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842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842A
KR20190141842A KR1020180068534A KR20180068534A KR20190141842A KR 20190141842 A KR20190141842 A KR 20190141842A KR 1020180068534 A KR1020180068534 A KR 1020180068534A KR 20180068534 A KR20180068534 A KR 20180068534A KR 20190141842 A KR20190141842 A KR 20190141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viewing
content lis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660B1 (ko
Inventor
김민준
김대현
유하연
이상희
한만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8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660B1/ko
Priority to PCT/KR2019/004744 priority patent/WO2019240369A1/ko
Priority to US16/973,938 priority patent/US11570516B2/en
Publication of KR20190141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입력부; 및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예약을 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시청 예상 총 시간을 고려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추천함으로써, 단순히 복수의 컨텐츠를 추천해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에게 짜임새 있는 시청계획 자체를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별도로 조작할 필요 없이 시청계획에 따라 계속적으로 원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추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컨텐츠 추천 기술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TV 사용자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할 경우, TV는 그동안 사용자가 시청한 컨텐츠의 목록을 참고하여, 또는 유사한 컨텐츠를 시청한 다른 사용자의 시청 컨텐츠 목록 등을 참고하여, 사용자의 기호 또는 선호에 맞을만한 컨텐츠의 목록을 추천한다.
그러나 종래의 컨텐츠 추천 기술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최종적으로는 하나의 컨텐츠를 추천 받아 시청하게 된다. 복수의 컨텐츠가 포함된 컨텐츠 목록을 추천 받더라도 사용자는 결국은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시청하게 된다. 해당 컨텐츠 시청 완료 후 또 다른 컨텐츠를 추천받아 시청하는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결국 한번의 추천에 대해 하나의 컨텐츠를 시청하게 되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이처럼 종래의 추천 기술은 결과적으로 하나의 컨텐츠를 추천하기 위함일 뿐, 일련의 컨텐츠를 패키지 형태로 구성하여 추천하는 기능과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짜임새 있는 시청계획 자체를 제공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했다.
이에 본 발명은, 일련의 컨텐츠를 패키지 형태로 구성하여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청계획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입력부; 및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예약을 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시청 시간대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추천함은 물론, 사용자의 시청 예상 총 시간을 고려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추천함으로써, 단순히 복수의 컨텐츠를 추천해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에게 짜임새 있는 시청계획 자체를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별도로 조작할 필요 없이 시청계획에 따라 계속적으로 원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처리부는 제1컨텐츠를 결정한 후, 제1컨텐츠와의 연관성, 제1컨텐츠 재생 종료 시각, 또는 잔여 시청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컨텐츠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예약을 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표시된 컨텐츠 리스트 중 일부 컨텐츠에 대한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일부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잘 부합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컨텐츠 당 평균 감상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평균 감상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습관에 더욱 부합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시청 시 사용자의 집중도를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복수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 리스트의 신뢰도가 더욱 향상된다.
상기 처리부는, 컨텐츠 재생시간에서 부가정보 재생시간을 뺀 실질 재생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실질 재생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실질적인 컨텐츠 재생시간에 더욱 잘 부합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예약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시청 시간대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추천함은 물론, 사용자의 시청 예상 총 시간을 고려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추천함으로써, 단순히 복수의 컨텐츠를 추천해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에게 짜임새 있는 시청계획 자체를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별도로 조작할 필요 없이 시청계획에 따라 계속적으로 원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제1컨텐츠를 결정한 후, 제1컨텐츠와의 연관성, 제1컨텐츠 재생 종료 시각, 또는 잔여 시청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컨텐츠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청예약을 하는 단계는,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예약을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컨텐츠 리스트 중 일부 컨텐츠에 대한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일부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잘 부합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컨텐츠 당 평균 감상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평균 감상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습관에 더욱 부합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시청 시 사용자의 집중도를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복수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 리스트의 신뢰도가 더욱 향상된다.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컨텐츠 재생시간에서 부가정보 재생시간을 뺀 실질 재생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실질 재생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실질적인 컨텐츠 재생시간에 더욱 잘 부합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되어 위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서버 내의 매체에 저장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일련의 컨텐츠가 패키지 형태로 구성된 시청계획을 추천받아 이를 재생하도록 하면 충분하므로, 사용자는 이후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일련의 컨텐츠를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 내지 도 6은 컨텐츠 리스트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과 사용자 입력 사이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의 시청시간 결정 방법 및 시청시간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의 컨텐츠 리스트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의 나타내는 도면,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의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의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의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컨대, TV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컨대, 랩탑, 스마트폰, 태블릿, 모바일폰, 전자액자, 디지털 광고판, LFD(Large Format Display), 디지털 싸이니지, 스마트워치,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터, 멀티미디어 재생기, 셋탑박스, 냉장고 등 컨텐츠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01), 처리부(102), 디스플레이부(103)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른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배제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회로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01)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를 이용한 사용자의 원격입력을 수신하여 해당 입력을 처리부(10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101)는 사용자가 발화하는 음성입력을 수신하여 그 음성신호를 처리부(102)로 전달할 수 있다. 그 경우 사용자입력부(101)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01)는 수신한 음성신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입력부(101)가 수신 가능한 사용자 입력에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모션 인식 등을 통한 사용자 입력 등도 수신할 수 있다.
처리부(102)는 사용자입력부(10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거나 그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02)는 사용자입력에 따른 신호에 대응하여 컨텐츠 추천에 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처리부(102)는 이상 언급된 처리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혹은 그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102)는 저장부로부터 독취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부(102)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처리부(102)에서 수행하는 영상처리는, 예를 들어, 입력되는 스트림을 영상, 음성, 부가데이터의 각 하위 스트림으로 구분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스트림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스트림을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스트림을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02)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처리부(102)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 이외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 시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처리부(102)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102)는, 예컨대,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도록 사용자입력부(101)를 제어할 수 있다. 처리부(102)는 또한 이미지에 대하여 처리를 수행한 후, 처리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0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하나의 처리부(102)에서 처리와 제어를 함께 수행하는 구성으로 구현된 것을 나타내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처리부와 별도로 제어부를 추가 구비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101)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된 경우, 처리부(102)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음성신호의 처리와 인식은, 예를 들어, DTW(Dynamic Time Warping) 기반의 음성인식 기술, 은닉 마르코프 모델(HMM; Hidden Markov Model) 기반의 음성인식 기술, 규칙 접근법(Rule-based approach) 기반의 음성인식 기술, 심층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음성인식 기술 등을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처리부(102)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음성인식 서버로 전송하여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음성인식 서버는, 예컨대, STT 서버(Speech-To-Text Server)로 구현될 수 있다. STT 서버로 구현될 경우, 음성인식 서버는 STT 서버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서버일 수도 있고, STT 서버 이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음성인식 서버로 전송된 음성신호는 서버에서의 처리에 의해 음성명령의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로 변환된다. 음성인식 서버에서 처리된 음성명령의 데이터는 처리부(102)로 다시 전송될 수도 있고, 다른 서버로 전송될 수도 있다.
처리부(102)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자체적으로 처리한 데이터, 또는 음성인식 서버에서 처리된 음성명령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신호를 처리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처리부(102)는 음성인식 서버 또는 다른 서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02)는 STT 서버에서 수신한,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STT 서버 또는 또 다른 서버로 전송하여 처리되도록 한 후, 해당 서버에서 처리되어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처리부(102)는 음성신호가 변환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음성인식 서버 혹은 다른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음성인식 서버 혹은 다른 서버는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기능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이후 동일한 음성명령이 수신되었을 때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3)는, 처리부(102)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3)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r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3)는, 액정 방식인 경우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3)는, 백라이트유닛 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처리부(102)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한다(S301). 여기서 컨텐츠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영상컨텐츠, 음악컨텐츠 등이 있고, 그 외에도 그 내용이나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여기서 사용자의 '시청시간'이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총 시간 또는 전원을 켜는 등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하기 시작한 사용자가 얼마나 오랫동안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감상할 것인지에 관한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켜서 사용을 시작하고 그 사용을 중단할 때까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시청시간은 기 설정된 값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값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S301과 같이 사용자의 시청 이력 혹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100) 사용 이력을 참조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하 관련 부분에서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시청시간이 결정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처리부(102)는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03)에 표시한다(S302).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청시간이 1시간으로 결정된 경우, 처리부(102)는 위 1시간 내에 시청할 수 있는 컨텐츠 리스트로서 제1컨텐츠, 제2컨텐츠 및 제3컨텐츠로 구성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컨텐츠 리스트를 '플랜(Plan)'이라고도 한다. 컨텐츠 리스트 또는 플랜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처리부(102)는 사용자입력부(101)를 통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예약을 한다(S303). 다만, 반드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시청예약을 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명령 입력이 없더라도 소정 이벤트의 발생 등에 따라 시청예약을 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컨텐츠 리스트 또는 플랜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이 1시간으로 결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결정된 시청시간 1시간 동안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는, 제공될 컨텐츠의 수, 종류, 내용,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한 경우의 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 리스트는, 도 4와 같이 그 재생길이가 60분인 제1컨텐츠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도 5와 같이 재생길이가 각각 30분인 제2컨텐츠와 제3컨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6과 같이 재생길이가 각각 20분, 30분, 10분으로 서도 다른 제4컨텐츠, 제5컨텐츠 및 제6컨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도 4 내지 도 6에서 제시된 컨텐츠 리스트는 하나의 예시에 해당할 뿐, 본 발명의 컨텐츠 리스트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처리부(102)는 위와 같이, 결정된 시청시간(예를 들어, 1시간) 동안 시청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 의 다양한 경우의 수 중 하나로서, 사용자의 취향 또는 선호 등에 부합할 만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즉, 처리부(102)는 컨텐츠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컨텐츠 리스트 추천 방식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이하 관련 부분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과 사용자 입력 사이 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7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을 켜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S701), 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처리부(102)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을 켜는 데 필요한 제어명령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을 켜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S702).
이후 사용자가 컨텐츠 추천 관련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명령을 입력하면(S703),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고(S704),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03)에 표시한다(S705). 처리부(102)가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103)에 표시된 컨텐츠 리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S706), 디스플레이장치의 처리부(102)는 선택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예약을 한다(S707).
한편, 이상에서는 처리부(102)가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는 단계(S704) 및 선택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예약을 하는 단계(S707)가 각각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따라 실행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 예로, 각 단계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이 없더라도 소정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단계는 소정 프로그램의 실행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 등의 이벤트에 따른 처리부(102)의 제어명령에 따라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는 단계(S704) 및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705)가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의 처리부(102)를 통해 수행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 예로, 위 동작들은 별도의 서버(200)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위 동작들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102)의 시청시간 결정 방법 및 결정된 시청시간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102)의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그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UI(User Interface)(8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어플리케이션의 UI(8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시청할만한 컨텐츠 리스트, 즉 '시청플랜'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임을 나타내는 항목(8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UI(800)는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항목(810, 8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의 UI(800)는 하나의 컨텐츠 리스트만을 표시할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810, 820)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항목(810, 820)은, 결정된 시청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항목(811, 821)과,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의 리스트 자체의 내용을 표시하는 항목(812, 8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처리부(102)가,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일 예로, 처리부(102)는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02)는 현 시각으로부터 1시간 또는 2시간 등 미리 정해진 시간을 사용자의 시청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Plan for 1 hour"(811)가 그에 따른 UI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으로서, 처리부(102)에서 사용자의 시청시간이 1시간으로 결정되었음을 나타낸다. 그와 함께, 처리부(102)는 그 시청시간에 따라 결정된 컨텐츠 리스트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S812).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는 다른 예로, 처리부(102)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시청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02)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100) 사용시각 또는 컨텐츠 시청 시작시각 별 평균 사용시간 또는 컨텐츠 감상 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Before Sleeping"(821)가 그에 따른 UI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18:00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처리부(102)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18:00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시청자는 통상 22:00까지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였음을 파악하여 그에 따라 시청시간을 4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이는 사용자가 취침하기 전까지 계속하여 시청하는 패턴이라는 점도 파악하여 그에 대한 이름을 "Before Sleeping"(821)으로 결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그와 함께, 처리부(102)는 그 결정된 시청시간에 따라 생성된 컨텐츠 리스트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S822).
한편, 이상에서는 시청시간이 기 설정된 값 또는 사용자의 시청이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처리부(102)는 소정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받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102)의 컨텐츠 리스트 생성 방법을 도시한다.
컨텐츠 리스트 생성 방법의 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처리부(102)는, 제1컨텐츠를 결정한 후, 제1컨텐츠와의 연관성, 제1컨텐츠 재생 종료 시각, 또는 잔여 시청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컨텐츠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처리부(102)는 제1컨텐츠를 우선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컨텐츠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일 예로, 처리부(102)는 현재 시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이력을 참조하여 제1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102)는 제2컨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제2컨텐츠를 결정하는 방법에도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일 예로, 처리부(102)는 제1컨텐츠와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제2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도 9의 #1). 다른 예로, 처리부(102)는 제1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는 시각을 계산한 후, 해당 시각에 방영을 시작하는 컨텐츠 중에서 제2컨텐츠를 결정할 수도 있다(도 9의 #2). 또 다른 예로, 처리부(102)는 사용자의 시청시간에서 제1컨텐츠의 재생시간을 뺀 나머지 시간, 즉 잔여 시청시간 내에 재생 가능한 컨텐츠를 제2컨텐츠로 결정할 수도 있다(도 9의 #3).
다만, 이상에서는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2개의 컨텐츠로 구성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예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이상, 예를 들어, 3개의 컨텐츠로 구성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3컨텐츠를 결정함에 있어서 처리부(102)는, 예를 들어,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를 결정한 후, 도 9에 도시된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제3컨텐츠를 결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이상에서는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각 컨텐츠를 순서대로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처리부(102)는 각 컨텐츠를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그 경우, 각 결정된 컨텐츠들의 총 재생시간의 합이,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각 컨텐츠를 결정함에 있어서, 처리부(102)는 컨텐츠 추천에 관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02)는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컨텐츠 기반 필터링 알고리즘(Content-based filtering algorithm), 모델 기반 협력 필터링(Model-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잠재(latent) 모델 기반 알고리즘, 딥러닝 기술 기반 알고리즘 등을 사용하여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시청 시간대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추천함은 물론, 시청 예상 총 시간을 고려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추천함으로써, 단순히 복수의 컨텐츠를 추천해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에게 짜임새 있는 시청계획 자체를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별도로 조작할 필요 없이 시청계획에 따라 계속적으로 원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을 도시한다.
처리부(102)가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03)에 표시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처리부(102)는, 도 10와 같이,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각 컨텐츠의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컨텐츠 리스트 내에서 차지하는 각 컨텐츠의 순서에 따라 표시할 수 있고, 그와 함께 관련 재생시각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11과 같이, 처리부(102)는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각 컨텐츠의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도 12와 같이, 처리부(102)는 각 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텍스트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처리부(102)는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각 컨텐츠에 관한 이상의 정보 이외에, 도 13과 같이, 각 컨텐츠의 재생 시작시각 및 종료시각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14와 같이, 처리부(102)는 각 컨텐츠의 길이 또는 재생 소요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도 15와 같이, 처리부(102)는 해당 컨텐츠의 공급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컨텐츠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도 16과 같이, 처리부(102)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 또는 컨텐츠의 장르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색상이나 문양, 도안 등으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도 17과 같이, 처리부(102)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와 함께, 각 컨텐츠에 대한 메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7은 메타 정보의 예로서, 음악 컨텐츠의 경우, 각 음악의 무드(mood) 정보(1701, 1702)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처리부(102)는, 상기 표시된 컨텐츠 리스트 중 일부 컨텐츠에 대한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일부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18은 처리부(102)에 의해 사용자의 시청시간이 2시간으로 결정되고, 그에 따라 2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로서 각각 50분, 20분, 50분의 재생시간을 갖는 컨텐츠가 결정되어 디스플레이부(103)에 표시된 경우를 도시한다. 표시된 컨텐츠 리스트를 확인한 사용자는, 표시된 컨텐츠 리스트 중 일부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되도록 하는 사용자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된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1801)를 터치입력 또는 리모컨 입력 등을 통해 선택한 후 "다른 컨텐츠 추천해줘"라는 음성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부(102)는 그러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위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1801)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8에서는 하나의 컨텐츠 리스트만이 표시된 상태에서 그 중 일부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처리부(102)는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를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그 중 하나의 컨텐츠 리스트의 일부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 리스트의 일부 컨텐츠와 교환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처리부(102)는 그 입력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처리부(102)가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함에 있어서, 처리부(102)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처리부(102)는 사용자입력부(10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건에 기초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02)는 컨텐츠 리스트 생성 시 참조로 할 조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이에 기초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리스트 생성 시 참조로 할 조건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의 장르, 컨텐츠 재생시간의 최대길이 또는 최소길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텐츠에 관한 어떤 정보라도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와 같이, 사용자가 "코미디 장르로 추천해줘"라는 음성명령을 입력한 경우, 처리부(102)는 위 음성입력에 기초하여, 컨텐츠 리스트 생성 시 코미디 장르에 해당하는 컨텐츠에 한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0과 같이, 사용자가 "코미디 장르 하이라이트 버전으로 추천해줘"라는 음성명령을 입력한 경우, 처리부(102)는 위 음성입력에 기초하여, 컨텐츠 리스트 생성 시 코미디 장르 컨텐츠에 대한 하이라이트 영상을 최종적인 컨텐츠 리스트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03)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컨텐츠에 대한 하이라이트 영상은 딥러닝 기술 기반의 영상 요약본(summary) 자동 생성 기술 등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하나의 컨텐츠를 미리 선택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 생성을 요청한 경우, 처리부(102)는 해당 컨텐츠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청이력 중 해당 컨텐츠와 관련성이 높은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으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잘 부합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처리부(102)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컨텐츠 당 평균 감상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평균 감상시간에 기초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21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이 처리부(102)는,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한 후(S2101), 사용자의 시청이력 등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당 평균 감상시간 도출한다(S2102). 이후 처리부(102)는, 위 도출된 평균 감상시간을 참조하여,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S2103).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102)는,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균적인 컨텐츠 감상시간을 더 고려함으로써, 사용자의 특성에 더욱 부합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습관에 더욱 부합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시청 시 사용자의 집중도를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처리부(102)는, 컨텐츠 리스트 생성 시, 컨텐츠 재생시간에서 부가정보 재생시간을 뺀 실질 재생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실질 재생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정보란, 컨텐츠와 관련은 있으나 컨텐츠 자체에는 해당하지 않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광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컨텐츠가 생중계로 방송되는 방송컨텐츠 등이 아닐 경우,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 재생 시 부가정보에 관한 재생부분은 뛰어 넘으며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자체의 총 재생시간과 사용자가 컨텐츠를 직접 시청하는 시간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처리부(102)는 컨텐츠 리스트 생성 시, 예를 들어, 컨텐츠 내 부가정보에 대응되는 정보 등을 통하여 부가정보 재생시간을 계산한 후, 컨텐츠 재생시간에서 부가정보 재생시간을 뺀 실질 재생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실질 재생시간에 기초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실질적인 컨텐츠 재생시간에 더욱 잘 부합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2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처리부(102)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복수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처리부(102)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처리부(102)가 복수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방법 및 감지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정도에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일 예로, 처리부(102)는 Wifi 시그널, 근접센서, 열감지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의 수 또는 움직임만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처리부(102)는 홈카메라 등을 통해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등을 식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처리부(102)는 생체 인증, 개인 디바이스 등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개별 식별 정보까지 식별할 수도 있다. 각각의 경우, 처리부(102)는 식별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수 또는 움직임만을 식별할 수 있는 경우, 처리부(102)는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은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결정하고, 사용자들 사이의 평가의 편차가 큰 컨텐츠는 후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처리부(102)가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등을 식별할 수 있는 경우, 처리부(102)는 사용자들의 식별된 성별 및 연령대에 부합하는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처리부(102)가 개별 사용자들의 정보까지 식별할 수 있는 경우, 처리부(102)는 각 사용자들의 시청이력을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선호되는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또는, 처리부(102)는 복수의 사용자에 관한 식별정보를,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데 활용하는 것 외에도, 컨텐츠 시청이력 정보에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복수의 사용자에 관한 식별정보를 함께 저장함으로써, 추후 복수의 사용자 여부 및 사용자 식별 정도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데 있어,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위 컨텐츠 시청이력 정보를 참조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처리부(102)는, 일 예로,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이용하더라도 그 중 일부 사용자의 선호가 더 반영되어 시청하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 그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컨텐츠, 제2컨텐츠 및 제3컨텐츠를 시청한 컨텐츠 시청이력 저장 시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 A, B, C가 함께 시청했다는 정보까지 저장할 경우, 처리부(102)는 위 이력정보 및 각 사용자에 대한 시청 이력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A, B, C가 함께 시청한 위 컨텐츠의 이력이, 예를 들어, 3명의 사용자 중 사용자 A의 시청이력과 부합하는 정도가 크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다. 그 경우, 처리부(102)는 이후 사용자 식별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자 A, B, C가 함께 시청하고 있음을 식별하면,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 사용자 A의 시청 이력을 우선적으로 참조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 리스트의 신뢰도가 더욱 향상된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01: 사용자입력부
102: 처리부
103: 디스플레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입력부; 및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예약을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제1컨텐츠를 결정한 후, 제1컨텐츠와의 연관성, 제1컨텐츠 재생 종료 시각, 또는 잔여 시청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컨텐츠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예약을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표시된 컨텐츠 리스트 중 일부 컨텐츠에 대한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일부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컨텐츠 당 평균 감상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평균 감상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복수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컨텐츠 재생시간에서 부가정보 재생시간을 뺀 실질 재생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실질 재생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예약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제1컨텐츠를 결정한 후, 제1컨텐츠와의 연관성, 제1컨텐츠 재생 종료 시각, 또는 잔여 시청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컨텐츠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예약을 하는 단계는,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예약을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컨텐츠 리스트 중 일부 컨텐츠에 대한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일부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컨텐츠 당 평균 감상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평균 감상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복수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컨텐츠 재생시간에서 부가정보 재생시간을 뺀 실질 재생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실질 재생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되어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서버 내의 매체에 저장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다운로드 될 수 있는 컴퓨터프로그램.
  19.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버.
  20. 서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시청시간 내에 제공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KR1020180068534A 2018-06-15 2018-06-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69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534A KR102569660B1 (ko) 2018-06-15 2018-06-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9/004744 WO2019240369A1 (ko) 2018-06-15 2019-04-1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6/973,938 US11570516B2 (en) 2018-06-15 2019-04-19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534A KR102569660B1 (ko) 2018-06-15 2018-06-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842A true KR20190141842A (ko) 2019-12-26
KR102569660B1 KR102569660B1 (ko) 2023-08-25

Family

ID=6884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534A KR102569660B1 (ko) 2018-06-15 2018-06-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70516B2 (ko)
KR (1) KR102569660B1 (ko)
WO (1) WO201924036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495A (ko) * 2008-01-04 200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10023496A (ko) * 2009-08-31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를 인식하여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KR20150111095A (ko) * 2014-03-25 2015-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4868B2 (en) 2004-07-30 2017-02-28 Broadband Itv, Inc. Dynamic adjustment of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s based on viewer preferences for minimizing navigation in VOD program selection
KR100872708B1 (ko) * 2007-07-12 2008-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시청 이력 및 사용자 선호 아이템을 활용한TV-Anytime 메타데이터 기반의 DMB 콘텐츠묶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이용한 묶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781857B1 (ko) * 2011-02-08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일정관리 서비스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예약 관리 방법
WO2014028071A1 (en) 2012-08-17 2014-02-20 Flextronics Ap, Llc Methods and displays for providing intelligent television badges
US20140082645A1 (en) * 2012-09-14 2014-03-20 Peter Ster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or interactive features
JP5919444B2 (ja) * 2013-09-30 2016-05-18 楽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9479832B2 (en) * 2013-10-31 2016-10-25 Yahoo! Inc. Cross-platform interface for a television device
WO2015145492A1 (ja) * 2014-03-26 2015-10-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映像受信装置、映像認識方法および付加情報表示システム
KR102511520B1 (ko) * 2016-03-16 2023-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7184066A (ja) 2016-03-31 2017-10-0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デジタル放送受信機、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10203216B2 (en) * 2016-12-31 2019-02-12 Spotify Ab Duration-based customized media pr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495A (ko) * 2008-01-04 200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10023496A (ko) * 2009-08-31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를 인식하여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KR20150111095A (ko) * 2014-03-25 2015-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50651A1 (en) 2021-08-12
US11570516B2 (en) 2023-01-31
KR102569660B1 (ko) 2023-08-25
WO2019240369A1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33845B (zh) 在会话的上下文中推荐内容的方法和系统
JP7423719B2 (ja) メディアアセットの部分を識別し記憶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59572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dictive buffering of related content segments
US92988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rogram recommendations based on user interactions
US92155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a media asset based on verbal input and playback adjustments
US109519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vailable bandwidth in a household
KR20190019041A (ko) 자연어 질의를 위한 근사적인 템플릿 매칭
US114188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emoticons within a media asset
US11651775B2 (en) Word correction using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incremental response
JP2018526837A (ja) メディアのシーケンスを消費するときのユーザ視聴経験を向上させるための方法
US202302694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on of supplemental content according to skip likelihood
US1125237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16649B2 (en) Providing recommendations based on passive microphone detections
US202400895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on of supplemental content according to skip likelihood
KR10256966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4188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emoticons within a media asset
US2015000721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musical insignias for media providers
US20200099984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7924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emoticons within a media asset
US9712885B2 (en) Techniques to select advertisements using closed captionin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