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276A - Wirelesss multi-channel switch and switchin system adopting the switch - Google Patents

Wirelesss multi-channel switch and switchin system adopting the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276A
KR20190142276A KR1020190117486A KR20190117486A KR20190142276A KR 20190142276 A KR20190142276 A KR 20190142276A KR 1020190117486 A KR1020190117486 A KR 1020190117486A KR 20190117486 A KR20190117486 A KR 20190117486A KR 20190142276 A KR20190142276 A KR 20190142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button
switch
self
wireless mul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4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4429B1 (en
Inventor
강범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제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제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제이디
Publication of KR2019014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2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4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in which a single generator is shared by multiple switching channels, and a wireless switching system. The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includes a circuit part for generating switching signals of a plurality of channels; a self-generator which generates electric power for driving the circuit part by an external force; a switching plate operated by an external force in one direction to operate the self-generator; a plurality of buttons for selectively pressing an operating plate; and a plurality of switches operated by the plurality of buttons.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Description

무선 다채널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하는 다채널 스위칭 시스템{Wirelesss multi-channel switch and switchin system adopting the switch}Wireless multichannel switch and multichannel switching system using the same {Wirelesss multi-channel switch and switchin system adopting the switch}

본 발명은 무선 다채널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하는 스위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가 발전형 무선 다채널 스위치 및 스위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and a switch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generating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and a switching system.

자가 발전형 무선 스위치는 외부의 별도 전원이 없이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성하여 이를 이용해 스위칭 제어에 관련된 RF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Self-powered wireless switches generate their own power without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use them to generate RF signals related to switching control.

자가 발전을 위해 일반적으로 압전 방식과 코일 방식이 있다.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이 발생했을 때에 이에 압전 방식 또는 코일 방식의 발전기가 연동되도록 한다. 스위치에는 단일 스위치 또는 멀티 스위치가 있는데, 단일 스위치든 멀티 스위치 든 하나의 스위치 요소마다 발전기가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For self-generation, there are generally piezoelectric and coil methods. When the switch operation by the user occurs, the piezoelectric or coil type generators are interlocked. The switch may be a single switch or a multi-switch. It is common for a single generator or multi-switch to have a separate generator for each switch element.

본 발명은 하나의 발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무선 다채널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다채널 스위칭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operated by a single generator and a wireless multichannel switching system employing the same.

발명에 따른 무선 다채널 스위치:는Wireless multichannel switch according to the invention:

다채널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회로부;A circuit unit generating a multi-channel switching signal;

상기 회로부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발생하는 자가 발전기;A self-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for driving the circuit unit;

외력에 의해 상기 자가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작동 플레이트; 그리고An operation plate for operating the self-generator by an external force; And

상기 스위치들과 작동 플레이트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외력을 상기 작동 플레이트에 가하여 상기 자가 발전기를 작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로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다수의 버튼;를 구비한다.And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switches and the operation plate to apply the external force to the operation plate to operate the self-generator, and simultaneously to operat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가 발전기를 작동하는 작동 플레이트는 일 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 구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operating plate for operating the self-generator may have a rotating structure that rotates about one point.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은 그 양단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렛대 구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utton may have a lever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thereof rotate about a rotation center.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르면,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상기 버튼은 상기 작동 플레이트 상방에 위치하여 그 허리 부분이 상기 작동 플레이트를 가압하고, 그 양단에는 지렛대의 받침점에 대응하는 회전 지지점이 마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button may be positioned above the operating plate such that a waist portion presses the operating plate, and both ends thereof have rotation support point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ints of the lever.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의 양측 하부에, 상기 버튼의 지렛대 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witches that are selectively operated by lever movement of the buttons may be provided below both sides of the button.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지지점은 상기 버튼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돌기형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돌기형 걸림턱은 상기 발전기가 설치되는 구조물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끼워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rotation support point may have a projection-type locking jaw formed at both ends of the button, and the projection-type locking jaw may have a structure fitted into a locking groove provided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generator is installed. have.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멀티 시스템:은 상기 회로부가 마련되는 기판:과 상기 발전기와 기판이 설치되는 부품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품 장착부에는 상기 돌기형 걸림턱이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wireless multi-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bstrate on which the circuit unit is provided, and a component mounting unit in which the generator and the substrate are installed. The component mounting unit includes a lock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ding locking jaw is fitted. It can have a structure.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턱이 일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슬릿 또는 장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ocking groove may have a structure of a slit or long groove in which the locking jaw may move in one direction.

모범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멀티 채널 스위칭 시스템:은Wireless multi-channel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상기 무선 다채널 스위치;와 The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and

상기 스위칭 신호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장치;를 구비하고,And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switching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switching signal.

상기 회로부에 스위칭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자 장치에는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ircuit unit may include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a switching signal,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witching signal from the transmitter.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채널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다채널 스위치가 하나의 자가 발전기에 의해 동작한다. 따라서, 하나의 스위칭 채널에 대해 하나의 발전기를 적용하는 종래 멀티 스위치에 비해 그 구조가 간략해질 뿐 아니라 자가 발전기를 포함하는 사용 부품 수가 크게 감소하여 제조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of a plurality of channels is operated by one self-generator. Therefore, the structure is simpler than the conventional multi-switch in which one generator is applied to one switching channel, and the number of used parts including the self-generator is greatly reduc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도1은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다채널 스위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2는 모범적 실시 예에 따라, 시소형 버튼이 설치되는 무선 다채널 스위치 본체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스위치 본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회로 기판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회로 기판이 장착된 스위치 본체의 내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와 같이 스위치 본체의 내부를 보이는 사시도로서 작동 플레이트가 위로 들려진 상태를 예시한다.
도6내지 도8은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9는 내지 도11은 모범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다수의 시소형 버튼의 선택적 작동에 따른 작동 플레이트의 동작 및 이에 따른 발전기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12는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스위칭 시스템의 개략적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n excerpt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body in which a seesaw button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oard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switch main body shown i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witch main body in which the circuit board shown in FIG. 2 is mount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witch body as shown in FIG. 4, illustrating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plate is lifted up.
6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wireless swit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11 illustrate the operation of the actuation plate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generator according to the selective actuation of a plurality of seesaw butto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wireless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개념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 개념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 개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로 인해 한정 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 개념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 개념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set forth below.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are preferably interpreted to be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describe the inventive concept.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all the time. Furthermore, various element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are schematically drawn. Accordingly, the inventive concept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dra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 개념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반대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vice versa,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 개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 등의 표현은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ve concept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expression “comprises” or “having”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Also, as used in the prior art, terms as defined in advance should be construed to have a meaning consistent with what they mean in the context of the technology concerned, and in an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첨부 도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 과정에서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example, according to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deformations of the illustrated shape may be expected.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of the regions shown herei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changes in shape resulting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entioned.

도1은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다채널 스위치(100)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2는 버튼(10)이 설치되는 무선 다채널 스위치(100)의 하우징 또는 본체(20) 및 이에 설치되는 버튼(10)의 사시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2 is a housing or a main body 20 of a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100 in which a button 10 is installed, and a button installed therein ( 10) is a perspective view.

도1의 무선 다채널 스위치(100)에서 양방향 회동 레버형 또는 시이소형 버튼(10)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다.In the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100 of FIG. 1, the bidirectional pivoting lever or seesaw button 10 is separated.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모범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다채널 스위치(100)는 3개의 나란한 버튼(1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10)의 수의 설계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버튼(10)의 개수는 본 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1 and 2, a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three side by side buttons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number of buttons 1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and the number of such buttons 10 does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버튼(10)은 양 방향으로 작동하는 양 방향 지렛대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지렛대 구조를 위하여, 버튼(10)의 양측 단부(11, 12)에 지렛대 구조에서 받침점(fulcrum)으로서의 회전 지지점(pivot point)이 마련된다. 모범적 실시 예에서는 받침점은 버튼의 양단부(11,12)에 마련되는 돌기형 축 또는 돌출형 걸림턱(11a, 12a) 및 이를 지지하는 슬릿형 걸림홈(22a, 22b)에 의해 구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양측 단부(11, 12) 각각의 양측 면에 걸림턱(11a, 12a)이 한 쌍씩 형성되고, 상기 슬릿형 걸림홈(22a, 22b)이 스위치 본체(20)에 형성된다.The button 10 has a bidirectional lever structure that operates in both directions. For this lever structure, a pivot point is provided at both ends 11 and 12 of the button 10 as a fulcrum in the lever structure.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upporting point is realized by the projection shaft or the projection locking projections 11a and 12a provided at both ends 11 and 12 of the button and the slit locking grooves 22a and 22b supporting the projection shaft or protrus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locking jaws 11a and 12a are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end portions 11 and 12, and the slit-shaped locking grooves 22a and 22b are formed in the switch body 20.

상기 걸림홈(22a, 22b)이 형성되는 스위치 본체(20)는 발전에 필요한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 장착부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부품 장착부는 스위치 본체(20)에 일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 후 스위치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스위치 본체(20) 자체가 스위치 부품 장착부에 해당한다 할 수 있다. The switch main body 20 in which the engaging grooves 22a and 22b are formed has a function as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in which components necessary for power generation are mounted. The component mounting part may be integrally provided in the switch body 20, and may be coupled to the switch body 20 after being manufactured as a separate component, and the switch body 20 itself corresponds to the switch component mounting part. I can do it.

본 실시 예에서는 부품 장착부가 스위치 본체(2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 예에서 스위치 본체(20)의 내부 바닥 및 그 둘레의 테두리는 부품 장착부의 속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has a structure integrally formed in the switch body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bottom of the switch main body 20 and the rim around it belong to the component mounting part.

상기 버튼(10)이 다수 수용되는 공간부(20a)를 형성하는 4개의 벽체(21a, 21b, 21c, 21d)를 가지는 테두리(21)가 마련되고, 테두리(21)에서 상호 마주보는 벽체(21a, 21c)에 상기 버튼(10)의 양측 걸림턱(11a, 12a)이 끼워지는 걸림홈(22a, 22b)이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21) 역시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 후 스위치 본체(2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 (11a, 12a)이 끼워지는 걸림홈(22a, 22a)은 상기 버튼(10)의 움직임 방향, 예를 들어 기판에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된 슬릿 또는 장홈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돌출턱(11a, 12a)을 회전 중심으로하는 상기 버튼(10)의 회동을 지지할 뿐 아니라 버튼(10)의 걸림턱(11a, 12a)의 일 방향 움직임, 예를 들어 버튼(10)의 회동 방향으로의 상하 왕복 움직임을 허용한다. 상기의 슬릿형 고정홈이 형성되는 스위치 본체(20)는 하나의 부품 또는 복수의 부품의 조합에 의해 구성이 가능하며, 상기 슬릿형 고정홈이 형성되는 부분은 스위치 본체(20)에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부품에 형성된 후 스위치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An edge 21 having four walls 21a, 21b, 21c, and 21d forming a space portion 20a in which the buttons 10 are accommodated is provided, and the walls 21a facing each other at the edge 21 are provided. And locking grooves 22a and 22b into which both locking jaws 11a and 12a of the button 10 are fitted. The edge 21 may also be assembled to the switch body 20 after being manufactured as a separate component. The locking grooves 22a and 22a into which the locking jaws 11a and 12a are fitted have a form of a slit or a long groov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utton 10, for example,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In addition to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button 10 with the projection jaws 11a and 12a as the center of rotation, the one-way movement of the locking jaws 11a and 12a of the button 10, for example, the rotation of the button 10. Allows vertical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direction. The switch body 20 in which the slit-type fixing grooves are formed may be configured by one component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the part in which the slit-type fixing grooves are formed is integrally formed in the switch body 20. It may be formed,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separate component and then coupled to the switch body 20.

상기 공간부(20a)의 내측 바닥에는 후술하는 회로 기판(30, 도3)과 발전기(40, 도3 및 도4 참조)가 장착된다. 이러한 공간부(20a)의 내측 바닥에는 상기 발전기(40)가 장착되는 발전기 장착부(25) 및 발전기(40)의 무빙 마그네트부(40b, 도3 및 도4 참조)를 하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비틀림) 스프링으로서 제2바이어스 스프링(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바이어스 스프링(27)은 기판에 마련되는 스프링 지지부(29)에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부(29)는 스위치 본체(20)의 내부 바닥에 형성될 수 도 있고, 별도의 부품에 형성된 후 스위치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A circuit board 30 (see FIG. 3) and a generator 40 (see FIGS. 3 and 4) described later are mounted on an inner bottom of the space portion 20a. The inner bottom of the space portion 20a torsionally supporting the generator mounting portion 25 on which the generator 40 is mounted and the moving magnet portion 40b (see FIGS. 3 and 4) of the generator 40 from below. The second bias spring 27 is provided as a torsional spring. The second bias spring 27 is installed on a spring support 29 provided on the substrate. The spring support 29 may be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switch body 20 or may be coupled to the switch body 20 after being formed in a separate component.

상기 발전기(40)의 발전은 공간부(20a)의 바닥에 대해 상하 운동하는 회동형 무빙 마그네트부(40b)의 움직임에 의해 이루어지며, 무빙 마그네트부(40b)의 움직임은 후술하는 상기 무빙 마그네트부(40b)의 움직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하 회동하는 작동 플레이트(60)의 누름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작동 플레이트(60)의 작동은 다수의 버튼(10)의 양방향의 지렛대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Power generation of the generator 40 is made by the movement of the rotatable moving magnet portion 40b, which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space portion 20a, and the movement of the moving magnet portion 40b is described later. It is made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operation plate 60 which rotates up and dow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40b, 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late 60 is performed by the lever operation in both directions of the plurality of buttons 10.

상기 공간부(20a)의 바닥에는 전술한 버튼(10)을 하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바이어스)하는 압축형 제1바이어스 스프링(13, 도4 참조)이 설치되는 스프링지지 기둥(28)이 다수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코일 장착부(25)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작동 플레이트(60, 도4 참조)의 양 회동축(60a, 60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부(26a, 26b)이 직립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spring support pillars 28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pace portion 20a in which the compression-type first bias spring 13 (see FIG. 4) for elastically supporting (biasing) the button 10 is provided at the bottom. have. And both sides of the moving coil mounting portion 25 is formed in the upright base support portion (26a, 26b) rotatably coupled to both the rotating shaft (60a, 60b) of the operation plate (see Fig. 4) to be described later.

도3은 스위치 본체(20)의 공간부(20a)에 설치되는 회로 기판(30)의 개략적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ircuit board 30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20a of the switch body 20.

도3을 참조하면, 기판(30)의 대략 중간에 발전기(40)가 위치하는 관통공(30b)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0b)은 공간부(20a) 바닥의 발전기 장착부(25)에 고정된 발전기(40)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전기(40)는 기판(3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발전기(40)는, 기판(30) 또는 공간부(20a)의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 코일부(40a)와 고정 코일부(40a)에 대해 움직이는 무빙 마그네트부(40b)를 구비한다. 무빙 마그네트부(40b)에는 전술한 제2바이어스 스프링(27)에 지지되는 연장편(40c)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3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3개의 버튼(10)의 각 양단에 대응하는 스위치(50a, 50b)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즉, 하나의 버튼(10)에 대해 그 양단에 2개의 스위치(50a, 50b)가 배치되며, 따라서 버튼(10)의 작동 방향에 따라 2개의 스위치(50a, 50b)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된다. 상기 스위치(50a, 50b)들은 회로부(60)에 연결된다. 상기 회로부(60)는 기판의 일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제어소자(60a) 및 데이터 송신을 위한 패턴 안테나(60b)를 가지는 회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로부(60)의 전력은 상기 발전기(40)로부터 제공받으며, 이 회로부(60)는 미소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작동 플레이트(60)에 의해 짧은 시간 동안 작동하는 발전기(40)로부터의 전력을 일정 시간 동안 축적하여 사용하며, 스위칭 신호를 상기 안테나(60b)를 통해 송출한다. 스위칭 신호는 별도로 마련되는 전등이나 전자장치의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어 해당 신호에 따른 동작, 즉 일반적으로 알려진 무선 스위칭 작동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3, a through hole 30b in which the generator 40 is positioned is formed approximately in the middle of the substrate 30. The through hole 30b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generator 40 fixed to the generator mounting portion 25 at the bottom of the space portion 20a pa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generator 40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substrate 30. The generator 40 includes a fixed coil portion 40a fixed to the bottom of the substrate 30 or the space portion 20a and a moving magnet portion 40b moving relative to the fixed coil portion 40a. The moving magnet part 40b is formed with the extension piece 40c supported by the 2nd bias spring 27 mentioned above. A plurality of switches 50a and 50b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three buttons 10 are provided along both edges of the substrate 30. That is, two switches 50a and 50b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one button 10, and thus either one of the two switches 50a and 50b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button 10. The switches 50a and 50b are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60. The circuit unit 6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has a circuit unit having a control element 60a such as a microprocessor and a pattern antenna 60b for data transmission. The power of the circuit portion 60 is provided from the generator 40, and since the circuit portion 60 uses minute power, it receives power from the generator 40 which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plate 60 for a short time. Accumulated and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60b). The switching signal is received by a separately provided lamp or receiving unit of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gnal, that is, a commonly known wireless switching operation.

도4는 회로 기판(30)이 장착된 스위치 본체(20)의 내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며,도5는 스위치 본체(20)에서 작동 플레이트(60)가 위로 들려진 상태를 예시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witch body 20 on which the circuit board 30 is mounted, and FIG.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plate 60 is lifted up in the switch body 20.

도4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30)이 상기 스위치 본체(20)의 내측 바닥에 설치된다. 발전기(40)의 무빙코일부(40b)는, 그 선단부에 마련된 연장편(40c)을 떠 받치는 제2바이어스 스프링(27)에 의해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일정 높이 들려 진 상태이다.4 and 5, the substrate 30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switch body 20. The moving coil portion 40b of the generator 40 is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lifted upward by a second bias spring 27 that supports the extension piece 40c provided at the distal end thereof.

연장편(40c)과 제2바이어스 스프링(27)이 접촉하는 부분 위에는 작동 플레이트(60) 중간의 가압부(60c)가 놓인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 플레이트(60)에 상방으로부터 버튼(10)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면, 작동 플레이트(60)는 그 양단의 회동축(60a, 60b)을 의지하여 수직 하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한다. 이때에, 작동 플레이트(60)의 회동에 의해 작동 플레이트(60)의 가압부(60c)가 상기 연장편(40c)가 하방으로 내려가고 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2바이어스 스프링(27)은 탄력적으로 변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연장편(40c)과 작동 플레이트(60)는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2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무빙 마그네트부(40b)에 의한 자계 변화로 상기 고정 코일부(40a)에서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전류는 상기 회로부(60)의 구동에 사용된다.On the part where the extension piece 40c and the second bias spring 27 contact each other, the pressing part 60c in the middle of the operation plate 60 is placed. In this stat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on plate 60 by the button 10 from above, the operation plate 60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vertically downward by relying on the rotation shafts 60a and 60b at both ends thereof. At this time,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plate 60, the pressurizing portion 60c of the operation plate 60, the extension piece 40c is lowered downward and the second bias spring 27 supporting it from below is elastically It will deform.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extension piece 40c and the operation plate 60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bias spring 27. In this process, a current is generated in the fixed coil part 40a due to the magnetic field change caused by the moving magnet part 40b. The current generated in this way is used to drive the circuit unit 60.

도6내지 도8은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단면도로서 버튼의 작동에 따른 작동 플레이트의 움직임 및 이에 따른 발전기의 동작을 예시한다.6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wireless swit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pl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generator.

여기에서 도4 및 도5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플레이트(60)는 그 양단의 회동축(60a, 60b)을 의지하여 수직 하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한다. 도6내지 도8에서 상기 작동 플레이트(60)의 전체를 도시하고 않고 스위칭 동작에 직접 기여하는 가압부(60c)를 대표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플레이트(60)는 상기 제2바이어스 스프링(27)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그리고 상기 버튼(10)은 제2바이어스 스프링에 의해 간접적으로 바이어스 됨과 아울러 제1바이어스 스프링(13)에 의해 직접적으로 탄성 바이어스 된다.Here, a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S. 4 and 5, the operation plate 60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vertically downward by relying on the rotation shafts 60a and 60b at both ends thereof. 6 to 8 representatively show the pressing portion 60c which directly contributes to the switching operation without showing the whole of the operation plate 60.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plate 60 is elastically biased upward by the second bias spring 27, and the button 10 is indirectly biased by the second bias spring and also the first bias spring. It is elastically biased directly by (13).

도6은 3개의 버튼(10)이 가압되지 않은 정상 상태를 도시한다.6 shows a normal state in which the three buttons 10 are not pressed.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전기의 제1바이어스 스프링(13)과 제2바이어스 스프링(27)에 의해 상기 버튼(10)과 작동 플레이트(60)가 기판(30)으로부터 높이 들려져 있으며, 버튼(10)의 양측 하부에 마련되는 두 스위치(50a, 50b) 모두가 눌리지 않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In this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button 10 and the operation plate 60 are lifted up from the substrate 30 by the first bias spring 13 and the second bias spring 27 of the generator. Both switches 50a and 50b provided at the lower sides of both sides maintain the OFF state.

도7은 버튼(10)의 일측 단(12, 도면에서 오른쪽 부분)이 눌렸을 때의 스위치(50a, 50b)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7을 참조하면, 버튼(12)의 일 측(도면에서 오른쪽)이 눌리면 그 반대의 왼쪽의 돌출형 걸림턱(11a)이 스위치 본체(20)에 마련된 걸림홈(22a)에 걸려서 피벗 포인트로서 작동한다. 따라서, 버튼(10)의 오른쪽 하부에 위치하는 스위치(50b)가 눌려서 온(ON)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레버헝 버튼(10)의 중간 부분이 상기 작동 플레이트(60)의 가압부(60c)를 누르게 되고, 따라서 이에 의해 발전기(40)의 무빙 마그네트부(40b)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연장편(40c)을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이 무빙 마그네트부(40b)가 움직임에 따라 발전기(40)로부터의 발전 일어난다. 발전기(40)로부터의 발전은 무빙 마그네트부(40b)의 일 방향으로의 일 회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며, 여기에서 발전된 전류는 회로부로 전달되어 회로부(60)가 작동하게 된다. 회로부(60)에서는 상기 전류를 축적할 수 있는 축전지 또는 커패시터 등의 축전 부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축전 부품은 상기 회로부(60)에 작동에 필요한 전류를 주어진 시간 동안 공급한다. 상기 회로부(60)는 전류 공급에 의해 작동을 개시하여, 상기 버튼(10)에 의해 눌려 있는 스위치(50b)를 검출하고 이에 해당하는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여 무선으로 해당 스위치(50b)의 스위칭 신호를 전송한다.7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switches 50a and 50b when one end 12 (the right part in the figure) of the button 10 is pressed. Referring to FIG. 7, when one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button 12 is pressed, the protruding locking jaw 11a on the opposite left side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22a provided in the switch body 20 as a pivot point. Works. Therefore, the switch 50b located at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utton 10 is pressed to be in an ON state. At the same time,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ever button 10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60c of the operating plate 60, and thus an extension piece 40c extending from the moving magnet portion 40b of the generator 40. Down). As the moving magnet portion 40b moves in this way, power generation from the generator 40 occurs. Power generation from the generator 40 occurs for a short time even by one movement of the moving magnet part 40b in one direction, and the generated current is transferred to the circuit part to operate the circuit part 60. The circuit unit 60 may include a power storage component such as a battery or a capacitor capable of accumulating the current, and the power storage component supplies the circuit unit 60 with a current required for operation for a given time. The circuit unit 60 starts operation by supplying current, detects the switch 50b pressed by the button 10, generates a corresponding switching signal, and wirelessly switches the switching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witch 50b. send.

도8은 도7과는 반대 방향으로 버튼(10)에 힘이 가해졌을 때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8은 참조하면, 버튼(12)의 타측(도면에서 왼쪽)이 눌리면 그 반대의 오른쪽의 돌출형 걸림턱(12a)이 스위치 본체(20)에 마련된 걸림홈(22b)에 걸려서 힌지 포인트로서 작동하며, 따라서, 버튼(10)의 왼쪽 하부에 위치하는 스위치(50a)가 눌려서 온(ON)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레버헝 버튼(10)의 중간 부분이 상기 작동 플레이트(60)의 가압부(60c)를 누르게 되고, 따라서 이에 의해 발전기(40)의 무빙 마그네트부(40b)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연장편(40c)이 하방(기판 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이 무빙 마그네트부(40b)가 움직임에 따라 발전기(40)로부터의 발전 일어나며, 이에 의해 회로부(60)가 작동하게 된다. 회로부(60)는 전류 공급에 의해 작동을 개시하여, 상기 버튼(10)에 의해 눌려 있는 스위치(50a)를 검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여 무선으로 해당 스위치(50a)의 스위칭 신호를 전송한다.FIG. 8 illustrates the stat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button 1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FIG. Referring to FIG. 8, when the other side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button 12 is pressed, the projecting locking jaw 12a on the opposite right side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22b provided in the switch body 20 and operated as a hinge point. Therefore, the switch 50a located at the lower left of the button 10 is pressed to be in an ON state. At the same time,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ever button 10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60c of the operating plate 60, and thus an extension piece 40c extending from the moving magnet portion 40b of the generator 40. ) Goes down (substrate direction). As the moving magnet portion 40b moves as described above, power generation from the generator 40 occurs, whereby the circuit portion 60 operates. The circuit unit 60 starts operation by supplying current, detects the switch 50a pressed by the button 10, generates a corresponding switching signal,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switching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witch 50a. do.

도9 내지 도11은 다수의 버튼(10)의 선택적 작동에 따른 작동 플레이트(60)을 동작 및 이에 따른 발전기(40)의 동작을 예시한다.9-11 illustrate operation of the actuating plate 60 according to the selective actuati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10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generator 40.

도9는 하나의 작동 플레이트(60) 위에 놓인 3개 버튼(10)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발전기(40)의 무빙 마그네트부에 연결된 연장부(40c)는 전술한 제2바이어스 스프링(27)에 의해 들려 있는 상태이다.9 shows a state in which the three buttons 10 on one operation plate 60 are not pressed. The extension part 40c connected to the moving magnet part of the generator 40 in this state is a state lifted by the 2nd bias spring 27 mentioned above.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버튼(10) 중 가운데의 버튼(10)이 눌리면, 이 버튼(10)은 작동 플레이트(60)를 가압하여 무빙 마그네트부(40b)에 연결된 연장부(40c)를 하강시켜 발전기를 기동시킨다. 이러한 버튼(10)은 작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양측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킨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button 10 in the middle of the three buttons 10 is pressed, this button 10 presses the operating plate 60 to extend the extension 40c connected to the moving magnet portion 40b. Start the generator by lowering). This button 10 actuates either of the two switches as described above.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버튼(10) 중 좌측의 버튼(10)이 눌리면, 이 버튼(10)은 작동 플레이트(60)를 가압하여 무빙 마그네트부(40b)에 연결된 연장부(40c)를 하강시켜 발전기를 기동시킨다. 이러한 버튼(10)은 작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양측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킨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button 10 on the left side of the three buttons 10 is pressed, the button 10 presses the operation plate 60 to extend the extension portion 40c connected to the moving magnet portion 40b. Start the generator by lowering). This button 10 actuates either of the two switches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버튼의 작동 후, 버튼은 제1, 제2바이어스 스프링()들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After operation of such a button, the butto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first and second bias springs ().

도12는 모범적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 시스템의 개략적 구조를 보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wireless switch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무선 스위치 시스템은 전술한 무선 다채널 스위치(100)와 이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장치(200)를 포함한다. 무선 다채널 스위치(100)와 전자장치(200)는 송신부(70c)와 수신부(201)를 포함한다. 무선 다채널 스위치(100)의 회로부(7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콘트롤러(70c)를 포함하며, 마이크로 콘트롤(70c)는 스위치(50a, 50b)의 온오프 동작을 검출하여 이에 상응하는 스위칭 신호를 송신부(70c)를 통해 발신한다. 회로부(70)에는 발전기(50)로부터의 AC 전력을 DC로 변환하고 이를 저장하는 저장부(70e)를 포함한다. 이 저장부(70e)는 마이크로 콘트롤러(70a) 및 송신부(70c) 등의 구동 전력을 제공한다. 버튼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50a, 50b)는 키 인풋회로(70d)를 통해 마이크로 콘트롤러(70a)에 연결된다.The wireless switch system includes the aforementioned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0 controlled thereby. The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0 include a transmitter 70c and a receiver 201. The circuit unit 70 of the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100 includes a microprocessor or a microcontroller 70c. The microcontroller 70c detects an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es 50a and 50b to provide a corresponding switching signal. It transmits via the transmitter 70c. The circuit unit 70 includes a storage unit 70e that converts AC power from the generator 50 into DC and stores the same. The storage unit 70e provides driving power for the microcontroller 70a and the transmitter 70c and the like. The switches 50a and 50b operated by the buttons are connected to the microcontroller 70a through the key input circuit 70d.

한편, 전자장치(200)는 상기 송신부(70c)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1)를 포함하고, 이 내부에는 수신부(201)를 통해 수신된 스위칭 신호를 파싱하여 해당 신호에 대응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203)가 내장될 수 있다. 전자장치(200)의 마이크로 콘트롤러(203)는 조명(202), 콘센트(204), 가스벨브 스위칭(205) 등의 다양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송신부와 수신부의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의 다양한 공지 통신 방식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200 includes a receiver 201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70c, and parses a switchin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201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A microcontroller 203 may be built in. The microcontroller 203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include various controllers such as an illumination 202, an outlet 204, a gas valve switching 205, and the like. In the above,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may be selected from various known communication schemes such as Bluetooth, Wi-Fi, and Zigbe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스위치는 기존에 비해 구조가 간단해 지고 제조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에는 스위치 마다 발전기가 마련되었었는데, 모범적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스위치 작동에 하나의 발전기를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무선 다채널 스위치의 제조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The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simplified in structure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 particular, in the past, a generator was provided for each switch. In an exemplary embodiment, a single generator may be used to operate a plurality of switches,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a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switche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범적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invention. Therefore, changes in the fut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depart from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다채널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회로부;
상기 회로부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발생하는 자가 발전기;
외력에 의해 상기 자가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작동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스위치들과 작동 플레이트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외력을 상기 작동 플레이트에 가하여 상기 자가 발전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회로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다수의 버튼;를 구비하는 무선 다채널 스위치.
A circuit unit generating a multi-channel switching signal;
A self-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for driving the circuit unit;
An operation plate for operating the self-generator by an external force; And
And a plurality of buttons for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switches and the operation plate to apply the external force to the operation plate to operate the self-generator and to operate any one of a plurality of switches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Channel sw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플레이트는 일 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자가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회동 구조를 가지는, 무선 다채널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plate has a rotation structure for operating the self-generator by rotating about one point, the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플레이트는 상기 자가 발전기를 가압하도록 자가 발전기의 위에 배치되며, 그 몸체 양측에 회동축이 마련되어 있는, 무선 다채널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ration plate is disposed above the self-generator to pressurize the self-generator, the rotary shaf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the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그 양단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렛대 구조를 가지는, 무선 다채널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said button has a lever structure that rotates both ends thereof to the center of rot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작동 플레이트 상방에 위치하여 그 허리 부분이 상기 작동 플레이트를 가압하고, 그리고 그 양단에는 지렛대의 받침점에 대응하는 회전 지지점을 가지는, 무선 다채널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button is located above the actuation plate, the waist portion of which presses the actuation plate, and at both ends thereof has a rotational support point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int of the le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점은 상기 버튼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돌기형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돌기형 걸림턱은 상기 발전기가 설치되는 구조물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끼워지는, 무선 다채널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rotation support point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locking jaw formed on both side ends of the button,
The protruding locking jaw is fitted into a locking groove provided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generator is installed, the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가 마련되는 기판:과
상기 발전기와 기판이 설치되는 부품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품 장착부에는 상기 돌기형 걸림턱이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있는, 무선 다채널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6,
A substrate provided with the circuit portion: And
And a component mounting unit in which the generator and the substrate are installed.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is a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that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to which the projection locking jaw is fitted.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 다채널 스위치;
상기 스위칭 신호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스위칭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다채널 스위칭 시스템.
The wireless multi-channel switch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switching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switching signal.
The circuit unit comprises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switching signal;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a switching signal from the transmit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그 양단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렛대 구조를 가지는, 무선 다채널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And said button has a lever structure that rotates both ends thereof to the center of rot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작동 플레이트 상방에 위치하여 그 허리 부분이 상기 작동 플레이트를 가압하고, 그리고 그 양단에는 지렛대의 받침점에 대응하는 회전 지지점을 가지는, 무선 다채널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button is positioned above the actuation plate such that a waist portion presses the actuation plate, and at both ends thereof has a rotational support point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int of the lev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점은 상기 버튼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돌기형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돌기형 걸림턱은 상기 발전기가 설치되는 구조물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끼워지는, 무선 다채널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rotation support point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locking jaw formed on both side ends of the button,
The protruding locking step is fitted into a locking groove provided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generator is installed, wireless multi-channel switching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가 마련되는 기판:과
상기 발전기와 기판이 설치되는 부품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품 장착부에는 상기 돌기형 걸림턱이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있는, 무선 다채널 스위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A substrate provided with the circuit portion: And
And a component mounting unit in which the generator and the substrate are installed.
Wherei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is a wireless multi-channel switching system that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is fitted into the projection locking jaw.
KR1020190117486A 2018-06-14 2019-09-24 Wirelesss multi-channel switch and switchin system adopting the switch KR10211442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397 2018-06-14
KR20180068397 2018-06-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739A Division KR102026868B1 (en) 2018-06-14 2018-08-16 Wires multi-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276A true KR20190142276A (en) 2019-12-26
KR102114429B1 KR102114429B1 (en) 2020-05-25

Family

ID=682077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739A KR102026868B1 (en) 2018-06-14 2018-08-16 Wires multi-switch
KR1020190117486A KR102114429B1 (en) 2018-06-14 2019-09-24 Wirelesss multi-channel switch and switchin system adopting the switch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739A KR102026868B1 (en) 2018-06-14 2018-08-16 Wires multi-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2686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154B1 (en) * 2020-02-03 2020-06-02 엠피아주식회사 Self-generated switch system for dustproof and waterproof
KR102231607B1 (en) * 2020-01-09 2021-03-24 주식회사 리바스 Self-power wireless swit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868B1 (en) * 2018-06-14 2019-10-01 주식회사 엠제이디 Wires multi-switch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391A (en) * 1995-10-17 1997-05-02 Sumitomo Wiring Syst Ltd Switch device
KR20090008227U (en) * 2008-02-12 2009-08-17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Tumbler switch
KR200448349Y1 (en) * 2007-11-29 2010-04-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Contact-type switching device
KR20120014280A (en) * 2010-08-09 2012-02-17 원봉연 Self-generating switch
KR101494437B1 (en) * 2013-08-28 2015-02-23 한국세라믹기술원 Switch having function of emitting light by self generating
JP2016534699A (en) * 2013-08-26 2016-11-04 エンホウ リュウ Self-powered wireless switch
KR101852503B1 (en) * 2017-03-16 2018-06-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Switch having a on/off button en bloc
KR102026868B1 (en) * 2018-06-14 2019-10-01 주식회사 엠제이디 Wires multi-switch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391A (en) * 1995-10-17 1997-05-02 Sumitomo Wiring Syst Ltd Switch device
KR200448349Y1 (en) * 2007-11-29 2010-04-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Contact-type switching device
KR20090008227U (en) * 2008-02-12 2009-08-17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Tumbler switch
KR20120014280A (en) * 2010-08-09 2012-02-17 원봉연 Self-generating switch
JP2016534699A (en) * 2013-08-26 2016-11-04 エンホウ リュウ Self-powered wireless switch
KR101494437B1 (en) * 2013-08-28 2015-02-23 한국세라믹기술원 Switch having function of emitting light by self generating
KR101852503B1 (en) * 2017-03-16 2018-06-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Switch having a on/off button en bloc
KR102026868B1 (en) * 2018-06-14 2019-10-01 주식회사 엠제이디 Wires multi-switch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607B1 (en) * 2020-01-09 2021-03-24 주식회사 리바스 Self-power wireless switch
KR102231612B1 (en) * 2020-01-09 2021-03-24 주식회사 리바스 Self-power wireless switch
WO2021141379A1 (en) * 2020-01-09 2021-07-15 주식회사 리바스 Self-powered wireless switch
WO2021141380A1 (en) * 2020-01-09 2021-07-15 주식회사 리바스 Self-power wireless switch
KR102118154B1 (en) * 2020-02-03 2020-06-02 엠피아주식회사 Self-generated switch system for dustproof and waterpro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429B1 (en) 2020-05-25
KR102026868B1 (en)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429B1 (en) Wirelesss multi-channel switch and switchin system adopting the switch
KR102025358B1 (en) micro power generator and wires multi-switch adopting the generator
CN103999178B (en) Self-powered energy acquisition switch and the method for collecting energy
CN106414873B (en) Device for a handlebar, handlebar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signals
CN106463294B (en) Method for the switchgear of radio button, radio button and switching signal for generating radio button
US20080062013A1 (en) Wall switch for wired and self-powered wireless controllers with recessed and flush mounting
CN117389172A (en) Passive wireless control module
JP2013225831A (en) Power generation switching system
KR102147403B1 (en) micro power generator and wires multi-switch adopting the generator
JP2007200707A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KR101094034B1 (en) Integrated switching unit with directional switch and apparatus with the same
MX2011001942A (en) Emergency stop device.
KR101987929B1 (en) Wireless switch for wiring appliance
WO2016052198A1 (en) Power generation input device
KR102231607B1 (en) Self-power wireless switch
CN109786139A (en) A kind of addition type intelligent switch
CN205017116U (en) Be suitable for wireless switch of electricity generation formula certainly of multiple button quantity configuration
KR20100004274U (en) 4 4-direction switch knob
JP5996767B1 (en) Switch device and switch system
KR101175075B1 (en) Power transfer switch
KR101261319B1 (en) Manual operating module for permanent magnetic actuator
EP2226821A2 (en) Interchangeable auxiliary switch
JP2009123595A (en) Switch mechanism
US9997065B2 (en) Remote control using passive components
JP6312080B2 (en) Information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