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273U -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djusting slope and block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djusting slope and block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273U
KR20200000273U KR2020180003424U KR20180003424U KR20200000273U KR 20200000273 U KR20200000273 U KR 20200000273U KR 2020180003424 U KR2020180003424 U KR 2020180003424U KR 20180003424 U KR20180003424 U KR 20180003424U KR 20200000273 U KR20200000273 U KR 202000002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shear
ke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42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암건설
황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암건설, 황인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암건설
Priority to KR2020180003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273U/en
Publication of KR202000002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273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한 종류의 옹벽블록으로 다양한 경사도의 옹벽을 시공할 수 있어, 옹벽의 경사도를 변경하더라도 또 다른 종류의 옹벽블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블록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옹벽 블록은 본체블록(10); 및 상기 본체블록(10)과 분리된 형태로 구성된 키블록(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블록(10)은 고정부(13); 및 전단키홈(15)을 포함한다. 상기 키블록(20)은 고정부(13)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 (25); 및 결합부(25) 상에 형성되고, 전단키홈(15) 내부에 수용되는 전단키(27)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키(27)는 결합부(25)를 기준으로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1 저면(21a)과, 상기 제1 저면(21a)과 연접하는 제1 전단면 (23a)을 구비하는 제1 전단부; 및 결합부(25)를 기준으로 제2 방향(D2)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 저면(21b)과, 상기 제2 저면(21b)과 연접하는 제2 전단면(23b)을 구비하는 제2 전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방향(D1)과 상기 제2 방향(D2)은 서로 상이한 방향이고, 상기 제1 저면(21a)과 상기 제2 저면(21b)은 서로 상이한 폭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variety of inclined retaining wall with one type of retaining wall block, even if the change of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is not necessary for another type of retaining wall block in addition to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block-type retaining wall having the same It is about.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block 10; And a key block 20 configured in a form separated from the body block 10. The body block 10 is fixed portion (13); And a shear key groove 15. The key block 20 is a coupling portion 25 is fixed to the fixed portion 13; And a shear key 27 formed on the coupling part 25 and accommodated in the shear key groove 15. The shear key 27 has a first bottom surface 21a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based on the coupling portion 25, and a first shear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 A first shear having 23a); And a second bottom surface 21b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2 based on the coupling portion 25, and a second shear surface 23b connected to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And a second front end portio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are direction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widths from each other. .

Description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블록식 옹벽{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DJUSTING SLOPE AND BLOCK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tilt adjustment and block retaining wall having same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DJUSTING SLOPE AND BLOCK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중을 이용하여 세그먼트를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식 옹벽에 있어서, 현장 여건에 따라 옹벽의 구배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경사 조절이 가능한 중력식 옹벽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옹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More specifically, in a block type retaining wall that forms a retaining wall by stacking segments using its own weight, a gravity type capable of inclined adjustment capable of elastically adjusting the gradient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A retaining wall block and a retaining wall having the same.

옹벽은 산간 도로 등의 가장 자리에 설치되어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지칭한다. 종래 옹벽은 지금까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듯이 기초 시공후 그 위에 합판거푸집을 설치하여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벽체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시공하는 현장타설공법이 사용되었다.A retaining wall refers to a structure installed at the edge of a mountain road or the like to prevent soil from falling down. Conventionally, the retaining wall has been used in the field pouring method to install the plywood formwork on the foundation after the foundation, as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wall in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height.

하지만, 이와 같은 현장타설공법은 작업현장에서 설치하기 때문에 옹벽을 설치하고 콘크리트가 경화하는 동안 많은 시간이 경과해야 옹벽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철근조립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미리 제작장 또는 공장에서 제작하여 양생이 완료된 옹벽을 작업현장으로 이동시킨 다음 현장에서 단순 조립하여 설치하는 조립식 옹벽이 사용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field casting method is installed at the work site, a lot of time must be passed while th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and the concrete is hardened to serve as the retaining wall, as well as a lot of time for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formwork and assembling the reinforcing bars. There was an issue that took place. For this reason, recently,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has been used in which a retaining wall, which has been cured in advance in a manufacturing workshop or a factory, is moved to a work site, and then simply assembled and installed at a site.

이러한 조립식 옹벽 중 하나로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블록식 옹벽이 있다. 블록식 옹벽은 자중을 이용하여 블록을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옹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One such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is a block retaining wall that can provide a beautiful appearance. The block retaining wall is configured to form the retaining wall by stacking the blocks using its own weight.

도 9는 종래 블록식 옹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래 블록식 옹벽은 토사압에 저항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단키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전단키(1b,2b,3b)는 도 9와 같이 블록 몸체(1a,2a,3a)에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선행특허 1과 같이 경사도가 미리 고정되어 있는 단일 경사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통상적이고, 이에 따라 현장 여건에 따른 옹벽 경사도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lock retaining wall. Referring to FIG. 9, a conventional block retaining wall uses a shear key as a means for resisting soil pressure, and the shear keys 1b, 2b, and 3b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lock bodies 1a, 2a, and 3a as shown in FIG. It is common to manufacture or to be manufactured in a single inclined type in which the inclination is fixed in advance as in the prior patent 1, and thus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retaining wall in accordance with the site conditions.

예컨대, 도 9의 블록식 옹벽은 경사도 A를 갖도록 옹벽블록을 쌓아올려 시공한 것이라 가장하자. 상기 경우, 도 9의 각 옹벽블록(1,2,3)은 경사도 A 구조로 적층될 수 있도록 전단키(1b,2b,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옹벽블록 (1,2,3)은 전단키의 위치와 형상이 고정되어 있는 바, 도 9와 같이 경사도 A로 시공되는 블록식 옹벽에 구배를 더 부여하고자 할 경우, 해당 구배에 부합하는 전단키를 갖는 또 다른 종류의 옹벽블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였다.For example, assume that the block retaining wall of FIG. 9 is constructed by stacking retaining wall blocks to have an inclination A. FIG. In this case, each retaining wall block (1, 2, 3) of Figure 9 is formed with a shear key (1b, 2b, 3b) to be stacked in an inclined A structure. By the way,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block (1, 2, 3) is fixed to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shear key bar, as shown in Figure 9 when you want to give a gradient to the block-typ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at an inclination A, corresponding to the gradient Another type of retaining wall block with shear keys was needed.

즉, 종래 블록식 옹벽은 그 경사도가 제품 생산시에 결정 및 고정되어 현장여건에 따른 구배 변화가 불가능하였고, 불가피하게 구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몰드를 다시 제작하여 또 다른 종류의 옹벽블록을 생산 시공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block-type retaining wall has been determined and fixed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product, the gradient change was not possible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Inevitably, to control the gradient, another type of retaining wall block is produced by remanufacturing a separate mold. There was a limit to construction.

결국, 종래 블록식 옹벽의 경우, 생산자는 다양한 경사에 따른 다양한 몰드를 각각 제작 구비한 후,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그에 적합한 옹벽블록을 생산하여 납품하여야만 했다.After all,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lock retaining wall, the producer had to manufacture and equip each of the various molds according to various inclinations, and then produce and supply the retaining wall blocks suitable for the buyer's request.

이에 따라, 다수 종류의 거푸집의 보유가 요구되어 제품 원가가 상승하고, 다양한 규격별로 다수의 제품을 제작하여야 하는 바, 미리 생산하는 제품의 양에 한계가 있어 재고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 cost of the product is increased due to the retention of a large number of formwork, and a number of products must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various specifications. Therefore, there is a limit in the amount of products produced in advance, which may cause difficulty in securing inventory. there was.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0998501호 (2010.11.30. 등록)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98501 (registered 30 November 2010)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한 종류의 옹벽블록으로 다양한 경사도의 옹벽을 시공할 수 있어, 옹벽의 경사도를 변경하더라도 이에 부합하는 또 다른 종류의 옹벽블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블록식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of various inclination with one type of retaining wall block, even if changing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is another type of retaining wall block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tilt adjustment that is not necessary and a block type retaining wall hav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은 본체블록(10); 및 상기 본체블록(10)과 분리된 형태로 구성된 키블록(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블록(10)은 키블록(20)을 본체블록(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 및 키블록(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전단키홈(15)을 포함한다.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dy block (10); And a key block 20 configured in a form separated from the body block 10. The body block 10 includes a fixing part 13 for fixing the key block 20 to the body block 10; And a shear key groove 15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key block 20.

상기 키블록(20)은 고정부(13)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25); 및 결합부 (25) 상에 형성되고, 전단키홈(15) 내부에 수용되는 전단키(27)를 포함한다.The key block 20 is a coupling portion 25 is fixed to the fixed portion 13; And a shear key 27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25 and accommodated in the shear key groove 15.

상기 전단키(27)는 결합부(25)를 기준으로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1 저면(21a)과, 상기 제1 저면(21a)과 연접하는 제1 전단면(23a)을 구비하는 제1 전단부; 및 결합부(25)를 기준으로 제2 방향(D2)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 저면(21b)과, 상기 제2 저면(21b)과 연접하는 제2 전단면(23b)을 구비하는 제2 전단부를 포함한다.The shear key 27 has a first bottom surface 21a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based on the coupling portion 25, and a first shear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 A first shear having 23a); And a second bottom surface 21b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2 based on the coupling portion 25, and a second shear surface 23b connected to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And a second front end portion.

그리고, 상기 제1 방향(D1)과 상기 제2 방향(D2)은 서로 상이한 방향이고, 상기 제1 저면(21a)과 상기 제2 저면(21b)은 서로 상이한 폭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are direction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widths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결합부(25)는 다수의 상이한 결합방향 중 어느 하나의 결합방향을 선택하여 고정부(13)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25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xing part 13 by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coupling directions.

그리고, 상기 전단키(27)는 결합부(25)가 고정부(13)에 결합되는 결합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부(13)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위의 최대폭이 상이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hear key 27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aximum width of the portion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fixing portion 13 depends on the coupling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25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3.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위의 최대폭은 상기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위의 저면의 최대폭일 수 있다.Preferably, the maximum width of the portion projecting rearwardly may be the maximum wid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wardly projecting portion.

본 고안에 따른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에 의하면, 한 종류의 옹벽블록으로 다양한 경사도의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바, 옹벽의 경사도 변화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옹벽블록을 생산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According to the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of various inclinations with one type of retaining wall block, and there is no need to produce and manufacture various kinds of retaining wall block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이에 따라, 현장여건에 따라 옹벽 구배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시공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다양한 경사에 따른 다수의 거푸집을 제작 및 보유할 필요가 없어 제품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충분한 재고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retaining wall gradient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maximizing the constructability, and there is no need to produce and retain a large number of formwork according to various slopes, thereby reducing the product cost and securing sufficient inventory. There i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본체블록의 세로방향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블록의 상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키블록의 하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키블록의 제1 측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키블록의 제2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키블록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제1 경사도의 옹벽을 시공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제2 경사도의 옹벽을 시공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종래 블록식 옹벽을 나타낸 단면도.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op side view of the body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side view of the key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irst side view of a key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ond side view of a key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of the first inclination using th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of the second inclination using th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lock retaining wa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는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대상 부분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n or above"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ortion, which does not necessarily mean to be located above based on the direction of gravity. That is, the term "on or above" as used herein includes not only the case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ortion but also the case located before or after the target portion.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a portion such as an area, a plate, etc. is said "on or on top of" another portion, it is not only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other portions, but also in the middle of another portion. This includes any ca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n particula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unless otherwise indicated, there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본체블록의 세로방향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블록의 상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키블록의 하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키블록의 제1 측면도이고,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키블록의 제2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키블록의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upper side view of the main body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wer side view of the key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The first side view of the key block, Figure 5 is a second side view of the key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key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은 본체블록(10) 및 키블록(20)을 포함한다.1 to 6, the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block 10 and a key block 20.

본 고안의 본체블록(10)은 흙이 무너지지 못하도록 토사압에 저항하는 옹벽 구조물을 구성하는 단위 블록으로서, 자중을 이용하여 본체블록(10)을 쌓아올림으로써 옹벽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The main body blo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t block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that resists soil pressure so that soil does not collapse, and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formed by stacking the main body block 10 using its own weight.

구체적으로, 본체블록(10)은 몸체(11), 키블록(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3), 및 키블록(20)의 활동방지벽 기능을 발현하기 위한 전단키홈(15)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body block 10 has a body 11, a fixing portion 13 for fixing the key block 20, and a shear key groove 15 for expressing the function of the activity blocking wall of the key block 20. Include.

본체블록(10)의 몸체(11)는 다수 개가 상호 맞닿으며 쌓아 올려짐으로써 토사압에 실질적으로 저항하는 구조체로서,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프리캐스트로 제작될 수 있다.The body 11 of the body block 10 is a structure that substantially resists soil pressure by stacking a plurality of abutting each other, it can be made of precast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본체블록(10)의 고정부(13)는 키블록(20)의 결합부(25)와 결합됨으로써 본체블록(10) 상에 키블록(20)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The fixing part 13 of the body block 10 is configured to fix the key block 20 on the body block 10 by being coupled with the engaging portion 25 of the key block 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13)는 본체블록(10)의 상면에서 요홈 구조로 움푹 들어간 삽입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xing part 13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insertion groove recessed into the groove struct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block 10.

바람직하게는, 고정부(13)는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각의 크기가 같은 모두 같은 정다각형의 단면 모양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 고정부(13)는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또는 정육각형과 같은 정다각형의 수평방향 단면 모양을 갖도록 구성되고, 그 전체적인 형태는 정다면체 내지 각뿔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3)는 정사각뿔을 그 밑면에 평행하는 평면으로 잘라 꼭짓점이 있는 부분을 없애고 남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정사각뿔대 모양의 삽입홈 형태로 구성하였다.Preferably, the fixing portion 13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of all regular polygons having the same side length and the same angle size.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13 is configured to have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of an equilateral triangle, such as an equilateral triangle, a square, an pentagon, or a regular hexagon, and the overall shape thereof may be configured as a regular polyhedron or a pyramidal shape. For reference, the fixing part 1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1 and 2 wa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yramid-shaped insertion groove formed by cutting the square pyramid into a plan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thereof, eliminating the part having the vertex.

이와 같은 고정부(13)는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고정부(13)를 형성하였다.One fixing part 13 may be formed as one or a plurality of fixing parts 13, and two fixing parts 13 may be formed in the embodiment of FIG. 2.

본체블록(10)의 전단키홈(15)은 키블록(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본체블록(10)에 토사압이 가해질 시 전단키홈(15)이 키블록(20)에 걸림동작됨으로써 본체블록(10)의 슬라이딩이 억제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front end key groove 15 of the body block 10 is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key block 20, so that the front end key groove 15 is caught by the key block 20 when earth pressure is applied to the body block 10. By operating the function so that the sliding of the body block 10 can be suppressed.

따라서, 전단키홈(15)은 본체블록(10)의 하면에서 요홈 구조로 움푹 들어간 수용홈 형태로 구성되고, 이 수용홈은 키블록(20)의 특히 전단키(27)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모양을 갖도록 구성된다.Therefore, the shear key groove 15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ecessed groove recessed in the groove structur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block 10, the receiving groove can accommodate the shear key 27 in particular of the key block 20 therein. It is configured to have a size and shape.

본 고안의 키블록(20)은 본체블록(10)과 분리된 형태로 구성되어, 시공하고자 하는 옹벽의 목적 경사도에 따라 후술할 결합방향이 선택된 후 본체블록(10)에 결합 고정되고, 이에 의해 본체블록(10)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본체블록(10)의 슬라이딩에 저항하는 활동방지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key block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form separated from the main block 10, the coupling direction to be described later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to be installed, and then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lock 10, thereb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body block 10 while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anti-barrier wall to resist sliding of the body block 10.

구체적으로, 키블록(20)은 고정부(13)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25), 및 전단키홈(15) 내부에 수용되는 전단키(27)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key block 2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25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3 and a shear key 27 accommodated in the shear key groove 15.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블록(20)의 결합부(25)는 요홈 구조의 고정부(13)에 삽입 고정되는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 25 of the key block 2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tha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3 of the groove structure.

바람직하게는, 결합부(25)는 고정부(13)와 동일한 형상 내지 동일한 단면 모양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upling portion 25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shape or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fixing portion 13.

바람직하게는, 결합부(25)는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각의 크기가 같은 모두 같은 정다각형의 단면 모양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 결합부(25)는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또는 정육각형과 같은 정다각형의 수평방향 단면 모양을 갖도록 구성되고, 그 전체적인 형태는 정다면체 내지 각뿔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25)는 정사각뿔대 형상으로 구성하였다.Preferably, the coupling portion 25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of all regular polygons having the same side length and the same angle size. In this case, the coupling portion 25 is configured to have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of an equilateral triangle, such as an equilateral triangle, a square, an pentagon, or a regular hexagon, and the overall shape thereof may be configured as a regular polyhedron to a pyramidal shape. For reference, the coupling part 2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3 wa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square pyramid.

키블록(20)의 전단키(27)는 결합부(25) 상에 형성되고, 제1 본체블록 위에 적층되는 제2 본체블록의 전단키홈(15) 내부에 수용되어, 본체블록(10)의 슬라이딩에 저항하는 활동방지벽 역할을 한다.The front end key 27 of the key block 20 is formed on the engaging portion 25, is accommodated in the front end key groove 15 of the second body block stacked on the first body block, the sliding of the body block 10 It acts as a barrier against activity.

이러한 전단키(27)는 적어도 2개의 전단부를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전단부 즉, 제1 전단부, 제2 전단부,..., 제N 전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end key 27 has at least two front end parts, and preferably three or more front end parts, that is, a first front end part, a second front end part, ..., an N th front end part.

전단키(27)의 제1 전단부는 결합부(25)를 기준으로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제1 저면(21a)과, 상기 제1 저면(21a)과 연접하는 제1 전단면(23a)을 포함한다.The first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end key 27 has a first bottom surface 21a having a structure project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portion 25, and a first front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Section 23a.

전단키(27)의 제2 전단부는 결합부(25)를 기준으로 제2 방향(D2)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제2 저면(21b)과, 상기 제2 저면(21b)과 연접하는 제2 전단면(23b)을 포함한다.The second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end key 27 has a second bottom surface 21b having a structure projecting in the second direction D2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portion 25, and a second front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Section 23b.

전단키(27)의 제N 전단부는 결합부(25)를 기준으로 제N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N 저면과, 상기 제N 저면과 연접하는 제N 전단면을 포함한다.The N-th front end of the shear key 27 includes an N-th bottom surface protruding in the N-th direction relative to the coupling part 25 and an N-th fron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N-th bottom surface.

그리고, 전단키(27)의 상기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N 방향은 서로 상이한 방향이고, 전단키(27)의 상기 제1 저면(21a), 제2 저면(21b), 및 제N 저면은 서로 상이한 폭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단키(27)의 제1 저면(21a), 제2 저면(21b), 및 제N 저면은 각각의 최대폭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D1, the second direction D2, and the N direction of the front end key 27 are direction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of the front end key 27, And the Nth bottom surface is configured to have a different width from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and the Nth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key 27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ir maximum width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특히, 결합부(25)가 정다각형의 단면 모양을 갖도록 구성될 경우, 전단키 (27)의 제1 저면(21a)은 상기 정다각형의 제1 변(25a)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제2 저면(21b)은 상기 정다각형의 제2 변(25b)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는 구조로 형성되며, 제N 저면은 상기 정다각형의 제N 변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coupling portion 25 is configur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 regular polygon,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of the shear key 27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projec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25a of the regular polygon.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ide 25b of the regular polygon, and the Nth bottom surface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N side of the regular polygon. Can be.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제1,2,N 전단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irst, second, and N front end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FIGS. 3 to 5.

도 3 내지 도 5 실시예에 따른 키블록(20)의 경우, 결합부(25)는 정사각뿔대 모양의 기둥체로 구성되고, 전단키(27)는 제1 저면(21a)과 제1 전단면(23a)을 갖는 제1 전단부, 제2 저면(21b)과 제2 전단면(23b)을 갖는 제2 전단부, 제3 저면(21c)과 제3 전단면(23c)을 갖는 제3 전단부, 및 저면이 없이 전단면(이하, 제4 전단면 (23d))을 갖는 제4 전단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In the case of the key block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s 3 to 5, the coupling portion 25 is composed of a square pyramid-shaped pillar body, the shear key 27 is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and the first shear surface 23a A first front end portion having a second front end portion, a second front end portion having a second bottom surface 21b and a second front end surface 23b, a third front end portion having a third bottom surface 21c and a third front end surface 23c, And a fourth shear portion having a shear surface (hereinafter, fourth shear surface 23d) without a bottom surface.

도 3 내지 도 5 실시예의 제1 저면(21a)은 결합부(25)의 제1 변(25a)에 수직한 방향(즉,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 저면(21a)은 제1 변(25a)의 외측 전방으로 돌출되되 제1 변(25a)을 따라 형성되는 사각형 모양으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결합부(25)의 상기 '제1 변(25a)'은 결합부(25)의 정사각뿔대의 수평방향 단면인 정사각형에 있어서 일측 변을 지칭한다.3 to 5,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25a of the coupling portion 25 (that is, the first direction D1). Specifically,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has a rectangular shape which protrudes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25a and is formed along the first side 25a. Here, the 'first side 25a' of the coupling part 25 refers to one side in a square that is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square pyramid of the coupling part 25.

그리고, 도 3 내지 도 5 실시예의 제1 전단면(23a)은 제1 저면(21a)의 최외측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사각형 모양의 면체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제1 전단면(23a)의 하측변은 제1 저면(21a)의 최외측변과 연접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the 1st shear surface 23a of the Example of FIG. 3 thru | or 5 was comprised by the square-shaped face body inclined to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outermost side of the 1st bottom surface 21a. Accordingly,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hear surface 23a forms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outermost sid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도 3 내지 도 5 실시예의 제2 저면(21b)은 결합부(25)의 제2 변(25b)에 수직한 방향(즉, 제2 방향(D2))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 저면(21b)은 제2 변(25b)의 외측 전방으로 돌출되되 제2 변(25b)을 따라 형성되는 사각형 모양으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결합부(25)의 상기 '제2 변(25b)'은 결합부(25)의 정사각뿔대의 수평방향 단면인 정사각형에 있어서 제1 변(25a)과 구분되는 또 다른 일측 변을 지칭한다.3 to 5,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ide 25b of the coupling portion 25 (ie, the second direction D2). Specifically,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protrudes outwardly forward of the second side 25b and has a rectangular shape formed along the second side 25b. Here, the 'second side 25b' of the coupling part 25 refers to another one side tha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ide 25a in a square that is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square pyramid of the coupling part 25. .

그리고, 도 3 내지 도 5 실시예의 제2 전단면(23b)은 제2 저면(21b)의 최외측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사각형 모양의 면체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제2 전단면(23b)의 하측변은 제2 저면(21b)의 최외측변과 연접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the 2nd shear surface 23b of the Example of FIGS. 3-5 was comprised with the rectangular-shaped face body inclined to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outermost side of the 2nd bottom surface 21b. Accordingly,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hearing surface 23b forms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outermost sid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도 3 내지 도 5 실시예의 제3 저면(21c)은 결합부(25)의 제3 변(25c)에 수직한 방향(즉, 제3 방향(D3))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제3 저면(21c)은 제3 변(25c)의 외측 전방으로 돌출되되 제3 변(25c)을 따라 형성되는 사각형 모양으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결합부(25)의 상기 '제3 변(25c)'은 결합부(25)의 정사각뿔대의 수평방향 단면인 정사각형에 있어서 제1,2 변(25a,25b)과 구분되는 또 다른 일측 변을 지칭한다.3 to 5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side 25c of the coupling portion 25 (that is, the third direction D3). Specifically,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protrudes outwardly forward of the third side 25c and has a rectangular shape formed along the third side 25c. Here, the 'third side 25c' of the coupling part 25 is another sid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ides 25a and 25b in a square that is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square pyramid of the coupling part 25. Refers to the side.

그리고, 도 3 내지 도 5 실시예의 제3 전단면(23c)은 제3 저면(21c)의 최외측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사각형 모양의 면체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제3 전단면(23c)의 하측변은 제3 저면(21c)의 최외측변과 연접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the 3rd front end surface 23c of the Example of FIG. 3 thru | or 5 was comprised by the square facet inclined to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outermost side of the 3rd bottom surface 21c. Accordingly, the lower side of the third shearing surface 23c forms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outermost side of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도 3 내지 도 5 실시예의 제4 전단부는 저면은 없고 전단면(이하, '제4 전단면(23d)'이라 함)만 구비하고 있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상기 경우, 제4 전단면(23d)은 그 하측변이 결합부(25)의 일 부위와 연접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5)의 일 부위는 결합부(25)의 정사각뿔대의 수평방향 단면인 정사각형에 있어서 제1,2,3 변(25a,b,c)과 구분되는 또 다른 일측 변(25d)을 지칭한다.3 to 5, the fourth front end portion was configured to have only a front end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urth front end surface 23d') without a bottom surface. In this case, the fourth shearing surface 23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ide thereof is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5. Here, "one part of the coupling part 25 is another one side side distinguished from the 1st, 2nd and 3rd sides 25a, b, c in the square which is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square pyramid of the coupling part 25. As shown in FIG. Reference is made to 25d.

참고로, 도 3,5의 제4 전단부와 같이, 전단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저면을 생략할 경우, 해당 전단부는 시공하고자 하는 옹벽의 경사도가 0%인 경우 즉, 본체블록 (10)을 수직 조립하는 경우의 활동방지벽으로 사용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when the bottom surface is omitted in forming the front end portion as in the fourth front end portion of FIGS. 3 and 5, the front end portion vertically assembles the main body block 10 when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to be constructed is 0%. It is used as an activity barrier when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본 고안의 제1 저면(21a), 제2 저면(21b),..,제N 저면은 서로 상이한 폭을 갖도록 구성되고, 실시예에 따라 이들 각 저면의 폭은 최대폭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경우 제1 저면(21a), 제2 저면(21b),..,제N 저면은 상호 간에 최대폭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다.The first bottom face 21a, the second bottom face 21b, and the Nth bottom 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widths from each other,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dth of each bottom face may mean a maximum width. In this case, the first bottom face 21a, the second bottom face 21b, and the Nth bottom face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maximum widths from each other.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 실시예의 경우, 제1 저면(21a)은 결합부(25)의 제1 변(25a)에 수직한 방향(즉, 제1 방향(D1))으로 돌출 형성된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성되고, 제1 저면(21a)의 폭은 상기 제1 방향(D1)에 해당하는 폭 즉, 직사각형의 세로방향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에서 지칭하는 "제1 저면(21a)의 폭"은 상기 제1 방향(D1)의 폭인 'W1'에 해당하게 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3 to 5,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has a rectangular shape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25a of the coupling portion 25 (ie, the first direction D1). The width of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refers to the wid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D1, that is, the length of the rect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referring to FIG. 3, the "width of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W1' which is the width of the first direction D1.

한편, 제1 저면(21a)의 폭은 상기 제1 방향(D1)의 최대폭을 의미할 수 있는데, 도 3과 같이 제1 저면(21a)을 직사격형으로 구성할 경우, 제1 저면(21a)의 폭은 모두 동일하므로 최대폭 역시 'W1'에 해당하게 된다.Meanwhile, the width of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may mean the maximum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D1. When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is formed in a direct shot as shown in FIG. 3,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is formed. ) Widths are the same, so the maximum width also corresponds to 'W1'.

도 3 내지 도 5 실시예의 경우, 제2 저면(21b)은 결합부(25)의 제2 변(25b)에 수직한 방향(즉, 제2 방향(D2))으로 돌출 형성된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성되고, 제2 저면(21b)의 폭은 상기 제2 방향(D2)에 해당하는 폭 즉, 직사각형의 세로방향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에서 지칭하는 "제2 저면(21b)의 폭"은 상기 제2 방향(D2)의 폭인 'W2'에 해당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2 저면(21b)의 폭(W2)은 제1 저면(21a)의 폭(W1)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3 to 5,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has a rectangular shape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ide 25b of the coupling portion 25 (ie, the second direction D2). The width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mean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D2, that is,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ctangle. Therefore, referring to FIG. 3, the "width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W2' which is the width of the second direction D2. The width W2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is formed to have a length smaller than the width W1 of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한편, 제2 저면(21b)의 폭은 상기 제2 방향(D2)의 최대폭을 의미할 수 있는데, 도 3과 같이 제2 저면(21b)을 직사격형으로 구성할 경우, 제2 저면(21b)의 폭은 모두 동일하므로 최대폭 역시 'W2'에 해당하게 된다.Meanwhile, the width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may mean th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direction D2. When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is formed in a direct firing shape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is used. ) Widths are the same, so the maximum width is also 'W2'.

도 3 내지 도 5 실시예의 경우, 제3 저면(21c)은 결합부(25)의 제3 변(25c)에 수직한 방향(즉, 제3 방향(D3))으로 돌출 형성된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성되고, 제3 저면(21c)의 폭은 상기 제3 방향(D3)에 해당하는 폭 즉, 직사각형의 세로방향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에서 지칭하는 "제3 저면(21c)의 폭"은 상기 제3 방향(D3)의 폭인 'W3'에 해당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3 저면(21c)의 폭(W3)은 제1 저면(21a)의 폭(W1) 및 제2 저면(21b)의 폭(W2)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3 to 5,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has a rectangular shape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side 25c of the coupling portion 25 (ie, the third direction D3). The width of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refers to the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rd direction D3, that is, the length of the rect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referring to FIG. 3, the “width of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W3” which is the width of the third direction D3. The width W3 of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is formed to have a length smaller than the width W1 of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and the width W2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한편, 제3 저면(21c)의 폭은 상기 제3 방향(D3)의 최대폭을 의미할 수 있는데, 도 3과 같이 제3 저면(21c)을 직사격형으로 구성할 경우, 제3 저면(21c)의 폭은 모두 동일하므로 최대폭 역시 'W3'에 해당하게 된다.Meanwhile, the width of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may mean the maximum width in the third direction D3. When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is formed in a direct shot as shown in FIG. 3,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is used. ) Are all the same width, so the maximum width also corresponds to 'W3'.

참고로, 도 6의 키블록은 도 3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키블록을 도시한 것이되, 다만 도 3,4에 따른 키블록(20)은 제4 전단부가 저면이 없는 것으로 구성한 반면, 도 6에 따른 키블록(20)의 경우 제4 저면(21d)을 갖는 제4 전단부로 구성한 것이 차이점이다. 상기 경우, 도 6 실시예에 있어서, 제4 저면(21d)은 제1,2,3 저면 (21a,21b,21c)의 각 폭(W1,W2,W3)과 상이한 폭(W1)을 갖도록 구성된다.For reference, the key block of FIG. 6 illustrates a key block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FIG. 3, except that the key block 20 according to FIGS. 3 and 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ourth front end part has no bottom, and FIG. 6. In the case of the key block 20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front end portion having a fourth bottom surface 21d is a difference. In this case, in the embodiment of FIG. 6, the fourth bottom surface 21d is configured to have a width W1 different from each of the widths W1, W2, W3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ttom surfaces 21a, 21b, and 21c. do.

본 고안의 옹벽블록에 따르면, 키블록(20)의 전술한 저면의 개수만큼 옹벽의 구배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저면의 개수"는 결합부(25)의 단면 모양의 변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dient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adjusted by the number of the aforementioned bottom surface of the key block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ere, the "number of bottoms" may be equal to the number of sides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25.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 과정 및 경사도 조절 방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tilt control method using the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 실시예와 같이 저면의 개수가 4개(즉, 결합부(25)의 단면 모양이 정사각형이고 따라서 변의 개수가 4개)일 경우, 제1 저면(21a)과 제1 전단면(23a)에 의한 제1 경사도, 제2 저면(21b)과 제2 전단면(23b)에 의한 제2 경사도, 제3 저면(21c)과 제3 전단면(23c)에 의한 제3 경사도 및 제4 전단면(23d)(도 3 실시예의 경우 제4 저면이 없으므로)에 의한 제4 경사도 중 어느 하나의 경사도를 선택함으로써, 희망하는 경사도의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number of bottom surfaces is four (that i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25 is square and thus the number of sides is four),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and the first shear surface 23a are provided. First inclination by the second inclination, the second inclination by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and the second shear surface 23b, the third inclination by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and the third shear surface 23c and the fourth shear surface By selecting any of the fourth inclinations by 23d (there is no fourth bottom in the case of FIG. 3), the retaining wall of the desired inclination can be constructed.

도 3 내지 도 5 실시예를 기준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제1 저면(21a)은 30㎜의 폭(W1)을 갖도록 형성하고, 제2 저면(21b)은 20㎜(W2)의 폭을 갖도록 형성하고, 제3 저면(21c)은 10㎜(W3)의 폭을 갖도록 형성하고, 제4 저면은 0㎜의 폭을 갖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경우, 제1 저면(21a)이 전단키홈 (15)의 제1 내면(15a) 측을 향하게 키블록(20)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본체블록(10)을 쌓아올리면 경사도 6%의 옹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되고, 제2 저면(21b)이 전단키홈(15)의 제1 내면(15a) 측을 향하게 키블록(20)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본체블록 (10)을 쌓아올리면 경사도 4%의 옹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되고, 제3 저면(21c)이 전단키홈(15)의 제1 내면(15a) 측을 향하게 키블록(20)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본체블록(10)을 쌓아올리면 경사도 2%의 옹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되며, 제4 전단면(23d)이 전단키홈(15)의 제1 내면(15a)을 향하게 키블록(20)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본체블록(10)을 쌓아올리면 경사도 0%(즉, 수직 적층)의 옹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on the basis of the Figure 3 to 5 embodiment as follows.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of FIG. 3 is formed to have a width W1 of 30 mm,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is formed to have a width of 20 mm (W2), and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is 10 mm. It was formed to have a width of (W3), and the fourth bottom surface was formed to have a width of 0 mm. In this case, when the plurality of body blocks 10 are stacked in such a manner as to assemble the key blocks 20 so that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faces the first inner surface 15a side of the shear key groove 15, the retaining wall has a slope of 6%. Can be constructed,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is stacked in the manner of assembling the key block 20 toward the first inner surface (15a) side of the shear keyway (15) by stacking a plurality of body blocks (10)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4% retaining wall, and the plurality of body blocks 10 by assembling the key block 20 so that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faces the first inner surface 15a side of the shear key groove 15. When stacking the retaining wall with a slope of 2%, the fourth shearing surface 23d is assembled with the key block 20 such that the key block 20 is oriented toward the first inner surface 15a of the shear keying groove 15. By stacking the blocks 10, it is possible to construct retaining walls with a slope of 0% (ie vertical stacking).

참고로, 도 7의 옹벽 시공예의 경우, 제4 전단면이 전단키홈(15)의 제1 내면(15a)을 대향하는 구조로 키블록(20)을 본체블록(10)에 결합함으로써, 경사도 0%의 옹벽을 시공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의 옹벽 시공예의 경우, 제1 저면(21a)이 전단키홈 (15)의 제1 내면(15a) 측을 향하는 구조로 키블록(20)을 본체블록(10)에 결합함으로써, 경사도 6%의 옹벽을 시공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or reference, i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example of FIG. 7, the fourth shear surface is coupled to the body block 10 by the key block 20 to the main body block 10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inner surface 15a of the shear key groove 15 faces the slope 0.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of%, in the case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example of FIG. 8, the key block 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bottom surface 21 a faces the first inner surface 15 a side of the shear key groove 15.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ed the state which built the retaining wall of 6% inclination by couple | bonding with the main body block 10. As shown in FI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키블록(20)의 결합부(25)를 제1 결합방향으로 고정부(13)에 결합시키면, 키블록(20)의 제1 외면이 전단키홈(15)의 제1 내면(15a)을 대향하는 구조로 고정되고, 이에 의해 옹벽 블록을 제1 경사도로 쌓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upling portion 25 of the key block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3 in the first coupling direction, the first outer surface of the key block 20 is formed of the shear key groove 15. The first inner surface 15a is fixed to the structure facing the first inner surface 15a, whereby the retaining wall block can be stacked at the first inclination.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방향'이란 결합부(25)를 고정부(13)에 결합시, 전단키(27)의 제1 전단면(23a)이 전단키홈(15)의 제1 내면(15a)을 대향하거나 또는 전단키(27)의 제1 저면(21a)이 전단키홈(15)의 제1 내면(15a) 측을 향하게 되는 결합방향을 지칭한다.Here, the 'first coupling direction' means that when the coupling portion 25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3, the first shear surface 23a of the shear key 27 is the first inner surface 15a of the shear key groove 15. Or a coupling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of the shear key 27 faces the first inner surface 15a side of the shear key groove 15.

만약, 키블록(20)의 결합부(25)를 제2 결합방향으로 고정부(13)에 결합시키면, 키블록(20)의 제2 외면이 전단키홈(15)의 제2 내면을 대향하는 구조로 고정되고, 이에 의해 옹벽 블록을 제2 경사도로 쌓을 수 있게 된다.If the coupling portion 25 of the key block 20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3 in the second coupling direction, the second outer surface of the key block 20 faces the second inner surface of the shear key groove 15. It is fixed to the structure, thereby allowing the retaining wall block to be stacked at a second inclination.

여기서, 상기 '제2 결합방향'이란 결합부(25)를 고정부(13)에 결합시, 전단키(27)의 제2 전단면(23b)이 전단키홈(15)의 제1 내면(15a)을 대향하거나 또는 전단키(27)의 제2 저면(21b)이 전단키홈(15)의 제1 내면(15a) 측을 향하게 되는 결합방향을 지칭한다.Here, the 'second coupling direction' means that when the coupling portion 25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3, the second shear surface 23b of the shear key 27 is the first inner surface 15a of the shear key groove 15. Or a coupling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of the shear key 27 faces the first inner surface 15a side of the shear key groove 15.

만약, 키블록(20)의 결합부(25)를 제3 결합방향으로 고정부(13)에 결합시키면, 키블록(20)의 제3 외면이 전단키홈(15)의 제3 내면을 대향하는 구조로 고정되고, 이에 의해 옹벽 블록을 제3 경사도로 쌓을 수 있게 된다.If the coupling portion 25 of the key block 20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3 in the third coupling direction, the third outer surface of the key block 20 faces the third inner surface of the shear key groove 15. The structure is fixed, whereby the retaining wall block can be stacked at a third inclination.

여기서, 상기 '제3 결합방향'이란 결합부(25)를 고정부(13)에 결합시, 전단키(27)의 제3 전단면(23c)이 전단키홈(15)의 제1 내면(15a)을 대향하거나 또는 전단키(27)의 제3 저면(21c)이 전단키홈(15)의 제1 내면(15a) 측을 향하게 되는 결합방향을 지칭한다.Here, the 'third coupling direction' means that when the coupling portion 25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3, the third shear surface 23c of the shear key 27 is the first inner surface 15a of the shear key groove 15. Or a coupling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of the shear key 27 faces the first inner surface 15a side of the shear key groove 15.

결국, 본 고안의 옹벽 블록에 따르면, 결합부(25)는 제1,2,3 결합방향과 같이 다수의 상이한 결합방향 중 어느 하나의 결합방향을 선택하여 고정부(13)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결합부(25)가 고정부(13)에 결합되는 결합방향에 따라, 고정부(13)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전단키(27) 부위의 최대폭이 다르도록 함으로써, 한 종류의 옹벽블록으로 다양한 경사도의 옹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되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art 25 may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coupling directions, such as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upling directions, to be coupled to the fixing part 13. The maximum width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hear key 27 protruding backward from the fixing portion 13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upling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25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3. Retaining wall blocks can be used to construct retaining walls of various slopes.

이에 따라, 현장 여건에 따라 옹벽의 경사도를 손쉽게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시공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옹벽의 경사도 변화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옹벽블록을 생산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Accordingly,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easily and flexi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thereby maximizing the constructability, and there is no need to produce and manufacture various kinds of retaining wall block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여기서, 고정부(13)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전단키(27) 부위는 전술한 전단키(27)의 저면(즉, 제1,2,3 저면)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경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전단키(27) 부위의 최대폭은 저면의 전술한 제1,2,3 방향 최대폭 (W1,W2,W3)을 지칭하게 된다.Here, the portion of the shear key 27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fixing portion 13 may mean the bottom surface (ie,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ttom surfaces) of the shear key 27 described above, and in this case, backward The maximum width of the protruding shear key 27 portion refers to the above-described maximum widths W1, W2, and W3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3)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위의 최대폭"에 있어서, 상기 최대폭의 대상이 도 3 실시예와 같은 제1,2,N 저면이 아니라, 제1,2,N 전단면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경우, 제1 전단면 (23a) 기준의 최대폭은 고정부(13)를 기준으로 제1 전단면(23a)까지의 최대거리에 해당하고, 제2 전단면(23b) 기준의의 최대폭은 고정부(13)를 기준으로 제2 전단면(23b)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며, 제N 전단면 기준의 최대폭은 고정부(13)를 기준으로 제N 전단면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며, 이때 역시 제1,2,N 전단면 기준의 각 최대폭은 서로 상이한 길이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in the "maximum width of the portion projecting rearward relative to the fixing portion 13", the object of the maximum width is not the first, second, N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2, N shear plane. In this case, the maximum width of the reference to the first shear surface 23a corresponds to the maximum distance from the fixing part 13 to the first shear surface 23a, and the maximum width of the reference to the second shear surface 23b is high. It corresponds to the distance to the second shear surface 23b on the basis of the government 13, and the maximum width of the Nth shear surface reference corresponds to the distance to the Nth shear surface on the basis of the fixing part 13, and again Each of the maximum widths of the first, second, and N shear planes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length from each other.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고안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using specific terms, such terms are only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ter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and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t is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예컨대, 도 1 내지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고정부(13)는 요홈 구조로 구성되고, 결합부(25)는 상기 요홈 구조의 고정부(13)에 삽입 결합되는 기둥체 형태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고정부(13)가 기둥체 형태로 구성되고, 결합부(25)는 이 기둥체 형태의 고정부(13)가 삽입 결합되는 요홈 구조로 형성하여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ures 1 to 6, the fixing portion 13 is composed of a recess structure, the coupling portion 25 is described in the form of a column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3 of the recess structure. Although shown, on the contrary, the fixing part 13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lumn, and the coupling part 25 may achieve the same purpose even when the fixing part 13 is formed in the groove structure into which the fixing part 13 is inserted and coupled. Of course.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fall with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블록 11: 몸체
13: 고정부 15: 전단키홈
20: 키블록 21a: 제1 저면
21b: 제2 저면 21c: 제3 저면
23a: 제1 전단면 23b: 제2 전단면
23c: 제3 전단면 25: 결합부
27: 전단키
10: body block 11: body
13: fixed part 15: shear keyway
20: keyblock 21a: first bottom
21b: second bottom 21c: third bottom
23a: first shear surface 23b: second shear surface
23c: third shear surface 25: coupling portion
27: shear key

Claims (10)

옹벽 블록으로서,
본체블록(10); 및 상기 본체블록(10)과 분리된 형태로 구성된 키블록(2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블록(10)은,
상기 키블록(20)을 상기 본체블록(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 및 상기 키블록(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전단키홈(15)을 포함하고,
상기 키블록(20)은,
상기 고정부(13)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25); 및 상기 결합부(25)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전단키홈(15) 내부에 수용되는 전단키(27)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키(27)는,
상기 결합부(25)를 기준으로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1 저면(21a)과, 상기 제1 저면(21a)과 연접하는 제1 전단면(23a)을 구비하는 제1 전단부; 및 상기 결합부(25)를 기준으로 제2 방향(D2)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 저면(21b)과, 상기 제2 저면(21b)과 연접하는 제2 전단면(23b)을 구비하는 제2 전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D1)과 상기 제2 방향(D2)은 서로 상이한 방향이고,
상기 제1 저면(21a)과 상기 제2 저면(21b)은 서로 상이한 폭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
As a retaining wall block,
Body block 10; And a key block 20 configured in a form separated from the body block 10,
The body block 10,
A fixing part 13 fixing the key block 20 to the body block 10; And a shear key groove 15 for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key block 20,
The key block 20,
A coupling part 25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13; And a shear key 27 formed on the coupling part 25 and accommodated in the shear key groove 15.
The shear key 27,
A first bottom surface 21a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based on the coupling portion 25, and a first shear surface 23a connected to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A first front end; And a second bottom surface 21b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2 based on the coupling part 25, and a second shear surface 23b connected to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It includes a second front end portio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are direction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taining wall block of which the tilt adjustment is possible, wherein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width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면(21a)의 폭(W1)은 상기 제1 방향(D1)의 최대폭이고,
상기 제2 저면(21b)의 폭(W2)은 상기 제2 방향(D2)의 최대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W1 of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is the maximum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D1,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til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W2)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is th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direction (D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5)는 정다각형의 단면 모양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방향(D1)은 상기 정다각형의 제1 변(25a)에 수직한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정다각형의 제2 변(25b)에 수직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ortion 25 is configur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 regular polygon,
The first direction D1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25a of the regular polygon,
The retaining wall block of which the tilt can be adjust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direction (D2)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ide (25b) of the regular polyg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5)를 기준으로 제3 방향(D3)으로 돌출되는 제3 저면(21c)과, 상기 제3 저면(21c)과 연접하는 제3 전단면(23c)을 구비하는 제3 전단부; 및 상기 결합부(25)를 기준으로 제N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N 저면과, 상기 제N 저면과 연접하는 제N 전단면을 구비하는 제N 전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D1), 상기 제2 방향(D2), 상기 제3 방향(D3) 및 상기 제N 방향은 서로 상이한 방향이고,
상기 제1 저면(21a), 상기 제2 저면(21b), 상기 제3 저면(21c), 및 상기 제N 저면은 서로 상이한 폭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front end portion having a third bottom surface 21c protruding in the third direction D3 based on the coupling portion 25 and a third front end surface 23c in contact with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 And an N-th shear part including an N-th bottom surface protruding in the N-th direction based on the coupling part 25 and an N-th shear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N-th bottom surface.
The first direction D1, the second direction D2, the third direction D3, and the Nth direction are direction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bottom surface (21a), the second bottom surface (21b), the third bottom surface (21c), and the N-th bottom surface is a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have a different width.
옹벽 블록으로서,
본체블록(10); 및 상기 본체블록(10)과 분리된 형태로 구성된 키블록(2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블록(10)은,
상기 키블록(20)을 상기 본체블록(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 및 상기 키블록(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전단키홈(15)을 포함하고,
상기 키블록(20)은,
상기 고정부(13)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25); 및 상기 결합부(25)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전단키홈(15) 내부에 수용되는 전단키(27)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25)는,
다수의 상이한 결합방향 중 어느 하나의 결합방향을 선택하여 상기 고정부(13)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단키(27)는,
상기 결합부(25)가 상기 고정부(13)에 결합되는 결합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부(13)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위의 최대폭이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
As a retaining wall block,
Body block 10; And a key block 20 configured in a form separated from the body block 10,
The body block 10,
A fixing part 13 fixing the key block 20 to the body block 10; And a shear key groove 15 for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key block 20,
The key block 20,
A coupling part 25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13; And a shear key 27 formed on the coupling part 25 and accommodated in the shear key groove 15.
The coupling portion 25,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3 by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coupling direction,
The shear key 27,
Retaining wall capable of tilt adjust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width of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rear relative to the fixing portion 13 in accordance with the coupling direction that the coupling portion 25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3 block.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위의 최대폭은 상기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위의 저면의 최대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
The method of claim 5,
The maximum width of the portion projecting rearward is the retaining wall block is tilt adjus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wid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rearward.
제1 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옹벽 블록을 제1 경사도로 쌓을 경우, 상기 결합부(25)는 제1 결합방향으로 상기 고정부(13)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전단면(23a)이 상기 전단키홈(15)의 제1 내면(15a)을 대향하는 구조로 고정되고,
다수 개의 상기 옹벽 블록을 제2 경사도로 쌓을 경우, 상기 결합부(25)는 제2 결합방향으로 상기 고정부(13)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전단면(23b)이 상기 전단키홈(15)의 상기 제1 내면(15a)을 대향하는 구조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
According to claim 1,
When stacki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at a first inclination, the coupling part 25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13 in a first coupling direction, such that the first shear surface 23a is the shear key groove 15. Is fixed to the structure facing the first inner surface 15a of
When stacki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at a second inclination, the coupling part 25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13 in a second coupling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front end surface 23b is the shear key groove 15.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til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structure facing the first inner surface (15a).
제1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3)는 요홈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25)는 상기 요홈 구조의 고정부(13)에 삽입 고정되는 돌기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fixing portion 13 is composed of a groove structure,
The engaging portion 25 is inclined adjustable retaining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rojection that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3 of the groove structure.
제1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3)와 결합부(25)는 정다각형의 단면 모양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til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13 and the coupling portion 25 is configur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 regular polygon.
옹벽으로서,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의 옹벽 블록 다수 개를 쌓아올려서 형성되는 블록식 옹벽.
As a retaining wall,
Block retaining wall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of any one of claims 1 to 7.
KR2020180003424U 2018-07-25 2018-07-25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djusting slope and block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KR2020000027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24U KR20200000273U (en) 2018-07-25 2018-07-25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djusting slope and block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24U KR20200000273U (en) 2018-07-25 2018-07-25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djusting slope and block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73U true KR20200000273U (en) 2020-02-04

Family

ID=6949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424U KR20200000273U (en) 2018-07-25 2018-07-25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djusting slope and block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273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448B1 (en) * 2020-05-19 2020-07-29 김형중 Block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501B1 (en) 2010-06-30 2010-12-07 (주)대우건설 Gravitational precast retaining wall for sticking to all slope using fall protection net and wi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501B1 (en) 2010-06-30 2010-12-07 (주)대우건설 Gravitational precast retaining wall for sticking to all slope using fall protection net and wi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448B1 (en) * 2020-05-19 2020-07-29 김형중 Block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6369C (en) Wall with decorative facing
CA2412591C (en)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US6488448B1 (en) Block module
US20180094398A1 (en) Retaining wall
MX2013003473A (en) Retaining wall.
US20100313513A1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lock wall
US9764495B2 (en) Molding equipment for molding inter-engaging brick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70193183A1 (en) Concrete block for forming columns
JP2007023665A (en) Method of securing wall face member of lightweight mound structure
US7059808B2 (en) Split key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KR20200000273U (en)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djusting slope and block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US4703600A (en) Vertically assembling box type blocks
KR20160050226A (en) Cut slope reinforcement
US20140037389A1 (en) Structural Unit and Positioning Member
JP6791895B2 (en) Wall balustrade construction method and wall balustrade
KR101901240B1 (en) A mold panel of assembly for building
JP2015190196A (en) Large-sized retaining wall block
KR101894576B1 (en) Rainwater Storage Tank
JP6975470B2 (en) How to build a concrete structure
JP3054733B2 (en) Formwork for concrete blocks
KR200235098Y1 (en) block for wall
US20070110524A1 (en) Pin having a tapered cap
JP2005330728A (en) Construction method of slope protective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nit
JP6956523B2 (en) Wall
JP3199087U (en) Top-end unit block body of a civil engineering building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