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01A - 딥 러닝 기반의 지정맥 특징과 손가락 형태를 이용하는 생체 인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딥 러닝 기반의 지정맥 특징과 손가락 형태를 이용하는 생체 인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0001A KR20200000001A KR1020180064759A KR20180064759A KR20200000001A KR 20200000001 A KR20200000001 A KR 20200000001A KR 1020180064759 A KR1020180064759 A KR 1020180064759A KR 20180064759 A KR20180064759 A KR 20180064759A KR 20200000001 A KR20200000001 A KR 202000000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interest
- score
- generating
- fing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 G06K9/00885—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82—Learning methods modifying the architecture, e.g. adding, deleting or silencing nodes or conne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
- G06K2009/009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인식 장치에 적용된 전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인식 장치가 관심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인식 장치가 이용하는 단시간 푸리에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인식 장치가 이용하는 컨볼루션 신경망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인식 장치가 이용하는 컨볼루션 신경망의 구체적인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인식 장치가 생체 인식을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인식 장치의 테스트 영상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예시한 도면.
Claims (15)
- 딥 러닝 기반의 지정맥 특징과 손가락 형태를 이용하는 생체 인식 장치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하여 전처리 영상을 생성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 영상으로부터 관심 영상을 생성하는 관심 영상 추출부;
상기 관심 영상에 대한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컨볼루션 신경망에 적용하여 형태 점수를 산출하는 형태 점수 산출부;
상기 관심 영상에 대한 차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차 영상을 컨볼루션 신경망에 적용하여 지정맥 점수를 산출하는 지정맥 점수 산출부; 및
상기 형태 점수 및 상기 지정맥 점수를 융합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최종 점수에 따라 생체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생체 인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 점수 산출부는,
상기 관심 영상에 대해 단시간 푸리에 변환(Short time Fourier Transform, STFT)을 적용하여 상기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맥 점수 산출부는,
상기 관심 영상과 동일 클래스 및 다른 클래스의 영상 간의 픽셀값 차이를 포함하는 상기 차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볼루션 신경망은
15개의 컨벌루션 레이어, 4개의 숏컷 레이어 및 1개의 완전 연결 레이어를 포함하되,
각 상기 컨벌루션 레이어에서 이용된 커널 사이즈는 1×1, 3×3 및 7×7 중 어느 하나이고, 패딩 수는 0 또는 1이고, 스트라이드 수는 1 또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식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숏컷 레이어는 56×56×256, 28×28×512, 14×14×1024 및 7×7×2048 중 어느 하나의 사이즈에 해당하는 특징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해 이진화를 적용하고, 이진화된 상기 입력 영상의 열화된 부분을 복원하여 손가락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입력 영상 중 상기 손가락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전처리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상 추출부는,
상기 전처리 영상으로부터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를 추출하고,
상기 관심 영역에서 경계면의 각도를 측정하고,
상기 경계면의 각도에 따라 전처리 영상을 회전 변환하고,
관심 영역과 배경을 포함하는 상기 관심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식 장치.
- 생체 인식 장치가 딥 러닝 기반의 지정맥 특징과 손가락 형태를 이용하는 생체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하여 전처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 영상으로부터 관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상에 대한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컨볼루션 신경망에 적용하여 형태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상에 대한 차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차 영상을 컨볼루션 신경망에 적용하여 지정맥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형태 점수 및 상기 지정맥 점수를 융합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최종 점수에 따라 생체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인식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상에 대한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컨볼루션 신경망에 적용하여 형태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상에 대해 단시간 푸리에 변환(Short time Fourier Transform, STFT)을 적용하여 상기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식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상에 대한 차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차 영상을 컨볼루션 신경망에 적용하여 지정맥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상과 동일 클래스 및 다른 클래스의 영상 간의 픽셀값 차이를 포함하는 상기 차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식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볼루션 신경망은
15개의 컨벌루션 레이어, 4개의 숏컷 레이어 및 1개의 완전 연결 레이어를 포함하되,
각 상기 컨벌루션 레이어에서 이용된 커널 사이즈는 1×1, 3×3 및 7×7 중 어느 하나이고, 패딩 수는 0 또는 1이고, 스트라이드 수는 1 또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식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숏컷 레이어는 56×56×256, 28×28×512, 14×14×1024 및 7×7×2048 중 어느 하나의 사이즈에 해당하는 특징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식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하여 전처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해 이진화를 적용하고, 이진화된 상기 입력 영상의 열화된 부분을 복원하여 손가락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입력 영상 중 상기 손가락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전처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영상으로부터 관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처리 영상으로부터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역에서 경계면의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경계면의 각도에 따라 전처리 영상을 회전 변환하는 단계; 및
관심 영역과 배경을 포함하는 상기 관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식 방법.
-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생체 인식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4759A KR102138652B1 (ko) | 2018-06-05 | 2018-06-05 | 딥 러닝 기반의 지정맥 특징과 손가락 형태를 이용하는 생체 인식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4759A KR102138652B1 (ko) | 2018-06-05 | 2018-06-05 | 딥 러닝 기반의 지정맥 특징과 손가락 형태를 이용하는 생체 인식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0001A true KR20200000001A (ko) | 2020-01-02 |
KR102138652B1 KR102138652B1 (ko) | 2020-07-29 |
Family
ID=69155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4759A Active KR102138652B1 (ko) | 2018-06-05 | 2018-06-05 | 딥 러닝 기반의 지정맥 특징과 손가락 형태를 이용하는 생체 인식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865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53656A (zh) * | 2020-05-18 | 2020-10-09 | 深圳大学 | 特征提取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2036316A (zh) * | 2020-08-31 | 2020-12-04 |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 手指静脉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
USD982052S1 (en) * | 2021-01-29 | 2023-03-28 | Pegavision Corporation | Contact len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4373B1 (ko) * | 2020-11-19 | 2023-04-21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실내 보안 응용을 위한 인체 감지 레이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체 감지 방법 |
US12249175B2 (en) | 2021-04-26 | 2025-03-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and smart car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29679A (ja) * | 2006-11-17 | 2008-06-05 | Toshinori Tokuda | 指紋判別モデル構築方法、指紋判別方法、本人認証方法、指紋判別装置、および、本人認証装置 |
KR100940902B1 (ko) * | 2009-05-14 | 2010-02-08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손가락 기하학 정보를 이용한 바이오 인식 방법 |
JP2016532945A (ja) * | 2013-09-16 | 2016-10-20 | アイベリファ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バイオメトリック認証のための特徴抽出およびマッチングおよびテンプレート更新 |
-
2018
- 2018-06-05 KR KR1020180064759A patent/KR10213865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29679A (ja) * | 2006-11-17 | 2008-06-05 | Toshinori Tokuda | 指紋判別モデル構築方法、指紋判別方法、本人認証方法、指紋判別装置、および、本人認証装置 |
KR100940902B1 (ko) * | 2009-05-14 | 2010-02-08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손가락 기하학 정보를 이용한 바이오 인식 방법 |
JP2016532945A (ja) * | 2013-09-16 | 2016-10-20 | アイベリファ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バイオメトリック認証のための特徴抽出およびマッチングおよびテンプレート更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53656A (zh) * | 2020-05-18 | 2020-10-09 | 深圳大学 | 特征提取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1753656B (zh) * | 2020-05-18 | 2024-04-26 | 深圳大学 | 特征提取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2036316A (zh) * | 2020-08-31 | 2020-12-04 |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 手指静脉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
CN112036316B (zh) * | 2020-08-31 | 2023-12-15 |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 手指静脉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
USD982052S1 (en) * | 2021-01-29 | 2023-03-28 | Pegavision Corporation | Contact le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8652B1 (ko) | 2020-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89465B2 (en) | Feature extraction and matching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 |
KR102138652B1 (ko) | 딥 러닝 기반의 지정맥 특징과 손가락 형태를 이용하는 생체 인식 장치 및 방법 | |
Gottschlich | Curved-region-based ridge frequency estimation and curved Gabor filters for fingerprint image enhancement | |
US8472679B2 (en) |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computer program | |
KR102439938B1 (ko) | 사용자 인증을 위한 멀티-모달 퓨전 방법 및 사용자 인증 방법 | |
KR100940902B1 (ko) | 손가락 기하학 정보를 이용한 바이오 인식 방법 | |
KR102174083B1 (ko) | 딥 러닝 기반의 지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식 장치 및 방법 | |
KR20170045813A (ko) | 사용자 인증을 위한 생체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190109772A (ko) | 얼굴 인식 시스템의 위조 공격 탐지 장치 및 방법 | |
Liu et al. | An improved 3-step contactless fingerprint image enhancement approach for minutiae detection | |
KR101877683B1 (ko) | 학습을 이용한 얼굴 인식 장치 및 방법 | |
Mehmood et al. | Palmprint enhancement network (PEN) for robust identification | |
KR20170003361A (ko) | 지문 인식 방법 및 장치 | |
KR20190134952A (ko) | 홍채 인식 시스템을 위한 위조 공격 탐지 장치 및 방법 | |
Patel et al. | Performance improvement in preprocessing phase of fingerprint recognition | |
Ghafoor et al. | Robust palmprint identification using efficient enhancement and two‐stage matching technique | |
KR102168937B1 (ko) | 정규화된 지역구조에 의한 지문 영상의 이진화 벡터 변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두 지문 영상간 동일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 |
NSEKUYE et al. | Resnet-F: Fingerprint Analysis Using Cnns for Type Identification and Ridge Quantification | |
Mehmood | An Adaptive Palmprint Enhancement and Feature Selection Method for Robust Identification | |
CN118898517B (zh) | 一种基于区块链和大数据的金融交易系统 | |
Sayeed et al. | Iris recognition using segmental Euclidean Distances | |
Gautam et al. | A Novel ES-RwCNN Based Finger Vein Recognition System with Effective L12 DTP Descriptor and AWM-WOA Selection. | |
Basha et al. | Fast multimodal biometric approach using dynamic fingerprint authentication and enhanced iris features | |
Rahim et al. | Iris Recognition using Histogram Analysis via LPQ and RI-LPQ Method | |
Wang et al. | Information fusion in personal biometric authentication based on the iris patter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