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485U - 장식용 무드등 - Google Patents

장식용 무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485U
KR20200000485U KR2020180003914U KR20180003914U KR20200000485U KR 20200000485 U KR20200000485 U KR 20200000485U KR 2020180003914 U KR2020180003914 U KR 2020180003914U KR 20180003914 U KR20180003914 U KR 20180003914U KR 20200000485 U KR20200000485 U KR 202000004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edestal
display panel
decorativ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강배
Original Assignee
전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강배 filed Critical 전강배
Priority to KR2020180003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485U/ko
Publication of KR20200000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무드등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면에 한쌍의 단자레인이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위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장식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유닛은 각종 캐릭터 그림이나 연예인 사진 등이 표시되어 있는 전시판과, 상기 전시판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세워주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레인과 각각 접촉하는 한쌍의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시판을 밝혀주는 광원부로 구성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장식유닛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나아가 다수개의 장식유닛을 나란히 배치 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 장식용 무드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용 무드등{Ornamental mood lamp}
본 고안은 장식용 무드등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면에 한쌍의 단자레인이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위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장식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유닛은 각종 캐릭터 그림이나 연예인 사진 등이 표시되어 있는 전시판과, 상기 전시판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세워주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레인과 각각 접촉하는 한쌍의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시판을 밝혀주는 광원부로 구성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장식유닛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나아가 다수개의 장식유닛을 나란히 배치 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 장식용 무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드등이라 함은 야간에 실내에서 어둡지 않을 정도의 밝기로 은은하고 부드러운 빛을 내는 조명기구의 일종으로서, 취침등이나 수면등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무드등은 조명기구로서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인테리어 소품으로서도 중요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부가적 기능을 갖는 무드등 들이 개발, 소개되어 있다.
특허등록 제10-1680069호(2016년 11월 22일)에는 무드등의 기본적인 조명기능 이외에 가습, 제균, 발향, 모바일 충전 및 음향 출력 등 다양한 멀티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멀티기능이 구비된 무드등이 소개되어 있고, 실용신안등록 제20-0484290호(2017년 08월 16일)에는 무드등 갓이 여러 겹으로 주름진 시트로 이루어져 있어 서 특별한 구조물 없이도 자립적으로 세워 질 수 있으며, 휴대, 이동,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한 접이식 무드등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특허공개 제10-2018-0087686호(2018년 08월 02일)에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LED 발광소자가 실장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LED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빛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유도하는 라이트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LED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상기 라이드 파이프를 따라 고르게 퍼지게 할 수 있는 무드등이 소개되어 있다.
특허등록 제10-1680069호(2016년 11월 22일) 실용신안등록 제20-0484290호(2017년 08월 16일) 특허공개 제10-2018-0087686호(2018년 08월 02일)
이와 같이 무드등은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와 요구에 부응하고 새로운 시장수요를 창출하기 위하여 고유한 조명기능 이외에 보다 새롭고 참신한 부가기능을 갖는 무드등의 개발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 형상이나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연예인 사진 또는 가족 사진 등을 편리하게 전시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캐릭터 형상이나 사진을 필요에 따라 수시로 손쉽게 교체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다수개를 나란히 전시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 장식용 무드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무드등은, 평평한 상면과, 상기 상면에 소정 길이만큼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단자레인과, 상기 단자레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갖는 받침대와; 소정 형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판재에 전시대상이 되는 그림이나 사진이 표시되어 있는 전시판과, 상기 전시판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세워주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레인과 각각 접촉하는 한쌍의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시판을 밝혀주는 광원부를 갖는 다수개의 장식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무드등은, 상기 단자부가 상기 단자레인에 서로 접촉하면 상기 광원부가 점등되고, 상기 단자부가 상기 단자레인에서 분리되면 상기 광원부가 소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무드등은,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 형상이나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연예인 사진 또는 가족 사진 등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장식유닛을 구성하고, 단자부와 단자레인의 접촉구조를 이용하여 받침대 위에 상기 장식유닛 중 하나 이상을 편리하게 전시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장식유닛을 수시로 손쉽게 교체하여 새로운 분위기를 창출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무드등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무드등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무드등은 첨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 위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장식유닛(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받침대(10)는 평평한 상면(11)을 가진 직육면체 함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직육면체 함체 형상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받침대(10)의 상면(11)에는 한쌍의 단자레인(12)이 소정 길이만큼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10)의 내부에는 상기 단자레인(1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단자레인(12) 중 한쪽은 양극단자, 다른 한쪽은 음극단자이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13)는 예컨대 건전지나 배터리 일수도 있고, 통상적인 USB 접속단자(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음) 일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장식유닛(20)은 소정 형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판재에 전시대상이 되는 그림이나 사진이 표시되어 있는 전시판(21)을 가지며, 상기 전시판(21)의 하단에는 상기 전시판(21)을 상기 받침대(10)의 상면(11)에 똑바로 세워주는 지지판(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시판(21)과 상기 지지판(22)은 두께가 일정한 아크릴이나 합성수지 또는 유리 판재로 이루어지며, 서로 직교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시판(21)에는 전시대상이 되는 그림이나 사진이 직접 전사될 수도 있고, 그림이나 사진이 전사된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시판(21)의 외곽선 형상의 상기 사진이나 그림과 동일한 외곽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상기 사진이나 그림의 형상과 상관없이 직사각형이나 타원형 등의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전시판(21)에 표시되는 전시대상은 예컨대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만화영화 캐릭터나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연예인들의 사진, 또는 가족이나 친구들의 사진 일 수도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전시대상은 필요에 따라 동물이나 식물, 또는 특정한 의미를 담은 문자나 기호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22)의 저면에는 상기 단자레인(12)과 각각 접촉하도록 한쌍의 단자부(23)와, 상기 단자부(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시판(21)을 밝혀주는 광원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자부(23)는 상기 받침대(10)의 단자레인(12)에 대하여 자력을 갖는 자석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단자부(23)는 상기 전원공급부(13)와 상기 광원부(2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과 함께 상기 전시판(21)이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붙잡아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광원부(24)는 상기 전시판(21)과 상기 지지판(2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LED 이고, 상기 전시판(21)의 일면에는 광확산 시트(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음)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광원부(24)에서 발생하는 빛은 상기 전시판(21) 전체로 확산된 다음 상기 전시판(21)의 테두리선을 따라 발광한다.
본 고안의 특징 중 하나는, 상기 광원부(24)를 단속하는 스위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즉, 상기 단자부(23)가 상기 단자레인(12)에 서로 접촉하면 상기 광원부(24)가 점등되고, 상기 단자부(23)가 상기 단자레인(12)에서 분리되면 상기 광원부(24)가 소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각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서로 다른 다수개의 장식유닛(20)을 준비해 두고, 필요에 따라 상기 장식유닛(20)을 서로 교체해 가면서 사용할 수도 있고, 하나의 받침대(10) 위에 여러개의 장식유닛(20)을 나란히 배치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장식유닛(20)은 아이돌 그룹(idol group)의 전신사진이나, 만화 캐릭터, 게임 캐릭터, 여러 종의 동물들을 시리즈로 구성하여 제작한 상품으로 판매할 수도 있고, 가족사진이나 친구이름 인터넷 등으로 주문 받아 공급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상기 장식유닛(20)을 사용자가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DIY 세트로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10)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양쪽 측면에는 상기 전원공급부(13)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인접한 다른 받침대(10)로 공급할 수 있는 한쌍의 연결단자(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자(14)을 이용하면, 다수개의 받침대(10)를 일렬로 나란히 연결할 수 있고, 그 위에 다수개의 장식유닛(20)을 시리즈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시판(21)에 각종 캐릭터 형상이나 연예인 사진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받침대(10)에는 상기 캐릭터나 상기 연예인과 관련된 음악이나 자장가를 재생할 수 있는 모듈화된 음악재생수단(15)이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받침대(10) 위에 특정 만화영화의 주인공 캐릭터가 표시된 전시판(21)을 세우면, 상기 음악재생수단(15)에서는 상기 만화영화의 주제가가 재생되고, 특정 가수의 사진이 표시된 전시판(21)을 세우면 해당 가수의 히트곡이 재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악재생수단(15)도 상기 광원부(24)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자부(23)와 상기 단자레인(12)의 접촉에 의해서 구동된다. 상기 음악재생수단(15)은 해당음악을 한번만 재생할 수도 있고, 상기 단자부(23)가 상기 단자레인(12)에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계속 반복적으로 재생할 수도 있다.
10; 받침대 11; 상면
12; 단자레인 13; 전원공급부
14; 연결단자 15; 음악재생수단
20; 장식유닛 21; 전시판
22; 지지판 23; 단자부
24; 광원부

Claims (6)

  1. 평평한 상면(11)과, 상기 상면(11)에 소정 길이만큼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단자레인(12)과, 상기 단자레인(1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3)를 갖는 받침대(10)와;
    소정 형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판재에 전시대상이 되는 그림이나 사진이 표시되어 있는 전시판(21)과, 상기 전시판(21)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받침대(10)의 상면(11)에 세워주는 지지판(22)과, 상기 지지판(22)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레인(12)과 각각 접촉하는 한쌍의 단자부(23)와, 상기 단자부(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시판(21)을 밝혀주는 광원부(24)를 갖는 다수개의 장식유닛(20);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23)가 상기 단자레인(12)에 서로 접촉하면 상기 광원부(24)가 점등되고, 상기 단자부(23)가 상기 단자레인(12)에서 분리되면 상기 광원부(24)가 소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무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24)는 상기 전시판(21)과 상기 지지판(2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LED 이고, 상기 전시판(21)의 일면에는 광확산 시트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무드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23)는 상기 단자레인(12)에 대하여 자력을 갖는 자석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무드등.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양쪽 측면에는 상기 전원공급부(13)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인접한 다른 받침대(10)로 공급할 수 있는 한쌍의 연결단자(14)가 설치되어 있어서 다수개의 받침대(10)를 일렬로 나란히 연결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무드등.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판(21)에는 각종 캐릭터 형상이나 연예인 사진이 표시되고, 상기 받침대(10)에는 상기 캐릭터나 상기 연예인과 관련된 음악이나 자장가를 재생할 수 있는 음악재생수단(1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무드등.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재생수단(15)은 상기 단자부(23)와 상기 단자레인(12)의 접촉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무드등.
KR2020180003914U 2018-08-23 2018-08-23 장식용 무드등 KR202000004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14U KR20200000485U (ko) 2018-08-23 2018-08-23 장식용 무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14U KR20200000485U (ko) 2018-08-23 2018-08-23 장식용 무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85U true KR20200000485U (ko) 2020-03-04

Family

ID=69767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914U KR20200000485U (ko) 2018-08-23 2018-08-23 장식용 무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485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069B1 (ko) 2015-04-10 2016-11-28 정장근 멀티기능이 구비된 무드등
KR200484290Y1 (ko) 2015-02-13 2017-08-22 김형배 접이식 무드등
KR20180087686A (ko) 2017-01-25 2018-08-02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라이트 파이프를 포함하는 무드등,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90Y1 (ko) 2015-02-13 2017-08-22 김형배 접이식 무드등
KR101680069B1 (ko) 2015-04-10 2016-11-28 정장근 멀티기능이 구비된 무드등
KR20180087686A (ko) 2017-01-25 2018-08-02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라이트 파이프를 포함하는 무드등,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405B2 (en) Multiple display-units LED light device has special light effects
US8714799B2 (en) Projection device for variety of light device
US20050246928A1 (en) Illuminating display
US20080151534A1 (en) Electronic candle with double light sources
CN112309292A (zh) 交互装置
US20090150612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isplaying an image in conjunction with a removable memory cartridge
US20150354792A1 (en) Interchange Universal Kits for LED Light Device
US7007417B2 (en) Audio-visual display device for pictorial artwork
EP1504799B1 (en) A toy
US20200099895A1 (en) LED Projection Seasonal Products
KR20200000485U (ko) 장식용 무드등
US20220228734A1 (en) Touch control lamp
US5788556A (en) Illuminated stacked bead art toy
TWM360418U (en) LED light advertisement display board structure
KR200425079Y1 (ko) 표지 이미지가 변환되는 앨범장치
WO2016173454A1 (zh) 造型内投射音乐故事灯泡
TWM588862U (zh) 廣告顯示裝置
KR200450236Y1 (ko) 스탠드형 장식용 조명 기구
CN214156965U (zh) 一种具有磁控感应和旋转功能的圣诞树
CN214840276U (zh) 一种氛围灯
TWM618186U (zh) 感應式燈具
CN216817772U (zh) 分体卡座多用途小夜灯
TWM333504U (en) The interaction type luminous apparatus with the variation of environment
JP2002372936A (ja) 点滅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TWM522442U (zh) 可控制燈光變色之led展示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