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229U - 흡입대가 부착된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흡입대가 부착된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229U
KR20200000229U KR2020180003337U KR20180003337U KR20200000229U KR 20200000229 U KR20200000229 U KR 20200000229U KR 2020180003337 U KR2020180003337 U KR 2020180003337U KR 20180003337 U KR20180003337 U KR 20180003337U KR 20200000229 U KR20200000229 U KR 202000002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table
suction
cover
content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풍기
Original Assignee
김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풍기 filed Critical 김풍기
Priority to KR2020180003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229U/ko
Publication of KR202000002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22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6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내용물 수용부는 제 2 흡입대가 구비되며, 내용물 수용부 상부에는 커버가 형성되며, 커버에 구비된 제 1 흡입대와 상기 제 2 흡입대가 완활 하게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제 2 흡입대 지름보다 제 1 흡입대 지름이 크게 형성되고, 제 1 흡입대는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흡입대는 내용물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별도로 흡입대를 구매하지 않아도 되며, 내용물 수용부와 커버 성형시 제 1 흡입대와 제 2 흡입대가 함께 사출 성형됨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약할 수 있고,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분리수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입대가 부착된 음료용기.{beberage container with suction cup}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음료 용기 성형시 흡입대와 함께 성형하는 흡입대가 부착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음료 용기 또는 일반 용기는 내용물을 담는 공간부과 흡입대를 거치할 수 있는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회용 음료 용기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내용물 수용부와 내용물이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커버로 이루어지며, 커버에는 흡입대를 거치할 수 있도록 중앙에 구멍이 뚫려져 있다. 이를 사용시에는 제조된 음료를 내용물 수용 공간부에 넣은 후 커버로 닫게 되고 마지막으로 흡입대를 거치하게 된다.
선행기술로는 공개번호 10-2015-0110024 "밀폐용 필름이 구비된 일회용 용기 뚜껑"이 있다.
제조된 음료를 내용물 수용부에 넣은 후 커버로 닫게 되고 마지막으로 흡입대를 거치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시간은 극히 짧으나 주문량이 많고 여름철인 경우, 음료에 얼음을 추가적으로 넣어 흡입대를 거치하기에는 각얼음으로 인하여 쉽지 않기 때문에 적정한 크기로 얼음을 분쇄된 얼음을 미리 구매하여 사용 하며, 음료 용기 구매시에도 커버와 내용물 수용부 및 흡입대를 별로도 구매해야하기에 불편함이 생기고, 흡입대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커버 상부 중앙에만 홈부가 형성되어있어, 적게 남아 있는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흡입대를 이리 저리 돌려야 되는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 수용부와 커버로 이루어진 흡입대가 부착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수용부는 제 2 흡입대가 구비되며, 내용물 수용부 상부에는 커버가 형성되며, 커버에 구비된 제 1 흡입대와 상기 제 2 흡입대가 완활 하게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제 2 흡입대 지름보다 제 1 흡입대 지름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대는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흡입대는 내용물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커버 중앙에는 제 1 홈부가 형성되고, 제 1 홈부 하부로에는 커버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홈이 구비되고, 안내홈 하부에는 제 2 홈부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별도로 흡입대를 구매하지 않아도 되며, 내용물 수용부와 커버 성형시 제 1 흡입대와 제 2 흡입대가 함께 사출 성형됨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약할 수 있고,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분리수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 일실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일실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 일실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일실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일실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 일실시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내용물 수용부와 커버로 이루어진 흡입대가 부착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수용부(10)는 제 2 흡입대(30-1)가 구비되며, 내용물 수용부 (30-1) 상부에는 커버(20)가 형성되며, 커버(20)에 구비된 제 1 흡입대(30)와
상기 제 2 흡입대(30-1)가 완활 하게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제 2 흡입대(30-1) 지름보다 제 1 흡입대(30) 지름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대(30)는 커버(20)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흡입대(30-1)는 내용물 수용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커버(10) 중앙에는 제 1 홈부(20-1)가 형성되고, 제 1 홈부 (20-1) 하부에는 커버(10)의 굴곡에 따라 안내홈(20-2)이 구비되고, 안내홈 (20-2) 하부에는 제 2 홈부(20-3)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해본다.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일실시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제 1 일실시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제 1 일실시 예는 내용물 수용부(10) 내측에는 제 2 흡입대(30-1)가 내용물 수용부(10)가 구비되고, 제 2 흡입대(30-1)의 말단과 내용물 수용부(10)의 바닥에서 0.5cm ~ 1cm 정도 여유공간이 있어야 내용물을 손쉽게 흡입할 수 있으며,
상기 내용물 수용부(10) 제조시 함께 제 2 흡입대(30-1)를 사출성형함에 따라 별도의 비용 추가 없이 성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 2 흡입대(30-1) 상부에는 제 1 흡입대(30)가 끼워 고정되며, 제 1 흡입대(30)는 커버(20)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커버(20) 제조시 함께 제 1 흡입대 (30)도 제조된다.
또한, 내용물 수용부(10)와 커버(20)는 타원형의 형상을 하고 있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각형 형상을 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일실시 사시도 및 분리시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 일실시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제 2 일실시 예는 커버(20)에 안내홈(20-2)이 구비되어 원하는 부위로 흡입대를 이동하여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커버(20)의 중앙에는 제 1 홈부(20-1)가 형성되고, 제 1 홈부(20-1) 손쉽게 제 3 흡입대(30-2)를 거치할 수 있도록 제 3 흡입대(30-2)의 지름보다 4배 ~ 5배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제 1 홈부(20-1) 하부에는 커버(20)의 굴곡에 따라 안내홈(20-2)이 구비 되며, 안내홈(20-2)을 따라 제 3 흡입대(30-2)를 거치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원활하게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 3 흡입대(30)의 지름보다 1.2배 정도 넓게 형성되어야 한다.
안내홈(20-2) 하부에는 제 2 홈부(20-3)가 구비되어 도 6에서와 같이 제 3 흡입대를 거치하여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 2 홈부(20-3)의 지름은 제 3 흡입대(30-2)의 지름보다 1.5배 정도 넓어야 원활하게 거치하여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다.
10 내용물 수용부.
20 커버.
20-1 제 1 홈부.
20-2 안내홈.
20-3 제 2 홈부.
30 제 1 흡입대.
30-1 제 2 흡입대.
30-2 제 3 흡입대.

Claims (2)

  1. 내용물 수용부와 커버로 이루어진 흡입대가 부착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수용부는 제 2 흡입대가 구비되며, 내용물 수용부 상부에는 커버가 형성되며, 커버에 구비된 제 1 흡입대와 상기 제 2 흡입대가 완활 하게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제 2 흡입대 지름보다 제 1 흡입대 지름이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대가 부착된 음료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중앙에는 제 1 홈부가 형성되고, 제 1 홈부 하부에는 커버의 굴곡면을 따라 안내홈이 구비되고, 안내홈 하부에는 제 2 홈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대가 부착된 음료용기.
KR2020180003337U 2018-07-19 2018-07-19 흡입대가 부착된 음료용기 KR202000002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337U KR20200000229U (ko) 2018-07-19 2018-07-19 흡입대가 부착된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337U KR20200000229U (ko) 2018-07-19 2018-07-19 흡입대가 부착된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29U true KR20200000229U (ko) 2020-01-30

Family

ID=6922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337U KR20200000229U (ko) 2018-07-19 2018-07-19 흡입대가 부착된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22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61522S1 (en) Container lid with anti-spill spout
USD512636S1 (en) Container with lid
USD473461S1 (en) Container
USD503830S1 (en) Cosmetic container
EP3002229A1 (en) Combined disposable cup lid and mobile phone stand
USD558045S1 (en) Container
USD937640S1 (en) Container
USD548522S1 (en) Drinking mug with stirring apparatus
USD884424S1 (en) Milk jug-shaped container for storing, dispensing, and serving liquids
USD507181S1 (en) Ornamental cov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D528908S1 (en) Tray container with side handles and recessed lid
USD496222S1 (en) Dispensing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20200000229U (ko) 흡입대가 부착된 음료용기
USD518265S1 (en) Liquid container with lid
USD572974S1 (en) Beverage container and lid
USD496830S1 (en) Spice container with dispensing lid
USD504281S1 (en) Container
USD513988S1 (en) Ornamental cov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D978865S1 (en) Cover for electronic device
KR102212090B1 (ko) 스트로가 구비된 텀블러
US20040237573A1 (en) Drinking cup
USD488961S1 (en) Cylindrical vacuum container
USD507747S1 (en) Container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