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637A -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 Google Patents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637A
KR20190141637A KR1020190168382A KR20190168382A KR20190141637A KR 20190141637 A KR20190141637 A KR 20190141637A KR 1020190168382 A KR1020190168382 A KR 1020190168382A KR 20190168382 A KR20190168382 A KR 20190168382A KR 20190141637 A KR20190141637 A KR 20190141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uel
vaporization
he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540B1 (ko
Inventor
석인선
Original Assignee
석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인선 filed Critical 석인선
Priority to KR102019016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540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14Tobacco cartridges f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dispensing more than one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00Other 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2B3/02Other 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involving the use of working media other tha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IR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퍼라이저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하우징에 연료모듈실 또는 가열모듈실 또는 기화모듈실을 구비하여, 연료모듈 또는 가열모듈 또는 기화모듈을 본체부 하우징에 서랍식으로 간편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고, 상기 가열모듈의 가열부재에서 발진(조사)된 가열에너지(빛, 빔, 열)가 연료 또는 흡수부재의 특정 면을 균등하게 가열(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연료 또는 흡수부재의 탄화를 억제한다.

Description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Modularized vaporizer}
본 발명은 연료를 기화시키는 베이퍼라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기화장치를 이용하여 용액(연료)을 기화시키는 금연보조제, 전자담배, 훈증 치료기 등에 적용되는 베이퍼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금연보조제와 전자담배, 훈증 치료기 등의 베이퍼라이저가 금연보조용으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대체로 흡입부, 카트리지, 배터리부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상기의 카트리지에는 용액수용공간과 기화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기화장치에는 용액을 머금는 흡수부재가 상기의 용액수용공간과 접면하여 용액을 머금으며, 상기의 흡수부재에는 배터리의 전기적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열선이 감기고,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의 발열선에서 열에너지가 발생하여 흡수부재에 머금은 용액이 기화하게 되며, 기화된 기체는 흡입부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조화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화장치를 예시한다.
종래 기화장치의 구성은 도 1의 101과 도 2의 102, 103과 같이 흡수부재에 발열선을 감는 구조로 되어 있고, 발열선(가열부재)의 재질은 대체로 백금 와이어, 니켈 크롬 합금 또는 희토류 원소를 구비한 철, 크롬, 알루미늄 합금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는 전기에너지를 상기의 발열선(가열부재)이 열에너지로 전환시키고, 상기의 발열선(가열부재)은 접면한 용액을 기화시키는데, 발열선에 용액을 접면케 하기 위하여 용액을 머금는 내열성의 흡수부재(유리섬유, 실리카윅, 메쉬, 코튼, 한지 등)가 이용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발열선과 흡수부재의 밀착 부분 또는 용액과 접면하지 않고 공기 중에 노출된 고온의 발열선 부분으로 인하여 탄화물(유해물)이 생성되고, 액체연료 사용시 특정 성분의 과혼합으로 인한 위험(특히, 니코틴의 과혼합으로 인한 사고), 연료 충전시 구조적인 불편함, 연료를 발열선으로 옮겨서 기화시키기 위하여 흡수부재에 발열선을 감아서 구성하였고, 반드시 연료는 액체의 형태로만 제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19356호 "이뮬레이션 에어로졸 흡입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75315호 "전자 담배용 심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담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1. 발열선 기화방식의 문제점인 가열에너지 공급부재와 흡수부재 및 용액의 밀착 접면을 피하면서, 연료(용액)의 일정면에 균등하게 가열에너지를 투입하여 탄화물 생성을 억제하고, 발열선 기화장치의 복잡한 전원구조, 단선에 의한 고장, 흡수부재에 발열선을 감아서 제작해야만 하는 불편함 등을 제거하며,
2. 연료를 정량화된 고체(고형화 연료 포함) 형태로 전환하여, 특정 성분의 과다 혼합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충전의 불편함을 해소하며,
3. 기화장치를 외부에서 쉽고 간편하게 교체하도록 구성하고,
4. 액체연료를 사용할 경우에도, 연료 충전이 편리하고,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한 흡수부재를 간편하게 교체하도록 구성되는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의 제공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는
1. 기화장치를 종래의 발열선을 흡수부재에 감는 기화방식에서 레이저, 적외선, 자외선, 할로겐 등의 빛(빔) 기화방식, 또는 일정 면에 발열선을 고정하여 연료(또는 흡수부재)의 가열에너지 수신면을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하고,
2. 연료를 정량성분으로 고체화하여 연료모듈에 저장하면서, 연료모듈이 하우징의 연료모듈실에 서랍식으로 간편하게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하며,
3.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가열모듈을 구성하여, 가열모듈이 하우징의 가열모듈실에 서랍식으로 간편하게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4. 액체연료를 사용할 경우에도 액체용 연료모듈을 구성하여, 액체용 연료모듈이 하우징의 연료모듈실에 서랍식으로 간편하게 결합 분리되며, 흡수부재모듈을 구성하여 하우징의 흡수부재모듈실에 서랍식으로 간편하게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하거나, 흡수부재를 나선식으로 액체용 연료모듈에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1. 가열에너지 공급 부재인 가열부재가 연료(또는 흡수부재)의 일정 면을 균등하게 조사하게 되어 탄화물(유해물) 생성이 억제될 수 있고, 가열에너지를 수신하는 연료모듈에는 전원연결 구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작에 있어 단선에 의한 고장이나 흡수부재에 발열선을 감아서 제작해야만 하는 등의 불편함이 제거되며,
2. 정량화된 고체 연료를 사용하여 특정 성분의 과다 혼합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증하고, 고체연료를 연료모듈에 저장하여 서랍식으로 하우징의 연료모듈실에 결합 분리하도록 구성됨으로 연료의 충전이 보다 쉽고 편리해 지며,
3. 가열모듈이 서랍식으로 하우징의 가열모듈실에 결합 분리되므로 교체가 쉽고 편리해질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가열에너지의 성질이나 세기에 맞는 가열모듈의 교체 적용도 가능해 지며,
4. 액체연료를 사용할 경우에도, 액체연료를 액체형 연료모듈에 저장하여 서랍식으로 하우징의 연료모듈실에 결합 분리 하도록 구성됨으로 연료의 충전이 보다 쉽고 편리해지며, 액체연료를 흡수하였다가 가열에너지를 수신하여 기화시키는 흡수부재를 흡수부재모듈로 구성하여 서랍식으로 하우징의 흡수부재모듈실에 결합 분리하므로 주기적으로 교환이 필요한 흡수부재의 교체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자 담배의 기화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베이퍼라이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흡입부, 본체부, 연료모듈, 가열모듈의 분리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흡입부 및 연료모듈과 연료모듈실 및 가열모듈과 가열모듈실의 구성도a,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흡입부 및 연료모듈과 연료모듈실 및 가열모듈과 가열모듈실의 구성도b,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료모듈과 가열모듈의 결합 분리 사용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베이퍼라이저의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가열부재의 기능성렌즈 적용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분리형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액체 연료모듈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액체 연료모듈과 연료모듈실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액체 연료모듈의 결합 분리 사용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연료모듈과 연료모듈실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흡수부재모듈과 흡수부재모듈실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적용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료모듈의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베이퍼라이저,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기화모듈의 결합 분리 사용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기화모듈과 기화모듈실의 부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기화모듈의 사시도 1,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기화모듈의 사시도 2,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기화모듈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기류홀이 포함된 흡수부재모듈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기류홀이 포함된 흡수부재모듈 적용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흡수부재의 다중면을 가열하는 가열모듈 구성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연료모듈실과 연료모듈의 분리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베이퍼라이저,
도 2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기화모듈, 연료모듈, 가열모듈의 결합 분리 사용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기화모듈 구성 1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기화모듈 구성 2 내부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기화모듈의 다른 구성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수의 가열에너지 발생부 경합 구성도 1,
도 34는 본 발명의 다수의 가열에너지 발생부 경합 구성도 2,
도 35는 본 발명의 본체부 하우징의 측면으로 결합하는 기화모듈의 연료 주입 사용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가열에너지'와 '에너지'는 '광에너지'를 의미하고, '가열'은 광에너지의 '조사'를 의미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2500)를 도 3과 4를 참조하면,
전체적인 모양은 도 3과 같이 사각 형태로 구성되고, 도 4와 같이 흡입부(2000)와 본체부(2100)의 결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흡입부(2000)에는 흡입홀(2001)이 흡입바디(2002)의 내부로 관통하여 기화연료가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2100)에는 연료모듈실(2124)과 가열모듈실(2125) 및 버튼(2109)이 구성되며, 하우징(2123)의 측면 일 부위에는 외부 공기가 기화공간(2109)으로 유입되는 기류홀(2118)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료모듈실(2124)과 가열모듈실(2125)은 하우징(2123)의 해당 부위 양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123)의 일 개방면은 연료모듈(2200)과 가열모듈(2300)이 서랍식으로 삽입되도록 크기가 구성되며, 타 개방면은 연료모듈(2200)과 가열모듈(2300)이 고정되도록 연료모듈(2200)과 가열모듈(2300)보다 크기가 작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료모듈실(2124)과 가열모듈실(2125)의 각 내부 면에는 자석(2114, 2119)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자석(2114, 2119)과 맞닿는 연료모듈(2200)과 가열모듈(2300)의 면이 자석과 결합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자석이 부착되어, 상기 연료모듈실(2124)과 가열모듈실(2125)에 자력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모듈실의 개방면 테두리와 모듈의 개방면 결합 부위 또는 모듈실의 외측면에 자석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연료모듈(2200)과 가열모듈(2300)은 사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연료모듈(2200)은 다수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본구조를 바탕으로 베이퍼라이저(2500)의 내부구조 내지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도 5와 도 6은 흡입부(2000) 및 연료모듈(2200)과 가열모듈(2300)이 분리된 상태로 두 방향에서 내부를 바라본 도시이다.
*흡입부(2000)의 결합부(2006)는 본체부(2100)의 결합홈(2101)과 암, 수 형태로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2006)의 내부는 기화연료가 배출되도록 중공되며, 상기 결합홈(2101)의 닫힌 면의 일 부위에는 기화공간(2106)에서 발생된 기화연료가 배출되는 기류홀(2102)이 구성된다.
연료모듈실(2124)은 하우징(2123)의 양면에 개방되고, 연료모듈(2200)이 진입하는 제1개방면(2116)과 진입된 연료모듈(2200)을 제거하기 위해 개방된 제2개방면(2117)으로 구성되며, 연료모듈실(2124)의 내부에는 연료모듈(2200)을 고정하기 위한 오목선(2115)이 측면 벽의 일 부위에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연료모듈(2200)을 고정하도록 기화공간(2106)의 주변에 테두리(2130)가 구성된다.
연료모듈(2200)은, 한 면이 연료모듈실(2124)의 제1개방면(2116)과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고, 한 면이 개방된 중공의 사각 형태로 구성되며, 중공된 부위는 연료저장공간(2201)으로 구성되어 연료가 저장되고, 개방면(2203)은 가열에너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연료모듈(2200)의 가열에너지를 수신하는 일 면에는 가열에너지가 통과하는 투과부재(2215)로 구성되고, 양 측면에는 기류홀a, b(2213, 2214)가 구성되며, 상기의 기류홀a, b(2213, 2214)와 하우징의 기류홀(2218)은 수평으로 일치하고, 하우징의 기류홀(2218)로 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연료모듈(2200)의 기류홀a(2213)를 통과하여 연료모듈(2200)의 내부로 진입하고, 투과부재(2215)를 통과한 가열에너지에 의해 기화된 연료(2212)와 혼합되어 기류홀b(2214)를 통과하여 본체부의 기류관(2103) - 흡입부의 기류관(2003)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가열에너지 투과부재(2215)는 반면거울(half mirror)로 구성되어, 가열에너지가 연료모듈(2200)의 내부로만 진입하고 연료모듈(2200)의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구성하여 기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도 17 참조)
또한, 연료모듈(2200)의 측면에 볼록하게 나온 선으로 형성된 볼록선(2202)이 구성되어 연료모듈실(2124)의 오목하게 들어간 선으로 형성된 오목선(2115)과 결합하여 연료모듈(2200)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목선과 볼록선의 결합은 모듈과 모듈실의 고정 뿐만 아니라 밀폐(방수) 결합에도 사용될 수 있다. 연료모듈(220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로 구성되는 연료모듈(2200)은 하나의 연료모듈의 연료가 소진되면, 위치를 바꾸어 다른 연료모듈로 교체함과 동시에 소진된 연료모듈도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의 볼록선(2202)과 오목선(2115)의 결합구조 대신, 연료모듈실(2124)내부의 일 측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력이 있는 재질을 하우징 내부에 내장하여 상기의 연료모듈(2200)을 고정하도록 압박하는 고정부재(2137)가 구성될 수도 있고(이와 같은 고정부재의 구성은 가열모듈실, 흡수부재모듈실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부재(2137)를 조절하는 버튼(2135)을 구성하여 연료모듈(2200)의 수에 맞는 높이로 상기 고정부재(2137)를 손으로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도 16 참조), 고정부재(2137)의 형상이 고체연료(이하에서, 고체연료는 천연 식물 또는 고형화 연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광에너지를 받으면 수증기 또는 미세입자가 발생하는 연료를 의미)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고체연료 만을 직접 충전할 수도 있고, 고정부재 버튼(2135)과 연료모듈(2200)을 외부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하우징(2123)에 추가로 보호 덮개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미도시), 아울러 상기의 버튼(2135)은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는 방식 뿐만 아니라 푸쉬(push)식 버튼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가열모듈실(2125)은 하우징(2123)의 양면에 개방되고, 가열모듈(2300)이 진입하는 제3개방면(2121)과 진입된 가열모듈(2300)을 제거하기 위해 개방된 제4개방면(2122)으로 구성되며, 가열모듈실(2125)의 내부에는 가열모듈(2300)을 고정하기 위한 오목선(2120)이 측면 벽의 일 부위에 구성되고, 상기 가열모듈(2300)을 고정하도록 기화공간(2106)의 주변에 테두리(2130)가 구성되며, 버튼(2109)방향의 면에는 접지(2107)가 구성된다.
가열모듈(2300)은 한 면이 가열모듈실(2125)의 제3개방면(2121)과 동일한 사각 형태로 구성되고, 기화공간(2106)과 맞닿는 면에는 가열부재(2301)가 구성되며, 가열부재(2301)의 반대쪽 면에는 접지(2306)가 구성되어, 가열모듈실(2125)의 접지(2107)와 연결되면 전원이 공급되고, 측면에는 볼록선(2303)이 구성되어 가열모듈실(2125)의 오목선(2120)과 결합하여 가열모듈(2300)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가열부재(2301)와 결합된 가열모듈의 내부모듈(2302)과 회로기판(2305)이 구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상기의 가열부재(2301)는 빛(빔)의 속성을 가진 레이저, 적외선, 자외선, 할로겐 등이 발진하는 램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고열을 방출시키는 발열선(관)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 적외선, 자외선, 할로겐 등의 램프 또는 발열선(관)이 단수, 다수, 또는 복합으로 상기 가열모듈(2300)의 특정 부위에 점, 선, 부분 면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2500)의 사용도를 도 7에서 살펴보면, 연료모듈(2200)을 결합할 경우, 연료모듈(2200)을 제1개방면(2116)으로 화살표A와 같이 손으로 밀어 넣으면 되고, 연료모듈(2200)을 분리할 경우, 제2개방면(2117)에서 화살표B와 같이 손으로 밀어서 간단히 분리하면 된다.
또한, 가열모듈(230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가열모듈(2300)을 가열모듈실(2125)에 결합할 경우, 가열모듈(2300)을 제3개방면(2121)으로 화살표C와 같이 손으로 밀어 넣으면 되고, 가열모듈(2300)을 분리할 경우, 가열모듈(2300)을 제4개방면(2122)에서 화살표D와 같이 손으로 밀어서 간단히 분리하면 된다.
종래에는, 기화장치를 교체하기 위하여 카트리지의 외부와 내부의 2중으로 된 나선 결합을 풀어 액체연료에 젖은 부품을 교체해야만 하거나, 나선 결합으로 체결된 카트리지(연료저장하우징)를 풀어서 액체연료를 충전해야만 했지만, 본 발명의 서랍식 결합 분리 방식은 종래 방식의 불편함을 제거하여 하우징(2123)의 외부에서 간단한 손의 누름 조작만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고장난 부품의 교체나 연료 충전 뿐만 아니라, 연료모듈(2200)이 다수로 구성될 경우, 다양한 성분의 연료모듈(2200)을 연료모듈실(2124)에 보관하여 필요에 따라 쉽게 선택 적용할 수 있으며, 가열모듈(2300)의 경우에도 가열에너지의 세기, 조사 면적이나 모양이 다른 다양한 가열모듈(2300)을 간단히 결합 분리하여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베이퍼라이저의 작동도를 도 8에서 살펴보면, 본체부(2100)의 배터리셀(2111)은 전원모듈(2108)과 전선(2110)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모듈(2108)은 가열모듈(2300)과 접지(2306, 2107)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모듈(2108)의 버튼(2109)을 눌러 전원을 인가하면, 베터리셀(2111)-전원모듈(2108)-가열모듈(2300)로 전원이 공급되어 가열부재(2301)에서 가열에너지가 발진(조사)된다.
상기의 전원모듈(2108)은 버튼식 모듈로 구성되거나, 또는 흡입압 인식 센서로 구성된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흡입압 인식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기류홀(2118)(도 3참조)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압 인식 센서 모듈을 경유하여 기화공간(2106)을 지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버튼식 모듈을 예로들어 설시하기로 한다.
가열모듈실(2125)에서 발진된 가열에너지는, 연료모듈실(2124)의 연료모듈 개방면(2203)을 조사하여 연료를 기화 시키고, 기화된 연료는 기화공간(2106)으로 방출되며,
흡입부(2000)의 흡입홀(2001)을 빨아 들이면, 도 8의 화살표와 같이, 본체부의 기류홀(2118)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기화공간(2106)에 방출된 기화연료와 혼합되고, 외부공기와 혼합된 기화연료는 기화공간(2106)에서 기류공간(2105), 본체부의 기류관(2103), 흡입부의 기류관(2003), 흡입홀(2001)으로 순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열에너지의 용도를 베이퍼라이저의 기화장치로만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가열부재로부터 기화 초점거리 내의 물체를 감지하여 가열발생을 인가하도록 설정된 센서를 가열모듈(2300) 또는 하우징(2123)의 내부에 구성하면, 연료모듈(2200)이 결합될 경우에만 가열에너지가 발진하게 되므로, 연료모듈(2200)이 분리된 상태로 발진된 가열에너지로 인한 신체 위험이나, 고온의 가열에너지로 부터 기기를 보호할 수 있고, 또는 도 9와 같이, 가열부재(2301)의 광발생부(2678) 전면에 기능성 렌즈(2307)를 영구적으로 접착하여, 가열에너지가 일정거리를 지나면 파장이 상쇄되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의 베이퍼라이징 이외로 사용될 수 있는 가열에너지의 오용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의 렌즈(2307)는 광에너지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흡수부재 또는 연료를 조사하도록 구성되거나(도 9의 기능성렌즈는 오목렌즈로만 제한하지 않으며, 가열부재가 램프의 다수 또는 부분적인 선이나 면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만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유색 렌즈를 적용하여 무색의 광에너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본체부(2100)를 연료모듈실, 가열모듈실, 배터리부로 구분된 본체부a, 본체부b, 본체부c로 형성하여, 각 본체부a, 본체부b, 본체부c 간의 결합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세척 및 교체, 수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체 연료의 구성방법은 공지의 기술인 의약품의 타정공정이나 젤리식품 등의 공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구성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향료,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소르비톨, 금연보조제, 니코틴, 부형제, 결합제, 착색제 등의 함유량을 일정하게 규격화하여 정량화함으로 특정 성분의 과다 혼합이 방지되며,
연료모듈(2200)에 연료를 저장한 후, 연료모듈의 개방면(2203)을 위생 포장하여 단위별 유통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관리와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료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보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체형 연료 방식은 종래의 발열선 방식에서는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연료(또는 흡수부재)와 접면하지 않고 떨어져서 연료(또는 흡수부재)에 가열에너지를 조사하도록 구성한 본 발명의 고유한 특징이라 할 수 있고, 종래의 액체 연료의 사용에 따른 누수에 의한 외부 오염 등의 불편함을 제거함에도 그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경성의 고체연료 뿐만 아니라 연성의 젤리 형태의 연료도 사용될 수 있고, 연성 연료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방법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에 대한 설시이다.
먼저, 도 11의 (가)는 액체연료모듈(2200d)의 가열에너지를 수신하는 부위의 도시이고, (나)는 액체를 주입하는 부위의 도시이다.
액체연료모듈(2200d)은 중공된 사각 형태로 구성되고, 중공 내부에는 액체 연료가 저장되며, 일 면에는 흡수부재(2204)를 교체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 원형의 결합부(2210)가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2210)의 외주면에는 흡수부재(2205)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여유공간(2211)이 구성되며(도 11(가)), 다른 일 면에는 액체 연료를 충전할 수 있는 주입구(2206)가 구성되고, 상기 주입구(2206)의 테두리에는 밀폐(방수)기능이 있는 탄성부재(2208)가 구성될 수 있다.(도 11(나))
또한, 흡수부재(2204)는 액체를 흡수하였다가 가열에너지를 받아 기화시킬 수 있는 내열성의 소재(유리섬유, 목화솜, 한지, 천연목재, 천연석재, 내열성 탄소가공물질, 내열성 합금 등의 소재 또는 이들의 혼합)로 형성되고, 액체연료모듈(2200d)과의 결합, 분리가 가능하도록 원형 테두리에 나사선이 형성된 결합부(2209)에 고정되어, 상기 액체연료모듈(2200d)에서 흡수부재(2204)만을 주기적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액체연료모듈(2200d)도 서랍식으로 연료모듈실(2124)에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되나, 액체연료모듈(2200d)의 주입구(2206)에 대응하여, 연료모듈실(2124)의 일 면에는 반원형의 주입구마개(2113)가 구성되어, 액체연료모듈(2200d)이 결합되면, 상기 주입구마개(2113)가 주입구(2206)를 폐쇄하여 액체연료모듈(2200d) 내부의 액체를 밀폐(방수)한다.
상기의 주입구마개(2113)는 원구체로 형성되고, 상기 원구체의 반면은 연료모듈실(2124)에 노출되고, 나머지는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며, 하우징 내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상기 주입구마개(2113)를 고정할 수 있다.(미도시)
위와 같이 구성된, 제 2실시예의 사용도를 도 13에서 살펴보면, 액체연료를 충전하기 위하여, 제2개방면(2117)에서 액체연료모듈(2200d)을 주입구(2206)가 노출될 정도로만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노출시킨 뒤, 연료(액체)를 충전하고, 다시 서랍식으로 연료모듈실(2124)에 간단히 밀어 넣기만 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연료를 충전하는 주입구(2206)와 주입구마개(2113)는 하나의 예시로써, 원형 또는 원구체의 모양으로만 한정하지 않으며, 서랍식의 결합 구조상 연료를 충전하도록 연료모듈에 개방면이 구성되고, 연료모듈실에 상기 개방면을 폐쇄하는 구조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액체 연료모듈(2200d)이 제거된 상태에서 가열에너지가 발진될 경우를 대비하여, 연료모듈실(2124) 내부의 가열에너지의 수신이 가능한 면에는 가열에너지흡수부재(2128)가 구성되어 가열에너지의 반사 등에 따른 위험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에 있어, 연료모듈을 하우징에 서랍식으로 결합 분리하도록 하는 구성은, 도 14와 같이, 흡입부(2000)와 본체부(2100)를 분리하고, 상기 본체부(2100)에 구성된 연료모듈실(2124)의 제5개방면(2129)으로 연료모듈(2200e)을 삽입하는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모듈(2200e)과 연료모듈실(2124)의 결합과 분리에 있어, 제 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자석 또는 오목선과 볼록선의 구조물 등에 의하여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으며, 상기의 연료모듈(2200e)은 고체식, 액체식 연료를 제한하지 않으며, 연료모듈(2200e)의 결합과 분리가 편리하도록 일 면에 손잡이(2207)가 구성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충전 주입구와 덮개가 포함된 연료실 및 흡수부재만을 간단히 교체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것이다.
연료의 흡수와 기화가 발생하는 흡수부재(2401)는 가열에너지에 고온으로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재질이 경화되어 액체연료의 흡수율이 떨어진다거나, 노화되어 액체연료가 유출될 수 있어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하게 되므로, 상기 흡수부재(2401)가 고정된 흡수부재모듈(2400)을 외부에서 간편하게 서랍식으로 결합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본체부(2100)의 연료실(2139)이 투명부재(2133)로 구성되어 연료저장공간(2201)이 시각적으로 확인되고, 상기 투명부재(2133)의 일 부위에는 액체를 충전할 수 있도록 주입구(2132) 및 주입구(2132)를 개폐하는 덮개(2131)가 미닫이틀(2138)의 안쪽에 구성되며, 상기 덮개(2131)와 투명부재(2133)사이에 탄성체(스프링) 또는 자성체(자석)를 구성하여, 덮개(2131)가 주입구(2132)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충전시에만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2132)와 덮개(2131)의 위치를 투명부재(2133)로만 제한하지 않으며, 연료실(2139)에 관을 연결하여 투명부재 주위의 하우징(2123)에도 구성될 수 있고,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주입구(2132) 보다 구멍이 작은 기류홀을 하나 이상 형성하고 덮개를 구성하여, 덮개로 기류홀의 구멍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방식으로 액체 연료모듈 내부의 기압을 제어하여, 저장된 연료의 흐름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실(2139) 내부의 일 면은 기화공간(2106)과 개방되고, 상기 연료실(2139)과 기화공간(2106)의 사이에는 흡수부재모듈실(2134)이 구성되며, 상기 연료실(2139)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투명부재(2133) 또는 하우징(2123)에 연료실(2139)과 관통된 기류홀이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미도시)
또한, 상기 흡수부재모듈실(2134)은 하우징(2123)의 양면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흡수부재모듈(2400)이 흡수부재모듈실(2134)과 서랍식으로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흡수부재모듈(2400)은 사각 형태로 구성되며, 중앙 부위에는 흡수부재(2401)가 고정된다.
흡수부재모듈(2400)의 결합 분리 방식은 전체적으로 제 1실시예의 연료모듈(2200)과 가열모듈(2300)에서와 같이, 손으로 간단히 밀어 흡수부재모듈(2400)을 흡수부재모듈실(2134)에 결합 또는 분리시킨다.
제 5 실시예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는, 본체부(2100) 하우징(2608)의 양면으로 개방된 기화모듈실(2611)에 기화모듈(2602)이 서랍식으로 결합 분리되면서, 나아가 독립적으로 구성된 흡수부재모듈(2603)과 가열모듈(2631)이 상기 기화모듈(2602)의 양면으로 개방된 흡수부재모듈실(2639)과 가열모듈실(2640)에 서랍식으로 결합 분리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18은 기화모듈(2602)이 기화모듈실(2611)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시이고, 도 19는 기화모듈(2602)이 기화모듈실(2611)과 분리된 도시이며, 기화모듈(2602)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기화모듈실(2611)의 제 6개방면(2609)으로 삽입되고, 기화모듈실(2611)의 제 7개방면(2610)에서 기화모듈(2602)을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밀면 기화모듈실(2611)과 분리된다.
상기 기화모듈(2602)과 기화모듈실(2611)을 결합과 분리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 2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기화모듈실(2611)은 연료실(2607)의 일 부위에 기화모듈(2602)이 삽입되도록 본체부 하우징(2608)의 양면으로 개방되고, 기화모듈(2602)이 삽입되는 제 6개방면(2609)과 기화모듈(2602)을 분리하기 위한 제 7개방면(2610)이 단차진 테두리로 구성되며, 단차진 테두리에는 방수오목선(2612)이 구성되어, 기화모듈(2602) 결합패널a, b(2621, 2635)의 볼록한 방수볼록선(2618)과 방수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방수오목선과 방수볼록선에 의한 결합은 방수 뿐만 아니라 모듈과 모듈실의 견고한 고정 기능으로도 사용된다),
상기 기화모듈실(2611)의 내측 일 면에는 연료저장공간(2606)의 연료가 기화모듈실(2611)로 이동하는 연료이동홀a(2604)가 구성되며,
상기 제 6개방면(2615)의 단차진 부위에 상기 연료이동홀a(2604)와 연결되면서 중앙이 개방되고 3면 테두리의 일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암요철결합부(2614)가 구성되어, 기화모듈(2602)의 일 외측 면에 중앙이 개방되고 3면 테두리의 일부가 볼록하게 나온 수요철결합부(2620)와 방수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내측 일면에는 흡입부(2000)로 수증기를 배출하는 기류관(2601)과 연결되면서, 중앙이 개방되고 돌출된 3면 테두리의 일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암요철결합부(2613)가 구성되어, 기화모듈(2602)의 일 외측 면에 중앙이 개방되고 3면 테두리의 일부가 볼록하게 나오도록 구성되어 상기 기화모듈(2602)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요철결합부(2634)(도 22참조)와 방수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또 다른 내측 일 면에는 기화모듈(2602)에 배터리셀의 전원을 연결하는 접지가 구성된다.(미도시)
기화모듈(2602)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 21, 22, 2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기화모듈(2602)은 사각 형태로 구성되고, 외측 두 면에는 결합패널a, b(2621, 2635)가 구성되어, 기화모듈실(2611)의 제6, 7개방면(2615, 2617)의 단차진 테두리와 방수 결합하며, 상기 결합패널a, b(2621, 2635)의 테두리에는 볼록한 방수볼록선(2618)이 구성되어 상기 제 6, 7개방면(2615, 2617)의 오목한 방수오목선(2612)과 방수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패널a, b(2621, 2635) 면의 일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기화공간(2629)으로 유입되도록 기류홀(2603)이 구성될 수 있고,
다른 외측 일면에는, 중앙이 개방되고, 돌출된 3면 테두리의 일부가 볼록한, 수요철결합부(2620)가 구성되어, 기화모듈실(2611)의 제6개방면(2615)의 단차진 테두리에 구성된 암요철결합부(2614)와 방수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또 다른 외측 일면에는, 중앙이 개방되고 3면 테두리의 일부가 볼록한 수요철결합부(2634)가 구성되어, 기화모듈실(2611)의 내측 일면에 기류관(2601)과 연결되면서 돌출된 3면 테두리의 일부가 오목한 암요철결합부(2613)와 방수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또 다른 외측 일면에는, 접지가 구성되어, 기화모듈실(2611)의 내측 일면에 구성된 접지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화모듈(2602)의 내측에는, 연료실(2607)의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이동홀b(2619), 흡수부재모듈(2603)이 삽입되는 흡수부재모듈실(2639), 기화공간(2629), 가열모듈(2631)이 삽입되는 가열모듈실(2640)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수부재모듈실(2639)과 기화공간(2629)의 사이에는 개방된 채널a(2654)와, 상기 기화공간(2629)과 가열모듈(2631)의 사이에는 개방된 채널b(2655)가 구성되며, 상기 기화공간(2629)의 내측벽 일부에는 발생된 수증기를 방출하는 수요철결합부(263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흡수부재모듈실(2639)과 가열모듈실(2640)은 상기 기화모듈(2602) 하우징의 양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수부재모듈실(2639)에 흡수부재모듈(2630)을 서랍식으로 삽입하는 제 8개방면(2622)과 분리하는 제 9개방면(2638)이 단차진 테두리로 구성되며, 상기 가열모듈실(2640)에 가열모듈(2631)을 서랍식으로 삽입하는 제 10개방면(2628)과 분리하는 제 11개방면(2637)이 단차진 테두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기화모듈(2602)에 결합 분리되는, 흡수부재모듈(2630)과 가열모듈(2631)을 살펴보면,
흡수부재모듈(2630)은 사각 형태로 구성되고, 외측 두 면에는 결합패널c, d(2624, 2636)가 구성되어, 흡수부재모듈실(2639)의 제 8, 9개방면(2622, 2638)의 단차진 테두리와 방수 결합하며, 상기 결합패널c, d(2624, 2636)의 테두리에는 볼록한 방수볼록선이 구성되어 상기 제 8, 9개방면(2622, 2638)의 오목한 방수오목선과 방수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흡수부재(2623)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의 흡수부재(2623)는 유리섬유, 목화솜, 한지, 천연목재, 천연석재, 내열성 탄소가공물질, 내열성 합금 등의 소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연료를 흡수저장하거나 또는 연료실(2607)의 연료를 삼투압 구조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열모듈(2631)은 사각 형태로 구성되고, 외측 두 면에는 결합패널e, f(2627, 2632)가 구성되어, 가열모듈실(2640)의 제 10, 11개방면(2628, 2637)의 단차진 테두리와 방수 결합하며, 상기 결합패널e, f(2627, 2632)의 테두리에는 볼록한 방수볼록선이 구성되어 상기 제 10, 11개방면(2628, 2637)의 오목한 방수오목선과 방수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외측 다른 일 면에는 접지(2633)가 구성되어 기화모듈실(2611)의 내측 일면에 구성된 접지와 연결되고, 상기 가열모듈(2631)의 내측에는 가열부재(262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가열부재(2625)는 레이저빔 램프 또는 적외선 램프 또는 자외선 램프 또는 할로겐 램프 또는 발열선(관)의 단일 또는 다수 또는 복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점, 선, 면(또는 다수의 점, 선, 면)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 18과 23을 참조하여 제 5실시예의 작동 방식을 살펴보면,
연료주입구(2605)로 주입된 연료는, 연료실(2607)의 연료이동홀a(2604)과 기화모듈(2602)의 연료이동홀b(2619)를 통하여 흡수부재모듈(2630)의 흡수부재(2623)로 이동하고, 본체부(2100)의 버튼(2109)을 눌러 가열모듈(2631)로 전원을 인가하면, 가열부재(2625)에서 에너지(빛, 빔, 열)를 상기 흡수부재(2623)로 발산하여 저장된 연료를 기화시켜 기화공간(2629)으로 수증기를 방출하며, 흡입부(2000)에서 흡입을 하여 공기를 빨아 들이면 상기 기화모듈(2602)의 기류홀(2603)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기화공간(2629)에 기화된 연료(수증기)와 섞여 상기 기화공간(2629)의 개방된 수요철결합부(2634)와 기화모듈실(2611)의 암요철결합부(2613)를 통하여 기류관(2601)과 흡입부(2000)로 배출된다.
또한, 흡수부재를 관통하는 기류의 유입력을 이용하여 연료실의 연료가 흡수부재에 보다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서랍식 기화모듈 또는 흡수부재모듈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도 24과 2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흡수부재모듈(2630)에는 연료실(2607)의 연료가 흡수부재(2676)로 이동하는 연료이동홀c, d(2672, 2675)가 구성되고,
상기 연료이동홀c, d(2672, 2675)의 사이에는 연료실(2607)과는 차단되고, 외측기류홀(2671)과는 기류통로가 연결되며, 흡수부재(2676)가 삽입되는 면은 개방되어,
외측기류홀(2671)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흡수부재(2676)를 통과하여 흐르도록 내측기류홀(2674)이 구성되며,
상기 내측기류홀(2674)의 개방면 부위와 연료이동홀c, d(2672, 2675)의 부위에는 흡수부재(2676)가 삽입될 수 있는 흡수부재수용홈(2673)으로 구성되고,
상기 흡수부재수용홈(2673)에 삽입된 흡수부재(2676)를 고정하기 위하여, 연료 또는 수증기가 통과하도록 일 부분이 개방된 덮개가, 상기 흡수부재수용홈(2673)의 개방면에 끼워질 수도 있으며(미도시), 상기 외측기류홀(2671)은 돌출된 3면 테두리의 일부가 볼록하게 나온 수요철결합부(2670)가 구성되어, 기화모듈(2602)의 암요철결합부로 구성된 기류홀과 방수 결합하도록 구성된다.(미도시)
위와 같은 구성의 기화모듈(2602)의 작동을 도 25을 참조하면, 연료실(2607)의 연료는 기화모듈(2602)의 연료이동홀b(2619)와 흡수부재모듈(2630)의 연료이동홀c, d(2672, 2675)를 통하여 흡수부재수용홈(2673)에 삽입된 흡수부재(2676)로 흡수 저장되고,
흡입부(2000)에서 공기를 빨아들이면, 상기 외측기류홀(2671)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도 25의 화살표와 같이, 내측기류홀(2674)을 지나 흡수부재(2676)를 통과하면서 기화공간(2629)으로 흐르게 되며, 위와 같이 흡수부재(2676)를 빨아들이는 공기의 흐름 또는 유입력으로 인해, 상기 연료실(2607)의 연료 또는 연료이동홀c,d(2672, 2675)의 연료가 상기 내측기류홀(2674)에 인접한 흡수부재(2676)로의 유입이 활성화 되어, 가열부재(2625)의 가열에너지를 수신하는 흡수부재(2676)의 면에 지속적으로 연료가 공급된다.
또한, 기화 효율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하여, 흡수부재(2623)가 가열에너지를 다면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의 일 실시예로 도 26을 참조하면, 기화모듈(2657)에 삽입되는 흡수부재모듈(2658)을 가열모듈(2659)이 감싸도록 구성하여, 흡수부재가 2면 또는 3면에서 보다 넓은 면적으로 에너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흡수부재와 가열부재의 사이로 기류가 흐르도록 기류통로를 구성 할 수 있으며, 가열에너지가 단수의 빛(빔)의 램프로만 구성될 경우에는 반사경 등을 이용하여 2면 또는 3면으로 조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 26의 흡수부재모듈(2658)과 가열모듈(2659)의 위치를 전환 실시하여 가열부재의 양면에서 에너지를 발산시키고 이를 둘러싼 흡수부재가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한 부재를 감싸는 'ㄷ' 형태 모듈의 구성은 둘 이상의 모듈로도 실시될 수 있다.(아울러, 본 발명은 1개의 흡수부재를 양면으로 가열하는 다수의 가열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흡수부재와 가열부재로 구성된 기화모듈이 다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이, 가열에너지가 흡수부재를 여러 면으로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흡수부재의 각 면이 독립적으로 가열되어 기화할 수 있고, 또는 흡수부재 내부로 투과된 다수의 가열에너지가 경합하여 기화온도에 다다를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경합하는 가열에너지에 의하여 더욱 강력한 기화효율이 달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 33, 3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수부재의 타겟팅된 지점 T를 향하여, 가열부재의 가열에너지 발생부 G1과 G2가 비스듬한 각도로 구성되고, G1과 G2에서 발진된 에너지가 T 지점에서 교차하여 경합하도록 구성되어, G1과 G2에서 발진된 가열에너지가 경합하여 가열온도를 이루거나, G1에서 발진된 가열에너지로 사용하다가 옵션형태로 G2를 활성화하여 보다 강력한 기화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수부재의 타겟팅된 지점 T 에 수평으로 대응하는 가열부재의 가열에너지 발생부 G2가 구성되고, 흡수부재의 타켓팅 지점 T 의 부근에 반사경(2680)이 구성되며, 상기 반사경에 수평으로 대응하는 가열부재의 가열에너지 발생부 G1가 구성되어, G2에서 발진된 가열에너지와 G1에서 발진되어 흡수부재의 반사경(2680)을 경유한 가열에너지가 경합하여 가열온도를 이루거나 또는 옵션형태로 보다 강력한 기화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동일한 원리로 가열에너지 발생부(G)와 반사경은 2개 이상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고, 이와 같은 가열발생부의 경합 구성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27과 같이, 연료실을 연료모듈(2662)로 구성하여, 하우징의 양면으로 개방된 제 14, 15개방면(2666, 2667)과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료모듈(2662)의 구성에 있어서는, 연료주입구(2605)와 연료이동홀a(2604)의 부위에 각각 중앙이 개방되고, 돌출된 3면 테두리의 일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암요철결합부(2665, 2668)를 구성하고, 상기 암요철결합부(2665, 2668)와 방수 결합하도록 상기 연료모듈(2662)에는 중앙이 개방되고 3면 테두리의 일부가 볼록하게 나온 수요철결합부(2661, 2663)가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의 연료이동홀a(2604)와 기화모듈의 연료이동홀b(2619)는, 도 23의 A방향으로 구성되고, 기존의 연료이동홀 a 와 b는 닫힌 구조로 광 반사판이 구성되어, 가열부재에서 발진된 광에너지가 흡수부재를 투과한 후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2차로 흡수부재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이하, 6실시예의 연료모듈 또는 흡수부재가 부착된 기화모듈에서도 동일하게 반사판이 구성될 수도 있다)
제 6 실시예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는, 연료실이 생략되고, 연료가 연료모듈에 저장되어 기화모듈에 서랍식으로 결합 분리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고체, 젤, 허브나 담배 잎 등의 고체형태의 연료 적용에 보다 유용할 수 있고, 액체 연료를 적용할 경우에는 가열에너지를 수신하는 연료모듈개방면 또는 연료에 흡수부재가 결합되어, 고체 또는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8은 기화모듈(2641)이 본체부(2100)의 기화모듈실(2642)에 결합된 상태의 도시이고, 도 29는 기화모듈(2641)이 기화모듈실(2642)에서 분리되고 가열모듈(2631)과 연료모듈(2643)이 상기 기화모듈(2641)에서 분리된 상태의 도시이며,
상기 연료모듈(2643)과 가열모듈(2631)은 기화모듈(2641)과 도 29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결합되고,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분리되며, 상기 기화모듈(2641)은 기화모듈실(2642)과 화살표 C의 방향으로 결합되고,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분리된다.
제 6실시예의 세부적인 구성과 작동방식은 제 5실시예에서의 흡수부재모듈(2603), 가열모듈(2631), 기화모듈(2602)의 '서랍식 방수 결합 분리'와 기술사상이 같으나, 상기 흡수부재모듈(2603)을 연료모듈(2643)로 구성하여, 연료실(2607)이 생략되어 보다 컴팩트하면서, 고체형 연료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30을 참조하여 사각 형태의 연료모듈(2643)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내측 일 부위에는 스프링과 같이 탄성력이 있는 탄성부재(2646)가 결합된 연료받침(2647)이 구성되고, 상기 연료받침(2647)으로부터 나머지 내부공간에는 연료(2648)가 저장되며, 채널a(2654)와 접면하는 외측 면은 개방된 연료모듈개방면(2656)으로 구성되어, 가열부재(2625)에서 발산된 가열에너지가 연료모듈개방면(2656)을 통해 연료를 기화시키면, 수증기가 기화공간(2629)으로 방출하여 기류관(2601)을 통해 흡입부(2000)로 배출되고, 가열에너지에 의하여 연료가 소진되어 길이가 짧아지면, 탄성부재(2646)의 탄성력에 의하여 연료받침(2647)을 밀어 연료(2648)가 연료모듈개방면(2656)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연료모듈개방면(2656) 또는 연료모듈개방면(2656)에 접면한 연료의 부위에는 흡수부재(2649)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의 흡수부재(2649)는 연료를 흡수 저장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증기를 배출하는 작은 구멍이 형성되면서 가열에너지(빛, 빔, 열)가 투과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형태로 연료(2648)가 기화공간(2629)으로 인입되지 않게 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연료모듈(2643)의, 연료받침(2647)과 연료(2648)와 흡수부재(2649)의 밀착력 또는 내부 진공력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부재(2646)를 생략하여 실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2646)가 생략된 실시는, 가열부재(2625)에서 발생된 가열에너지가 흡수부재(2649)에 저장된 연료(2648) 또는 흡수부재(2649)를 투과하여 도달한 연료(2648)를, 기화공간(2629)으로 기화시키면서 발생하는 유인력에 의하여, 상기 연료모듈(2643) 내부의 연료(2648)는 흡수부재(2649)에 지속적으로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연료모듈(2643) 내부의 진공력(또는 밀착력 또는 인력)에 의하여, 연료(2648)와 연료받침(2647) 또한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기화로 인하여 소모된 연료의 부피만큼 연료받침(2647)이 연료(2648)를 흡수부재(2649)의 방향으로 밀어(또는 흡수부재가 연료를 당기고, 연료가 연료받침을 당겨), 상기 연료(2648)와 흡수부재(2649)가 지속적인 밀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연료받침(2647)이 보다 원활히 밀착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부재(2646)가 생략된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인입되도록 기류통로가 구성될 수 있다.(미도시)
또한, 도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료(2648)가 연료모듈(2643)의 내측 면에 부착되거나 고정되도록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료모듈(2643)의 내측 일부 면에 다수의 기류홀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연료(2648)가 소진되지 않아 길이가 긴 경우에는, 내측면의 기류홀b(2652)를 통하여 기화된 수증기가 기화공간(2629)으로 유인되고, 연료(2648)가 소진되어 길이가 기류홀a(2651)의 위치만큼 짧아진 경우에는 기류홀a(2651)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에 의하여 기화공간(2629)으로 수증기가 유인된다. (이와 같은 다수 기류홀의 구성은, 사용에 따른 연료의 길이가 변화되지 않는 경우 또는 허브잎과 같이 연료 자체 내부에 기류 통로가 구성되는 경우의 적용에 유용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8과 도 29에서는 기화모듈(2641)이 본체부 하우징의 길이방향과 기화모듈의 길이방향이 수직으로 결합하는 형태로 설시되었으나, 접지 및 기류홀과 기류관의 위치를 수정하여, 수평으로 결합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고(도 32의 (가) 참조), 기화모듈(2641)에 결합 분리되는 연료모듈(2643)이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료모듈(2643)에 추가적으로 연료주입구를 구성하여 연료를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연료모듈(2641)의 교체 시기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하기 위하여, 연료(2648)의 마지막 부위에는 특별한 향을 포함시킬 수도 있고, 상기의 제 5, 6의 실시예를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예, 탄성부재와 결합된 연료받침과 흡수부재 및 연료모듈 내부의 다수의 기류홀)
아울러, 위 5, 6의 실시예에서, 기화모듈이 생략되고 흡수부재모듈(연료모듈)과 가열모듈이 위 1 내지 4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모듈이 단독으로 하우징의 양면으로 개방된 모듈실에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흡수부재모듈(연료모듈) 또는 가열모듈이 분리되지 않고 기화모듈에 부착되어 기화모듈만 하우징의 양면으로 개방된 모듈실에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6 실시예(1, 2, 3, 4 실시예 포함)에서, 연료의 내부에 그물망의 지지체가 구성되거나, 연료모듈의 연료 저장공간이 벌집과 유사한 다수의 내부 격벽으로 구성되어 사용중 연료의 소모에 따른 쏠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 1 내지 6 실시예의 구현시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베이퍼라이저의 형태는 사각모양 뿐만 아니라 원통모양과 삼각모양 등의 하우징 형태에 따라 모듈이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모듈의 일부 면이 모듈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 하우징의 일면 또는 양면이 개방된 구조의 설계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거나 면적이 넓은 하우징의 전 후면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거나 면적이 좁은 하우징의 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음도 포함한다. 예컨대, 제 6실시예에서의 경우, 도 32의 (나)와 같이, 하우징 측면으로 A화살표 방향으로 결합하고, B화살표 방향으로 분리된다. 마찬가지로, 연료저장공간과 기화모듈이 본체부에 포함되는 제 5실시예에서의 측면결합을 도 35에서 살펴보면, 기화모듈(2602-1)을 본체부(2100)의 측면 A방향으로 밀어 결합하고, 측면 B방향으로 모듈을 밀어 분리할 수 있고, 기화모듈을 연료이동홀(2604-1)까지만 밀어 연료저장공간(2606)으로 연료를 보다 편리하게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측면 개방 방식의 일례로써 제 5실시예(도 20참조)의 경우에 있어서, puah-out 모듈의 결합 분리 방식으로 일 측면을 개방하거나, 모듈이 삽입되는 본체부 하우징 부위의 3면(전면, 후면, 측면)을 개방하여, 측면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분리의 방법은 전 후면의 개방면을 이용하여 손으로 개방된 측면 방향으로 당겨서 분리 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 5, 6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도 18, 28 참조), 기화모듈(2602, 2641)을 따로 구성하지 않고, 흡수부재모듈(또는 연료모듈) 또는 가열모듈을 본체부 하우징의 양면이 개방된 면으로 서랍식으로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포함하며,
모듈과 모듈실간의 결합에 있어, 밀폐 또는 방수결합이란 액체 뿐만 아니라 기체, 빛, 빔, 열이 유출되지 않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석을 구성하거나 모듈실에 탄성력이 있는 고정부재 또는 고정용 클립을 구성하여 모듈의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액체 및 기체의 외부 방출을 막기 위하여 (암수)요철형태의 결합이나 볼록선과 오목선의 결합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원모듈과 배터리셀도 본체부 하우징에 전원모듈실과 배터리셀모듈실을 형성하여 서랍식으로 방수 결합 분리되도록 실시하여, 다양한 전원모듈(클릭형, 전자형, 지문인식형 등)과 다양한 종류와 용량의 베터리셀을 선택 교체 적용할 수 있으며,
기화모듈은 흡수부재모듈(또는 연료모듈)과 가열모듈이 결합 분리되지 않는 구조일 수 있으며, 또는 흡수부재모듈(또는 연료모듈)만 결합 분리되거나, 또는 가열모듈만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연료모듈은 중공의 내부에 연료가 저장되고, 일 면이 개방되거나, 또는 개방된 일 면에 빛(빔) 투과부재(반면거울 : half mirror 포함)로 구성되거나, 또는 개방된 일 면에 흡수부재가 구성될 수 있으며,
가열부재의 테두리 또는 가열모듈 또는 기화모듈이 방열재질(방열판)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방열재질이 다중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중 구조의 경우에는 내측 구조를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예, 그래핀시트 또는 흑연시트 등)로 구성하여 내부 발열을 완화하여 가열부재를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가열부재는 레이저, 적외선, 자외선, 할로겐 등의 광에너지를 발생하는 (램프)부재로 구성되거나,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하는 부재로 구성되거나, 발열선(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열부재가 발열선(관)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가열모듈의 특정부위 면에 촘촘한 나선원형이나 지그재그 모양의 망 형태로 구성되거나 발열선 인쇄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가열부재와 흡수부재가 매우 근접하거나 접면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흡수부재의 면과 가열부재의 면 사이에 연료가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발열선이 공기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탄화와 유해가스가 억제될 수 있는 특징과, 가열모듈을 이용하여 발열선(관)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특징과, 발열선(관)으로 흡수부재에 근접하여 열이 공급될 수 있다는 특징과, 종래와 같이 유리섬유에 발열선(관)을 감아서 제작하지 않아도 될 수 있는 제작의 편이성과, 발열선이 구성된 가열부재(또는 흡수부재에 발열선이 감긴 경우를 포함)를 모듈화하여 하우징의 외측에서 서랍식으로 밀폐(방수) 결합 분리될 수 있는 특징이 존재하므로, 발열선(관)의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하기로 하며, 발열선(관)이 연료(또는 흡수부재)와 근접 또는 접면하는 경우, 기화모듈의 내부는 흡수부재-가열부재-기화공간의 순으로 형성될 수 있고,
흡수부재(또는 연료)는 가열부재의 가열에너지 성질에 따라 빛(빔)에 민감한 색(예, 검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흡수부재의 내측으로 광수신패널(2679)(도 9 참조)을 삽입하여 광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신 받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의 광수신패널은 내열성의 소재로써, 흡수부재를 통과한 광에너지를 수신 받아 기화(열)에너지로 전환하거나(이 경우 가열부재의 광에너지가 광수신패널의 전면을 균등하게 가열하게 되므로 종래의 발열선 기화 방식과는 대비된다), 수신 받은 광에너지를 반사하여 1차로 조사되었던 흡수부재를 2차로 조사(2중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의 광수신패널의 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어 연료가 흡수부재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다수의 광수신패널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가열(광)에너지의 조사방식에 있어서, 전원버튼을 누르는 동안 지속적으로 가열(광)에너지가 조사되는 연속파(continuous wave, CW)와 맥박처럼 일정 간격을 두고 조사되는 펄스파(pulse wave, PW)(또는 비연속파)로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제어하는 회로가 가열모듈 또는 전원모듈에 내장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된 선택버튼에 의하여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펄스파로 적용되는 경우, 가열(광)에너지에 의하여 기화하고자 하는 원료의 주성분이 Propylene Glycol 와 Vegetable Glycerin 혼합 용액일 경우, 각 기화온도는 Propylene Glycol은 섭씨 190도이고 Vegetable Glycerin은 섭씨 290도이며, 발화온도는 Propylene Glycol은 섭씨 420도이고 Vegetable Glycerin은 섭씨 390도이므로, 발화온도에 접근하지 않도록 가열(광)에너지의 온도를 섭씨 190~390도 내에서 유지되도록 펄스파를 적용하여, 가열(광)에너지가 390도에 근접하면 온도가 더 이상 올라가지 않게 펄스가 느려지도록 온도data와 펄스를 연동하여 내부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적용되는 연료에 따라서 광에너지의 세기나 파장을 선택하도록 제어회로가 설계된 선택버튼이 구성될 수 있고,
도 8, 23, 30과 같이 수분을 흡수 저장하는 부재가 삽입되는 수분저장공간(2677)을 구성하여 흡입부(2000)의 기류관(2003)과 연료실(2607)의 기류관(2103, 2601) 또는 기화공간(2106, 2629)에서 흘러 내려오는 잔류 수증기를 흡수 저장하도록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수분저장공간(2677)을 수분저장모듈실로 구성하고 수분을 흡수 저장하는 부재가 담겨있는 수분저장모듈을 구성하면서, 모듈 또는 본체부의 하우징을 양면으로 개방하여, 서랍식으로 모듈을 밀거나 당겨서 밀폐(방수) 결합 분리하도록 구성하여(암수 요철결합부 또는 방수볼록선과 방수오목선의 구조) 상기 수분저장모듈에 수분을 흡수 저장하면, 종래 베이퍼라이저의 흡입부 내지 카트리지의 기류관에서 잔류하는 수증기가 기화장치로 다시 흘러들어 오면서 발생하는 '물고임 현상' 또는 '가습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원리인 양면으로 개방된 하우징의 결합 분리의 구성은, 회로기판이 모듈 또는 하우징에 서랍식으로 결합 분리되도록 하여, 다양한 기능으로 구성된 회로기판을 필요에 따라 쉽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데, 상기 제 5실시예의 기화모듈로부터 서랍식으로 분리된 가열모듈에서, 다시 가열모듈 하우징의 양면으로 개방된 회로기판 모듈실을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기능의 회로기판이 삽입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베터리셀과 가열모듈의 연결부위 하우징에 회로기판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회로기판의 다른 기능의 예로는 가열 온도 범위가 다르게 제한되거나, 스마트폰 연동 기능(블루투스)을 포함하거나,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음성이 구성되거나, GPS기능이 구성되거나 하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베이퍼라이저(2500) 및 모듈 및 모듈실의 모양은 사각 형태로만 제한하지 않고, 구성물 간의 결합방식도 나선식, 자석식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연료모듈실, 가열모듈실, 흡수부재모듈실 등을 하우징의 한 면 개방 형태로 구성하고 연료모듈, 가열모듈, 흡수부재모듈 등을 한 번 밀어 넣으면 결합 고정되고, 한 번 더 누르면 분리 배출되는 푸쉬아웃(push-out)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수로 모듈을 눌러서 배출될 경우를 대비하거나 모듈을 보호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보호 덮개를 추가할 수 있고, 각 구성물 간의 결합 또는 모듈의 하우징 결합에 있어서 액체나 기체 또는 가열에너지(빛, 빔, 열)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수부재, 폐쇄부재, 가열에너지 반사부재 등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체연료(또는 젤리 형태의 연료)는 연료모듈이 생략된 그 자체로 연료실에 결합되거나 충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적용된 가열에너지의 파장을 상쇄시키는 기능의 강화유리 등으로 구성물의 재질이 구성될 수 있고, 가열에너지를 안전하게 본 발명의 기화용으로만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기능성(볼록, 오목 등) 렌즈를 가열부재에 초기 모듈의 제작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가열에너지가 기화 초점을 벗어나면 파장이 점차 확대되거나 축소되어 약해지거나 소멸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에 연료모듈이 결합되어야만 가열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접지 회로를 구성하거나, 가열모듈 또는 하우징의 내부에 센서를 부착하여 일정거리(초점거리)내에 물체가 인식될 경우에만 가열에너지가 발진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열요소의 종류와 가열에너지의 파장, 진동, 주파수 등의 범위는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0 : 흡입부 2001 : 흡입홀
2002 : 흡입바디 2003 : 기류관
2004 : 기류홀 2005 : 결합바디
2006 : 결합부 2100 : 본체부
2101 : 결합홈 2102 : 기류홀
2103 : 기류관 2104 : 기류홀
2105 : 기류공간 2106 : 기화공간
2107 : 접지 2108 : 전원모듈
2109 : 버튼 2110 : 전선
2111 : 배터리셀 2112 : 충전단자
2113 : 주입구마개 2114 : 자석
2115 : 오목선 2116 : 제1개방면
2117 : 제2개방면 2118 : 기류홀
2119 : 자석 2120 : 오목선
2121 : 제3개방면 2122 : 제4개방면
2123 : 하우징 2124 : 연료모듈실
2125 : 가열모듈실 2126 : 결합부
2127 : 결합부 2128 : 흡수부재
2129 : 제5개방면 2130 : 테두리
2131 : 덮개 2132 : 주입구
2133 : 투명부재 2134 : 흡수부재모듈실
2135 : 고정부재 버튼 2136 : 버튼 이동선
2137 : 고정부재 2138 : 미닫이틀
2139 : 연료실 2200 : 연료모듈
2200a : 연료모듈a 2200b : 연료모듈b
2200c : 연료모듈c 2200d : 액체연료모듈
2200e : 연료모듈e 2201 : 연료저장공간
2202 : 볼록선 2203 : 개방면
2204 : 흡수부재 2205 : 주입구마개
2206 : 주입구 2207 : 손잡이
2208 : 탄성부재 2209 : 결합부
2210 : 결합부 2211 : 여유공간
2212 : 연료 2213 : 기류홀a
2214 : 기류홀b 2215 : 투과부재
2216 : 흡수부재모듈 2300 : 가열모듈
2301 : 가열부재 2302 : 내부모듈
2303 : 볼록선 2304 : 전선
2305 : 회로기판 2306 : 접지
2307 : 렌즈 2400 : 흡수부재모듈
2401 : 흡수부재 2500 : 베이퍼라이저
2601 : 기류관 2602 : 기화모듈
2602-1 : 기화모듈
2603 : 기류홀 2604 : 연료이동홀a
2604-1 : 연료이동홀
2605 : 연료주입구 2606 : 연료저장공간
2607 : 연료실 2608 : 하우징
2609 : 제6개방면 2610 : 제7개방면
2611 : 기화모듈실 2612 : 방수오목선
2613 : 암요철 결합부 2614 : 암요철 결합부
2615 : 제6개방면 2617 : 제7개방면
2618 : 방수볼록선 2619 : 연료이동홀b
2620 : 수요철 결합부 2621 : 결합패널a
2622 : 제8개방면 2623 : 흡수부재
2624 : 결합패널c 2625 : 가열부재
2627 : 결합패널e 2628 : 제10개방면
2629 : 기화공간 2630 : 흡수부재모듈
2631 : 가열모듈 2632 : 결합패널f
2633 : 접지 2634 : 수요철 결합부
2635 : 결합패널b 2637 : 제11개방면
2638 : 제9개방면 2639 : 흡수부재모듈실
2640 : 가열모듈실 2641 : 기화모듈
2642 : 기화모듈실 2643 : 연료모듈
2644 : 제13개방면 2645 : 제12개방면
2646 : 탄성부재 2647 : 연료받침
2648 : 연료 2649 : 흡수부재
2650 : 기류홀 2651 : 기류홀a
2652 : 기류홀b 2653 : 결합패널g
2654 : 채널a 2655 : 채널b
2656 : 연료모듈개방면 2657 : 기화모듈
2658 : 흡수부재모듈 2659 : 가열모듈
2660 : 증기배출구 2661 : 수요철 결합부
2662 : 연료모듈 2663 : 수요철 결합부
2664 : 결합패널 2665 : 암요철 결합부
2666 : 제14개방면 2667 : 제15게방면
2668 : 암요철 결합부 2669 : 연료모듈실
2670 : 수요철 결합부 2671 : 외측 기류홀
2672 : 연료이동홀c 2673 : 흡수부재수용홈
2674 : 내측 기류홀 2675 : 연료이동홀d
2676 : 흡수부재 2677 : 수분저장공간
2678 : 광발생부 2679 : 광수신패널
2680 : 반사경

Claims (5)

  1. 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본체부를 포함하는 베이퍼라이저로서,

    상기 본체부는,

    연료를 저장하고, 광에너지를 수신하도록 일면이 개방되거나 또는 일 면이 빛 투과부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일 면이 흡수부재로 구성된 연료실 또는 연료모듈과,

    상기 연료실 또는 연료모듈과 이격된 위치에 구성되고, 상기 광에너지를 발진하는 가열부재가 구성된 가열모듈과,

    상기 연료실 또는 연료모듈과 상기 가열모듈의 이격된 공간에 해당하며, 상기 광에너지가 이동하도록 본체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료실 또는 연료모듈로 조사되는 상기 광에너지에 의해 수증기가 방출되는 기화공간과,

    상기 기화공간에 방출된 수증기를 상기 흡입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상기 연료모듈 주위에 형성된 기류관과,

    상기 가열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모듈과,

    상기 전원모듈과 전선으로 연결된 배터리셀과,

    상기 본체부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양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구성되며, 상기 연료모듈과 가열모듈과 전원모듈을 각각 수용하는 모듈실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모듈실의 일 개방면으로 상기 연료모듈, 가열모듈, 전원모듈 가운데 하나 이상의 모듈을 밀어넣음으로써 결합되고,

    상기 모듈실의 타 개방면으로 상기 연료모듈, 가열모듈, 전원모듈 가운데 하나 이상의 모듈을 밀어냄으로써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2. 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본체부를 포함하는 베이퍼라이저로서,

    상기 본체부는 기화모듈실 또는 연료저장공간과 기화모듈실을 포함하고,

    상기 기화모듈실에 결합되는 기화모듈은, 흡수부재모듈과 가열모듈로 구성되거나, 연료모듈과 가열모듈로 구성되거나, 또는 연료모듈과 흡수부재모듈과 가열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가열모듈은 광에너지를 발진하는 가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료모듈은 연료를 저장하고, 광에너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연료모듈의 일 면이 개방되거나, 또는 일 면이 빛 투과부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일 면이 흡수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수부재모듈은 기화되는 연료가 흡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열모듈과 흡수부재모듈 사이에 기화공간이 구성되거나, 상기 가열모듈과 연료모듈 사이에 기화공간이 구성되고,

    상기 기화공간은 상기 가열모듈에서 발진된 광에너지가 이동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광에너지를 수신한 상기 흡수부재모듈 또는 연료모듈에서 기화된 연료가 방출되는 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의 기화된 연료에 해당하는 수증기를 상기 흡입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기류관과, 상기 가열모듈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모듈과, 상기 전원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화모듈실은 상기 본체부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양면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화모듈실의 일 개방면으로 상기 기화모듈을 밀어넣음으로써 결합되고, 상기 기화모듈실의 타 개방면으로 상기 기화모듈을 밀어냄으로써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3. 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본체부를 포함하는 베이퍼라이저로서,
    상기 본체부는 연료저장공간과 기화모듈실을 포함하고,

    상기 기화모듈실에 결합되는 기화모듈은,
    흡수부재모듈과 가열모듈로 구성되거나, 흡수부재가 결합된 가열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흡수부재는 기화되는 연료가 흡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열모듈의 가열부재는 발열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열부재의 주위에는 기화공간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의 기화공간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상기 흡입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기류관과,
    상기 가열모듈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모듈과,
    상기 전원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화모듈실은 상기 본체부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양면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화모듈실의 일 개방면으로 상기 기화모듈을 밀어넣음으로써 결합되고,
    상기 기화모듈실의 타 개방면으로 상기 기화모듈을 밀어냄으로써 분리되며,

    상기 기화모듈의 외측에는 중앙이 개방되고 돌출된 3면 테두리의 일부가 볼록하게 나온 수요철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화모듈실에는 중앙이 개방되고 3면 테두리의 일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암요철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요철 결합부와 암요철 결합부의 결합에 의하여, 연료가 이송하는 밀폐된 통로 또는 수증기가 이송하는 밀폐된 통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모듈은 기화모듈 하우징을 관통하여 양면으로 개방된 모듈실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흡수부재모듈 또는 상기 가열모듈을 상기 모듈실의 일 개방면으로 밀어넣음으로써 결합되며, 상기 모듈실의 타 개방면으로 밀어냄으로써 분리되고,

    상기 흡수부재모듈 또는 상기 가열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과, 이들 모듈을 수용하는 모듈실의 양 끝단이 단차진 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모듈의 모듈실 삽입에 의하여 상기 기화모듈 하우징의 양 외측 개방면이 동시에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5.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양면으로 개방된 상기 모듈실 또는 상기 기화모듈실에는,

    상기 본체부의 하우징의 일 외측면으로 개방된 측면 개방면이 더 형성되어,

    상기 측면 개방면으로 모듈 또는 기화모듈을 밀어서 결합하고,
    상기 본체부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양면으로 개방된 면으로 모듈 또는 기화모듈을 손으로 당겨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KR1020190168382A 2019-12-17 2019-12-17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KR102172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82A KR102172540B1 (ko) 2019-12-17 2019-12-17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82A KR102172540B1 (ko) 2019-12-17 2019-12-17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513A Division KR102060860B1 (ko) 2016-07-16 2017-07-14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159A Division KR102210810B1 (ko) 2020-10-22 2020-10-22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637A true KR20190141637A (ko) 2019-12-24
KR102172540B1 KR102172540B1 (ko) 2020-11-02

Family

ID=6902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382A KR102172540B1 (ko) 2019-12-17 2019-12-17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54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24Y1 (ko) * 2010-10-22 2011-05-02 (주)잔티코리아 전자담배
KR101119356B1 (ko) 2006-05-16 2012-03-14 릭 혼 이뮬레이션 에어로졸 흡입기
KR20120008751U (ko) * 2011-06-13 2012-12-24 이영찬 전자담배
KR101375315B1 (ko) 2012-02-10 2014-03-18 황일영 전자 담배용 심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담배
KR20140006242U (ko) * 2014-05-21 2014-12-12 석인선 전자담배
KR20160008510A (ko) * 2013-03-15 2016-01-22 알트리아 클라이언트 서비시즈 엘엘씨 전자 흡연 제품
KR20160000718U (ko) * 2014-08-23 2016-03-03 석인선 살균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전자담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356B1 (ko) 2006-05-16 2012-03-14 릭 혼 이뮬레이션 에어로졸 흡입기
KR200453424Y1 (ko) * 2010-10-22 2011-05-02 (주)잔티코리아 전자담배
KR20120008751U (ko) * 2011-06-13 2012-12-24 이영찬 전자담배
KR101375315B1 (ko) 2012-02-10 2014-03-18 황일영 전자 담배용 심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담배
KR20160008510A (ko) * 2013-03-15 2016-01-22 알트리아 클라이언트 서비시즈 엘엘씨 전자 흡연 제품
KR20140006242U (ko) * 2014-05-21 2014-12-12 석인선 전자담배
KR20160000718U (ko) * 2014-08-23 2016-03-03 석인선 살균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전자담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540B1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860B1 (ko)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JP7157224B2 (ja) レーザによるエアロゾル生成装置
RU2751630C1 (ru) Источник аэрозоля для системы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пара
EP3075270A1 (en) Atomizer and atomizer/liquid reservoir portion for electronic smoking device and electronic smoking device
KR20160134582A (ko) 레이저 베이퍼라이저
JP7041137B2 (ja) 手持ち式吸入可能蒸気発生装置
KR20220119095A (ko) 모듈식 기화기 시스템 및 조성물을 기화시키기 위한 방법
KR20210078348A (ko) 카트리지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142645A (ko) 윅을 갖는 전자 담배
KR102172540B1 (ko)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KR102278621B1 (ko)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KR102210810B1 (ko)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KR20210090142A (ko) 모듈화된 베이퍼라이저
KR20210046588A (ko) 전자 궐련에 대한 광학 기화 시스템
US20220079237A1 (en) Infrared heated aerosol-generating element
EP4240189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s and methods
WO2019138042A1 (en) An aerosol-generating device, system and heating element having plasmonic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