기 울타리 모듈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울타리 모듈을 90도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울타리 모듈을 120도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부재와, 그리고 상기 울타리 모듈을 180도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3 연결부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 상기 울타리 모듈을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놀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와 연결부를 간단한 끼움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 가능하여 조립 및 분해가 쉽고, 본체의 구조적 강도에 의해 조립 후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자립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보호자의 조작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되어 흥미를 유발시킴으로써 놀이의 즐거움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울타리의 형성 후 놀이 공간의 내부에서 본체의 울타리 모듈을 통해 외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아에게 놀이에 집중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정감을 심어줄 수 있다.
Prefab infant fences are disclosed. The prefabricated infant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fabricated infant fence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fence modules and a connection part that can connect the fence modules to each other, wherein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to connect the fence module at an angle of 90 degrees. And a first connecting member, a second connecting member formed to connect the fence module at an angle of 120 degrees, and a third connecting member formed to connect the fence module at an angle of 180 degre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play space of various shapes by connecting the fence modules by any one or more combinations selected from 1, 2 and 3 connecting me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imple fitting structure, so assembling and disassembly are easy, and by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secure a robust self-supporting ability to withstand external shocks after assembly, and to protect the guardian. By assembling in various shapes by causing interes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njoyment of play. In addition, by providing a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an external field of view through the fence module of the main body from the inside of the play area after the formation of the fence, it is possible to instill a psychological stability that allows the child to concentrate on play.

Description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ASSEMBLY TAPE FENCE FOR BABY}Prefab Baby Fence {ASSEMBLY TAPE FENCE FOR BABY}

본 고안은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유아의 안전한 놀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infant f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infant fence whose structure is improved so as to form a safe play area for an infant indoors.

일반적으로, 어린 아이들이 노는 동안에는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기어다니거나, 막 걸음마를 배운 유아는 사고 능력이 약하므로 보호자가 방심하는 사이에 안전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아이들이 노는 동안 보호자의 시야에서 멀리 벗어나지 않고 제한된 공간에서 놀도록 할 필요가 있다.Generally, various safety accidents may occur while children are playing. In particular, infants who are crawling or just learning to walk have a low probability of thinking, so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a safety accident will occur while the guardian is vigil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children play in a limited space without being far from the guardian's view while playing.

이러한 아이들을 위한 놀이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유아용 울타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아용 울타리는 복수의 울타리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울타리를 형성하도록 조립식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In order to form a play area for these children, an infant fence is used. Most of these infant fences are prefabricated so that a plurality of fence member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ingle fence.

하지만, 종래의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는 대부분 복잡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조립 및 분해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없어 보호자의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baby fence is formed of a complicated structure, and thus,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ease of assembly and disassembly,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guardian's skill is required.

또한, 종래의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조립 후 유아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쉽게 넘어짐으로써 안정적인 자립성이 유지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infant fence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us has a problem that stable self-reliance cannot be maintained by easily falling by an impact transmitted from an infant after assembly.

또한, 종래의 조립식 울타리는 제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조 및 형상의 다양성을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유아의 놀이 과정에서 즐거운 기분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fenc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formed in a limited shape, thereby failing to secure a variety of structures and shapes, thereby reducing a pleasant mood in a child's play process.

또한, 종래의 조립식 울타리는 외부 시야와 격리되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놀이 공간의 내부에서 외부 시야를 확보할 수 없어 유아에게 불안감을 심어주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fenc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at is isolated from the external field of view, so that an external field of view cannot be secured in the interior of the play area, thereby infusing anxiety to the infant.

KR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888호(2011년04월20일)KR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3888 (April 20, 2011) KR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889호(2011년04월20일)KR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3889 (April 20, 2011)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267호(2016년12월30일)KR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82267 (December 30, 2016) KR 등록특허공보 제10-1745271호(2017년06월01일)KR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45271 (June 1, 2017)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조립 및 분해가 쉽고, 조립 후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자립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보호자의 조작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는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infant fenc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can secure a robust independence to withstand external shocks after assembly, and can be assembled in various shapes by manipulation of a guardian.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울타리로 조성된 놀이 공간의 내부에서 외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심어줄 수 있는 조립식 유야용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lay fence that can instill psychological stability in an infant by allowing an external field of view to be secured inside a play area formed of a fence.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task,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울타리 모듈을 갖는 본체와, 상기 울타리 모듈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울타리 모듈을 90도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울타리 모듈을 120도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부재와, 그리고 상기 울타리 모듈을 180도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 3 연결부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 상기 울타리 모듈을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놀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에 의해 달성된다.The technical problem is a prefabricated infant fence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fence modules and a connection portion that can connect the fence modules to each other,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o connect the fence module at an angle of 90 degrees. It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a second connecting member formed to connect the fence module at an angle of 120 degrees, and a third connecting member formed to connect the fence module at an angle of 180 degrees, wherein the first, It is achieved by a prefabricated toddler fe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play space of various shapes by connecting the fence modules by any one or more combinations selected from 2 and 3 connecting members.

상기 울타리 모듈은, 상,하부에 서로 평행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상,하부 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상,하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ence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upper and lower frames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at least one support frame formed to connect and support the upper and lower frames with each oth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은, 상기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t least one support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상기 제1, 2, 3 연결부재는, 상기 울타리 모듈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자유단부가 끼움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양측에 끼움 연결홈과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울타리 모듈은, 상기 자유단부에 상기 걸림공과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울타리 모듈의 자유단부가 상기 끼움 연결홈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걸림공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members are provided with fitting connection grooves and locking holes on both sides so that free end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ence module can be fitted, and the fence modules are engaged with the free ends. A lock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ball is formed,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hole is locked when the free end of the fence module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connection groove.

상기 걸림돌기는, 볼스토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gaging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ball stopper.

상기 본체는, 상기 울타리 모듈 사이에 출입구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출입문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문 모듈은, 상기 울타리 모듈 사이에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출입문 지지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출입문 지지프레임에 힌지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출입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door module provided to form a doorway between the fence modules, and the door module includes a door support frame formed to b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fence modules, and the door support fra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o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member to the medium.

상기 출입문 모듈은, 상기 출입구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문의 자유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울타리 모듈과 연결되는 단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termittent member slidably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door to be connected to the fence module so as to control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door.

상기 출입문의 하부에는 회전제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문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회전제한돌기와 대응되는 돌기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출입문은 상기 회전제한돌기가 상기 돌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의 제한에 따라 개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otation restriction protrus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oor, and a protrusion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estriction protrusion is formed on the door support frame, and the door is restricted in rotation while the rotation restric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open according to.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와 연결부를 간단한 끼움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 가능하여 조립 및 분해가 쉽고, 본체의 구조적 강도에 의해 조립 후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자립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보호자의 조작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되어 흥미를 유발시킴으로써 놀이의 즐거움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par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imple fitting structure, so assembling and disassembly are easy, and by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secure a sturdy self-supporting ability to withstand external shocks after assembly, and to operate the guardian. By assembling in various shapes by causing interes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enjoyment of play.

또한, 울타리의 형성 후 놀이 공간의 내부에서 본체의 울타리 모듈을 통해 외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아에게 놀이에 집중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정감을 심어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an external field of view through the fence module of the main body in the interior of the play area after the formation of the fence,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instill a psychological stability that can focus on play to the toddl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의 본체에 마련된 울타리 모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울타리 모듈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출입문 모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출입문 모듈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의 연결부에 마련된 제1 연결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의 연결부에 마련된 제2 연결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의 연결부에 마련된 제3 연결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의 조립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ence module provided in the body of the prefabricated infant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ence module shown in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module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1.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oor module shown in FIG.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nn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baby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nn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baby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conn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baby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to 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fab baby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그리고 연결부(200)를 포함한다.Prefabricated baby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7, the main body 100, and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200.

본체(100)는 유아의 놀이를 위해 실내에서 외부와 독립된 다양한 형상의 놀이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울타리 모듈(110)과, 그리고 출입문 모듈(120)을 포함한다.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to form a play space of various shapes independent from the outside in the room for the play of a toddler, and includes a fence module 110 and a door module 120.

울타리 모듈(11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프레임(112, 114)과,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ence module 110 is configured to include upper and lower frames 112 and 114 and at least one support frame 116, as shown in FIGS. 1 and 2.

상,하부 프레임(112, 114)은 울타리 모듈(110)의 상,하부에 서로 평행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하부 프레임(112, 114)의 길이는 울타리의 놀이 공간의 형성을 위해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frames 112 and 114 are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ence module 110. At this time, the length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2 and 114 may be formed in various lengths to form a play area of the fence.

지지프레임(116)은 상,하부 프레임(112, 114)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16)은 상,하부 프레임(112, 114)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16)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에 의해 울타리의 놀이 공간에서 외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에게 놀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심리적 안정감을 심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가 울타리 모듈(110)에 의해 형성된 독립된 놀이 공간에서 외부 공간으로 쉽게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지지프레임(116)은 상,하부 프레임(112, 114) 사이에 유아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16 is formed to connect and support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2 and 114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upport frame 116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2 and 114. The support frame 116 can not only instill psychological stability in order to focus on play, but also allow the infant to pick up the fence module 110 by allowing the outside space to be secured in the play area of the fence by a structu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asy escape from the independent play space formed by) to the outside space. To this end, the support frame 11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2 and 114 at intervals such that an infant cannot pass.

또한, 울타리 모듈(110)은 상,하부 프레임(112, 114)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자유단부에 걸림돌기(118)가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118)는 볼스토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ence module 110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18 at the free ends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2 and 114. At this time, the locking projection 118 is formed of a ball stopper.

출입문 모듈(12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 모듈(110) 사이에 출입구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출입문 지지프레임(122)과, 그리고 출입문(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 and 4, the door module 120 is provided to form a doorway between the fence modules 110, and includes a door support frame 122 and a door 124.

출입문 지지프레임(122)은 울타리 모듈(110) 사이에 배치되고, 연결부(200)에 의해 울타리 모듈(11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The door support frame 122 is disposed between the fence modules 110 and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ence modules 110 by the connection part 200.

출입문(124)은 유아가 울타리 모듈(110)에 의해 형성된 실내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출입문(124)은 출입문 지지프레임(122)에 힌지부재(126)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출입문(124)은 출입문 지지프레임(122)에 힌지부재(126)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이에 따라 유아는 출입문(124)을 통해 울타리의 실내 공간으로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된다.The entrance door 124 is formed to allow infants to enter and exit the indoor space formed by the fence module 110. To this end, the door 12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support frame 122 via a hinge member 126. That is, the door 124 is coupled to the door support frame 122 so as to rotate about the hinge member 126, so that the infant can freely enter and exit the indoor space of the fence through the door 124.

또한, 출입문 모듈(120)은 출입문(124)의 자유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속부재(128)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단속부재(128)는 출입문(124)의 자유단부에서 보호자에 의해 슬라이딩 조작되어 이웃하는 울타리 모듈(110)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단속부재(128)의 조작에 의해 출입문(124)을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됨으로써 유아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oor module 120 further includes an intermittent member 128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door 124. The intermittent member 128 has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fence module 110 by sliding operation by a guardian at the free end of the door 124. Accordingly, the guardian can control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infant by being able to open or close the door 124 by the operation of the intermittent member 128.

또한, 출입문(124)의 하부에는 회전제한돌기(125)가 형성되고, 출입문 지지프레임(122)에는 회전제한돌기(125)와 대응되는 돌기 삽입홈(12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출입문(124)은 회전제한돌기(125)가 돌기 삽입홈(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의 제한에 따라 임의로 개방되지 않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rotation restriction protrusion 125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oor 124, and a protrusion insertion groove 123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estriction protrusion 125 is formed on the door support frame 122. Accordingly, the door 124 can secure a structure that is not arbitrarily opened according to the restriction of rotation while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125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123.

여기서 출입문(124)의 개방할 경우에는 단속부재(128)를 출입문(124) 방향으로 당겨 연결부(200)의 연결상태를 해제한 뒤, 출입문(124)을 상부 측으로 들어올려 회전제한돌기(125)와 돌기 삽입홈(123)의 걸림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출입문(124)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ere, when the door 124 is opened, the intermittent member 128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124 to releas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part 200, and then the door 124 is raised to the upper side to rotate the rotation limit protrusion 125. And by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projection insertion groove 123 is to be able to open the door 124.

상기한 단속부재(128)와, 그리고 회전제한돌기(125) 및 돌기 삽입홈(123)의 상호 유기적인 결합구조에 의한 출입문(124)의 단속 구조는 유아가 쉽게 조작할 수 없으므로, 보호자가 방심하는 경우에도 울타리의 실내 공간에서 놀이를 즐기는 유아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intermittent structure of the door 124 by the mutually organic coupling structure of the intermittent member 128 and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125 and the protruding insertion groove 123 cannot be easily operated by an infant, so the guardian is vigilan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outside departure of an infant who enjoys playing in the indoor space of the fence.

또한, 본체(100)는 목재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200)에 의해 연결된 후 유아의 놀이시 발생하는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자립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is formed of wood, and accordingly, after being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200, it is possible to secure a robust independence that can withstand the shock generated during play of an infant.

연결부(200)는 울타리 모듈(1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1 연결부재(210)와, 제2 연결부재(220)와, 그리고 제3 연결부재(230)를 포함한다.The connection part 200 is provided to connect the fence modules 110 to each other, and includes a first connection member 210, a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and a third connection member 230.

제1 연결부재(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 모듈(110)을 90도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연결부재(210)는 울타리 모듈(110)을 90도 각도로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서, 제1 연결부재(210)는 그 양측에 끼움 연결홈(212)과 걸림공(21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연결부재(210)에 의해 울타리 모듈(110)을 90도 각도로 연결시 울타리 모듈(11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자유단부는 끼움 연결홈(212) 내로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걸림돌기(118)는 걸림공(214)에 걸림되도록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210)는 울타리 모듈(110)와 쉬운 조립 구조를 제공하면서도 조립 후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 조립 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is formed to connect the fence module 110 at an angle of 90 degrees, as shown in FIG. 5. That i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has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fence module 110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this e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is formed with fitting grooves 212 and locking holes 214 on both sides thereof. When the fence module 110 is connected at an angle of 90 degrees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the free ends formed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ence module 110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connection groove 212,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protrusion ( 118) is coupled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214.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provides an easy assembly structure with the fence module 110, but it is possible to secure an assembly state that is not arbitrarily separated after assembly.

이와는 달리, 제1 연결부재(210)는 볼스토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118)의 누름 조작시 울타리 모듈(110)과의 걸림 상태가 쉽게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울타리 모듈(1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됨으로써 분해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Unlike this,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can easily be released from the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fence module 110 when the pressing protrusion 118 formed of a ball stopper is pressed. Accordingly,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ence module 110, thereby ensuring ease of disassembly.

한편, 제1 연결부재(210)와 울타리 모듈(110)을 연결한 뒤, 이들의 연결부위에 별도의 체결나사(도면에 미도시)를 조여 결합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fte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fence module 110, by tightening a separate fastening screw (not shown in the drawing) to their connecting portion may be maintained a more robust assembly state.

제2 연결부재(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 모듈(110)을 120도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2 연결부재(220)는 울타리 모듈(110)을 120도 각도로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서, 제2 연결부재(220)는 제1 연결부재(210)와 마찬가지로 그 양측에 끼움 연결홈(222)과 걸림공(22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연결부재(220)에 의해 울타리 모듈(110)을 120도 각도로 연결하는 구조는 전술한 제1 연결부재(210)에서 제시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is formed to connect the fence module 110 at an angle of 120 degrees, as shown in FIG. 6. That is,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has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fence module 110 at an angle of 120 degrees. To this e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lik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is formed with fitting grooves 222 and locking holes 224 on both sides thereof. The structure of connecting the fence module 110 at an angle of 120 degrees b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suggested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described above,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 연결부재(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 모듈(110)을 180도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3 연결부재(230)는 울타리 모듈(110)을 180도 각도로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서, 제3 연결부재(230)는 제1 연결부재(210) 및 제2 연결부재(220)와 마찬가지로 그 양측에 끼움 연결홈(232)과 걸림공(23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3 연결부재(230)에 의해 울타리 모듈(110)을 180도 각도로 연결하는 구조는 전술한 제1 연결부재(210) 및 제2 연결부재(220)에서 제시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third connecting member 230 is formed to connect the fence module 110 at an angle of 180 degrees, as shown in FIG. 7. That is, the third connecting member 230 has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fence module 110 at an angle of 180 degrees. To this e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230, lik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has fitting grooves 232 and locking holes 234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he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fence module 110 at an angle of 180 degrees by the third connection member 230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suggested b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description is omitted. I will do it.

이와 같이, 연결부(200)를 구성하는 제1, 2, 3 연결부재(210, 220, 230)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 울타리 모듈(110)을 연결함으로써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큰 정사각형, 기역자(ㄱ)형 등 다양한 형상의 놀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the fence module 110 by any one or more combinations selected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members 210, 220, and 230 constituting the connecting portion 200, square, rectangular, hexagonal, It is possible to form a play space of various shapes such as a large square and a translator (a).

즉, 제1 연결부재(210)는 울타리 모듈(110)과 연결되어 정사각형의 울타리를 갖는 놀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연결부재(220)는 울타리 모듈(110)과 연결되어 육각형의 울타리를 갖는 놀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is connected to the fence module 110 to form a play space having a square fence,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fence module 110 to form a hexagonal fence It is possible to form a play space having a.

제1 연결부재(210)와 제3 연결부재(230)는 상호 조합에 의해 울타리 모듈(110)과 연결되어 직사각형, 큰 정사각형, 기역자(ㄱ)형의 울타리를 갖는 놀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230 may be connected to the fence module 110 by mutual combination to form a play space having a rectangular, large square, or translator-shaped fence. .

여기서 본체(100)는 울타리 모듈(110)과 연결부(200)에 의해 출입구가 형성되지 않도록 연결되거나 또는 울타리 모듈(110) 사이에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출입문 모듈(120)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출입문 모듈(120)은 울타리의 조립시 울타리 모듈(110) 사이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Here, the main body 100 may be connected so that the doorway is not formed by the fence module 110 and the connection part 200 or the doorway module 120 may be connected so that the doorway is formed between the fence modules 110. That is, the door module 120 has a structure that is selectively assembled as needed between the fence modules 110 when assembling the fence.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의 다양한 조립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assembled states of the prefabricated infant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마련된 울타리 모듈(110)과 연결부(200)에 마련된 제1 연결부재(210)를 연결하여 조립함으로써 정사각형의 울타리를 갖는 놀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100)에 마련된 출입문 모듈(120)은 울타리 모듈(110) 사이에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by connecting and assembling the fence module 11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provided in the connection part 200, a play space having a square fence can be formed. Will be. In this case, the door module 12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may be selectively assembled between the fence modules 11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마련된 울타리 모듈(110)과 연결부(200)에 마련된 제2 연결부재(220)를 연결하여 조립함으로써 육각형의 울타리를 갖는 놀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100)에 마련된 출입문 모듈(120)은 울타리 모듈(110) 사이에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by connecting and assembling the fence module 11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200, a play area having a hexagonal fence can be formed. Will be. In this case, the door module 12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may be selectively assembled between the fence modules 110.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마련된 울타리 모듈(110)과 연결부(200)에 마련된 제1 연결부재(210) 및 제3 연결부재(230)를 조합에 의해 연결하여 조립함으로써 직사각형, 큰 정사각형, 기역자(ㄱ)형의 울타리를 갖는 놀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100)에 마련된 출입문 모듈(120)은 울타리 모듈(110) 사이에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10 to 12, the fence module 110 provided on the main body 100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230 provided on the connecting portion 200 are connected by a combination By assembling, it is possible to form a play area having a rectangular, large square, and translator-shaped fence. In this case, the door module 12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may be selectively assembled between the fence modules 110.

이외에도, 본체(100)에 마련된 울타리 모듈(110)과 연결부(200)의 제1, 2, 3 연결부재(210, 220, 230)를 조합에 의해 연결하여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울타리를 갖는 놀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ence module 11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members 210, 220, and 230 of the connection part 200 are connected and assembled by a combination, so that a play space having fences of various shapes is assembled. It is possible to form.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는, 본체(100)와 연결부(200)를 간단한 끼움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 가능하여 조립 및 분해가 쉽고, 본체(100)의 구조적 강도에 의해 조립 후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자립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보호자의 조작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되어 흥미를 유발시킴으로써 놀이의 즐거움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abricated infant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because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part 2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imple fitting structure, and after assembly by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main body 100 It is possible to secure a sturdy independence that can withstand external shocks, and it can be assembled into various shapes by the guardian's manipul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njoyment of play.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는, 울타리의 형성 후 놀이 공간의 내부에서 본체(100)의 울타리 모듈(110)을 통해 외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아에게 놀이에 집중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정감을 심어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infant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formation of the fence,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can secure an external field of view through the fence module 110 of the main body 100 in the interior of the play space, it is possible to focus on play for the infant It can instill psychological stability.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 of this technology that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it. Therefore, such modified examples or modified example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110: 울타리 모듈
112: 상부 프레임 114: 하부 프레임
116: 지지프레임 118: 걸림돌기
120: 출입문 모듈
122: 출입문 지지프레임 123: 돌기 삽입홈
124: 출입문 125: 회전제한돌기
126: 힌지부재 128: 단속부재
200: 연결부
210: 제1 연결부재
212: 끼움 연결홈 214: 걸림공
220: 제2 연결부재
222: 끼움 연결홈 224: 걸림공
230: 제3 연결부재
232: 끼움 연결홈 234: 걸림공
100: main body
110: fence module
112: upper frame 114: lower frame
116: support frame 118: jam
120: door module
122: door support frame 123: projection insertion groove
124: Door 125: Turn restriction projection
126: hinge member 128: intermittent member
200: connection
210: first connecting member
212: fitting connection groove 214: a hole
220: second connecting member
222: Fitting connection groove 224: Hang hole
230: third connecting member
232: fitting connection groove 234: hole

Claims (8)

다수의 울타리 모듈을 갖는 본체와, 상기 울타리 모듈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울타리 모듈을 90도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울타리 모듈을 120도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울타리 모듈을 180도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3 연결부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 상기 울타리 모듈을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놀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In the prefabricated infant fence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fence modules, and a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he fence modules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portion,
A first connecting member formed to connect the fence module at an angle of 90 degrees;
A second connecting member formed to connect the fence module at an angle of 120 degrees; And
Including; a third connecting member formed to connect the fence module at an angle of 180 degrees;
Prefabricated toddler fe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play space of various shapes by connecting the fence module by any one or more combinations selected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memb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 모듈은,
상,하부에 서로 평행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상,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하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According to claim 1,
The fence module,
Upper and lower frames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And at least one support frame formed to connect and support the upper and lower frames with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은,
상기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According to claim 2,
The at least one support frame,
The prefabricated infant f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연결부재는,
상기 울타리 모듈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자유단부가 끼움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양측에 끼움 연결홈과 걸림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울타리 모듈은,
상기 자유단부에 상기 걸림공과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울타리 모듈의 자유단부가 상기 끼움 연결홈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걸림공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members,
The fitting connection grooves and the locking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the free end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ence module can be fitted.
The fence module,
A prefabricated infant fence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hole is formed at the free end,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when the free end of the fence module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connection groo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볼스토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According to claim 4,
The engaging projection is a prefabricated infant fen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ball st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울타리 모듈 사이에 출입구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출입문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문 모듈은,
상기 울타리 모듈 사이에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출입문 지지프레임; 및
상기 출입문 지지프레임에 힌지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출입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door module provided to form a doorway between the fence modules,
The door module,
A door support frame formed to b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ence modules; And
Prefabricated infant fen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or that is rotatably coupled via a hinge member to the door support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모듈은,
상기 출입구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문의 자유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울타리 모듈과 연결되는 단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The method of claim 6,
The door module,
Prefabricated infant fen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termittent membe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door to be connected to the fence module so as to control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do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하부에는 회전제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문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회전제한돌기와 대응되는 돌기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출입문은 상기 회전제한돌기가 상기 돌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의 제한에 따라 개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The method of claim 6,
A rotation restriction protrus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oor,
The door support fram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and the door is a prefabricated infant f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restriction protrusion is not opened according to the restriction of rotation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
KR2020180004290U 2018-09-14 2018-09-14 Assembly tape fence for baby KR2020000076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290U KR20200000765U (en) 2018-09-14 2018-09-14 Assembly tape fence for ba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290U KR20200000765U (en) 2018-09-14 2018-09-14 Assembly tape fence for bab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65U true KR20200000765U (en) 2020-04-17

Family

ID=7045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290U KR20200000765U (en) 2018-09-14 2018-09-14 Assembly tape fence for ba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765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110533D0 (en) 2020-07-28 2021-09-08 Ggumbi Co Ltd Transformable prefabricated fence
KR102308322B1 (en) * 2020-11-05 2021-10-06 주식회사 화선에스에치아이 mesh assembly for fence
KR20230116409A (en)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폴레드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888U (en) 2009-10-14 2011-04-20 권영한 Assembly Type Safety Fence
KR20110003889U (en) 2009-10-14 2011-04-20 권영한 Safety fence
KR200482267Y1 (en) 2015-04-17 2017-01-05 진양산업 주식회사 Mats fence of assemble type
KR101745271B1 (en) 2016-07-14 2017-06-09 김옥일 Fence for protecting baby and p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888U (en) 2009-10-14 2011-04-20 권영한 Assembly Type Safety Fence
KR20110003889U (en) 2009-10-14 2011-04-20 권영한 Safety fence
KR200482267Y1 (en) 2015-04-17 2017-01-05 진양산업 주식회사 Mats fence of assemble type
KR101745271B1 (en) 2016-07-14 2017-06-09 김옥일 Fence for protecting baby and pe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110533D0 (en) 2020-07-28 2021-09-08 Ggumbi Co Ltd Transformable prefabricated fence
EP3945188A1 (en) 2020-07-28 2022-02-02 Ggumbi Co., Ltd. Transformable prefabricated fence
GB2602182A (en) 2020-07-28 2022-06-22 Ggumbi Co Ltd Transformable prefabricated fence
KR102308322B1 (en) * 2020-11-05 2021-10-06 주식회사 화선에스에치아이 mesh assembly for fence
KR20230116409A (en)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폴레드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0765U (en) Assembly tape fence for baby
KR100963272B1 (en) Knockdown miniature house
KR101978647B1 (en) Cat tower assembly
WO2017094981A1 (en) Lego - type triangular cat play structure
US20120015582A1 (en) Modular and stackable dollhouse
US8448605B2 (en) Small animal entertainment, exercise and interaction structure
US6190082B1 (en) Babygate quad lock system
KR20110003888U (en) Assembly Type Safety Fence
JP6850033B2 (en) Assembled fence for infants
KR200492142Y1 (en) Doorknob for Fence
KR102087641B1 (en) Prefabricated fences for infants
KR20110003889U (en) Safety fence
KR200486530Y1 (en) Wall fixing device for babyroom plate
KR20100005309U (en) safety fence
KR200489966Y1 (en) Baby room for playing
KR101763200B1 (en) Vr rider
KR200480841Y1 (en) Play tent
WO2017056335A1 (en) Assembled playset for young children
KR101384492B1 (en) A education and training block used child
KR102519102B1 (en) Tranformable babyroom
KR101207929B1 (en) Mat transformed into castle
KR20130045988A (en) A block toy used child
KR200496706Y1 (en) Babyroom preventanle shake
KR101119416B1 (en) a education and training block toy used child
KR20130092686A (en) A block toy used chi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