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334A - Apparatus for helping movement and rail system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elping movement and rail system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334A
KR20190143334A KR1020180139225A KR20180139225A KR20190143334A KR 20190143334 A KR20190143334 A KR 20190143334A KR 1020180139225 A KR1020180139225 A KR 1020180139225A KR 20180139225 A KR20180139225 A KR 20180139225A KR 20190143334 A KR20190143334 A KR 20190143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guide
screw
guide rai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9857B1 (en
Inventor
심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스트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스트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스트케어
Publication of KR2019014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3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8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2Rail systems

Abstract

Disclosed are a movement assistance apparatus and a movement assistance rail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assistance rail system comprises: a guide rail formed along a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movement assistance apparatus formed to be moved along the guide rail. The movement assistance apparatus comprises: a rail coupling unit formed to be moved along the guide rail; and a direction switching unit formed to be axially rotated on one side of the rail coupling unit and switching a direction of the movement assistance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axial rotation.

Description

이동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APPARATUS FOR HELPING MOVEMENT AND RAIL SYSTEM WITH THE SAME}Travel assistance device and a travel assistance rail system having the same {APPARATUS FOR HELPING MOVEMENT AND RAIL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보조 기술과 관련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mobility assistance technology.

노인 또는 환자 등은 실내에서 화장실이나 식탁 등으로 이동하기가 어려워 목발이나 보행 보조기를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스스로 자립할 힘이 없는 중증 환자나 노인은 혼자서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보행 보조기를 혼자서 이용하더라도 이동 중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워 넘어지거나 다치게 될 위험이 높다. 이에, 천장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가이드 레일에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보조 기구(예를 들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띠 또는 사용자가 잡고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 등)를 설치하는 방안이 개발되었다. The elderly or the patient is difficult to move from indoors to the toilet or dining table, so using crutches or walking aids. However, severely ill patients or elderly people who do not have the power to stand on their own are not only difficult to use walking aids alone, but even when using walking aids alon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posture while moving, and there is a high risk of falling or getting hurt. Accordingly, a method of installing a guide rail on a ceiling and installing an auxiliary mechanism (for example, a seat belt worn by a user or a handle that a user can hold and move) on the guide rail moves along the guide rail has been developed.

그러나, 가이드 레일을 천장에 설치하는 경우, 가이드 레일의 설치를 위해 기존 실내 구조를 개조하여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모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나사못 등과 같은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가이드 레일과 천장을 결합하여야 하므로, 천장이 손상될 염려가 있고 외관도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을 천장에 설치하게 되면, 사용자의 하중이 가이드 레일에 가해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게 되면 가이드 레일과 천장과의 결합된 부분이 내려 앉아 천장이 훼손되고, 심지어 사용자가 크게 다치게 되는 우려가 있다.However, when the guide rail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existing interior structure must be modifi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guide rail, which is expensive. In addition, since the guide rail and the ceiling must be coupled using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along the guide rail, there is a concern that the ceiling may be damaged and the appearance may not be good. In addition, when the guide rail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user's load is applied to the guide rail, and as time passes, the combined portion of the guide rail and the ceiling may fall, damaging the ceiling, and even causing a serious injury to the user. have.

또한, 가이드 레일을 이동하는 보조 기구를 이용하더라도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환자들은 혼자서는 화장실이나 부엌 등으로 이동하기 어렵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내에서 이동 시 문턱 등과 같은 장애물이 있는 경우, 보조 기구를 이용하더라도 홀로 이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using an auxiliary device for moving the guide rail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and uncomfortable for the elderly or patients who are uncomfortable to move alone to the toilet or kitchen.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n obstacle such as a threshold when moving indoor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to the hall even when using the auxiliary mechanism.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8401호(2008.05.08)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828401 (2008.05.0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 개조 및 천장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that can minimize the interior renovation and damage to the ceil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tha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약자가 실내에서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for allowing the elderly to move in the room without the help of others.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은, 제1 접촉면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레일 결합부; 및 상기 레일 결합부의 일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축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 보조 장치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uxiliary rail system includes: a guide rail provided along a first contact surface; And a movement assisting devic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wherein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a direction chang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ail coupling part to be rotatable, an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haft rotation.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상기 레일 결합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방향 전환부가 축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driving par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rail coupling part along the guide rail; And a second driver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axially rotate the direction changer.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1-1 회전 기어 및 상기 제1-1 회전 기어와 맞물리는 제1-2 회전 기어를 포함하는 제1 회전 기어부; 및 상기 제1-2 회전 기어를 상기 레일 결합부와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축 회전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rection change unit may include: a first rotary gear unit including a first-first rotary gear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and a first-second rotary gear engaged with the first-first rotary gear; And it may include a shaft rotation coupling portion for rotatably coupling the 1-2 rotation gears with the rail coupling portion.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마련되는 의자부; 상기 의자부의 일측에서 상기 의자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접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방향 전환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며 마련되는 제1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includes: a chair unit provided to be seated by a user;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chair part at one side of the chair part and provi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a first connection frame provided to connect the direction change unit and the support frame.

상기 지지 프레임은, 제1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에 의해 상기 방향 전환부와 연결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의자부와 연결되어 상기 의자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may include a first support frame having a first length and connected to the direction change unit by the first connection frame; And a second support frame provided at a second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connected to the chair part to support the chair part.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되도록 마련되는 제1 상하 이동부;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movement part provided to move the second support fram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And a third driver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so that the second support frame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상기 제1 상하 이동부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는 제1-1 가이드 고정부 및 제1-2 가이드 고정부; 상기 제1-1 가이드 고정부 및 상기 제1-2 가이드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고,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스크류; 상기 제1 가이드 스크류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가이드 스크류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1 가이드 스크류의 스크류와 대응하는 스크류가 형성되는 제1 스크류 결합부; 및 상기 제3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2 회전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movement part may include: a first-first guide fixing part and a first-second guide fix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guide screw provided between the first-first guide fixing part and the first-second guide fixing part and having a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rst screw coupling part provided in the first guide screw and provided with the first guide screw passing therein and having a screw corresponding to the screw of the first guide screw therein; And a second rotary gear unit connected to the third driving unit.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스크류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크류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제2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ion fram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and fixes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상기 의자부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되도록 마련되는 제2 상하 이동부; 및 상기 의자부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4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vertical movement part provided with the chair part vertically moved along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a fourth driv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so that the chair uni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supporting frame.

상기 제2 상하 이동부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는 제2-1 가이드 고정부 및 제2-2 가이드 고정부; 상기 제2-1 가이드 고정부 및 상기 제2-2 가이드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고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는 제2 가이드 스크류; 상기 제2 가이드 스크류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스크류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2 가이드 스크류의 스크류와 대응하는 스크류가 형성되는 제2 스크류 결합부; 및 상기 제4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3 회전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up and down moving part may include: a 2-1 guide fixing part and a 2-2 guide fix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cond guide screw provided between the 2-1 guide fixing portion and the 2-2 guide fixing portion and having a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econd screw coupling part provided on the second guide screw, the second guide screw passing through, and having a screw corresponding to the screw of the second guide screw therein; And a third rotary gear unit connected to the fourth driving unit.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일단이 상기 의자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스크류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스크류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제3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necting fram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hair portion,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and fixing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은, 제1 접촉면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레일 결합부;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마련되는 의자부; 상기 의자부의 일측에서 상기 의자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접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레일 결합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며 마련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uxiliary rail system includes: a guide rail provided along a first contact surface; And a movement assisting devic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wherein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 chair unit provided to be seated by a user;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chair part at one side of the chair part and provi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a connecting frame provided to connect the rail coupling part and the support frame.

상기 지지 프레임은, 제1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에 의해 상기 레일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의자부와 연결되어 상기 의자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may include a first support frame having a first length and connected to the rail coupling part by the connection frame; And a second support frame provided at a second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connected to the chair part to support the chair part.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되도록 마련되는 상하 이동부;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may include a vertical movement part provided to move the second support fram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And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so that the second supporting frame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upporting frame.

상기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은, 상기 의자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되도록 마련되는 상하 이동부; 및 상기 의자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may include a vertical moving part provided with the chair part vertically moved along the support fram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frame the chair unit.

개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은, 제1 접촉면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보조 장치;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1 접촉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1 접촉면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2 접촉면 사이에서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과 각각 수직하게 마련되어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포스트; 및 일단이 상기 지지 포스트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지지 포스트에 의해 상기 제1 접촉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 지지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uxiliary rail system includes: a guide rail provided along a first contact surface; A movement assistance devic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t least one support post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one end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s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uide rail, wherein the guide rail is fixedly support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by the connection part and the support post. .

상기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은, 상기 지지 포스트의 상단에서 상기 지지 포스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촉면과 접촉되어 지지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부의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 포스트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제1 포스트 연결부; 및 상기 제1 포스트 연결부의 일측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연장부와 결합되는 제2 포스트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auxiliary rail system further includes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post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st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surface, wherein the support portion extends from the outside of the support portion toward the guide rail side. An extension part, wherein the connection part comprises: a first post connection part coupled to an upper end part of the support post; And a second post connection part protru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first post connection part to the guide rail and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장치는, 제1 접촉면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보조 장치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레일 결합부; 및 상기 레일 결합부의 일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축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 보조 장치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한다.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movement assisting devic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a guide rail provided along a first contact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Rail coupling; And a direction chang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ail coupling part to be rotatable, an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haft rotation.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장치는, 제1 접촉면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보조 장치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레일 결합부;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마련되는 의자부; 상기 의자부의 일측에서 상기 의자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접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레일 결합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며 마련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is a movement assistance devic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a guide rail provided along a first contact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Rail coupling; A chair unit provided to be seated by a user;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chair part at one side of the chair part and provi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a connecting frame provided to connect the rail coupling part and the support frame.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레일이 천정에 직접 설치되지 않고 천정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천장이 손상될 염려가 없고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실내 개조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In the disclosed embodiment, since the guide rail is installed directly away from the ceiling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ceiling, there is no fear of damaging the ceiling,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indoor modification to equip the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또한, 지지 포스트를 바닥과 천정 사이에 설치하고 연결부를 통해 지지 포스트와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그로 인해, 실내에서 사용자의 이동 동선에 따라 가이드 레일을 편리하게 장착 및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sts need only be installed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and connect the support posts and the guide rails through the connections, there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Therefore, the guide rail can be conveniently mounted and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line of the user indoors.

또한, 가이드 레일이 천정에서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에서 서로 다른 공간에 가이드 레일을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guide rails are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the guide rails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in different spaces in the room,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ontinuously move along the guide rails.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보조 장치에 의자부를 구비하고, 이동 보조 장치가 전후진 이동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며, 제2 지지 프레임의 상하 이동 및 의자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환자들도 문턱 등과 같은 장애물이 있는 실내에서 홀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chair part,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enables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direction change,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hair part enable movement. Uncomfortable elderly people or patients can be easily moved to the hall in the room with obstacles such as threshold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포스트와 가이드 레일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장치를 나타낸 후측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장치를 나타낸 측면 사시도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화장실을 이용하기까지의 동작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싱크대 상부 수납장을 이용하기까지의 동작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the support post and the guide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ement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movement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ement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3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up to the user using the toilet through the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8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up to the user using the sink top cabinet through the movement auxiliary 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assist 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only and should not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of meaning.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or "equipment"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directional terms such as upper side, lower side, one side, the other side, and the like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s. Since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the directional terminology is u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not limita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포스트와 가이드 레일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movement auxiliary 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post and the guide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100)은 지지 포스트(102), 포스트 연결부(104), 및 가이드 레일(106)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movement assist rail system 100 may include a support post 102, a post connection 104, and a guide rail 106.

지지 포스트(102)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100)이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과 천장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 포스트(102)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 포스트(102)는 제1 지지 포스트(111), 제2 지지 포스트(113), 및 길이 조절 레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post 102 may be mounted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of the room in which the movable auxiliary rail system 100 is installed. The support post 102 may serve to support the moving assist rail system 100. The support post 102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ost 111, a second support post 113, and a length adjustment lever 115.

제1 지지 포스트(111)는 제1 접촉면(S1)(예를 들어, 실내의 바닥면)에서 제1 접촉면(S1)에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 포스트(111)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 포스트(111)의 하단에는 제1 지지 포스트(111)가 제1 접촉면(S1)에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되도록 제1 받침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받침부(121)의 상면에는 제1 지지 포스트(111)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구(12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받침부(121)의 하면은 제1 접촉면(S1)과 접촉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받침부(121)는 제1 지지 포스트(111)의 직경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ost 111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S1 at the first contact surface S1 (for example, a bottom surface of the room). The first support post 111 may have a pipe shape with an empty inside. The first support part 121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st 111 so that the first support post 111 may be stably fixed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S1. A first insertion hole 121a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st 111 may be inserted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121.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121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surface S1. The first support part 121 may have an area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upport post 111.

제2 지지 포스트(113)의 하단부는 제1 지지 포스트(111)의 상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지지 포스트(113)의 직경은 제1 지지 포스트(111)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 포스트(113)는 제2 지지 포스트(113)의 하단부가 제1 지지 포스트(111)의 상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 포스트(113)는 제1 지지 포스트(111)의 상단에서 제1 지지 포스트(111)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 포스트(113)의 상단부는 제2 접촉면(S2)(예를 들어, 실내의 천장면)과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st 111. The diameter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upport post 111. The second support post 113 may be provid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st 111. The second support post 113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pport post 111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st 111.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contact surface S2 (eg, the ceiling surface of the room).

여기서, 제2 접촉면(S2)은 제1 접촉면(S1)과 평행하며 제1 접촉면(S1)과 일정 거리 이격된 면일 수 있다.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제1 접촉면(S1)이 바닥면이고, 제2 접촉면(S2)이 천장면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접촉면(S1) 및 제2 접촉면(S2)은 건물의 양측 벽 등과 같이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두 면을 각각 의미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second contact surface S2 may be a surface parallel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S1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S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ereinafter, in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surface S1 is the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S2 is the ceiling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contact surface S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 S2) may also mean two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parallel, such as the two walls of the building, of course.

제2 지지 포스트(113)의 상단에는 제2 지지 포스트(113)가 제2 접촉면(S2)에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되도록 제2 받침부(1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받침부(123)의 하면에는 제2 지지 포스트(113)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구(123a)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받침부(123)는 제2 지지 포스트(113)의 직경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part 123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so that the second support post 113 may be stably fixed to the second contact surface S2. A second insertion hole 123a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may be inserted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 123. The second support part 123 may have an area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제2 받침부(123)는 제2 받침부(12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23b)는 제2 받침부(123)의 양측에서 제2 받침부(123)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23b)는 가이드 레일(106)과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123b)에는 연장부(123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123c)이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part 123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123b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123. The extension part 123b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upport part 123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art 123. The extension part 123b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guide rail 106. The extension part 123b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123c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123b.

길이 조절 레버(115)는 제1 지지 포스트(111) 및 제2 지지 포스트(11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길이 조절 레버(115)는 제2 지지 포스트(113)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길이 조절 레버(115)는 제2 지지 포스트(11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지지 포스트(102)가 제1 접촉면(S1)과 제2 접촉면(S2) 사이에서 제1 접촉면(S1)과 제2 접촉면(S2)에 각각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길이 조절 레버(115)는 제2 지지 포스트(113)의 하단이 제1 지지 포스트(111)의 상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지지 포스트(113)의 길이를 상측 방향(즉, 제2 접촉면(S2) 방향)으로 연장시켜 지지 포스트(102)가 제1 접촉면(S1)과 제2 접촉면(S2) 사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길이 조절 레버(115)는 사용자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하강하면서 제2 지지 포스트(113)의 길이를 상측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The length adjusting lever 115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ost 111 and the second support post 113, respectively. The length adjusting lever 115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The length adjusting lever 115 adjusts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so that the support post 102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S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S2 and the first contact surface S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Each of the contact points S2 may be fixed. That is, the length adjustment lever 115 has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in the upper direction (ie, the second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bottom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is inserted into the top of the first support post 111. The support post 102 may be fixed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S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S2. At this time, the length adjustment lever 115 can increase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in an upward direction while descend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포스트 연결부(104)는 지지 포스트(102)와 가이드 레일(106)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포스트 연결부(104)는 지지 포스트(102)의 상단부에서 지지 포스트(102)와 가이드 레일(106)을 연결할 수 있다. 포스트 연결부(104)는 가이드 레일(106)과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post connection part 104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support post 102 and the guide rail 106. The post connection part 104 may connect the support post 102 and the guide rail 106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st 102. The post connection part 104 may be provid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guide rail 106.

포스트 연결부(104)는 제1 포스트 연결부(131), 제2 포스트 연결부(133), 및 제3 포스트 연결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스트 연결부(131)는 지지 포스트(10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포스트 연결부(131)는 제2 지지 포스트(113)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포스트 연결부(131)는 제2 지지 포스트(1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을 구비하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포스트 연결부(131)는 제2 지지 포스트(113)의 상단부가 제1 포스트 연결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 부재(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 또는 리벳 등)를 통해 제2 지지 포스트(113)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포스트 연결부(131)의 형태 및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st connector 104 may include a first post connector 131, a second post connector 133, and a third post connector 135. The first post connection 131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post 102. In detail, the first post connection part 131 may b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post connector 13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 hollow so that the second support post 113 may be inserted. The first post connection part 131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ost through a coupling member (for example, a bolt and a nut or a rivet, etc.) in a state where an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st 113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st connection part 131. And may be combined with 113. However, the form and coupling manner of the first post connector 131 are not limited thereto.

제2 포스트 연결부(133)는 제1 포스트 연결부(131)의 일측에서 가이드 레일(106)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포스트 연결부(133)는 제1 포스트 연결부(131)와 제3 포스트 연결부(135) 사이에 마련되어 제1 포스트 연결부(131)와 제3 포스트 연결부(135)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포스트 연결부(133)는 제2 받침부(123)의 연장부(123b)의 하부에서 연장부(123b)와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포스트 연결부(133)의 상측은 연장부(123b)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123c)에 삽입되고, 결합홈(123c)에서 연장부(123b)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포스트 연결부(133)의 상측은 제2 받침부(123)의 연장부(123b)와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post connector 133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irst post connector 131 toward the guide rail 106. The second post connector 13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post connector 131 and the third post connector 135 to connect the first post connector 131 and the third post connector 135. The second post connection part 133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extension part 123b at the bottom of the extension part 123b of the second support part 123.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ost connection part 133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3c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123b and may be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123b in the coupling groove 123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ost connection part 133 may be combined with the extension part 123b of the second support part 123 in various forms.

제3 포스트 연결부(135)는 가이드 레일(106)의 상면(즉, 제2 접촉면(S2)을 향하는 면)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 포스트 연결부(135)는 가이드 레일(106)의 상면에서 가이드 레일(10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포스트 연결부(133)는 제1 포스트 연결부(131)의 일측과 제3 포스트 연결부(135)의 측면(지지 포스트(102)를 향하는 측면)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The third post connector 135 may be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106 (that is, a surface facing the second contact surface S2). The third post connection part 135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06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106. The second post connector 133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post connector 131 and the side surface (side of the support post 102) of the third post connector 135.

가이드 레일(106)의 상면에 제3 포스트 연결부(135)를 형성하고, 제2 포스트 연결부(133)를 통해 제1 포스트 연결부(131)와 제3 포스트 연결부(135)를 연결함으로써, 가이드 레일(106)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도 가이드 포스트(102)와 가이드 레일(106)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포스트 연결부(133)의 단부가 가이드 레일(106)의 상면 또는 측면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By forming a third post connector 135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106, and connecting the first post connector 131 and the third post connector 135 through the second post connector 133, the guide rail ( The guide post 102 and the guide rail 106 can be connected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106.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post connection portion 133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rail 106.

가이드 레일(106)은 제2 접촉면(S2)(예를 들어, 천정)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06)은 제2 접촉면(S2)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2 접촉면(S2)을 따라 제2 접촉면(S2)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06)은 연결부(104)에 의해 지지 포스트(102)와 연결됨으로써 제2 접촉면(S2)와 이격된 상태에서도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가이드 레일(106)은 실내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려고 하는 경로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106)은 안방에서 거실을 지나 화장실까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06)에는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보조 장치(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보조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레일(106)은 제2 접촉면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The guide rail 106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contact surface S2 (for example, the ceiling). The guide rail 106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contact surface S2 along the second contact surface S2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ntact surface S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guide rail 106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st 102 by the connecting portion 104 so that it can be supported even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ntact surface S2. The guide rail 106 may be installed along a path that the user intends to move indoors. For example, the guide rail 106 may be installed from the home to the bathroom through the living room. The guide rail 106 may include a movement assist device (not shown) that may move along the guide rail 106. The user may move along the guide rail 106 using a movement assist device (not sh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uide rail 106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second contact surface.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레일(106)이 천정에 직접 설치되지 않고 천정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천장이 손상될 염려가 없고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100)을 갖추기 위한 실내 개조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 포스트(102)를 바닥과 천정 사이에 설치하고 연결부(104)를 통해 지지 포스트(102)와 가이드 레일(106)을 연결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100)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그로 인해, 실내에서 사용자의 이동 동선에 따라 가이드 레일(106)을 편리하게 장착 및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106)이 천정에서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에서 서로 다른 공간에 가이드 레일(106)을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가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the disclosed embodiment, since the guide rail 106 is installed directly away from the ceiling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ceiling, there is no fear of damaging the ceiling and minimizing the interior modification to equip the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100. It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since it is only necessary to install the support posts 102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and connect the support posts 102 and the guide rails 106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04, the installation of the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100 and Removal is easy. Therefore, the guide rail 106 can be conveniently mounted and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line of the user indoors. In addition, since the guide rails 106 are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the guide rails 106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in different spaces in the room,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ontinuously move along the guide rails 106. .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3 is a view showing a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arts that differ from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in focus.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100)은 지지 포스트(102), 포스트 연결부(104), 가이드 레일(106), 및 이동 보조 장치(10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포스트(102), 포스트 연결부(104), 및 가이드 레일(10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movement assistance rail system 100 may include a support post 102, a post connection 104, a guide rail 106, and a movement assistance device 108. Here, the support post 102, the post connection portion 104, and the guide rail 106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동 보조 장치(108)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동 보조 장치(108)는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전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보조 장치(108)는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후진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 보조 장치(108)는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방향 전환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108 may be provided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106 while the user is seated.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108 may move forward along the guide rail 106 in the first direction. In addition,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may move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106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may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106, and may include a turning means for this purpose.

또한, 이동 보조 장치(108)는 지면에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보조 장치(108)의 이동 경로에 장애물(예를 들어, 문 턱 등)이 있는 경우, 이동 보조 장치(108)는 지면에서 들어 올려질 수 있으며, 지면에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이동하여 장애물을 피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108 may move along the guide rail 106 in a lifted state from the ground. If there are obstacles (eg, sills, etc.) in the movement path of the movement aid 108, the movement aid 108 may be lifted from the ground, and the guide rail 106 may be lifted from the ground. Move along to avoid obstacle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장치(108)를 나타낸 후측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장치(108)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장치(108)를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다.4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movement aiding device 10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ement assistance device 10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보조 장치(108)는 레일 결합부(142), 제1 구동부(144), 방향 전환부(146), 제2 구동부(148), 제1 연결 프레임(150), 제1 지지 프레임(152), 제2 지지 프레임(154), 제1 상하 이동부(156), 제2 연결 프레임(158), 제3 구동부(160), 제2 상하 이동부(162), 제3 연결 프레임(164), 제4 구동부(166), 의자부(168), 바퀴부(17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를 포함할 수 있다. 4 to 6,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includes a rail coupling part 142, a first driving part 144, a turning part 146, a second driving part 148, and a first connection frame 150. ), The first support frame 152,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the first vertical movement unit 156, the second connection frame 158, the third driving unit 160, and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unit 162. , A third connection frame 164, a fourth driving unit 166, a chair unit 168, a wheel unit 170, and a user interface 172.

레일 결합부(142)는 가이드 레일(106)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 결합부(142)는 가이드 레일(10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레일 결합 바디(142a) 및 레일 결합 바디(142a)의 상측에 마련되고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레일 롤러(142b)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롤러(142b)와 가이드 레일(106)간 결합은 기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rail coupling portion 142 may be coupled to the guide rail 106. The rail coupling part 142 is provided on the rail coupling body 142a and the rail coupling body 142a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06 and is provided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106. 142b. Since the coupling between the rail roller 142b and the guide rail 106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구동부(144)는 레일 결합부(14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44)는 레일 결합부(142)가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4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를 통해 입력되는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레일 결합부(142)를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The first driver 144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ail coupling part 142. The first driver 144 may provide a driving force to move the rail coupler 142 along the guide rail 106. The first driver 144 may move the rail coupler 142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106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172.

방향 전환부(146)는 이동 보조 장치(108)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 전환부(146)는 이동 보조 장치(108)에서 의자부(168)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방향 전환부(146)는 이동 보조 장치(108)를 360도 범위에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turning unit 146 ma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In detail, the direction changing unit 146 ma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hair unit 168 in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The direction change unit 146 may be provid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in a 360 degree range.

방향 전환부(146)는 레일 결합부(142)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방향 전환부(146)는 레일 결합부(142)의 하측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방향 전환부(146)가 축 회전함에 따라 방향 전환부(146)와 연결된 구성(방향 전환부(146)의 하부에 형성되는 각 구성)들이 회전하면서 의자부(168)의 방향이 전환되게 된다. The turning part 146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rail coupling part 142. The direction change unit 146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rail coupling unit 142 so as to be rotatable. As the direction change unit 146 rotates axially, the components connected to the direction change unit 146 (each of the elements formed under the direction change unit 146) rotat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hair unit 168.

방향 전환부(146)는 제1 회전 기어부(146a) 및 축 회전 결합부(14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기어부(146a)는 제1-1 회전 기어(146a-1) 및 제1-2 회전 기어(146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회전 기어(146a-1)는 제2 구동부(148)과 연결될 수 있다. 제1-2 회전 기어(146a-2)는 제1-1 회전 기어(146a-1)의 일측에서 제1-1 회전 기어(146a-1)와 맞물리며 마련될 수 있다. 제1-2 회전 기어(146a-2)는 제1-1 회전 기어(146a-1)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2 회전 기어(146a-2)는 레일 결합 바디(142a)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축 회전 결합부(146b)는 제1-2 회전 기어(146a-2)를 레일 결합 바디(142a)와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The direction change unit 146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gear unit 146a and an axial rotation coupling unit 146b. The first rotary gear unit 146a may include a first-first rotary gear 146a-1 and a first-second rotary gear 146a-2. The first-first rotary gear 146a-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r 148. The first-second rotary gear 146a-2 may be provided in engagement with the first-first rotary gear 146a-1 at one side of the first-first rotary gear 146a-1. The first-second rotary gear 146a-2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first rotary gear 146a-1. The 1-2 second rotation gear 146a-2 may be provided below the rail coupling body 142a. The axial rotation coupling unit 146b may axially rotate the first-second rotation gear 146a-2 with the rail coupling body 142a.

제2 구동부(148)는 방향 전환부(146)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구동부(148)는 방향 전환부(146)가 축 회전 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구동부(14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를 통해 입력되는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제1-1 회전 기어(146a-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1 회전 기어(146a-1)의 회전에 의해 제1-2 회전 기어(146a-2)가 축 회전하게 되며, 그로 인해 방향 전환부(146)와 연결된 구성들이 회전하여 의자부(168)의 방향이 전환되게 된다. The second driver 148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rection changer 146. The second driver 148 may provide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direction changer 146. The second driver 148 may rotate the first-first rotating gear 146a-1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172. The rotation of the first-first rotation gear 146a-1 causes the first-second rotation gear 146a-2 to axially rotate, thereby rotating the components connected to the direction change unit 146 to rotate the chair portion 168. ) Will be reversed.

제1 연결 프레임(150)은 방향 전환부(146)와 제1 지지 프레임(152)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 프레임(150)은 제1-1 연결 프레임(150-1) 및 제1-2 연결 프레임(15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연결 프레임(150-1)은 방향 전환부(146)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1 연결 프레임(150-1)은 제1-2 회전 기어(146a-2)의 하부에서 축 회전 결합부(146b)와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1 연결 프레임(150-1)은 제1-2 회전 기어(146a-2)의 하부에 제1-2 회전 기어(146a-2)와 평행하게 마련되고 축 회전 결합부(146b)와 결합되는 평행 프레임(150-1a) 및 상기 평행 프레임(150-1a)의 양단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50-1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frame 15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direction change unit 146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52. The first connection frame 150 may include a 1-1th connection frame 150-1 and a 1-2th connection frame 150-2. The first-first connection frame 150-1 may be combined with the direction change unit 146.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first connection frame 150-1 may be rotatably coupled with the axial rotation coupling portion 146b at the bottom of the 1-2 rotation gear 146a-2. The first-first connection frame 150-1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second rotation gear 146a-2 in parallel with the first-second rotation gear 146a-2 and the axial rotation coupling part 146b. It may include a parallel frame 150-1a to be coupled and a pair of side frames 150-1b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parallel frame 150-1a.

제1-2 연결 프레임(150-2)은 제1-1 연결 프레임(150-1)과 제1 지지 프레임(152)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2 연결 프레임(150-2)은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프레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2 연결 프레임(150-2)의 일단은 한 쌍의 측면 프레임(150-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2 연결 프레임(150-2)의 타단은 제1 지지 프레임(152)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The 1-2 connection frame 150-2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1-1 connection frame 150-1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52.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1-2 connection frame 150-2 may be provided as a pair of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e end of the 1-2 connection frame 150-2 may be connected to the pair of side frames 150-1b. The other end of the 1-2 connection frame 150-2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152.

제1 지지 프레임(152)은 레일 결합부(142)의 하부에서 제1 접촉면(예를 들어, 실내 바닥면 등)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된다는 것은 제1 지지 프레임(152)의 길이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제1 지지 프레임(152)이 제1 접촉면과 반드시 직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e first support frame 152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irst contact surface (eg, an indoor floor surface, etc.) at the bottom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142. Here, being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is intended to represen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152, and does not mean that the first support frame 152 is provid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Do not.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프레임(152)은 제1 접촉면과 수직(직각)하게 마련되는 수직선(P)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의자부(168)에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지지 프레임(152)은 수직선(P)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소정 각도(θ) 기울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frame 152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P which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perpendicular).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not seated on the chair unit 168, the first support frame 152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θ based on the vertical line P. FIG.

제1 지지 프레임(152)은 레일 결합부(142)의 하부에서 방향 전환부(146)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52)의 상단은 레일 결합부(142)의 하부에서 제1-1 연결 프레임(150-1)과 대응되는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 연결 프레임(150-2)은 제1 접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마련되어 제1-1 연결 프레임(150-1)과 제1 지지 프레임(152)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52)의 하단은 의자부(168)의 상부에서 의자부(168)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52)은 제1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frame 152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146 at the bottom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142. An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152 may be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first connection frame 150-1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ail coupling part 142. Here, the first-second connection frame 150-2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to connect an upper end of the first-first connection frame 150-1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52.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152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hair portion 168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hair portion 168. The first support frame 152 may be provided to have a first length.

제2 지지 프레임(154)은 제1 지지 프레임(152)의 일측에서 제1 지지 프레임(152)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프레임(152)은 수직선(P)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θ) 기울어지게 마련되는 바, 제2 지지 프레임(154)도 수직선(P)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θ) 기울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pport frame 152 a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52.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frame 152 is provid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P,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also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P. θ) can be inclined.

이는 제1 지지 프레임(152) 및 제2 지지 프레임(154)에 연결되는 이동 보조 장치(108)의 구성들의 무게 중심이 수직선(P)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소정 각도(θ) 기울어지게 마련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이동 보조 장치(108)의 무게 중심은 의자부(168)에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았을 때, 수직선(P)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소정 각도(θ) 기울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부(168)에 착석하게 되면 이동 보조 장치(108)의 무게 중심은 수직선(P)과 대응하여 이루어지게 된다.This means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mponents of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52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is inclin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θ relative to the vertical line P. Can mean. That i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108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θ based on the vertical line P when the user is not seated on the chair unit 168. Accordingly,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chair unit 168,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108 corresponds to the vertical line P. FIG.

제2 지지 프레임(154)은 제1 지지 프레임(152)의 후방에서 제1 지지 프레임(152)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154)은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154)의 상단은 제1 지지 프레임(152)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로 마련되고, 제2 지지 프레임(154)의 하단은 제2 지지 프레임(154)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바퀴부(170)가 제1 접촉면에 닿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frame 154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pport frame 152 at the rear of the first support frame 152.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may be provided to have a second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is provided at a lower level than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152,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170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first contact surface.

제2 지지 프레임(154)은 제1 상하 이동부(156)를 통해 제1 지지 프레임(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154)이 제1 지지 프레임(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지지 프레임(154)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바퀴부(170)가 제1 접촉면에서 들어 올려지게 된다.The second support frame 154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152 through the first up and down moving part 156. When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moves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152, the wheel 17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is lifted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You lose.

제1 상하 이동부(156)는 제2 지지 프레임(154)이 제1 지지 프레임(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 프레임(154)이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바퀴부(170)가 지면에서 들어올려지게 되며, 그로 인해 지면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장애물을 회피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1 상하 이동부(156)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고정부(156a), 제1 가이드 스크류(156b), 제1 스크류 결합부(156c), 및 제2 회전 기어부(156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vertical movement unit 156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is vertical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152. Here, as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moves upwards, the wheel unit 170 is lifted from the ground, whereby the obstacle can be avoided even if there is an obstacle on the ground. The first vertical moving part 156 may include a pair of first guide fixing parts 156a, a first guide screw 156b, a first screw coupling part 156c, and a second rotating gear part 156d. Can be.

한 쌍의 제1 가이드 고정부(156a)는 상호 이격되는 제1-1 가이드 고정부(156a-1) 및 제1-2 가이드 고정부(156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가이드 고정부(156a-1)는 제2 지지 프레임(154)의 상단 배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2 가이드 고정부(156a-2)는 제1-1 가이드 고정부(156a-1)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 지지 프레임(154)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The pair of first guide fixing portions 156a may include first-first guide fixing portions 156a-1 and 1-2 guide fixing portions 156a-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first guide fixing part 156a-1 may protrude from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154. The 1-2 guide fixing portion 156a-2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1 guide fixing portion 156a-1 and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154.

제1 가이드 스크류(156b)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고정부(156a)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스크류(156b)의 표면에는 스크류(즉,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스크류(156b)의 상단은 제1-1 가이드 고정부(156a-1)에 연결되고, 제1 가이드 스크류(156b)의 하단은 제1-2 가이드 고정부(156a-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screw 156b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irst guide fixing portions 156a. A screw (ie,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guide screw 156b. An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screw 156b is connected to the first-first guide fixing part 156a-1, and a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screw 156b is connected to the 1-2 guide fixing part 156a-2. Can be.

제1-1 가이드 고정부(156a-1) 및 제1-2 가이드 고정부(156a-2)의 중앙에는 각각 제1 가이드 스크류(156b)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는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의 내벽에는 제1 가이드 스크류(156b)의 스크류와 대응하는 스크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가이드 스크류(156b)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고정부(156a) 사이에서 축 회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가이드 스크류(156b)의 하단은 제1-2 가이드 고정부(156a-2)를 관통하여 제1-2 가이드 고정부(156a-2)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In the centers of the first-first guide fixing part 156a-1 and the first-second guide fixing part 156a-2, holes may be provided in whic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guide screw 156b are inserted. A screw corresponding to the screw of the first guide screw 156b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le. Thus, the first guide screw 156b can be axially rotated between the pair of first guide fixing portions 156a. Here,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screw 156b may pass through the 1-2 guide fixing portion 156a-2 and protrude downward of the 1-2 guide fixing portion 156a-2.

제1 스크류 결합부(156c)는 제1 가이드 스크류(156b)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크류 결합부(156c)는 제1 가이드 스크류(156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크류 결합부(156c)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크류 결합부(156c)는 제1 가이드 스크류(156b)가 제1 스크류 결합부(156c)를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크류 결합부(156c)의 내부에는 제1 가이드 스크류(156b)의 스크류와 대응하는 스크류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crew coupling part 156c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guide screw 156b. The first screw coupling part 156c may be provid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screw 156b.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56c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n empty inside.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56c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first guide screw 156b passes through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56c. A screw corresponding to the screw of the first guide screw 156b may be formed in the first screw coupling part 156c.

제2 회전 기어부(156d)는 제1 가이드 스크류(156b)의 하단에서 제1 가이드 스크류(156b)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 기어부(156d)는 제3 구동부(160)과 연결되는 제2-1 회전 기어(156d-1) 및 제2-1 회전 기어(156d-1)의 일측에서 제2-1 회전 기어(156d-1)와 맞물리고 제1 가이드 스크류(156b)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2 회전 기어(156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2 회전 기어(156d-2)는 제2-1 회전 기어(156d-1)과 수직하게 맞물릴 수 있다. The second rotary gear unit 156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screw 156b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screw 156b. The second rotary gear part 156d is the second-first rotary gear 156d-1 and the second-first rotary gear 156d-1 connected to the third driving unit 160. And a second-2 rotating gear 156d-2 that meshes with 156d-1 and is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screw 156b. The second-second rotary gear 156d-2 may mesh vertically with the second-first rotary gear 156d-1.

제2-1 회전 기어(156d-1)는 지면에 수평한 수평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2 회전 기어(156d-2)는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과 수직한 방향(즉,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구동부(160)에 의해 제2-1 회전 기어(156d-1)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2 회전 기어(156d-2)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가이드 스크류(156b)를 축 회전 시키게 된다. The 2-1th rotation gear 156d-1 may be provided to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horizontal line horizontal to the ground. The second-2 rotation gear 156d-2 may be provided to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vertical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at is,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When the 2-1st rotation gear 156d-1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third drive unit 160, the 2-2th rotation gear 156d-2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guide screw 156b rotates. ) Will rotate the shaft.

제2 연결 프레임(158)은 제1 지지 프레임(152)과 제1 스크류 결합부(156c)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 프레임(158)은 상호 이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 프레임(158)의 일단은 각각 제1 지지 프레임(152)의 양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연결 프레임(158)의 타단은 각각 제1 스크류 결합부(156c)의 양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연결 프레임(158)은 제1 스크류 결합부(156c)의 기본 위치(원위치)가 제1 가이드 스크류(156b)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 프레임(158)의 일단은 제2 연결 프레임(158)의 타단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frame 158 may connect the first support frame 152 and the first screw coupling part 156c. The second connection frame 158 may be formed in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158 may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frame 152, respectively. The other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158 may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56c, respectively. The second connection frame 158 may be provided such that a basic position (home position) of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56c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guide screw 156b.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158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158.

제3 구동부(160)는 제2 지지 프레임(154)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구동부(160)는 제2 지지 프레임(154)이 제1 지지 프레임(15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구동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를 통해 입력되는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지지 프레임(154)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third driver 16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The third driver 160 may provide a driving force to move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152. The third driver 160 can move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172.

여기서, 제3 구동부(160)는 제2-1 회전 기어(156d-1)를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지지 프레임(154)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구동부(160)가 제2-1 회전 기어(156d-1)를 회전시키면, 제2-1 회전 기어(156d-1)와 맞물린 제2-2 회전 기어(156d-2)가 회전하게 되고, 제2-2 회전 기어(156d-2)에 연결된 제1 가이드 스크류(156b)가 축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스크류 결합부(156c)는 제2 연결 프레임(158)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고정되므로, 제1 가이드 스크류(156b)가 제1 스크류 결합부(156c)와의 스크류 결합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그로 인해 제2 지지 프레임(154)이 제1 지지 프레임(152)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Here, the third driving unit 160 rotates the 2-1 th rotating gear 156d-1 in the first direction or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move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upward or downward. You can. In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third driving unit 160 rotates the 2-1 th rotating gear 156d-1, the 2-2 th rotating gear 156d− engaged with the 2-1 th rotating gear 156d-1. 2) rotates, and the first guide screw 156b connected to the second-second rotating gear 156d-2 rotates. Here, since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56c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second connection frame 158, the first guide screw 156b is screwed up or down by screw coupling with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56c.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moves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152.

제2 상하 이동부(162)는 의자부(168)가 제2 지지 프레임(15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상하 이동부(162)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고정부(162a), 제2 가이드 스크류(162b), 제2 스크류 결합부(162c), 및 제3 회전 기어부(162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unit 162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chair unit 168 is vertically mov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part 162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guide fixing parts 162a, a second guide screw 162b, a second screw coupling part 162c, and a third rotating gear part 162d. Can be.

한 쌍의 제2 가이드 고정부(162a)는 상호 이격되는 제2-1 가이드 고정부(162a-1) 및 제2-2 가이드 고정부(162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가이드 고정부(162a-1)는 제1-2 가이드 고정부(156a-2)의 하부에서 제2 지지 프레임(154)의 배면에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2 가이드 고정부(162a-2)는 제2-1 가이드 고정부(162a-1)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 지지 프레임(154)의 하단부 배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The pair of second guide fixing portions 162a may include 2-1 guide fixing portions 162a-1 and 2-2 guide fixing portions 162a-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2-1 guide fixing portion 162a-1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1-2 guide fixing portion 156a-2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154. The 2-2 guide fixing portion 162a-2 may be disposed below the 2-1 guide fixing portion 162a-1 and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154.

제2 가이드 스크류(162b)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고정부(162a)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스크류(162b)의 표면에는 스크류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스크류(162b)의 상단은 제2-1 가이드 고정부(162a-1)에 연결되고, 제2 가이드 스크류(162b)의 하단은 제2-2 가이드 고정부(162a-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스크류(162b)는 제1 가이드 스크류(156b) 보다 긴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screw 162b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guide fixing portions 162a. A screw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guide screw 162b. An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screw 162b is connected to the 2-1 guide fixing part 162a-1,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screw 162b is connected to the 2-2 guide fixing part 162a-2. Can be. The second guide screw 162b may be provid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guide screw 156b.

제2-1 가이드 고정부(162a-1) 및 제2-2 가이드 고정부(162a-2)의 중앙에는 각각 제2 가이드 스크류(162b)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는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의 내벽에는 제2 가이드 스크류(162b)의 스크류와 대응하는 스크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가이드 스크류(162b)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고정부(162a) 사이에서 축 회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 가이드 스크류(162b)의 하단은 제2-2 가이드 고정부(162a-2)를 관통하여 제2-2 가이드 고정부(162a-2)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In the centers of the 2-1 guide fixing portion 162a-1 and the 2-2 guide fixing portion 162a-2, holes may be provided in whic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guide screw 162b are inserted, respectively. A screw corresponding to the screw of the second guide screw 162b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le. Accordingly, the second guide screw 162b can be axially rotat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guide fixing portions 162a. Her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screw 162b may penetrate through the second guide fixing portion 162a-2 and protrud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guide fixing portion 162a-2.

제2 스크류 결합부(162c)는 제2 가이드 스크류(162b)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크류 결합부(162c)는 제2 가이드 스크류(16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크류 결합부(162c)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크류 결합부(162c)는 제2 가이드 스크류(162b)가 제2 스크류 결합부(162c)를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크류 결합부(162c)의 내부에는 제2 가이드 스크류(162b)의 스크류와 대응하는 스크류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screw coupling part 162c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guide screw 162b.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62c may be provid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screw 162b.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62c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n empty inside.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62c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second guide screw 162b passes through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62c. A screw corresponding to the screw of the second guide screw 162b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screw coupling part 162c.

제3 회전 기어부(162d)는 제2 가이드 스크류(162b)의 하단에서 제2 가이드 스크류(162b)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회전 기어부(162d)는 제4 구동부(166)과 연결되는 제3-1 회전 기어(162d-1) 및 제3-1 회전 기어(162d-1)의 일측에서 제3-1 회전 기어(162d-1)와 맞물리고 제2 가이드 스크류(162b)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3-2 회전 기어(162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2 회전 기어(162d-2)는 제3-1 회전 기어(162d-1)과 수직하게 맞물릴 수 있다. The third rotary gear unit 162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screw 162b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screw 162b. The third rotary gear part 162d is a 3-1 rotary gear at one side of the 3-1 th rotating gear 162d-1 and the 3-1 th rotating gear 162d-1 connected to the fourth driving unit 166. And a 3-2 rotating gear 162d-2 that meshes with 162d-1 a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guide screw 162b. The third-second rotation gear 162d-2 may mesh vertically with the third-first rotation gear 162d-1.

제3-1 회전 기어(162d-1)는 지면에 수평한 수평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2 회전 기어(162d-2)는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과 수직한 방향(즉,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구동부(166)에 의해 제3-1 회전 기어(162d-1)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3-2 회전 기어(162d-2)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가이드 스크류(162b)를 축 회전 시키게 된다. The 3-1 rotating gear 162d-1 may be provided to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horizontal line horizontal to the ground. The third-2 rotation gear 162d-2 may be provided to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vertical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at is,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When the 3-1 th rotating gear 162d-1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ourth driving unit 166, the 3-2 th rotating gear 162d-2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guide screw 162b is rotated. ) Will rotate the shaft.

제3 연결 프레임(164)은 의자부(168)와 제2 스크류 결합부(162c)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연결 프레임(164)은 상호 이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연결 프레임(164)의 일단은 의자부(168)의 배면에 마련되는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제3 연결 프레임(164)의 타단은 제2 스크류 결합부(162c)의 양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제3 연결 프레임(164)은 제2 스크류 결합부(162c)의 기본 위치(원위치)가 제2 가이드 스크류(162b)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third connection frame 164 may connect the chair portion 168 and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62c. The third connection frame 164 may be formed in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exemplary embodiment, one end of the third connecting frame 164 may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chair portion 168, respectively. The other ends of the third connection frame 164 may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62c, respectively. The third connection frame 164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basic position (home position) of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62c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screw 162b.

제4 구동부(166)는 제2 지지 프레임(154)의 하단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4 구동부(160)는 의자부(168)가 제2 지지 프레임(154)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4 구동부(16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를 통해 입력되는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의자부(168)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fourth driver 166 may be provided at one lower end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The fourth driving unit 160 may provide a driving force to move the chair unit 168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The fourth driving unit 166 may move the chair unit 168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172.

여기서, 제4 구동부(166)는 제3-1 회전 기어(162d-1)를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의자부(168)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4 구동부(166)가 제3-1 회전 기어(162d-1)를 회전시키면, 제3-1 회전 기어(162d-1)와 맞물린 제3-2 회전 기어(162d-2)가 회전하게 되고, 제3-2 회전 기어(162d-2)에 연결된 제2 가이드 스크류(162b)가 축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2 스크류 결합부(162c)는 제3 연결 프레임(164)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고정되므로, 제2 가이드 스크류(162b)가 제2 스크류 결합부(162c)와의 스크류 결합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그로 인해 의자부(168)가 제2 지지 프레임(154)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Here, the fourth driving unit 166 may move the chair unit 168 upward or downward by rotating the 3-1 th rotating gear 162d-1 in a first direction or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hav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fourth driving unit 166 rotates the 3-1 th rotating gear 162d-1, the 3-2 th rotating gear 162d− engaged with the 3-1 th rotating gear 162d-1. 2) is rotated, and the second guide screw 162b connected to the third-second rotation gear 162d-2 is axially rotated. Here, since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62c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third connecting frame 164, the second guide screw 162b is screwed up or down by screw coupling with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62c. The chair 168 moves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의자부(168)는 제2 지지 프레임(154)의 전면에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의자부(168)는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바퀴부(170)는 제2 지지 프레임(154)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바퀴부(170)는 지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chair unit 168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The chair unit 168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in which a user may sit. The wheel unit 170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The wheel unit 170 may be provided to move along the ground.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는 이동 보조 장치(108)의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는 사용자가 의자부(168)에 착석하여 조작이 용이하도록 의자부(168)의 인근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2)에는 제1 구동부(144), 제2 구동부(148), 제3 구동부(160), 및 제4 구동부(166)를 동작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조작 버튼 또는 조이스틱 등)가 마련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172 can provide an interface for a user to manipulate the operation of the mobility assistance device 108.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172 may b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hair unit 168 so that a user may be seated on the chair unit 168 to facilitate manipulation. The user interface 172 includes an interface for operating the first driver 144, the second driver 148, the third driver 160, and the fourth driver 166 (for example, an operation button or a joystick). May be provided.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를 통해 제1 구동부(144), 제2 구동부(148), 제3 구동부(160), 및 제4 구동부(166) 중 2개 이상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는 제1 구동부(144), 제2 구동부(148), 제3 구동부(160), 및 제4 구동부(166)의 구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user may simultaneously drive two or more of the first driver 144, the second driver 148, the third driver 160, and the fourth driver 166 through the user interface 172.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172 may be provided to adjust driving speeds of the first driver 144, the second driver 148, the third driver 160, and the fourth driver 166.

한편, 여기서는 바퀴부(170)를 지면에서 상부로 이격시키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프레임을 제1 지지 프레임(152) 및 제2 지지 프레임(154)으로 형성하고, 제1 상하 이동부(156)를 통해 제2 지지 프레임(154)이 제1 지지 프레임(15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지지 프레임(152)이 없이 제2 지지 프레임(154)이 제1 연결 프레임(150)을 통해 방향 전환부(146)와 연결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in order to separate the wheel portion 170 from the ground to the upper side, the support frame is formed of the first support frame 152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and the first vertical movement portion 156 Although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15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may include the first support frame 152 without the first support frame 152. It may be connected to the direction change unit 146 through the connection frame 150.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화장실을 이용하기까지의 동작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는 도시하지 않았다.7 to 13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up to the user using the toilet through the movement auxiliary 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user is not shown.

먼저, 사용자는 의자부(168)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를 통해 제1 구동부(144)를 구동하여 레일 결합부(142)가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전진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도 7 참조). First, the user may drive the first driving unit 144 through the user interface 172 while seated on the chair unit 168 to allow the rail coupling unit 142 to move forward along the guide rail 106. (See FIG. 7).

그러면, 이동 보조 장치(108)는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전진하여 문턱이 있는 화장실 문 앞에 이르게 된다(도 8 참조).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를 통해 제3 구동부(160)를 구동하여 제2 지지 프레임(154)이 제1 지지 프레임(152)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2 지지 프레임(154)이 제1 지지 프레임(152)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바퀴부(170)가 지면에서 이격되게 된다(도 9 참조).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108 then advances along the guide rails 106 to reach the thresholded toilet door (see FIG. 8). Here, the user drives the third driver 160 through the user interface 172 so that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moves upward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152. When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moves upward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152, the wheel 17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ee FIG. 9).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구동부(144)를 구동시켜 이동 보조 장치(108)를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전진 이동시키면, 바퀴부(170)가 지면에서 이격된 채로 화장실의 문턱을 넘게 된다(도 10 참조). In this state, when the user drives the first driving unit 144 to move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along the guide rails 106, the wheel unit 170 crosses the threshold of the toilet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ee Figure 10).

다음으로, 이동 보조 장치(108)가 변기에 도착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를 통해 제2 구동부(148)를 구동하여 이동 보조 장치(108)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이때, 이동 보조 장치(108)의 방향을 180도 전환시킬 수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 Next, when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108 arrives at the toilet, the user drives the second driver 148 through the user interface 172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108.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may be changed 180 degrees (see FIGS. 11 and 12).

여기서, 용변을 본 후 사용자는 제1 구동부(144)를 구동하여 이동 보조 장치(108)를 전진 이동시킨다(도 13 참조). 그리고,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원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Here, after viewing the toilet, the user drives the first driving unit 144 to move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forward (see FIG. 13). And, the home position can be reach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싱크대 상부 수납장을 이용하기까지의 동작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는 도시하지 않았다.14 to 18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up to the user using the sink upper cabinet through the movement auxiliary 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user is not shown.

먼저, 사용자는 의자부(168)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를 통해 제1 구동부(144)를 구동하여 레일 결합부(142)가 가이드 레일(106)을 따라 전진 이동하도록 한다(도 14 참조). First, the user drives the first driving unit 144 through the user interface 172 while seated on the chair unit 168 to move the rail coupling unit 142 to move forward along the guide rail 106 (FIG. 14).

이동 보조 장치(108)가 싱크대 앞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를 통해 제4 구동부(166)를 구동시켜 의자부(168)를 제2 지지 프레임(154)을 따라 상부로 이동시킨다(도 15 참조). 이때, 사용자는 의자부(168)를 상부 수납장의 위치와 대응되는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구동부(144) 및 제4 구동부(166)를 동시에 구동시켜 이동 보조 장치(108)를 전진 이동시키면서 의자부(168)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108 reaches the sink, the user drives the fourth drive unit 166 through the user interface 172 to move the chair unit 168 upward along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See Figure 15). At this time, the user may move the chair unit 168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pper cabinet. In addition, the user may simultaneously drive the first driving unit 144 and the fourth driving unit 166 to move the chair unit 168 upward while moving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상부 수납장에서 물건을 꺼낸 후,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2)를 통해 제2 구동부(148)를 구동하여 이동 보조 장치(108)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이때, 이동 보조 장치(108)의 방향을 180도 전환시킬 수 있다(도 16 및 도 17 참조). After removing the object from the upper cabinet, the user drives the second driver 148 through the user interface 172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108.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may be changed 180 degrees (see FIGS. 16 and 17).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4 구동부(166)를 구동시켜 의자부(168)를 제2 지지 프레임(154)을 따라 하부로 이동시킨다(도 18 참조). 그리고, 사용자는 제1 구동부(144)를 구동시켜 이동 보조 장치(108)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다. Next, the user drives the fourth driving unit 166 to move the chair unit 168 downward along the second supporting frame 154 (see FIG. 18). In addition, the user may drive the first driving unit 144 to move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forward.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보조 장치(108)에 의자부(168)를 구비하고, 이동 보조 장치(108)가 전후진 이동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며, 제2 지지 프레임(154)의 상하 이동 및 의자부(168)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환자들도 문턱 등과 같은 장애물이 있는 실내에서 홀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is provided with a chair unit 168,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108 enables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direction change,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4. By allowing the movement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hair unit 168,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to the hall in the room with obstacles, such as the elderly, patients with inconvenient movement, such as a threshol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102 : 지지 포스트
104 : 포스트 연결부
106 : 가이드 레일
108 : 이동 보조 장치
111 : 제1 지지 포스트
113 : 제2 지지 포스트
115 : 길이 조절 레버
121 : 제1 받침부
121a : 제1 삽입구
123 : 제2 받침부
123a : 제2 삽입구
123b : 연장부
123c : 결합홈
131 : 제1 포스트 연결부
133 : 제2 포스트 연결부
135 : 제3 포스트 연결부
142 : 레일 결합부
142a : 레일 결합 바디
142b : 레일 롤러
144 : 제1 구동부
146 : 방향 전환부
146a : 제1 회전 기어부
146a-1 : 제1-1 회전 기어
146a-2 : 제1-2 회전 기어
146b : 축 회전 결합부
148 : 제2 구동부
150 : 제1 연결 프레임
150-1 : 제1-1 연결 프레임
150-1a : 평행 프레임
150-1b : 한 쌍의 측면 프레임
150-2 : 제1-2 연결 프레임
152 : 제1 지지 프레임
154 : 제2 지지 프레임
156 : 제1 상하 이동부
156a : 한 쌍의 제1 가이드 고정부
156a-1 : 제1-1 가이드 고정부
156a-2 : 제1-2 가이드 고정부
156b : 제1 가이드 스크류
156c : 제1 스크류 결합부
156d : 제2 회전 기어부
156d-1 : 제2-1 회전 기어
156d-2 : 제2-2 회전 기어
158 : 제2 연결 프레임
160 : 제3 구동부
162 : 제2 상하 이동부
162a : 한 쌍의 제2 가이드 고정부
162a-1 : 제2-1 가이드 고정부
162a-2 : 제2-2 가이드 고정부
162b : 제2 가이드 스크류
162c : 제2 스크류 결합부
162d : 제3 회전 기어부
162d-1 : 제3-1 회전 기어
162d-2 : 제3-2 회전 기어
164 : 제3 연결 프레임
166 : 제4 구동부
168 : 의자부
170 : 바퀴부
172 : 사용자 인터페이스
100: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102: support post
104: post connection
106: guide rail
108: mobility aid
111: first support post
113: second support post
115: length adjustment lever
121: first support part
121a: first insertion hole
123: second support part
123a: second insertion hole
123b: Extension
123c: Coupling Groove
131: first post connection
133: second post connection
135: third post connection
142: rail coupling
142a: Rail Coupling Body
142b: Rail Roller
144: first drive unit
146: direction switch
146a: first rotating gear portion
146a-1: 1-1 rotating gear
146a-2: 1-2 rotating gear
146b: shaft rotation coupling
148: second drive unit
150: first connection frame
150-1: 1-1st connection frame
150-1a: Parallel Frame
150-1b: pair of side frames
150-2: 1-2 connection frame
152: first support frame
154: second support frame
156: first up and down moving part
156a: pair of first guide fixing portions
156a-1: 1-1st guide fixing part
156a-2: 1-2th guide fixing part
156b: first guide screw
156c: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56d: second rotary gear portion
156d-1: 2-1 rotating gear
156d-2: 2-2 rotating gear
158: second connection frame
160: third drive unit
162: second up and down moving part
162a: pair of second guide fixing parts
162a-1: 2-1 guide fixing part
162a-2: 2-2 guide fixing part
162b: second guide screw
162c: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62d: third rotating gear part
162d-1: 3-1 rotating gear
162d-2: 3-2 rotating gear
164: third connection frame
166: fourth drive unit
168: chair
170: wheel part
172: user interface

Claims (19)

제1 접촉면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레일 결합부; 및
상기 레일 결합부의 일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축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 보조 장치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A guide rail provided along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A movement assisting devic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A rail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axially rotatable, the movement assisting rail system including a direction chang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axi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상기 레일 결합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방향 전환부가 축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A first driving par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rail coupling part along the guide rail; And
And a second drive portion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cause the turning portion to axially rot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1-1 회전 기어 및 상기 제1-1 회전 기어와 맞물리는 제1-2 회전 기어를 포함하는 제1 회전 기어부; 및
상기 제1-2 회전 기어를 상기 레일 결합부와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축 회전 결합부를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direction change unit,
A first rotary gear unit including a first-first rotary gear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and a first-second rotary gear engaged with the first-first rotary gear; And
And an axial rotation coupling portion for axially rotatable coupling the 1-2 rotational gear with the rail coupl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마련되는 의자부;
상기 의자부의 일측에서 상기 의자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접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방향 전환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며 마련되는 제1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A chair unit provided to be seated by a user;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chair part at one side of the chair part and provi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And a first connection frame provided to connect the direction change unit and the support fram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제1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에 의해 상기 방향 전환부와 연결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의자부와 연결되어 상기 의자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upport frame,
A first support frame provided to a first length and connected to the direction change part by the first connection frame; And
And a second support frame provided at a second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and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connected to the chair to support the chai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되도록 마련되는 제1 상하 이동부;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A first vertical movement part provided to move the second support fram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And
And a third drive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second support fram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하 이동부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는 제1-1 가이드 고정부 및 제1-2 가이드 고정부;
상기 제1-1 가이드 고정부 및 상기 제1-2 가이드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고,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스크류;
상기 제1 가이드 스크류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가이드 스크류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1 가이드 스크류의 스크류와 대응하는 스크류가 형성되는 제1 스크류 결합부; 및
상기 제3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2 회전 기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vertical movement unit,
A first-first guide fixing part and a first-second guide fixing part which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guide screw provided between the first-first guide fixing part and the first-second guide fixing part and having a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rst screw coupling part provided in the first guide screw and provided with the first guide screw passing therein and having a screw corresponding to the screw of the first guide screw therein; And
And a second rotary gear portion connected to the third drive por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스크류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크류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제2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And a second connecting fram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and which secures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상기 의자부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되도록 마련되는 제2 상하 이동부; 및
상기 의자부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4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A second vertical movement part provided to move the chair part vertically along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And a fourth drive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move the chair unit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support fram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하 이동부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는 제2-1 가이드 고정부 및 제2-2 가이드 고정부;
상기 제2-1 가이드 고정부 및 상기 제2-2 가이드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고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는 제2 가이드 스크류;
상기 제2 가이드 스크류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스크류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2 가이드 스크류의 스크류와 대응하는 스크류가 형성되는 제2 스크류 결합부; 및
상기 제4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3 회전 기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unit,
2-1 guide fixing parts and 2-2 guide fixing parts which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cond guide screw provided between the 2-1 guide fixing portion and the 2-2 guide fixing portion and having a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econd screw coupling part provided in the second guide screw and provided with the second guide screw passing therein and having a screw corresponding to the screw of the second guide screw therein; And
And a third rotary gear portion connected to the fourth drive por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일단이 상기 의자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스크류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스크류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제3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And a third connecting fram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hair portion,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and fixes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제1 접촉면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레일 결합부;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마련되는 의자부;
상기 의자부의 일측에서 상기 의자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접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레일 결합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며 마련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A guide rail provided along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A movement assisting devic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A rail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 chair unit provided to be seated by a user;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chair part at one side of the chair part and provi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And a connection frame provided to connect the rail coupling portion and the support fram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제1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에 의해 상기 레일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의자부와 연결되어 상기 의자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support frame,
A first support frame provided to a first length and connected to the rail coupling part by the connection frame; And
And a second support frame provided at a second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and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connected to the chair to support the chair.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조 장치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되도록 마련되는 상하 이동부;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movement assistance device,
A vertical moving part provided to move the second supporting frame vertically along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And a drive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move the second support fram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은,
상기 의자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되도록 마련되는 상하 이동부; 및
상기 의자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A vertical movement part provided with the chair part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frame; And
And a driving part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chair part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frame.
제1 접촉면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보조 장치;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1 접촉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1 접촉면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2 접촉면 사이에서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과 각각 수직하게 마련되어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포스트; 및
일단이 상기 지지 포스트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지지 포스트에 의해 상기 제1 접촉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 지지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A guide rail provided along the first contact surface;
A movement assistance devic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t least one support post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respectively,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s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uide rail,
The guide rail is fixedly support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by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upport post.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은,
상기 지지 포스트의 상단에서 상기 지지 포스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촉면과 접촉되어 지지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부의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 포스트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제1 포스트 연결부; 및
상기 제1 포스트 연결부의 일측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연장부와 결합되는 제2 포스트 연결부를 포함하는,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The moving auxiliary rail system,
A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post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st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surface;
The support portion,
A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part toward the guide rail side;
The connecting portion,
A first post connection par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st; And
And a second post connection part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first post connection part to the guide rail and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제1 접촉면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보조 장치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레일 결합부; 및
상기 레일 결합부의 일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축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 보조 장치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는, 이동 보조 장치.
A movement assistance devic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a guide rail provided along a first contact surface,
A rail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rotatably, and includes a direction change unit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ssis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제1 접촉면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보조 장치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레일 결합부;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마련되는 의자부;
상기 의자부의 일측에서 상기 의자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접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레일 결합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며 마련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 보조 장치.
A movement assistance devic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a guide rail provided along a first contact surface,
A rail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 chair unit provided to be seated by a user;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chair part at one side of the chair part and provi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And a connection frame provided while connecting the rail coupling portion and the support frame.
KR1020180139225A 2018-06-19 2018-11-13 Apparatus for helping movement and rail system with the same KR10216985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0121 2018-06-19
KR1020180070121 2018-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334A true KR20190143334A (en) 2019-12-30
KR102169857B1 KR102169857B1 (en) 2020-10-26

Family

ID=6910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225A KR102169857B1 (en) 2018-06-19 2018-11-13 Apparatus for helping movement and rail system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8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603A (en) * 2021-10-27 2023-05-08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Frame for rail install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401B1 (en) 2006-12-11 2008-05-08 최수중 Walking pace device for patient
KR20110110425A (en) * 2010-04-01 2011-10-07 김세곤 Apparatus diverting direction for walking assistance device
KR20150021325A (en) *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 아이런 walking assistance lift driving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401B1 (en) 2006-12-11 2008-05-08 최수중 Walking pace device for patient
KR20110110425A (en) * 2010-04-01 2011-10-07 김세곤 Apparatus diverting direction for walking assistance device
KR20150021325A (en) *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 아이런 walking assistance lift driving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603A (en) * 2021-10-27 2023-05-08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Frame for rail insta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857B1 (en)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6912C1 (en) Mobile robotized modified bed
US1050012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upport track and power rail switching in a body weight support system
US20060130238A1 (en) Bed side rail method and apparatus
US20160184164A1 (en) Physical Therapy and Patient Movement System
WO2018010551A1 (en) Obstacle-overcoming wheelchair
CN103462783A (en) Indoor walker
KR20190143334A (en) Apparatus for helping movement and rail system with the same
CN105148460A (en) Active elbow joint rehabilitation machine
KR102044503B1 (en) Rail system for helping movement
US89358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tomatic patient lift
KR101528511B1 (en) Wheelchar fancing device
KR101311813B1 (en) Wheel base for moving structure
KR101885121B1 (en) Wheel chair and caster device for wheel chair
KR20070000974A (en) Parallel bar of gait training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CN110037606B (en) Toilet auxiliary device with detachable seat board
KR101197738B1 (en) Seat apparatus for toilet bowl
JP5313385B2 (en) Care assist device suitable for use as a device for moving a care recipient and device for assisting walking
JP2007117441A (en) Side rail for assisting standing up motion
JP2003135539A (en) Robot device for care
WO2008062408A2 (en) Personal mobility device
JP2006026254A (en) Movement assisting device for elderly person or the like
JP2011015861A (en) Wheelchair connection device
KR101986269B1 (en) Stand-up walking aids
KR101523061B1 (en) washbowl
JP4617237B2 (en) Western-style toilet a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