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273A -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273A
KR20200000273A KR1020180072369A KR20180072369A KR20200000273A KR 20200000273 A KR20200000273 A KR 20200000273A KR 1020180072369 A KR1020180072369 A KR 1020180072369A KR 20180072369 A KR20180072369 A KR 20180072369A KR 20200000273 A KR20200000273 A KR 20200000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pacity
merchant
food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뮤토트레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뮤토트레이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뮤토트레이딩
Priority to KR1020180072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273A/ko
Publication of KR2020000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유통사에서 랍스터나 킹크랩 등과 같은 냉동 수입 해산물 관련 식재료를 수입하여 보관하는 과정에서 가맹점이 상기 식재료의 보관에 사용되는 가맹점별 냉동 수단의 냉동 용량을 유통사와 공유하여 유통사가 최적의 가격에 식재료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동 포장되어 수입되는 대형 갑각류 관련 냉동 해산물 수입시 수입과 관련된 다양한 속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수입 가격으로 물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수입 비용을 낮추기 위해 최적의 가격으로 최대한의 물량 확보시 고려되어야 하는 보관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유통사의 냉동 수단에서 상기 냉동 해산물 관련 식재료의 수입 물량 중 보관 가능한 물량을 제외한 초과분을 가맹점별로 지원하는 가맹점별 냉동 수단의 가용 용량에 따라 가맹점별로 분배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최대한의 물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가맹점의 냉동 수단을 수입 식재료의 보관 용도로 이용함으로써 보관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frozen seafood}
본 발명은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유통사에서 랍스터나 킹크랩 등과 같은 냉동 수입 해산물 관련 식재료를 수입하여 보관하는 과정에서 가맹점이 상기 식재료의 보관에 사용되는 가맹점별 냉동 수단의 냉동 용량을 유통사와 공유하여 유통사가 최적의 가격에 식재료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랍스터나 킹크랩 등과 같이 대형 갑각류의 냉동 수입 해산물을 가맹점에 공급하는 경우 산지의 가격 변동이나 국내의 수요 변동에 따라 일정한 가격을 유지하면서 가변되는 수요를 적절히 충족시키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례로, 냉동 해산물의 산지 가격이 저렴할 때 최대한 많은 물량을 확보한 경우라도 국내 수요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냉동 보관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보관 기간이 길어지면서 품질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국내 수요가 급증할 경우 통상 수개월이 소요되는 수입 기간에 따라 물량을 증가시키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대형 갑각류의 냉동 해산물은 냉동 제품이며 단품의 크기가 크다는 점 때문에 유통 및 사용 과정에서 소분될 수 있어 정확한 제조일자를 확인하기 어렵고, 가맹점에서 조리하지 않은 제품 자체를 판매할 경우 소비자가 해당 제품에 대한 제조일자를 확인하기 어려워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기존에 이러한 냉동 해산물을 유통 관리하는 유통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으나, 기존의 유통 관리 시스템은 상기 냉동 해산물을 수입하여 보관하는 유통사의 냉동 수단을 대상으로만 관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냉동 해산물을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가맹점과 유통사 사이에서 단순 주문 정보의 송수신만이 이루어지므로, 가맹점의 주문 수요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주문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냉동 해산물의 수입 물량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하나 유통사에서 관리하는 냉동 수단의 가용 용량 한도 내에서 수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물량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07400호
본 발명은 랍스터나 킹크랩과 같이 냉동된 상태로 수입되는 대형 갑각류 관련 식재료를 다수의 가맹점에 유통하는 유통사에서 가맹점별 냉동 수단의 가용 용량과 유통사의 냉동수단에 대한 가용 용량을 취합하고, 가맹점의 상품 판매에 따른 가용 용량의 변화와 식재료 수요 변화에 따라 식재료의 예상 수입 시기 및 물량이 결정되도록 지원하여 최적의 가격으로 최대한의 물량을 확보하는 동시에 보관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통사의 냉동 수단이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는 수입 물량을 가맹점별 냉동 수단의 가용 용량에 따라 분산 배정하고, 가맹점에서 관리하는 냉동 수단의 가용 용량 사용에 따른 보상을 가맹점에 제공하여 가맹점의 적극적인 식재료 보관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식재료 보관 비용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 보관되는 식재료와 관련하여 유통사에 의해 배정된 보관 대상 물량을 기존 재고 물량과 구분하여 추적함으로써, 보관 대상 물량을 사용하는 가맹점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해산물인 대형 갑각류 관련 식재료를 복수의 가맹점에 냉동 유통시키는 유통사에 대응되는 관리 서버의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방법은, 상기 식재료를 저장하는 상기 유통사의 냉동 수단에서 가용한 용량에 대한 가용 용량 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가맹점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가맹점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식재료를 저장하는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서 가용한 용량에 대한 지원 용량 정보를 수신시 상기 DB에 가맹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판매 내역 정보 수신시 상기 판매 내역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지원 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 내역 정보에 따른 가맹점의 식재료 재고 변화에 따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식재료 주문에 대한 주문 정보 수신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상기 가용 용량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정보,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 수입 가격과 물량정보, 수입 수단의 배송 상태 정보, 판매 변동 시기 정보, 예상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예상 물량과 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예상 물량과 시기에 따라 요구 냉장 용량이 상기 가용 용량 정보에 따른 가용 용량 초과시 초과분을 상기 지원 용량 정보를 고려하여 가맹점별 냉동 수단에 분산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분산 배정에 따라 배정된 물량에 따른 냉동 용량 사용 예정과 그에 따른 보상을 포함하는 통지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허락 정보 수신시 최종 분산 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최종 분산 배정 이후 복수의 상기 식재료를 박스 단위로 포장하는 포장 기기와 연동하는 포장 담당 단말로 특정 가맹점에 대응되는 물량 정보와 상기 물량 정보에 따라 포장되는 복수의 식재료가 보관된 박스에 상기 박스의 밀폐 및 상기 식재료의 무단 사용 방지를 위한 밀폐 스티커가 부착되도록 부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해산물인 대형 갑각류 관련 식재료를 복수의 가맹점에 냉동 유통시키는 유통사에 대응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복수의 가맹점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가맹점 단말을 포함하는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식재료를 저장하는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서 가용한 용량에 대한 지원 용량 정보와, 상기 식재료를 이용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상품 관련 정보가 포함된 메뉴 정보를 기초로 상품 판매에 따른 판매 내역 정보 및 재고 변화에 따른 상기 식재료의 주문을 위한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가맹점 단말 및 상기 식재료를 저장하는 상기 유통사의 냉동 수단에서 가용한 용량에 대한 가용 용량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가맹점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가맹점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지원 용량 정보 수신시 상기 DB에 상기 지원 용량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판매 내역 정보 수신시 상기 판매 내역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지원 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 내역 정보에 따른 가맹점의 식재료 재고 변화에 따라 갱신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식재료 주문에 대한 주문 정보 수신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상기 가용 용량 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주문 정보,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 수입 가격과 물량정보, 수입 수단의 배송 상태 정보, 판매 변동 시기 정보, 예상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예상 물량과 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예상 물량과 시기에 따라 요구 냉장 용량이 상기 가용 용량 정보에 따른 가용 용량 초과시 초과분을 상기 지원 용량 정보를 고려하여 가맹점별 냉동 수단에 분산 배정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관리 서버는 식재료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식재료의 배송을 관리하는 배송 서버로부터 상기 식재료의 배송 단계별로 상기 식재료의 고유 식별자가 포함된 배송 정보를 수신시 복수의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은 상기 유통사로부터 배송 받은 식재료를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 저장시 상기 식재료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보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냉동 수단에 저장된 식재료의 사용시마다 식재료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관 정보 및 사용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 및 타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와 복수의 가맹점 단말 상호 간 상기 배송 정보와 보관 정보 및 사용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여 공유하고, 상기 관리 서버와 복수의 가맹점 단말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블록 체인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배송정보와 보관정보 및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한 후 상기 관리 서버와 복수의 가맹점 단말 각각에 미리 저장된 공유 원장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동 포장되어 수입되는 대형 갑각류 관련 냉동 해산물 수입시 수입과 관련된 다양한 속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수입 가격으로 물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수입 비용을 낮추기 위해 최적의 가격으로 최대한의 물량 확보시 고려되어야 하는 보관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유통사의 냉동 수단에서 상기 냉동 해산물 관련 식재료의 수입 물량 중 보관 가능한 물량을 제외한 초과분을 가맹점별로 지원하는 가맹점별 냉동 수단의 가용 용량에 따라 가맹점별로 분배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최대한의 물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가맹점의 냉동 수단을 수입 식재료의 보관 용도로 이용함으로써 보관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통사의 냉동 수단이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는 수입 물량을 가맹점별 냉동 수단의 가용 용량에 따라 분산 배정하고, 가맹점에서 관리하는 냉동 수단의 가용 용량 사용에 따른 보상을 가맹점에 제공하여 가맹점의 적극적인 식재료 보관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식재료 보관 비용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유통 및 보관 단계에서 소정의 식별자를 부여 받은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되, 유통 및 보관 단계별로 구성되는 관리 서버 및 가맹점 단말들이 블록체인으로 구성되어 식재료의 유통과 보관 및 사용에 관련된 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여 각자의 공유 원장에 기록하여 저장함으로써, 특정 식별자를 가진 식재료의 유통 과정과 보관 내역 및 사용 내역을 신뢰성 있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의 블록 체인 기반 동작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은 랍스터나 킹크랩과 같은 대형 갑각류 관련 냉동 해산물을 식재료로 이용하는 복수의 가맹점에 해당 식재료를 유통하는 유통사에 대응되는 관리 서버(100)와, 상기 복수의 가맹점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가맹점 단말(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서버(100)와 가맹점 단말(10) 상호 간은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맹점 단말(10)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통신망은 널리 알려진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랍스터나 킹크랩 등과 같이 대형 갑각류 관련 식재료를 가맹점에 공급하는데 있어서, 산지의 가격 변동이나 국내의 수요 변동에 따라 일정한 가격을 유지하면서 가변되는 수요를 적절히 충족시키기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유통사는 최대한 저렴한 가격에 최대한 많은 물량을 미리 확보하고자 하나, 유통사에서 관리하는 냉동 수단의 보관 용량에 한계가 있어 이러한 보관 용량을 넘어서 물량을 수입하는 경우 별도 보관 업체의 냉동 수단을 대여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냉동 수단은 냉동고, 냉장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가맹점의 수요가 감소하는 경우 냉동 수단의 대여에 따른 보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보관 기관이 길어질수록 식재료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유통사가 물량을 부족하게 확보하는 경우 가격 변동에 따라 고가에 식재료를 수입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가맹점의 수요 증가에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통사에서 식재료를 납품받는 가맹점에 위치하는 냉동 수단의 전체 용량 중 미사용중인 용량을 식재료의 보관 용도로 설정하도록 지원하며, 이러한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 대한 용량 지원을 통해 유통사에서 저렴한 가격에 최대한 물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보관 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수요 증가에 따라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 보관된 물량 중에서 부족분만큼을 즉시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식재료를 이용한 상품을 판매하는 가맹점의 판매 내역을 기초로 식재료의 수입시 최적의 물량을 결정하여 식재료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 해산물인 대형 갑각류 관련 식재료를 복수의 가맹점에 냉동 유통시키는 유통사에 대응되는 관리 서버(100)는 상기 식재료를 저장하는 상기 유통사의 냉동 수단에서 가용한 용량에 대한 가용 용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100)에 포함된 DB(101)에 저장할 수 있다(S1).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10)은 가맹점에서 가맹점의 냉동 수단 관련 전체 용량 중 유통사에 대한 용량 지원을 위해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 보관 중인 식재료의 재고 용량을 제외한 나머지 용량을 상기 유통사가 수입하는 식재료의 물량 중 상기 유통사의 냉동 수단의 용량을 초과하는 초과분의 보관 용도로서 대여하기 위한 지원 용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지원 용량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복수의 가맹점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가맹점 단말(10) 각각으로부터 상기 식재료를 저장하는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서 가용한 용량에 대한 지원 용량 정보를 수신시 상기 DB(101)에 가맹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S2).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10)은 상기 식재료를 이용한 상품을 판매하며, 상기 상품 판매에 따른 판매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맹점 단말(10)은 서로 다른 복수의 상품별로 상기 식재료의 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된 메뉴 정보를 기초로 상품 판매시마다 판매 상품에 따른 식재료의 사용량을 포함하는 판매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판매 내역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10)은 상기 판매 내역 정보를 생성시마다 상기 판매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 후 미리 저장된 상기 지원 용량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품 판매에 따라 상기 가맹점의 냉동 수단 관련 전체 용량에서 판매 상품에 사용된 식재료의 사용량에 따라 변경된 재고 용량을 차감한 나머지 용량을 기초로 상기 지원 용량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가맹점 단말(10)로부터 판매 내역 정보 수신시 상기 DB(101)에 저장된 상기 판매 내역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지원 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 내역 정보에 따른 가맹점의 식재료 재고 변화에 따라 갱신할 수 있다(S3).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100)는 가맹점별로 식재료 물량의 보관에 대여 가능한 가맹점별 냉동 수단의 지원 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 및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 단말(10)은 재고 용량 부족시 상기 식재료의 주문을 위한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맹점 단말(10)은 상기 판매 내역 정보에 따라 갱신되는 상기 지원 용량 정보에 따라 재고 용량을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재고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미리 설정된 상기 식재료의 주문 물량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가맹점 단말(10)로부터 식재료 주문에 대한 주문 정보 수신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상기 DB(101)에 저장된 상기 유통사의 냉동 수단 관련 가용 용량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4).
즉,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상기 유통사의 냉동 수단에 보충 예정인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보충 물량을 상기 유통사의 냉동 수단 관련 가용 용량에서 차감하여 유통사의 냉동 수단 관련 가용 용량을 갱신할 수 있으며, 상기 갱신에 따라 상기 DB(101)에 저장된 가용 용량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100)는 수입 가격과 물량정보, 수입 수단의 배송 상태 정보, 판매 변동 시기 정보, 예상 날씨 정보 등을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관리 서버(100)에 구성되는 입력부를 통한 관리자 입력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주문 정보, 상기 DB(101)에 저장된 정보, 수입 가격과 물량정보, 수입 수단의 배송 상태 정보, 판매 변동 시기 정보, 예상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예상 물량과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가맹점별로 수신된 주문 정보를 취합한 전체 주문 물량과 상기 유통사 및 복수의 가맹점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냉동 수단 각각에 보관된 보관 물량을 합산한 전체 보관 물량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물량 이하인 경우 상기 전체 보관 물량과 전체 주문 물량 사이의 차이값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확보 가능한 물량 정보를 기초로 수입 예상 물량을 결정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식재료의 수입 가격(또는 산지 가격), 상기 수입 수단의 배송 상태 정보, 예상 날씨 정보 및 판매 변동 시기 정보를 기초로 수입에 소요되는 소요 기간과 상기 소요 기간 내에서 가격 변동폭을 연산하여 수입 가격이 최소화되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 가격 이하에 해당되는 수입 예상 시기와 수입 예상 가격 및 수입 예상 물량을 자동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수입 수단은 운송 수단 및 통관 기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판매 변동 시기 정보는 기간별 평균 가격에 대한 가격 변동 정보 또는 공휴일, 기념일, 명절 등과 같은 특정 기간의 식재료 가격에 대한 변동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100)는 식재료의 수입과 관련된 다양한 속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수입 가격과 수입 시기 및 수입 물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속성은 상기 주문 정보, 상기 DB(101)에 저장된 정보, 수입 가격과 물량정보, 수입 수단의 배송 상태 정보, 판매 변동 시기 정보, 예상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예상 물량과 예상 시기에 따라 요구 냉장 용량을 산출하거나 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예상 시기별 예상 물량에 따라 요구 냉장 용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유통사에서 관리하는 냉동 수단의 가용 용량 관련 가용 용량 정보에 따른 가용 용량과 상기 요구 냉장 용량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요구 냉장 용량이 상기 가용 용량 정보에 따른 가용 용량 초과시 초과분에 해당되는 초과 용량을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 분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 서버(100)는 DB(101)에서 가맹점별 지원 용량 정보를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초과 용량을 상기 가맹점별 지원 용량 정보를 고려하여 가맹점별 냉동 수단에 분산 배정할 수 있다(S5).
일례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초과 용량이 100이고, 80의 지원용량을 제공하는 가맹점이 2곳인 경우 상기 초과 용량을 가맹점별로 50씩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분산 배정에 따라 배정된 물량에 따른 냉동 용량 사용 예정과 그에 따른 보상을 포함하는 통지 정보를 초과분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배정된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10)로 전송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10)로부터 허락 정보 수신시 최종 분산 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허락 정보를 기초로 특정 가맹점에서 상기 특정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 대한 가용 용량 사용에 대한 허락시 해당 특정 가맹점에 대응되어 특정 가맹점의 냉동 수단 사용에 따른 보상 관련 보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DB(101)에 가맹점 식별정보와 매칭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보상은 적립금이나 포인트 등과 같은 다양한 혜택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서버(100)는 해당 보상을 DB(101)에 누적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냉동 포장되어 수입되는 대형 갑각류 관련 냉동 해산물 식재료 수입시 수입과 관련된 다양한 속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수입 가격으로 물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수입 비용을 낮추기 위해 최적의 가격으로 최대한의 물량 확보시 고려되어야 하는 보관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유통사의 냉동 수단에서 상기 냉동 해산물 관련 식재료의 수입 물량 중 보관 가능한 물량을 제외한 초과분을 가맹점별로 지원하는 가맹점별 냉동 수단의 가용 용량에 따라 가맹점별로 분배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유통사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최대한의 물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가맹점의 냉동 수단을 수입 식재료의 보관 용도로 이용함으로써 보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통사의 냉동 수단이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는 수입 물량을 가맹점별 냉동 수단의 가용 용량에 따라 분산 배정하고,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 대한 가용 용량 사용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여 가맹점의 적극적인 식재료 보관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식재료 보관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가맹점 단말(10)은 상기 유통사로부터 배정받아 보관 중인 식재료를 재고 부족에 따라 판매 상품의 식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사용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0)는 특정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10)로부터 상기 사용 정보가 포함된 주문 정보 수신시 해당 주문 정보에 포함된 사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DB(101)에 저장된 상기 특정 가맹점에 매칭되는 지원 용량 정보에 따른 지원 용량에서 상기 사용 정보에 따른 사용 용량을 차감하여 상기 특정 가맹점의 지원 용량 정보를 갱신한 후 상기 DB(10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주문 정보를 처리 완료된 상태로 상기 특정 가맹점의 가맹점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DB(101)에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주문 정보는 식재료의 수입과 관련된 정보 산출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유통사에서 가맹점의 냉동 수단 중 일부를 식재료의 보관 용도로서 이용하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가맹점에서 식재료 재고가 부족한 경우 유통사에서 관리하는 냉동 수단의 용량 부족으로 인해 가맹점에 분산 배정된 물량을 즉시 가맹점에서 상품 판매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가맹점의 주문 처리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맹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최종 분산 배정 이후 복수의 상기 식재료를 박스 단위로 포장하는 포장 기기와 연동하는 포장 담당 단말로 특정 가맹점에 대응되는(또는 배정된) 물량 정보와 상기 물량 정보에 따라 포장되는 복수의 식재료가 보관된 박스에 상기 박스의 밀폐 및 식재료의 무단 사용 방지를 위한 밀폐 스티커가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부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밀폐 스티커가 부착된 박스가 상기 특정 가맹점에 배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밀폐 스티커는 최초 부착 이후 상기 박스로부터 탈거시 글자가 나타나는 등의 변화가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밀폐 스티커를 탈거한 이후 재부착시에도 상기 밀폐 스티커의 변화에 따라 상기 박스에 보관된 식재료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기 박스에 보관된 식재료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을 통해 유통사에 의해 가맹점으로 배정되는 물량이 가맹점에 분산 배치되므로 냉동 보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나, 가맹점에서 보관 물품과 자신의 재고를 혼용할 수 있어 보관 물품을 추후 사용하는 다른 가맹점이 식재료를 신뢰하지 못하거나, 식재료를 직접 사용자가 구매할 경우 해당 냉동 식재료의 상태를 신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의 블록체인(block chain) 기반 동작 구성 예시를 도 4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100) 및 복수의 가맹점 단말(10a, 10b) 각각에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식재료의 배송 및 보관 단계별 정보가 저장되는 공유 원장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식재료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식재료의 배송을 관리하는 배송 서버(200)로부터 상기 식재료의 배송 단계별로 상기 식재료의 고유 식별자가 포함된 배송 정보를 수신시 복수의 가맹점 단말(10a, 1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식재료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 박스에 상기 고유 식별자를 부여할 수도 있고, 상기 관리 서버(100)에 대응되는 유통사의 상기 식재료에 대한 최초 배송 단계에서 상기 식재료의 제조일자와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배송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배송 정보를 복수의 가맹점 단말(10a, 10b)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와 복수의 가맹점 단말(10a, 10b) 상호 간은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10a, 10b)은 상기 관리 서버(100)에 대응되는 유통사로부터 배송 받은 보관 대상인 식재료를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 저장(보관)시 상기 식재료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보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가맹점에 대응되는 상기 가맹점 단말(10b)은 상기 유통사로부터 배정받아 상기 특정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 보관된 식재료의 사용시마다 식재료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보관 정보 및 사용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100) 및 타 가맹점 단말(10a)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와 복수의 가맹점 단말(10a, 10b) 상호 간 상기 배송 정보와 보관 정보 및 사용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여 공유하고, 상기 관리 서버(100)와 복수의 가맹점 단말(10a, 10b)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블록 체인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배송정보와 보관정보 및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block)을 생성한 후 상기 관리 서버(100)와 복수의 가맹점 단말(10a, 10b) 각각에 미리 저장된 공유 원장에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 보관되는 식재료와 관련하여 유통사에 의해 배정된 보관 대상 물량을 기존 재고 물량과 구분하여 추적함으로써, 보관 대상 물량을 사용하는 가맹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유통 및 보관 단계에서 소정의 식별자를 부여 받은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되, 유통 및 보관 단계별로 구성되는 관리 서버(100) 및 가맹점 단말(10)들이 블록체인으로 구성되어 식재료의 유통과 보관 및 사용에 관련된 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여 각자의 공유 원장에 기록하여 저장함으로써, 특정 식별자를 가진 식재료의 제조일자 뿐만 아니라 유통 과정과 보관 내역 및 사용 내역을 신뢰성 있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단말은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가맹점 단말 100: 관리 서버

Claims (5)

  1. 냉동 해산물인 대형 갑각류 관련 식재료를 복수의 가맹점에 냉동 유통시키는 유통사에 대응되는 관리 서버의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를 저장하는 상기 유통사의 냉동 수단에서 가용한 용량에 대한 가용 용량 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가맹점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가맹점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식재료를 저장하는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서 가용한 용량에 대한 지원 용량 정보를 수신시 상기 DB에 가맹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판매 내역 정보 수신시 상기 판매 내역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지원 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 내역 정보에 따른 가맹점의 식재료 재고 변화에 따라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식재료 주문에 대한 주문 정보 수신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상기 가용 용량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정보,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 수입 가격과 물량정보, 수입 수단의 배송 상태 정보, 판매 변동 시기 정보, 예상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예상 물량과 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예상 물량과 시기에 따라 요구 냉장 용량이 상기 가용 용량 정보에 따른 가용 용량 초과시 초과분을 상기 지원 용량 정보를 고려하여 가맹점별 냉동 수단에 분산 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산 배정에 따라 배정된 물량에 따른 냉동 용량 사용 예정과 그에 따른 보상을 포함하는 통지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허락 정보 수신시 최종 분산 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종 분산 배정 이후 복수의 상기 식재료를 박스 단위로 포장하는 포장 기기와 연동하는 포장 담당 단말로 특정 가맹점에 대응되는 물량 정보와 상기 물량 정보에 따라 포장되는 복수의 식재료가 보관된 박스에 상기 박스의 밀폐 및 상기 식재료의 무단 사용 방지를 위한 밀폐 스티커가 부착되도록 부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방법.
  4. 냉동 해산물인 대형 갑각류 관련 식재료를 복수의 가맹점에 냉동 유통시키는 유통사에 대응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복수의 가맹점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가맹점 단말을 포함하는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를 저장하는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서 가용한 용량에 대한 지원 용량 정보와, 상기 식재료를 이용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상품 관련 정보가 포함된 메뉴 정보를 기초로 상품 판매에 따른 판매 내역 정보 및 재고 변화에 따른 상기 식재료의 주문을 위한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가맹점 단말; 및
    상기 식재료를 저장하는 상기 유통사의 냉동 수단에서 가용한 용량에 대한 가용 용량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가맹점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가맹점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지원 용량 정보 수신시 상기 DB에 상기 지원 용량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판매 내역 정보 수신시 상기 판매 내역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지원 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 내역 정보에 따른 가맹점의 식재료 재고 변화에 따라 갱신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식재료 주문에 대한 주문 정보 수신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상기 가용 용량 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주문 정보,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 수입 가격과 물량정보, 수입 수단의 배송 상태 정보, 판매 변동 시기 정보, 예상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예상 물량과 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예상 물량과 시기에 따라 요구 냉장 용량이 상기 가용 용량 정보에 따른 가용 용량 초과시 초과분을 상기 지원 용량 정보를 고려하여 가맹점별 냉동 수단에 분산 배정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식재료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식재료의 배송을 관리하는 배송 서버로부터 상기 식재료의 배송 단계별로 상기 식재료의 고유 식별자가 포함된 배송 정보를 수신시 복수의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은 상기 유통사로부터 배송 받은 식재료를 가맹점의 냉동 수단에 저장시 상기 식재료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보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냉동 수단에 저장된 식재료의 사용시마다 식재료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관 정보 및 사용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 및 타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와 복수의 가맹점 단말 상호 간 상기 배송 정보와 보관 정보 및 사용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여 공유하고, 상기 관리 서버와 복수의 가맹점 단말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블록 체인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배송정보와 보관정보 및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한 후 상기 관리 서버와 복수의 가맹점 단말 각각에 미리 저장된 공유 원장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KR1020180072369A 2018-06-22 2018-06-22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0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369A KR20200000273A (ko) 2018-06-22 2018-06-22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369A KR20200000273A (ko) 2018-06-22 2018-06-22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73A true KR20200000273A (ko) 2020-01-02

Family

ID=6915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369A KR20200000273A (ko) 2018-06-22 2018-06-22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2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081B1 (ko) * 2020-02-14 2020-09-29 전우곤 주류 유통 관리를 위한 지능 정보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주류 유통 관리 방법
KR102174523B1 (ko) 2020-03-11 2020-11-04 이승헌 식품 수입통관 표준화 통합 플랫폼 시스템
KR102217121B1 (ko) 2020-01-29 2021-02-18 서성원 특별 주류세 증명(PoSLT, Proof-of-Special-Liquor-Tax)을 합의 알고리즘으로 가지는 맥주 유통 블록체인 시스템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121B1 (ko) 2020-01-29 2021-02-18 서성원 특별 주류세 증명(PoSLT, Proof-of-Special-Liquor-Tax)을 합의 알고리즘으로 가지는 맥주 유통 블록체인 시스템 및 시스템
KR102161081B1 (ko) * 2020-02-14 2020-09-29 전우곤 주류 유통 관리를 위한 지능 정보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주류 유통 관리 방법
KR102174523B1 (ko) 2020-03-11 2020-11-04 이승헌 식품 수입통관 표준화 통합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1243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 chain control
Taleizadeh et al. Stock replenishment policies for a vendor-managed inventory in a retailing system
Chen et al. The impact of demand variability and transshipment on vendor's distribution policies under vendor managed inventory strategy
Bendoly et al. Service and cost benefits through clicks-and-mortar integration: Implications for the centralization/decentralization debate
CN107256473A (zh) 一种基于仓储的标准箱货品的配送调整方法及装置
US201803149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fullfillment of one or more online orders
KR20200000273A (ko)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340421A (zh) 一种采购方法
Glock et al. Safety measures in the joint economic lot size model with returnable transport items
CN107292724A (zh) 一种订单的自动生成方法、装置及服务器
Liao et al. Optimal responses to stockouts: Lateral transshipment versus emergency order policies
CN107742198A (zh) 零售商供应链管理方法及装置
Darwish et al. Vendor-managed inventory model for single-vendor single-buyer supply chain
Wee et al. Single-vendor single-buyer inventory model with discrete delivery order, random machine unavailability time and lost sales
CN110147974A (zh) 分布式仓库间库存共享方法及装置
Sajadieh et al. A joint optimal policy for a multiple-suppliers multiple-manufacturers multiple-retailers system
CN107239922A (zh) 用于多个商品经销商共享存货的管理方法及管理系统
Wang The application of third party logistics to implement the Just-In-Time system with minimum cost under a global environment
CN108053156A (zh) 一种基于互联网的微商虚拟库存管理系统以及方法
KR20160013279A (ko) 물품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물품 판매공유 방법 및 물품 재고공유 방법
KR20170101709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도시락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0274A (ko) 냉동 해산물을 위한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40909B1 (ko) 오픈 마켓 위탁 배송 시스템
CN113592146B (zh) 目标产品的发货方法及发货系统、电子设备
KR20190016817A (ko) IoT 기반 스마트 배송 공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