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097A - Filter and pre-filter of air cleaning device - Google Patents

Filter and pre-filter of air clea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097A
KR20190143097A KR1020180070631A KR20180070631A KR20190143097A KR 20190143097 A KR20190143097 A KR 20190143097A KR 1020180070631 A KR1020180070631 A KR 1020180070631A KR 20180070631 A KR20180070631 A KR 20180070631A KR 20190143097 A KR20190143097 A KR 20190143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dust
present
nano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유석
손철수
김승환
허진석
이병일
장택용
Original Assignee
(주)더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숨 filed Critical (주)더숨
Priority to KR102018007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3097A/en
Publication of KR2019014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0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0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27Metall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and a prefilter for air cleaners. The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lter fine dusk in the air and is made of metal.

Description

필터 및 공기청정 장치의 프리필터 {FILTER AND PRE-FILTER OF AIR CLEANING DEVICE}FILTER AND PRE-FILTER OF AIR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필터 및 공기청정 장치의 프리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and a prefilter of an air cleaning device.

최근 들어 황사와 더불어 미세 먼지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미세 먼지는 공장, 자동차 등에서 바로 배출되는 직접배출과,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이 미세 먼지로 전환되는 간접배출로 구분되며, 국내는 간접배출이 70% 정도를 차지한다. 이러한 미세 먼지에 중장기적으로 노출될 경우, 호흡기, 혈관 질환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미세 먼지 중, 특히 PM2.5의 경우는 입자 크기가 작아 필터링 하기는 어려운데 반해 인체에 침투하기는 더 용이하므로 더욱 큰 문제가 된다.In recent years, fine dust has increased along with yellow dust. Fine dust is classified into direct emissions directly from factories and automobiles, and indirect emissions from sulfur oxides (SO x ), nitrogen oxides (NO x ),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ssions account for about 70%. Long-term exposure to such fine dust may cause problems such as respiratory and vascular diseases. Among the fine dust, especially PM2.5, the particle size is small and difficult to filter, but easier to penetrate into the human body. This is a bigger problem.

이에 따라, 적어도 가정, 직장 등 실내에서는 유입된 공기(외기) 내의 미세 먼지를 정화하기 위해 공기청정기를 구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의 공기청정기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으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하우징 내부에 공기 정화용 필터 및 다양한 기능성 필터 등을 구비한다. 그리하여, 흡입된 공기의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Accordingly, at least indoors such as homes and workplaces are equipped with an air cleaner to purify the fine dust in the introduced air (outer air). Conventional air cleaners include an air circulation device to allow indoor air to flow into a housing constituting the exterior, and include an air purification filter and various functional filters in the housing. Thus, the indoor air is purified by removing the dust of the sucked air.

공기청정기의 필터는 외부의 미세 먼지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프리필터(pre-filter), 탈취필터, 헤파필터(HEPA filter), 중금속흡착필터 등과 같은 공기 정화용 필터 및 다양한 기능성 필터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기존의 프리필터는 200㎛ 이하의 먼지들을 필터링하지 못하기 때문에, 내부의 메인필터, 헤파필터에 이러한 먼지들이 포집되기 때문에 메인필터, 헤파필터의 수명이 그만큼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air purifier filter includes a pre-filter, a deodorizing filter, a HEPA filter, a heavy metal adsorption filter, and various functional filters, which primarily filter external fine dust. Among these, since the conventional pre-filter is not able to filter the dust of less than 200㎛, since the dust is collected in the main filter, hepa filter in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e of the main filter, hepa filter is shortened by that much.

한편, 방진망, 환기창에 적용되는 필터들도 공기청정기의 프리필터와 마찬가지로 패턴 사이즈가 0.2mm 이상으로 크기 때문에, 이보다 작은 먼지들이 실내로 유입되어 공기 청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s applied to the anti-vibration network, the ventilation window also ha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pattern is larger than 0.2mm like the pre-filter of the air purifier, the smaller dust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o lower the air cleanlines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리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최대한 포집하여 메인 필터의 교체주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ims to increase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main filter by collect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외부 공기가 프리필터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때 기존 제품들보다 작은 사이즈의 먼지까지 포집하여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the dust of a smaller size than the existing products when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pre-filter to supply clean air.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로서, 금속 재질이고, 필터공의 직경이 0.001mm보다 크고 0.2mm보다는 작은, 필터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filter which filters fine dust in the air, which is made of metal and whose diameter is larger than 0.001 mm and smaller than 0.2 mm.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상기 필터 및 필터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공기청정 장치의 프리필터에 의해 달성된다.And the said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prefilter of an air cleaning apparatus which further includes the said filter and the frame which supports the filter.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상기 필터 및 필터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방진망에 의해 달성된다.And the said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dustproof network further provided with the said filter and the frame which supports the filter.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상기 필터 및 필터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환기창에 의해 달성된다.And the said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ventilation window further provided with the said filter and the frame which supports the filt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최대한 포집하여 메인 필터의 교체주기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as much as possible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main fil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공기가 프리필터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때 기존 제품들보다 작은 사이즈의 먼지까지 포집하여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pre-filter has the effect of collecting the dust of a smaller size than the existing products to supply clean air.

도 1 및 도 2는 기존의 공기청정기의 구조 및 프리필터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기존의 프리필터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필터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a) 및 B 부분의 확대도(b)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and 2 show the structure and the pre-filter of the conventional air cleaner.
3 and 4 illustrate a conventional prefilter and a pre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a) and an enlarged view (b) of a portion B showing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DETAILED DESCRIP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rang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aspects, and length,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기존의 공기청정기의 구조 및 프리필터를 나타낸다.1 and 2 show the structure and the pre-filter of the conventional air clean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존의 공기청정기는 하우징 내부에 프리필터(pre-filter), 탈취필터, 메인필터/헤파필터(HEPA filter), 중금속흡착필터 등과 같은 공기 정화용 필터 및 다양한 기능성 필터를 포함한다. 이 중 프리필터는 외부의 미세 먼지 중 비교적 큰 먼지를 1차적으로 포집하여 포집하여 메인필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conventional air cleaners include pre-filters, deodorization filters, main filters / HEPA filters, heavy metal adsorption filters, heavy metal adsorption filters, and various functional filters. It includes. Among them, the pre-filter protects the main filter by collecting and collecting relatively large dust among the external fine dusts.

도 3 및 도 4는 기존의 프리필터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필터의 적용예를 나타낸다.3 and 4 illustrate a conventional prefilter and a pre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기존의 프리필터의 패턴 선폭은 최소 0.2mm 이상의 사이즈로 가공되어 있다. 200㎛ 이하의 먼지들은 필터에 포집되지 않고 패턴을 통과한 후 메인필터에서 포집된다. 이에 따라 메인필터에 포집되는 먼지의 양이 많이지므로 메인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메인필터로 자주 사용되는 헤파필터의 경우는 수명이 6개월 정도이다.Referring to Figure 3, the pattern line width of the existing prefilter is processed to a size of at least 0.2mm. Dirt of less than 200㎛ is collected in the main filter after passing through the pattern without being collected in the filter. Accordingly, since the amount of dust collected in the main filter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main filter. The HEPA filter, which is often used as the main filter, has a lifespan of about six months.

또한, 도 5와 같이, 프리필터의 필터 부분을 방진망, 환기창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패턴 사이즈가 0.2mm 이상이어서 0.2mm 이하의 먼지는 실내로 유입되어 공기 청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even when the filter portion of the pre-filter is applied to the dustproof net, the ventilation window, the pattern size is 0.2mm or more, 0.2mm or less dust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cleanliness falls.

따라서, 본 발명은 패턴 사이즈를 감축한 필터 및 이 필터를 적용한 프리필터, 방진망, 환기창 등을 제안한다.Therefore, this invention proposes the filter which reduced the pattern size, the prefilter which applied this filter, a dustproof network, a ventilation window, etc.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LCD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광학기술을 사용하여 필터 모재에 미세패턴(기존 선폭의 1/100~200 수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최대한 포집하고 메인필터로 유입되는 먼지를 최소화 함으로써 메인필터의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프리필터는 물에 세척하거나 Air 로 털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micropattern (1/100 to 200 levels of an existing line width) may be formed on a filter base material using optical technology used in semiconductor and LCD manufacturing processes. Accordingly, by collect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as much as possible to minimize the dust flowing into the main filter has the advantage tha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main filter. The prefilter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y washing in water or whisking with air.

이하에서는 필터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l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a) 및 B 부분의 확대도(b)이다.6 is a schematic view (a) and an enlarged view (b) of a portion B showing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더 참조하면, 필터부(140)는 프레임(141) 및 필터(14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ilter unit 140 may include a frame 141 and a filter 145.

프레임(141)은 필터부(140)의 테두리를 구성하며 필터(145)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41)은 필터부(140)가 프리필터, 방진망, 환기창 등으로 사용될 경우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을 채용하여 필터(145)를 지지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의 하우징에 끼워지거나, 창문틀 등에 끼워질 수 있도록 프레임(141)에는 소정의 형상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frame 141 forms an edge of the filter unit 140 and may support the filter 145. The frame 141 may support the filter 145 using a material such as plastic or metal when the filter unit 140 is used as a prefilter, a dustproof network, a ventilation window, or the like. The frame 14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of the air cleaner or the window frame.

도 6(a)의 B 부분을 확대한 도 5(b)를 참조하면, 필터(145)에는 미세한 필터공(H)이 형성되어 필터공(H)을 통과하는 공기 내 미세 먼지(D)를 필터링 할 수 있다. 필터공(H)은 매트릭스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필터공(H)의 직경은 기존의 필터공 사이즈인 0.2mm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필터공(H)의 직경은 0.001mm 이상이고 0.2mm보다는 작을 수 있다. 필터공(H)이 수㎛ 정도의 직경을 가지면, PM10, PM2.5의 미세 먼지도 곧바로 필터링 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B, which is an enlarged portion B of FIG. 6A, a fine filter hole H is formed in the filter 145 to remove fine dust 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hole H. You can filter it. The filter holes H may be formed so as to be arranged in a matrix, and the diameter of the filter holes H is preferably smaller than 0.2 mm, which is a conventional filter hole size.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filter hole (H) may be less than 0.001mm and less than 0.2mm. If the filter hole H has a diameter of about several micrometers, fine dust of PM10 and PM2.5 can also be immediately filtered.

한편, 필터(145)는 필터공(H)의 사이즈를 줄였지만, 개구율은 기존의 것과 동등하게 유지하는 것이 통풍의 효율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존의 필터의 필터공 직경이 250㎛이고 하나의 필터공을 둘러싸는 메쉬 부분의 폭이 50㎛였다면, 본 발명의 필터(145)는 필터공(H) 직경이 50㎛이고 하나의 필터공(H)을 둘러싸는 메쉬 부분의 폭이 10㎛가 되도록하여 개구율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터공(H) 사이즈 및 개구율 조절은 반도체, LCD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광학기술, 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한 리소그래피, 도금 등의 공정을 사용함에 따라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filter 145 reduced the size of the filter hole H,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aperture ratio equivalent to that of the conventional one in view of the efficiency of ventilation. For example, if the filter hole diameter of the existing filter is 250 μm and the width of the mesh portion surrounding one filter hole is 50 μm, the filter 145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lter hole H diameter of 50 μm and on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mesh portion surrounding the filter hole H is 10 占 퐉 so as to maintain the same aperture ratio. Such filter hole H size and aperture ratio adjustment can be freely performed by using an optical technique used in a semiconductor or LCD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lithography using a photoresist, plating, or the like.

필터(145)는 Cu, SUS, Invar, Super Invar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미세한 필터공(H)이 형성된 필터(145)는 그라비아 인쇄, 전주/무전해 도금, 레이저 드릴링(laser drilling), 아크 방전법, 마이크로 펀칭법(micro punching)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filter 145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Cu, SUS, Invar, and Super Invar. In addition, the filter 145 in which the fine filter hole H is formed may be manufactured by gravure printing, electroforming / electroless plating, laser drilling, arc discharge, micro punching, or the like. .

기존의 공기청정기에 설치되는 필터는 HEPA 필터, 활성탄소 필터 등으로서, 이들은 주로 섬유, 직물, 수지(resin) 등으로 이루어져, 미세 먼지 입자가 필터 내부에 침투함에 따라 일정 기간 사용 후 재생이 불가능하다.The filters installed in the existing air cleaners are HEPA filters, activated carbon filters, etc., which are mainly composed of fibers, fabrics, resins, and the like, and thus fine dust particles penetrate into the filter and thus cannot be regenera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

반면에, 본 발명의 필터(145)는 단단한 금속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미세 먼지 입자가 필터(145)의 표면에서 필터링 될 뿐, 필터(145) 내부에 침투할 수 없다. 그리하여, 금속 필터부(140) 표면 상의 미세 먼지들을 세척하는 것만으로도 필터(145)를 재생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40)는 방진망, 환기창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터부(140)의 외측면에 붙어있는 미세 먼지들은 비가 오는 등의 날씨 조건만으로 주기적인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lter 14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hard metal material, only fine dust particles are filtered at the surface of the filter 145 and cannot penetrate into the filter 145. Thus, the filter 145 can be regenerated and semi-permanently used only by cleaning the fine dust on the surface of the metal filter unit 140. For example, when the filter unit 140 is used as a dustproof network or a ventilation window, fine dust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140 may be periodically cleaned only by weather conditions such as rain.

또한, 그라비아 인쇄, 전주/무전해 도금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필터공(H)의 크기를 자유롭게 제어하여 필터(145)를 제조할 수 있고, 위와 같은 방법은 저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145 can be manufactured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filter hole H freely using methods such as gravure printing, electroforming / electroless plating, and the above method can be performed at low cost, thus reducing the cost.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필터(10)는 통과되는 풍량이 높아지더라도 집진효율이 낮아지지 않도록, 메쉬(11)의 표면에 복수의 나노 와이어(1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나노 와이어(15)는 무작위적인 방향을 이루며 메쉬(11)의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ilter 10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nanowires 15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sh 11 so that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is not lowered even if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0 is increased. The plurality of nanowires 15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sh 11 in a random direction.

나노 와이어(15)의 길이는 1㎛ 내지 1,000㎛, 직경은 10nm 내지 1,000nm일 수 있다. 나노 와이어(15)의 길이가 대략 ㎛ 스케일이므로, 필터공(H)의 ㎛ 스케일 직경과 유사하다. 그리하여, 복수의 나노 와이어(15)들이 메쉬(11)의 표면에 걸쳐져 지지될 수 있다.The nanowire 15 may have a length of 1 μm to 1,000 μm and a diameter of 10 nm to 1,000 nm. Since the length of the nanowires 15 is approximately 탆 scale, it is similar to the 탆 scale diameter of the filter hole H. Thus, a plurality of nanowires 15 can be supported across the surface of the mesh 11.

또한, 나노 와이어(15)의 직경은 nm 스케일이므로, ㎛ 스케일을 가지는 필터공(H)의 개구율을 거의 낮추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나노 와이어(15)들이 메쉬(11) 표면에 배치되더라도 필터공(H)의 통풍 정도에는 거의 영향이 없게 된다. 나노 와이어(15)는 필터공(H) 면적의 10% 이하(통과 압력 차이가 200 Pa 이하)로 점유하도록 메쉬(11) 상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노 와이어(15)를 메쉬(11)에 형성할 때, 나노 와이어 분산액에서 나노 와이어(15)가 분산된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필터공(H) 면적의 점유율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ameter of the nanowire 15 is nm scale, the opening ratio of the filter hole H having a 탆 scale can be hardly lowered. In other words, even if the nano wires 15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mesh 11, the degree of ventilation of the filter hole H is hardly affected. The nanowire 15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mesh 11 so as to occupy 10% or less of the filter hole H area (200 Pa or less). When the nanowires 15 are formed on the mesh 11, the occupancy ratio of the filter hole H may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the nanowires 15 dispersed in the nanowire dispersion.

나노 와이어(15)들이 메쉬(11) 표면에 배치되어도 필터공(H)의 통 풍 정도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필터공(H)의 사이 사이에 나노 와이어(15)들이 배치되므로, 실질적으로 필터공(H)의 사이즈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 효율이 더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Even though the nanowires 15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mesh 11, the nanowires 15 are disposed between the filter holes H, with little effect on the degree of ventilation of the filter holes H. This can serve to reduce the size of the filter hole (H).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higher.

나노 와이어(15)를 메쉬(11) 표면에 형성하기 위한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나노 와이어를 물, 유기용매 등에 분산하여 나노 와이어 분산액을 만든다. 나노 와이어(15)가 메쉬(11) 표면에 더 잘 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접착제, 활성제 등을 나노 와이어 분산액에 더 첨가할 수 있다. 나노 와이어 분산액을 여과, 코팅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메쉬(11)[금속 메쉬 구조] 상에 나노 와이어(15)들을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100도 이상의 열처리를 통해 용매를 휘발시키면, 메쉬(11)의 표면에 나노 와이어(15)들이 구조적으로 연결된다.The manufacturing method for forming the nanowires 15 on the mesh 11 surface is as follows. First, nanowires are dispersed in water, an organic solvent, or the like to prepare a nanowire dispersion. Certain adhesives, activators, and the like may be further added to the nanowire dispersion so that the nanowires 15 may be better attached to the mesh 11 surface. The nanowire dispersion may be disposed on the mesh 11 (metal mesh structure) using a method such as filtration and coating. Subsequently, when the solvent is volatilized through a heat treatment of 100 degrees or more, the nanowires 15 are structurally connected to the surface of the mesh 11.

나노 와이어(15)의 재질은 나노 와이어를 구성할 수 있는 공지의 재질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나노 와이어(15)를 금속 재질로 사용하면, 상술한 금속 재질의 필터의 장점을 그대로 유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nanowires 15 may be any known material that may constitute the nanowires without any limitation. In particular, when the nano wire 15 is used as a metal material, the advantages of the above-described metal filter can be retained as they are.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10')는 메쉬(11)의 표면 및 나노 와이어(15)의 표면 상에 복수의 나노 입자(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나노 입자(17)를 배치하기 위해, 나노 와이어 분산액을 제조할때 나노 입자를 더 분산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the filter 1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nanoparticles 17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sh 11 and the surface of the nanowire 15. In order to place the nanoparticles 17, the nanoparticles may be further dispersed when preparing the nanowire dispersion.

나노 입자(17)들도 나노 와이어(15)와 유사한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나노 입자(17)들이 메쉬(11) 표면 및 나노 와이어(15)들의 표면에 배치되더라도 필터공(H)의 통풍 정도에는 거의 영향이 없게 된다. 또한, 필터공(H)의 사이 사이에 나노 와이어(15)와 나노 입자(17)들이 배치되므로, 실질적으로 필터공(H)의 사이즈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 효율이 더 높아지게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anoparticles 17 also have a diameter similar to that of the nanowires 15. Thus, even if the nanoparticles 17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mesh 11 and the surface of the nanowires 15, the degree of ventilation of the filter hole H is hardly affected. In addition, since the nanowires 15 and the nanoparticles 17 are disposed between the filter holes H, the size of the filter holes H may be substantially reduced. As a result,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프리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최대한 포집하여 메인 필터의 교체주기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공기가 프리필터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때 기존 제품들보다 작은 사이즈의 먼지까지 포집하여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main filter by collect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when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pre-filter it is effective to collect the dust of the smaller size than the existing products to supply clean ai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appended claims.

Claims (4)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로서,
금속 재질이고, 필터공의 직경이 0.001mm보다 크고 0.2mm보다는 작은, 필터.
A filter for filtering fine dust in the air,
The filter, which is metallic and the diameter of the filter ball is larger than 0.001mm and smaller than 0.2mm.
제1항의 필터, 및 필터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공기청정 장치의 프리필터.The prefilter of the air clea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filter of Claim 1, and the frame which supports a filter. 제1항의 필터, 및 필터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방진망.The dustproof network further comprising the filter of Claim 1, and the frame which supports a filter. 제1항의 필터, 및 필터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환기창.A ventilation window further comprising the filter of claim 1 and a frame supporting the filter.
KR1020180070631A 2018-06-20 2018-06-20 Filter and pre-filter of air cleaning device KR201901430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31A KR20190143097A (en) 2018-06-20 2018-06-20 Filter and pre-filter of air clea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31A KR20190143097A (en) 2018-06-20 2018-06-20 Filter and pre-filter of air clean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097A true KR20190143097A (en) 2019-12-30

Family

ID=6910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631A KR20190143097A (en) 2018-06-20 2018-06-20 Filter and pre-filter of air clean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309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697A (en) 2021-02-19 2022-08-26 코웨이 주식회사 Prefilter and air clearner including the same
KR20230166795A (en) 2022-05-30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Clear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697A (en) 2021-02-19 2022-08-26 코웨이 주식회사 Prefilter and air clearner including the same
KR20230166795A (en) 2022-05-30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Clear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493B1 (en) Air filter which having superior effective to filtration of super fine particle and sterilization
JP2009514667A (en) Filter for removal of physical and / or biological impurities
JP2005177739A (en) Air cleaner
JP6433916B2 (en) Air purifying filter and air purifier provided with the same
JP2008519173A5 (en)
KR20190143097A (en) Filter and pre-filter of air cleaning device
KR102111867B1 (en) The air clean machine
KR101993644B1 (en) Air Purifying Module
KR20090034595A (en) Filter which have a effective filtration and sterilization of suspended solid and super fine particle in the water and air
CN103657321B (en) A kind of Household indoor air filter
KR20100012376A (en)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1725073U (en) Nano air purification filter element
JP2004286418A (en) Air filter
KR20100001034A (en) Air cleaner having a repellent coating and low temperature catalyst
KR20200115845A (en) Air purifier using fine mist
KR102039273B1 (en) Filter assembly for Air cleaner machine
KR102269759B1 (en) Air cleaning filter with deodorant with excellent odor removal
KR20150114019A (en) Multifunction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39306B1 (en) The filter for the air cleaner
CN211854367U (en) Filter screen self-cleaning formula new trend device
CN219120719U (en) Air conditioner air purification device
CN201350377Y (en) Macromoleclar polymer air filter material combined with activated carbon
KR101744885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anny filter for automatic regeneration and a nanny filter
KR20200049180A (en) Hybrid filter
KR20210009591A (en) Filters for air clea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