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478A - 고활성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 - Google Patents

고활성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478A
KR20190142478A KR1020180069387A KR20180069387A KR20190142478A KR 20190142478 A KR20190142478 A KR 20190142478A KR 1020180069387 A KR1020180069387 A KR 1020180069387A KR 20180069387 A KR20180069387 A KR 20180069387A KR 20190142478 A KR20190142478 A KR 20190142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choderma
strain
kmf006
cellulose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046B1 (ko
Inventor
김영숙
박소현
김영균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046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N9/2405Glucanases
    • C12N9/2434Glucanases acting on beta-1,4-glucosidic bonds
    • C12N9/2437Cellulases (3.2.1.4; 3.2.1.74; 3.2.1.91; 3.2.1.15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2Mono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 carbohydrase (EC 3.2.x), e.g. by alpha-amylase, e.g. by cellulase, hemicellulase
    • C12R1/88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885Trichoderm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에 관한 것으로, 상기 균주는 고활성의 엔도-베타-1,4-글루카네이스(endo-β-1,4-glucanase), 베타-글루코시데이스(β-glucosidase) 및 셀로바이오하이드로레이스 (cellobiohydrolase)를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활성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Novel Trichoderma sp. KMF006 strain producing cellulase with high activity}
본 발명은 고활성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Trichoderma sp.) KMF006 균주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연료 혼합의무화제도(renewable fuel standard, RFS)는 연료 혼합의무자에게 일정 비율 이상의 신재생 연료를 수송용 연료에 혼합하여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의 목표에 따르면 향후 2020년까지 휘발유 소비를 줄이고, 바이오연료(biofuel) 사용을 확대해야 한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원료로 목질계 바이오매스가 부상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제조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한해 100억 내지 150억 톤이 발생하므로 재생 가능한 자원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리그닌과 결합되어 있는 셀룰로스의 분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바이오연료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셀룰로스를 분해하여 당을 추출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당을 추출하는 방법에는 산알칼리 등의 촉매를 이용하는 화학적 당화와 주로 나무를 분해하는 곰팡이 등의 진균류 유래 셀룰레이스(cellulase)를 이용하는 효소 당화가 있다. 효소 당화는 화학적 당화에 비해 환경 오염이나 금속 부식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환경 친화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바이오연료 생산시 효소 당화가 차지하는 비용이 매우 커서 고활성의 효소를 이용함으로써 효소 사용량을 줄이거나 효소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고활성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균주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기존 균주보다 고활성의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를 분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05247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고활성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로부터 수득한 셀룰레이스를 포함하는 당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고활성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Trichoderma sp.) KMF006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는 서열번호 3의 28S rRNA 서열을 갖는 균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KMF006 균주의 28S rRNA 서열을 기존에 보고된 다른 균주들과 NCBI BLAST로 비교한 결과, 트리코더마 속으로 분류되는 신규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셀룰레이스(cellulase)'는 셀룰로스를 가수분해하는 효소의 총칭이며, '셀룰로스(cellulose)'는 포도당이 β-1,4 글루코시드(β-1,4-glucosde) 결합으로 연결된 동종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셀룰레이스는 엔도-β-1,4-글루카네이스 (endo-β-1,4-glucanase; EC 3.2.1.4), 셀로바이오하이드로레이스 (cellobiohydrolase; EC 3.2.1.91) 및 베타-글루코시데이스(β-glucosidase; EC 3.2.1.2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엔도-베타-1,4-글루카네이스는 셀룰로스의 β-1,4-글루코시드 결합을 내부에서 무작위로 가수분해하는 효소이고, 일반적으로 가용성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기질로 사용하므로 CMC 분해효소 (CMCase)라고도 불리운다.
셀로바이오하이드로레이스는 엔도-베타-1,4-글루카네이스에 의해 가수분해된 산물의 환원 말단 및 비환원 말단을 가수분해하여 글루코스 이당체인 셀로바이오스(cellobiose)를 생성한다. 생성된 셀로바이오스는 엔도-베타-1,4-글루카네이스와 셀로바이오하이드로레이스의 활성을 억제하게 된다.
베타-글루코시데이스는 셀로바이오스를 글루코스(포도당)로 분해하므로 셀로바이오스에 의한 엔도-베타-1,4-글루카네이스와 셀로바이오하이드로레이스의 활성 억제를 제거한다. 따라서, 셀룰로스를 글루코스로 완전히 분해하기 위해서는 베타-글루코시데이스의 활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셀룰로스를 단당류인 글루코스로 완전히 분해하기 위해서는 상기 세 효소의 상보적 작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는 셀룰레이스 생산 산업용 균주인 트리코더마 레세이(Trichoderma reesei)보다 셀룰로스 분해 활성이 현저히 우수한 셀룰레이스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로부터 수득한 셀룰레이스를 포함하는 당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당화(saccharification)'는 녹말, 섬유소 등과 같은 고분자량의 탄수화물을 효소 또는 산의 작용으로 가수분해하여 저분자량(단당류 또는 이당류)의 당(saccharide)으로 바꾸는 반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는 셀룰로스를 단당류(포도당)로 분해하는 과정에 필요한 엔도-β-1,4-글루카네이스, 셀로바이오하이드로레이스 및 베타-글루코시데이스를 모두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당화 조성물은 셀룰로스로부터 단당류 또는 이당류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바이오연료 생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는 고활성의 엔도-베타-1,4-글루카네이스, 베타-글루코시데이스 및 셀로바이오하이드로레이스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바이오연료 생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서열로 작성한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의 계통도를 나타낸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셀룰레이스 생산 균주의 분리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신규 균주를 발굴하기 위하여 열화 목재로부터 KMF006 균주를 분리하여 셀룰레이스 활성을 측정하였다.
셀룰레이스 활성 측정 균주로는 KMF006 균주와 상업용 셀룰레이스 생산 균주로 알려진 트리코더마 레세이(Trichoderma reesei: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CCM11770), 트리코더마 비리데(Trichoderma viride, 푸른점버섯균: 국립산림과학원 KFRI 21052) 및 가노더마 루시덤(Ganoderma lucidum, 영지버섯: 국립산림과학원 KFRI 20433)을 사용하였다.
1-1. 균주 배양
4종의 셀룰레이스 생산 균주를 PDA(potato dextrose agar)에서 3일 내지 4일 동안 배양하고, PDB(potato dextrose broth) 100 ㎖에 균사체를 접종하여 25℃에서 150 rpm으로 진탕하면서 3일 내지 7일 동안 전배양하였다.
본배양은 펩톤 8 g/L, KH2P04 5 g/L, K2HP04 5 g/L, MgS04.7H20 3 g/L, 효모 추출물 2 g/L 및 셀룰로스(~20 micron) 20 g/L를 포함하는 액체배지(pH 5.5)를 사용하였다. 상기 액체배지 200 ㎖에 전배양액 5%(v/v)를 접종하여 25℃에서 150 rpm으로 진탕하면서 2주 내지 3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기간 동안 균주 배양액 500 ㎕를 매일 수거하여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회수하여 셀룰레이스 활성 측정에 이용하였다.
1-2. 엔도-베타-1,4- 글루카네이스 ( endo -β-1,4- glucanase , EG) 활성
0.1M 아세트산 나트륨(sodium acetate, NaAC) 완충용액(pH 5.0)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carboxylmethylcellulose sodium salt, CMC-Na)을 2%(v/v) 농도로 용해시켜 효소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효소 반응액 45 ㎕에 균주 배양액 5 ㎕를 첨가하여 50℃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구리 용액 50 ㎕를 첨가한 후 10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생성된 환원당의 양은 Somogyi-Nelson 방법으로 측정하였다(최신 실험 미생물학, p253, 2001). 효소 활성의 단위인 1 unit(U)은 일정 조건에서 30분 동안 포도당(glucose) 1 μmol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1-3. 베타- 글루코시데이스 (β- glucosidase , BGL ) 활성
0.1M NaAC 완충용액(pH 5.0) 0.8 ㎖에 p-니트로페닐-β-D-글리코피라노시드(p-nitrophenyl-β-D-glycopyranoside, pNPG) 0.1 ㎖과 균주 배양액 0.1 ㎖를 첨가하여 50℃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2M 탄산나트륨(Na2CO3) 용액 0.1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p-니트로페놀(p-nitrophenol)의 양을 확인하였다. 효소 활성 단위인 1 unit(U)은 일정 조건에서 15분 동안 p-니트로페놀 1 μmol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1-4. 셀로바이오하이드로레이스 ( cellobiohydrolase , CBH ) 활성
0.1M NaAC 완충용액(pH 5.0) 0.8 ㎖에 p-니트로페닐-β-D-셀로바이오시드 (p-nitrophenyl-β-D-cellobioside, pNPC) 0.1 ㎖과 균주 배양액 0.1 ㎖를 첨가하여 50℃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2M 탄산나트륨 용액 0.1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p-니트로페놀의 양을 확인하였다. 효소 활성의 단위인 1 unit(U)은 일정 조건에서 15분 동안 p-니트로페놀 1 μmol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1-5. 효소 활성 측정 결과
각 균주의 셀룰레이스 활성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단위 (U/㎖) 엔도-베타-1,4-글루카네이스(EG) 베타-글루코시데이스(BGL) 셀로바이오
하이드로레이스(CBH)
KMF006 33.8 3.50 1.20
T. reesei 13.0 1.70 (활성 측정 안됨)
T. viride 14.4 1.10 0.30
G. lucidum 6.20 1.30 (활성 측정 안됨)
효소 활성 측정 결과, KMF006 균주의 엔도-베타-1,4-글루카네이스(EG) 활성은 실험 대상 균주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엔도-베타-1,4-글루카네이스를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레세이 균주보다 활성이 2.6배 우수하였다. 또한, KMF006 균주의 베타-글루코시데이스(BGL) 활성은 트리코더마 레세이 균주보다 2배 내지 3.2배 이상으로 나타났고, 셀로바이오하이드로레이스(CBH) 활성은 트리코더마 비리데 균주보다 4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효소 활성 측정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KMF006 균주가 생산하는 셀룰레이스는 트리코더마 레세이 균주가 생산하는 셀룰레이스와 비교하여 셀룰로스 분해 활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KMF006 균주 동정
KMF006 균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고, 하기 표 2에 기재된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프라이머로 PCR을 수행하였다.
명 칭 서열 (5'→ 3') 서열번호
ITS 1 TCC GTA GGT GAA CCT GCG G 1
ITS 2 TCC TCC GCT TAT TGA TAT GC 2
증폭된 PCR 산물을 이용하여 Macrogen(서울, 대한민국)에 28S rRNA 서열 분석(sequencing)을 의뢰한 결과, 총 1,131 bp(서열번호 3)의 서열을 확보할 수 있었다.
상기 염기서열로 NCBI BLAST 검색을 수행한 결과, 도 1의 계통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KMF006 균주는 트리코더마 롱기브라키아툼 (Trichoderma longibrachiatum)(325301884), 트리코더마 롱기브라키아툼 (1201281026), 트리코더마 레세이(Trichoderma reesei) (675946435), 트리코더마 레세이(21239410), 트리코더마 레세이(1050550597) 등의 균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 1에 개시된 10종 균주의 28S rRNA 서열을 비교할 때 최대 동일성(max identity)이 모두 98%이므로 KMF006 균주는 트리코더마 속에 속하는 새로운 균주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여 2018년 3월 21일자로 기탁번호 KCTC13500BP를 부여 받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KCTC13500BP 20180321
<110> Kookmin University <120> Novel Trichoderma sp. KMF006 strain producing cellulase with high activity <130> PN180101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TS 1 primer <400> 1 tccgtaggtg aacctgcgg 19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TS 2 primer <400> 2 tcctccgctt attgatatgc 20 <210> 3 <211> 113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choderma sp. KMF006 strain 28S rRNA <400> 3 accccatgtg acgttaccaa tctgttgcct cggcgggatt ctcttgcccg gggggcgttg 60 gcagcccccg gattccccat ggcgcccgcc ggaggaccaa ctccaaactc ttttttctct 120 ccgtcgcggc tcccgtcgcg gctctgtttt atttttgctc tgagcctttc tcggcgaccc 180 tagcgggcgt ctcgaaaaat gaatcaaaac tttcaacaac ggatctcttg gttctggcat 240 cgatgaagaa cgcagcgaaa tgcgataagt aatgtgaatt gcagaattca gtgaatcatc 300 gaatctttga acgcacattg cgcccgccag tattctggcg ggcatgcctg tccgagcgtc 360 atttcaaccc tcgaacccct ccggggggtc ggcgttgggg atcggcccct caccgggccg 420 cccccgaaat acagtggcgg tctcgccgca gcctctcctg cgcagtagtt tgcacactcg 480 caccgggagc gcggcgcggc cacagccgta aaacacccca aacttctgaa atgttgacct 540 cggatcaggt aggaataccc gctgaactta agcatatcaa taagcggagg aaaagaaacc 600 aacagggatt gccccagtaa cggcgagtga agcggcaaca gctcaaattt gaaatctggc 660 ccttacgggt ccgagttgta atttgtagag gatgcttttg gcaaggcgcc gcccgagttc 720 cctggaacgg gacgccacag agggtgagag ccccgtctgg ctggccgccg agcctctgta 780 aagctccttc gacgagtcga gtagtttggg aatgctgctc aaaatgggag gtatatgtct 840 tctaaagcta aatattggcc agagaccgat agcgcacaag tagagtgatc gaaagatgaa 900 aagcaccttg aaaagagggt taaatagtac gtgaaattgt tgaaagggaa gcgcttgtga 960 ccagacttgg gcgcggcgga tcatccgggg ttctccccgg tgcacttcgc cgcgtccagg 1020 ccagcatcag ttcgtcgcgg gggaaaaagg cttcgggaac gtggctccct cgggagtgtt 1080 atagcccgtt gcgtaatacc ctgcggtgga ctgaggaccg cgcatctgca a 1131

Claims (4)

  1. 고활성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Trichoderma sp.) KMF006 균주(기탁번호: KCTC13500B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는 서열번호 3의 28S rRNA 서열을 갖는 것인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레이스는 엔도-베타-1,4-글루카네이스(endo-β-1,4-glucanase), 베타-글루코시데이스(β-glucosidase) 및 셀로바이오하이드로레이스(cellobiohydrol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
  4. 제1항의 트리코더마 속(Trichoderma sp.) KMF006 균주로부터 수득한 셀룰레이스를 포함하는 당화 조성물.
KR1020180069387A 2018-06-18 2018-06-18 고활성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 KR102155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387A KR102155046B1 (ko) 2018-06-18 2018-06-18 고활성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387A KR102155046B1 (ko) 2018-06-18 2018-06-18 고활성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478A true KR20190142478A (ko) 2019-12-27
KR102155046B1 KR102155046B1 (ko) 2020-09-11

Family

ID=6906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387A KR102155046B1 (ko) 2018-06-18 2018-06-18 고활성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07B1 (ko) * 2019-05-30 2020-11-1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섬유소 분해효소를 이용한 섬유 개량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247B1 (ko) 1996-07-08 1999-07-01 한인섭 셀룰로스 분해능을 갖는 트리코더마 속 미생물
WO2012054554A2 (en) * 2010-10-20 2012-04-26 Danisco Us Inc. Thermostable trichoderma cellulase
WO2017170918A1 (ja) * 2016-03-31 2017-10-05 東レ株式会社 変異型bxl1遺伝子を有するトリコデルマ属真菌及びそれを使用したキシロオリゴ糖とグルコース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247B1 (ko) 1996-07-08 1999-07-01 한인섭 셀룰로스 분해능을 갖는 트리코더마 속 미생물
WO2012054554A2 (en) * 2010-10-20 2012-04-26 Danisco Us Inc. Thermostable trichoderma cellulase
JP2014503185A (ja) * 2010-10-20 2014-02-13 ダニスコ・ユーエス・インク 熱安定性トリコデルマ(trichoderma)セルラーゼ
WO2017170918A1 (ja) * 2016-03-31 2017-10-05 東レ株式会社 変異型bxl1遺伝子を有するトリコデルマ属真菌及びそれを使用したキシロオリゴ糖とグルコース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2017권,1호,45면,107면(2017.0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07B1 (ko) * 2019-05-30 2020-11-1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섬유소 분해효소를 이용한 섬유 개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046B1 (ko) 202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ghuwanshi et al. Bioprocessing of enhanced cellulase production from a mutant of Trichoderma asperellum RCK2011 and its application in hydrolysis of cellulose
Adsul et al. Strain improvement of Penicillium janthinellum NCIM 1171 for increased cellulase production
Jiang et al. New isolate of Trichoderma viride strain for enhanced cellulolytic enzyme complex production
US8143050B2 (en) Recombinant β-glucosidase variants for production of soluble sugars from cellulosic biomass
Waghmare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lytic enzymes by isolated Klebsiella sp. PRW-1 using agricultural waste biomass.
Singhvi et al. Comparative production of cellulases by mutants of Penicillium janthinellum NCIM 1171 and its application in hydrolysis of Avicel and cellulose
Qin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stable cellulase-producing Fusarium chlamydosporum
Kaur Sandhu et al. Ethanol production from Kinnow mandarin (Citrus reticulata) peels via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using crude enzyme produced by Aspergillus oryzae and the thermotolerant Pichia kudriavzevii strain
Adav et al. Label free quantitative proteomic analysis of secretome by Thermobifida fusca on different lignocellulosic biomass
WO2010009515A1 (en) Enzyme hydrolysis method
WO2017177289A1 (en) Process for conversion of biomass into fermentable sugars with integrated enzyme
Lee et al. Optimization of medium components for β-glucosidase production in Schizophyllum commune KUC9397 and enzymatic hydrolysis of lignocellulosic biomass
JP4923739B2 (ja) 酸性セルラーゼ生産菌
WO2010101158A1 (ja) クロストリジウム セルロボランス由来新規遺伝子及びその利用
KR102155046B1 (ko) 고활성 셀룰레이스를 생산하는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
US11242507B2 (en) Mutant strain Aspergillus aculeatus for producing cellulase and xylanas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Takano et al. Direct ethanol production from rice straw by coculture with two high-performing fungi
Valliammai et al. Mining the prospective of Candida tropicalis YES3 in Napier biomass saccharification
Gilleran et al. Induction of enzyme cocktails by low cost carbon sources for production of monosaccharide-rich syrups from plant materials
KR101621425B1 (ko) 높은 활성의 셀룰로스 분해 효소를 가지는 신규 균주 아칸소피지움 속 kmf001
KR102155049B1 (ko) 트리코더마 속 kmf006 균주를 이용한 셀룰레이스 생산 방법
KR101803073B1 (ko) 섬유소 분해효소 생성능을 가지는 페니실륨 베루쿨로슘 coke4e
Triwahyuni et al. The evaluation of substrates and Trichoderma sp. isolates for cellulase production
US10196621B2 (en) Acanthophysium sp. KMF001 having high cellulase activity
KR101738903B1 (ko) 곰팡이 컨소시엄을 이용한 바이오매스의 동시 전처리 및 당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바이오연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